KR102590287B1 -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287B1
KR102590287B1 KR1020210131757A KR20210131757A KR102590287B1 KR 102590287 B1 KR102590287 B1 KR 102590287B1 KR 1020210131757 A KR1020210131757 A KR 1020210131757A KR 20210131757 A KR20210131757 A KR 20210131757A KR 102590287 B1 KR102590287 B1 KR 102590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jection
drug
pca
electronic device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8852A (ko
Inventor
정철우
이형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287B1/ko
Priority to PCT/KR2021/015925 priority patent/WO2023058811A1/ko
Publication of KR2023004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5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redundant 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상기 PCA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ELECTRONIC APPARATUS FOR COLLECTING DRUG INJ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USE OF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DEVICE, THE METHOD THEREOF, AND THE SYSTEM}
본 발명은 PCA 장치와 관련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을 받는 환자들은 수술 후 다양한 정도의 통증을 호소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환자의 진통 요구에 의해 의료진이 진통제 등 약물의 기본 용량을 처방하여 통증을 조절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약물의 종류 및 투여량을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은 통증의 발현부터 적절한 진통을 얻기까지의 시간 간격이 너무 길어져 환자 및 의료진의 만족도가 매우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환자 스스로 약물의 투여 시기, 투여량 등을 결정할 수 있는 PCA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후 PCA 장치의 보급에 따라 수술 후 통증 치료에서 환자의 만족도가 개선되고 투입되는 의료 인력이 획기적으로 감소되었다.
PCA 장치는 장치 내에 보관된 약물을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조절하는 펌프를 이용하여 기본 주입 속도(basal infusion rate)로 지속 정주하고, 환자의 필요에 따라 환자가 PCA 장치를 조작하여 1회 주입량(bolus dose)을 추가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주입한 약물량, PCA 장치의 자가 조절 버튼을 누른 횟수나 간격 등을 포함하는 약물 주입 정보는 향후 동일 수술 환자 또는 유사한 상태의 환자들에서 PCA 장치의 약물 용량 조절의 근거가 되며 PCA 장치에 관한 각종 연구개발에서 주요 자료가 된다.
그러나, 기계식 PCA 장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이 없고, 통신 기능을 가진 일부 전자식 PCA 장치는 전력 관리의 문제로 인해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PCA 장치 자체가 과도하게 커지고 무거워져 수술 후 환자의 활동을 제한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PCA 장치에서의 데이터 저장 또는 통신 기능의 부재나 제약으로 인해 환자의 약물 주입 정보의 취득이 제한되어 환자의 통증 및 그에 따른 약물 사용 정도의 감시 및 조절 등 PCA 장치의 활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5/0177096호(2005.08.11.)
본 발명의 목적은 PCA 장치의 기능 개선을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약물 사용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약물 주입 이력 데이터의 저장 및 실시간 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상기 PCA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 가능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PCA 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외부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PCA 장치는 제1 PCA 장치 및 제2 PCA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제1 PCA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제1연결단자 및 상기 제2 PCA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제2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연결단자와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2 PCA 장치가 제2연결단자에 연결된 것에 기초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에서 상기 제1모드보다 소비전력이 높은 제2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약물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약물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GUI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약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CA 장치로 약물 주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용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CA 장치; 상기 PCA 장치와 연결된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통신부; 상기 PCA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현재 통증 여부 및 진통 요구 정도를 실시간으로 수집함으로써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와 요구를 원격에서 파악하여 진료의 효율성 및 진료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CA 장치로부터 수집한 다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약물의 적절한 설정값 및 이용 방법을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진료 또는 연구개발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장치와 PCA 장치의 동작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약물 주입 알고리즘을 생성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면서도 PCA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 케이블(10)을 통해 전자장치(100)와 연결된 외부장치(200), 전자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서버(3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200)는 PCA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 PCA 장치의 통신 기능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장치이다. PCA 장치 자체에 통신 기능이 없더라도 케이블(10)을 이용하여 PCA 장치와 통신 기능을 탑재한 전자장치(100)와 연결하여, 사용자의 약물 주입 정보 등 PCA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서버(300) 등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기능을 탑재한 전자장치(100)를 PCA 장치와 연결함으로써 전자장치(1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진은 사용자의 약물 주입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거나, 향후 동일, 유사 상황에서 획득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은 PCA 장치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진료 또는 연구개발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CA 장치의 활용을 높이는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입력부(110)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혹은 외부장치(200), 예를 들어 PCA 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외부장치(200)와 연결하기 위한 입력 단자, 버튼, 로터리 스위치,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널, 조그 셔틀, 터치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 단자는, 예를 들어, USB 포트, 이어잭 단자, HDMI 커넥터, 또는 SD 카드 커넥터 등 전자장치(100)가 외부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통신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이나, 블루투스 등과 같은 1대 1 다이렉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입력부(110)와 결합되어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 속성의 스토리지(storage)와, 제어부(160)에 의해 처리되기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는 휘발성 속성의 메모리(memory)를 포함한다. 스토리지에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으며, 메모리에는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다.
배터리(150)는 전자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제어부(160)에 연결된 전자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입력부(110)는 연결단자와 연결된 스위치,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에 내장된 스위치, 혹은 외부장치(200)인 PCA 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고 연결단자에 연결된 외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스위치는 케이블에 연결되고, 케이블을 연결단자에 꽂아 외부 스위치를 동작할 수 있다.
약물 주입 요청 신호는 약물의 주입을 요청하는 신호로써,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는 등 약물의 주입을 요청한 경우,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가 전자식 PCA 장치와 연결된 경우,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에 내장된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가 기계식 PCA 장치와 연결된 경우, 기계식 PCA 장치에 부착된 외부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PCA 장치의 종류에 따른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은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S320).
이는 사용자가 PCA 장치를 사용할 의도로 스위치를 눌렀을 것이므로, PCA 장치의 사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기 위한 작업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약물 설정 정보는 약물의 1회 주입량(bolus dose), 약물의 주입 속도(basal infusion rate), 잠금 시간(lock-out time) 등을 포함한다. 잠금 시간은 과도한 PCA 장치 사용을 막기 위해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 내 다시 약물의 주입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더라도 약물의 추가 주입을 제한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제어부(160)는 PCA 장치에 설정된 약물 설정 정보를 로터리 스위치, 디스플레이의 터치 패널 등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하거나, PCA 장치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혹은 PCA 장치의 약물 설정 정보가 담긴 메모리 등을 전자장치(100)에 연결하여 수신하는 등 약물 설정 정보의 식별 방법에 제한이 없다. 일 예로,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에 약물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약물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GUI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약물 주입 정보는 주입한 약물량, 약물의 이전 주입 시간과 현재 주입 시간 간의 간격, 잠금 시간이나 주입 시간의 간격으로부터 식별한 사용자 입력의 유효성 여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간, 사용자 입력의 수신 횟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S330).
제어부(160)는 S320에서 식별한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서버 등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 의해 전송된 정보들은 서버에 저장되어 향후 동일 혹은 유사한 케이스에서 PCA 장치의 약물 설정 정보를 조절하는 근거가 되며, 약물 주입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주요 자료가 된다. 다만, 약물 주입 정보는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반복해서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등 유효하지 않은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잠금 시간 이내의 반복하여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해서는 해당 정보에 "무효 이벤트" 태그를 붙이고, 무효 이벤트 발생 시간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CA 장치로부터 수집한 다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약물의 적절한 설정값 및 이용 방법을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진료 또는 연구개발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외부장치(200) 중 하나인 제1 PCA 장치(210), 제1 PCA 장치(21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전자장치(100), 및 전자장치(100) 내부의 일부 회로도(4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PCA 장치(210)는 전자식으로 동작하는 PCA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스위치(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도(410)를 살펴보면 스위치(111)는 DPST(Double-Pole Single- Throw)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DPST 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로 두 개의 SPST(Single-Pole Single-Throw) 스위치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11)을 이용하여 전자장치(100)와 제1 PCA 장치(21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11)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하나의 SPST 스위치는 제어부(160)에 연결되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전달한다. 즉, 제어부(160)는 스위치(111)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앞서 도 3의 S320, S330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관련 정보를 식별하고, 서버로 전송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SPST 스위치는 연결단자(112)에 연결된 케이블(11)을 통해 제1 PCA 장치(210)로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전달한다. 제1 PCA 장치(210)는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된 약물 설정 정보에 맞게 사용자에 약물을 주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PCA 장치(2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와 제1 PCA 장치(210)의 사용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스위치가 분리되어서 구현되는 바, PCA 장치 이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111)가 케이블(11)에 장착되어 스위치(111)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장치(100)와 제1 PCA 장치(210)로 각각 신호를 전송하거나, 스위치(111)가 제1 PCA 장치(210)에 내장되어 전자장치(100)는 제1 PCA 장치(210)로부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된 약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1 PCA 장치(210)로 약물 주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PCA 장치(210)에 통신모듈 등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전자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1 PCA 장치(210)의 이용 여부를 포함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외부장치(200) 중 하나인 제2 PCA 장치(220), 제2 PCA 장치(22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전자장치(100), 및 전자장치(100) 내부의 일부 회로도(5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PCA 장치(220)는 기계식으로 동작하는 PCA 장치를 의미한다.
제2 PCA 장치(220)의 경우, 약물 설정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2 PCA 장치(220)의 약물 주입 버튼(221)을 눌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신 기능이 없는 제2 PCA 장치(220)로부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PCA 장치(220)의 약물 주입 버튼(221)에 탈부착 가능한 외부 스위치(113)를 이용할 수 있다. 외부 스위치(113)는 케이블(12)의 끝단에 연결되고, 케이블(12)은 전자장치(100)의 연결 단자(112)에 연결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외부 스위치(113)와 연결된 케이블(12)로부터 외부 스위치(113)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회로도(510)를 살펴보면 스위치(113)는 SPST(Single-Pole Single- Throw)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외부 스위치(113)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앞서 도3의 S320, S330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관련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에 제1 PCA 장치(210)를 위한 내장 스위치(111)가 포함된 경우, 전자장치(100)를 제2 PCA 장치(220)와 연결하여 이용하는 도중 실수로 내장 스위치(111)를 누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내장 스위치(111)로부터 수신한 약물 주입 요청 신호는 유효하지 않은 이벤트인바, 내장 스위치(111)를 비활성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서술한다. 회로도(510)를 자세히 살펴보면, 케이블(12)은 3극 잭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PCA 장치(220)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112)에 케이블(12)이 삽입되면, 3극 잭의 끝 단자 영역(51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와 내장 스위치(111)를 연결하는 접점을 벌어지게 하여, 제어부(160)와 내장 스위치(111)를 연결하는 회로가 끊기게 된다. 따라서, 제2 PCA 장치(220)와 연결된 경우 실수로 내장 스위치(111)가 눌러지더라도 약물 주입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160)가 전자장치(100)와 제2 PCA 장치(220)가 연결됨을 식별하고, 그에 기초하여 내부 스위치(111)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를 이용하여 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제2 PCA 장치(220)의 이용 여부를 포함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PC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은 전자장치(100), 외부장치(200), 서버(300), 사용자 프로그램(400)간의 유기적인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차례로 살펴본다.
전자장치(100)는 도 3의 S310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10)를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101).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에서 제1모드보다 소비전력이 높은 제2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S102). 이 때, 제1모드는 소비전력을 기 정의된 값 이하로 낮추는 슬립 모드 혹은 절전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자장치(100)의 전원을 켜는 경우,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장치(100)는 배터리(150)를 절약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정상적 전력 소비 모드인 제2모드에서 도 3의 S320의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서버(300)에 전송하기 위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 접속을 성공한 경우(S103의 Yes), 제어부(160)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104).
서버 접속을 성공하지 못한 경우(S103의 No), 추후 서버 접속에 성공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위해 저장부(140)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05). 이 때,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정보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뿐 아니라 전자장치(100)가 켜져서 동작하기 시작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접속 성공 여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후 제어부(160)는 배터리(150)를 절약하기 위해 다시 동작모드를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S106).
외부장치(20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PCA 장치(210)와 제2 PCA 장치(220)를 포함한다. 외부장치(200)는 전자장치(100)로부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201). 수신된 약물 주입 요청 신호가 외부장치의 잠금 시간 이후에 수신한 경우(S202의 No), 즉 기 정의된 시간 이후 약물 주입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 외부장치(200)는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S203).
수신된 약물 주입 요청 신호가 외부장치의 잠금 시간 이내에 수신한 경우(S202의 Yes), 외부장치는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S204). 이 때, 제어부(160)는 도 3의 S3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된 약물 주입 요청 신호가 무효 이벤트 임을 식별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전자장치(100)로부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1). 서버는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사용자 프로그램(40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전자장치(100)의 정보를 결합 및/또는 정보의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S302). 정보 결합이나 정보의 분류 동작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정 사용자의 약물 치료 메커니즘을 식별 및 개선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혹은 특정 사용자를 비롯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수술을 받거나, 유사한 증상 등을 가지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의 정보를 결합 및/또는 분류하여 약물 치료에 관련된 연구개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서버(300)는 수신한 정보가 실시간 이용 정보인지를 식별하고(S303), 실시간 이용정보인 경우(S303의 Yes), 스트리밍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S304). 전자장치(100)의 서버 접속 실패 등으로, 수신한 정보가 실시간 이용정보가 아닌 경우(S303의 No), 서버(300)의 제어부는 서버의 저장부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05).
또한, 사용자 프로그램(400)은 사용자 정보, 전자장치(100)의 정보를 입력하는 관리용 프로그램(401)과, 서버(300)로부터 실시간 감시에 필요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내려 받아 시각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감시용 프로그램(402)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의 개발을 통해 외부장치(200)의 간소화로 사용자의 외부장치(200)의 이용에 편리함을 줄 뿐만 아니라, 외부장치(200)로부터 수집한 다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약물의 적절한 설정값 및 이용 방법을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진료 또는 연구개발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100: 전자장치
110: 입력부
120: 통신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저장부
150: 배터리
160: 제어부

Claims (10)

  1.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케이블을 통해 상기 PCA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 및 제어부와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PCA 장치로 약물 주입 요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 가능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PCA 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외부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A 장치는 제1 PCA 장치 및 제2 PCA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제1 PCA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제1연결단자 및 상기 제2 PCA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2 PCA 장치가 제2 연결단자에 연결된 것에 기초하여 비활성화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에서 상기 제1모드보다 소비전력이 높은 제2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모드로 변환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약물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약물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GUI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약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CA 장치로 약물 주입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장치.
  9.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용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PCA 장치에 약물 주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0. 환자의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CA 장치;
    상기 PCA 장치와 연결된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통신부; 케이블을 통해 상기 PCA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 및 제어부와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주입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PCA 장치로 약물 주입 요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약물 설정 정보 및 약물 주입 정보를 수신하는 시스템.
KR1020210131757A 2021-10-05 2021-10-05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590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757A KR102590287B1 (ko) 2021-10-05 2021-10-05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PCT/KR2021/015925 WO2023058811A1 (ko) 2021-10-05 2021-11-04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757A KR102590287B1 (ko) 2021-10-05 2021-10-05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852A KR20230048852A (ko) 2023-04-12
KR102590287B1 true KR102590287B1 (ko) 2023-10-16

Family

ID=8580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757A KR102590287B1 (ko) 2021-10-05 2021-10-05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0287B1 (ko)
WO (1) WO202305881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8618A1 (en) 2003-04-02 2004-12-02 Osamu Tsukada Motorized infusion injection system
US20050177096A1 (en) * 2003-12-05 2005-08-11 Bollish Stephen J. Patient-controlled analgesia with pati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28B1 (ko) * 2003-12-03 2006-08-01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물 정량 자동주입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45982A (ko) * 2011-10-27 2013-05-07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14126B1 (ko) * 2015-05-27 2016-04-20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자가통증조절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788031B1 (ko) * 2016-01-19 2017-10-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주입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약물 주입 장치
KR20180007414A (ko) * 2016-07-13 2018-01-23 서울대학교병원 인퓨전 펌프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약물을 투입하는 방법 및 환자용 단말기
KR20210014922A (ko) * 2019-07-31 2021-02-10 서울대학교병원 자가 통증 조절장치용 메인바디유닛 및 리저버유닛,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가 통증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8618A1 (en) 2003-04-02 2004-12-02 Osamu Tsukada Motorized infusion injection system
US20050177096A1 (en) * 2003-12-05 2005-08-11 Bollish Stephen J. Patient-controlled analgesia with pati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811A1 (ko) 2023-04-13
KR20230048852A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9491B1 (en) Data backfilling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US9996668B2 (en) Data backfilling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US11798671B2 (en) Network topology for insulin pump systems
US10376701B2 (en) Touch screen safety controls for clinician programmer
US8868794B2 (en) Application limitations for a med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host device
RU24694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медицинского уведомления
CN108289616B (zh) 使用人体通信发送/接收健康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100602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a non-medical client device is operating correctly with a medical device controlled by the non-medical client device and causing a notification to be generated
CN115699708A (zh) 用于自动使非医疗装置与医疗装置相关联的方法和系统
KR102590287B1 (ko)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098147B1 (ko) 인슐린펌프 연동 u-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US20240042218A1 (en) Implantable nerve stimulator system
KR102377823B1 (ko) 약물 주입을 제어하는 장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CN112735582A (zh) 一种植入式医疗设备快捷简便的随访系统及其随访方法
Bagot et al. A flexible architecture for mobile health monitoring
US20210204137A1 (en) Secure low power communications from a wireless medical device to multiple smartphones
US2019008836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ystem and a system
US12005234B2 (en) Backup notifications in a medical device system
US118065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mote therapy sessions
US20220301074A1 (en)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Real-time Status of Internet of Things (IoT) Biometric Acquisition Systems
US20230190099A1 (en) Method of managing monitoring data, probe assembly, management system of monitoring data
KR20200135016A (ko) 통증 데이터 로거 장치
TW201928861A (zh) 數位床頭卡系統
KR20150145816A (ko) 당뇨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