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574B1 - 검체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574B1
KR102587574B1 KR1020210107922A KR20210107922A KR102587574B1 KR 102587574 B1 KR102587574 B1 KR 102587574B1 KR 1020210107922 A KR1020210107922 A KR 1020210107922A KR 20210107922 A KR20210107922 A KR 20210107922A KR 102587574 B1 KR102587574 B1 KR 102587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d
tube
guide groove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036A (ko
Inventor
손현준
황창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5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튜브,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인출 및 회전할 수 있는 채취봉 및 상기 튜브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채취봉과 동력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채취봉을 직선운동 및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인출된 상기 채취봉의 단부는 상기 회전운동에 의해 유도된 세차운동으로 검체 채취부위에 전체적으로 접촉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체 채취 장치{Sample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검체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발생은 5년 소유형, 10년 대유형 주기이며 바이러스 진단기술(RT_PCR 등)은 확보된 상태이다. 바이러스 감염 진단을 위한 시료 검체 채취는 전문 의료인, 자가, 로봇 등의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검체 채취는 피검사자의 비인두 또는 구인두 속 바이러스가 증착된 부위로 채취봉을 삽입 및 접촉시켜 시료를 채취 후 캡슐에 넣어 봉인한 후 RT-PCR 진단검사소로 송부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 의료인이 호흡기 감염원을 비인두에서 수동으로 직접 채취하는 과정 중 채취봉이 대기로부터 오염되거나, 피검사자의 감염원이 대기로 노출되는 가능성이 높다.
자가의 경우 채취봉의 비인두 접촉여부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검체 채취 실패의 가능성과 피검사자로부터 감염원이 대기중으로 노출 가능성이 높다.
로봇의 경우 자동화된 장치로 호흡기 감염원을 채취하는 경우 채취 과정에서 피검사자로부터 유출된 감염원이 장치 전체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일회 채취 후 장치 전체를 소독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걸려 효율적으로 검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3278호 (2021.07.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0927호 (2020.11.13.)
본 발명은 피검사자 검체 채취가 용이하도록 하며 검체 채취과정에서 감염원의 노출 및 채취봉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검체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장치는 튜브,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인출 및 회전할 수 있는 채취봉 및 상기 튜브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채취봉과 동력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채취봉을 직선운동 및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인출된 상기 채취봉의 단부는 검체 채취부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회전운동에 의해 유도된 세차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채취봉의 단부가 검체 채취부에 접촉하여 상기 세차운동을 통하여 검체 채취부위의 검체와 전체적으로 접촉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상기 검체 채취 장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채취봉의 인출 길이를 추정할 수 있는 길이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어부와 연결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채취봉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부와 나사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몸체,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된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이동부가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직선 가이드홈과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나선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직선 가이드홈과 상기 나선 가이드홈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검체 채취 장치는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나선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채취부와 접할 수 있는 연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채취부와 연결된 자성체, 그리고 상기 연결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면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자성체와 상기 전자석이 붙으며, 상기 채취봉은 상기 연결부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검체 채취 장치는 상기 구동유닛이 배치된 본체부, 그리고 상기 채취봉이 수용된 상기 튜브가 적층될 수 있고 상기 튜브를 상기 구동유닛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취봉은 튜브에 삽입되어 피검사자의 콧구멍으로 삽입되기 전까지 보호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이 차단되고 채취봉이 피검사자의 콧구멍으로 삽입되는 순간 튜브에서 노출되어 비인두로 진입하게 된다. 피검사자의 비인두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콧구멍으로 후퇴하여 외부로 빠져나오는 순간 다시 튜브로 삽입되어 보호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취뭉치가 비인두와 접하면 압력감지부의 압력은 상승하며 제어부는 채취뭉치가 비인두에 접촉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와 전자석에 의해 홀더와 연결부가 붙어 홀더는 구동유닛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비인두와 접촉한 채취뭉치는 탄성력을 갖고 휘어진 막대에 의해 세차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채취뭉치에 비인두의 검체가 전체적으로 묻어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채취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1의 구동유닛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3의 구동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채취부가 튜브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3의 구동유닛에 자성체와 전자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3의 구동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하우징을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3의 구동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구동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하우징을 자른 단면도.
도 12는 채취봉이 세차운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장치는 채취봉이 호흡기감염 의심 피검사자의 비인두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보존하기 위해 튜브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감염원이 대기 중으로 노출되거나 또는 검체가 채취된 채취봉이 대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채취봉은 튜브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콧구멍으로 삽입되기 전까지 보호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이 차단된다. 채취봉이 피검사자의 콧구멍으로 삽입이 시작되는 순간 튜브에서 노출되어 비인두로 진입하게 된다. 피검사자의 비인두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콧구멍으로 후퇴하여 외부로 빠져나오는 순간 다시 튜브로 삽입되어 보호된다. 이에 채취봉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장치는 피검사자의 비인두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피검사자의 콧방울에서 귀구슬까지의 변위를 측정하여 2/3 지점에 대한 비인두의 위치를 근사적으로 식별 및 추정하고 표시를 한다. 콧방울에서 비인두까지 거리가 추정되면 채취봉을 삽입한 후 채취봉이 비인두에 도달 시 압력센서의 탄성력을 측정하여 비인두의 접촉상태를 확인한다.
채취봉은 비인두에서 접촉된 상태에서 검체를 채취하기 위하여 2 내지 3회 세차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채취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장치(1)는 튜브(110)와 채취봉(140)으로 이루어진 채취부(100) 및 구동유닛(500)을 포함한다. 검체 채취 장치(1)는 길이 측정부(200), 압력감지부(300) 및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취부(100)와 구동유닛(500)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유닛(500)은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채취부(100)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채취부(100)는 순차적으로 구동유닛(500)이 결합될 수 있다. 사용된 채취부(100)는 구동유닛(500)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튜브(11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는 비어 있다. 튜브(110)의 일단에는 찢어질 수 있는 차단막(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어 있다. 튜브(110)의 일단은 구동유닛(500)과 접해 있으며 차단막은 구동유닛(500)의 작동으로 찢어질 수 있다.
튜브(110)의 타단에는 캡(1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캡(120)과 튜브(110)는 절취선 또는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캡(120)이 분리된 튜브(110)의 타단은 피검사자의 콧구멍 부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튜브(110)의 내부에는 홀더(130)가 배치되어 있다. 홀더(130)는 구동유닛(500)의 구동력에 의해 튜브(11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튜브(110)는 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튜브(110)의 외부에서 이동하는 홀더(130)가 보일 수 있다.
채취봉(140)은 막대(141)와 채취뭉치(143)를 포함하며 튜브(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채취봉(140)은 구동유닛(500)의 구동력에 의해 튜브(110)의 내부에서 타단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인출된 채취봉(140)은 구동유닛(500)의 구동으로 튜브(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도 있다.
막대(141)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휘어질 수 있다. 막대(141)의 일단에는 손잡이(142)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42)의 외부 둘레 지름은 막대(141)의 외부 둘레 지름보다 크다. 그리고 손잡이(142)의 일부분은 홀더(130)에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채취뭉치(143)는 막대(141)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다. 채취뭉치(143)는 솜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홀더(130)의 전진 이동 시 채취봉(140)은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채취뭉치(143)는 튜브(110)에서 인출되어 콧구멍을 통해 검체 채취 부위인 비인두와 접할 수 있다. 채취뭉치(143)에는 비인두의 검체가 묻을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비인두의 위치는 콧방울과 귀구슬을 가상의 직선으로 연결하였을 때 콧방울을 기준으로 귀구슬 방향으로 2/3 지점이다.
길이 측정부(200)는 비인두 지점을 제어부에 전송하여 구동유닛(5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길이 측정부(200)는 저항식 변위센서를 포함하며 튜브(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있다.
피검사자는 튜브(110)의 일단을 콧구멍 부분에 위치시키고 측정된 귀구슬까지의 거리의 2/3정도의 거리를 코뒷벽을 향하여 전진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길이 측정부(200)의 가압된 부분을 센싱하여 길이 측정부(200)의 일단에서 센싱된 부분까지의 거리(L)를 채취봉(140)의 인출 거리로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추정된 거리만큼 채취봉(140)이 튜브(110)에서 인출되도록 구동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길이 측정부(200)를 저항식 변위센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학식 변위측정 장치일 수도 있다. 길이 측정부(200)를 저항식, 광학식 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콧구멍에서 비인두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압력감지부(300)는 구동유닛(500)과 홀더(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있다. 채취뭉치(143)가 검체 채취 부위와 접촉한 상태에서 구동유닛(500)이 지속적으로 구동하면 채취봉(140)은 튜브(110)에서 인출되지 못하므로 홀더(130)와 구동유닛(500)의 사이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압력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구동유닛(500)의 구동을 정지하여 채취부(100)가 전진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400)는 채취부(100)가 후퇴하여 튜브(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동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채취뭉치(143)가 피검사자의 콧구멍에 삽입되기 전까지 튜브(110)에 삽입된 상태로 보호되며, 채취뭉치(143)가 피검사자의 콧구멍에 삽입이 시작되는 순간 튜브(110)에서 인출되어 비인두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되며, 채취뭉치(143)가 바이러스, 먼지 등의 감염원에 오염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채취뭉치(143)가 피검사자의 비인두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콧방울 방향으로 후퇴하여 외부로 빠져나오는 튜브(110)로 삽입되어 외부 감염원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피검사자 검체 채취과정에서 감염원의 노출 및 채취봉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고하여 구동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구동유닛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동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채취부가 튜브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구동유닛(500)은 하우징(510), 구동모터(520), 회전부(530), 이동부(540) 및 연결부(550)를 포함한다.
하우징(510)의 내부에는 설치공간(511)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공간(511)은 튜브(110)와 접하고 있는 하우징(510)의 타단으로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510)의 일단 내부에는 제어부(400)가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제어부(4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및 조작패널(410)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모터(520)는 설치공간(511)에 배치되어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모터(520)는 제어부(400)에 의해 정 회전 또는 역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53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부 둘레에 나사가 형성된 볼스크류를 포함한다. 회전부(530)는 설치공간(511)에 위치하여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도시하지않음)으로 지지되어 있다. 회전부(530)의 일단은 구동모터(520)의 구동축과 동력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이동부(540)는 이동몸체(541), 그리고 가이드돌기(542)를 포함하며 회전부(5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동몸체(541)는 설치공간(511)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부(530)가 중앙을 관통하고 있다. 이동몸체(541)와 회전부(530)는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돌기(542)는 이동몸체(541)의 외부 둘레에서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돌기(542)는 이동몸체(54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설치공간(511)의 둘레를 이루고 있는 하우징(510)의 내부 둘레에는 가이드홈(54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543)은 하우징(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돌기(542)와 같은 개수를 하우징(510)의 내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542)는 가이드홈(543)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돌기(542)가 가이드홈(543)에 삽입되어 있어 이동몸체(541)는 회전운동하는 회전부(530)를 따라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이동부(540)는 구동모터(520)가 정 회전하면 하우징(5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전진 이동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구동모터(520)가 역 회전하면 하우징(510)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후퇴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550)는 로드(551) 및 연결블록(552)을 포함하며 이동부(540)의 직선운동을 채취부(100)에 전달하여 채취부(100)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로드(55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5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이동몸체(541)와 결합되어 있다. 로드(551)는 회전부(530)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다.
연결블록(552)은 하우징(5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로드(551)의 타단과 결합되어 있다. 연결블록(552)은 로드(551)를 통해 이동몸체(541)와 연결되어 있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이동몸체(541)가 하우징(5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 연결블록(552)은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차단막을 찢으면서 튜브(110)의 내부로 진입하여 홀더(130)와 접할 수 있다. 구동모터(520)의 지속적인 구동으로 홀더(130)는 전진할 수 있으며 채취뭉치(143)는 튜브(110)에서 인출되어 피검사자 콧구멍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면 도 6을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연결부(550)는 자성체(553), 그리고 전자석(5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553)는 연결블록(552)과 접하는 홀더(130)의 일면에 결합되어 있다. 자성체(553)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홀더(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홀더(130)의 자체가 자성체일 수도 있다.
전자석(554)은 홀더(130)와 접하는 연결블록(552)의 타면에 결합되어 있다. 전자석(554)은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있다. 압력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제어부(400)는 전자석(554)이 자기화되도록 전류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553)는 자기화된 전자석(554)에 붙을 수 있다.
자성체(553)와 전자석(554)에 의해 홀더(130)와 이동부(540)가 서로 붙어 있어 홀더(130)는 후퇴하는 이동부(5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채취뭉치(143)는 비인두에서 떨어져 튜브(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전자석(554)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전자석(554)의 자기화가 해제되면 홀더(130)와 연결블록(552)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구조를 갖는다.
도 7은 도 3의 구동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하우징을 자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돌기(542)가 삽입된 가이드홈(543)은 직선 가이드홈(543a)과 나선 가이드홈(543b)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선 가이드홈(543a)은 하우징(510)의 내부 둘레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나선 가이드홈(543b)은 직선 가이드홈(543a)의 타단과 연결되어 하우징(510)의 내부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542)가 직선 가이드홈(543a)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부(530)가 회전하면 이동부(540)는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돌기(542)가 직선 가이드홈(543a)에서 나선 가이드홈(543b)에 진입하면 가이드돌기(542)는 나선 가이드홈(543b)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이동몸체(541)는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이동몸체(541)는 전진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이동몸체(541)와 연결된 연결부(550) 또한 회전하면서 전진할 수 있다.
전진한 연결부(550)는 홀더(130)와 접하므로 홀더(130)는 튜브(110)에서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채취봉(140)은 튜브(110)에서 인출되어 콧구멍으로 삽입되어 비인두로 진입할 수 있다.
압력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제어부(400)는 전자석(554)이 자기화되도록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553)는 자기화된 전자석(554)에 붙을 수 있다.
홀더(130)와 연결부(550)가 자성체(553)와 전자석(554)에 의해 붙어 있으므로 홀더(130)는 연결부(550)를 따라 회전하면서 전진할 수 있다. 채취뭉치(143)는 회전하면서 전진하여 비인두와 접할 수 있다. 이때 채취뭉치(143)가 비인두와 접한 상태에서 막대(141)는 탄성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으며 채취뭉치(143)가 결합된 막대(141)의 단부는 세차운동을 할 수 있다. 세차운동으로 비인두의 검체는 채취뭉치(143)에 전체적으로 묻을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돌기(542)가 삽입된 가이드홈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나선 가이드홈(544)은 하우징(510)의 내부 둘레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542)가 나선 가이드홈(544)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부(530) 회전 시 가이드돌기(542)는 나선 가이드홈(544)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이동몸체(541)는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이동몸체(541)는 전진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이동몸체(541)와 연결된 연결부(550) 또한 회전하면서 전진할 수 있다. 전진한 연결부(550)는 홀더(130)와 접하므로 홀더(130)는 튜브(110)에서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채취봉(140)은 튜브(110)에서 인출되어 콧구멍으로 삽입되어 비인두로 진입할 수 있다.
압력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제어부(400)는 전자석(554)이 자기화되도록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553)는 자기화된 전자석(554)에 붙을 수 있다.
이때 도면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채취뭉치(143)가 비인두와 접한 상태에서 막대(141)는 탄성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으며 채취뭉치(143)가 결합된 막대(141)의 단부는 세차운동을 할 수 있다. 세차운동으로 비인두의 검체는 채취뭉치(143)에 전체적으로 묻을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지면서 구동유닛(500)이 배치된 본체부(600), 그리고 채취부(100)를 공급하는 공급부(700)를 포함한다.
본체부(600)는 기설정된 높이와 넓이를 갖는다. 본체부(600)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600)의 상면 일측에는 구동유닛(500)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600)의 상면 타측에는 받침대(630)가 배치되어 있다. 받침대(630)는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본체부(600)의 내부에는 배출홀(601)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홀(601)은 받침대(630)의 이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체부(600)의 전면에는 피검사자가 턱을 위치시킬 수 있는 턱받침(610)이 형성되어 있다. 피검사자가 턱받침(610)에 턱을 위치시키면 콧구멍 부분은 받침대(630)에 놓인 튜브(11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600)에는 턱받침(6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유닛(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피검사자의 얼굴 구조에 따라 턱받침(610)은 승강하여 콧구멍이 튜브(110)의 타단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턱받침(610)의 상부에는 피검사자의 이마를 지지할 수 있는 이마받침(620)이 설치되어 있다.
공급부(700)는 본체부(6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공급부(700)에는 채취부(100)들이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다. 공급부(700)는 적층된 채취부(100)를 낱개로 받침대(63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받침대(630)에 놓인 채취부(100)의 튜브(110)는 하우징(5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유닛(500)의 정회전으로 채취부(100)의 채취봉(140)은 튜브(110)에서 인출되어 콧구멍을 통해 비인두로 진입할 수 있다. 구동유닛(500)의 역회전으로 검체를 채취한 채취봉(140)은 튜브(110)로 인입될 수 있다. 이후 받침대(630)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배출홀(601)이 개방될 수 있다. 검체를 채취한 채취봉(140)이 수용된 튜브(110)는 배출홀(601)을 통해 본체부(6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시약이 담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채취봉(140)은 튜브(110)에 삽입되어 피검사자의 콧구멍으로 삽입되기 전까지 보호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이 차단되고 채취봉(140)이 피검사자의 콧구멍으로 삽입되는 순간 튜브에서 노출되어 비인두로 진입하게 된다. 피검사자의 비인두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콧구멍으로 후퇴하여 외부로 빠져나오는 순간 다시 튜브(110)로 삽입되어 보호된다.
위 설명에서 채취봉(140)이 콧구멍을 통해 코안으로 삽입되어 비인두의 검체를 채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채취봉(140)을 구강으로 삽입되어 구인두의 검체를 채취할 수도 있다. 채취봉(140)이 비인두와 구인두의 검체를 채취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검체 채취 장치(1)는 검체 채취 부위에 접촉하여 세차운동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검체 채취 장치 100: 채취부
110: 튜브 120: 캡
130: 홀더 140: 채취봉
141: 막대 142: 손잡이
143: 채취뭉치 200: 길이 측정부
300: 압력감지부 400: 제어부
410: 조작패널 500: 구동유닛
510: 하우징 511: 설치공간
520: 구동모터 530: 회전부
540: 이동부 541: 이동몸체
542: 가이드돌기 543: 가이드홈
543a: 직선 가이드홈 543b. 544: 나선 가이드홈
550: 연결부 551: 로드
552: 연결블록 553: 자성체
554: 전자석 600: 본체부
601: 배출홀 610: 턱받침
620: 이마받침 630: 받침대
700: 공급부

Claims (10)

  1.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비인두와 접하고 회전할 수 있는 채취봉으로 이루어진 채취부,
    상기 튜브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채취봉과 동력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채취봉을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시키는 구동유닛,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채취봉의 인출 길이를 추정할 수 있는 길이 측정부 및
    상기 채취봉이 상기 비인두와 접하는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압력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로드와,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채취봉과 접할 수 있는 연결블록, 상기 채취봉과 연결된 자성체 및 상기 연결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면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자성체와 상기 전자석이 붙으며, 상기 채취봉은 상기 연결부를 따라 회전하고, 인출된 상기 채취봉의 단부는 상기 회전운동에 의해 유도된 세차운동으로 검체 채취부위에 전체적으로 접촉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검체 채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부와 나사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몸체,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가이드로 이동하는
    검체 채취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이동부가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직선 가이드홈과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나선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직선 가이드홈과 상기 나선 가이드홈은 연결되어 있는
    검체 채취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서,
    상기 구동유닛이 배치된 본체부, 그리고
    상기 채취봉이 수용된 상기 튜브가 적층될 수 있고 상기 튜브를 상기 구동유닛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 장치.
KR1020210107922A 2021-08-17 2021-08-17 검체 채취 장치 KR102587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922A KR102587574B1 (ko) 2021-08-17 2021-08-17 검체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922A KR102587574B1 (ko) 2021-08-17 2021-08-17 검체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036A KR20230026036A (ko) 2023-02-24
KR102587574B1 true KR102587574B1 (ko) 2023-10-10

Family

ID=8533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922A KR102587574B1 (ko) 2021-08-17 2021-08-17 검체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4888B (zh) * 2023-08-28 2023-10-24 成都艾立本科技有限公司 一种离线式呼出气体采集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564B1 (ko) * 2012-01-03 2012-05-21 권혁호 펜형 초음파용 미세침 세포 및 조직 검사기
CN208114606U (zh) * 2017-05-31 2018-11-20 广州加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子宫颈口细胞取样装置
CN111631759A (zh) * 2020-06-10 2020-09-08 苏州点合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触碰自动保护式鼻咽拭子标本采集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33A (ko) * 2018-05-28 2019-12-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펀치 생검 부재를 갖는 캡슐내시경
KR102180927B1 (ko) 2020-03-23 2020-11-19 특허법인(유한)해담 검체 채취 장치
KR102283278B1 (ko) 2020-06-16 2021-07-29 특허법인(유한)해담 검체 채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564B1 (ko) * 2012-01-03 2012-05-21 권혁호 펜형 초음파용 미세침 세포 및 조직 검사기
CN208114606U (zh) * 2017-05-31 2018-11-20 广州加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子宫颈口细胞取样装置
CN111631759A (zh) * 2020-06-10 2020-09-08 苏州点合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触碰自动保护式鼻咽拭子标本采集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036A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574B1 (ko) 검체 채취 장치
US3674007A (en) Culture collecting apparatus
JP4770260B2 (ja) 生検試料の連続的な収集及び保存によって原位置での固定及び試料処理を行う取り外し可能な先端部の内部カセット装置
US11385146B2 (en) Sampling systems and techniques to collect hazardous contaminants with high pickup and shedding efficiencies
JP2006527033A (ja) 採血システム
US200501019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launching device intergrated onto a blood-sampling cartridge
JP3423355B2 (ja) 自動サンプリング装置
BRPI0508515B1 (pt) dispositivo de amostragem de fluido corpóreo
JP2004249078A (ja) 一体化されたランスを有するセンサ
US20070060791A1 (en) Computer systems and software for operating an endoscope integrity tester
JP2008296015A (ja) 柔軟性のあるランセット
PT2337591E (pt) Dispositivo para a abertura de um tubo
JP2023020852A (ja) 一体型自家検査キット
JP3209657U (ja) ラベル貼り付け識別装置
US20190343494A1 (en) Automated cell collection and smearing
CN115624352A (zh) 一种样本采集检测装置及方法
KR102566604B1 (ko) 검체채취면봉 그리퍼
CN115517672A (zh) 一种医疗检测的定量取样装置
CN213000053U (zh) 一种生物安全柜
CN217138115U (zh) 一种医学用检验取样装置
CN210871730U (zh) 一种内分泌临床取检装置
CN211553337U (zh) 粪便收集盒
CN213430132U (zh) 一种采血管
KR20230137754A (ko) 바이러스 진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
CN217973198U (zh) 管件安装结构及分析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