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143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9143B1 KR102589143B1 KR1020160039484A KR20160039484A KR102589143B1 KR 102589143 B1 KR102589143 B1 KR 102589143B1 KR 1020160039484 A KR1020160039484 A KR 1020160039484A KR 20160039484 A KR20160039484 A KR 20160039484A KR 102589143 B1 KR102589143 B1 KR 102589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flow
- temperature
- display
- display device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과 패널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며, 후면 케이스와 회로부 사이의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전면 케이스와 패널 사이의 제2 에어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 후면 케이스에 배치되며, 외기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 모듈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외부에 설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 설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한편, 상업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외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치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 설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과 패널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며, 후면 케이스와 회로부 사이의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전면 케이스와 패널 사이의 제2 에어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 후면 케이스에 배치되며, 외기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과 패널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며, 후면 케이스와 회로부 사이의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전면 케이스와 패널 사이의 제2 에어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 후면 케이스에 배치되며, 외기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 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외부에 설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패널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제2 에어 플로우를 형성함으로써, 패널 주변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패널의 온도와, 회로부의 온도가 모두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제1 및 제2 에어 플로우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패널 및 회로부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전면 케이스 또는 후면 케이스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간편하게,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제2 에어 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부를 통해,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제2 에어 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제2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회동하는 회동부를 구비함으로써, 간편하게,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제2 에어 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면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팬 모듈과, 후면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팬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외기를 공급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5c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5c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의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고, 뉴스, 공지 사항 등의 정보 제공을 위해, 차량 내, 터미널, 기차역, 공항 등에 설치 가능하다. 또한, 특정 물품의 광고를 위해, 백화점 등의 매장 내의 쇼 윈도우 주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8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유저(user)(50)는, 도면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야외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특히, 주간의 경우, 디스플레이(180) 주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 설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패널의 전면과 패널의 후면의 에어 플로우(air flow)를 구분할 수 있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는, 디스플레이(18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며, 후면 케이스(103)와 회로부(180b) 사이의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전면 케이스(101)와 패널(180a) 사이의 제2 에어 플로우(Path2)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180a)과 패널(180a)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180b)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180), 디스플레이(18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며, 후면 케이스(103)와 회로부(180b) 사이의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전면 케이스(101)와 패널(180a) 사이의 제2 에어 플로우(Path2)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 후면 케이스(103)에 배치되며, 외기를 디스플레이(180)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 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외부에 설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패널(180a) 온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패널(180a)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제2 에어 플로우(Path2)를 형성함으로써, 패널(180a) 주변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패널(180a)의 온도와, 회로부(180b)의 온도가 모두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제1 및 제2 에어 플로우(Path2)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패널(180a) 및 회로부(180b)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195b)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전면 케이스(101) 또는 후면 케이스(103)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195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간편하게,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제2 에어 플로우(Path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는, 복수의 개구부(194a~194d)를 포함하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95m)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부(194a~194d)를 통해,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제2 에어 플로우(Path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는,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제2 에어 플로우(Path2)를 형성하도록 회동하는 회동부를 구비함으로써, 간편하게,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제2 에어 플로우(Path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면 케이스(10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팬 모듈(196)과, 후면 케이스(10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팬 모듈(198)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외기를 공급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의 동작 등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메모리(14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전원 공급부(190),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 제1 온도 감지부(191), 제2 온도 감지부(193), 제1 팬 모듈(196)과, 제2 팬 모듈(198)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HDMI 단자, RGB 단자, 컴포넌트 단자, USB 단자, 마이크로 S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LCD, OLED, PDP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등을 포함하는 로컬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되는 비디오 영상, 또는 통신 모듈(135)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영상을, 출력 영상으로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소정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할 비디오 영상에 대응하는 R,G,B 신호를, 디스플레이(180)fh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9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는, 디스플레이(18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며, 후면 케이스(103)와 회로부(180b) 사이의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전면 케이스(101)와 패널(180a) 사이의 제2 에어 플로우(Path2)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1 온도 감지부(191)는, 패널(180a)의 온도를 감지하며, 제2 온도 감지부(193)는, 회로부(180b)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온도 감지부(191)에서 감지된 제1 온도와, 제2 온도 감지부(193)에서 감지된 제2 온도는, 각각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 기초하여, 제1 팬 모듈(196)과, 제2 팬 모듈(198)의 동작 및,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팬 모듈(196)과, 제2 팬 모듈(198)는, 각각 팬(196a,196b)과, 팬 회전을 위한 팬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팬 모듈(196)과, 제2 팬 모듈(198) 중 어느 하나는, 외기를 디스플레이(18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내부의 내기를 외부로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팬 모듈(196)과, 제2 팬 모듈(198)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 제1 온도 감지부(191), 제2 온도 감지부(193), 제1 팬 모듈(196)과, 제2 팬 모듈(198) 등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면 케이스(101), 하면 케이스(102), 후면 케이스(103), 상면 케이스(104)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01), 하면 케이스(102), 후면 케이스(103), 상면 케이스(104)는,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80)의 보호를 위해, 금속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잇다.
전면 케이스(101)의 일부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전면 글래스(105)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면 글래스(105)의 크기 및 위치는, 디스플레이(180)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면 글래스(105)의 크기는, 디스플레이(180)의 패널(180a)의 사이즈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면 케이스(103)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개구에, 팬 모듈(198,196)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팬 모듈(196)과, 제2 팬 모듈(198)은, 각각 후면 케이스(103)의 하부, 및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팬(196a,198a) 및 팬 회전을 위한 팬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패널(180a)과 패널(180a)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180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후면 케이스(103)와 회로부(180b) 사이, 및 전면 케이스(101)와 패널(180a)에 각각, 도면과 같이, 에어 갭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에어 갭에, 에어 플로우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는, 디스플레이(18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며, 후면 케이스(103)와 회로부(180b) 사이의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전면 케이스(101)와 패널(180a) 사이의 제2 에어 플로우(Path2)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가, 디스플레이(180)의 하단에 배치되며,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195b)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전면 케이스(101) 또는 후면 케이스(103)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195a)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회전부(195b)에 형성된 요철 형상이, 이동부(195a)에 형성된 요철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을 예시하며, 이에 따라, 회전부(195b)에 대응하여, 이동부(195a)가 전면 케이스(101) 또는 후면 케이스(10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가, 도면과 같이, 전면 케이스(101)에 접촉하는 경우, 제1 팬 모듈(196)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는, 후면 케이스(103)와 회로부(180b) 사이를 통과하여, 상부의 제2 팬 모듈(198)을 통해, 외부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 중 특히 회로부(180b)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가, 이동하여, 후면 케이스(101)에 접촉하는 경우, 제1 팬 모듈(196)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는, 후전면 케이스(101)와 패널(180a) 사이를 통과하여, 상부의 제2 팬 모듈(198)을 통해, 외부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 중 특히 패널(180a)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후면 케이스(103)와 회로부(180b) 사이의 공기 흐름을 제1 에어 플로우(Path1)라 명명하고 전면 케이스(101)와 패널(180a) 사이의 공기 흐름을 제2 에어 플로우(Path2)라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제1 온도 감지부(191)는, 패널(180a)에 부착되어, 패널(180a)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2 온도 감지부(193)는, 회로부(180b)에 부착되어, 회로부(180b)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회로부(180b) 내에, 도 2 등에서 기술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메모리(140), 제어부(170), 전원 공급부(190) 등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후면 케이스(103)에 배치되며, 외기를 디스플레이(180)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 모듈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1 팬 모듈(196) 및 제2 팬 모듈(198) 중 어느 하나가 외기를 디스플레이(180)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다른 하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내기를 외부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가,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 사이에 배치되어,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가, 제1 에어 플로우(Path1) 형성을 위해, 전면 케이스(10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면 케이스(101)에 접촉하며, 제2 에어 플로우(Path2) 형성을 위해, 후면 케이스(103)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면 케이스(103)에 접촉하며, 제1 및 제2 에어 플로우(Path2)의 동시 형성을 위해,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1 온도 감지부(191)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제2 에어 플로우(Path2) 형성을 위해 동작하도록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1 온도 감지부(191)에서 감지된 제1 온도와, 제2 온도 감지부(193)에서 감지된 제2 온도에 따라,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제2 에어 플로우(Path2)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1 온도와 제2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제1 및 제2 에어 플로우(Path2)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1 온도가 제2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2 에어 플로우(Path2)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패널(180a)의 상부의 온도가 하부의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2 팬 모듈(192)이 외기를 디스플레이(180)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제1 팬 모듈(196)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내기를 외부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5c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가, 전면 케이스(10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면 케이스(101)에 접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1 팬 모듈(196)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Pin)가, 내부로 유입되며, 형성되는 제1 에어 플로우(Path1)를 거쳐, 제2 팬 모듈(198)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 중 특히 회로부(180b)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b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가,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1 팬 모듈(196)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Pin)가, 내부로 유입되며, 형성되는 제1 에어 플로우(Path1), 및 제2 에어 플로우(Path2)를 거쳐, 제2 팬 모듈(198)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 중 패널(180a)와, 회로부(180b)의 온도를 모두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c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가, 후면 케이스(103)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면 케이스(103)에 접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1 팬 모듈(196)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Pin)가, 내부로 유입되며, 형성되는 제2 에어 플로우(Path2)를 거쳐, 제2 팬 모듈(198)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 중 패널(180a)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d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가,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2 팬 모듈(198)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Pin)가, 내부로 유입되며, 형성되는 제3 에어 플로우(Path3), 및 제4 에어 플로우(Path4)를 거쳐, 제1 팬 모듈(196)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 중 패널(180a)와, 회로부(180b)의 온도를 모두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d는, 도 4b와 공기 흐름이 반대인 경우로서, 제1 팬 모듈 및 제2 팬 모듈의 팬 회전 방향이, 도 4b의 역 방향일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패널(180a)의 상부의 온도가 하부의 온도 보다 높은 경우, 도 4d와 같이, 제2 팬 모듈(198)이 외기를 디스플레이(180)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제1 팬 모듈(196)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내기를 외부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m)는, 디스플레이(18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3) 사이에 접촉될 수 있다.
에어 플로우 가변부(195m)는,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회전 부재 내에, 특히, 일정 영역에, 복수의 개구부(194a~194d)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a는 제1 및 제4 개구부(194a,194d)가, 디스플레이(180)의 하부에 대응하여, 막힌 것을 예시하며, 제2 및 제3 개구부(194b,194c)가, 후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4a와 같이, 제1 에어 플로우(Path1)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5b는, 회전 부재가 회전하여, 제2 및 제3 개구부(194b,194c)의 일가, 디스플레이(180)의 하부에 대응하여, 막힌 것을 예시하며, 제1 및 제4 개구부(194a,194b)가, 각각, 후면 방향, 및 전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4b와 같이, 제1 에어 플로우(Path1)와 제2 에어 플로우(Path2)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5c는, 회전 부재가 회전하여, 제1 및 제4 개구부(194a,194d)가, 디스플레이(180)의 하부에 대응하여, 막힌 것을 예시하며, 제2 및 제3 개구부(194b,194c)가, 전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4c와 같이, 제2 에어 플로우(Path2)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도 3과 유사하나, 에어 플로우 가변부가, 디스플레이(18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195d)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전면 케이스(101) 또는 후면 케이스(103)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19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100c)는, 도 3과 유사하게, 에어 플로우 가변부가, 디스플레이(18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제2 에어 플로우(Path2)를 형성하도록 회동하는 회동부(195e,195f)를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100d)는, 도 7과 유사하나, 에어 플로우 가변부가, 디스플레이(18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에어 플로우(Path1), 또는 제2 에어 플로우(Path2)를 형성하도록 회동하는 회동부(195g,195h)를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100b~100d)의 동작은, 도 4a 내지 도 5c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 설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와 상기 회로부 사이의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패널 사이의 제2 에어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 및
상기 후면 케이스에 배치되며, 외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 모듈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팬 모듈;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팬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 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 보다, 상기 제1 팬 모듈이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팬 모듈 및 제2 팬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외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다른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내기를 외부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전면 케이스 또는 후면 케이스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상기 제1 에어 플로우 형성을 위해, 상기 전면 케이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면 케이스에 접촉하며,
상기 제2 에어 플로우 형성을 위해, 상기 후면 케이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면 케이스에 접촉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에어 플로우의 동시 형성을 위해,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제1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에어 플로우 형성을 위해 동작하도록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로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부;
상기 회로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제1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제2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상기 제2 에어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에어 플로우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가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 에어 플로우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와 상기 회로부 사이의 제1 에어 플로우, 또는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패널 사이의 제2 에어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에어 플로우 가변부; 및
상기 후면 케이스에 배치되며, 외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 모듈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팬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 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 보다, 상기 제1 팬 모듈이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플로우 가변부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상부의 온도가 하부의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 팬 모듈이 외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팬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내기를 외부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484A KR102589143B1 (ko) | 2016-03-31 | 2016-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484A KR102589143B1 (ko) | 2016-03-31 | 2016-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442A KR20170112442A (ko) | 2017-10-12 |
KR102589143B1 true KR102589143B1 (ko) | 2023-10-12 |
Family
ID=6014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9484A KR102589143B1 (ko) | 2016-03-31 | 2016-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914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2051B1 (ko) * | 2020-04-27 | 2021-08-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485769B1 (ko) * | 2022-02-09 | 2023-01-05 | 박찬호 | 차량용 표시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6649A (ja) * | 2005-09-26 | 2007-04-05 | Sharp Corp | 液晶表示装置 |
JP2010060736A (ja) * | 2008-09-02 | 2010-03-18 | Panasonic Corp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
JP2011232597A (ja) * | 2010-04-28 | 2011-11-17 | Sanyo Electric Co Ltd | 温度調節機構、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気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4887B1 (ko) * | 2013-07-08 | 2020-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구동방법 |
-
2016
- 2016-03-31 KR KR1020160039484A patent/KR1025891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6649A (ja) * | 2005-09-26 | 2007-04-05 | Sharp Corp | 液晶表示装置 |
JP2010060736A (ja) * | 2008-09-02 | 2010-03-18 | Panasonic Corp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
JP2011232597A (ja) * | 2010-04-28 | 2011-11-17 | Sanyo Electric Co Ltd | 温度調節機構、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気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442A (ko) | 2017-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442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1059564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to products | |
US11539911B2 (en) | Artificial window system | |
US10627126B2 (en) | User control device with hinged mounting plate | |
US9207904B2 (en) | Multi-panel display with hot swappable display panels and methods of servicing thereof | |
EP2813884A1 (en) |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transparent base structure | |
US1177442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recirculation or airway occlusion | |
US9288880B2 (en) | Smart home networ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5804973B2 (ja) | 空気調和機 | |
KR10258914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90141384A (ko) |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EP2849442B1 (en) | Gesture-controlled rear-projection system | |
KR20230142843A (ko) | 지능형 마케팅 및 광고 플랫폼 | |
KR101385717B1 (ko) |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워크인 쿨러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워크인 쿨러 | |
US11373570B2 (en) | Gate line break displays | |
AU2020287393B2 (en) | Portable dynamic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 |
US20150020616A1 (en) | Translucent Display Cabinet with Built in Gyroscope and Servomotors | |
US20230050312A1 (en) | Roll-up flexible display | |
US20200195891A1 (en) | Aisle marker for a retail store | |
CN202748702U (zh) | 一种户外查询一体机 | |
KR101325059B1 (ko) | 메뉴 및 광고 표시 장치 | |
Slawsky | Digital Display Technology: An Introduction to Digital Signage | |
CN103902199A (zh) | 显示抽象化和交互模式的远程支持的控制 | |
BR102015001588A2 (pt) | Porta de expositor com painel lcd transparen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