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098B1 -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098B1
KR102590098B1 KR1020230053063A KR20230053063A KR102590098B1 KR 102590098 B1 KR102590098 B1 KR 102590098B1 KR 1020230053063 A KR1020230053063 A KR 1020230053063A KR 20230053063 A KR20230053063 A KR 20230053063A KR 102590098 B1 KR102590098 B1 KR 102590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support
primary
recovery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경민
김여진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쓰리에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에이씨 filed Critical (주)쓰리에이씨
Priority to KR102023005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0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0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1Mak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린룸에 사용되는 케미컬 필터, 자동차의 에어컨에 사용되는 콤비네이션 필터 등과 같은 필터류를 제조하는 설비에서 지지체 상에 핫멜트를 도포하고 그 위에 흡착제를 접착할 때 접착되지 못하고 들떠있는 흡착제를 제거한 후에 이를 재접착 및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팅 설비에서 에어 블로잉(Air blowing) 및/또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을 이용하여 지지체 상의 미접착 흡착제를 적절히 털어낸 후에 이를 회수하는 새로운 형태의 흡착제 회수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지지체 상에 안정적인 흡착제 도포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제품의 수율 향상과 더불어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미접착 흡착제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등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hot melt to a support in a facility that manufactures filters such as chemical filters used in clean rooms and combination filters used in automobile air conditioners and attaches the adsorbent on it, after removing the unadhered adsorbent. It relates to a device for reattachment and recovery.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new type of adsorbent recovery device that recovers the unadhered adsorbent on the support after appropriately shaking it off using air blowing and/or a vibrator in a laminating facility for filter manufacturing, Recovery of non-adhesive adsorbents from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as it is possible to maintain stable adsorbent application on the support, improving product yield and securing product quality, and non-adhesive adsorbents can be recovered and reused. Provides a device.

Description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Unattached adsorbent recovery device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크린룸에 사용되는 케미컬 필터, 자동차의 에어컨에 사용되는 콤비네이션 필터 등과 같은 필터류를 제조하는 설비에서 지지체 상에 핫멜트를 도포하고 그 위에 흡착제를 접착할 때 접착되지 못하고 들떠있는 흡착제를 제거한 후에 이를 재접착 및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hot melt to a support in a facility that manufactures filters such as chemical filters used in clean rooms and combination filters used in automobile air conditioners and attaches the adsorbent on it, after removing the unadhered adsorbent. It relates to a device for reattachment and recovery.

일반적으로 케미컬 필터는 반도체, LCD 등 초정밀 제조공정, 악취 및 유해가스 발생 산업현장, 병원, 박물관, 공공기관 등 청정환경을 요구하는 분야에 사용된다.Generally, chemical filters are used in fields that require a clean environment, such as ultra-precision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semiconductors and LCDs, industrial sites that generate odors and harmful gases, hospitals, museums, and public institutions.

이러한 케미컬 필터는 공정이나 환경 하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각종 화학 오염물질(유기, 염기, 산성가스 등)을 제거하여 미세한 생산공정이 필요한 공장의 제품 수율 향상에 도움을 주고, 또한 공기의 질을 개선하여 인체의 유해함을 방지한다. These chemical filters help improve product yield in factories that require fine production processes by removing various chemical contaminants (organic, base, acidic gases, etc.) that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rocess or environment, and also improve air quality. Prevents harm to the human body.

보통 케미컬 필터는 부직포 등의 지지체 사이에서 핫멜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흡착제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Usually, chemical filters are composed of a single-layer or multi-layer adsorbent bonded by hot melt between supports such as non-woven fabric.

이와 같은 케미컬 필터의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팅 설비는 지지체 공급 및 필터 회수를 위한 언와인더 및 리와인더, 핫멜트 도포를 위한 핫멜트 스프레이, 흡착제 도포를 위한 스케터(Scatter), 흡착제 압착을 위한 히터롤 등을 포함하며, 핫멜트 스프레이→흡착제 도포→압착 및 흡착제 회수의 방법 또는 핫멜트 웹→흡착제 도포→히터롤 압착의 방법으로 라미네이팅 공정이 실시된다. Laminating equipment for manufacturing such chemical filters includes an unwinder and rewinder for support supply and filter recovery, a hot melt spray for hot melt application, a scatterer for adsorbent application, and a heater roll for adsorbent compression. The laminat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hot melt spray → adsorbent application → compression and adsorbent recovery, or hot melt web → adsorbent application → heater roll compression.

현재 케미컬 필터의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팅 설비의 경우 제품의 수율, 제품의 품질 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로서, 지지체에 흡착제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기술, 지지체 상에 미처 부착되지 못한 흡착제를 회수하는 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Currently, in the case of laminating equipment for the manufacture of chemical filters, it is a technology to secure product yield and product quality, including technology to firmly attach the adsorbent to the support, technology to recover the adsorbent that has not yet attached to the support, etc. Research is actively progressing.

본 발명은 케미컬 필터, 콤비네이션 필터 등과 같은 필터류의 제조 시 지지체 상에 접착되지 못한 흡착제를 적절히 털어내서 회수하는 흡착제 회수장치를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sorbent recovery device that properly shakes off and recovers adsorbent that has not adhered to the support when manufacturing filters such as chemical filters, combination filters, etc.

등록특허공보 제10-1179475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79475 등록특허공보 제10-0744694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44694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필터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팅 설비에서 에어 블로잉(Air blowing) 및/또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을 이용하여 지지체 상의 미접착 흡착제를 적절히 털어낸 후에 이를 회수하는 새로운 형태의 흡착제 회수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지지체 상에 안정적인 흡착제 도포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제품의 수율 향상과 더불어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미접착 흡착제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등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with this in mind, and the unadhered adsorbent on the support is properly removed using air blowing and/or a vibrator in a laminating facility for filter production.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adsorbent recovery device,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 yield and secure product quality by maintaining a stable adsorbent application state on the support, and non-adhesive adsorbents can be recovered and reus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tha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는 핫멜트와 흡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지지체 상에서 미접착되어 있는 흡착제를 제거하여 재접착 및 회수하는 흡착제 회수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제 회수 파트는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정상 궤적에서 위쪽으로 꺽인 후 뒤집어진 상태로 상부 궤적을 따라 진행하다가 재차 아래쪽으로 꺽힌 후 정상 궤적으로 복귀하는 진행 구간을 가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 궤적에서 뒤집어진 상태로 진행하는 구간에 설치되어 지지체 상에 미접착되어 있는 흡착제를 제거하는 흡착제 제거부와, 상기 흡착제 제거부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흡착제 제거부에 의해 제거되면서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흡착제를 모아주는 흡착제 회수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es an adsorbent recovery part that removes, re-adheres, and recovers the unadhered adsorbent on the support on which the hot melt and adsorbent are applied, and the adsorbent recovery par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A support having a progress section that bends upward on the normal trajectory and proceeds along the upper trajectory in an inverted state while being guided by the support, and then bends downward again and returns to the normal trajectory, and proceeds in an inverted state on the upper trajectory of the support. It consists of an adsorbent removal unit installed in the section to remove the adsorbent that is not adhered to the support, and an adsorbent recovery fan installed below the adsorbent removal unit to collect the adsorbent that falls downward as it is removed by the adsorbent removal unit. It is a characteristic.

여기서, 상기 흡착제 제거부는 지지체측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의 압력으로 미접착 흡착제를 불어내는 에어 블로어 또는 지지체측에 진동을 가해서 진동력으로 미접착 흡착제를 털어내는 회수 파트 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adsorbent removal unit may be comprised of an air blower that sprays air toward the support and blows out the non-adherent adsorbent using the pressure of the air, or a recovery part vibrator that applies vibration to the support and shakes off the non-adherent adsorbent with vibration force.

그리고, 상기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는 지지체의 출입을 위한 한쪽의 지지체 입구 및 반대쪽의 지지체 출구, 그리고 흡착제의 배출을 위한 아래쪽의 흡착제 배출구를 가지면서 흡착제 제거부의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로 설치되는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has a support inlet on one sid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support, a support outlet on the other side, and a lower adsorbent outlet for discharging the adsorbent, and ha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adsorbent removal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chamber installed as a.

이때, 상기 지지체의 상부 궤적에서 뒤집어진 상태로 진행하는 구간은 상부 궤적 전(前) 지지체의 정상 궤적을 따라 진행하는 구간의 위쪽으로 중복됨으로써, 흡착제 제거부에 의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흡착제는 상부 궤적 전(前) 지지체 상에 재차 접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tion that progresses in an inverted state in the upper trajectory of the support overlaps above the section that proceeds along the normal trajectory of the support before the upper trajectory, so that the adsorbent falling downward by the adsorbent removal unit moves before the upper trajectory. (Previously) Can be re-adhered onto the support.

이러한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는 흡착제 제거부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흡착제 제거부로 미접착 흡착제를 제거하기에 앞서 지지체 상에 도포되어 있는 흡착제를 눌러주는 가압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흡착제 회수팬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흡착제 회수팬에 모인 흡착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석션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is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roll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adsorbent removal unit to press the adsorbent applied on the support before removing the non-adherent adsorbent to the adsorbent removal unit. , It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ipe that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adsorbent recovery fan and recovers the adsorbent collected in the adsorbent recovery fan by suc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제조설비의 흡착제 접착장치는 라인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면서 1차 지지체의 공급과 회수, 그리고 이송을 위한 1차 언와인더 및 1차 리와인더와, 상기 1차 언와인더와 1차 리와인더 사이에서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1차 지지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핫멜트와 흡착제를 각각 도포하는 1차 핫멜트 스프레이 및 1차 스케터 파트와, 라인의 후단부 상부에 배치되면서 2차 지지체의 공급을 위한 2차 언와인더와, 상기 2차 언와인더와 1차 리와인더 사이에 역방향 워킹 플로우 및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2차 지지체의 역방향 워킹 플로우 구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핫멜트와 흡착제를 각각 도포하는 2차 핫멜트 스프레이 및 2차 스케터 파트와, 상기 1차 지지체 및 2차 지지체의 정방향 워킹 플로우 구간에 배치되어 핫멜트 및 흡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위아래 2차 지지체 및 1차 지지체를 압착시키는 프레스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dsorbent adhesion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is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ine, respectively, and includes a primary unwinder and a primary rewinder for supply, recovery, and transfer of the primary support, and the primary The primary hot melt spray and primary scatter parts are placed on top of the primary support that progresses along the forward working flow between the unwinder and the primary rewinder and apply the hot melt and adsorbent respectively, and are placed at the upper end of the line. A secondary unwinder for supplying the secondary support is plac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verse working flow section of the secondary support, which proceeds along the reverse working flow and the forward working flow between the secondary unwinder and the first rewinder. secondary hot melt spray and secondary scatter parts that apply hot melt and adsorbent, respectively, and upper and lower secondary supports and primary parts disposed in the forward working flow section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upports and onto which hot melt and adsorbent are applied. It may include a press roller that compresses the support.

따라서, 상기 1차 지지체는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동시에 2차 지지체는 역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된 후, 1차 지지체의 상부에 적층된 상태로 이와 함께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imary support may proceed along a forward working flow, while the secondary support may proceed along a reverse working flow, and then proceed along the forward working flow while being stacked on top of the primary support.

그리고, 상기 필터제조설비의 흡착제 접착장치는 라인의 후단부 상부에 배치되면서 보호용 부직포를 공급하기 위한 3차 언와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3차 언와인더에서 공급되는 보호용 부직포는 역방향 워킹 플로우 및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면서 2차 지지체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sorbent adhesion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may further include a tertiary unwinder for supplying protective nonwoven fabric while being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line. Accordingly, the protective nonwoven fabric supplied from the tertiary unwinder is It can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ary support while proceeding along the reverse working flow and the forward working flow.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에어 블로잉(Air blowing),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을 이용하여 지지체 상의 미접착 흡착제를 적절히 털어내고, 이렇게 털어낸 흡착제를 재차 지지체 상에 도포하여 접착함과 더불어 나머지 흡착제를 회수하는 새로운 흡착제 회수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지지체 상에 안정적인 흡착제 도포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제품의 수율 향상과 더불어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미접착 흡착제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등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First, the unadhered adsorbent on the support is appropriately shaken off using air blowing, a vibrator, etc., and the shaken off adsorbent is applied again on the support to bond it and recover the remaining adsorbent. By applying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adsorbent application state on the support, thereby improving product yield and ensuring product quality, and the non-adhered adsorbent can be recovered and reused, which has an advantageous effect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

둘째, 소정의 공간을 조성하는 챔버의 내부에서 에어 블로잉이나 바이브레이터로 미접착 흡착제를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지지체로부터 제거되는 미접착 흡착제를 주변으로 흩날리지 않도록 하면서 아래쪽의 지지체 상에 집중적으로 떨어뜨려 재부착 또는 회수할 수 있는 등 흡착제의 낭비를 막고 흡착제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carrying out the process of removing the non-adherent adsorbent by air blowing or a vibrator inside the chamber creating a predetermined space, the non-adherent adsorbent removed from the support is concentrated on the support below while preventing it from scattering to the surrounding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waste of adsorbent and increasing the recycling rate of adsorbent, as it can be reattached or recovered by floa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에서 스케터 파트와 흡착제 회수 파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에서 스케터 파트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에서 흡착제 회수 파트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제조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워킹 플로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제조설비를 사용하여 제조한 단층 및 다층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catter part and the adsorbent recovery part in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catter part in the non-bonded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enlarged views showing the adsorbent recovery part in the non-bonded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overall working flow of a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ing a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ingle-layer and multi-layer filters manufactured using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ing a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에서 스케터 파트와 흡착제 회수 파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에서 스케터 파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에서 흡착제 회수 파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catter part and an adsorbent recovery part in a non-bonded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a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non-bonded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a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catter part in the adsorbent recovery device, and FIGS. 3A and 3B are enlarged views showing the adsorbent recovery part in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제조설비의 흡착제 접착장치는 지지체에 도포되는 흡착제 중에서 핫멜트에 접착되지 못하고 그 위에 떠 있는 미접착 흡착제를 에어나 진동으로 강제 털어냄과 더불어 이때의 밑으로 떨어지는 흡착제를 재차 지지체 상에 접착되도록 하고, 지지체 상에서 옆으로 밀려 폭 방향 가장자리에서 밑으로 떨어지는 흡착제는 팬에 모아서 회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3A and 3B, the adsorbent adhesion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fails to adhere to the hot melt among the adsorbents applied to the support and forces the unadhered adsorbent floating on it with air or vibration. In addition to shaking off, the adsorbent that falls down at this time is made to adhere to the support again, and the adsorbent that is pushed to the side on the support and falls down from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is collected in a fan and recovered.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제조설비의 흡착제 접착장치는 핫멜트가 도포되어 있는 지지체 상에 흡착제를 도포하는 수단으로 스케터 파트(10)를 포함한다. For this purpose, the adsorbent adhesion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es a scatterer part 10 as a means for applying the adsorbent onto the support on which the hot melt is applied.

상기 스케터 파트(10)는 상부의 투입구(26) 및 하부의 배출구(27)를 가지면서 일정량의 흡착제를 저장하는 흡착제 저장통(28)과, 외주면에 다수의 홈(29)을 가지면서 흡착제 저장통(28)에 있는 배출구(27)의 저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흡착제 저장통(28)에 채워져 있는 흡착제를 아래쪽으로 이송시켜주는 흡착제 이송롤러(30) 및 롤러 구동모터(31)와, 상기 흡착제 이송롤러(30)에서 이송되는 흡착제를 받아서 아래쪽의 지지체 상에 떨어뜨려줌과 더불어 메시망(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터(32)를 포함한다. The scatter part 10 includes an adsorbent reservoir 28 having an upper inlet 26 and a lower outlet 27 for storing a certain amount of adsorbent, and a plurality of grooves 29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sorbent reservoir. An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and a roller drive motor 31 that are installed in a rotatable structure at the bottom of the outlet 27 at (28) to transport the adsorbent filled in the adsorbent reservoir 28 downward, and the adsorbent It receives the adsorbent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roller 30 and drops it on the support below, and includes a vibrator 32 equipped with a mesh net (not shown).

여기서, 상기 흡착제 이송롤러(30)의 외주면 일부 구간은 흡착제 저장통(28)의 배출구(27)와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흡착제 저장통(28)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흡착제는 흡착제 이송롤러(30)의 외주면 위에 쌓임과 더불어 홈(29)에 들어가게 되며, 결국 흡착제 이송롤러(30)의 홈(29)에 삽입되어 있는 흡착제들만 흡착제 저장통(28)을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Here,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is in contact with the outlet 27 of the adsorbent reservoir 28, and accordingly, the adsorbent filled inside the adsorbent reservoir 28 i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As it piles up, it enters the groove (29), and eventually only the adsorbents inserted into the groove (29) of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can exit the adsorbent reservoir (28).

그리고, 상기 스케터 파트(10)의 바이브레이터(32)는 바이브레이터 구동용 모터(33)측에 지지되면서 바이브레이터 구동용 모터(33)의 작동에 따라 구동된다.And, the vibrator 32 of the scatter part 10 is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vibrator driving motor 33 and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driving motor 33.

예를 들면, 상기 스케터 파트(10)의 파트 프레임(34) 상에 바이브레이터 구동용 모터(33)가 수직 설치되고, 이때의 바이브레이터 구동용 모터(33)의 축에는 로드(36)가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로드(36)의 하단부에는 로드의 중심과 편심되는 구조의 캠플로어(43;CF10UUR)가 설치된다. For example, a vibrator driving motor 33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part frame 34 of the scatter part 10, and a rod 36 is installed on the axis of the vibrator driving motor 33. , At the lower end of the rod 36 installed in this way, a cam follower 43 (CF10UUR) is installed that is eccentric with the center of the rod.

이와 더불어, 상기 로드(36)의 저부에는 캠플로어 홈(42)을 가지는 블럭(37)이 배치되며, 이때의 블럭(37)의 캠플로어 홈(42)에는 캠플로어(43)가 끼워지게 된다. In addition, a block 37 having a cam follower groove 42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od 36, and the cam follower 43 is inserted into the cam follower groove 42 of the block 37. .

이에 따라, 상기 로드(36)의 회전 시 캠플로어(43)가 편심 회전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캠플로어(43)와 접동하는 블럭(37)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rod 36 rotates, the cam follower 43 rotates eccentrically, and as a result, the block 37 sliding with the cam follower 43 reciproc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때, 상기 블럭(37) 상에는 브라켓(38)을 통해 바이브레이터(32)가 설치된다.At this time, a vibrator 32 is installed on the block 37 through a bracket 38.

그리고, 상기 바이브레이터(32)를 포함하는 브라켓(38) 전체는 LM 가이드(41)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 방향(예컨대, 지지체 진행 방향에 대해 90°를 이루는 방향)으로 왔다갔다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entire bracket 38 including the vibrator 32 can move back and for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in a direction at 90°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moves) while being guided by the LM guide 41.

따라서, 상기 바이브레이터 구동용 모터(33)의 작동에 의해 캠플로어(43)와 블럭(37) 간의 연동에 의해(즉, 회전운동이 왕복운동으로 전환되면서) 바이브레이터(32)가 좌우로 왔다갔다 하면서 진동하게 되고, 결국 그 위에 공급되어 있던 흡착제는 이때의 진동에 의해 바이브레이터(32)의 메시망을 통해 밑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driving motor 33, the vibrator 32 moves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by interlocking between the cam follower 43 and the block 37 (that is,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to a reciprocating motion). It vibrates, and eventually the adsorbent supplied thereon falls downward through the mesh network of the vibrator 32 due to this vibration.

이렇게 스케터 파트(10)에 바이브레이터(32)를 설치하면 흡착제 스케터의 균일성이 좋아지게 된다. If the vibrator 32 is installed on the scatter part 10 in this way, the uniformity of the adsorbent scatterer improves.

이러한 스케터 파트(10)는 흡착제 이송롤러(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흡착제 이송롤러(30)의 홈(29)에 삽입되어 있는 흡착제를 아래로 떨어뜨려주는 흡착제 브러시(35)를 포함한다. This scatter part 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and includes an adsorbent brush 35 that drops the adsorbent inserted into the groove 29 of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이때의 흡착제 브러시(35)는 바이브레이터(32)를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38)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adsorbent brush 35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bracket 38 that supports the vibrator 32.

이와 더불어, 상기 흡착제 저장통(28)의 하단부 일측, 즉 배출구(27)의 한쪽 옆에는 스크랩바(39)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스크랩바(39)의 끝 부분은 흡착제 이송롤러(3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며, 결국 홈(29)에 들어가지 못하고 흡착제 이송롤러(30)의 외주면 주위로 쌓여 있는 흡착제들은 스크랩바(39)에 의해 걸러지면서 밖으로 빠져나오게 못하게 된다. In addition, a scrap bar 39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adsorbent storage tank 28, that is, on one side of the outlet 27, and the end of the scrap bar 39 installed in this way is connected to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eventually the adsorbent that cannot enter the groove (29) and accumulate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is filtered by the scrap bar (39) and cannot escape.

그리고, 상기 스크랩바(39)는 전후 방향(예컨대, 흡착제 이송롤러측으로 가까이 가거나 흡착제 이송롤러측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옮길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흡착제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스크랩바(39)와 흡착제 이송롤러(3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crap bar 39 can move its posi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e.g., closer to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side or away from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side) and/o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us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adsorbent. The gap between the scrap bar 39 and the adsorbent transfer roller 30 can be adjusted.

따라서, 상기 흡착제 저장통(28)에 흡착제가 채워진 상태에서, 롤러 구동모터(31)의 작동에 의해 흡착제 이송롤러(30)가 회전하게 되면, 흡착제들은 흡착제 이송롤러(30)의 각 홈(29)에 삽입된 상태로 이송되고, 계속해서 흡착제 이송롤러(30)의 홈(29)에 들어 있는 흡착제는 흡착제 브러시(35)에 의해 간섭되면서 아래쪽의 바이브레이터(32) 상에 떨어지게 되며, 이렇게 바이브레이터(32) 상의 흡착제는 바이브레이터(32)의 진동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면서 지지체 상에 도포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adsorbent reservoir 28 is filled with adsorbent, when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oller drive motor 31, the adsorbent moves into each groove 29 of the adsorbent transport roller 30. The adsorbent contained in the groove (29) of the adsorbent transfer roller (30) is then transferr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adsorbent brush (35) and falls on the vibrator (32) below as it is interfered with by the adsorbent brush (35). ) The adsorbent falls downwar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32 and can be applied on the support.

또한, 상기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는 지지체(100)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핫멜트 상에 흡착제를 눌러서 붙혀주는 수단으로 가압 롤러(2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es a pressure roller 22 as a means to press and adhere the adsorbent onto the hot mel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100.

상기 가압 롤러(22)는 흡착제 회수 파트(11)의 전단부(예컨대, 스캐터 파트의 후단부)에 설치되면서 흡착제 회수 파트(11)로 미접착 흡착제를 제거하기에 앞서 지지체(100) 상에 도포되어 있는 흡착제를 눌러주는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pressure roller 22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adsorbent recovery part 11 (e.g., the rear end of the scatter part) and is placed on the support 100 before removing the unadhered adsorbent with the adsorbent recovery part 11. It plays the role of holding down the applied adsorbent.

이를 위하여, 상기 파트 프레임(34)의 한쪽 벽체에는 롤러 브라켓(25)이 설치되고, 이때의 롤러 브라켓(25)의 상판에는 롤러 실린더(40)가 수직 자세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롤러 실린더(40)의 로드에 가압 롤러(22)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For this purpose, a roller bracket 25 is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part frame 34, and a roller cylinder 40 is installed in a vertical position on the upper plate of the roller bracket 25, and the roller cylinder installed in this way ( A pressure roller 22 is installed on the rod of 40) in a rotatable structure.

이때, 상기 가압 롤러(22)는 지지체(100)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동시에 지지체(100)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pressure roller 22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upport 100 and is disposed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100.

그리고, 상기 가압 롤러(22)의 아래쪽에는 지지체(100)의 이송 안내 및 지지를 위한 베어링 롤러(24)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가압 롤러(22)는 베어링 롤러(24)와 함께 그 사이를 지나가는 지지체(100) 상의 흡착제를 눌러줄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대부분의 흡착체가 지지체(100)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미접착되는 흡착제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earing rollers 24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transport of the support 100 are arranged side by side below the pressure roller 22, and accordingly, the pressure roller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bearing rollers 24 and the bearing roller 24. It is possible to press the adsorbent on the support 100 passing through, and as a result, most of the adsorbent is firmly fixed on the support 100, making it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unadhered adsorbent.

또한, 상기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는 지지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핫멜트에 접착되지 못한 흡착제를 강제로 제거한 후에 이를 재차 지지체 상에 도포 및 회수하는 수단으로 흡착제 회수 파트(11)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of the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es an adsorbent recovery part (11) as a means of forcibly removing the adsorbent that has not adhered to the hot mel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n applying and recovering it again on the support. do.

상기 흡착제 회수 파트(11)는 소정의 꺽인 궤적을 따라 이송되는 지지체(100), 핫멜트와 흡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지지체 상에서 미접착되어 있는 흡착제를 제거하는 흡착제 제거부(13), 지지체 상에 재접착되지 못한 흡착제를 회수하는 흡착제 회수팬(14)으로 구성된다. The adsorbent recovery part 11 includes a support 100 that is transported along a predetermined curved trajectory, an adsorbent removal unit 13 that removes unadhered adsorbent from the support to which hot melt and adsorbent are applied, and re-adhesion on the support. It consists of an adsorbent recovery fan (14) that recovers the unused adsorbent.

상기 지지체(100)는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12), 예를 들면 정상 궤적과 접하는 진입측과 진출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롤러(12) 및 정상 궤적 위쪽에서 대략 사각형의 궤적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4개의 가이드 롤러(12) 등 총 6개의 가이드 롤러(12)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소정의 궤적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The suppor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2, for example, two guide rollers 12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entry and exit sides in contact with the normal trajectory, and arranged in an approximately square trajectory above the normal trajectory. It proceeds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while being guided by a total of six guide rollers (12), including four guide rollers (12).

이러한 지지체(100)는 정상 궤적(예컨대, 언와인더와 리와인더 사이의 일직선상의 수평 구간)에서 위쪽으로 꺽인 후. 뒤집어진 상태 및 반듯한 상태로 상부 궤적을 따라 진행하다가 재차 아래쪽으로 꺽힌 후 정상 궤적으로 복귀하는 진행 구간을 따라 이송된다. This support 100 is then bent upward from its normal trajectory (eg, a straight horizontal section between the unwinder and the rewinder). It proceeds along the upper trajectory in an inverted and upright state, then bends downward again and is transported along a progress section that returns to the normal trajectory.

이때, 상기 지지체(100)의 상부 궤적에서 뒤집어진 상태로 진행하는 구간은 상부 궤적으로 진입하기 전(前) 지지체(100)의 정상 궤적을 따라 진행하는 구간의 바로 위쪽으로 중복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section in which the support 100 progresses in an inverted state in the upper trajectory is overlapped and placed immediately above the section in which the support 100 proceeds along the normal trajectory before entering the upper trajectory.

이에 따라, 상기 흡착제 제거부(13)에 의해 상부 궤적을 따라 진행하는 지지체(100)로부터 제거되는 미접착 흡착제는 상부 궤적 전(前) 지지체(100) 상에 떨어져 접착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non-adhered adsorbent removed from the support 100 moving along the upper trajectory by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can fall and adhere to the support 100 before the upper trajectory.

상기 흡착제 제거부(13)는 에어의 압력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지지체(100) 상의 미접착 흡착제를 지지체(100)로부터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serves to remove the non-adhered adsorbent on the support 100 from the support 100 using air pressure or vibration.

이러한 흡착제 제거부(13)는 지지체(100)의 상부 궤적의 전체 구간 중에서 뒤집어진 상태(예컨대, 흡착제가 아래쪽을 향해 있는 상태)로 진행하는 구간에 설치되면서 지지체(100) 상에 미접착되어 있는 흡착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his adsorbent removal unit 13 is installed in a section that proceeds in an inverted state (e.g., with the adsorbent facing downward) among the entire section of the upper trajectory of the support 100 and is not adhered to the support 100. The adsorbent can be removed.

여기서, 상기 흡착제 제거부(13)는 지지체(100)측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의 압력으로 미접착 흡착제를 불어내서 제거하는 에어 블로어(13a), 지지체(100)측과 접하면서 진동을 가하고 이때의 진동력으로 미접착 흡착제를 털어내서 제거하는 회수 파트 바이브레이터(13b)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ere,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is an air blower 13a that sprays high-pressure air on the support 100 side to blow out and remove the non-adherent adsorbent with the pressure of the air, and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00 side to generate vibration. This can be done with a recovery part vibrator (13b) that shakes off and removes the non-adhered adsorbent using the vibration force at this time.

이에 따라, 상기 에어 블로어(13a)의 에어 압력이나 회수 파트 바이브레이터(13b)의 진동이 지지체(100)에 가해지게 되면, 거꾸로 뒤집어져 있는 지지체(100) 상의 미접착 흡착제는 지지체(100)로부터 떨어져 나와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결국 이렇게 떨어지는 흡착제는 아래쪽을 지나고 있는 지지체(100) 상에 다시 도포되면서 접착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지지체(100) 상에 접착되지 못하고 지지체(100)의 폭 양편으로 밀려나서 떨어지는 미접착 흡착제는 흡착제 회수팬(14)으로 모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air pressure of the air blower 13a or the vibration of the recovery part vibrator 13b is applied to the support 100, the non-adhesive adsorbent on the support 100 turned upside down falls from the support 100. It comes out and falls down, and the adsorbent that falls in this way can be re-applied and adhered to the support 100 passing below. At this time, it is not able to adhere to the support 100 and is pushed to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support 100. The unadhered adsorbent that falls off can be collected in the adsorbent recovery pan (14).

그리고, 상기 흡착제 제거부(13)의 주변으로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조성하는 챔버(47)가 설치되어 지지체(100)로부터 제거되는 미접착 흡착제들이 사방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chamber 47 is installed around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to creat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reby preventing the non-adherent adsorbents removed from the support 100 from scattering in all directions.

이러한 챔버(47)는 지지체(100)가 들어오는 한쪽의 지지체 입구(44), 지지체(100)가 나가는 반대쪽의 지지체 출구(45), 흡착제가 아래쪽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아래쪽의 흡착제 배출구(46)를 가지면서 흡착제 제거부(13)의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로 설치된다. This chamber 47 has a support inlet 44 on one side through which the support 100 enters, a support outlet 45 on the other side through which the support 100 exits, and a lower adsorbent outlet 46 through which the adsorbent exits downward.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여기서, 상기 챔버(47)는 가이드 롤러(12)들이 설치되어 있는 장치 프레임(도면부호 미표시)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chamber 47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a device frame (not shown) on which guide rollers 12 are installed.

이에 따라, 상기 에어 블로어(13a)의 에어 압력이나 회수 파트 바이브레이터(13b)의 진동에 의해 지지체(100)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미접착 흡착제들은 챔버(47)에 내부에 갇히면서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고 아래쪽의 흡착제 배출구(46)를 통해 밑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non-adhered adsorbents that come off the support 100 due to the air pressure of the air blower 13a or the vibration of the recovery part vibrator 13b are trapped inside the chamber 47 and are not scattered in all directions, but are stored below. It can fall downward through the adsorbent outlet (46).

상기 흡착제 회수팬(14)은 흡착제 제거부(13)에 의해 제거되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미접착 흡착제 중에서 지지체(100) 상에 재접착되지 못하고 옆으로 밀려나서 떨어지는 미접착 흡착제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adsorbent recovery pan 14 serves to collect the non-adherent adsorbents that are not re-adhered to the support 100 and are pushed to the side and fall out of the non-adhered adsorbents that are removed by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and fall downward. .

이러한 흡착제 회수팬(14)은 흡착제 제거부(13)의 아래쪽, 즉 상부 궤적으로 진입하기 전(前) 지지체(100)의 정상 궤적을 따라 진행하는 구간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이러한 흡착제 회수팬(14)은 지지체(100)에 다시 붙지 못하고 지지체 폭 양편으로 떨어지는 미접착 흡착제(재활용이 않된 미접착 흡착제)를 받아서 모을 수 있게 된다. This adsorbent recovery fan 14 is installed below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that is, below the section that proceeds along the normal trajectory of the support 100 before entering the upper trajectory, and this adsorbent recovery fan ( 14) can receive and collect the non-adherent adsorbent (unrecycled non-adhesive adsorbent) that cannot be re-adhered to the support 100 and falls on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support.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흡착제 회수팬(14)은 석션 파이프(23)를 포함하며, 이때의 석션 파이프(23)는 지지체측에서 떨어져나온 미접착 흡착제를 강제 회수하는 수단으로서, 진공모터(미도시) 등에 연결되면서 흡착제 회수팬(14)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석션 파이프(23)는 흡착제 회수팬(14)에 모여 있는 흡착제를 흡입하여 회수할 수 있게 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dsorbent recovery fan 14 includes a suction pipe 23, where the suction pipe 23 is a means for forcibly recovering the unadhered adsorbent that has fallen off the support, and is operated by a vacuum motor (not shown). ), etc.,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adsorbent recovery fan 14, and the suction pipe 23 installed in this way can suction and recover the adsorbent gathered in the adsorbent recovery fan 14.

따라서, 핫멜트 및 흡착제 도포 후 정상 궤적을 따라 이송되던 지지체(100)는 흡착제 회수 파트(11)의 첫번째 가이드 롤러(12)가 있는 위치에서 위쪽으로 방향이 꺽이면서 진행되는 동시에 지지체(100) 상의 미접착 흡착제는 흡착제 제거부(13)에 의해 지지체(100)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되고, 이렇게 떨어져 나온 미접착 흡착제는 아래쪽을 지나는 지지체(100) 상에 다시 붙게 됨과 더불어 이때 붙지 못한 미접착 흡착제는 흡착제 회수팬(14)으로 모이게 되며, 계속해서 흡착제 회수팬(14)에 모인 흡착제는 석션 파이프(23)를 통해 회수되어 재사용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support 100, which was transported along a normal trajectory after application of the hot melt and adsorbent, is bent upward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guide roller 12 of the adsorbent recovery part 11, and at the same time, the microstructure on the support 100 is moved. The adhesive adsorbent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100 by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and the non-adhesive adsorbent that has come off is re-attached to the support 100 passing below, and the non-adherent adsorbent that has not been attached at this time is released into the adsorbent recovery fan. The adsorbent collected in (14) continues to be collected in the adsorbent recovery pan (14) and can be recovered and reused through the suction pipe (23).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가 속해 있는 필터제조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워킹 플로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Figures 4a to 4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overall working flow of the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to which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제조설비는 핫멜트와 흡착제가 각각 도포되어 있는 1차 지지체와 2차 지지체를 각각의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시키면서, 예를 들면 1차 지지체는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시킴과 더불어 2차 지지체는 역방향 워킹 플로우 및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시키면서 2차 지지체를 1차 지지체의 상부에 적층시킨 형태의 필터를 제조하는 복합 라미네이팅 공정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A to 4C, the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advances the primary support and the secondary support to which the hot melt and the adsorbent are applied, respectively, along their respective working flows, for example, the primary support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In addition to proceeding along the flow, the secondary support includes a complex laminating process to manufacture a filter in the form of a second support being laminated on top of the primary support while proceeding along a reverse working flow and a forward working flow.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제조설비는 1차 지지체(100a)의 공급과 회수, 그리고 이송을 위한 수단으로 1차 언와인더(15)와 1차 리와인더(16)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es a primary unwinder 15 and a primary rewinder 16 as means for supplying, recovering, and transporting the primary support 100a.

상기 1차 언와인더(15)와 1차 리와인더(16)는 라인(예컨대, 필터 제조를 위한 공정 라인)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1차 언와인더(15)와 1차 리와인더(16) 사이에는 1차 지지체(100a)가 걸리게 된다. The first unwinder 15 and the first rewinder 16 are dispos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line (e.g., a process line for filter manufacturing), respectively, and the first unwinder 15 disposed in this way The primary support (100a) is caught between the primary rewinders (16).

이에 따라, 상기 1차 언와인더(15) 및/또는 1차 리와인더(16)의 구동 시 1차 지지체(100a)는 1차 언와인더(15)측에서 풀리면서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후단부쪽으로 진행되어 1차 리와인더(16)에 감기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primary unwinder 15 and/or the primary rewinder 16 is driven, the primary support 100a is unwound from the primary unwinder 15 and moves to the rear end along the forward working flow. It progresses toward and is wound around the primary rewinder (16).

여기서, 상기 1차 지지체(100a)는 부직포[예컨대, LM(Low melting PET 부직포), LM+정전 MB] 등과 같이 통기성을 갖춘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Here, the primary support 100a may be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such as non-woven fabric (e.g., LM (low melting PET non-woven fabric), LM + electrostatic MB).

또한, 상기 필터제조설비는 1차 지지체(100a) 상에 핫멜트(200)와 흡착제(400)를 각각 도포하는 수단으로 1차 핫멜트 스프레이(17)와 1차 스케터 파트(10a)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es a primary hot melt spray 17 and a primary scatter part 10a as means for applying the hot melt 200 and the adsorbent 400, respectively, on the primary support 100a.

상기 1차 핫멜트 스프레이(17)와 1차 스케터 파트(10a)는 1차 언와인더(15)와 1차 리와인더(16) 사이에서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1차 지지체(100a)의 상부에 차례로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1차 핫멜트 스프레이(17)와 1차 스케터 파트(10a)는 1차 지지체(100a)의 상면에 핫멜트와 흡착제를 순차적으로 도포하게 된다. The first hot melt spray 17 and the first scatter part 10a ar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upport 100a, which proceeds along a forward working flow between the first unwinder 15 and the first rewinder 16. are placed in order, and the first hot melt spray 17 and the first scatter part 10a sequentially apply the hot melt and adsorb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100a.

즉, 상기 1차 핫멜트 스프레이(17)에 의해 용융 상태의 핫멜트가 먼저 도포된 후, 그 위에 1차 스케터 파트(10a)에 의해 흡착제(예컨대, 활성탄 등)가 도포되며, 이에 따라 흡착제는 핫멜트에 의해 1차 지지체(100a)의 상면에 부착된다. That is, the hot melt in a molten state is first applied by the first hot melt spray 17, and then an adsorbent (e.g., activated carbon, etc.) is applied on top of it by the first scatter part 10a. Accordingly, the adsorbent is used as a hot melt. I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support 100a.

또한, 상기 필터제조설비는 1차 지지체(100a)와 적층 결합되는 2차 지지체(100b)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2차 언와인더(18)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es a secondary unwinder 18 as a means of supplying a secondary support 100b that is laminated and coupled to the primary support 100a.

상기 2차 언와인더(18)는 라인의 후단부 상부, 예를 들면 라인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1차 리와인더(16)의 위쪽에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2차 언와인더(18)와 1차 리와인더(16) 사이에는 2차 지지체(100b)가 걸리게 된다. The secondary unwinder 18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ar end of the line, for example, above the primary rewinder 16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ine, and the secondary unwinder 18 arranged in this way The secondary support body 100b is caught between the primary rewinders 16.

그리고, 상기 2차 지지체(100b)는 다수 개의 아이들러에 의해 소정의 궤적을 따라가면서 역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다가 1차 지지체(100a)와 함께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어 1차 리와인더(16)에 감기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support 100b proceeds along a reverse working flow while followi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by a plurality of idlers, and then proceeds along a forward working flow together with the primary support 100a to the primary rewinder 16. It gets cold.

여기서, 상기 2차 지지체(100b) 역시 부직포(예컨대, LM, LM+MB) 등과 같이 통기성을 갖춘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ary support 100b can also be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such as non-woven fabric (eg, LM, LM+MB).

이렇게 2차 지지체(100b)를 라인의 후단부 위쪽에 배치하면서 역방향 워킹 플로우 및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핫멜트 스프레이, 스케터 파트 등과 같은 장치들의 연계적인 배치 등과 관련한 공간 활용도 등의 측면에서 공장 레이아웃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By adopting the method of placing the secondary support 100b above the rear end of the line and proceeding along the reverse working flow and forward working flow, space utilization related to the linked arrangement of devices such as hot melt spray, scatter parts, etc.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actory layout can be designed efficiently.

또한, 상기 필터제조설비는 2차 지지체(100b) 상에 핫멜트와 흡착제를 각각 도포하는 수단으로 2차 핫멜트 스프레이(19)와 2차 스케터 파트(10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es a secondary hot melt spray 19 and a secondary scatter part 10b as means for applying hot melt and adsorbent on the secondary support 100b, respectively.

상기 2차 핫멜트 스프레이(19)와 2차 스케터 파트(10b)는 2차 언와인더(18)와 1차 리와인더(16) 사이에서 역방향 워킹 플로우 및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2차 지지체(100b)의 상부, 예를 들면 2차 지지체(100b)의 역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구간의 상부에 차례로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2차 핫멜트 스프레이(19)와 2차 스케터 파트(10b)는 2차 지지체(100b)의 저면(예컨대, 1차 지지체 위에 적층되었을 때 아래쪽을 향하는 면)에 핫멜트와 흡착제를 순차적으로 도포하게 된다. The secondary hot melt spray (19) and secondary scatter part (10b) are secondary supports ( The secondary hot melt spray 19 and the secondary scatter part 10b are arranged sequentially at the upper part of 100b), for example, at the upper part of the section running along the reverse working flow of the secondary support 100b. The hot melt and the adsorbent are sequentially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ary support 100b (e.g., the side facing downward when laminated on the primary support).

즉, 상기 2차 핫멜트 스프레이(19)에 의해 용융 상태의 핫멜트가 먼저 도포된 후, 그 위에 2차 스케터 파트(10b)에 의해 흡착제(예컨대, 활성탄 등)가 도포되며, 이에 따라 흡착제는 핫멜트에 의해 2차 지지체(100b)의 저면에 부착된다. That is, the hot melt in a molten state is first applied by the secondary hot melt spray 19, and then an adsorbent (e.g., activated carbon, etc.) is applied thereon by the secondary scatter part 10b. Accordingly, the adsorbent is applied to the hot melt. I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ary support 100b.

또한, 상기 필터제조설비는 위아래로 적층되어 있는 2차 지지체(100b)와 1차 지지체(100a)를 압착하여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 프레스 롤러(2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es a press roller 20 as a means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econdary support 100b and the primary support 100a stacked up and down.

상기 프레스 롤러(20)는 지지체의 진행 경로를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 위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스 롤러(20)는 1차 지지체(100a)와 2차 지지체(100b)가 합쳐진 상태로 진행되는 정방향 워킹 플로우 구간에 배치되어 핫멜트 및 흡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위아래 2차 지지체(100b) 및 1차 지지체(100a)를 압착시켜줄 수 있게 된다. The press rollers 20 may be composed of a pair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path of the support, and the press rollers 20 move in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support 100a and the secondary support 100b are combined. It is placed in the forward working flow section to compress the upper and lower secondary supports 100b and primary supports 100a to which hot melt and adsorbent are applied.

여기서, 상기 한쌍의 프레스 롤러(20)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프레스 롤러(20)는 히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는 롤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press roller 20 among the pair of press rollers 20 is a roller with a built-in heater (not shown).

또한, 상기 필터제조설비는 2차 지지체(100b)의 상면에 부착되는 보호용 부직포(300)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3차 언와인더(21)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es a tertiary unwinder 21 as a means of supplying the protective nonwoven fabric 30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ary support 100b.

상기 3차 언와인더(21)는 라인의 후단부 상부에 배치되면서 보호용 부직포(300)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때의 3차 언와인더(21)와 1차 리와인더(16) 사이에는 보호용 부직포(300)가 걸리게 된다. The 3rd unwinder 21 is plac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ar end of the line and serves to supply the protective nonwoven fabric 300. At this time, there is a gap between the 3rd unwinder 21 and the 1st rewinder 16. The protective nonwoven fabric 300 is caught.

그리고, 상기 3차 와인더(21)에서 공급되는 보호용 부직포(300)는 역방향 워킹 플로우 및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면서 2차 지지체(100b)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nonwoven fabric 300 supplied from the tertiary winder 21 can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ary support 100b while proceeding along the reverse working flow and the forward working flow.

이때, 상기 보호용 부직포(300)의 정방향 워킹 플로우의 경로는 2차 지지체(100b)의 정방향 워킹 플로우의 경로가 시작되는 지점(예컨대, 1차 지지체와 2차 지지체가 합쳐지는 지점)과 프레스 롤러(20)가 위치되어 있는 지점 사이 구간의 어느 한 지점에서 시작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path of the forward walking flow of the protective nonwoven fabric 300 is the point where the path of the forward walking flow of the secondary support 100b begins (e.g., the point where the primary support and the secondary support are combined) and the press roller ( It can be started at any point in the section between the points where 20) is located.

따라서, 상기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제조설비에서 필터의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팅 작업 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ccordingly, the laminating work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ilter in a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ing the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is as follows.

상기 1차 언와인더(15)에 1차 지지체(100a)를 건 다음, 2차 언와인더(18)에도 2차 지지체(100b)를 걸고, 이렇게 건 1차 지지체(100a)와 2차 지지체(100b)를 1차 리와인더(16)측으로 연장하여 건다. After the first support (100a) is hung on the first unwinder (15), the second support (100b) is also hung on the second unwinder (18), and the first support (100a) and the second support are hung in this way. Extend (100b) to the primary rewinder (16) and hang it.

이 상태에서, 상기 1차 리와인더(16)를 작동시키면, 1차 지지체(100a)와 2차 지지체(100b)는 각각 1차 언와인더(15)와 2차 언와인더(18)측에서 풀려나와 1차 리와인더(16)측에 감기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rewinder 16 is operated, the first support 100a and the second support 100b are released from the first unwinder 15 and the second unwinder 18, respectively. and is wound on the primary rewinder (16) side.

이와 동시에, 1차 지지체(100a) 상에는 1차 핫멜트 스프레이(17)에서 분사되는 핫멜트와 1차 스케터 파트(10a)에서 낙하되는 흡착제가 차례로 도포되고, 이와 병행하여 2차 지지체(100b) 상에는 2차 핫멜트 스프레이(19)에서 분사되는 핫멜트와 2차 스케터 파트(10b)에서 낙하되는 흡착제가 차례로 도포된다. At the same time, the hot melt sprayed from the first hot melt spray 17 and the adsorbent dropped from the first scatter part 10a are sequentially applied on the first support 100a, and in parallel, 2 on the second support 100b. The hot melt sprayed from the primary hot melt spray (19) and the adsorbent dropped from the secondary scatter part (10b) are applied sequentially.

계속해서, 1차 지지체(100a) 상에 도포되어 있는 흡착제는 가압 롤러(22)를 거치게 되고, 이때의 흡착제는 가압 롤러(22)에 의해 눌려지면서 1차 지지체(100a) 상의 핫멜트에 거의 대부분 접착될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the adsorbent applied on the primary support 100a passes through the pressure roller 22, and at this time, the adsorbent is pressed by the pressure roller 22 and mostly adheres to the hot melt on the primary support 100a. It becomes possible.

특히, 1차 지지체(100a) 상에 핫멜트와 흡착제가 도포됨과 더불어 가압된 후, 계속해서 진행하는 1차 지지체(100a) 상의 흡착제는 정상 궤적에서 위쪽으로 꺽인 후, 상부 궤적을 따라 진행하다가 재차 아래쪽으로 꺽힌 다음, 정상 궤적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에어의 압력 및/또는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받게 되고, 계속해서 뒤집어진 상태로 진행되는 1차 지지체(100a), 즉 흡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면이 아래쪽을 향한 상태로 진행되는 1차 지지체(100a) 상의 미접착 흡착제는 에어의 압력이나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 1차 지지체(100a)로부터 떨어져 그 밑을 지나고 있는 1차 지지체(100a) 위에 떨어져 다시 접착되며, 계속해서 1차 지지체(100a)의 폭 양편으로 밀려서 떨어지는 미접착 흡착제는 흡착제 회수팬(14)으로 모이게 된다. In particular, after the hot melt and adsorbent are applied and pressurized on the primary support (100a), the adsorbent on the continuously advancing primary support (100a) bends upward from the normal trajectory, then proceeds along the upper trajectory, and then moves downward again. After being bent,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normal trajectory, it is subjected to air pressure and/or vibration of the vibrator, and the primary support 100a, which continues to be turned over, i.e. the side on which the adsorbent is applied, faces downward. The non-adhered adsorbent on the primary support 100a, which is in a state, falls off the primary support 100a due to air pressure or vibration of the vibrator, falls on the primary support 100a passing underneath, and is re-adhered, continuing. Therefore, the non-adhered adsorbent that falls off from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primary support (100a) is collected in the adsorbent recovery pan (14).

계속해서, 각각 핫멜트 및 흡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2차 지지체(100b)와 1차 지지체(100a)는 상하 적층된 상태로 진행되면서 프레스 롤러(20)를 경유하게 되고, 이렇게 프레스 롤러(20)에 의해 적층된 상태로 압착되어 일체식으로 만들어진 단층 구조의 필터(복합 여재)는 1차 리와인더(16)에 회수된다. Subsequently, the secondary support 100b and the primary support 100a, each coated with hot melt and adsorbent, are stacked up and down and pass through the press roller 20, and are then pressed by the press roller 20. The filter (composite filter medium) with a single-layer structure, which is made integrally by being pressed in a laminated state, is recovered in the primary rewinder (16).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제조설비를 사용하여 제조한 단층 및 다층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ingle-layer and multi-layer filters manufactured using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ing a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타입 필터와 (B)타입 필터는 집진과 탈취 두 기능을 동시에 구현 가능한 단층 구조(1 layer)의 복합여재로서, 자동차 에어컨 콤비네이션 필터, 공기청정기 필터 등에 사용된다. As shown in Figure 5, the (A) type filter and (B) type filter are single-layer composite filters that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both dust collec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and are used in automobile air conditioner combination filters, air purifier filters, etc. do.

이러한 필터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차례로 층을 이루는 LM 부직포(2차 지지체)+핫멜트+흡착제+핫멜트+LM 부직포(1차 지지체)의 결합 형태 또는 MB 부직포(보호용 부직포)+LM 부직포(2차 지지체)+핫멜트+흡착제+핫멜트+LM 부직포(1차 지지체)의 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se filters are a combination of LM non-woven fabric (secondary support) + hot melt + adsorbent + hot melt + LM non-woven fabric (primary support), which are layered sequentially from top to bottom, or MB non-woven fabric (protective non-woven fabric) + LM non-woven fabric (secondary support). I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hot melt + adsorbent + hot melt + LM nonwoven fabric (primary support).

또한, (C)타입의 필터는 크린룸에 필요한 다층 구조(multi layer)의 HF 제거용 케미컬 필터로서, 위아래 LM 부직포 사이에 여러 층의 핫멜트와 흡착제가 반복해서 층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C) type filter is a chemical filter for HF removal with a multi-layer structure required for clean rooms, and is made up of multiple layers of hot melt and adsorbent repeatedly layer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M nonwoven fabrics.

여기서, (B)타입은 집진과 탈취 두가지 기능이 가능하며 도면부호 300이 MB 필터 부직포로 집진필터 기능을 한다. Here, the (B) type is capable of both dust collec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and reference numeral 300 is an MB filter non-woven fabric that functions as a dust collection filter.

(A)타입은 흡착제 1레이어 형태이며 (C)타입은 멀티 레이어 형태이다.Type (A) is a single-layer adsorbent type, and type (C) is a multi-layer type.

그리고, 한층에 붙을 수 있는 흡착제의 양이 한계가 있어 많은 층을 올려 흡착제의 양을 늘릴 수 있으며, 특히 흡착제의 종류를 달리해서 올릴 수도 있어 복합가스에 대응하는 것에 유리하다. Additionally,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adsorbent that can be attached to one layer, so the amount of adsorbent can be increased by raising many layers. In particular, different types of adsorbent can be u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adsorbent, which is advantageous for responding to complex gases.

(C)타입도 맨 위에 MB 필터 부직포를 접합하면 집진필터 기능을 할 수 있다. Type (C) can also function as a dust collection filter by attaching the MB filter non-woven fabric on top.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핫멜트와 흡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지지체의 궤적으로 위쪽을 유도하면서 지지체 상에 미접착되어 있는 흡착제를 에어나 바이브레이터로 털어서 아래로 떨어뜨리고, 이렇게 떨어지는 흡착제를 뒤쪽에서 진행되어오는 지지체 상에 재차 도포되게 함과 더불어 옆으로 밀려 떨어지는 것은 회수하는 흡착제 회수 파트를 적용한 새로운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지지체 상에 안정적인 흡착제 도포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미접착 흡착제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sorbent that is not adhered to the support is shaken downward with air or a vibrator while guiding upwar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support on which the hot melt and the adsorbent are applied, and the adsorbent that falls in this way is transferred to the support moving from the back. By providing a new non-adhesive adsorbent recovery device with an adsorbent recovery part that not only allows the adsorbent to be re-applied on the support but also recovers the adsorbent that falls off to the 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adsorbent application state on the support and improve product yield. At the same time, the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secured, and the non-adhesive adsorbent can be recovered and reused,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에서 정방향 워킹 플로우(Working flow)를 따라 진행하면서 1차 라미네이팅 공정을 실시하고, 이와 병행하여 상부에서 역방향 워킹 플로우 및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하면서 2차 라미네이팅 공정을 실시하는 새로운 라미네이팅 공정을 제공함으로써, 라미네이팅 공정의 레이아웃을 최적의 상태로 설계할 수 있는 등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공장의 공간 활용도 향상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laminating process is performed while proceeding along a forward working flow at the lower part, and in parallel, a secondary laminating process is performed along a reverse working flow and forward working flow at the upper part. By providing a laminating process,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ncreased, such as by optimally designing the layout of the laminating process, and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factory can be improved as well as productivity.

10,10a,10b : 스케터 파트
11 : 흡착제 회수 파트
12 : 가이드 롤러
13 : 흡착제 제거부
13a : 에어 블로어
13b : 회수 파트 바이브레이터
14 : 흡착제 회수팬
15 : 1차 언와인더
16 : 1차 리와인더
17 : 1차 핫멜트 스프레이
18 : 2차 언와인더
19 : 2차 핫멜트 스프레이
20 : 프레스 롤러
21 : 3차 언와인더
22 : 가압 롤러
23 : 석션 파이프
24 : 베어링 롤러
25 : 롤러 브라켓
26 : 투입구
27 : 배출구
28 : 흡착제 저장통
29 : 홈
30 : 흡착제 이송롤러
31 : 롤러 구동모터
32 : 바이브레이터
33 : 바이브레이터 구동용 모터
34 : 파트 프레임
35 : 흡착제 브러시
36 : 로드
37 : 블럭
38 : 브라켓
39 : 스크랩바
40 : 롤러 실린더
41 : LM 가이드
42 : 캠플로어 홈
43 : 캠플로어
44 : 지지체 입구
45 : 지지체 출구
46 : 흡착제 배출구
47 : 챔버
10,10a,10b: Scatter part
11: Adsorbent recovery part
12: Guide roller
13: Adsorbent removal unit
13a: air blower
13b: Recovery part vibrator
14: Adsorbent recovery fan
15: 1st unwinder
16: 1st rewinder
17: 1st hot melt spray
18: 2nd unwinder
19: 2nd hot melt spray
20: press roller
21: 3rd unwinder
22: Pressure roller
23: Suction pipe
24: bearing roller
25: roller bracket
26: Inlet
27: outlet
28: Adsorbent reservoir
29: Home
30: Adsorbent transfer roller
31: roller drive motor
32: Vibrator
33: Motor for driving vibrator
34: Part frame
35: Absorbent brush
36: load
37: block
38: bracket
39: scrap bar
40: roller cylinder
41: LM guide
42: Camfloor Home
43: Cam floor
44: Support entrance
45: support outlet
46: Adsorbent outlet
47: chamber

Claims (8)

핫멜트와 흡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지지체 상에서 미접착되어 있는 흡착제를 제거하여 재접착 및 회수하는 흡착제 회수 파트(11)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제 회수 파트(11)는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12)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정상 궤적에서 위쪽으로 꺽인 후 뒤집어진 상태로 상부 궤적을 따라 진행하다가 재차 아래쪽으로 꺽힌 후 정상 궤적으로 복귀하는 진행 구간을 가지는 지지체(100)와, 상기 지지체(100)의 상부 궤적에서 뒤집어진 상태로 진행하는 구간에 설치되어 지지체(100) 상에 미접착되어 있는 흡착제를 제거하는 흡착제 제거부(13)와, 상기 흡착제 제거부(13)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흡착제 제거부(13)에 의해 제거되면서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흡착제를 모아주는 흡착제 회수팬(14)으로 구성되고,
상기 흡착제 제거부(13)는 지지체(100)측에 진동을 가해서 진동력으로 미접착 흡착제를 털어내는 회수 파트 바이브레이터(13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
It includes an adsorbent recovery part (11) that removes the unadhered adsorbent from the support on which the hot melt and adsorbent are applied and re-adheres and recovers the adsorbent,
The adsorbent recovery part 11 is guided by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2 and bends upward from the normal trajectory, then proceeds along the upper trajectory in an inverted state, and then bends downward again and then returns to the normal trajectory. A branching support 100, an adsorbent removal unit 13 installed in a section where the upper trajectory of the support 100 progresses in an inverted state to remove the adsorbent not adhering to the support 100, and the adsorbent It consists of an adsorbent recovery fan (14) installed below the removal unit (13) to collect the adsorbent that falls downward as it is removed by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is a recovery part vibrator (13b) that applies vibration to the support (100) side and shakes off the non-adhered adsorbent by vibration for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0)의 출입을 위한 한쪽의 지지체 입구(44) 및 반대쪽의 지지체 출구(45), 그리고 흡착제의 배출을 위한 아래쪽의 흡착제 배출구(46)를 가지면서 흡착제 제거부(13)의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로 설치되는 챔버(4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
In claim 1,
It has a support inlet 44 on one sid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support 100, a support outlet 45 on the other side, and a lower adsorbent outlet 46 for discharging the adsorbent, and surrounds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A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for a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further comprising a chamber (47) installed in an enclosing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0)의 상부 궤적에서 뒤집어진 상태로 진행하는 구간은 상부 궤적 전(前) 지지체(100)의 정상 궤적을 따라 진행하는 구간의 위쪽으로 중복됨으로써, 흡착제 제거부(13)에 의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흡착제가 상부 궤적 전(前) 지지체(100) 상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
In claim 1,
The section that progresses in an inverted state in the upper trajectory of the support 100 overlaps the upper section of the section that proceeds along the normal trajectory of the support 100 before the upper trajectory, thereby removing the lower portion by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A non-adhered adsorbent recovery device for a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adsorbent falling to the top is adhered to the support (100) before the upper tr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 제거부(13)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흡착제 제거부(13)로 미접착 흡착제를 제거하기에 앞서 지지체 상에 도포되어 있는 흡착제를 눌러주는 가압 롤러(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
In claim 1,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roller 22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to press the adsorbent applied on the support before removing the unadhered adsorbent with the adsorbent removal unit 13. A non-adhesive adsorbent recovery device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 회수팬(14)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흡착제 회수팬(14)에 모인 흡착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석션 파이프(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회수장치.
In claim 1,
A non-adherent adsorbent recovery device for a filter manufacturing facility,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pipe (23)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adsorbent recovery fan (14) to suction and recover the adsorbent collected in the adsorbent recovery fan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라인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면서 1차 지지체의 공급과 회수, 그리고 이송을 위한 1차 언와인더(15) 및 1차 리와인더(16)와, 상기 1차 언와인더(15)와 1차 리와인더(16) 사이에서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1차 지지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핫멜트와 흡착제를 각각 도포하는 1차 핫멜트 스프레이(17) 및 1차 스케터 파트(10a)와, 라인의 후단부 상부에 배치되면서 2차 지지체의 공급을 위한 2차 언와인더(18)와, 상기 2차 언와인더(18)와 1차 리와인더(16) 사이에 역방향 워킹 플로우 및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2차 지지체의 역방향 워킹 플로우 구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핫멜트와 흡착제를 각각 도포하는 2차 핫멜트 스프레이(19) 및 2차 스케터 파트(10b)와, 상기 1차 지지체 및 2차 지지체의 정방향 워킹 플로우 구간에 배치되어 핫멜트 및 흡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위아래 2차 지지체 및 1차 지지체를 압착시키는 프레스 롤러(20)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지지체는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동시에 2차 지지체는 역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된 후, 1차 지지체의 상부에 적층된 상태로 이와 함께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접착장치.
In claim 1,
A primary unwinder (15) and a primary rewinder (16)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ine, respectively, for supply, recovery, and transfer of the primary support, and the primary unwinder (15) and 1 The primary hot melt spray (17) and primary scatter part (10a), which ar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imary support that proceeds along a forward working flow between the primary rewinders (16) and apply hot melt and adsorbent respectively, and the back of the line It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end and proceeds along a reverse working flow and a forward working flow between the secondary unwinder (18) for supplying the secondary support, and the secondary unwinder (18) and the primary rewinder (16). A secondary hot melt spray (19) and a secondary scatter part (10b)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verse walking flow section of the secondary support to apply hot melt and adsorbent, respectively, and forward walking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upports. It includes a press roller 20 that is disposed in the flow section and presses the upper and lower secondary supports and the primary support to which hot melt and adsorbent are applied, and the primary support moves along the forward working flow while the secondary support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A non-adhesive adsorbent adhesion device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proceeds along the working flow and then proceeds along the forward working flow while being lamin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imary support.
청구항 7에 있어서,
라인의 후단부 상부에 배치되면서 보호용 부직포를 공급하기 위한 3차 언와인더(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3차 언와인더(21)에서 공급되는 보호용 부직포는 역방향 워킹 플로우 및 정방향 워킹 플로우를 따라 진행되면서 2차 지지체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제조설비의 미접착 흡착제 접착장치.
In claim 7,
It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ar end of the line and further includes a tertiary unwinder (21) for supplying protective nonwoven fabric, and the protective nonwoven fabric supplied from the tertiary unwinder (21) operates in a reverse working flow and a forward working flow. A non-adhesive adsorbent adhesion device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adher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ary support as it progresses.
KR1020230053063A 2023-04-24 2023-04-24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5900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063A KR102590098B1 (en) 2023-04-24 2023-04-24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063A KR102590098B1 (en) 2023-04-24 2023-04-24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098B1 true KR102590098B1 (en) 2023-10-17

Family

ID=8855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063A KR102590098B1 (en) 2023-04-24 2023-04-24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09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694B1 (en) 2006-04-19 2007-08-01 주식회사 카엘 A manufacturing system of fibrous ion exchanger hybrid filt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1179475B1 (en) 2012-04-30 2012-09-07 주식회사 에코프로 Device for manufacturing chemical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694B1 (en) 2006-04-19 2007-08-01 주식회사 카엘 A manufacturing system of fibrous ion exchanger hybrid filt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1179475B1 (en) 2012-04-30 2012-09-07 주식회사 에코프로 Device for manufacturing chemical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8083B2 (en)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nd electrostatic spraying method
JPH04293825A (en) Waterproof material composed of water swelling clay held between flexible woven fabric layer mutually bonded by sewing by using lubricant
WO2012006338A2 (en) Patterned air-laid nonwoven electret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135203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s
JP5918641B2 (en) Pleated air filter media and pleated air filter unit
CN104106171A (en) Battery pressing apparatus and battery pressing method
KR102590098B1 (en)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CN109692078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ventilative web material of manufacture and corresponding web material
KR102598766B1 (en)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CN112606527A (en) Automatic mask processing equipment
KR102566100B1 (en) Unattached absorben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590097B1 (en) Absorbent adhesive apparatus for filter manufacturing equipment
ITMI20070750A1 (en) BRUSHING MACHINE INCLUDING A PERFECT FILTERING DEVICE
JP4698246B2 (en) Filter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filter element manufacturing jig, and filter element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20108424A (en) Iron removal oxidation rust of this device
CN115647898A (en) Cutting device is used in processing of staircase apron
JP2002058943A (en) Fil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496957B1 (en) Apparatus for dealing with surface
KR102204092B1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Clean Filter of Horizontal Wet Scrubber
CN208741287U (en) A kind of active carbon aerogel dressing processing unit (plant)
JP5205119B2 (en) painting booth
CN215844160U (en) Vibrating screen capable of screening different materials for ore dressing
JP3122669U (en) Dust adsorption device in painting booth
JP4059917B1 (en) Regeneration method of curing sheet in asbestos treatment
CN213853429U (en) Membrane-stripping medicament filtering device for substrate wet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