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242B1 -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 Google Patents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242B1
KR102590242B1 KR1020220018618A KR20220018618A KR102590242B1 KR 102590242 B1 KR102590242 B1 KR 102590242B1 KR 1020220018618 A KR1020220018618 A KR 1020220018618A KR 20220018618 A KR20220018618 A KR 20220018618A KR 102590242 B1 KR102590242 B1 KR 10259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ole
grip
hol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2228A (ko
Inventor
성다현
Original Assignee
성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다현 filed Critical 성다현
Priority to KR102022001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242B1/ko
Publication of KR2023012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45B1/04Walking sticks with means for hanging-up or with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가 개시된다.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는, 단부에 그립이 위치된 제1 폴대 및 제2 폴대를 포함하는 지팡이에 있어서, 제1 밴드 고정부재, 제2 밴드 고정부재, 단부가 제1 밴드 고정부재를 통과하여 제1 폴대를 감싸기 위한 제1 결합공을 형성하는 루프 형태의 제1 신축부, 단부가 제2 밴드 고정부재를 통과하여 제2 폴대를 감싸기 위한 제2 결합공을 형성하는 루프 형태의 제2 신축부를 포함하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walking stick capable of putting on the shoulder}
본 발명은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깨에 착용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지팡이는 걸을 때 몸을 지탱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만든 막대로써, 등산, 스포츠 경기 또는 환자의 보행 보조용 등과 같이 보행 중 사용자의 몸을 의지하거나 충격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폴대의 단부에 그립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폴대는 복수개의 마디로 구성되어, 서로 삽입 결합하여 연장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허문헌 1) KR 10-2115763 B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어깨에 착용하거나 거치할 수 있어 사용 중에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맞춤식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장, 체형 및 몸무게에 맞추어 착용될 수 있는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밴드를 폴대 또는 그립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면서, 심플한 구조를 갖는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밴드를 그립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심플한 구조를 갖는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밴드 존재로 인한 장애 및 불편 없이 지팡이의 손잡이부를 잡을 수 있는 어깨 착용이 가능하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는, 단부에 그립이 위치된 제1 폴대 및 제2 폴대를 포함하는 지팡이에 있어서, 제1 밴드 고정부재, 제2 밴드 고정부재, 및 단부가 상기 제1 밴드 고정부재를 통과하여 제1 폴대를 감싸기 위한 제1 결합공을 형성하는 루프 형태의 제1 신축부, 및 단부가 상기 제2 밴드 고정부재를 통과하여 제2 폴대를 감싸기 위한 제2 결합공을 형성하는 루프 형태의 제2 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대 또는 상기 2 폴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밴드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고, 신축된 후에 텐션이 작용하여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대의 그립 또는 상기 제2 폴대의 그립은, 상기 그립에 상기 밴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는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그립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며, 상기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밴드 수용홀, 및 상기 그립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밴드 수용홀과 연결되어, 상기 밴드를 상기 밴드 수용홀로 안내하기 위한 밴드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상기 폴대와의 결합 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타단부까지의 길이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폴대에 비대칭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상기 폴대와의 결합 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긴 부분이 손잡이부로 사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폴대와의 결합 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짧은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 고정부재 또는 상기 제2 밴드 고정부재는, 상기 밴드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 고정부재는, 상기 밴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폴대의 그립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1 신축부의 단부를 상기 제1 폴대의 그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밴드 고정부재는, 상기 밴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 폴대의 그립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2 신축부의 단부를 상기 제2 폴대의 그립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에 의하면, 밴드가 제1 신축부 및 제2 신축부로 형성되어 있어, 제1 신축부의 루프 및 제2 신축부의 루프에 각각 팔을 끼워 지팡이를 어깨에 착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팡이를 이용하여 보행 중에 지팡이를 별도로 거치하는 수고 없이 자유롭게 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밴드의 텐션으로 지팡이를 들어 올릴 때의 힘이 감소됨에 따라 지팡이가 보다 가볍게 느껴지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보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폴대의 길이가 조절되고, 밴드가 신축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신장, 체형 및 몸무게에 맞추어 맞춤식으로 착용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며,
밴드가 폴대를 감싸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밴드 고정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밴드를 폴대 또는 그립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어, 심플한 구조로 밴드 탈부착이 용이하고,
그립에 밴드 수용홀 및 밴드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어, 심플한 구조로 밴드를 그립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밴드가 그립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손잡이부는 고정부 타측에 형성되어 있어, 밴드 존재로 인한 장애 및 불편 없이 지팡이의 손잡이부를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가 분해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의 전체적인 형상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폴대의 길이가 조절된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의 전체적인 형상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일측면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은 도 3a에서 밴드가 탈착된 상태에서 그립의 일측면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평면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은 도 4a에서 밴드가 탈착된 상태에서 그립의 평면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에 밴드 고정부가 거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가 분해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의 전체적인 형상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폴대의 길이가 조절된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의 전체적인 형상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1)는, 제1 밴드 고정부재(10), 제2 밴드 고정부재(20), 제1 폴대(110), 제1 그립(120), 제2 폴대(210), 제2 그립(220) 및 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드 고정부재(10)는 밴드(30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드 고정부재(10)는 밴드(300)를 따라 이동하며, 제1 폴대(110)의 측면 또는 제1 그립(120)의 상부에 밀착되어, 밴드(300)의 단부를 제1 폴대(110) 또는 제1 그립(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밴드 고정부재(10)가 밴드(300)를 따라 도 2a의 제1 위치(10)에서 그립(120) 상부에 밀착된 도 2b의 제2 위치(10)로 이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밴드 고정부재(20)는 밴드(30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밴드 고정부재(20)는 밴드(300)를 따라 이동하며, 제2 폴대(210)의 측면 또는 제2 그립(220)의 상부에 밀착되어, 밴드(300)의 단부를 제2 폴대(210) 또는 제2 그립(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밴드 고정부재(20)가 밴드(300)를 따라 도 2a의 제1 위치(20)에서 그립(120) 상부에 밀착된 도 2b의 제2 위치(20)로 이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폴대(110)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게 제1 폴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폴대(110)는 복수의 마디(111 내지 112)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마디(111 내지 112)를 늘려 신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도 2a에서와 같이 제1 마디(111)를 제2 마디(112)에 삽입하여 길이를 축소할 수 있고, 반대로 도 2b에서와 같이 제1 마디(111)를 제2 마디(112)에서 빼내어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제1 마디(111)가 제2마디(112)에 삽입되고 고정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b에서 두개의 마디(111, 112)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마디 또는 그 이상의 마디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폴대(210)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게 제2 폴대(2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폴대(210)는 복수의 마디(211 내지 212)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마디(211 내지 212)를 늘려 신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제1 마디(211)를 제2 마디(212)에 삽입하여 길이를 축소할 수 있고, 반대로 제1 마디(211)를 제2 마디(212)에서 빼내어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제1 마디(211)가 제2마디(212)에 삽입되고 고정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b에서 두개의 마디(211, 212)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마디 또는 그 이상의 마디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120)은 제1 폴대(110)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폴대(110)와의 결합 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타단부까지의 길이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도록 제1 폴대(110)에 비대칭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그립(120)은 고정부(130) 및 손잡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제1 그립(120)에 밴드(300)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1 폴대(110)와의 결합 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짧은 부분일 수 있다. 손잡이부(140)는 제1 폴대(110)와의 결합 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긴 부분일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40)를 손으로 잡아서 본 발명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1)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그립(220)은 제2 폴대(210)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폴대(210)와의 결합 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타단부까지의 길이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도록 제2 폴대(210)에 비대칭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그립(220)은 고정부(230) 및 손잡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30)는 제2 그립(220)에 밴드(300)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2 폴대(210)와의 결합 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짧은 부분일 수 있다. 손잡이부(240)는 제2 폴대(210)와의 결합 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긴 부분일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40)를 손으로 잡아서 본 발명에 따른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일측면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은 도 3a에서 밴드가 탈착된 상태에서 그립의 일측면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평면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은 도 4a에서 밴드가 탈착된 상태에서 그립의 평면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고정부(130)는 밴드 수용홀(131) 및 밴드 가이드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 수용홀(131)은 제1 그립(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밴드(300)를 수용할 수 있다. 밴드 가이드홀(133)은 제1 그립(120)의 측면부에서 형성되고, 밴드 수용홀(131)과 연결되어, 밴드(300)를 밴드 수용홀(131)로 안내할 수 있다. 평면을 기준으로 밴드 가이드홀(133)의 폭이 밴드 수용홀(131)의 직경 또는 폭보다 좁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밴드(300)가 밴드 수용홀(131)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230)는 밴드 수용홀(231) 및 밴드 가이드홀(233)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 수용홀(231)은 제2 그립(220)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밴드(300)를 수용할 수 있다. 밴드 가이드홀(233)은 제2 그립(220)의 측면부에서 형성되고, 밴드 수용홀(231)과 연결되어, 밴드(300)를 밴드 수용홀(231)로 안내할 수 있다. 평면을 기준으로 밴드 가이드홀(233)의 폭이 밴드 수용홀(231)의 직경 또는 폭보다 좁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밴드(300)가 밴드 수용홀(231)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에 밴드 고정부가 거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밴드(300)는 제1 신축부(310) 및 제2 신축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고, 늘어난 후에 텐션이 작용하여 원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제1 신축부(310)는 루프 형태로, 단부가 제1 밴드 고정부재(10)를 통과하여 제1 폴대(110)를 감싸기 위한 제1 결합공(3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신축부(31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고, 늘어난 후에 텐션이 작용하여 복원될 수 있다. 제1 신축부(310)는 제1 밴드 고정부(10)의 관통홀(11)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밴드 고정부재(10)는 삽입된 제1 신축부(300)를 따라 이동하며, 제1 폴대(110)의 측면 또는 제1 그립(120)의 상부에 밀착되어, 제1 신축부(310)의 단부를 제1 폴대(110) 또는 제1 그립(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신축부(310)는 제1 그립(120)의 밴드 가이드홀(133)에 삽입되고 가이드되어 밴드 수용홀(131)에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신축부(310)의 제1 결합공(311)에 제1 폴대(110)를 끼워, 제1 결합공(311)이 제1 폴대(110)를 감싸게 하고, 제1 결합공(311)을 형성하는 제1 신축부(310) 부분을 밴드 수용홀(131)에 수용되게 한 후에, 제1 밴드 고정부(10)를 제1 그립(120) 상부로 이동시켜, 제1 신축부(310)의 단부를 제1 폴대(110)의 제1 그립(120)의 고정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신축부(320)는 루프 형태로, 단부가 제2 밴드 고정부재(20)를 통과하여 제2 폴대(210)를 감싸기 위한 제2 결합공(3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신축부(32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고, 늘어난 후에 텐션이 작용하여 복원될 수 있다. 제2 신축부(320)는 제2 밴드 고정부(20)의 관통홀(21)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밴드 고정부재(20)는 삽입된 제2 신축부(300)를 따라 이동하며, 제2 폴대(210)의 측면 또는 제2 그립(220)의 상부에 밀착되어, 제2 신축부(320)의 단부를 제2 폴대(210) 또는 제2 그립(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신축부(320)는 제2 그립(220)의 밴드 가이드홀(233)에 삽입되고 가이드되어 밴드 수용홀(231)에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신축부(320)의 제2 결합공(311)에 제2 폴대(210)를 끼워, 제2 결합공(311)이 제2 폴대(210)를 감싸게 하고, 제2 결합공(311)을 형성하는 제2 신축부(320) 부분을 밴드 수용홀(231)에 수용되게 한 후에, 제2 밴드 고정부(20)를 제2 그립(220) 상부로 이동시켜, 제2 신축부(320)의 단부를 제2 폴대(210)의 제2 그립(220)의 고정부(2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1 제1 밴드 고정부재 10
제2 밴드 고정부재 20 제1 폴대 110
제1 그립 120 제2 폴대 210
제2 그립 220 밴드 300

Claims (5)

  1. 단부에 그립이 위치된 제1 폴대 및 제2 폴대를 포함하는 지팡이에 있어서,
    제1 밴드 고정부재;
    제2 밴드 고정부재; 및
    단부가 상기 제1 밴드 고정부재를 통과하여 제1 폴대를 감싸기 위한 제1 결합공을 형성하는 루프 형태의 제1 신축부, 및 단부가 상기 제2 밴드 고정부재를 통과하여 제2 폴대를 감싸기 위한 제2 결합공을 형성하는 루프 형태의 제2 신축부를 포함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밴드 고정부재는,
    상기 밴드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축부가 상기 제1 밴드 고정부재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공 및 사용자의 팔이 끼워지기 위한 루프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신축부가 상기 제2 밴드 고정부재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결합공 및 상기 사용자의 다른 팔이 끼워지기 위한 루프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폴대의 그립은,
    상기 제1 폴대의 그립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며, 상기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밴드 수용홀; 및
    상기 제1 폴대의 그립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밴드 수용홀과 연결되어, 상기 밴드를 상기 밴드 수용홀로 안내하기 위한 밴드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공에 상기 제1 폴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축부가 상기 제1 폴대의 그립 내부로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밴드 가이드홀이 상기 그립 측면부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폴대의 그립은,
    상기 제1 폴대의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폴대와의 결합지점에서 일단부까지의 길이가 타단부까지의 길이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1 폴대에 비대칭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밴드 가이드홀은,
    상기 제1 폴대의 그립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밴드 수용홀은,
    상기 밴드 가이드홀 및 상기 결합지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결합공에 상기 제1 폴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축부가 상기 밴드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밴드 수용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폴대의 그립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밴드 고정부재가 상기 밴드를 따라 상기 제1 신축부의 단부로 이동하여 상기 밴드 수용홀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1 신축부가 상기 제1 폴대 및 상기 제1 폴대의 그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대의 그립은,
    상기 제2 폴대의 그립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며, 상기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밴드 수용홀; 및
    상기 제2 폴대의 그립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밴드 수용홀과 연결되어, 상기 밴드를 상기 밴드 수용홀로 안내하기 위한 밴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18618A 2022-02-14 2022-02-14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KR10259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618A KR102590242B1 (ko) 2022-02-14 2022-02-14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618A KR102590242B1 (ko) 2022-02-14 2022-02-14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228A KR20230122228A (ko) 2023-08-22
KR102590242B1 true KR102590242B1 (ko) 2023-10-16

Family

ID=87799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618A KR102590242B1 (ko) 2022-02-14 2022-02-14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2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110A (ja) * 2002-02-27 2003-09-02 Akiko Katsuyama 杖用補助具
JP2013244305A (ja) * 2012-05-29 2013-12-09 Jeh-Kun Lha 折畳み式杖
FR3026295A1 (fr) * 2014-09-29 2016-04-01 Axelle Justine Anais Bertrand Bretelles souples de maintien de bequil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110A (ja) * 2002-02-27 2003-09-02 Akiko Katsuyama 杖用補助具
JP2013244305A (ja) * 2012-05-29 2013-12-09 Jeh-Kun Lha 折畳み式杖
FR3026295A1 (fr) * 2014-09-29 2016-04-01 Axelle Justine Anais Bertrand Bretelles souples de maintien de bequil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228A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4076A (en) Wristwatch radiotelephone
KR102063257B1 (ko)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 가능한 의복형 착용 로봇 및 무릎 근력 보조를 위한 의복형 착용 로봇
US20060117450A1 (en) Headcover and goggle
US4783164A (en) Adjustable retaining strap for eyeglasses
KR102590242B1 (ko) 어깨 착용이 가능한 지팡이
US6988999B1 (en) Knee pad assembly having an upper pad and a lower pad separately connected to the upper pad to avoid movement impedence to the patella
AU2017272967B2 (en) Hand paddle for swimming to which the distal portion of a user's arm is intended to be attached
KR101316428B1 (ko) 파워 워킹 보조기
KR200164306Y1 (ko) 골프채의 그립
KR102105279B1 (ko) 신체밸런스 교정을 위한 기능성 줄넘기
KR101086273B1 (ko) 등산용 보행보조구
KR200287206Y1 (ko) 체력단련용 밴드
KR200460619Y1 (ko) 등산용 보조 기구
KR200495833Y1 (ko) 볼링 손목보호대에 결합되는 손가락 각도 유지부재
KR101670436B1 (ko) 골프용 장갑
CN215936564U (zh) 一种具有减负功能的背包
KR102077956B1 (ko) 길이 조절이 되는 장갑
JP6923124B1 (ja) 姿勢誘導用具
CN105636559A (zh) 拇指矫形器
CN215270964U (zh) 一种结构改良的杖体
KR200488604Y1 (ko)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
KR102643475B1 (ko) 우산홀더
US20240115017A1 (en) Breakaway pole strap
JP2002136315A (ja) ポール
CN110584876B (zh) 一款可折叠的按摩眼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