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646B1 - 휴대용 의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646B1
KR102588646B1 KR1020220180414A KR20220180414A KR102588646B1 KR 102588646 B1 KR102588646 B1 KR 102588646B1 KR 1020220180414 A KR1020220180414 A KR 1020220180414A KR 20220180414 A KR20220180414 A KR 20220180414A KR 102588646 B1 KR102588646 B1 KR 102588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skin
unfolded
folded
portabl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성준
Original Assignee
현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성준 filed Critical 현성준
Priority to KR1020220180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가 용이토록하며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펼쳐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는, 상하 관통된 수직의 몸체; 몸체 내에서 승하강 하는 상부 슬라이드 블록; 일단이 상부 슬라이드 블록에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드 블록이 하강하면 접혀지면서 몸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부 슬라이드 블록이 승강하면 몸체 상부로 노출되면서 펼쳐지는 다수의 스킨 받침대; 스킨 받침대에 연결되어 스킨 받침대가 펼쳐지면 수평으로 펼쳐지는 스킨; 몸체 내에서 승하강 하는 하부 슬라이드 블록; 및 일단이 하부 슬라이드 블록에 연결되어 하부 슬라이드 블록이 승강하면 접혀지면서 몸체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 슬라이드 블록이 하강하면 몸체 하부로 노출되면서 펼쳐지는 다수의 다리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는 몸체 내부로 스킨 받침대와 다리부재가 삽입되면서 몸체가 반으로 접히는 구조이므로 접었을 때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하여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의자{portable mini stool}
본 발명은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가 용이토록하며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펼쳐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캠핑용 의자와 같이 의자를 이동해야 할 경우 적재 공간을 좁게 차지하는 접이식 의자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접이식 의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43591호와 같이 복수의 경량골재를 전·후·좌·우 엑스(X)자 상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교차 접속시키는 구조에 의해 펼쳐서 사용하고 접어서 보관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727880호는 양측에 위치하게 되는 한 쌍의 허브를 전후방향으로 배치하고 이들 허브 사이에 중앙지지프레임을 결합 설치하고, 전방 허브엔 전방 다리프레임을 펼쳤을 때 자유단이 바닥과 접하도록 좌우 양측으로 결합 설치하고, 후방 허브엔 후방 다리프레임을 펼쳤을 때 자유단이 바닥과 접하도록 좌우 양측으로 결합 설치하되, 전방 허브의 위치보다 후방 허브의 위치가 높게 위치하여 중앙지지프레임이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전방 허브엔 좌우 양측으로 전방 폴프레임을 각각 설치하고 후방 허브엔 좌우 양측으로 후방 폴 프레임을 각각 설치하며 상기 전, 후방 폴프레임의 자유단에 시트천을 결합 설치하여 시트천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의자 들은 차량에 적재하여 이동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지만 접었을 때 그 부피를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 넣을 수 없으므로 평상시 휴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실용신안 제20-0243591호(2001.08.08) KR 등록특허 제10-1727880호(2017.04.11)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접었을 때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넣어 휴대하고 언제 어디서든 신속 간편하게 펼쳐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는,
상하 관통된 수직의 몸체;
몸체 내에서 승하강 하는 상부 슬라이드 블록;
일단이 상부 슬라이드 블록에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드 블록이 하강하면 접혀지면서 몸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부 슬라이드 블록이 승강하면 몸체 상부로 노출되면서 펼쳐지는 다수의 스킨 받침대;
스킨 받침대에 연결되어 스킨 받침대가 펼쳐지면 수평으로 펼쳐지는 스킨;
몸체 내에서 승하강 하는 하부 슬라이드 블록; 및
일단이 하부 슬라이드 블록에 연결되어 하부 슬라이드 블록이 승강하면 접혀지면서 몸체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 슬라이드 블록이 하강하면 몸체 하부로 노출되면서 펼쳐지는 다수의 다리부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킨 받침대는 일단에 볼 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드 블록은 볼 헤드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가 형성되어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그 상단과 하단에 스킨 받침대 및 다리부재가 펼쳐졌을 때 스킨 받침대 및 다리부재의 표면과 면 접촉되는 경사 지지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두 개의 몸체로 분할 형성하고,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일단을 축 결합하여 접히도록 하며, 그 타단에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에 각각 형성하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펼쳐졌을 때 동심을 이루는 축공; 축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 고정핀이 양 축공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킨 받침대에는 비틀림 스프링을 설치하되,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대향되는 두 개의 스킨 받침대에 걸리도록 하여 스킨 받침대가 몸체 상부로 노출되면 스킨이 자동으로 펼쳐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슬라이드 블록은 그 하부에 안내 봉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안내 봉을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를 설치하며, 승하강대와 각 다리부재 간에는 링크를 축 결합하면서 안내 봉에는 승하강대를 하강시키는 압축 스프링을 끼워 다리부재가 몸체 하부로 노출되면 자동으로 펼쳐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킨 받침대 또는 다리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함몰부를 형성하여 접혀졌을 때 함몰부에 스킨 또는 링크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양단을 보강하는 마감구를 끼우고 다수의 지지봉을 이용하여 양 마감구를 연결함으로써 몸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상부 슬라이드 볼록 및 하부 슬라이드 블록이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는 몸체 내부로 스킨 받침대와 다리부재가 삽입되면서 몸체가 반으로 접히는 구조이므로 접었을 때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하여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킨 받침대와 스킨 및 다리부재가 자동으로 펼쳐지는 구조이므로 신속 간편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가가 있다.
아울러 스킨 받침대가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면서 면 접촉되는 경사지지면에 하중이 각각 분산되므로 집중 하중에 의한 부품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를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슬라이드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슬라이드 블록 및 스킨 받침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구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를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슬라이드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슬라이드 블록 및 스킨 받침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구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관통된 수직의 몸체(100); 몸체(100) 내에서 승하강 하는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 일단이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에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이 하강하면 접혀지면서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고,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이 승강하면 몸체(100) 상부로 노출되면서 펼쳐지는 다수의 스킨 받침대(300); 스킨 받침대(300)에 연결되어 스킨 받침대(300)가 펼쳐지면 수평으로 펼쳐지는 스킨(400); 몸체(100) 내에서 승하강 하는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 일단이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에 연결되어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이 승강하면 접혀지면서 몸체(100)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이 하강하면 몸체(100) 하부로 노출되면서 펼쳐지는 다수의 다리부재(600); 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상하 관통된 사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두 개의 몸체로 분할 형성된다. 몸체(100)의 양단에는 몸체(100)를 보강하는 마감구(130)가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 설치되고, 다수의 지지봉(140)을 이용하여 양 마감구(130)를 연결함으로써 몸체(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지지봉(140)은 기다란 볼트로 대신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0) 및 마감구(130)는 원형 또는 다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의 일단은 축(S) 결합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몸체(100)가 반으로 접혀짐으로써 그 길이를 절반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축(S)의 타단에는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즉, 서로 근접하여 마주보는 마감구(130)에 각각 형성하되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가 펼쳐졌을 때 동심을 이루는 축공(152); 축공(15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153); 고정핀(153)이 양 축공(15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미도시); 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공(152)은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받이(151)에 형성되는 것으로 축받이(151)는 서로 간섭되지 않는 구간에 구비되어 축공(152)이 일치할 때 긴밀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축받이(151)는 다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53)은 그 일단을 절곡시킨 절곡부(153')를 형성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몸체 축공(152)을 일부 절개한 절개부(152')를 형성하여 고정핀(153)의 절곡부(153')가 절개부(152') 시작부위까지 위치하면 양 몸체(110, 120)의 축공(152)에 모두 삽입된 상태가 되고 고정핀(153)의 절곡부(153')가 축공(152)의 말단에 위치할 때 어느 하나의 몸체 축공(152)에만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은 고정핀(153)이 양 축공(15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은 상부 몸체(110) 내에서 승하강 하는 것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10) 내부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은 네 코너에 하부로 개방된 헤드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헤드 삽입부(210)의 측면과 상부는 요홈(220)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스킨 받침대(300)의 목부(3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의 저면에는 헤드 삽입부(210)를 차단하는 판 형상의 커버(230)가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은 상부 몸체(110) 내에서 승하강하며 마감구(130)에 간섭되어 상부 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헤드 삽입부(210)의 내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헤드(310)와 대응되는 구면으로 형성하여 볼 헤드(310)와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받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킨 받침대(300)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구 형상의 볼 헤드(3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스킨 받침대(300)와 볼 헤드(310) 간에는 잘록한 목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볼 헤드(310)는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의 저면으로부터 헤드 삽입부(210)에 삽입 설치되고 조립되는 커버(230)에 의해 스킨 받침대(300)는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조립된 스킨 받침대(300)는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과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이 하강하면 스킨 받침대(300)는 수직으로 위치하여 접혀지면서 상부 몸체(110) 내부로 삽입되고,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이 승강하면 스킨 받침대(300)는 상부 몸체(110) 상부로 노출되면서 수평으로 펼쳐진다. 여기서 상기 마감구(130)의 네 코너에는 스킨 받침대(300)가 안착되는 함몰 안착부(131)를 형성하고, 함몰 안착부(131)에는 스킨 받침대(300)의 표면과 면 접촉되는 경사 지지면(132)이 형성되어 스킨 받침대(300)는 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안정되게 소정의 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스킨 받침대(300)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 면에 함몰부(330)를 형성하여 스킨 받침대(200)가 접혀졌을 때 스킨 받침대(300) 사이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간은 스킨(400)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킨 받침대(300)가 서로 밀착됨에도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스킨(400)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스킨 받침대(300)에는 비틀림 스프링(340)을 설치하되, 비틀림 스프링(340)의 양단이 대향되는 두 개의 스킨 받침대(300)에 걸리도록 하여 스킨 받침대(300)가 상부 몸체(110) 상부로 노출되면 스킨(400)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여기서 비틀림 스프링(340)이 설치되지 않은 스킨 받침대(300)는 펼쳐지려는 스킨(400)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진다.
상기 스킨(400)은 직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가장자리가 스킨 받침대(300)와 연결된다. 연결되는 구조는 스킨(400) 저면과 스킨 받침대(300)에 고리 및 걸고리를 설치하여 연결하거나 스킨(400) 저면에 주머니를 형성하고 스킨 받침대(300)의 말단이 주머니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오 같이 하부 몸체(120) 내에서 승하강 하는 것으로, 하부 몸체(120) 내부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은 네 코너에 상부로 개방된 헤드 삽입부(510)가 형성되고, 헤드 삽입부(510)의 측면과 상부는 요홈(520)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다리부재(600)의 목부(6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의 상면에는 헤드 삽입부(510)를 차단하는 판 형상의 커버(530)가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은 하부 몸체(120) 내에서 승하강하며 마감구(130)에 간섭되어 하부 몸체(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다리부재(600)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구 형상의 볼 헤드(6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다리부재(600)와 볼 헤드(610) 간에는 잘록한 목부(620)가 형성된다. 상기 볼 헤드(610)는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의 상부로부터 헤드 삽입부(510)에 삽입 설치되고 조립되는 커버(530)에 의해 다리부재(600)는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헤드 삽입부(510)의 내부는 볼 헤드(610)와 대응되는 구면으로 형성하여 볼 헤드(610)와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받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다리부재(600)는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과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이 승강하면 다리부재(600)는 수직으로 위치하여 접혀지면서 하부 몸체 내부(120)로 삽입되고,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이 하강하면 다리부재(600)는 하부 몸체 하부(120)로 노출되면서 사선으로 펼쳐진다. 여기서 상기 마감구(130)의 네 코너에는 다리부재(600)의 표면과 면 접촉되는 경사 지지면(132)이 형성되어 다리부재(600)는 안정된 상태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은 그 하부에 안내 봉(540)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안내 봉(540)을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550)를 설치한다. 승하강대(550)와 각 다리부재(600) 간에는 링크(560)를 축 결합하고, 안내 봉(540)에는 승하강대(550)를 하강시키는 압축 스프링(570)을 끼워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다리부재(600)가 하부 몸체(120) 하부로 노출되면 압축 스프링(570)이 승하강대(550)를 강제 하강시키려 하기 때문에 링크(560)가 다리부재(600)를 밀게 되고 다리부재(600)는 자동으로 펼쳐진다.
한편, 다리부재(600)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 면에 함몰부(630)를 형성하여 다리부재(600)가 접혀졌을 때 다리부재(600) 사이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간은 승하강대(550), 링크(560)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리부재(600)가 서로 밀착됨에도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승하강대(550), 링크(560)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다리부재(600)의 말단에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지지발(640)을 끼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휴대용 의자를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로 휴대하다가 사용하기 위해 펼치고자 할 경우 서로 포개어진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수직 상태로 펼친다. 이때, 축(S)을 기준으로 펼쳐지고,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축받이(151)가 중첩되면서 축공(152)이 동심을 이루면 고정핀(153)을 모든 축공(152)에 삽입시킨다. 이때, 고정핀(153)은 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모든 축공(152)에 삽입되어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는 견고한 수직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120) 내에 삽입된 다리부재(600)를 하부로 잡아당기면 압축 스프링(570)에 의해 승하강대(550)가 안내 봉(540)을 따라 하강하고,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대(550)에 연결된 링크(560)가 펼쳐짐과 동시에 다리부재(600)는 사방으로 펼쳐진다.
다음으로,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10) 내에 삽입된 스킨 받침대(300)를 상부로 잡아당기면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킨 받침대(300)는 비틀림 스프링(340)에 의해 사방으로 펼쳐지고, 스킨 받침대(300)에 연결된 스킨(400)은 자동으로 펼쳐진다.
이와 같이 단순히 스킨 받침대(300)와 다리부재(600)를 당기는 방법에 의해 펼쳐지므로 매우 신속 간편하게 휴대용 의자를 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의자를 다시 접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승하강대(550)를 눌러 안내 봉(540)을 따라 승강시키면 압축 스프링(570)이 압축됨과 동시에 이와 연결된 링크(560) 및 다리부재(600)가 접히면서 하부 몸체(120) 내부로 삽입된다. 하부 몸체(120)로 삽입된 다리부재(600)는 압축 스프링(570)에 의해 펼쳐지려는 다리부재(600)가 하부 몸체(120)와 마찰력이 발생하여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스킨 받침대(300)를 접고 상부 몸체(110) 내부로 삽입시키면 비틀림 스프링(340)에 의해 스킨 받침대(300)는 상부 몸체(110)와 마찰력이 발생하여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고정핀(153)을 당겨 축공(152)으로부터 고정핀(153)이 이탈되도록 하고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를 접으면 축(S)을 중심으로 접히면서 서로 중첩된다. 이와 같이 양 몸체(110, 120)가 중첩되면 그 길이가 매우 짧고 부피가 작아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 휴대한다.
100 : 몸체 110 : 상부 몸체
120 : 하부 몸체 130 : 마감구
131 : 함몰 안착부 132 : 경사 지지면
140 : 지지봉 150 : 고정수단
151 : 축받이 152 : 축공
153 : 고정핀 200 : 상부 슬라이드 블록
210, 510 : 헤드 삽입부 220, 520 : 요홈
230, 530 : 커버 300 : 스킨 받침대
310, 610 : 볼 헤드 320, 620 : 목부
330, 630 : 함몰부 340 : 비틀림 스프링
400 : 스킨 500 : 하부 슬라이드 블록
540 : 안내봉 550 : 승하강대
560 : 링크 570 : 압축 스프링
600 : 다리부재 S : 축

Claims (6)

  1. 일단이 축(S) 결합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며, 그 타단은 고정수단(150)이 구비되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수직의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
    상부 몸체(110) 내에서 승하강 하는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
    일단이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에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이 하강하면 접혀지면서 상부 몸체(110) 내부로 삽입되고,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이 승강하면 상부 몸체(110) 상부로 노출되면서 펼쳐지는 다수의 스킨 받침대(300);
    스킨 받침대(300)에 연결되어 스킨 받침대(300)가 펼쳐지면 수평으로 펼쳐지는 스킨(400);
    하부 몸체(120) 내에서 승하강 하는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 및
    일단이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에 연결되어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이 승강하면 접혀지면서 하부 몸체(120)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이 하강하면 하부 몸체(120) 하부로 노출되면서 펼쳐지는 다수의 다리부재(60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받침대(300) 및 다리부재(600)는 일단에 볼 헤드(310)가 구비되고, 상부 슬라이드 블록(200) 및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은 볼 헤드(310)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는 그 상단과 하단에 스킨 받침대(300) 및 다리부재(600)가 펼쳐졌을 때 스킨 받침대(300) 및 다리부재(600)의 표면과 면 접촉되는 경사 지지면(13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받침대(300)에는 비틀림 스프링(340)을 설치하되, 비틀림 스프링(340)의 양단이 대향되는 두 개의 스킨 받침대(300)에 걸리도록 하여 스킨 받침대(300)가 상부 몸체(100) 상부로 노출되면 스킨(400)이 자동으로 펼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드 블록(500)은 그 하부에 안내봉(540)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안내봉(540)을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550)를 설치하며, 승하강대(550)와 각 다리부재(600) 간에는 링크(560)를 축 결합하면서 안내봉(540)에는 승하강대(550)를 하강시키는 압축 스프링(570)을 끼워 다리부재(600)가 하부 몸체(100) 하부로 노출되면 자동으로 펼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6. 삭제
KR1020220180414A 2022-12-21 2022-12-21 휴대용 의자 KR10258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414A KR102588646B1 (ko) 2022-12-21 2022-12-21 휴대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414A KR102588646B1 (ko) 2022-12-21 2022-12-21 휴대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646B1 true KR102588646B1 (ko) 2023-10-12

Family

ID=8829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414A KR102588646B1 (ko) 2022-12-21 2022-12-21 휴대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6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305U (ko) * 1988-07-13 1990-02-06 정의순 위생담배 케이스
KR200243591Y1 (ko) 2001-05-03 2001-10-12 곽종갑 등받이 가변형 접이식 간이의자
CN204015684U (zh) * 2014-06-11 2014-12-17 王宏蕾 一种可收缩凳子
US9510683B1 (en) * 2015-06-19 2016-12-06 Michael D. Sharp Folding chair with inflatable seat
KR101727880B1 (ko) 2017-02-16 2017-04-19 김성권 접이식 의자
CN109463923A (zh) * 2019-01-24 2019-03-15 邓旭辰 一种折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305U (ko) * 1988-07-13 1990-02-06 정의순 위생담배 케이스
KR200243591Y1 (ko) 2001-05-03 2001-10-12 곽종갑 등받이 가변형 접이식 간이의자
CN204015684U (zh) * 2014-06-11 2014-12-17 王宏蕾 一种可收缩凳子
US9510683B1 (en) * 2015-06-19 2016-12-06 Michael D. Sharp Folding chair with inflatable seat
KR101727880B1 (ko) 2017-02-16 2017-04-19 김성권 접이식 의자
CN109463923A (zh) * 2019-01-24 2019-03-15 邓旭辰 一种折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6684B1 (en) Integrated folding table and chairs set
KR102399695B1 (ko) 낚시용 좌대
KR102588646B1 (ko) 휴대용 의자
CN215347878U (zh) 一种折叠式太空椅
KR200463927Y1 (ko) 의자겸용 캐리어
US6708630B2 (en) Foldable side support arrangement for foldable furniture
CN213282703U (zh) 落地座椅
CN205854242U (zh) 一种儿童推车
KR200476869Y1 (ko)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CN210989125U (zh) 多用桌
KR200476870Y1 (ko)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CN213587222U (zh) 一种皮座沙发钓椅
CN218738018U (zh) 一种便于拆装且可调节高度的太空椅
KR102028400B1 (ko) 여행용 가방
CN220557685U (zh) 一种调档全折椅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CN213696352U (zh) 一种座椅的支撑结构及座椅
CN211154687U (zh) 一种新型插接式钢管椅
CN218219627U (zh) 一种折叠看台椅
CN210902217U (zh) 一种pvc折叠椅用快速锁死结构
CN219680141U (zh) 一种折叠支架及折叠椅
CN2899606Y (zh) 一种便携床
KR200497753Y1 (ko) 캐리어 카트로 사용 가능한 캠핑용 접이식 의자
CN217906950U (zh) 一种扶手椅腿一体化折叠椅
CN219813608U (zh) 一种折叠椅的改进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