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212B1 -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212B1
KR102590212B1 KR1020220083233A KR20220083233A KR102590212B1 KR 102590212 B1 KR102590212 B1 KR 102590212B1 KR 1020220083233 A KR1020220083233 A KR 1020220083233A KR 20220083233 A KR20220083233 A KR 20220083233A KR 102590212 B1 KR102590212 B1 KR 10259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harging
vehicle charging
user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원
Original Assignee
에바씨엔피(주)
곽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바씨엔피(주), 곽동원 filed Critical 에바씨엔피(주)
Priority to KR102022008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통해 충전수행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 내역 정보 수집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제 대행사 서버로 충전 내역에 따른 전기차 충전 대금의 비용 처리를 요청하는 비용 처리부 및 상기 비용 처리부에서의 비용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공동주택 내 충전기를 이용해 전기차 충전을 하더라도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하여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for Electric car charg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통해 충전수행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충전 대금의 비용 처리를 요청하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 세계 모빌리티 시장이 각 국가의 탄소 저감 목표 정책에 의해 급변하고 있다. 기존의 내연 기관 자동차를 대신하여 친환경차 시장이 매년 약 4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정부는 2025년 신차 판매의 약 51%, 2035년 신차 판매의 약 83%를 친환경차가 차지하도록 목표하고 있으며 차량 구입 보조금 지원 등을 통해 친환경차 구입을 장려하고 있다.
전기차의 보편화가 급물살을 타고있는 실정에서 관계 법령에 의해 전기차 충전시설의 설치 또한 빠르게 규격화되고 법제화되고 있다.
한국 에너지 정보센터에 따르면 현재 운행 경험자가 꼽은 전기차의 단점으로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이 있는데, 그에 따라 전기차 충전 시설이 더 많이 확대 됐으면 하는 장소로 아파트단지 및 주거시설을 선호한다. 실제로 전기차 이용자 충전 장소의 49%가 충전을 아파트나 오피스텔 같은 공동주택에서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정부에서도 새 아파트는 총 주차 대수의 5%, 이미 지어진 아파트는 2% 이상 규모로 전기차 충전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다수의 전기차 이용자들의 주요 충전장소는 자택이다. 공동 주택 내 설치된 충전 시설의 경우에 각 세대별 충전비용이 공동주택 관리비로 통합 청구된다. 그러나 전기차 충전비용이 공동주택 관리비로 합산되어 일괄 청구되는 경우, 전기차 이용자들이 충전 비용과 차량 관리 비용 할인 등의 신용카드 할인 혜택 등 금융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공동주택 관리비로 청구되는 전기차 충전비용의 분리 과금이 어려운 이유는 빌트인 설치가 된 신축 건물을 제외한 구옥의 경우, 전기차 충전기에 별도의 전기 공급량의 측정이 어렵고, 분리 과금시 사용량을 자가체크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다는 점이다. 위탁 운영시 충전 사업자의 청구 내역을 검증할 수 없고, 자체 운영시 입대위 또는 관리사무소에서 실사용량을 트레킹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신용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요금 할인 상품의 경우, 공동주택 관리비로 청구되는 전기차 충전 과금 부분을 분리할 수 있는 기준과 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며, 전기차 이용자들은 유지관리비용에 관련된 매우 높은 비용 민감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전기차 이용에 따른 일상적 불편함을 구입비용 정부 보조금이나 낮은 유지관리 비용 등 금전적 인센티브로 치환하기 때문이다.
KR 10-1222705 B1 KR 10-1180806 B1 KR 10-2020-0058034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공동주택 내 충전기를 이용해 전기차 충전을 하더라도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하여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 내역 정보 수집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제 대행사 서버로 충전 내역에 따른 전기차 충전 대금의 비용 처리를 요청하는 비용 처리부 및 상기 비용 처리부에서의 비용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한다.
한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 내역 정보 수집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제 대행사 서버로 충전 내역에 따른 전기차 충전 대금의 비용 처리를 요청하는 비용 처리 단계 및 비용 처리 단계에서의 비용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결과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 내 충전기를 이용해 전기차 충전을 하더라도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하여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서비스 이용자가 기존과 동일하게 공동주택 내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더라도 공동주택 관리비와 분리된 전기차 충전비용을 전자 고지서 형태로 발급하여 제공하고, 신용결제가 가능하도록 결제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이용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대금에 대한 이벤트 참여 또는 할인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국내 전기차 충전 사업자의 회원 DB를 통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전기차 충전 운영사의 종류에 상관없이 이용자의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이용자의 월간 사용 금액 청구, 결제 요청, 결제 승인, 수수료 안배까지 과정을 위해 서비스 서버(10)와 결제 대행사 서버(40), 카드사 서버(50),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를 연동시켜 서비스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실시간으로 송금/정산 상황을 파악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 간 데이터 흐름을 설명한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과 서비스 서버(10) 간에 통신 내역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 단말(20)이 전기차 충전을 수행하면서 서비스 서버(10)로 분리 과금을 신청한다(①). 그러면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 충전카드 전자화와 동시에 분리 과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②).
이때 사용자 단말(20)은 서비스 서버(10)로 예를 들어 월 단위로 분리 과금된 충전 대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할 수 있다(③).
그리고 사용자 단말(20)과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 서비스 서버(10) 간 데이터 통신 내역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로 전기차 충전 단말 장치 통해 공동주택 후불 결제 서비스에 따른 충전 요청이 수신되면(④),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는 전기차 충전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허용한다(⑤).
이때 서비스 서버(10)에 분리 과금 서비스 신청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은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로 공동주택 후불 결제 충전 요청을 할 수 있다.
이후에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는 서비스 서버(10)로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 정보를 제공한다(⑥). 그리고 서비스 서버(10)는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로 충전 대금 지급 처리를 수행한다(⑦).
한편, 사용자 단말(20)과 카드사 서버(50), 결제 대행사 서버(40) 및 서비스 서버(10)간 데이터 통신 내역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 단말(20)이 카드사 서버(50)로 대금 결제를 요청한다(⑧). 그리고 카드사 서버(50)는 결제 대행사 서버(40)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10)로 수수료 외 대금 지급을 처리한다(⑨,⑩). 즉 카드사 서버(50)가 결제 대행사 서버(40)로 수수료를 제외한 대금 지급을 수행하면 결제 대행사 서버(40)는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서비스 서버(10)로 지급한다.
이후에 서비스 서버(10)는 결제 대행사 서버(40)로 자동차 충전 분리 과금 금액에 대한 결제승인을 요청한다(⑪). 결제 대행사 서버(40)는 거래 정보 및 승인 요청을 위한 지급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VAN 사를 통해 신용 카드 등의 각종 본인확인(공인인증)절차를 확인한 후 카드사 서버(50)로 승인 요청한다.
결제 대행사 서버(40)는 전술한 승인 절차를 거친 후에 카드사 서버(50)로 전표매입 내역을 만들어서 전달한다(⑫). 이때 카드사 서버(50)는 결제 대행사 서버(40)로부터 공동주택 충전 대금에 대해 기설정된 할인 적용이 된 금액만큼 지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청구된 자동차 충전 분리 과금 금액에 할인 적용할 수 있다(⑬).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서비스 서버(10)가 통신부(110), 충전 내역 정보 수집부(120), 비용 처리부(130), 결과 제공부(140) 및 정보 제공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카드사 서버(50),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 결제 대행사 서버(40) 중 하나일 수 있다.
충전 내역 정보 수집부(120)는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내역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전기차 식별 정보, 또는 공동주택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집주소나 미리 전기차 충전 서비스 앱 등을 통해 서비스 가입시에 인증받은 인증번호 또는 아이디 정보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및 전기차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들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내역 정보 수집부(120)는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통해 전기차 충전을 수행하고, 공동 관리비와 전기차 충전 비용의 분리과금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추가로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기차 충전 비용의 결제 요청을 더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등록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추가적으로 결제 수단 정보를 더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서 구동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회원 등록 및 결제수단 등록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전용 앱은 결제 수단의 추가, 삭제, 편집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1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한 사용자의 고객 정보와 해당 고객이 등록한 결제 수단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결제 수단 정보는 전기 자동차 충전 서비스 전용 앱 자체에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일 수도 있고, 별도로 사용자가 입력한 신용카드 정보나 계좌 정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결제 수단은 종류나 방법에 제한 없이 전기 자동차 충전 대금을 납부할 수 있는 모든 포맷의 결제 수단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전기차 사용자의 충전 결제 관련 편의성 증대를 위해 충전 사업자 간 각기 다른 회원 카드를 별도의 충전 부과금 없이 모두 통합하여 기존 로밍 서비스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충전소의 위치, 충전가능 여부, 이용자 간 커뮤니티 등 전기차 이용에 필요한 서비스를 모두 담은 온디맨드(On-Demand) 솔루션을 넘어 All in one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의 소지자인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를 신청하면,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가 등록한 카드의 카드사 서버(50)와 고객 정보를 더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10)는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와 회원 정보를 공유한다.
비용 처리부(13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20)을 소지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제 대행사 서버(40)로 충전 내역에 따른 전기차 충전 대금의 비용 처리를 요청한다.
결제 대행사 서버(40)는 결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PG(Payment Gateway)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비용 처리부(130)는 NFC 통신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0)에 탑재된 충전 서비스 결제 수단 정보를 읽어들이는 충전 단말 장치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실물 회원카드를 NFC 통신 방식으로 읽어들여서 결제 수단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비용 처리부(13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결제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결제 대행사 서버(40)로 결제 승인 요청을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용 처리부(130)는 기존의 기발급 회원 카드를 통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NFC통신 기반 Host Card Emulation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비용 처리부(130)는 자체 표준카드규격 KSX 6924을 적용하여 결제 수단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이용자들은 회원 카드를 무료로 전자지갑화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인 멤버십 발급 절차를 통해 기존에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충전소 사업자들도 추가 요금 지불 없이 회원가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10)가 NFC 통신 기반 선불 교통카드 방식의 전기차 충전 멤버십 코드가 암호화되어 저장된 PLCC(상업자표시전용카드)를 발급하고, 비용 처리부(130)는 PLCC 카드를 결제 수단으로 인식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국 어디서나 충전기 종류에 상관없이 회원가 충전이 가능해진다.
비용 처리부(130)는 신용카드, 계좌이체, 핸드폰, 에스크로(조건부 양도증서) 가상계좌 등의 결제 수단의 비용 처리를 모두 수행하도록 해석되며, 이때 결제 대행사 서버(40)는 온라인거래를 하면서 결제를 지원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결제 대행사 서버(40)는 카드사 서버(50)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전기차 충전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대금을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30)로 지급한다. 결제 대행사 서버(40)는 전기차 충전 사업자인 가맹점들에게 편리한 결제의 기반을 제공하며, 소비자인 사용자에게는 안심하고 지불할 수 있는 전자결제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카드사 서버(50)는 결제 대행사 서버(40)로부터 결제 요청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고,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해 기약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비용 처리한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별도 분리 과금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신용카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결과 제공부(140)는 비용 처리부(130)에서의 비용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해준다. 이때 결과 제공부(140)는 실시간으로 비용 결제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주 단위 또는 월 단위로 취합하여 비용 처리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정보 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전기차 충전 이력 정보 및 충전에 의한 과금 예상액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150)는 충전에 의한 과금 예상액 정보를 일정 주기단위로 산출하여 제공한다. 정보 제공부(150)는 사용자의 월간 전기차 충전 사용금액 청구 내역, 결제요청, 결제승인, 수수료안배까지의 과정을 PG사-카드사-충전사업자들을 서비스 서버(10)에 연동시킴으로써 실시간으로 송금/정산 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부(150)는 월별로 과금 예상액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이때 분리 과금 서비스에 가입된 충전 단말별 충전 시각 정보를 함께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20), 결제 대행사 서버(40) 그리고 카드사 서버(50) 간에 결제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결제 대행사 서버(40), 카드사 서버(50)에 지급되는 발생 수수료 정보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0)로 알림 메시지 형태 또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제공해줄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내역 정보를 수신한다(S4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전기차 식별 정보, 또는 공동주택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집주소나 미리 서비스 가입시에 인증받은 인증번호 또는 아이디 정보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및 전기차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들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내역 정보 수집 단계는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통해 전기차 충전을 수행하고, 공동 관리비와 전기차 충전 비용의 분리과금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등록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추가적으로 결제 수단 정보를 더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회원 등록 및 결제수단 등록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전용 앱은 결제 수단의 추가, 삭제, 편집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전기 자동차 충전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한 사용자의 고객 정보와 해당 고객이 등록한 결제 수단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결제 수단 정보는 전기 자동차 충전 서비스 전용 앱 자체에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일 수도 있고, 별도로 사용자가 입력한 신용카드 정보나 계좌 정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결제 수단은 종류나 방법에 제한없이 전기 자동차 충전 대금을 납부할 수 있는 모든 포맷의 결제 수단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전기차 이용자의 충전 결제 관련 편의성 증대를 위해 충전 사업자 간 각기 다른 회원 카드를 별도의 충전 부과금 없이 모두 통합하여 기존 로밍 서비스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충전소의 위치, 충전가능 여부, 이용자 간 커뮤니티 등 전기차 이용에 필요한 서비스를 모두 담은 온디맨드(On-Demand) 솔루션을 넘어 All in one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소지자인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를 신청하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등록한 카드의 카드사 서버와 고객 정보를 더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는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와 회원 정보를 공유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S410),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420) 결제 대행사 서버로 충전 내역에 따른 전기차 충전 대금의 비용 처리를 요청한다(S430).
비용 처리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제 대행사 서버로 충전 내역에 따른 전기차 충전 대금의 비용 처리를 요청한다.
이때 비용 처리부는 NFC 통신방식으로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충전 서비스 결제 수단 정보를 읽어들이는 충전 단말 장치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실물 회원카드를 NFC 통신 방식으로 읽어들여서 결제 수단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비용 처리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결제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결제 대행사 서버로 결제 승인 요청을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용 처리 단계는 기존의 기발급 회원 카드를 통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NFC통신 기반 Host Card Emulation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비용 처리 단계는 자체 표준카드규격 KSX 6924을 적용하여 결제 수단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이용자들은 회원 카드를 무료로 전자지갑화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인 멤버십 발급 절차를 통해 기존에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충전소 사업자들도 추가 요금 지불없이 회원가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가 NFC 통신 기반 선불 교통카드 방식의 전기차 충전 멤버십 코드가 암호화되어 저장된 PLCC(상업자표시전용카드)를 발급하고, 비용 처리 단계는 PLCC 카드를 결제 수단으로 인식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국 어디서나 충전기 종류에 상관없이 회원가 충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비용 처리 단계에서의 비용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준다(S44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비용 처리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결제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결제 대행사 서버로 결제 승인 요청을 전달하고, 결제 대행사 서버는 카드사 서버와 연동하여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대금을 충전 사업자 서버로 지급한다.
이때 카드사 서버는 결제 대행사 서버로부터 결제 요청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해 기약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비용 처리한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별도 분리 과금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신용카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전기차 충전 이력 정보 및 충전에 의한 과금 예상액 정보를 제공한다(S450).
일 양상에 있어서, 정보 제공 단계는, 충전에 의한 과금 예상액 정보를 일정 주기단위로 산출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1개월 단위로 한 달치 과금 예상액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보 제공 단계는, 사용자 단말, 결제 대행사 서버, 카드사 서버 간에 결제 승인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결제 대행사 서버, 카드사 서버에 지급되는 발생 수수료 정보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서비스 서버 20 : 사용자 단말
30 :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 40 : 결제 대행사 서버
110 : 통신부 120 : 충전 내역 정보 수집부
130 : 비용 처리부 140 : 결과 제공부
150 : 정보 제공부

Claims (10)

  1.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 내역 정보 수집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제 대행사 서버로 충전 내역에 따른 전기차 충전 대금의 비용 처리를 요청하는 비용 처리부;
    상기 비용 처리부에서의 비용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결과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전기차 충전 이력 정보 및 충전에 의한 과금 예상액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동주택 내 충전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더라도 공동주택 관리비와 분리된 전기차 충전 비용을 전자 고지서 형태로 발급하여 제공하고, 신용결제가 가능하도록 결제처리를 수행하며, 기존의 기발급 회원 카드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NFC 통신 기반 Host Card Emulation 기술을 제공하며, 자체 표준카드규격인 KSX 6924를 적용하여 결제 수단을 인식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전기차 충전 운영사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공동주택에 구비된 충전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 내역 정보 수집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전기차 충전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된 후불 결제 승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제 대행사 서버로 충전 내역에 따른 전기차 충전 대금의 비용 처리를 요청하는 비용 처리 단계;
    상기 비용 처리 단계에서의 비용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결과 제공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전기차 충전 이력 정보 및 충전에 의한 과금 예상액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 처리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동주택 내 충전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더라도 공동주택 관리비와 분리된 전기차 충전 비용을 전자 고지서 형태로 발급하여 제공하고, 신용결제가 가능하도록 결제처리를 수행하며, 기존의 기발급 회원 카드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NFC 통신 기반 Host Card Emulation 기술을 제공하며, 자체 표준카드규격인 KSX 6924를 적용하여 결제 수단을 인식하며,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전기차 충전 운영사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83233A 2022-07-06 2022-07-06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59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233A KR102590212B1 (ko) 2022-07-06 2022-07-06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233A KR102590212B1 (ko) 2022-07-06 2022-07-06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212B1 true KR102590212B1 (ko) 2023-10-17

Family

ID=8855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233A KR102590212B1 (ko) 2022-07-06 2022-07-06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2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806B1 (ko) 2011-01-31 2012-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능형 전기자동차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3139A (ko) * 2011-04-04 2012-10-12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KR101222705B1 (ko) 2011-01-06 2013-01-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규모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의 자동차 충전을 위한 동적 우선순위 부여 방법
KR20130015373A (ko) * 2011-08-03 2013-02-14 최현하 공용 전기자동차 충전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8034A (ko) 2018-11-19 2020-05-27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36498A (ko) * 2020-05-08 2021-11-17 (주)다우티이씨 예상 전기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705B1 (ko) 2011-01-06 2013-01-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규모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의 자동차 충전을 위한 동적 우선순위 부여 방법
KR101180806B1 (ko) 2011-01-31 2012-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능형 전기자동차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3139A (ko) * 2011-04-04 2012-10-12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KR20130015373A (ko) * 2011-08-03 2013-02-14 최현하 공용 전기자동차 충전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8034A (ko) 2018-11-19 2020-05-27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36498A (ko) * 2020-05-08 2021-11-17 (주)다우티이씨 예상 전기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990B2 (en) System for managing electric energy grid-vehicle exchange devices
US20220084348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ost definable pricing
TWI582722B (zh) The use of smart cars in the service point to pay the system and methods
KR101556947B1 (ko) 주차장 관리 방법,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US78858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horization of and payment for electric charging of vehicles
US9396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illing for electric vehicles
KR10123379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US20120116955A1 (en) Charging purchases to utility accounts
EP2562729A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when charging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EP2626842A1 (en) Plug-i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 vending machine payment options
US20130046660A1 (en) Taxable Fringe Benefit Accounting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ervice
AU2012100463B4 (en) Renewable resourc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KR20110129511A (ko) 전기자동차 사용의 편리성을 지원하는 충전 인프라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19113957A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KR20120075530A (ko) 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자동차, 연료전지차, 모터사이클 전기 및 연료 판매 및 지불/결제 정비 및 보험 정보화 시스템
CN114004609A (zh) Etc停车收费管理系统及方法
US201200894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Fueling Solution for Electric Vehicle Owners
CN111242623A (zh) 车辆收费管理方法、设备及系统
KR102590212B1 (ko) 공동주택에서 발생된 전기차 충전 대금의 분리 과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06740A (ko) 사용자 단말,중앙 서버 및 이들에 의한 요금 결제 방법
CN113657946B (zh) 一种停车用户领券商家优惠券抵扣结算方法
KR20210079572A (ko) 전기차용 결제 중계 시스템
KR102593481B1 (ko) 전기차 충전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ovačević et al. Implementation of Billing System at Electrical Vehicle Charging Stations in Elektroprivreda BiH
Delnooz et al. Identification of Market Models and Associated Billing Strategies for the Provision of EV Charging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