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681B1 -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681B1
KR102587681B1 KR1020210150428A KR20210150428A KR102587681B1 KR 102587681 B1 KR102587681 B1 KR 102587681B1 KR 1020210150428 A KR1020210150428 A KR 1020210150428A KR 20210150428 A KR20210150428 A KR 20210150428A KR 102587681 B1 KR102587681 B1 KR 10258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emission
value
measuring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869A (ko
Inventor
박인철
정운혁
한재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크앤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크앤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크앤아이티
Priority to KR102021015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6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측정부;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급격하게 증가된 생산력으로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자연환경의 훼손이 급증하고 에너지 소비도 과도해졌다. 그에 따라 화석연료의 배기가스 인한 공해, 대기오염,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 등 수많은 환경문제가 발생하였고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각 국가별로 자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 국가별로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규제하고 있으며, 인접국간에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로 분쟁이 발생하기도 하고, 전자제품의 수출입시 환경유해물질의 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기존 도시의 오염도 및 신설되는 산업시설이나 교통량 증가에 따른 대기오염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기 및 대기 오염에 대하여, 70년대부터 개별 매체별 관리에 근간하여 환경오염시설 허가제를 실시하여 왔다. 그런데, 그동안의 환경오염시설 허가제는 획일적 배출기준에 의해 형식적으로 환경허가를 하여, 비효율적이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오염물질 배출을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경제성 있는 최적의 환경관리기법을 바탕으로, 사업장 스스로 환경관리 역량을 높이고 기술발전을 이끌수 있도록, 2017년부터 통합환경관리제도가 시행된다.
새로운 통합환경관리제도에서는 환경정책기본법에 따른 환경기준을 포함하는 환경의 질 목표수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추가 오염배출에 따른 오염수준을 판단하는 배출영향분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배출영향분석은 추가 오염배출에 따른 오염수준을 판단하여, 주민의 건강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허가조건 부여 및 허가배출기준 수립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즉, 업종별 최대배출기준 이하에서 오염물질 배출로 인해 주변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허가배출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경우 최대배출기준을 허가배출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고, 반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경우 환경의 질 목표수준이 달성될 수 있도록 최대배출기준 이하에서 허가배출기준을 도출하여야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61595호 “대기오염배출원 계획의 결정지원시스템”은 대기오염과 관련된 행정, 건설, 시설운영 및 연구 등의 업무수행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지리정보수단, 데이터베이스수단, 내장된 환경모델에 적용함으로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모델관리 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추론엔진을 내장하여 모델관리수단으로 추론결과를 전달하는 규칙 및 지식기반수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식기반수단은 모델 파라미터(지형, 오염농도, 평균화 시간, 배출 물질특성, 플럼높이등)와 모델(ISC, ADMS, AERMOD 등)들을 적절히 선정하는 것을 돕도록 추론엔진에 의해 전문가 시스템 쉘과 연결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127호 “대기 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지형 상태 등을 고려하여 미래의 기상 정보를 예측하고, 이 예측된 미래 기상 정보와 오염원 배출 정보에 기반하여 미래 대기 오염물질의 농도 분포를 모니터링하는데 적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기상 모델링 모듈과, 각 대기 오염물질별로 미래 대기 오염물질의 농도 분포를 각각 예측하는 모델링 수단과, 위성사진이 결합된 각 오염원별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진 매핑 모듈과, 생성된 각 오염원별 분포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염원 정보 DB와,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대기 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07397호 “대기 모델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지형 및 기상자료를 이용한 기상모델과 점, 선, 면 오염원 배출량을 산정하는 배출량 모델 등을 이용하여 과거, 현재 및 미래에 대한 대기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 정도를 모델링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61595호 “대기오염배출원 계획의 결정지원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127호 “대기 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507397호 “대기 모델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중, 소 규모의 사업장에서도 쉽게 도입 및 운영 할 수 있는 대기 오염물질 관리 하드웨어, 운영 소프트웨어 일체로 그간 오프라인으로 수행하던 운영, 관리, 통제에 대한 업무를 전산화하고, 대기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방지시설에 대한 오염물질과 방지시설의 가동상태 그리고 방지시설 이전 단계의 설비 가동 상태를 원격, 실 시간 측정하여 대기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관리와 운영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측정부;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이 설정된 측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미동작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제1 전류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미세 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제2 전류계; 및 상기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 상기 제1 전류계의 측정 값, 상기 제2 전류계의 측정 값 및 상기 온도계의 측정 값을 임시로 저장하는 자동화 제어장비(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및 상기 자동화 제어 장비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 상기 제1 전류계의 측정 값, 상기 제2 전류계의 측정 값 및 상기 온도계의 측정 값을 전달 받아 상기 감시부로 전송하는 통신 장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미세 먼지 측정 센서 및 상기 온도계가 배치되는 측정기 하우징; 및 상기 자동화 제어 장비 및 상기 통신 장비가 배치되는 제어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정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과 연결되는 형태로서, 상기 배기단에서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관 및 흡기된 공기를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으로 돌려 보내는 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에 기초하여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량을 시뮬레이션하는 배출량 계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량 계산기는,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8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일산화질소(NO)값을 산정하고,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531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이산화질소(NO2)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일산화질소(NO)값과 이산화질소(NO2)값을 합하고, 1ppb = 0.001ppm, 1ppm = 100mg/S㎥을 적용하여 mg/S㎥ 단위의 질소 산화물 배출값으로 환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측정부;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으로서, (a)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에 의하면, 중, 소 규모의 사업장에서도 쉽게 도입 및 운영 할 수 있는 대기 오염물질 관리 하드웨어, 운영 소프트웨어 일체로 그간 오프라인으로 수행하던 운영, 관리, 통제에 대한 업무를 전산화하므로, 대기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방지시설에 대한 오염물질과 방지시설의 가동상태 그리고 방지시설 이전 단계의 설비 가동 상태를 원격, 실 시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대기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관리와 운영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계를 통하여 오염물질 배출 시설의 가동과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각각 인식하므로 배출 방지 시설을 고의로 가동하지 않는 것을 원격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와 대기 오염 물질 발생 시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1000)은 제1 측정부(100), 제2 측정부(200) 및 감시부(300)를 포함한다.
제1 측정부(100)는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한다.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먼지(TSP)가 대기 오염물질에 해당한다.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은 제조업체의 생산 라인일 수도 있고, 소각장일 수도 있다. 언급한 외에도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가운데 배출 규제 또는 관리가 필요한 시설은 어느 것이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에 포함될 수 있다.
배출 방지 시설(B)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에서 배출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시설이다. 탈황 장치, 질소 산화물 저감장치, 매연 저감장치 등이 배출 방지 시설(B)에 해당한다.
배출 방지 시설(B)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의 배기라인(예를 들자면 굴뚝)에 배치되어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먼지(TSP) 등이 환경 기준치(「대기관리권역법」 제9조제2항 제8호)를 초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측정부(200)는 배출 방지 시설(B)에 배치되어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한다. 감시부(300)는 제1 측정부(100)의 측정값 및 제2 측정부(200)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여부를 확인한다.
제1 측정부(100)의 측정값 및 제2 측정부(200)는 각각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 및 배출 방지 시설(B)에 위치하고, 감시부(300)는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C)에 위치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출 방지 시설(B)을 구비하는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을 사업장(F-1, F-2 및 F-n)이라고 부르기로 하겠다.
도 2는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와 대기 오염 물질 발생 시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1000)은 다수의 사업장(F-1, F-2 및 F-n)을 관리 및 감시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감시부(300)는 제1 측정부(100)의 측정값과 제2 측정부(200)의 측정값이 설정된 측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배출 방지 시설(B)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즉, 사업장)에 미동작 여부를 통보한다. 즉,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사업장의 담장자에게 주의 알람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주의 통보가 가능하다.
- 주의 알람: 감시부(300)에서 계산된 값이 시스템에 등록된 항목별 허용 범위 10% 이내로 근접할 경우 "의 알람 (담당자에게 주의 알람 제공)
- 경고 알람: 계산된 값이 시스템에 등록된 항목별 허용 범위초과 할 경우 경고 알람 (담당자에게 경고 알람 제공)
- 알람의 형태: Email, SMS, 앱 알람, 소리, 모니터 화면 메시지 오픈
- 알람 선택 방법: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C)”에서 선택된 알람형태로 알람 제공
감시부(300)는 제1 측정부(100)의 측정값과 제2 측정부(200)의 측정값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배출 방지 시설(B)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각 조건에 해당한다면 배출 방지 시설(B)의 노후화 또는 점검,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는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Case 1: 방지시설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이 시스템에서 설정한 허용 범위 이내 이고, 월별 미세먼지 농도가 허용 범위를 초과할 경우
Case 2: 방지시설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이 시스템에서 설정한 허용 범위 이내 이고, 월별 미세먼지 농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경우
Case 3: 배출시설의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방지시설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의 변화가 없을 경우
Case 4: 배출시설의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의 변화가 없고, 방지시설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이 지속적으로 상승
제1 측정부(100)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의 가동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1 전류계(110)를 포함한다. 제1 전류계(110)는 시설(A)의 전력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이 가동되는지 여부를 측정한다.
측정된 가동 전류 값 또는 전력량 값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C)에 위치하는 감시부(300)로 전달된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측정부(100)가 직접 감시부(3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도 3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전류계(110)에서 측정된 값이 제2 측정부(200)를 경유하여(즉, 제2 측정부의 통신 장비를 통해) 감시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측정부(200)는 제2 전류계(210),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 온도계(230), 자동화 제어 장비(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통신 장비(250), 측정기 하우징(H1) 및 제어기 하우징(H2)을 포함한다.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에 따라 제2 측정부(200)는 질소 산화물 측정센서, 황 산화물 측정 센서, 일산화 탄소 측정 센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는 배출 방지 시설(B)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미세 먼지를 측정한다. 즉,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가스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측정한다.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 장치로서 PLC에 인식 가능한 센서 (PM2.5, PM10 측정 센서)인 것이면 충분하다.
온도계(230)는 배출 방지 시설(B)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공기(즉, 배출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는 "온도와 1기압 조건 1 mol의 가스 부피"를 계산을 위한 온도 측정용으로 사용된다.
제2 전류계(210)는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한다. 즉, 제2 전류계(210)를 통해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동화 제어장비(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240)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의 측정 값, 제1 전류계(110)의 측정 값, 제2 전류계(210)의 측정 값 및 온도계(230)의 측정 값을 수신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임시로 저장한 후 통신 장비(250)에 전달한다.
통신 장비(250)는 자동화 제어 장비(240)로부터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의 측정 값, 제1 전류계(110)의 측정 값, 제2 전류계(210)의 측정 값 및 온도계(230)의 측정 값을 전달 받아 감시부(300)로 전송한다. 통신 장비(250)와 감시부(300)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환경부 지정 VPN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기 하우징(H1)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 및 온도계(230)가 배치되는 밀폐형 하우징이다. 측정기 하우징(H1)는 배출 방지 시설(B)의 배기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정기 하우징(H1)은 배출 방지 시설(B)의 배기단과 연결되는 형태로서, 배기단에서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관(L1) 및 흡기된 공기를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으로 돌려 보내는 배기관(L2)을 포함한다. 흡기관(L1) 및 배기관(L2)에는 각각 흡기팬 및 배기팬이 구비되나 간결한 도시를 위해 흡기/배기팬은 도시 생략하였다.
자동화 제어 장비(240) 및 통신 장비(250)는 제어기 하우징(H2)에 배치된다.
한편, 감시부(300)는 배출 방지 시설(B)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미세 먼지의 측정값으로부터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값을 추정하는 배출량 계산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량 계산기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에서 측정된 미세 먼지 값을 시뮬레이션하여, 기타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값을 추정한다. 미세 먼지 값에 미리 계산된 각각의 파라메터를 적용하여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값을 mg/S㎥ 단위로 환산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출량 계산기는,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8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일산화질소(NO)값을 산정하고,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531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이산화질소(NO2)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일산화질소(NO)값과 이산화질소(NO2)값을 합하고, 1ppb = 0.001ppm, 1ppm = 100mg/S㎥을 적용하여 mg/S㎥ 단위의 질소 산화물 배출값으로 환산한다.
또한, 배출량 계산기는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382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이산화황(SO2)값을 산정하고,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5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삼산화황(SO2)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이산화황(SO2)값과 삼산화황(SO2)값을 합하고, 1ppb = 0.001ppm, 1ppm = 100mg/S㎥을 적용하여 mg/S㎥ 단위의 황산화물 배출값으로 환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 내디 도 3에서 설명된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1000)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제1 측정부(100), 제2 측정부(200) 및 감시부(30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의 가동 여부 확인 단계(S100),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여부 확인 단계(S200) 및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의 가동 전류값 및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전류값을 비교하여 수신하여 배출 방지 시설(B)의 실제 가동 여부를 확인 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S100 단계는, 제1 측정부(100)에 의해 수행되고, S200 단계는, 제2 측정부(200)에 의해 수행되고, S300 단계는, 감시부(200)에 의해 수행된다.
제1 측정부(100), 제2 측정부(200) 및 감시부(300)는 앞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에 의하면, 전류계를 통하여 오염물질 배출 시설의 가동과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각각 인식하므로 배출 방지 시설을 고의로 가동하지 않는 것을 원격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대기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방지시설에 대한 오염물질과 방지시설의 가동상태 그리고 방지시설 이전 단계의 설비 가동 상태를 원격, 실 시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대기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관리와 운영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100 : 제1 측정부
200 : 제2 측정부
300 : 감시부
A : 오염물질 발생 시설
B : 배출 방지 시설
C :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

Claims (9)

  1.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측정부;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이 설정된 측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미동작 여부를 통보하고,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제1 전류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미세 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제2 전류계; 및
    상기 배출 방지 시설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 상기 제1 전류계의 측정 값, 상기 제2 전류계의 측정 값 및 상기 온도계의 측정 값을 임시로 저장하는 자동화 제어장비(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및
    상기 자동화 제어 장비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 상기 제1 전류계의 측정 값, 상기 제2 전류계의 측정 값 및 상기 온도계의 측정 값을 전달 받아 상기 감시부로 전송하는 통신 장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에 기초하여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량을 시뮬레이션하는 배출량 계산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량 계산기는,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8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일산화질소(NO)값을 산정하고,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531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이산화질소(NO2)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일산화질소(NO)값과 이산화질소(NO2)값을 합하고, 1ppb = 0.001ppm, 1ppm = 100mg/S㎥을 적용하여 mg/S㎥ 단위의 질소 산화물 배출값으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미세 먼지 측정 센서 및 상기 온도계가 배치되는 측정기 하우징; 및
    상기 자동화 제어 장비 및 상기 통신 장비가 배치되는 제어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과 연결되는 형태로서, 상기 배기단에서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관 및 흡기된 공기를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으로 돌려 보내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150428A 2021-11-04 2021-11-04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258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28A KR102587681B1 (ko) 2021-11-04 2021-11-04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28A KR102587681B1 (ko) 2021-11-04 2021-11-04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69A KR20230064869A (ko) 2023-05-11
KR102587681B1 true KR102587681B1 (ko) 2023-10-11

Family

ID=8637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428A KR102587681B1 (ko) 2021-11-04 2021-11-04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6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595B1 (ko) 2004-07-01 2006-12-27 박옥현 대기오염배출원 계획의 결정지원시스템
KR20090098127A (ko) 2008-03-13 2009-09-17 (주)바이오텔 대기 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4929A (ko) * 2012-04-10 2013-10-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산화탄소 센싱에 의한 오염물질 측정에 따른 차량 환기시스템 제어 장치
KR101507397B1 (ko) 2012-08-20 2015-04-07 주식회사 나인에코 대기 모델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23135A (ko) * 2020-04-02 2021-10-13 (주)두일테크 IoT 기반 환경 오염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69A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52914B (zh) 一种区域空气质量治理的装置
CN108510248B (zh) 一种全面监控的建设项目环境审批系统
KR20200074135A (ko) 엔티티와 연관된 온실 가스 배출물들을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40024541A (ko) 대기 모델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60008781A (ko)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77040A (ko) 상세규모 대기질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Stidworthy et al. Evaluation of local and regional air quality forecasts for London
Sevryukova et al. Development of the automated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KR102587681B1 (ko)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CN107194194A (zh) 一种精细化环保管理云服务系统
KR101882874B1 (ko) 대기환경을 고려한 발전기 운영 계획 수립 방법 및 그 장치
CN109709010A (zh) 可扩展一体化设计的大气降尘监测系统
KR2001001647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대기배출시설 종합관리 시스템
KR100383046B1 (ko) 에어와치 시스템
KR20050122623A (ko) 이동형 에어와치 시스템
Bell et al. METEC controlled test protocol: continuous monitoring emission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Morris et al. Application of distributed urban sensor networks for actionable air quality data
CN115950797B (zh) 污染物溯源方法和系统
KR102404879B1 (ko) IoT를 이용한 실시간 측정자료 입력 및 굴뚝관리 시스템
Diez et al. Uncertainty propagation of meteorological and emission data in modeling pollutant dispersion in the atmosphere
Devi et al. Air Pollution Prevention Using Wireless Sensors
Ganesh et al. Internet of Things Enabled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Hester et al. Air quality management
Sturtevant Q u ce and content S
Tijani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Low-Cost Sensors as Probable Alternatives for Conventional Air Monitor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