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603B1 -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603B1
KR102589603B1 KR1020210069762A KR20210069762A KR102589603B1 KR 102589603 B1 KR102589603 B1 KR 102589603B1 KR 1020210069762 A KR1020210069762 A KR 1020210069762A KR 20210069762 A KR20210069762 A KR 20210069762A KR 102589603 B1 KR102589603 B1 KR 102589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user
central server
sce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711A (ko
Inventor
김성문
장혜정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김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김기섭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6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B01F33/84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with means for customizing the mixture on the point of sale, e.g. by sensing, receiving or analys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to be m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B01F33/846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using stored recipes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mixture to be produced, i.e. for determining the amounts of the basic components to be dispensed from the componen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5Controlling the mixing process from a remote server, e.g. by sending commands using radio, telephone, internet, local network, GPS or o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6Use of stored recipes for controlling the computer programs, e.g. for manipulation, handling, production or composition in mixing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에는 복수개의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들어 있는 향료용기(10)가 위치한 향수조향장치, 모터(20)에 의한 작동으로 펌핑되어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펌핑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향료용기(10)에 연결된 이송튜브(30), 상기 이송튜브(30)에 연통되고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이송흐름관(40), 상기 이송흐름관(40)을 따라 이동된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수집되는 향료 수용기(50) 및 상기 향료 수용기(50)에 연결되어 별도로 마련된 향수 수용기(60)에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수집될 수 있는 유도흐름관(70)을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향수조향장치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100); 상기 중앙서버(100)와 연동되고 상기 향수조향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00)와 사용자의 안내를 돕는 스피커(400) 및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300)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향의 종류와 향에 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향의 종류에 따라 해당 향을 조향한 복수의 조향사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조향사의 기 저장된 조향법에 따라 상기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펌핑되어 향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PERFUME AUTOMATIC MANUFACTURING SYSTEM WITH AI}
본 발명은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수는 휘발성 물질에서 발산되는 냄새 중에서 사람에게 쾌감을 주는 것을 골라 사용자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향수는 전문 조향사가 여러 가지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배합하여 조향한 것을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것이 통상의 방법이었다.
즉, 현재까지 향수는 제조회사에 소속된 조향사들이 만들었기 때문에 일반인은 손쉽게 향수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향수 제조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동물이나 식물에서 얻은 원료(포마드, 콘크리트, 수지)를 알코올로 정화하여 천연향료의 기본이 되는 에센스 오일 또는 앱솔루트를 만든다.
그리고 천연 향료에 유기합성으로 제조된 인공 향료를 적절히 조합하여 향료 원액(로 머티리얼)을 만든다. 따라서 조향사는 이러한 향료를 조합하여 향수의 원액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을 알코올로 희석하면 완제품이 만들어진다. 이때 필요한 경우에는 숙성과정과 여과과정이 포함되기도 한다.
위에서 언급한 향수제조 방법에 따라 일반인도 다양한 종류의 향료 원액을 적절히 혼합하면 자신이 원하는 향수를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는 향수를 조향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향료 원액이 일반인에게 충분히 공급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향료 원액을 배합하기 위한 적절한 레시피와 장치가 제공되지 않았다.
특히, 향수회사에서 판매하는 향수는 과대한 광고 선전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에게 부담시키기 때문에 실제 가치에 비해 턱없이 비싼 값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대량 생산체제 및 판매관리의 편의를 위해 매우 제한적인 종류만 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 나아가 최근 트랜드는 소비자가 개인별 커스터마화된 향수 갖기를 원하고 있으며, 천편 일률적인 향수의 향은 시대의 트랜드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소비자가 원하는 향수를 제공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향수 제조하는 연구자 역시 종래에 비해 단시간에 향수를 제조 및 연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KR 10-1837471 (2018.03.06 등록)
본 발명은 일률적인 향을 제공하는 향수가 아닌 소비자가 각 개인별 취향에 맞는 향수를 가지거나, 향수 개발자가 짧은 시간에 종래에 비해 다량의 향수를 제조할 수 있는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에는 복수개의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들어 있는 향료용기(10)가 위치한 향수조향장치, 모터(20)에 의한 작동으로 펌핑되어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펌핑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향료용기(10)에 연결된 이송튜브(30), 상기 이송튜브(30)에 연통되고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이송흐름관(40), 상기 이송흐름관(40)을 따라 이동된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수집되는 향료 수용기(50) 및 상기 향료 수용기(50)에 연결되어 별도로 마련된 향수 수용기(60)에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수집될 수 있는 유도흐름관(70)을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향수조향장치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100); 상기 중앙서버(100)와 연동되고 상기 향수조향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00)와 사용자의 안내를 돕는 스피커(400) 및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300)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향의 종류와 향에 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향의 종류에 따라 해당 향을 조향한 복수의 조향사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조향사의 기 저장된 조향법에 따라 상기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펌핑되어 향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맞춤형 향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소비자들이 개별적으로 원하는 조향사의 레시피가 담긴 향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향수 전문가라 할지라도 하루에 10개 내외의 향수를 개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다면 하루에 2000개 이상의 향수를 개발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향수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중앙서버, 디스플레이부, 인체감지센서 및 스피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사용자가 원하는 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향의 종류와 설명이 표시된 화면,
도 5는 사용자가 선택한 향에 대해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조향사 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향수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에는 복수개의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들어 있는 향료용기(10)가 위치하고 있다.
다만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향료용기(10)의 갯수에 따라 단층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향료용기(10)는 향료 원액이 들어있는 용기로써, 원액의 종류에 맞춰 다수개가 구비되고, 통상 유리병 또는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을 담았을 때 물리적ㆍ화학적 영향을 받지 않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플라스틱병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향료 원액을 밀폐할 수 있도록 뚜껑(미도시)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향수용기의 용량은 500mL으로 구성하였으나, 그 용량은 5mL부터 5,000mL까지 축소 또는 확대가 가능하다.
한편, 모터(20)에 의한 작동으로 펌핑되어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펌핑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향료용기(10)에 연결된 이송튜브(30)가 개시된다.
모터(20)는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펌프에 연결되어 펌핑 작용으로 향료용기(10)에 있는 향료 원액이 이송튜브(3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이 모터(20)는 이하 설명할 중앙서버(100)와 연동되어 그 속도 및 작동 시간이 제어된다.
이하 그 작동과정에서 설명하겠지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원하는 조향사 창을 선택하여 해당 향수를 선택하게 되면, 중앙서버(100)에는 이미 각각의 조향사 향수 제조 레시피가 저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펌프 속도 및 작동 시간 제어를 통해 복수개의 원하는 양의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혼합되어 특정의 향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데 해당 펌프의 제어 속도 및 작동 시간이 중앙서버(100)에 기 저장된다.
이송튜브(30)에 연통되고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이송흐름관(40)이 개시된다.
각각의 펌프와 연동되는 모터(20) 작용으로 펌핑된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이송튜브(30)를 따라 이동하고, 그 이동된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하향 경사진 이송흐름관(40) 내부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송흐름관(40)을 따라 이동된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수집되는 향료 수용기(50)가 각각의 층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향료 수용기(50)는 각각의 층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고, 향료용기(10) 갯수가 적은 경우 단수개로 설치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향료 수용기(50)에 연결되어 별도로 마련된 향수 수용기(60)에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수집될 수 있는 유도흐름관(70)이 개시된다.
향수 수용기(6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 향수가 저장되는데, 각각의 층에 설치된 향료 수용기(50)에 1차적으로 수집된 향료가 하방을 향해 연장된 유도흐름관(70)을 따라 향수 수용기(60)에 모이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중앙서버(100), 디스플레이부(200), 인체감지센서(300) 및 스피커(400)의 구성도이다.
향수조향장치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100)가 개시된다.
별도의 중앙서버(100)로 표시하였으나, 이하 설명할 디스플레이부(200)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고,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중앙서버(100)와 연동되고 향수조향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00)와 사용자의 안내를 돕는 스피커(400) 및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300)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부(200), 스피커(400) 및 인체감지센서(300)는 이 중앙서버(100)와 실시간으로 연동된다.
인체감지센서(300)는 일종의 움직임감지센서로 향수조향장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거리 예를 들면 1m 이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그 센싱된 신호가 중앙서버(100)로 전송된다.
해당 움직임이 감지된 신호가 중앙서버(100)로 전송되면 중앙서버(100)는 스피커(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메시지를 송출한다.
예를 들면, "어서 오세요. 오드리 향수자동 제조기입니다. 어떤 타입의.향수를 원하는지 번호를 터치해주세요" 라는 식의 안내메시지가 스피커(400)를 통해 송출된다.
그와 동시에 중앙서버(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에 작동 'ON' 신호를 송신하여 디스플레이부(200)가 켜지도록 제어한다.
즉, 향수조향장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서 사용자가 인체감지센서(300)에 의해 센싱된 경우 그 신호는 중앙서버(100)로 전송되고, 중앙서버(100)는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 화면 'ON'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스피커(400) 측으로 기 저장된 안내멘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0)에는 향의 종류와 향에 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른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라즈베리파이화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타입의 향수가 번호대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통해 일률적으로 판매되는 향수가 아닌 사용자에게 맞추어지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고유의 향수를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플로럴'이라는 향에 대해 '여성스럽고 사랑스러우며 부드러운 꽃향기'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향의 종류에 따라 해당 향을 조향한 복수의 조향사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조향사의 기 저장된 조향법에 따라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펌핑되어 향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사용자가 선택한 향에 대해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조향사 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러스' 향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향 레시피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향료회사조향사' 창을 선택하게 되면, 중앙서버(100)에는 이미 '시트러스' 향에 대해 '향료회사조향사'가 제조한 레시피가 저장되어 있다.
이 레시피에 따라 선정된 복수개의 향수와 각각의 향료용기(10)에 연결된 모터(20)의 기 저장된 속도 및 작동시간에 의해 설정된 양이 혼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그 작동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라즈베리파이 화면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타입의 향수가 번호대로 보여준다.
사용자기 임의의 향수 번호를 선택하게 되면, 중앙서버(100)와 연동된 스피커(400)는 "어떤 조향사의 작품을 원하시나요? 좋아하는 조향사를 터치해주세요" 라는 안내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송출한다.
즉, 라즈베리파이 화면의 번호를 터치하면 화면 바로 옆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조향사얼굴 창과 선택한 향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임의의 조향사 창을 터치하면 라즈베리파이가 96개의 향료병에 담겨 있는 선택한조향사의 향료 에해당하는 모터(20)를 작동시켜 펌핑을 하게 되고, 향료는 향료수용기를 통과해서 최종적으로 향수 수용기(60)를 통해 향수병에 담기게 된다.
이를 위해 중앙서버(100)에는 복수의 조향사들에 대한 선정된 향료 용기와 이 향료 용기에 연결된 모터(20)의 속도 및 작동시간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하면 중앙서버(100)는, 각각의 향료용기(10)에 연결된 이송튜브(30)를 따라 펌핑되도록 하는 모터(2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복수의 조향사에 의한 향수가 각각 제조되도록 모터(20)의 속도 제어로 펌핑되는 향료의 부피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의 조향사 창 선택시, 기 저장된 모터(20)의 속도 제어 및 작동시간으로 향수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중앙서버(100)에 저장된 조향사의 개별적인 향수 제조 레시피 이외에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각각의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을 펌핑하는 모터(20)의 작동을 제어하여 개별적인 향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사용자창이 생성될 수 있고, 해당 사용자창 선택시 사용자는 중앙서버(100)에 기 저장된 조향사의 레시피 이외에 별도의 향수를 제조할 수 있는 기능도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100 : 중앙서버 200 : 디스플레이부
300 : 인체감지센서 400 : 스피커

Claims (5)

  1.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에는 복수개의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들어 있는 향료용기(10)가 위치한 향수조향장치, 모터(20)에 의한 작동으로 펌핑되어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펌핑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향료용기(10)에 연결된 이송튜브(30), 상기 이송튜브(30)에 연통되고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이송흐름관(40), 상기 이송흐름관(40)을 따라 이동된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수집되는 향료 수용기(50) 및 상기 향료 수용기(50)에 연결되어 별도로 마련된 향수 수용기(60)에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수집될 수 있는 유도흐름관(70)을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향수조향장치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100);
    상기 중앙서버(100)와 연동되고 상기 향수조향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00)와 사용자의 안내를 돕는 스피커(400) 및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300)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향의 종류와 향에 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향의 종류에 따라 해당 향을 조향한 복수의 조향사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조향사의 기 저장된 조향법에 따라 상기 향수 원액 또는 희석액이 펌핑되어 향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수조향장치에 대해 설정된 거리 내에서 사용자가 상기 인체감지센서(300)에 의해 센싱된 경우 그 신호는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서버(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 화면 ON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400) 측으로 기 저장된 안내멘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향의 종류와 향에 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원하는 향의 선택에 대한 안내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100)는,
    상기 각각의 향료용기(10)에 연결된 이송튜브(30)를 따라 펌핑되도록 하는 모터(2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복수의 조향사에 의한 향수가 각각 제조되도록 상기 모터(20)의 속도와 작동시간의 제어로 펌핑되는 향료의 부피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의 조향사 창 선택시, 기 저장된 모터(20)의 속도 제어 및 작동시간을 기초로 향수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5. 삭제
KR1020210069762A 2021-05-31 2021-05-31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KR10258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762A KR102589603B1 (ko) 2021-05-31 2021-05-31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762A KR102589603B1 (ko) 2021-05-31 2021-05-31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711A KR20220161711A (ko) 2022-12-07
KR102589603B1 true KR102589603B1 (ko) 2023-10-16

Family

ID=8444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762A KR102589603B1 (ko) 2021-05-31 2021-05-31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6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471B1 (ko) 2017-07-26 2018-04-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아두이노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향수 조향 자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782A (ja) * 2003-10-08 2005-04-28 Hitachi Ltd 混合液製造装置
KR102659289B1 (ko) * 2018-12-26 2024-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318524B1 (ko) * 2019-11-07 2021-10-29 권영민 염모제 배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471B1 (ko) 2017-07-26 2018-04-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아두이노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향수 조향 자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711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ung Smelling matter
JP5996157B2 (ja) フレグランス組成物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EP2084255B1 (en) Fragrance compositions
US10817918B2 (en) System for creating custom fragrances
KR102589603B1 (ko) Ai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시스템
DE102020105854A1 (de) Eingebettete fahrzeuginterne plattform zum bereitstellen von immersiven benutzererlebnissen
US20210187148A1 (en) Interactive aroma dispensing system
Bordegoni et al. Improving multisensory user experience through olfactory stimuli
Nakamoto Olfactory display and odor recorder
US20060046241A1 (en) Recognition of scents in fragrances
CN108473922A (zh) 用于自制个人护理产品和家用清洁剂的设备
Rindisbacher What's this Smell? Shifting Worlds of Olfactory Perception
David et al. Industrial Fragrance Chemistry: A Brief Historical Perspective
KR20230059312A (ko)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향수 자동 제조 및 향취 평가하는 장치
Deroy Olfactory abstraction: a communicative and metacognitive account
Ranne Designing for multi-sensory experiences in the built environment
JP7285106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FR3052033A1 (fr) Applicateur cosmetique
McGuire Sense in the (smart) city: Where personalisation is the political
Wahajuddin INTERIOR SPACE PERCEPTION BY PREDICTABILITY OF OLFACTORY PREFERENCES
KR102324474B1 (ko)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Perullo et al. Re-humanizing Smell: A Conversation
Hughes et al. Design as a means of exploring the emotional component of scent
KR102435419B1 (ko) 실시간 향기 조성물 제조가 가능한 디스펜서 장치
KR20050075063A (ko) 인터넷을 통한 조향 방법과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