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060B1 - Auxiliary device of surgical guide for implant surgery - Google Patents

Auxiliary device of surgical guide for implant surg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060B1
KR102588060B1 KR1020230042636A KR20230042636A KR102588060B1 KR 102588060 B1 KR102588060 B1 KR 102588060B1 KR 1020230042636 A KR1020230042636 A KR 1020230042636A KR 20230042636 A KR20230042636 A KR 20230042636A KR 102588060 B1 KR102588060 B1 KR 10258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guide
guide hole
shrinkage
surgic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석
권미경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0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구강 내부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식립 영역 상에 홈을 형성하여 시술하기 위해 임플란트 드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서지컬 가이드; 및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상기 가이드홀의 수축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을 유지하는 수축방지홀더;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A surgical guide is formed with a guide hole for guiding an implant drill to form a groove on the implant installation area based on data obtained from inside the patient's mouth and perform the procedure. ; and an anti-shrinkage holder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o maintai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to prevent shrinkage and deformation of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AUXILIARY DEVICE OF SURGICAL GUIDE FOR IMPLANT SURGERY}Auxiliary device for surgical guide for implants {AUXILIARY DEVICE OF SURGICAL GUIDE FOR IMPLANT SURGERY}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링 공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수축 가능한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홀의 내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that can keep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of a shrinkable surgical guide constant to ensur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drilling process. It relates to auxiliary devices.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픽스츄어를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In general, an implant refers to a substitute that can replace human tissue when the original human tissue is lost, but in dentistry, it refers to the transplantation of artificially made teeth. In other words, it is a procedure in which a fixture made of titanium, which is not rejected by the human body, is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where the tooth has been lost to replace the lost tooth root, and then an artificial tooth is fixed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tooth.

상세히,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충치 발생요인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잇몸의 통증 및 이물감이 전혀 없으며, 관리만 잘 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detail, in the case of general prosthetics or dentures,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but implants can prevent damage to surrounding tooth tissue and can be used stably because they do not cause secondary cavities. In addition, since implants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natural teeth, there is no pain in the gums or foreign body sensation, and they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semi-permanently if properly maintained.

한편, 임플란트 시술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식립홀을 드릴링하고 그 식립홀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게 되는데, 식립홀을 드릴링하는 드릴링 및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시술은 환자마다 각각 상이하다. 이는 환자의 치아 상태나 임플란트 시술이 필요한 치아의 위치, 환자의 치조골의 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깊이와 방향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implant procedure involves drilling an installation hole in the alveolar bone using a drill and installing a fixture in the installation hole. The procedures for drilling the installation hole and installing the fixture are different for each patient. This is because the placement location, depth, and direction of the implant must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ondition of the patient's teeth, the position of the tooth requiring implant surgery, and the condition of the patient's alveolar bone.

이러한 임플란트의 적절한 식립 위치 및 방향과 깊이는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 여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The appropriate placement location, direction, and depth of these implan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success of the implant procedure.

이를 위해서는 시술전 구강 데이터와 CT 데이터를 통해 임플란트 시술의 고려 사항이 보철학적인 측면에서 계획 되어야 하며, 시술 시 계획된 위치와 방향으로 임플란트의 위치와 방향을 가이드 해주는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라고 하는 보조 기구를 사용한다.To achieve this, considerations for the implant procedure must be planned from a prosthodontic perspective through oral data and CT data before the procedure, and an assistant called a surgical guide is used to guide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implant in the planned position and direction during the procedure. Use equipment.

이러한 서지컬 가이드는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되고, 임플란트 식립 영역 상에 홈을 형성하여 시술할 수 있도록 드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다. This surgical guide is mounted in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a guide hole is formed to guide the drill so that the procedure can be performed by forming a groove on the implant installation area.

그리고, 가이드홀의 내주면에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가이드홀의 방향 및 각도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임플란트 시술의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슬리브를 체결하여 사용하였으나, 치조골의 폭 또는 치간 사이의 간격이 좁은 상태에서 슬리브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드릴링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최근에는 슬리브를 장착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a sleeve was fasten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guide hole by stably supporting the drill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to increase the overall completeness of the implant procedure. However, when the width of the alveolar bone or the gap between teeth was narrow, Due to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drill accurately when using a sleeve, recently, it is often used without a sleeve installed.

이와 같이 슬리브를 장착하지 않은 논 슬리브(non-sleeve)형 서지컬 가이드는 시술 환자의 구강 데이터와 CT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진 계열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이 된다. 따라서, 구강 데이터와 CT 데이터에 의한 3D 프린팅 이후에 임플란트 시술시까지 다소의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서지컬 가이드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가이드홀이 수축하여 드릴의 안정적인 지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way, a non-sleeve type surgical guide that is not equipped with a sleeve is manufactured from a resin-based synthetic resin material using the oral data and CT data of the patient being treated. Therefore, as it took some time to perform the implant procedure after 3D printing based on oral data and CT data, the surgical guide was deformed, and the guide hole was contracted, making it im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drill.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임플란트 식립 전에 논 슬리브형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홀의 내경을 확대하여 사용하였고, 가이드홀의 내경을 확대하기 위해 내경을 확대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가이드홀 표면이 매끄럽지 않거나 잔여물이 잔류하게 됨에 따라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할 때에 시술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of a non-sleeve type surgical guide was enlarged and used before implant placement. Work was performed to enlarge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 surface of the guide hole was used. There was a problem that posed a serious threat to the health and safety of patients undergoing the procedure when using the surgical guide as it was not smooth or left residue.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854734호(2018.04.2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854734 (2018.04.27)

본 발명의 목적은, 수축으로 인해 변형 가능한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홀의 내경을 변형 전 초기 형태대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s that can maintai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s, which is deformable due to shrinkage, constant in its initial form before de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홀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홀더를 임플란트 시술 전 가이드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nti-shrinkage holder to prevent shrinkage of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before implant surge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부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식립 영역 상에 홈을 형성하여 시술하기 위해 임플란트 드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서지컬 가이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상기 가이드홀의 수축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을 유지하는 수축방지홀더; 및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축 방향으로 회전 토크를 부여하여 상기 가이드홀로부터 상기 수축방지홀더를 직선 이동시켜 분리하기 위한 홀더 분리기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gical guide with a guide hole for guiding an implant drill to form a groove on the implant installation area based on data acquired from inside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perform the procedure; An anti-shrinkage holder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o maintai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to prevent shrinkage and deformation of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and a holder separation mechanism for separating the anti-contraction holder by linearly moving it from the guide hole by applying a rotational torqu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anti-contraction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축방지홀더는,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홀더 본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shrink holder includes a cylindrical holder body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축방지홀더는, 중공의 체결홀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적어도 상측 일부분에 지지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shrinkage holder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hollow fastening hole; and a flange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and suppor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guide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홀의 수축 전, 후에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이 접촉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er part is a sliding part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includes a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before and after contraction of the guide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 및 상기 돌출턱으로부터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obliquely upward and outward from the protruding jaw.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홀더 분리기구는, 상기 수축방지홀더에 회전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파지부; 상기 가이드홀에 대해 직선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축방지홀더가 수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며 일방향으로 긴 벽체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원통형 본체; 및 상기 원통형 본체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상기 체결홀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grippe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torque to the anti-shrinkage holder; A cylindrical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wall that is long in one direction and whose lower part is open to accommodate the anti-shrinkage holder that moves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guide hole; and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fastened by threads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of the anti-shrinkage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홀더 분리기구는,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상기 체결홀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며, 매끄러운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 면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분리기구의 나사산은 상기 가이드 면의 상기 체결홀 삽입후 삽입되도록 가이드 면의 상방에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that first enters the fastening hole of the anti-shrinkage holder, and includes a guide surface having a smooth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threaded thread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may be formed above the guide surface to be inserted after inserting the fastening hole of the guide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나사산의 상하 방향 높이는 상기 가이드 면의 상하 방향 높이보다 클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height of the screw thread may be great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guide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홀더 분리기구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 및 상기 원통형 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fastening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cylindrical body and crosses the internal space, wherein the fastening part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단부는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외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 분리기구는 상기 수축방지홀더를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상기 가이드홀로부터 직선 인출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cylindrical body forms a support surfac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guide, and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surface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guide,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The anti-shrinkage holder can be rotated to be straightly drawn out from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상기 벽체의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더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longer outward from the boundary of the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홈으로 형성된 슬립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p prevention groove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p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통형 본체의 상기 벽체는,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벽체가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할 경우, 상기 벽체는 대응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턱의 외경에 지지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anti-shrinkage holder,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anti-shrinkage holder to When the wall accommodates the flange portion, the wall is support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of the corresponding flange por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에 의하면, 치아 임플란트 시술 전에 수축으로 인해 변형 가능한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홀의 내경을 변형 전 형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uxiliary device for the surgical guide for im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which is deformable due to shrinkage before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in its original form before deformation.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홀의 내경을 변형 전 형태로 유지하는 수축방지홀더를 임플란트 시술 전 가이드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anti-shrinkage holder, which maintains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in its pre-deformed form,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before implant surgery.

수축방지홀더의 중심을 관통하는 체결홀에 체결부를 체결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수축방지홀더를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ith the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anti-shrinkage holder, the anti-shrinkage hold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through a simple process of converting rotational movement into linear movement.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한 수축방지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축방지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축방지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분리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분리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분리기구에 의해 가이드홀로부터 수축방지홀더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anti-shrink hold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a surgical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shrinkag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nti-shrinkag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sepa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er sepa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nti-shrinkage holder from the guide hole using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삭제, 변경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y adding, deleting, changing, and adding components, etc. It may be propos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한 수축방지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anti-shrinkage hold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100)에는 환자 구강 내부 중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본체(110) 및 가이드 본체(110) 중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홀(120)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urgical guide 100 for dental im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body 11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and an implant among the guide bodies 110. A plurality of guide holes 120 are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is to be installed.

여기서,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100)는 환자의 구강 내부로부터 획득된 3차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식립 대상부를 감싸 고정되도록 구비된다.Here, the surgical guide 100 for dental implants is provided to surround and secure the installation target portion where the fixture is installed based on three-dimensional data obtained from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식립 대상부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크라운(보철물) 등의 인공 식립물이 식립될 위치를 의미한다. 이때, 서지컬 가이드(100)를 통해 인공 식립물을 식립하기 위한 가이드홀(120)의 형성, 픽스츄어의 식립, 어버트먼트의 결합 등과 같은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The implantation target area refers to the location inside the patient's mouth where an artificial implant such as a fixture, abutment, or crown (prosthesis) will be installed. At this time, processes such as forming a guide hole 120 for installing an artificial implant through the surgical guide 100, installing a fixture, combining an abutment, etc. may be performed.

또한, 구강 데이터와 CT 데이터로 이루어진 3차원 데이터는, CT 이미지, 스캔 이미지 및 통합 이미지로 구성된다.Additionally, 3D data consisting of oral data and CT data consists of CT images, scanned images, and integrated images.

CT 이미지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CT 촬영하여 획득하며, 환자의 치관 및 치근을 포함하는 치아와, 치조골 등의 골조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A CT image is obtained by taking a CT scan of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teeth, including the crown and tooth root, and bone tissue such as alveolar bone.

스캔 이미지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캔하여 획득하며, 잇몸 외부로 나타난 치아의 상부측과, 잇몸에 대한 외부 형상 정보가 포함된다.The scan image is obtained by scann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and includes the upper side of the tooth appearing outside the gum and external shape information about the gum.

통합 이미지는 CT 이미지 및 스캔 이미지가 상호 간의 공통 부분인 치관 내지는 구강 내부에 기 설치된 레퍼런스 마커(reference marker) 등을 기준으로 정합되어 획득될 수 있다.The integrated image can be obtained by matching the CT image and the scan image based on a common part of the tooth crown or a reference marker already installed inside the oral cavity.

이에 따라 3차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의 치조골 골량, 골밀도, 분포, 치조골 각 부분에 대한 잇몸의 두께, 주변 치아의 형상, 상하악 잔존치아 간 저작면 등이 분석될 수 있다. 이때, 분석된 결과에 따라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크라운 등의 인공 식립물이 선택되거나 설계될 수 있다.Accordingly, based on 3D data, the patient's alveolar bone amount, bone density, distribution, gum thickness for each part of the alveolar bone, shape of surrounding teeth, chewing surface between upper and lower jaw remaining teeth, etc. can be analyzed. At this time, artificial implants such as fixtures, abutments, crowns, etc. may be selected or designed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 본체(110)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U'자 형상과 같은 치열궁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면에 구강 내부가 삽입되는 구강홈(미도시)이 형성된다. The guide body 110 of the surgical guide 100 for dental im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 for fixing inside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is provided in a dental arch shape such as a 'U' shape, and has an oral cavity on one side. An oral groove (not shown) into which the inside is inserted is formed.

가이드 본체(110)는 고정부(111)와 가이드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고정부(111)와 가이드부(112)는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의 편의성을 위해 별도로 제조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guide body 110 includes a fixing part 111 and a guide part 112. Of course, the fixing part 111 and the guide part 112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or they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oupled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고정부(111)는 가이드 본체(110)를 환자의 구강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악 및 하악 중 식립 대상부가 위치된 하나의 전체 치열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전체 치열궁 중 식립 대상부와 인접한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구강홈은 3차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식립 대상부와 인접한 구강 내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비되며, 구강홈의 내부에 환자의 잇몸/치관 등이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고정부(111)가 구강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11 is a part for fixing the guide body 110 inside the patient's oral cavity. It can also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tire dental arch where the installation target part of the upper and lower jaw is locate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implantation target portion. At this time, the oral groove is provided to have an inner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rofile of the oral cavity adjacent to the implantation target area based on 3D data, and as the patient's gums/crowns, etc. are inserted and combined into the inside of the oral groove, the fixing part (111) can be fixed inside the oral cavity.

물론, 고정부(111)에는 앵커홀(미도시)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앵커홀에 삽입된 앵커핀이 환자의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잇몸 등 유연 조직으로 인한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ixing part 111 to be provided with an anchor hole (not shown). At this time, as the anchor pin inserted into the anchor hole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patient's alveolar bone, flow due to flexible tissues such as the gums can be minimized.

가이드부(112)는 인공 식립물의 식립 공정을 실질적으로 안내하는 부분으로 가이드홀(12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원형 관부재(sleeve)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치조골의 폭 또는 치간 사이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원형 관부재가 사용되지 않는다. The guide unit 112 is a part that substantially guides the implantation process of the artificial implant and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r tube member (sleeve) that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guide hole 120.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r crown member is not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alveolar bone or the gap between teeth.

가이드홀(120)은 내주면을 따라 임플란트용 드릴이 회전하여 절삭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임플란트용 드릴은 잇몸의 천공에 사용되는 티슈펀치, 치조골의 절삭에 사용되는 본플레이트닝 드릴 및 타공 드릴, 픽스츄어의 식립에 사용되는 드라이버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임플란트용 드릴이 회전하여 절삭 가공하는 가이드홀(120)에 정렬됨에 따라 임플란트용 드릴을 이용한 잇몸의 천공, 치조골의 절삭, 픽스츄어의 식립 등의 공정 시 방향과 위치 및 각도가 드릴링의 형성 방향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The guide hole 120 can be cut by rotating an implant drill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Here, the implant drill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encompassing a tissue punch used to perforate the gums, a bone plating drill and perforation drill used to cut the alveolar bone, and a driver used to install a fixture. In other words, as the implant drill is rotated and aligned with the guide hole 120 for cutting, the direction, position, and angle are formed during processes such as gum perforation, alveolar bone cutting, and fixture installation using the implant drill. It can be guided to correspond to direction and location.

가이드 본체(110)는 용이한 가공으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면서도 구강 내부의 설치시 이물감이 최소화되도록 소정의 탄성과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는 레진 계열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다.The guide body 110 is made of a resin-based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has a certain amount of elasticity and a soft touch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through easy processing and minimize foreign body sensation when installed inside the oral cavity.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 본체(110)의 가이드홀(120)은, 3차원 데이터에 의한 3D 프린팅 이후에 임플란트 시술시까지 다소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가이드홀(120)은 수축 변형이 일어나게 됨에 따라 임플란트용 드릴의 안정적인 지지가 불가능하게 된다. The guide hole 120 of the guide body 110 of the surgical guide 100 is deformed as some time passes from 3D printing using 3D data to the time of implant surgery. In particular, as shrinkage deformation occurs in the guide hole 120, stable support of the implant drill becomes im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축방지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축방지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shrinkag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nti-shrinkag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논 슬리브형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의 내경을 변형 전 초기 형태대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120)에 수축방지홀더(200)가 적용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hole 120 is install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of the non-sleeve type surgical guide 100 can be kept constant in its initial form before deformation. ) is applied to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수축방지홀더(200)는,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도 마찰계수 및 열변형량이 낮은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has high strength and low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rmal deformation.

도면을 참조하면, 수축방지홀더(200)는 가이드홀(120)의 내주면에 삽입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홀(12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홀더 본체(2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has a cylindrical shap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20, and includes a holder body 210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

홀더 본체(210)는 대략 중공의 체결홀(221)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부(220) 및 실린더부(220)의 상측에 제공되며 가이드홀(120)의 적어도 상측 일부분에 지지되는 플랜지부(230)를 포함한다.The holder body 210 includes a cylindrical cylinder portion 220 having a substantially hollow fastening hole 221, and a flang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220 and suppor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hole 120 ( 230).

실린더부(220)는 가이드홀(12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부분으로 서지컬 가이드(100)의 수축 전 또는 수축 후에 가이드홀(120)의 내주면이 접촉되는 접촉면(222)을 포함한다.The cylinder portion 220 is a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20 and is capable of sliding movement, and includes a contact surface 222 that contac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20 before or after contraction of the surgical guide 100. do.

실린더부(220)는 서지컬 가이드(100)의 수축으로 인해 변형 가능한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의 내경을 변형 전 형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홀(120)의 내경은 실린더부(220)의 외경이 접촉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3차원 데이터에 의한 3D 프린팅 이후에 임플란트 시술시까지 다소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가이드홀(120)에서 수축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The cylinder portion 220 can maintai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which is deformable due to contraction of the surgical guide 100, in its original form before deformation. In other words,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is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cylinder portion 220, so even if some time elapses from 3D printing using 3D data to the time of implant surgery, the guide hole 120 The occurrence of shrinkage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이로써, 임플란트용 드릴이 가이드홀(120)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임플란트 드릴의 드릴링 공정의 정확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the drilling process of the implant drill can be improved as the implant drill is stably supported in the guide hole 120.

플랜지부(230)는 실린더부(220)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The flange portion 23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cylinder portion 220.

플랜지부(230)에는, 가이드홀(120)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231) 및 돌출턱(231)으로부터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232)이 형성된다.In the flange portion 230, a protruding protrusion 231 that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hole 120 and an inclined surface 232 that extends obliquely outward and upward from the protruding protrusion 231 are formed.

돌출턱(231)은 실린더부(22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홀(1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232)은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플랜지부(230)가 홀더 분리기구(30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을 규정한다. 즉, 홀더 본체(210)에 경사면(232)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홀더 본체(210)를 쉽게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홀더 분리기구(300)는 홀더 본체(210)를 홀더 분리기구(300)의 원통형 본체(320)의 내부 공간에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The protruding jaw 231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220 and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guide hole 120. And the inclined surface 232 defines a predetermined space into which the flange portion 230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That is, since the inclined surface 232 is formed on the holder body 210, the holder body 210 can be easily slid upward. At this time,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can easily accommodate the holder body 210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ylindrical body 32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분리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분리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sepa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에 삽입되어 가이드홀(120)의 수축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홀더(200)는 서지컬 가이드(100)의 수축 변형에 의해 가이드홀(120)의 내주면에 실린더부(220)가 압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의 내경을 변형 전 형태로 유지하는 수축방지홀더(200)를 임플란트 시술 전 가이드홀(1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홀더 분리기구(300)가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to prevent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guide hole 120. The cylinder portion 220 may be press-fit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20 by shrinkage and deformation. Therefore, a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for easily separating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which maintains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in its pre-deformed form, from the guide hole 120 before implant surgery. can be applied.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분리기구(300)는 파지부(310), 원통형 본체(320), 로드부(330) 및 체결부(3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includes a grip part 310, a cylindrical body 320, a rod part 330, and a fastening part 340.

파지부(310)는 홀더 분리기구(300)를 손으로 파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토크를 부여하여, 수축방지홀더(200)에 회전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The gripper 310 can hold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by hand and apply torqu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reby transmitting rotational torque to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파지부(310)는 그립감이 우수한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는 슬립이 방지되도록 슬립방지홈(311)이 형성된다. The gripping portion 3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excellent grip, and an anti-slip groove 31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prevent slipping.

파지부(310)의 슬립방지홈(311)은 파지부(310)의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lip prevention groove 311 of the gripper 310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per 310.

슬립방지홈(311)은, 수축방지홀더(200)가 가이드홀(120)에 강하게 고정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을 경우, 토크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수축방지홀더(2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공구가 결합되는 결합홈일 수도 있다. The anti-slip groove 311 is a tool that allows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to be separated using a tool such as a torque wrench when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is strongly fixed to the guide hole 120 and cannot be easily separated. It may be a coupling groove where is joined.

원통형 본체(320)는 로드부(33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가이드홀(120)에 대해 직선으로 이동하는 수축방지홀더(20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322)을 포함한다. 또한 원통형 본체(320)는 하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긴 벽체(321)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홀더 분리기구(300)에 의해 수축방지홀더(200)를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로부터 분리시 수축방지홀더(200)가 상방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원통형 본체(320)의 수용 공간(322)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The cylindrical body 3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d portion 330 and includes a receiving space 322 in which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which moves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guide hole 120, is accommodated. Additionally, the cylindrical body 320 has an open inner space at the bottom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wall 321 that is long in one direction. That is, when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by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moves straight upward and the cylindrical body 320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22.

원통형 본체(320)의 벽체(321)는 수축방지홀더(200)의 플랜지부(23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홀더 분리기구(300)의 체결부(340)가 수축방지홀더(200)의 체결홀(221)에 체결되어 원통형 본체(320)의 벽체(321)가 수축방지홀더(200)의 플랜지부(230)를 지지할 경우, 벽체(321)의 내경은 대응하는 플랜지부(230)의 돌출턱(231)의 외경에 지지될 수 있다. 이는 홀더 분리기구(300)가 수축방지홀더(200)를 원통형 본체(32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시킬 경우, 정상적으로 홀더 분리기구(300)의 체결부(340)가 수축방지홀더(200)의 체결홀(221) 중심의 정위치에 위치함을 인식하기 위함이다. The wall 321 of the cylindrical body 320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230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The fastening portion 34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21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so that the wall 321 of the cylindrical body 320 is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230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 the inner diameter of the wall 321 may be supported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231 of the corresponding flange portion 230. This means that when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enters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ylindrical body 320, the fastening portion 34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normally fastens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This is to recognize that it is located at the correct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hole 221.

또한, 원통형 본체(320)의 벽체(321) 단부에는 서지컬 가이드(100)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면(323)이 형성된다. 지지면(323)은 서지컬 가이드(100)의 외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홀더 분리기구(300)가 수축방지홀더(200)를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로부터 직선 인출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In addition, a support surface 323 support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guide 10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all 321 of the cylindrical body 320. The support surface 323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guide 100 so that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pulls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straight out from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It rotates.

로드부(330)는 파지부(310)와 원통형 본체(32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로드부(330)의 직경은 파지부(310)와 원통형 본체(320)의 직경과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파지부(310)와 원통형 본체(3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d part 330 is a part that connects the grip part 310 and the cylindrical body 320, and the diameter of the rod part 330 can be formed regardless of the diameters of the grip part 310 and the cylindrical body 320.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grip portion 310 and the cylindrical body 320 are relatively smaller.

체결부(340)는 원통형 본체(320)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340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320 to cross the internal space and consists of a screw shaft with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체결부(340)는 수축방지홀더(200)의 체결홀(221)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며, 매끄러운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 면(341)을 포함한다. The fastening portion 340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that first enters the fastening hole 221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and includes a guide surface 341 having a smooth outer peripheral surface.

체결부(3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가이드 면(341)의 체결홀(221) 삽입후 삽입되도록 가이드 면(341)의 상방에 형성된다. 이때, 나사산의 상하 방향 높이는 가이드 면(341)의 상하 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340 is formed above the guide surface 341 to be inserted after insertion into the fastening hole 221 of the guide surface 341. At this time, the vertical height of the screw threa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guide surface 341.

또한, 나사산은 수축방지홀더(200)의 체결홀(221)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crew thread may be fastened by a screw thread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221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체결부(340)는 원통형 본체(320)의 벽체(321)의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더 길게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340 may be formed to extend longer outward from the boundary of the wall 321 of the cylindrical body 320.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홀더 분리기구(300)의 체결부(340)를 수축방지홀더(200)의 체결홀(221)에 체결한 상태에서, 파지부(31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수축방지홀더(200)의 체결홀(221)이 체결부(340)에 체결되면서 상방으로 직선 구동하게 된다. 이때, 수축방지홀더(200)의 돌출턱(231)은 원통형 본체(320)의 벽체(321)에 지지되어 수용 공간(322)으로 마찰 이동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part 34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21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when the gripping part 310 is rotated in the fastening direction, shrinkage is prevented. The fastening hole 221 of the holder 20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340 and is driven straight upward.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rotrusion 231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is supported by the wall 321 of the cylindrical body 320 and moves by friction into the receiving space 322.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분리기구(300)에 의해 가이드홀(120)로부터 수축방지홀더(200)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홀더 분리기구(300)를 통해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로부터 수축방지홀더(200)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Figures 7 to 9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from the guide hole 120 by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is separated with reference to Figures 7 to 9. The process for separating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from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through the mechanism 300 will be described.

먼저, 서지컬 가이드(100)에 형성된 가이드홀(120)의 내경에 대응하는 수축방지홀더(200)를 삽입한다. 이때, 수축방지홀더(200)의 실린더부(220)는 가이드홀(120)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축방지홀더(200)의 실린더부(220) 외경이 가이드홀(120)의 내경에 압입될 수 있다. First, the anti-shrink holder 200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formed in the surgical guide 100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cylinder part 220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is slidably inserted while contact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20,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ylinder part 220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It can be press-fitted.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 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홀(120)은, 3차원 데이터에 의한 3D 프린팅 이후에 임플란트 시술시까지 다소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가이드홀(120)은 수축 변형이 일어나게 되지만, 가이드홀(120)에 압입되어 있는 수축방지홀더(200)에 의해 수축 변형되지 않고 변형 전 형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The guide hole 120 formed in the guide body 110 of the surgical guide 100 is deformed as some time passes from 3D printing using 3D data to the time of implant surgery. In particular, the guide hole 120 is subject to shrinkage and deformation, but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press-fitted into the guide hole 120 prevents the guide hole 120 from shrinking and deforming and maintains its original shape.

이와 같이 가이드홀(120)의 내주면에 대해 수축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변형 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수축방지홀더(200)는 임플란트 시술 전에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which prevents shrinkage and deformation from occurring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20 and maintains its shape before deforma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before implant surgery. You can.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로부터 수축방지홀더(200)를 분리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의 홀더 분리기구(300)를 이용한다.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of FIGS. 5 and 6 is used to separate the anti-shrink holder 200 from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홀더 분리기구(300)의 체결부(340)를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에 압입되어 있는 수축방지홀더(200)의 체결홀(221)에 체결한다.The fastening portion 34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21 of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that is press-fitted into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홀더 분리기구(300)의 파지부(310)를 손으로 파지한 다음 체결 방향으로 토크를 부여하여, 수축방지홀더(200)에 회전 토크를 전달한다. The grip portion 31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is grasped by hand and then torque is applied in the fastening direction to transmit rotational torque to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파지부(31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게 될 경우, 체결부(340)의 나사산이 체결홀(221)의 나사산에 체결되면서 홀더 분리기구(300)의 원통형 본체(320)의 벽체(321)가 수축방지홀더(200)의 플랜지부(230)에 지지되면서 벽체(321)의 지지면(323)이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 본체(110)의 외면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When the gripper 310 is continuously rotated, the thread of the fastening portion 340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fastening hole 221, causing the wall 321 of the cylindrical body 32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to contract. While supported by the flange portion 230 of the prevention holder 200, the support surface 323 of the wall 321 is supported b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ody 110 of the surgical guide 100.

이어서, 홀더 분리기구(300)의 파지부(310)에 연속적인 회전 토크를 부여하게 될 경우, 지지면(323)이 서지컬 가이드(100)의 외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홀더 분리기구(300)의 체결부(340)에 체결된 수축방지홀더(200)는 체결부(340)의 스크류축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인출된다. 이때, 홀더 분리기구(300)는 수축방지홀더(200)를 서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로부터 직선 인출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Next, when continuous rotational torque is applied to the gripping portion 31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the support surface 323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guide 100, and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340 is pulled out by moving straight upward along the screw axis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340. At this time,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rotates so that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is pulled out straight from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결국, 수축방지홀더(200)는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Ultimately,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임플란트 시술 전, 임플란트용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식립홀을 드릴링하고 그 식립홀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게 되는데, 이때 임플란트용 드릴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가이드홀(120)의 방향 및 각도에 대한 정확도를 기반으로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을 따라 임플란트용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다. Before implant surgery, an installation hole is drilled in the alveolar bone using an implant drill and a fixture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At this time, the implant drill is stably supported and the accuracy of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guide hole 120 is maintained. Based on this, the implant drill can be stably supported and guided along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 시술 전에 수축으로 인해 변형 가능한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의 내경을 변형 전 형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홀(120)의 내주면에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가이드홀(120)의 방향 및 각도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임플란트 시술의 전체적인 완성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수축 변형이 가능한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에 수축방지홀더(200)를 삽입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which is deformable due to shrinkage before dental implant surgery, can be maintained in its original form before deformation. To this end, the drill is stably suppo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20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guide hole 120 and a surgical guide (100) capable of shrinking and deforming to improve the overall completeness of the implant procedure. ) The anti-shrinkage holder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

또한, 본 발명은, 홀더 분리기구(300)의 체결부(340)를 수축방지홀더(200)에 체결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회전 토크를 부여하여 서지컬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로부터 수축방지홀더(200)를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inuously apply rotational torque while the fastening portion 34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is fastened to the anti-shrink holder 200 to separate the fastening portion 340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00 from the guide hole 120 of the surgical guide 100. The anti-shrink holder 200 can be separated.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서지컬 가이드 110 : 가이드 본체
111 : 고정부 112 : 가이드부
120 : 가이드홀 200 : 수축방지홀더
210 : 홀더 본체 220 : 실린더부
221 : 체결홀 222 : 접촉면
230 : 플랜지부 232 : 경사면
300 : 홀더 분리기구 310 : 파지부
311 : 슬립방지홈 320 : 원통형 본체
321 : 벽체 322 : 수용 공간
323 : 지지면 330 : 로드부
340 : 체결부 341 : 가이드 면
100: Surgical guide 110: Guide body
111: fixing part 112: guide part
120: Guide hole 200: Anti-shrinkage holder
210: Holder body 220: Cylinder part
221: fastening hole 222: contact surface
230: flange portion 232: inclined plane
300: Holder separation mechanism 310: Holding part
311: Slip prevention groove 320: Cylindrical body
321: wall 322: accommodation space
323: support surface 330: load part
340: fastening part 341: guide surface

Claims (13)

환자의 구강 내부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식립 영역 상에 홈을 형성하여 시술하기 위해 임플란트 드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서지컬 가이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상기 가이드홀의 수축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을 유지하는 수축방지홀더; 및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축 방향으로 회전 토크를 부여하여 상기 가이드홀로부터 상기 수축방지홀더를 직선 이동시켜 분리하기 위한 홀더 분리기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 surgical guide formed with a guide hole for guiding an implant drill to form a groove on the implant installation area based on data acquired from inside the patient's mouth and perform the procedure;
An anti-shrinkage holder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o maintai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to prevent shrinkage and deformation of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and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including a holder separation mechanism for separating the anti-contraction holder by linearly moving it from the guide hole by applying a rotational torqu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anti-contraction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방지홀더는,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홀더 본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nti-shrink holder is,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comprising a cylindrical holder body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방지홀더는,
중공의 체결홀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적어도 상측 일부분에 지지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anti-shrink holder is,
A cylindrical cylinder portion having a hollow fastening hole; and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an implant comprising a flange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and supported on at least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홀의 수축 전, 후에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이 접촉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ylinder part is a sliding part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includes a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before and after contraction of the guide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 및
상기 돌출턱으로부터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lange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an implant comprising: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obliquely upward and outward from the protruding jaw.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분리기구는,
상기 수축방지홀더에 회전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파지부;
상기 가이드홀에 대해 직선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축방지홀더가 수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며 일방향으로 긴 벽체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원통형 본체; 및
상기 원통형 본체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상기 체결홀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use 5,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is,
A grippe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torque to the anti-shrinkage holder;
A cylindrical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wall that is long in one direction and whose lower part is open to accommodate the anti-shrinkage holder that moves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guide hole; and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an implant comprising a fastening part that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has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is fastened by the threads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of the anti-shrinkage hol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분리기구는,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상기 체결홀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며, 매끄러운 외주면을 가지는 가이드 면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분리기구의 나사산은 상기 가이드 면의 상기 체결홀 삽입후 삽입되도록 가이드 면의 상방에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use 6,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is,
It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that first enters the fastening hole of the anti-shrinkage holder and includes a guide surface having a smooth outer peripheral surface,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in which the thread of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is formed above the guide surface to be inserted after insertion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guide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의 상하 방향 높이는 상기 가이드 면의 상하 방향 높이보다 큰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In clause 7,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screw thread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guide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분리기구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 및
상기 원통형 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use 5,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is,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It includes a fastening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cylindrical body and crosses the internal space,
The fastening part is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with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의 상기 벽체는,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수축방지홀더의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벽체가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할 경우, 상기 벽체는 대응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턱의 외경에 지지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use 6 or 9,
The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anti-shrinkage holder,
When the fastening par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anti-shrinkage holder and the wall accommodates the flange part, the wall is support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jaw of the corresponding flange part.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단부는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외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 분리기구는 상기 수축방지홀더를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상기 가이드홀로부터 직선 인출되도록 회전하는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use 6 or 9,
An end of the cylindrical body forms a support surfac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guide,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in which the support surface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guide, and the holder separation mechanism rotates to straightly extract the anti-contraction holder from the guide hole of the surgical guide.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상기 벽체의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더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use 6 or 9,
The fastening part is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an implant formed by extending longer outward from the boundary of the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홈으로 형성된 슬립방지홈이 형성된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use 6,
An auxiliary device for a surgical guide for implants in which a slip preven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per and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KR1020230042636A 2023-03-31 2023-03-31 Auxiliary device of surgical guide for implant surgery KR102588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636A KR102588060B1 (en) 2023-03-31 2023-03-31 Auxiliary device of surgical guide for implant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636A KR102588060B1 (en) 2023-03-31 2023-03-31 Auxiliary device of surgical guide for implant surg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060B1 true KR102588060B1 (en) 2023-10-16

Family

ID=8850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636A KR102588060B1 (en) 2023-03-31 2023-03-31 Auxiliary device of surgical guide for implant surg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060B1 (en)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939B2 (en) * 1977-01-20 1986-06-03 Kibun Kk
US5947326A (en) * 1997-11-12 1999-09-07 Alasco Rubber & Plastics Corporation Bung and stopper
KR20010017803A (en) * 1999-08-14 2001-03-05 신동우 A cork with extractor
KR100564810B1 (en) * 2003-10-22 2006-03-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Device for protecting edge of reel
WO2009149881A1 (en) * 2008-06-11 2009-12-17 Alberto Rebaudi Implant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KR101075832B1 (en) * 2009-12-17 2011-10-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Screw remover
KR101240357B1 (en) * 2011-06-10 2013-03-07 정제교 Rapid prototype of oral model assembly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using the same
KR101250493B1 (en) * 2011-11-07 2013-04-03 주식회사 덴티스 A guide device and a surgical procedure method for implant
US8892235B2 (en) * 2011-12-05 2014-11-18 Anatomage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dental implant surgical drill guide
US20150147716A1 (en) * 2011-07-01 2015-05-28 Leone S.P.A. Surgical guide system for dental implantolog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50265373A1 (en) * 2014-03-19 2015-09-24 GRS Guide System, Inc. Positioning and Installing Surgical Drilling Devices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KR101718464B1 (en) * 2016-02-23 2017-03-21 (주)이비아이 Removing apparatus of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1810851B1 (en) * 2016-02-26 2017-12-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urgical Anchor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Surgical Kit Having The Same
KR20180014995A (en) * 2016-08-02 2018-02-12 김형우 Guide apparatus for insertion of an implant
KR101854734B1 (en) 2016-12-22 2018-05-04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of Open Type Surgical Guide
KR20190080593A (en) * 2017-12-28 2019-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vice for checking axial direction of implant hole
KR102064607B1 (en) * 2017-09-18 2020-01-09 주식회사 덴티스 Universal implant treatment kit using guide stent
KR20200002673U (en)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세움메디 The dental combo torque wrench tip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939B2 (en) * 1977-01-20 1986-06-03 Kibun Kk
US5947326A (en) * 1997-11-12 1999-09-07 Alasco Rubber & Plastics Corporation Bung and stopper
KR20010017803A (en) * 1999-08-14 2001-03-05 신동우 A cork with extractor
KR100564810B1 (en) * 2003-10-22 2006-03-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Device for protecting edge of reel
WO2009149881A1 (en) * 2008-06-11 2009-12-17 Alberto Rebaudi Implant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KR101075832B1 (en) * 2009-12-17 2011-10-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Screw remover
KR101240357B1 (en) * 2011-06-10 2013-03-07 정제교 Rapid prototype of oral model assembly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using the same
US20150147716A1 (en) * 2011-07-01 2015-05-28 Leone S.P.A. Surgical guide system for dental implantolog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250493B1 (en) * 2011-11-07 2013-04-03 주식회사 덴티스 A guide device and a surgical procedure method for implant
US8892235B2 (en) * 2011-12-05 2014-11-18 Anatomage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dental implant surgical drill guide
US20150265373A1 (en) * 2014-03-19 2015-09-24 GRS Guide System, Inc. Positioning and Installing Surgical Drilling Devices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KR101718464B1 (en) * 2016-02-23 2017-03-21 (주)이비아이 Removing apparatus of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1810851B1 (en) * 2016-02-26 2017-12-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urgical Anchor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Surgical Kit Having The Same
KR20180014995A (en) * 2016-08-02 2018-02-12 김형우 Guide apparatus for insertion of an implant
KR101854734B1 (en) 2016-12-22 2018-05-04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of Open Type Surgical Guide
KR102064607B1 (en) * 2017-09-18 2020-01-09 주식회사 덴티스 Universal implant treatment kit using guide stent
KR20190080593A (en) * 2017-12-28 2019-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vice for checking axial direction of implant hole
KR20200002673U (en)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세움메디 The dental combo torque wrench t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566B2 (en) Drill sleeve for a dental drill
US8585402B2 (en) Dental drill guide system
US8535055B2 (en)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dental implant drilling guides
US6626667B2 (en) Implant guide arrangement
US10905522B2 (en)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surgery
JP5493171B2 (en) Surgical template positioning device
US20090291414A1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implant
US11576749B2 (en) Dental surgery method and device
JP2021526400A (en) Central gingival implant system
CN111263621B (en) Direction confirming pin and guide screw drill kit for implant fixture
EP4241723A2 (en) Surgical drill
KR20120038486A (en) Bone calipers
JP5028621B2 (en) Surgical guide
KR102588060B1 (en) Auxiliary device of surgical guide for implant surgery
KR20190041668A (en) An alveolar bone support member and an implant treatment drill guide kit
CN111698961B (en) Dental surgical method and apparatus
US20230372060A1 (en) Guide for revising drilling path on alveolar bone
KR101653798B1 (en)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Surgery
CN114126534A (en) Surgical connector for dental jig
KR101652971B1 (en) fixing apparatus for surgical guide of dental implant
KR102279149B1 (en) System for implanting root implant
KR102555871B1 (en) Gauge for implant surgery
US11617631B2 (en) Surgical guide tool for single dental implant positioning
JP3216661U (en) Surgical guide and sleeve-like member used therefor
US20240148470A1 (en) Parallel and angled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