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474B1 -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 Google Patents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474B1
KR102324474B1 KR1020200136720A KR20200136720A KR102324474B1 KR 102324474 B1 KR102324474 B1 KR 102324474B1 KR 1020200136720 A KR1020200136720 A KR 1020200136720A KR 20200136720 A KR20200136720 A KR 20200136720A KR 102324474 B1 KR102324474 B1 KR 102324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capsule
ethanol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김유진
황동빈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05B11/0081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and for mixing the components in a common container as a mixture ready for use before discharging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10Analysis or design of chemical reactions, syntheses or proces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30Prediction of properties of chemical compounds, compositions or 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며, 서랍 형식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향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복수의 향료 캡슐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수납홀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2 서보모터와, 제1,2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제1,2 피니언 기어와, 제1,2 피니언기어와 연결되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2 래크와, 제1,2 래크 단부에 결합되어 직선 운동시 상기 향료 캡슐에 압력을 가하는 제1,2 누름부를 구비하는 제1,2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에탄올 탱크와 워터펌프가 구비되는 상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누름부와 제2 누름부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향료 캡슐 상부의 고무패킹이 캡슐 하부로 내려오면서 액상의 향료를 하부의 배출홀을 통하여 공급받고, 상기 에탄올 탱크 내부의 에탄올을 공급받는 용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Perfume manufacturing and aroma diffusion device}
본 발명은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향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된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불황 속 개인의 스트레스와 함께 '욜로(YOLO)족'이 증가하면서 요즘 시대의 소비트렌드 중 하나로 '셀프 기프팅(Self Gifting)' 문화가 떠오르고 있다. '셀프 기프팅' 문화란 자신을 위한 보상 차원에서 스스로를 위한 지출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에 따른 심리적인 요인으로 'I-conomy'라는 키워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셀프 기프팅 문화와 함께 사람들은 평소에 사지 않던 명품 옷이나 향수 등에 가감 없는 소비를 하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점점 국내외 향수시장의 규모가 현저히 커지고 있다. 니치향수, 젠더리스 향수, 레이어드 향수 등 향수는 이제 향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닌 패션의 일부로 자리 잡게 되어 향수 공방, 향수 diy 등 '자신만의 향수 만들기'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생겨나며 이에 관련한 많은 컨텐츠 시장도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향수를 만드는 장치가 어렵지 않은 반면, 사람들이 향수를 집에서 직접 즐길 수 있는 장치는 많지 않다. 조향을 집에서 하기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향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도 많고, 향료의 종류는 어마어마하게 많을뿐더러 향료의 가격 또한 10ml에 1~2만원이 넘나들어 구매하는데 비용이 꽤 많이 든다. 또한 향료를 구매하여도 향수에 직접적으로 들어가는 향료의 양은 정말 적기 때문에 남은 향료는 처치하기 곤란한 상황이 오게 됨과 더불어 준비하고 만들고 치우는 것 까지 너무 번거로워 소비자들이 향을 즐기는 것이 일회성으로 그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불편함과 애로사항을 해결시키고 사용자들이 조향을 통해 즐거움을 얻을 수 있도록 타겟층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커스터마이징하여 제작할 수 있는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008215(2005년01월21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2구동부에 의해 복수의 향료를 용기부에 배출시키고, 에탄올 탱크를 제어하여 에탄올을 용기부에 공급하여 향료와 에탄올을 희석시켜 커스터마이징된 천연 향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자연 향수에 의해 실내 방향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며, 서랍 형식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향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복수의 향료 캡슐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수납홀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서보모터와, 제1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제1 피니언 기어와, 제1 피니언기어와 연결되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래크와, 제1 래크 단부에 결합되어 직선 운동시 상기 향료 캡슐에 압력을 가하는 제1 누름부를 구비하는 제1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제1 구동부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2 서보모터와, 제2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제2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기어와 연결되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래크와, 제2 래크 단부에 결합되어 직선 운동시 상기 제1 누름부가 압력을 가하는 향료 캡슐과 다른 향료 캡슐에 압력을 가하는 제2 누름부를 구비하는 제2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에탄올 탱크와 워터펌프가 구비되는 상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누름부와 제2 누름부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향료 캡슐 상부의 고무패킹이 캡슐 하부로 내려오면서 액상의 향료를 하부의 배출홀을 통하여 공급받고, 상기 에탄올 탱크 내부의 에탄올을 공급받는 용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워터펌프 제어에 의한 에탄올 탱크 내부의 에탄올의 공급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1,2 래크의 단부가 향료 캡슐을 가압하여 배출되는 향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2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1,2 구동부의 구동시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누름부와 제2 누름부는 향료 캡슐 내부의 고무패킹을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관리앱을 통하여 원격 제어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관리앱을 통하여 향료 캡슐을 가압하는 제1,2 래크의 직선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보모터의 구동속도를 원격 제어하며, 상기 향료 캡슐을 통하여 배출되는 향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고, 에탄올 탱크와 결합되는 워터펌프의 펌핑속도를 원격 제어하여, 에탄올 탱크 내부의 에탄올이 용기부로 공급되는 에탄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는, 복수의 향료를 용기부에 배출시키고, 에탄올 탱크를 제어하여 에탄올을 용기부에 공급하여 향료와 에탄올을 희석시켜 커스터마이징된 천연 향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자연 향수에 의해 실내 방향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정용으로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집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퓨저, 섬유탈취제, 모기기피제, 방향제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점을 보아 활용가능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프린터의 잉크 같이 '향료 캡슐화'를 통하여 제품과 더불어 향료 캡슐까지 판매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았을 때 사업 확장성이 있으며, 커스터마이징된 향수 제조에 의해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에서 향료 캡슐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본체부의 내부 일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본체부의 내부 일부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 5는 관리앱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에서 향료 캡슐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본체부의 내부 일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본체부의 내부 일부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이며, 도 5는 관리앱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0), 수납부(23), 제1 구동부(미도시), 제2 구동부(미도시), 상체부(40), 용기부(5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100)의 몸체를 이루며, 내부 공간을 갖고, 대략 원통이나 다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내부에는 향료를 용기부(50)에 배출하기 위한 제1,2 구동부가 구비된다.
수납부(23)는 본체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일부 공간을 서랍 형식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서랍 형식으로 열었을 때 내측에는 향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복수의 향료 캡슐(25)을 수납할 수 있도록 넓은 판 위에 복수의 수납홀(24)이 형성된다.
즉, 수납부(23)에는 향료 캡슐(25) 하나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홀(24)이 여러 개 형성되어 있고, 각 수납홀(24)에 향료 캡슐(25)을 각각 적재하고, 제1,2 구동부(미도시) 동작에 의해 복수의 향료를 용기부(5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향료 캡슐(25)은 하부에 배출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상의 향료를 저장하고, 상부에는 주사기 원리로, 캡슐 상부에 삽입되는 고무패킹(26)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압력에 의해 향료가 배출홀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향료 캡슐(25)의 상측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수납홀(24)에 적재시 수납홀(24)에 안착되어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제1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서보모터(servo motor, 13)와, 제1 서보모터(13)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제1 피니언 기어(12)와, 제1 피니언기어(12)와 연결되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래크(11)와, 제1 래크(11)의 단부에 결합되어 직선 운동시 상기 향료 캡슐(25)에 압력을 가하는 제1 누름부(17)를 구비한다.
제2 구동부는 본체부(10)의 내부에 제1 구동부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2 서보모터(16)와, 제2 서보모터(16)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제2 피니언 기어(15)와, 제2 피니언기어(15)와 연결되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래크(14)와, 제2 래크(14) 단부에 결합되어 래크의 직선 운동시 상기 제1 누름부(17)가 압력을 가하는 향료 캡슐(25)과 다른 향료 캡슐(25)에 압력을 가하는 제2 누름부(18)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서보모터(13)와 제2 서보모터(16) 구동에 의해 제1 피니언기어(12)와 제2 피니언 기어(15)에 연결되어 각각 직선운동을 하는 제1 래크(11)와 제2 래크(14)는 상하부의 일정 거리를 왕복할 수 있다.
제1 누름부(17)와 제2 누름부(18)는 향료 캡슐(25) 내부에 밀착 배치된 고무패킹(26)을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체부(10) 내부에 구비되는 제1,2 구동부에 추가로 제3,4 구동부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각 구동부가 각 향료 캡슐(25) 하나를 가압하여 향료를 용기부에 배출함으로써, 복수의 향료를 에탄올과 섞어 커스터마이징된 다양한 향수를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부(10) 전면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1,2 구동부의 구동시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체부(40)는 본체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에탄올 탱크(20)와 워터펌프(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체부(40)의 상부에는 에탄올 탱크(20) 내부에 에탄올을 주입할 수 있는 캡(41)이 마련된다.
용기부(50)는 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누름부(17)와 제2 누름부(18)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향료 캡슐(25) 상부의 고무패킹(26)이 캡슐 하부로 내려오면서 액상의 향료를 하부의 배출홀(미도시)을 통하여 공급받고, 상기 에탄올 탱크(20) 내부의 에탄올을 공급받는다.
수납부(23)의 양측에 긴 막대 형상으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받침 형태로 이루어진 적재부(30)가 구비된다.
적재부(30)는 받침 형태 위에 용기부(50)가 적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기부(50)를 적재부(30)에 적재시, 향료 및 에탄올이 배출되는 위치를 고정시키며, 용기부(50) 청소 등 필요시 적재부(30)에서 용기부(50)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나아가 본체부(10) 내부에는 워터펌프 제어에 의한 에탄올 탱크(20) 내부의 에탄올의 공급량 및 제1,2 래크(11, 14)의 가압에 의해 배출되는 향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제1,2 서보모터(13, 16)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제1,2 서보모터(13, 16)의 구동속도, 위치, 토크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는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관리앱을 통하여 원격 제어하기 위해 블루투스, NFC, 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예컨대 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와 같은 제어보드가 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앱을 통하여 향료 캡슐(25)을 가압하는 제1,2 래크(11, 14)의 직선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제1,2 서보모터(13, 16)의 구동속도를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료 캡슐(25)을 통하여 배출되는 향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관리앱을 통하여 에탄올 탱크(20)와 결합되는 워터펌프의 펌핑속도를 원격 제어하여, 에탄올 탱크(20) 내부의 에탄올이 용기부(50)로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워터펌프는 호스를 통하여 용기부에 에탄올을 공급할 수 있으며, 워터펌프는 에탄올 탱크(2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 및 워터펌프를 통하여 각각 향료 배출량과 에탄올 공급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서보모터 제어시 래크와 피니언 기어의 톱니개수를 고려하여 톱니 1개당 배출되는 향료의 배출량을 체크하여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크의 톱니 간격이 3mm이고, 래크와 고무패킹(26)과의 거리가 15 mm 인 경우 톱니 5개를 움직여 고무패킹(26)에 닿게 되고, 향료 캡슐(25) 내에서 최대로 고무패킹(26)이 내려갈 수 있는 길이가 24mm 인 경우 톱니 8개를 움직여야 하는데, 이를 결과적으로 계산하면 향료 캡슐(25) 내 들어가는 향료의 양이 0.9g이라면 톱니 1개당 약 0.1125g의 향료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피니언 기어의 톱니 한 개가 회전하는 각도를 계산하여 향료 배출량을 계산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서보모터의 구동속도, 위치, 토크나 워터펌프의 펌핑속도와 같이, 향료 배출량과 에탄올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어되는 제어데이터에 대해 수집하고, 제어데이터에 따른 향료 배출량과 에탄올 공급량의 오차 등을 학습할 수 있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된 구동속도에 따른 배출량과 다른 배출량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입력변수로 하여 학습시키고, 예측모델에 의해 예측된 적정 배출량을 갖도록 구동속도를 보정함으로써, 정밀한 서보모터 제어에 의해 정확한 배출량으로 향료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향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예측모델은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예측 알고리즘으로, 예컨대 층 신경망(DNN)을 사용하거나 합성곱신경망(CNN) 또는 순환신경망(RNN) 방식, 서포터 벡터 머신(SVM : Support Vecto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2 서보모터(13, 16)의 구동 속도 오차 또는 오작동에 대한 미세한 보정이 이루어져, 예측모델에 의한 학습이 거듭될수록 예측 정확도가 향상되어 예측된 구동 속도에 따른 배출량 오차 범위가 줄어들어 향료 배출량의 오차 및 오작동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나아가 정밀한 서보모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10 ; 본체부
11 ; 제1 래크
12 ; 제1 피니언기어
13 ; 제1 서보모터
14 ; 제2 래크
15 ; 제2 피니언기어
16 ; 제2 서보모터
17 ; 제1 누름부
18 ; 제2 누름부
20 ; 에탄올 탱크
22 ; 호스
23 ; 수납부
24 ; 수납홀
25 ; 향료 캡슐
26 ; 고무패킹
30 ; 적재부
40 : 상체부
41 ; 캡
50 ; 용기부
60 ; 엘이디
100 ;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Claims (5)

  1.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며, 서랍 형식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향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복수의 향료 캡슐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수납홀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서보모터와, 제1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제1 피니언 기어와, 제1 피니언기어와 연결되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래크와, 제1 래크 단부에 결합되어 직선 운동시 상기 향료 캡슐에 압력을 가하는 제1 누름부를 구비하는 제1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제1 구동부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2 서보모터와, 제2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제2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기어와 연결되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래크와, 제2 래크 단부에 결합되어 직선 운동시 상기 제1 누름부가 압력을 가하는 향료 캡슐과 다른 향료 캡슐에 압력을 가하는 제2 누름부를 구비하는 제2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에탄올 탱크와 워터펌프가 구비되는 상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누름부와 제2 누름부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향료 캡슐 상부의 고무패킹이 캡슐 하부로 내려오면서 액상의 향료를 하부의 배출홀을 통하여 공급받고, 상기 에탄올 탱크 내부의 에탄올을 공급받는 용기부
    를 포함하는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워터펌프 제어에 의한 에탄올 탱크 내부의 에탄올의 공급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1,2 래크의 단부가 향료 캡슐을 가압하여 배출되는 향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2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1,2 구동부의 구동시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름부와 제2 누름부는 향료 캡슐 내부의 고무패킹을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관리앱을 통하여 원격 제어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관리앱을 통하여 향료 캡슐을 가압하는 제1,2 래크의 직선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보모터의 구동속도를 원격 제어하며, 상기 향료 캡슐을 통하여 배출되는 향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고,
    에탄올 탱크와 결합되는 워터펌프의 펌핑속도를 원격 제어하여, 에탄올 탱크 내부의 에탄올이 용기부로 공급되는 에탄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KR1020200136720A 2020-10-21 2020-10-21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KR102324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20A KR102324474B1 (ko) 2020-10-21 2020-10-21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20A KR102324474B1 (ko) 2020-10-21 2020-10-21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474B1 true KR102324474B1 (ko) 2021-11-09

Family

ID=7861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720A KR102324474B1 (ko) 2020-10-21 2020-10-21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4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215A (ko) 2003-07-14 2005-01-21 고정원 향수 자동 분사장치
KR101778437B1 (ko) * 2016-04-18 2017-09-13 희엽 정 피부 측정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디스펜서
KR101838950B1 (ko) * 2016-07-13 2018-03-15 (주)아모레퍼시픽 개인용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KR20190138546A (ko) * 2018-06-05 2019-12-13 희엽 정 화장품 디스펜서
KR20200080492A (ko) * 2018-12-26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215A (ko) 2003-07-14 2005-01-21 고정원 향수 자동 분사장치
KR101778437B1 (ko) * 2016-04-18 2017-09-13 희엽 정 피부 측정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디스펜서
KR101838950B1 (ko) * 2016-07-13 2018-03-15 (주)아모레퍼시픽 개인용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KR20190138546A (ko) * 2018-06-05 2019-12-13 희엽 정 화장품 디스펜서
KR20200080492A (ko) * 2018-12-26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950B1 (ko) 개인용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US117710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and monitoring growth of plants
US11026433B2 (en) 3D-printer system with object detection sensors
JP6639504B2 (ja) 化粧製品を分配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6231032B1 (en) Sense-simile transmission machine having a rotating cylinder with cartridges for dispensing substances onto a reciprocating carrier
US10849406B2 (en) System for dispensing at least one makeup product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evaluating makeup
US9101676B2 (en) Method of operating a volatile material dispenser
US10925377B2 (en) Dispensing system having at least two outlet interfaces
US20190307170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cisely Vaporize Liquid Chemicals
US20130262345A1 (en) Personalized dispenser system
US20200078485A1 (en) Providing user-selected fragrance blends
JP2020520779A (ja) 芳香剤のための容器のまたは芳香剤のための容器に関する改善
KR102324474B1 (ko) 향수 제조 및 방향 장치
US11225373B2 (en) Assembly comprising an airbrush
US20230127741A1 (en) Machine for dispensing a controlled amount of a cosmetic composition
WO2020035244A1 (en) Intelligent scent diffuser
CN106904300A (zh) 一种用于香薰机的定量加注装置
US11938630B2 (en) Edible soft robotic systems and methods
CN206734682U (zh) 用于香薰机的定量加注装置
KR20220036150A (ko) 실시간 향기 조성물 제조 장치
KR102435419B1 (ko) 실시간 향기 조성물 제조가 가능한 디스펜서 장치
EP4041459A1 (en) Containers for fragrances
FR3052033A1 (fr) Applicateur cosmetique
KR20200103588A (ko) 지속형 방향부를 갖는 온디맨드 스프레이형 방향 디퓨져
KR20200027607A (ko) 단말기의 스마트 디퓨저 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