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089B1 -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089B1
KR102590089B1 KR1020200170881A KR20200170881A KR102590089B1 KR 102590089 B1 KR102590089 B1 KR 102590089B1 KR 1020200170881 A KR1020200170881 A KR 1020200170881A KR 20200170881 A KR20200170881 A KR 20200170881A KR 102590089 B1 KR102590089 B1 KR 10259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exible
functional layers
electrodes
carbon nano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668A (ko
Inventor
리 파안
리 챈
위-챈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푸나터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044331.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117233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043624.7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117231A/zh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푸나터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푸나터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0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for promoting a biological proc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일종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는 유연한 패치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연한 패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연한 패치부는 유연층, 유연 다공층, 복수 개 기능층, K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층과 상기 유연 다공층은 적층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상기 유연층과 상기 유연 다공층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K개의 전극은 상기 복수 개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K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K개 전극이 상기 유연한 패치부중의 복수 개 기능층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Attachment-type physical 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물질적 생활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의 건강 요구 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물리 치료 제품의 인기가 높다. 시장에 나 와 있는 대부분의 미세전류 자극기기는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미세전류 자극기기이며 인체의 면적도 작아서 인체가 편안하지 않다.
이를 고려하여,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는 유연한 패치부 및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연한 패치부를 제어하며, 상기 유연한 패치부는 유연층, 유연 다공층, 복수 개 기능층, K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층과 상기 유연 다공층은 적층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상기 유연층과 상기 유연 다공층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복수 개 기능층은 대칭되어 분포되거나 규칙적으로 분포되며,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적어도 두 개 영역에 분포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제1 영역은 상기 K쌍의 주요 기능층에 대칭되어 분포된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을 포함하고,상기 제2 영역는 M개 보조 기능층을 포함하며, 매개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의 한 쌍의 주요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K개의 전극 번호은 각기 1,2,3......K로 매겨지고,번호가 서로 인접된 두 개 전극은 서로 인접된 두 쌍의 주요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개 보조 기능층은 하나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인접된 두 개 보조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전극의 번호가 x와 y이며,x와 y의 차이는 2보다 크거나 동일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K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K개 전극은 상기 유연한 패치부 중의 복수 개 기능층을 제어한다.
상기 유연층의 재질은 부직포, 실크천, 일반 유연성천, 다공 유연성 페이퍼, 실리콘 등 유연한 재질일 수 있고, 직접 사람의 인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유연 다공층의 재질은 부직포, 실크천, 일반 유연성천, 다공 유연성 페 이퍼, 실리콘 등 유연한 재질일 수 있고, 다공층의 구조는 직접 사람의 인체에 부착 하며 또한 액체를 침투시킬 수 있다.
매개 기능층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나노튜브층 혹은/및 그래핀층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적어도 한 층의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탄소나 노튜브 무질서 필름 혹은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또한 탄소나노튜브 슬러리층일 수도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또한 하나의 탄소나노튜브선 혹은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선을 포함한다. 탄소나노튜브층이 하나의 탄소나노튜브선을 포함할 시,하나의 탄소나노튜브선은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층 형상의 구조로 설치된다. 탄소나노튜브층이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선을 포함할 시,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선이 서로 평행하여 병렬되거나 혹은 교차되어 하나의 층 형상의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그래핀층은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유연한 패치부는 탄소나노튜브 재료를 사용하고 유연성이 강하여, 직접 얼굴 피부에 부착되므로, 사용자의 체험도가 높고, 탄소나노튜브 재료는 필요에 의해 임의의 면적으로 만들어지고, 유연한 패치부의 면적은 임의로 설치되기에 인체의 면적 필요에 의해 설치되고, 직접 물리 치료 의류 등으로 만들 수 있으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는 광범한 사용 범위를 갖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제공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를 착용 대상에 사용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노튜브 단편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응집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서로 교차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선을 포함하는 기능층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서로 직조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선을 포함하는 기능층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구부러져 감긴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선을 포함하는 기능층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꼬이지 않은 탄소나노튜브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꼬인 탄소나노튜브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사용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일종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10)를 제공한다. 상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10)는 유연한 패치부(100),컨트롤러(112) 및 연결선(114)을 구비하고,상기 컨트롤러(112)는 연결선(114)을 통하여 유연한 패치부(10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유연한 패치부(100)를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면,상기 유연한 패치부(100)는 유연층(102),유연 다공층(106),복수 개 기능층 및 복수 개 전극(108)을 구비하고,상기 유연층(102)과 유연 다공층(106)은 적층하여 설치(설명의 명확성을 위해,도 2중 유연층(102)과 유연 다공층(106)이 분리되어 도시됨)되며,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유연층(102)과 유연 다공층(106) 사이에 설치되며,매개 전극(108)은 적어도 한 층의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러(112)는 상기 복수 개 전극(1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상기 복수 개 전극(108)을 통하여 유연한 패치부(100)를 제어한다.
상기 유연한 패치부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존재하고,상기 복수 개 기능층(104)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분포되고,복수 개 주요 기능층(104a) 및 복수 개 보조 기능층(104b)를 구비한다.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기능층은 2K개 주요 기능층(104a)이고,제2 영역에 위치하는 기능층은 M개 보조 기능층(104b)이며,그중 K는 M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2K개 주요 기능층(104a)은 유연한 패치부(100)의 양측에 대칭되어 분포되고,또한 서로 대칭되어 있으며, 매 쌍의 주요 기능층(104a)은 유연한 패치부(100)의 좌측과 우측에 대칭되어 분포되며, 그중 2K개 주요 기능층(104a) 중의 매 쌍의 서로 대칭되는 주요 기능층(104a)은 각기 하나의 전극(1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즉 전극(108)의 개수는 K개이다. K개 전극은 매개 전극(1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요 기능층(104a)의 위치에 따라 각기 번호 1,2,3......K를 설정하고,서로 인접된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 전극의 번호는 서로 인접되어 있다. 상기 서로 인접된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은 상기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 매측의 두 개 주요 기능층(104a)의 위치가 인접되어 있음을 설명한다. 매개 보조 기능층(104b)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1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인접된 두 개 보조 기능층(10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전극번호는 각기 x 및 y이며,x와 y의 차이는 2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그중, 매층의 기능층(104)은 탄소나노튜브층 혹은/및 그래핀층이다. 상기 기능층의 면적이 부동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요 기능층의 개수는 8개이고,그중 8개 주요 기능층(104a)은 유연한 패치부(100)의 하부에 대칭되어 분포되며,2개 보조 기능층(104b)은 유연한 패치부(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매개 전극(108)은 그와 컨트롤러(112)가 연결된 단부의 위치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순서에 따른 번호는 1, 2, 3, 4이고, 또한 전극(108)의 번호에 대응하며, 매 쌍의 대칭되는 주요 기능층(104a)은 위쪽으로부터 아래로의 순서로 번호 1, 2, 3, 4인 전극(1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영역에서,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기능층(104b)은 번호 1인 전극(1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하부에 위치하는 보조 기능층(104b)은 번호 4인 전극(1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즉 x와 y의 차이는 3이다.
상기 컨트롤러(112)는 상기 K개의 전극(108)을 통하여 유연한 패치부(100) 중의 복수 개 기능층을 제어한다. 상기 K개의 전극은 유연한 패치부(100)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선(114) 내부에서 모이고, 컨트롤러(112)는 상기 연결선(114)을 통하여 유연한 패치부(100)에 연결되어 일체(一體)를 이룬다. 상기 컨트롤러(112)에는 복수 개 기능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능 버튼은 유연한 패치부(100)를 제어한다. 매개 기능 버튼은 전류의 크기, 전류의 주파수, 전류의 입력의 위치등을 제어하여, 유연한 패치부 내부의 기능층(104)을 제어할 수 있고, 부동한 기능응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패치부(100)는 컨트롤러(112)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한 패치부(100)는 그의 개구부(110) 위치에 연결 입구를 남겨두고, K개의 전극(108)이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컨트롤러(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즉 연결선(114)의 일단부가 개구부(110) 를 통하여 유연한 패치부(100)와 연결되며, 또 다른 일단부는 컨트롤러(112)와 연결된다. 유연한 패치부(100)는 수요에 따라 교환할 수 있다. 유연한 패치부(100)는 세척할 수 있기에, 재활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K개 전극(108)은 K쌍의 주요 기능층(10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동시에 M개 보조 기능층(10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이러한 연결방식에 있어서, 전극(108)을 추가하지 않고 M개 보조 기능층(104b)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기에 전극(108)의 개수를 생략할 수 있고, K개의 전극(108)이 유연한 패치부(100)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선(114) 내부에 모이며,따라서 연결선(114)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연결선(114)의 직경이 작을수록 유연성이 좋아지고, 유연한 패치부(100)는 컨트롤러(112)를 통하여 연결선(114)과 연결되며,연결선(114)의 유연성이 좋을수록 사용자 경험이 더 좋아진다.
매개의 전극(108)은 한 쌍의 주요 기능층(10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응용시, 1과 2, 2과3, 3과 4......K-1과 K의 방식으로 두 개 전극(108) 사이에 주기적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주기적으로 매 두 개 전극(108)에 대응하는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에 전압을 인가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 전극(108),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 상기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 중 유연한 패치부(100)과 동일한 일측에 위치하는 두 개 주요 기능층(104a) 사이의 인체 피부와 컨트롤러(112) 사이에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회로에 전류가 생성되고, 전류가 상기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중 유연한 패치부(100)과 동일한 일측에 위치하는 두 개 주요 기능층(104a) 사이의 사용자의 인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번호가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 전극(108)에 대응하는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은 유연한 패치부(100)의 동일한 일측의 위치가 인접되어 있고, 컨트롤러(112)은 매 두 개의 번호가 서로 인접되어 있는 전극(108)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생성되고, 상기 전류가 피부를 자극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한 번호를 갖는 두 개 전극(108)에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 1 영역의 상이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12)는 인접하지 않은 두 개 전극(108) 사이에 전압을 입력 할 수도 있고. 두 개 전극(108)의 번호 x와 y의 차이가 2보다 크거나 동일할 때, 두 개 전극(108)에 대응하는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은 유연한 패치부(100)의 동일한 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기능층(104a) 간격을 두고 있다. 사용자의 피부와 컨트롤러(112) 사이에 두 개의 전극(108), 두 쌍의 주요 기능층 (104a) 및 두 쌍의 주요 기능층 (104a)에서 유연한 패치부(100)의 동일한 면에 있는 두 개의 주요 기능층(104a) 사이에 하나의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두 쌍의 주요 기능층(104a)이 유연한 패치부(100)의 동일한 일측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동일한 일측면에 있는 두 개의 주요 기능층(104a) 사이의 인체 피부의 저항이 비교적 크고, 이때 생성되는 전류가 매우 작아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자극을 느낄 수 없다. 한편, 번호가 x와 y인 두 개의 전극(108)이 각기 하나의 보조 기능층(104b)에 연결될 때, 전압은 상기 두 개의 전극(108)에 입력되고, 즉, 두 개의 전극 (108), 두 개의 보조 기능층(104b), 상기 두 개의 보조 기능층(104b) 사이의 인체 피부와 컨트롤러(112) 사이에 회로가 형성되어 전류를 생성한다.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보조 기능층(104b)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전류값이 상대적으로 커서 두 개의 보조 기능층(104b) 사이의 인체 피부를 자극할 수 있으며, 즉 제 2 영역내의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12)가 번호가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전극 (108)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기로 선택하면, 주요 기능층(104a) 사이의 피부를 자극하지는 않지만 번호가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전극(108)에 대응하는 보조 기능층(104b)에 대응하는 인체 피부에 대하여 자극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유연층(102)의 재질은 부직포, 실크천, 일반 유연성천, 다공 유연성 페이퍼, 실리콘 등 유연한 재질일 수 있고, 직접 사람의 인체에 부착할 수 있다. 유연층(102)의 두께는 실제 필요에 의해 설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층(102)의 두께는 10μm~100μm이다. 유연층(102)은 다공 구조일 수 있고, 또한 무공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유연 다공층(106)의 재질은 부직포, 실크천, 일반 유연성천, 다공 유연성 페이퍼, 실리콘 등 유연한 재질일 수 있고, 직접 사람의 인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유연 다공층(106)의 재료는 유연층(102)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부동할 수 있다. 유연 다공층(106)은 다공 재료이고, 복수 개 미세공극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할 시, 유연 다공층(106)을 직접 인체에 부착하여, 물약(葯液)이 복수 개 미세공극로부터 배어 나와 인체에 미용 작용을 일으킨다. 유연 다공층(106)의 두께는 실제 필요에 의해 설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 다공층(106)의 두께는10μm~100μm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연한 패치부(100)는 몸에 꼭 맞는 조끼의 뒤면에 설치되어 목과 어깨의 미세전류 자극기기로 사용되며, 컨트롤러(112)는 의류의 내부에 내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또한 의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유연한 패치부(100)는 또한 의류 또는 다른 착용 대상으로 직접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상기 K개 전극(108)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막, 금속편 혹은 금속 리드일 수도 있다. K개 전극(108)은 모두 하나의 선형 도전막이고, 상기 선형 도전막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108)의 재료는 금속, 합금, 인듐 주석 산화물(IT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전도성 실버페이스트, 전도성 폴리머 혹은 전도 성 탄소나노튜브 등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또는 합금 재료는 알루미늄, 구리, 텅스텐, 몰리브덴, 금, 티타늄, 로듐, 팔라듐, 이리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합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K개 전극(108)은 모두 선형 구리 도전막이고, 그 두께는 1μm이다. 전극(108)는 유연성이 우수한 재료를 선택하고, 그의 두께는 비교적 작고, 비교적 미세하다. 전극(108)의 너비 혹은 직경이 500μm보다 작거나 500μm과 동일하며, 두께는 200μm보다 작고 200μm과 동일하다. 한 층 절연층(도시되지 않음)은 전극(108)의 표면에 설치되고, 전극(108)이 사용 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매개 전극(108)의 표면에는 한 층의 절연층이 피복되어 있고, 전극(108)이 분포되어 있는 곳에 한 층의 투명 절연층이 부설되어 있다. 절연층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고, 유연성 재료이면 충분하다.
상기 매층의 기능층은 하나의 탄소나노튜브층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균일하게 분포된 대량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고, 탄소나노튜브의 사이는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밀접히 연결된다. 탄소나노튜브층은 오로지 탄소나노튜브의 순수한 탄소나노튜브층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의 두께가 50nm~1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 중의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중의 일종 혹은 다종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순수한 탄소나노튜브일 수 있고, 상기 순수한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기타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예컨데 비정질 탄소, 작용기(functional group) 등을 가리킨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직경은 0.5nm~50nm이고, 상기 이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직경은 1.0nm~50nm이고,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직경은 1.5nm~50nm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순서에 따라 배열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고, 탄소나노튜브는 고정 방향을 따라 우선 배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무질서 무작위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자체 지지 구조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체 지지 구조" 즉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지지 구조없이, 자체 자신의 구조로 특정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리킨다. 상기 자체 지지 구조의 탄소나노튜브 구조는 복 수개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는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서로 흡인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탄소나노튜브 구조로 하여금 특정한 형상을 구비하여, 하나의 일체(一體)적인 자체 지지를 실현하는 탄소나노튜브 층을 형성한다. 자체 지지를 실현할 수 없는 탄소나노튜브층 즉 예컨데 탄소나노튜 브 슬러리층에 비하여, 자체 지지를 실현하는 탄소나노튜브층은 보다 우수한 유연 성을 구비한다. 실험이 증명한 바와 같이, 유연한 패치부(100)의 내부에 탄소나노튜 브 슬러리를 기능층(104)으로서 코딩할 시, 탄소나노튜브 슬러리가 건조하기를 기다렸다가, 유연한 패치부(100)의 유연성이 탄소나노튜브 슬러리층 때문에 하강할 수 있다. 물론,탄소나노튜브 슬러리층은 본 발명의 기능층(104)으로서 작용하고, 이와 같이 기능층(104)으로서 작용할 시, 상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도 작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나노튜브 필름 혹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나노튜브선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이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구비할 시, 상기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 필름이 적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유질서의 탄소나노튜브 필름 혹은 무질서의 탄소나노튜브 필름이다. 상기 무질서의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복수 개 무질서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을 구비하고, 여기서 무질서는 탄소나노튜브의 배열방향이 불규칙한 것을 가리킨다. 상기 유질서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다수 탄소나노튜브의 배열방향이 일정한 규칙을 구비하는 것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질서의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 노튜브는 서로 휘감겨 있고, 상기 무질서로 배열된 탄소나노튜브로 형성된 탄소나 노튜브층은 등방향성이고, 상기 유질서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노튜브는 하나의 방향 혹은 복수 개 방향을 따라 우선 배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탄소나노 튜브 필름은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drawn carbon nanotube film), 응집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flocculated carbon nanotube film) 혹은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pressed carbon nanotube film)일 수 있다.
상기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하나의 탄소나노튜브 어레이 중에서 드로잉(취출)하여 얻은 탄소나노튜브 필름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한 층의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혹은 두 층 이상의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구비한다.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우선 배향되고, 동시에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과 평행되는 표면에 배열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사이는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처음과 끝이 연결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매개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연속적으로 일정한 방향에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 단편(143)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 단편(143)은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처음과 끝이 연결된다. 매개 탄소나노 튜브 단편(143)은 서로 평행하는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145)를 구비하고, 상기 서로 평행하는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145)는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밀접히 연결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단편(143)은 임의의 너비, 두께, 균일성 및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두께는 0.5nm~100μm이고, 너비는 상기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드로잉(취출)하여 얻은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크기와 관련되고, 길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drawn carbon nanotube film) 및 그의 제작방법은 중국공개번호CN101239712A를 참조할 수 있고, 상기 중국공개번호CN101239712A는 발명자 판 수어-산(范守善) 등 2007년2월 9일에 출원하여 2008년8월13일에 공개된 특허 출원이며, 그의 발명 명칭은 “탄소나노튜브 필름 구조 및 그의 제작방법”이고, 출원인이 청화대학(淸華大學), HONGFUJIN PRECISION INDUSTRY(SHENZHEN)CO., LTD.()인 특허 출원이다. 비록 상기 내용만이 기재 되어 있지만, 상기 출원의 모든 기술적 개시 내용도 본 출원의 기술적 개시 내용의 일부로 간주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이 두 층 이상의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구비할 시, 상기 다수 층의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서로 중첩되어 설치되거나 병렬 설치된다. 서로 인접한 두 층의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 우선 배향에 따라 배열된 탄소나노튜브사이에 형성된 교차 각도는 α이고, α는 0°과 동일하거나 0°보다 크고, 또한 90°와 동일하거나 90°보다 작다(0°≤α≤90°). 상기 다수 층의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사이 혹은 하나의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서로 인접한 탄소나노튜브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여, 탄소나노튜브층에 복수 개 공극(孔隙)이 형성하며, 공극의 크기는 대략 10μm보다 작기에 상기 주요물질(基體)이 상기 공극 중에 침투된다.
상기 응집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응집(flocculation) 원리를 통하여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이고, 상기 응집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서로 휘감겨 균 일하게 분포된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다.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는 10μm보다 크고, 길이가 200~9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사이는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서로 흡인하고 휘감겨 네트워크(網絡狀)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응집 구조 탄 소나노튜브 필름은 등방향성이다. 상기 응집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 노튜브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대량의 공극 구조을 형성하며, 공극의 크기는 대략 10μm보다 작다. 상기 응집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길이와 너비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응집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 탄소나노튜브가 서로 휘감겨 있기에, 상기 응집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우수한 유연성을 구비하고, 또한 하나의 자체 지지 구조를 구비하여, 만곡하여 접혀서(彎曲折疊) 임의의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고 파손되지 않는다. 상기 응집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및 그의 제작방법은 중국공개번호CN101284662A를 참조할 수 있고, 상기 중국공개번호CN101284662A는 발명자 판 수어-산(范守善) 등 2007년4월13일에 출원하여 2008년10월15일에 공개된 특허 출원이며, 그의 발명 명칭은 “탄소나노튜브 박막의 제작방법”이고, 출원인이 청화대학(淸華大學), HONGFUJIN PRECISION INDUSTRY(SHENZHEN)CO., LTD. ()인 특허 출원이다. 비록 상기 내용만이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 출원의 모든 기술적 개시 내용도 본 출원의 기술적 개시 내용의 일부로 간주된다.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하나의 탄소나노튜브 어레이를 압착하여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이다.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균일하게 분포된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하고, 탄소나노튜브는 동일한 방향 혹은 부동한 방향에 따라 우선 배향으로 배열된다. 탄소나노튜브는 등방향성일 수도 있다.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노튜브는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또한 반 데르발스힘에 의해 서로 흡인하여 밀접히 연결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우수한 유연성을 구비하여, 만곡하여 접혀서 임의의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고 파손되지 않는다.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노튜브 사이는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서로 흡인하여, 밀접히 연결되기에,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이 하나의 자체 지지의 구조를 이룬다.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하나의 탄소나노튜브 어레이를 압착하여 얻어진다.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노튜브와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성장기판의 표면 사이에 형성된 협각은 β이고, 그중 β는 0°와 동일하거나 0°보다 크며, 또한 15°와 동일하거나 15°보다 작으며(0°≤β≤15°), 상기 협각β은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에 인가하는 압력과 관련되고, 압력이 클수록 상기 협각이 작아지고,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성장기판과 평행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동한 압착 방식에 따라,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노튜브는 부동한 배열방식을 구비한다. 동일한 방향을 따라 압착을 진행할 시, 탄소나노튜브는 고정방향에 따라 우선 배향으로 배열된다. 도 7를 참조하면, 부동한 방향을 따라 압착을 진행할 시, 탄소나노튜브는 부동한 방향에 따라 우선 배향으로 배열된다.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상부와 수직하여 탄소나노튜브 어레이를 압착할 시,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등방향성이다.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는 50μm보다 크다.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의 서로 인접한 탄소나노튜브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여,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중에 복수 개 공극이 형성되고, 공극의 크기는 대략 10μm보다 작다. 상기 압착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 및 그의 제작방법은 중국공개번호CN101314464A를 참조할 수 있고, 상기 중국공개번호CN101314464A는 발명자 판 수어-산(范守善) 등 2007년6월1일에 출원하여 2008년12월3일에 공개된 특허 출원이며, 그의 발명 명칭은 “탄소나노튜브 박막의 제작방법”이고, 출원인이 청화대학(淸華大學), HONGFUJIN PRECISION INDUSTRY(SHENZHEN)CO., LTD. ()인 특허 출원이다. 비록 상기 내용만이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 출원의 모든 기술적 개시 내용도 본 출원의 기술적 개시 내용의 일부로 간주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이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선은 서로 평행, 병렬, 교차하여 2 차원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거나 서로 직조하여 2차원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로 교차되어 설치된 탄소나노튜브선(16)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층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로 직조()되어 설치된 탄소나노튜브선(16)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층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이 하나의 탄소나노튜브선(16)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탄소나노튜브선(16)은 구부러져 감겨짐으로 2 차원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선(16)은 꼬이지 않은 탄소나노튜브선 혹는 꼬인 탄소나노튜브선일 수 있다. 상기 꼬이지 않은 탄소나노튜브선은 유기용제 처리를 통해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이 얻어진다. 상기 꼬이지 않은 탄소나노튜브선은 탄소나노튜브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처음과 끝이 연결된다.
상기 꼬이지 않은 탄소나노튜브선은 유기용제 처리를 통해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이 얻어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꼬이지 않은 탄소나노튜브선은 탄소나노튜브선의 길이를 따라 배열되고 처음과 끝이 연결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꼬이지 않은 탄소나노튜브선은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 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 단편 사이는 반데르발스힘 의해 처음과 끝이 연결된다. 매개 탄소나노튜브 단편는 서로 평행하고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긴밀히 결합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단편은 임의의 길이, 두께, 균일성 및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꼬이지 않은 탄소나노튜브선의 길이는 제한이 없으며 직경은 0.5 nm 내지 100 μm이다.
상기 꼬인 탄소나노튜브선은 기계적 힘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 구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양끝을 반대 방향으로 꼬아서 얻어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꼬인 탄소나노튜브선는 탄소나노튜브선의 축방향에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꼬인 탄소나노튜브선은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 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 단편 사이는 반데르발스힘 의해 처음과 끝이 연결된다. 매개 탄소나노튜브 단편는 서로 평행하고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긴밀히 결합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단편은 임의의 길이, 두께, 균일성 및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꼬인 탄소나노튜브선의 길이는 제한이 없으며 직경은 0.5 nm 내지 100 μm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선 및 그의 제작방법은 중국공고번호CN100411979C를 참조할 수 있고, 상기 중국공고번호CN100411979C는 발명자 판 수어-산(范守善) 등 2002년9월16일에 출원하여 2008년8월20일에 공고된 특허 출원이며, 그의 발명 명칭은 “탄소나노튜브선 및 그의 제작방법”이고, 출원인이 청화대학(淸華大學), HONGFUJIN PRECISION INDUSTRY(SHENZHEN)CO., LTD.()인 특허 출원이다. 비록 상기 내용만이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 출원의 모든 기술적 개시 내용도 본 출원의 기술적 개시 내용의 일부로 간주된다.
탄소나노튜브층은 유연층 혹은/과 유연 다공층보다 우수한 유연성을 구비하고, 탄소나노튜브층이 기능층으로 유연한 패치부에 사용할 시, 전체 유연한 패치부의 유연성은 기능층의 설치에 인해 하강되지 않는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의 강도가 향상되기에, 유연한 패치부를 아무리 구부러지고 당겨지더라도 그래핀층 혹은/과 그래핀 복합 재료층이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매개 기능층은 한 층의 그래핀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층은 오로지 한 층의 그래핀층을 포함한다. 상기 그래핀층은 다수 층의 그래핀이 적층하여 설치되거나, 혹은 단일층의 그래핀일 수 있다. 그래핀은 복수 개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육각형 격자 구조의 계층(片層狀) 구조이다. 단일층 그래핀의 면적이 비교적 클 때, 단일층 그래핀은 한 층의 기능층이다. 그래핀층이 다수 층의 그래핀일 때, 다수 층의 그래핀이 피복되어 서로 적층되어 그래핀층을 구성하고, 상기 그래핀층 중의 그래핀은 반데르발스힘에 연결된다. 상기 그래핀층 중의 그래핀의 배열 방식은 서로 교차시켜 겹치도록 설치하는방식, 병렬설치 방식 혹은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상기 그래핀의 두께는 100nm보다 작거나 100nm과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래핀의 두께는 0.5nm 내지 100nm이다. 상기 그래핀층의 두께는 단일층 그래핀의 두께 내지 1mm이다.
상기 매개 기능층은 그래핀 층과 탄소나노튜브층은 적층하여 설치되어 조성된 그래핀 복합 재료층을 포함한다. 그래핀층과 탄소나노튜브층으로 조성된 그래핀 복합 재료층 중, 그래핀층과 탄소나노튜브층이 적층하여 설치된다. 그래핀 층과 탄소나노튜브층은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함께 접착된다. 상기 매개 기능층은 그래핀 복합 재료층이고, 상기 그래핀 복합 재료층은 다수 층 그래핀과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이 서로 혼합하여 균일하게 형성된 복합 구조이다. 그래핀 복합 재료층은 다수 층 그래핀과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시, 다수 층 그래핀과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는 균일하게 혼합하며,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래핀 복합 재료층은 다수 층 그래핀과 복수 개 탄소나노튜브를 용제에 분산시켜 혼합한 후, 상기 혼합액을 기판에 코팅하여 얻어진다.
그래핀층 혹은/과 그래핀 복합 재료층은 유연층 혹은/과 유연 다공층보다 우수한 유연성을 구비하고, 그래핀층 혹은/과 그래핀 복합 재료층이 기능층으로 유연한 마스크에 사용할 시, 전체 유연한 패치부의 유연성은 기능층의 설치에 인해 하강되지 않는다. 상기 그래핀층 혹은/과 그래핀 복합 재료층의 강도가 향상되기에, 유연한 패치부를 아무리 구부러지고 당겨지더라도 그래핀층 혹은/과 그래핀 복합 재료층이 손상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일종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20)를 제공하고, 상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는 유연한 패치부(미도시) 및 컨트롤러(212)를 구비한다. 상기 유연한 패치부은 유연층(202), 유연 다공층(206) 및 복수 개 기능층을 구비하고, 상기 유연층(202)과 상기 유연 다공층(206)은 적층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유연층(202)과 유연 다공층(206)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복수 개 주요 기능층(204a)이 분포된 제1 영역 및 복수 개 보조 기능층(204b)이 각기 분포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유연층(202)과 유연 다공층(206) 사이에 설치된다. 복수 개 주요 기능층(204a)은 제1 영역에 대칭되어 분포되고, 복수 개 전극(208)에 있어서 매개 전극(208)은 한 쌍의 대칭되는 부분의 주요 기능층(20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매개 보조 기능층(204b)은 하나의 전극(2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요 기능층(20a)의 개수는 10개이고, 그중 10개 주요 기능층(204a)은 유연한 패치부의 양측에 대칭되어 분포되며, 5개 전극(208)에 대응하여 제2 영역 내의 보조 기능층(204b)의 개수는 3개이다. 매개 전극 (208)은 컨트롤러(212)에 연결된 단부 위치의 왼쪽로부터 오른쪽으로 순서대로 1, 2, 3, 4, 5로 번호가 매겨지고, 전극(208)의 번호에 대응하여, 매 쌍의 대칭되는 주요 기능층(204a)은 위에서 아래로 1, 2, 3, 4, 5로 번호가 매겨지며 전극 (2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영역 내에 있어서, 3개 보조 기능층(204b)은 위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1, 3, 5로 번호가 매겨진 전극(2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인접한 두 개 보조 기능층(20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 전극(208)의 번호 차이가 2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마스크형 미용기 (20)의 기타기능과 구조는 제 1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마스크 형 미용기(10)의 기능과 구조가 동일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사용방법을 제공하고, 그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1: 상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를 제공한다.
단계2: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유연한 패치부를 인체에 부착시킨다. 액체는 물약 혹은 인체에 유익한 다른 액체일 수 있다.
단계3: 컨트롤러를 작동하고, 컨트롤러의 기능 버튼을 선택하며, 유연한 패치부에 전압을 입력시켜, 전류가 생성되어 피부를 자극한다.
단계1에서,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된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10, 20 혹은 30)를 제공한다.
단계2에서,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유연한 패치부를 인체 피부에 부착하기 전에, 액체를 침윤시키는 상기 유연한 패치부를 채용한다.
단계3에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복수 개 기능 버튼이 설치되어 유연한 패치부를 제어한다. 매개 기능 버튼은 전류의 크기, 전류의 주파수, 전류의 입력의 위치 등을 제어하여, 유연한 패치부 내부의 기능층을 제어할 수 있으며, 부동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부동한 기능에 따라 컨트롤러의 기능 버튼에는 주요 기능층을 제어하는 제어 버튼, 보조 기능층을 제어하는 제어 버튼, 주요 기능층 및 보조 기능층을 제어하는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유연한 패치부는 컨트롤러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연한 패치부는 유연층 혹은 유연 다공층의 개구부 위치에 연결 입구를 남겨두어, 컨트롤러가 연결 입구를 통하여 유연한 패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연한 패치부(100)는 필요에 의해 교환할 수 있다. 유연한 패치부(100)는 재사용을 달성하기 위해 세정할 수 있다.
매개의 전극은 한 쌍의 주요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매번 인가되는 전압은 모두 번호가 서로 인접된 두 개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이다. 사용할 시, 1과 2, 2와 3, 3과 4......K-1과 K의 방식을 채용하여 두 개 전극 사이에 주기적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주기적으로 매개 두 개 전극에 대응하는 두 쌍의 기능층 혹은 두 개 기능층에 전압을 입력한다. 두 개 기능층에 전압을 입력하므로 두 개 전극, 두 쌍의 주요 기능층, 상기 두 쌍의 주요 기능층 중 유연한 패치부과 동일한 일측면에 위치하는 두 개 주요 기능층 사이의 인체 피부와 컨트롤러 사이에 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에 전류가 생성되고, 전류가 상기 두 쌍의 주요 기능층 중 유연한 패치부과 동일한 일측에 위치하는 두 개 주요 기능층 사이의 사용자의 인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매 쌍 전극은 잠시 동안 통전시키고 또 잠시동안 전류를 체류시키고 이어서 다음번의 한 쌍의 전류에 전류가 통하게 한다. 즉 매 쌍의 전극의 순환 시간은 통전 시간과 체류 시간의 합계이다. 통전 전압은 필요에 의해 설치되고, 통전할 시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전극 사이의 전압는 20~36V이고, 전압 주파수는 50~100Khz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한 번호의 두 개 전극(108)에 순차적으로 혹는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 1 영역의 다른 위치의 사용자의 피부를 순차적으로 혹는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있다.
컨트롤러는 번호가 서로 인접되지 않은 두 개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두 개 전극의 번호 x와 y의 차이가 2보다 크거나 동일할 시,상기 두 개 전극에 대응하는 두 쌍의 주요 기능층은 유연한 패치부의 동일한 일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기능층 간격을 두고 있다. 두 개 전극, 두 쌍의 주요 기능층, 상기 두 쌍의 주요 기능층 중 유연한 패치부과 동일한 일측면에 있는 두 개 주요 기능층 사이의 사용자의 피부와 컨트롤러 사이에 하나의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두 쌍의 주요 기능층이 유연한 패치부의 동일한 일측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동일한 일측면에 있는 두 개의 주요 기능층 사이의 인체 피부의 저항이 비교적 크고, 이때 생성되는 전류가 매우 작기에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자극을 느낄 수 없다. 한편, 번호가 x와 y인 두 개의 전극이 각기 하나의 보조 기능층에 연결될 때, 전압은 상기 두 개의 전극에 입력되고, 즉, 두 개의 전극, 두 개의 보조 기능층, 상기 두 개의 보조 기능층 사이의 인체 피부와 컨트롤러 사이에 회로가 형성되어 전류를 생성한다.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보조 기능층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전류값이 상대적으로 커서 두 개의 보조 기능층 사이의 인체 피부를 자극할 수 있으며, 즉 제2 영역 내의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가 번호가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기로 선택하면, 주요 기능층 사이의 피부를 자극하지는 않지만 번호가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전극에 대응하는 보조 기능층에 대응하는 인체 피부에 대하여 자극 효과를 발휘한다.
제1 실시예에 제공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를 예로 든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연한 패치부(100) 중의 4쌍 기능층의 번호는 도 2와 같이 도시한다. 컨트롤러의 전류 자극 번호을 작동하고, 1과 2, 2와 3, 3과 4, 4와 5의 순서에 따라 순환되고, 매 쌍의 전극(108)을 통하여 기능층(104)에 전류를 입력하여, 전류 순환을 이용하여 피부를 자극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매 쌍의 전극(108)의 통전 시간은 1s이초, 체류 시간은 1s이 며, 즉 0.2s를 주기로 하여, 먼저 0.1s 동안 통전한 후, 0.1s 동안 체류하여, 순환을 진행한다. 그중, 통전되는 0.1s 동안 내에, 전극(108)의 전압 범위는 20-36V 사이에서 조절되고, 주파수는 90Khz이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 번째, 사람의 인체에 직접 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 자유롭다. 두 번째, 컨트롤러의 제어 회로를 통해 인체의 피부를 선택적으로 자극하여 자극이 필요한 부분을 보다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인체 비대칭을 유발하지 않 는다. 세 번째, 탄소나노튜브층을 기능층으로 채용하고, 탄소나노튜브층은 유연층 혹은/과 유연 다공층보다 우수한 유연성을 구비하고, 전체 유연한 패치부의 유연성은 기능층의 설치에 인해 하강되지 않고, 유연한 패치부는 더욱 밀접히 인체에 부착되기에, 사용자의 체험도가 높다. 네 번째, 탄소나노튜브층을 기능층으로 채용하고, 탄소나노튜브층의 강도가 향상되기에, 유연한 패치부를 아무리 구부러지고 당기거나 혹은 세척해도 탄소나노튜브층이 손상되지 않고, 유연한 패치부는 긴 사용수명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른 변경을 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이루어 진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 20 부착식미세전류 자극기기
100 유연한 패치부
102, 202 유연층
104a, 204a 주요 기능층
104b, 204b 보조 기능층
106, 206 유연 다공층
108, 208 전극
110, 210 개구부
112, 212 컨트롤러
114 연결선
143 탄소나노튜브 단편
145 탄소나노튜브
16 탄소나노튜브선

Claims (9)

  1.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는 유연한 패치부 및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 트롤러는 상기 유연한 패치부를 제어하며,
    상기 유연한 패치부는 유연층, 유연 다공층, 복수 개 기능층, K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층과 상기 유연 다공층은 적층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연층과 유연 다공층에는 각기 서로 눈과 입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상기 유연층과 상기 유연 다공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K쌍의 주요 기능층과 M개 보조 기능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적어도 두 개 영역에 분포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K쌍의 주요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K쌍의 상기 주요 기능층 중 각 한 쌍의 상기 주요 기능층 중 하나가 상기 유연한 마스크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K쌍의 상기 주요 기능층 중 각 한 쌍의 상기 주요 기능층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유연한 마스크의 우측에 위치하여 대칭되어 분포되며,
    상기 제2 영역는 위쪽으로 부터 아래로 M개 보조 기능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의 한 쌍의 주요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K개의 전극 번호은 각기 1,2,3......K로 매겨지고, 번호가 서로 인접된 두 개 전극은 서로 인접된 두 쌍의 주요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조 기능층은 하나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인접된 두 개 보조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전극의 번호가 x와 y이며, x와 y의 차이는 2보다 크거나 동일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K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K개 전극은 상기 유연한 패치부 중의 복수 개 기능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K개의 전극은 상기 유연한 패치부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연결선 내부에서 모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상기 유연한 패치부에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K는 M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탄소나노튜브층이고,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그래핀층이고,상기 그래핀층은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6.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1: 상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는 유연한 마스크 및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연한 마스크를 제어하며, 상기 유연한 마스크는 유연층, 유연 다공층, 복수 개 기능층, K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층과 상기 유연 다공층은 적층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연층과 상기 유연 다공층에는 각기 서로 눈과 입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상기 유연층과 상기 유연 다공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은 K쌍의 주요 기능층과 M개 보조 기능층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전극은 한 쌍의 서로 대칭되어 있는 주요 기능층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 기능층은 하나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K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K개 전극을 통하여 상기 유연한 마스크 중의 상기 복수 개 기능층을 제어하며,
    단계2: 상기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유연한 마스크를 피부에 부착시키고,
    단계3: 상기 컨트롤러를 작동시켜 상기 컨트롤러의 기능 버튼을 선택하며, 상기 유연한 마스크에 전압을 입력시켜, 전류가 생성되어 피부를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사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K개의 전극을 순서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고, 상기 K개의 전극 번호은 각기 1,2,3......K로 매겨지고,번호가 서로 인접된 두 개 전극은 서로 인접된 두 쌍의 주요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인접된 두 개 보조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전극의 번호가 x와 y이며, x와 y의 차이는 2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사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인접한 두 개 전극 사이에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두 개 전극은 두 쌍의 주요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두 쌍의 주요 기능층 사이에 위치하는 피부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 회로가 형성되어 전류를 생성하여 피부를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사용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인접하지 않은 두 개 전극 사이에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두 개 전극의 번호 x와 y의 차이가 2보다 크거나 동일할 때, 상기 두 개 전극은 두 개의 보조 기능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보조 기능층 사이에 위치하는 피부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 회로가 형성되어 전류를 생성하여 피부를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의 사용방법.
KR1020200170881A 2020-01-15 2020-12-08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 KR102590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44331.0 2020-01-15
CN202010044331.0A CN113117233A (zh) 2020-01-15 2020-01-15 贴敷式理疗仪的使用方法
CN202010043624.7 2020-01-15
CN202010043624.7A CN113117231A (zh) 2020-01-15 2020-01-15 贴敷式理疗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668A KR20210092668A (ko) 2021-07-26
KR102590089B1 true KR102590089B1 (ko) 2023-10-16

Family

ID=7359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881A KR102590089B1 (ko) 2020-01-15 2020-12-08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51157B1 (ko)
JP (1) JP7159280B2 (ko)
KR (1) KR102590089B1 (ko)
ES (1) ES2951418T3 (ko)
FI (1) FI3851157T3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9510A (ja) 1999-06-21 2003-06-24 エーバ−リッサ レハトリュオト スキンクレンジングデバイス
US20090048642A1 (en) 2006-02-21 2009-02-19 Teodor Goroszeniuk Neurostimulation
JP2017505188A (ja) 2014-02-04 2017-02-16 ロレアル 少なくとも2つのコンパートメントを含む電気マスク
JP2017108758A (ja) 2015-12-14 2017-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体用電気刺激デバイスと生体用電気刺激装置
CN206275917U (zh) 2016-06-07 2017-06-27 广州三得医疗科技有限公司 用于疼痛康复治疗或预防的可贴覆面部低频理疗面膜
JP2018183480A (ja) 2017-04-27 2018-11-22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4369A1 (fr) * 2014-07-29 2016-02-05 Oreal Masque electrique souple multielectrodes
KR102182169B1 (ko) * 2016-10-06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CN107260390A (zh) * 2017-07-17 2017-10-20 苏州捷迪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美容面罩及其制备方法
CN208838309U (zh) * 2018-03-20 2019-05-10 苏州捷迪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加热面罩
EP3804668B1 (en) * 2019-10-11 2024-01-10 Beijing Funate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Beauty instrument with mask and soft physiotherapy instru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9510A (ja) 1999-06-21 2003-06-24 エーバ−リッサ レハトリュオト スキンクレンジングデバイス
US20090048642A1 (en) 2006-02-21 2009-02-19 Teodor Goroszeniuk Neurostimulation
JP2017505188A (ja) 2014-02-04 2017-02-16 ロレアル 少なくとも2つのコンパートメントを含む電気マスク
JP2017108758A (ja) 2015-12-14 2017-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体用電気刺激デバイスと生体用電気刺激装置
CN206275917U (zh) 2016-06-07 2017-06-27 广州三得医疗科技有限公司 用于疼痛康复治疗或预防的可贴覆面部低频理疗面膜
JP2018183480A (ja) 2017-04-27 2018-11-22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668A (ko) 2021-07-26
JP2021109100A (ja) 2021-08-02
FI3851157T3 (fi) 2023-07-26
EP3851157A1 (en) 2021-07-21
JP7159280B2 (ja) 2022-10-24
EP3851157B1 (en) 2023-06-28
ES2951418T3 (es)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8334B (zh) 貼敷式理療儀
KR102420208B1 (ko)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
KR102354577B1 (ko) 마스크형 미용기기
TWI765219B (zh) 面膜式美容儀
KR102590089B1 (ko) 부착식 미세전류 자극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
TWI822947B (zh) 面膜式美容儀的使用方法
KR102354579B1 (ko) 마스크형 미용기기
KR102354576B1 (ko) 마스크형 미용기기의 사용방법
KR102590090B1 (ko) 마스크형 미용기기 및 그의 사용방법
TWI749450B (zh) 貼敷式理療儀的使用方法
KR102354575B1 (ko) 마스크형 미용기기의 사용방법
KR20210045275A (ko) 마스크형 미용기기
KR20210045276A (ko) 마스크형 미용기기의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