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510B1 -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510B1
KR102588510B1 KR1020190046708A KR20190046708A KR102588510B1 KR 102588510 B1 KR102588510 B1 KR 102588510B1 KR 1020190046708 A KR1020190046708 A KR 1020190046708A KR 20190046708 A KR20190046708 A KR 20190046708A KR 102588510 B1 KR102588510 B1 KR 10258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signal
shaped
variable lens
polarit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614A (ko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510B1/ko
Priority to CN201911229073.7A priority patent/CN111835391A/zh
Priority to US16/703,260 priority patent/US11271320B2/en
Priority to DE102019219006.5A priority patent/DE102019219006A1/de
Publication of KR2020012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6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 H01Q19/06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2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6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6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 H01Q19/0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for modifying the radiation pattern of a radiating horn in which it is loc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01Q25/002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providing at least two patterns of different beamwidth; Variable beamwidth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1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shape of the antenna or antenna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4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electric or magnetic characteristics of reflect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associated with the radiating element
    • H01Q3/46Active lenses or reflecting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낮으며 높은 통신 안정성을 제공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은,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변환부와;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빔 셀렉터와;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형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가변 렌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ANTENNA SYSTEM FOR VEHICLE AND MTE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자율 주행과 커넥티드 카의 관점에서 중요한 핵심 기술 중 하나가 고속 통신 및 대용량 통신이다. 고속 통신 및 대용량 통신을 위해서는 밀리미터 파(Millimeter Wave) 통신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밀리미터 파 통신은 통신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대부분 이동 중에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의 통신 시스템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방향으로 지향성을 높여서 목적하는 타 차량과의 통신 안정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짧은 통신 거리의 단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낮으며 높은 통신 안정성을 제공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은,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변환부와;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빔 셀렉터와;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형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가변 렌즈를 포함한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기 가변 렌즈는, 압전 물질과; 격자 모양의 전극을 포함한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전 물질이 수축 또는 팽창한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기 전극은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 사이의 공간에 상기 압전 물질이 채워진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기 압전 물질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을 변화하고;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굴절률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지향하는 방향이 변화한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여 주변의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 가운데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신호 처리부를 통해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신호 변환부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는 단계와; 빔 셀렉터를 통해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가변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변 렌즈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가변 렌즈는, 압전 물질과; 격자 모양의 전극을 포함한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전 물질이 수축 또는 팽창한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전극은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 사이의 공간에 상기 압전 물질이 채워진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압전 물질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굴절률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지향하는 방향을 변화시킨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여 주변의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 가운데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안테나 시스템은,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변환부와;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빔 셀렉터와;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 사이의 공간에 상기 압전 물질이 채워지며, 상기 (+) 극성 전극과 상기 (-) 극성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압전 물질이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가변 렌즈를 포함한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고;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굴절률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지향하는 방향이 변화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신호 처리부를 통해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신호 변환부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는 단계와; 빔 셀렉터를 통해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 사이의 공간에 상기 압전 물질이 채워지는 가변 렌즈의 상기 압전 물질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 극성 전극과 (-) 극성 전극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압전 물질이 수축 또는 팽창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굴절률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지향하는 방향을 변화시킨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변환부와;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빔 셀렉터와;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형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가변 렌즈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신호 처리부를 통해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신호 변환부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는 단계와; 빔 셀렉터를 통해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가변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변 렌즈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낮으며 높은 통신 안정성을 제공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V2X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가변 렌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가변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참조 부호 450으로 지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지향성 빔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타 차량과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V2X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V2X 통신은 'Vehicle to Everything'을 의미하며, '차량과 사물(사람) 간 통신'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V2X 통신은 운행 중인 차량(100)이 무선 통신을 통해 도로 인프라나 교통 정보, 보행자 정보 등을 교환·공유하는 기술이다. V2X 통신은 차량과 인프라(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차량과 차량(Vehicle to Vehicle, V2V), 차량과 보행자(Vehicle to Pedestrian, V2P) 등 차량(Vehicle)을 중심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에서는, 주변의 V2X 기지국(102)이나 타 차량(104)(106), 보행자(108)의 모바일 디바이스(118)와의 V2X 통신을 통해 차량(100)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교환한다. 이를 위해 차량(100)은, V2X 기지국(102)과 V2I 통신(Vehicle to Infrastructure Communication)을 수행하고, 타 차량(104)(106)과 V2V 통신(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을 수행하며, 보행자(108)의 모바일 디바이스(118)와 V2P 통신(Vehicle to Pedestrian)을 수행한다. V2P 통신은 엄밀하게는 보행자(108)와의 통신이 아닌 보행자(108)가 휴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18)와의 통신이다.
차량(100)은, V2I 통신과 V2V 통신, V2P 통신을 통해 서로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안전하고 쾌적한 운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
자율 주행과 커넥티드 카의 관점에서 중요한 핵심 기술 중 하나가 고속 통신 및 대용량 통신이다. 고속 통신 및 대용량 통신을 위해서는 밀리미터 파(Millimeter Wave) 통신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밀리미터 파 통신은 통신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대부분 이동 중에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의 통신 시스템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방향으로 지향성을 높여서 목적하는 타 차량과의 통신 안정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짧은 통신 거리의 단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목적하는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높이기 위한 빔 포밍(Beam Forming) 기술을 사용한다. 빔 포밍 기술은 통신 신호의 에너지를 목적하는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서 송신하기 때문에 수신감도 향상을 통한 통신 안정성 확보에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목적하는 특정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위상 변이(Phase Shift)를 대신하여 가변 렌즈를 사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한 가변 렌즈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가변 렌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0)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통신 신호는 신호 처리부인 디지털 신호 처리부(212)에서 신호 처리를 거친 후 신호 변환부인 AD/DA 변환부(214)에서 신호의 형태가 변환되어 빔 셀렉터(216)로 전달된다. AD/DA 변환부(214)는 통신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한다. 빔 셀렉터(216)는 안테나 빔의 배열을 조합하고 각 배열 조합 내의 안테나의 출력을 조정함으로써, 전체 안테나 시스템의 전파 방사 패턴이 목적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빔 셀렉터(216)의 출력 신호는 그대로 방사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렌즈(218)에 의해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통신 신호는 안테나 시스템의 가변 렌즈(218)의 작용으로 인해 지향성을 갖고 목적하는 방향으로 전파될 수 있다.
통신 신호가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가변 렌즈(218)의 작용은 제어부(222)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어부(222)는 GPS 신호로부터 신호 전달 대상(예를 들면 상대 차량(106))의 위치 정보를 얻고, 이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목적하는 방향 즉 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방향을 파악하고,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가 지향성을 갖고 목적하는 방향으로 전파되도록 가변 렌즈(218)를 제어한다. 제어부(222)는 GPS 신호로부터 차량(100)의 현재 위치의 좌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2)는 신호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대 차량(106)의 위치 정보(GPS 좌표)를 획득한 후 당해 차량(100)과 상대 차량(106) 각각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당해 차량(100)에서 상대 차량(106)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방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대 거리 및 상대 방향에 따라 가변 렌즈(218)를 제어하여 송신 신호의 방향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가변 렌즈(218)가 동작하여 지향성 빔(2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가변 렌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가변 렌즈(218)는 압전 소자의 원리를 이용하여 빔의 지향성을 구현한다.
먼저 도 3A는 압전 소자(302)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압전 소자(302)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으면, 압전 소자(302)는 형상의 변화없이 기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다.
도 3B는 압전 소자(302)에 전류를 인가하되, 압전 소자(302)에 동일 극성의 전류를 인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압전 소자(302)의 (+) 전극에는 (+) 극성의 전류를 인가하고, 압전 소자(302)의 (-) 전극에는 (-) 극성의 전류를 인가하면, 도 3B에 나타낸 것처럼, 압전 소자(302)의 부피가 기본 형상보다 증가한다.
도 3C는 압전 소자(302)에 전류를 인가하되, 압전 소자(302)에 반대 극성의 전류를 인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압전 소자(302)의 (+) 전극에는 (-) 극성의 전류를 인가하고, 압전 소자(302)의 (-) 전극에는 (+) 극성의 전류를 인가하면, 도 3C에 나타낸 것처럼, 압전 소자(302)의 부피가 기본 형상보다 감소한다.
이와 같은 압전 소자(302)의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가변 렌즈(218)를 구현할 수 있다. 즉, 가변 렌즈(218)에 전류를 인가하되, 전류의 극성과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가변 렌즈(218)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고, 가변 렌즈(218)의 형상의 변경을 통해 빔의 지향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렌즈(218)는, 압전 소자(302)로 제한되지 않고,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른 물질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가변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가변 렌즈(218)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가변 렌즈(218)의 측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가변 렌즈(218)는 격자 형태의 전극(402)(404)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두 전극(402)(404) 사이의 공간에 압전 물질(406)이 채워진다. 도 4의 전극(402)(404)은 일종의 전류 바(current bar)로서, 전극(402)는 (+) 전극이고, 전극(404)는 (-) 전극이다. 따라서 두 전극(402)(404) 각각에 어떤 극성 및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는지에 따라 압전 물질(406)의 형상이 다른 형태로 변화한다. 격자 형태의 전극(402)(404) 사이의 압전 물질(406)이 어떤 형상으로 변화하는지에 따라 빔(신호)의 지향 방향이 결정된다.
도 5에서, 압전 물질(406)의 형상의 변화에 따른 빔의 방향성에 대해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4의 참조 부호 450으로 지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자 형상의 전극(402)(404) 가운데, 전극(402a)(404a)에는 전극(402a)(404a)과 동일한 극성의 전류가 인가된다. 따라서 전극(402a)(404a) 사이의 압전 물질(406)의 부피가 증가한다.
반대로, 격자 형상의 전극(402)(404) 가운데, 전극(402b)(404b)에는 전극(402b)(404b)과 반대 극성의 전류가 인가된다. 따라서 전극 전극(402b)(404b) 사이의 압전 물질(406)의 부피는 감소한다. 특히, 전극(402b)(404b)에 인가되는 반대 극성의 전류의 크기가 앞서 설명한 전극(402a)(404a)에 인가된 전류보다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커서, 전극(402b)(404b) 사이의 압전 물질(406)의 부피가 더 많이 감소한다.
이와 같은 전류의 인가를 통해 압전 물질(406)의 형상은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로 인해 빔(신호) 역시 도 5의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의 지향성을 갖게 된다. 만약 전극(402)(404)에 다른 극성 및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면 압전 물질(406)의 돌출 방향 역시 다르게 변화할 것이고, 이로 인해 빔(신호)의 지향 방향 역시 압전 물질(406)의 돌출 방향을 따라 변화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22)에 의해 가변 렌즈(218)의 빔포밍이 제어됨으로써, 목적하는 방향의 지향성을 갖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지향성 빔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렌즈(218)의 전극(402)(404)에 인가하는 전류의 극성 및 크기의 변화를 통해 압전 물질(406)의 돌출 방향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지향성 빔(602)과 같은 다양한 형태 및 방향의 신호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타 차량과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렌즈(218)의 전극(402)(404)에 인가하는 전류의 극성 및 크기의 변화를 통해 압전 물질(406)의 돌출 방향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지향성 빔(702)과 같이 당해 차량(100)에서 목적하는 타 차량(106)으로 지향성 신호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당해 차량)
102 : 기지국
104, 106 : 차량(상대 차량)
108, 보행자
118 : 모바일 디바이스
212 :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214 : AD/DA 변환부
216 : 빔 셀렉터
218 : 가변 렌즈
220, 602, 702 : 지향성 빔
222 : 제어부
302 : 압전 소자
402, 402a, 402b : (+) 극성 전극
404, 404a, 404b : (-) 극성 전극
406 : 압전 물질

Claims (20)

  1.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변환부와;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빔 셀렉터와;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형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렌즈는,
    압전 물질과,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과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과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 사이의 공간이 상기 압전 물질로 채워지는 안테나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전 물질이 수축 또는 팽창하는 안테나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물질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을 변화하고;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굴절률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지향하는 방향이 변화하는 안테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여 주변의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 가운데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시스템.
  8. 신호 처리부를 통해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신호 변환부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는 단계와;
    빔 셀렉터를 통해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가변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변 렌즈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렌즈는,
    압전 물질과,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과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과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 사이의 공간이 상기 압전 물질로 채워지는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전 물질이 수축 또는 팽창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물질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상기 가변 렌즈의 형상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변 렌즈의 굴절률이 변화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지향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여 주변의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 가운데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변환부와;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빔 셀렉터와;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형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가변 렌즈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 렌즈는,
    압전 물질과,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과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과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 사이의 공간이 상기 압전 물질로 채워지는 차량.
  20. 신호 처리부를 통해 송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신호 변환부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상호 변환하는 단계와;
    빔 셀렉터를 통해 목적하는 형태의 전파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가변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변 렌즈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빔 셀렉터의 출력 신호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렌즈는,
    압전 물질과,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과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과 상기 격자 모양의 (-) 극성 전극 사이의 공간이 상기 압전 물질로 채워지는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90046708A 2019-04-22 2019-04-22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8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08A KR102588510B1 (ko) 2019-04-22 2019-04-22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01911229073.7A CN111835391A (zh) 2019-04-22 2019-12-04 车辆、天线系统及其控制方法
US16/703,260 US11271320B2 (en) 2019-04-22 2019-12-04 Antenna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19219006.5A DE102019219006A1 (de) 2019-04-22 2019-12-05 Antennen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08A KR102588510B1 (ko) 2019-04-22 2019-04-22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614A KR20200123614A (ko) 2020-10-30
KR102588510B1 true KR102588510B1 (ko) 2023-10-12

Family

ID=7266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708A KR102588510B1 (ko) 2019-04-22 2019-04-22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71320B2 (ko)
KR (1) KR102588510B1 (ko)
CN (1) CN111835391A (ko)
DE (1) DE10201921900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9206A1 (en) * 2004-12-28 2006-06-29 Toshiyuki Nagasaku Velocity sensor and ground vehicle velocity sensor using the same
WO2018210776A1 (en) * 2017-05-19 2018-11-22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 Tunable dielectric metamaterial lens device for radar sens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429B1 (ko) * 1996-09-09 1999-06-15 김영환 안테나의 방사방향 조정방법
CN101427422B (zh) * 2006-05-23 2013-08-07 英特尔公司 用于无线网络的毫米波片透镜阵列天线系统
US8764665B2 (en) * 2007-05-03 2014-07-01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s and apparatuses of microbeamforming with adjustable fluid lenses
US8487832B2 (en) * 2008-03-12 2013-07-16 The Boeing Company Steering radio frequency beams using negative index metamaterial lenses
US20120105645A1 (en) * 2009-02-20 2012-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ltrasonic imaging with a variable refractive lens
JP6683539B2 (ja) * 2016-05-25 2020-04-2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アンテナ、センサ及び車載システム
US10116051B2 (en) * 2017-03-17 2018-10-30 Isotropic Systems Ltd. Lens antenna system
US10700437B2 (en) * 2017-08-21 2020-06-30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9206A1 (en) * 2004-12-28 2006-06-29 Toshiyuki Nagasaku Velocity sensor and ground vehicle velocity sensor using the same
WO2018210776A1 (en) * 2017-05-19 2018-11-22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 Tunable dielectric metamaterial lens device for radar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35391A (zh) 2020-10-27
KR20200123614A (ko) 2020-10-30
US11271320B2 (en) 2022-03-08
DE102019219006A1 (de) 2020-10-22
US20200335876A1 (en)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assisted terahertz communications toward 6G
Rappaport et al. Mobile's millimeter-wave makeover
KR101858042B1 (ko) 다중 빔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위상 조정 방법, 그리고 이중 편파 안테나 시스템
KR102361375B1 (ko) 제어 및 트래픽 채널들이 분리된 공대지 통신 시스템
TW201834491A (zh) 無線通信系統中的電子設備和方法
US20220416422A1 (en) Reflectarray antenna with two-dimensional beam scanning
US8174443B2 (en) True time delay systems with array antenna for the spatially changeable radiation pattern for maximum power ultra-wideband pulses
CN106716720A (zh) 天线系统和波束控制方法
WO2001063776A3 (en) Transmitting beam forming in smart antenna array systems
TW200733480A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ntenna system for determining direction of arrival information to form a three-dimensional beam by a transceiver
US20210092702A1 (en) Wi-fi access point
Jais et al. Review of angle of arrival (AOA) estimations through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for wireless sensors network (WSN)
CN102460831A (zh) 具有水平主束方向的车辆天线装置
CN112953613A (zh) 一种基于智能反射面反向散射的车辆与卫星协作通信方法
KR102588510B1 (ko)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811769B2 (en) Liquid-crysta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wireless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859867B1 (ko) 밀리미터파 안테나 장치 및 렌즈를 이용하여 빔을 생성하는 방법
GB2556338A (en) Wireless handover system
CN108781104A (zh) 适于辐射不同类型的天线波束的无线通信节点
JP2019041367A (ja) アンテナ装置
JP2006253977A (ja)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サービスエリア構成方法
WO2023104061A1 (zh) 通信方法以及通信设备
Herbst et al.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About applications and their implementation
Bagal et al. Energy efficient beamforming for 5G
Dagefu et al. Directional communication enabled by mobile parasitic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