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171B1 - 약액 주입기구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171B1
KR102587171B1 KR1020230045202A KR20230045202A KR102587171B1 KR 102587171 B1 KR102587171 B1 KR 102587171B1 KR 1020230045202 A KR1020230045202 A KR 1020230045202A KR 20230045202 A KR20230045202 A KR 20230045202A KR 102587171 B1 KR102587171 B1 KR 10258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solenoid
chemical
piston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씨에스
Priority to KR102023004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6Electrically operated dose setting, e.g. input via touch screen or plus/minus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75Mechanical
    • A61M2205/8287Mechanical operated by an extern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약액의 정량 주입이 가능한 약액 주입기구를 개시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관통하는 피스톤부를 전, 후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전, 후진 작동을 안내하는 주입가이드부와, 상기 주입가이드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약액을 수용하고 상기 피스톤부에 의하여 상기 수용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실린더로 구성되는 약액주입기; 및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동작횟수 및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르게 기설정된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약액주입기의 동작 횟수를 출력(Output)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약액 주입기구{APPARATUS FOR INFUSING MEDICAL LIQUID}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약액 주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잔량없이 약액을 정량을 주입할 수 있는 약액 주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약액 주입장치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22-0041969호(명칭:약액 주입장치)는, 각 구성품들 상호간의 연결 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솔레노이드부의 반복 작동에 따른 피스톤 이동에 의한 충격이 국소 위치에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 완충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약액 주입장치의 내구성 및 성능 유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약액을 주입함에 있어서, 얼굴부위와 얼굴부위를 제외한 신체 부위는 피부 두께 또는 니즈가 요구하는 강도에 따라 주입 강도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어야 하나 강도 단계가 구분이 되어 있지 않은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출원된 약액 주입장치는 약액이 수용된 약액실린더를 주입장치에 장착하여 약액이 피스톤부의 각동으로 비침습적 주입하게 되나, 피스톤부의 반복 작동 시 약액실린더에 약액의 잔량이 남아 전량이 주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아쉬운 점은 선출원의 주입장치는 사용 수명 사이클이 정해져 있지만,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여 고장 또는 작동불능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22-0041969호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한 약액 주입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솔레노이드부의 기설정된 강도상승비율을 적용하여 약액실린더에 잔량이 남지않고 전량 주입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설계된 약액 주입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니즈의 조건에 맞추어 얼굴부위와 기타 신체부위에 따라 약액 주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약액 주입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약액실린더의 교체횟수, 솔레노이드부의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수명임계횟수 대비 상기 동작횟수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상기 약액주입기의 수명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약액 주입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에서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관통하는 피스톤부를 전, 후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전, 후진 작동을 안내하는 주입가이드부와, 상기 주입가이드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약액을 수용하고 상기 피스톤부에 의하여 상기 수용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실린더로 구성되는 약액주입기; 및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동작횟수 및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르게 기설정된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약액주입기의 동작 횟수를 출력(Output)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약액실린더에 수용되는 상기 약액의 양에 기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상기 동작횟수를 도출하고, 상기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가 얼굴인 경우, 상기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제1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제어하는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가 얼굴이외의 부위인 경우, 상기 동작횟수 및 상기 제1 강도보다 높게 기설정된 제2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제어하는 제2 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동작횟수에서 마지막 기설정된 최종타격횟수는 상기 제1 강도 또는 상기 제2 강도에서 기설정된 강도상승비율을 적용한 제1-1 강도 또는 제2-1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약액실린더의 교체횟수,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수명임계횟수 대비 상기 동작횟수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상기 약액주입기의 수명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Output)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약액실린더는, 내부 공간에 약액이 수용되는 실린더몸체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몸체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약액을 배출시키는 약액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몸체의 엣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약액이 배출되는 메인연장배출구, 및 상기 약액피스톤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연장배출구에 인입되는 볼록부와 상기 메인연장배출구를 포함하는 오목부로 구성되는 고무재의 연장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엣지면에는 상기 메인연장배출구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보조배출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에서는, 약액의 정량 주입이 가능하여 약액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니즈의 조건에 맞추어 얼굴부위와 기타 신체부위에 따라 약액 주입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약액실린더의 교체횟수, 솔레노이드부의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수명임계횟수 대비 상기 동작횟수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상기 약액주입기의 수명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에서 약액주입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기의 약액실린더, 주입가이드부, 솔레노이드몸체 및 피스톤부의 분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약액실린더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기에서 지지블록부와 탄성복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에서 약액 주입 강도 조절 및 동작횟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에서 약액주입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기의 약액실린더, 주입가이드부, 솔레노이드몸체 및 피스톤부의 분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약액실린더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기에서 지지블록부와 탄성복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에서 약액 주입 강도 조절 및 동작횟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약액 주입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약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약액주입기(1)와, 약액주입기(1)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기(1)를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부(10), 하우징부(10)의 내부에 마련된 솔레노이드부(30), 하우징부(10)의 내부에서 솔레노이드부(30)의 일단에 연결된 주입가이드부(50), 및 약액을 수용하는 약액실린더(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솔레노이드부(30)는, 작동됨에 따라 약액실린더(20) 내의 약액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하우징부(10)는 중공의 하우징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 커버(110)는 건(gun) 또는 권총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110)는 한 쌍의 하우징 커버(110)부재로 분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약액실린더(2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실린더몸체(210), 및 실린더몸체(210) 내에서 실린더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약액피스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은 실린더몸체(2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약액피스톤(220)은 실린더몸체(210)의 주입가이드부(50)측 길이 방향 일단의 개구를 통해 실린더몸체(2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몸체(210)에는 피부에 접촉되어 약액이 배출되는 엣지면(212)으로 약액이 배출되는 메인연장배출구(214)가 형성되되, 메인연장배출구(214)는 엣지면(212)으로부터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연장배출구(214)는 엣지면(212)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린더몸체(210)의 내부를 향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고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약액피스톤(210)은 도 4에서와 같이, 피스톤몸체(222)와 연장돌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몸체(222)는 실린더몸체(210)의 내부를 따라 인입될 수 있도록 축방향 길이를 가지고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몸체(222)의 단부측으로 고무재의 연장돌부(2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돌부(224)는 메인연장배출구(214)에 인입되는 볼록부(224a)와 메인연장배출구(214)를 포함하는 오목부(224b)로 구성된다.
오목부(224b)는 인입 시 실린더몸체(210)의 내부를 향하는 메인연장배출구(214)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환형홈 형태로 형성되며, 엣지면(212)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엣지면(212)에는 메인연장배출구(214)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보조배출구(21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배출구(216)는 메인연장배출구(214)보다는 작은 세공(細孔)일 수 있다.
여기서 약액피스톤(220)은 후술할 솔레노이드부(30)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몸체(210) 내로 인입되어 실린더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약액피스톤(220)이 실린더몸체(210)의 내부에서 실린더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약액실린더(20) 내의 약액은 약액피스톤(220)에 의해 밀려 약액실린더(20)의 엣지면(212)에 마련된 메인연장배출구(214)와 보조배출구(21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약액실린더(20)의 엣지면(212)이 피시술자의 표피에 접해 있는 경우, 분사된 약액은 피시술자의 표피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침습적 약액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약액실린더(20)는 하우징부(10)의 외부에서 주입가이드부(5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입가이드부(50)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약액실린더(20)는 주입가이드부(50)의 길이 방향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몸체(210)의 주입가이드부(50)측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주입가이드부(50)의 약액실린더(20)측 일단부의 내주면에는 실린더몸체(210)의 숫나사선과 체결되는 암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30)는, 작동됨에 따라 약액피스톤(220)을 실린더몸체(210) 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부(3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솔레노이드몸체(310), 및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피스톤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몸체(3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원통형의 솔레노이드보어(3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부(320)의 일부는 솔레노이드보어(311) 내에서 솔레노이드몸체(310)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위치되어 솔레노이드부(30)가 작동됨에 따라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피스톤부(320)는 솔레노이드몸체(31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솔레노이드몸체(310)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솔레노이드몸체(310)에서 피스톤부(320)를 향하는 내주면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피스톤걸림부(321a)와 대향하는 솔레노이드걸림부(3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걸림부(31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솔레노이드걸림부(313)는 솔레노이드몸체(310)의 탄성복원부(40)측 타단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몸체(310)에는 솔레노이드몸체(310)의 원주 방향으로 권취되어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솔레노이드코일(312)이 마련될 수 있고, 솔레노이드코일(312)은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을 띄는 전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부(320)는 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코일(312)은 외부의 제어장치(2)에 연결될 수 있고, 외부의 제어장치(2)의 입력 값에 따라 솔레노이드코일(312)로의 전류 인가 여부 및/또는 전류 인가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코일(312)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전자석으로 형성된 솔레노이드코일(312)과 자성체의 피스톤부(320) 상호간에는 강한 자기력이 작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스톤부(320)는 솔레노이드몸체(3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솔레노이드보어(311)를 따라 주입가이드부(50)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스톤부(320)의 일부는 주입가이드부(5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주입가이드부(50)는 삽입된 피스톤부(320)의 일부를 하우징부(10)의 일단부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입가이드부(50)는 삽입된 피스톤부(320)의 일부를 약액실린더(20)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부(320)의 일부의 단부는 약액피스톤(220)의 솔레노이드부(30)측 단부와 접촉될 수 있고, 약액피스톤(220)은 주입가이드부(50) 내로 삽입된 피스톤부(320)의 일부와의 간섭에 의해 밀려 실린더몸체(210) 내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기(1)는, 피스톤부(320)를 하우징부(10)의 타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복원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복원부(40)는, 하우징부(10)의 내부에서 피스톤부(320)의 인출 방향 말단 및 하우징부(1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피스톤부(320)가 주입가이드부(50)의 반대측으로 이동되도록 피스톤부(3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복원부(40)는 미도시되 되었으나, 완충재가 피복될 수 있으며, 탄성복원부(40)의 피복에 따라 압축/팽창 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복원부(40)는 피스톤부(320)에 연결되는 습동부재(42:도 5에 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습동부재(42)는 제1피스톤(321)에 연결 설치되어 연동되며, 원통형의 핀 형태로 제1피스톤(321)의 후단 피스톤홀(321b)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2a)가 전단에 형성되고, 직경이 확대되어 탄성복원부(40)를 지지하는 환형돌기(42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몸체(3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주입가이드부(50)측으로 이동된 피스톤부(320)는, 솔레노이드코일(312)로의 전류 인가 해제 시, 탄성복원부(40)와 습동부재(42)에 의해 하우징부(10)의 타측으로 강제 이동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코일(312)로 전류가 인가된 경우, 탄성복원부(40)와 습동부재(42)에 의해 하우징부(10)의 타측으로 가압 유지되어 있던 피스톤부(320)는 솔레노이드몸체(310) 내로 인입되어 이동되지만, 솔레노이드코일(312)로의 전류 인가가 해제된 경우, 피스톤부(320)는 탄성복원부(40)에 의해 곧바로 하우징부(10)의 타측으로 가압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부(320)는 제1 피스톤(321) 및 제2 피스톤(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스톤(321) 및 제2 피스톤(322) 각각은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 피스톤(322)은 제1 피스톤(321)의 주입가이드부(50)측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주입가이드부(50)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스톤(321)은 피스톤홀(321b)에 연결 설치되는 습동부재(42)에 연결될 수 있고, 습동부재(42)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탄성복원부(40)에 의해 솔레노이드몸체(31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로 하우징부(10)의 타측으로 가압 위치될 수 있다. 제1 피스톤(321)은 솔레노이드코일(312)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솔레노이드몸체(3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고, 솔레노이드코일(312)로의 전류 인가가 해제된 경우 제1 피스톤(321)은 탄성복원부(40)에 의해 솔레노이드몸체(31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하우징부(10)의 타측으로 가압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피스톤(322)은, 제1 피스톤(321)이 솔레노이드몸체(310)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주입가이드부(50) 내로 삽입되어 약액실린더(20)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2 피스톤(322)은 가이드보어(512) 내에서 주입가이드부(50)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위치되어 솔레노이드부(30)가 작동됨에 따라 가이드몸체(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주입가이드부(5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몸체(510), 및 가이드몸체(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원통형의 가이드보어(5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몸체(510)의 길이 방향 중심 축,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 중심 축, 피스톤부(320)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은 동축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술한 하우징부(10)의 일단 및 타단은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코일(312)에 전류 인가 시 제2 피스톤(322)은 주입가이드부(50)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보어(512)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가이드보어(512)를 따라 약액실린더(20)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피스톤(322)이 가이드보어(512)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2 피스톤(322)의 약액실린더(20)측 말단은 약액피스톤(220)의 제2 피스톤(322)측 말단과 접촉 간섭하게 되고, 약액피스톤(220)이 실린더몸체(210) 내로 인입됨에 따라 약액실린더(20) 내부의 약액은 외부로 분사되거나 피시술자의 표피로 주입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보어(512)의 직경은 제2 피스톤(322)의 외경보다는 크되 제1 피스톤(321)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10)는, 하우징 커버(110)로부터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1 지지리브부(120), 제2 지지리브부(130) 및 제3 지지리브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리브부(120), 제2 지지리브부(130) 및 제3 지지리브부(140)는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리브부(120), 제2 지지리브부(130) 및 제3 지지리브부(140)는,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부(1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지지리브부(140)는 하우징 커버(110)의 일단에 배치되어 하우징부(10) 일단부 외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지지리브부(120) 및 제2 지지리브부(130)는 하우징 커버(110)의 내부 공간을 세 개로 구획할 수 있다.
상술한 솔레노이드몸체(310)는, 제1 지지리브부(120) 및 제2 지지리브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그 길이 방향 위치가 지지 및 고정될 수 있고, 주입가이드부(50)는 제2 지지리브부(130) 및 제3 지지리브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그 길이 방향 위치가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몸체(310)로부터 인출된 제1 피스톤(321)은 제1 지지리브부(120)와 하우징부(10)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리브부(120)의 중심은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제1 피스톤(321)은 제1 지지리브부(120)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리브부(130)의 중심은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주입실린더부는 제2 지지리브부(130)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몸체(510)의 약액실린더(20)측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결속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홈(511)은 가이드몸체(510)의 길이 방향 일단부의 외주면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리브부(140)의 중심은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제3 지지리브부(140)는 가이드몸체(510)의 결속홈(511)에 삽입되어 결속 및 고정될 수 있다. 즉, 제3 지지리브부(140)의 내주면은 결속홈(511)의 홈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고, 제3 지지리브부(140)가 가이드몸체(510)의 결속홈(511)에 삽입되어 결속됨에 따라, 주입가이드부(50)는 그 길이 방향 위치가 제3 지지리브부(14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부(30)는,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 타단부(탄성복원부(40)측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 지지플레이트(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340)는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지지리브부(120)의 외면과 면상 접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제1 지지플레이트(340)는 제1 지지리브부(120)의 솔레노이드부(30)측 외면과 면상 접촉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 지지플레이트(340) 및 제1 지지리브부(120) 사이의 면상 접촉에 의해, 솔레노이드몸체(310)는 탄성복원부(40)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리브부(120)에는, 제1 지지리브부(120)의 솔레노이드부(30)측 외면 일부가 탄성복원부(40)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제1 안착홈(12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21)은 환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안착홈(121)의 내경은 제1 지지플레이트(34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플레이트(340)는 제1 지지리브부(120)의 제1 안착홈(121) 내에 안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솔레노이드몸체(310) 및 제1 지지플레이트(340)는 그 반경 방향 위치가 제1 지지리브부(12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주입가이드부(50)는, 가이드몸체(510)의 길이 방향 타단부(솔레노이드부(30)측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지지플레이트(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520)에는, 제2 지지플레이트(520)의 솔레노이드부(30)측 외면 일부가 약액실린더(20)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제2 안착홈(52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홈(521)은 환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안착홈(521)의 내경은 솔레노이드몸체(310)의 주입가이드부(50)측 길이 방향 일단부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몸체(310)의 주입가이드부(50)측 길이 방향 일단부는 제2 지지리브부(130)의 제2 안착홈(521) 내에 안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솔레노이드몸체(310)는 그 반경 방향 위치가 제2 지지플레이트(520)에 대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플레이트(520)는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2 지지리브부(130)의 외면과 면상 접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제2 지지플레이트(520)의 약액실린더(20)측 외면은 제2 지지리브부(130)의 솔레노이드부(30)측 외면과 면상 접촉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2 지지플레이트(520) 및 제2 지지리브부(130) 사이의 면상 접촉에 의해, 솔레노이드몸체(310)는 약액실린더(20)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지지리브부(120) 및 제2 지지리브부(130)는 외력 적용 시 일부 외형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소정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지지플레이트(520)의 제2 안착홈(521)에 안착된 솔레노이드몸체(310) 및 주입가이드부(50)가 하우징 커버(110)에 장착되는 경우, 제1 지지플레이트(340) 및 제2 지지플레이트(520)는 각각 제1 지지리브부(120) 및 제2 지지리브부(130)를 솔레노이드몸체(310)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며 설치될 수 있고, 제1 지지리브부(120) 및 제2 지지리브부(130)의 소정 탄성 복원력에 의해 솔레노이드몸체(310)는 그 길이 방향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솔레노이드부(30)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부(320)가 강한 충격을 가하며 솔레노이드몸체(310)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솔레노이드부(30)의 위치가 비틀어지거나 피스톤부(320)의 이동 경로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지지플레이트(520)는 가이드몸체(510)와 일체형의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주입가이드부(50)는 단일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솔레노이드부(30)의 작동 과정에서 피스톤부(320)의 이동에 따른 충격량에 의해 주입가이드부(50)의 일부가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기(1)는, 상술한 피스톤부(320)와 탄성복원부(40) 및 습동부재(4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우징부(10)에 일체로 마련된 지지블록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록부(60)는 도 5를 참고하면, 제1 지지리브부(120)의 후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부(6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되, 한 쌍의 하우징 커버(1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나사구멍(112)들 중 피스톤부(320)측에 형성되는 나사구멍(11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지지블록부(60)는 탄성복원부(40)와 탄성복원부(40)를 외주연에 포함하는 습동부재(42)의 전, 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안내블록(62)이 설치되고, 안내블록(62)를 사이에 두고 원통의 습동부재(42)를 감쌀 수 있도록 제1가이드블록(64)과 제2가이드블록(66)이 마주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가이드블록(64)과 제2가이드블록(66)의 후단을 잇는 스토퍼(68)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68)는 습동부재(42)의 환형돌기(42b)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지지블록부(6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하우징 커버(1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10)는, 일부가 하우징 커버(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조작할 수 있는 트리거(161), 및 하우징 커버(110) 내측에 마련되어 트리거(161)의 일부가 하우징 커버(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트리거(16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트리거(161)는 복귀부재(162)를 통해 스위치부(80)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가 트리거(161)를 눌러 조작하는 경우 스위치부는(80)는 솔레노이드코일(312)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80)는 제어장치(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는 포개어져 있다가 개방되는 박스 형태로 내부에 약액주입기(1)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2)는 제어부(2000), 입력부(2100), 디스플레이부(2200), 전원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기설정된 동작횟수 및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르게 기설정된 강도로 솔레노이드부(30)를 제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80)는 사용자의 트리거(161) 조작 회수에 대해 기 결정된 배수의 회수만큼 솔레노이드부(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코일(312)에 전류를 인가했다 해제하는 것을 1회 작동 사이클로 정의했을 때, 사용자가 트리거(161)를 1회 조작하는 경우, 제어부(80)는 솔레노이드부(30)를 50회 작동 사이클로 작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 제어부(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장치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80)에서 솔레노이드부(30)의 작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2100)는 사용자가 약액이 주입되는 얼굴부위 또는 얼굴부위를 제외한 신체부위인가에 따라 강도를 선택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200)는 약액주입기(1)의 동작 횟수를 출력(Output)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부(2300)는 제어부(2000) 및 솔레노이드부(3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리튬 폴리머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덧붙여, 제어장치(2)에는 무선통신모듈(2400)이 더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기(미도시)와 페어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기구는 제어장치(2)를 통하여 약액 주입강도 조절 및 동작 횟수 제어를 도 7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2)는, 약액실린더(20)에 수용되는 약액의 양에 기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부(30)의 상기 동작횟수를 도출하게 된다.
더욱이 제어장치(2)와 약액 주입장치(1)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장치(2)를 설정모드로 하고, 세기를 조절하면 해당 기설정 세기 값이 약액 주입장치(1)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2100)를 통하여 얼굴부위 또는 얼굴부위를 제외한 신체부위를 선택하게 되며,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가 얼굴인 경우, 상기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제1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제어하는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가 얼굴이외의 부위인 경우, 상기 동작횟수 및 상기 제1 강도보다 높게 기설정된 제2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30)를 제어하는 제2 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즉, 얼굴부위는 제1 강도로 설정되고, 기타 신체부위는 제2 강도로 설정되어 신체에 타격하게 된다.
얼굴부위의 표피와 기타 신체부위의 표피 두께가 다르기에 강도 설정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강도와 제2 강도는 각각 1단계에서 4단계로 설정되어 솔레노이드부(30)의 강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에서는 솔레노이드부(30)의 동작횟수에서 마지막 기설정된 최종타격횟수는 상기 제1 강도 또는 상기 제2 강도에서 기설정된 강도상승비율을 적용한 제1-1 강도 또는 제2-1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트리거(161)를 1회 조작하여 솔레노이드부(30)가 50회 사이클로 작동하는 경우, 제1 강도와 제2 강도 및 각 강도의 단계별로 강도상승비율을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상술하게는, 솔레노이드부(30)가 50회 사이클 중 처음 40회 정도를 제1 강도로 설정하고, 나머지 10회 정도는 제1-1 강도로 설정하게 되며, 제1-1 강도는 제1 강도보다는 강도가 강하게 설정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약액실린더(20)의 실린더몸체(210)에 충진된 약액을 제1 강도 이후에 계속하여 제1-1의 높은 강도로 솔레노이드부(30)가 작동하여 전량 배출시킬 수 잇다.
또, 상기 제어장치(2)는, 상기 약액실린더(20)의 교체횟수, 상기 솔레노이드부(30)의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수명임계횟수 대비 상기 동작횟수를 기반으로 제어부(2000)에서 산출되는 약액주입기(1)의 수명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200)에 출력(Output)할 수 있다.
즉, 약액주입기(1)에서 솔레노이드부(30)의 동작이 대략 10만회 정도로 설정되어 사이클 수명을 100%로 보았을 때, 약액실린더(20)의 교체횟수, 상기 솔레노이드부(30)의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수명임계횟수 대비 상기 동작횟수에 따라
몇 퍼센트 진행 상황인지를 디스플레이부(2200)에 표시되도록 하였다.
사용 수명에 100%에 다다르면 알람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약액실린더(20)는 보통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친환경성(eco-friendliness)이란 환경 친화적인 성격을 축약하여 지칭한 것이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친환경성이란, 특정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원료와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거나, 특정 제품의 재활용이 별도의 자원소모 없이 (혹은 자원의 미미한 소모만으로도) 도모될 수 있거나, 특정 제품의 폐기가 추가적인 자원의 소모 없이 용이하게 수행되거나, 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원의 발생이 적거나 부재한 것 등을 의미한다.
약액이 충진되는 실린더몸체(210)는 1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되기에 친환경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실린더몸체(210)에 포함되는 생분해제는, 적어도 일부가 미립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제의 분해에 따른 기공의 형상이 가능해진다. 이후, 형성된 기공 상에 미생물 군집이 자리잡음으로써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생분해를 촉진하는 시발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제는 피엘에이(polylactic acid, PLA), 피지에이(polyglycolic acid, PGA), 피씨엘(polycaprolactone, PCL), 피비에스(polybutylene succinate, PBS), 피비에이티(poly(butylenes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생분해 기능과 아울러 가수분해되어 단량체의 유기산으로 분해된다는 점에서 생분해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해된 유기산은 산화제로 작용하여 용기의 추가적인 화학적 분해를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약액 주입기구는 약액의 정량 주입이 가능하여 약액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니즈의 조건에 맞추어 얼굴부위와 기타 신체부위에 따라 약액 주입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약액실린더의 교체횟수, 솔레노이드부의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수명임계횟수 대비 상기 동작횟수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상기 약액주입기의 수명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약액 주입장치 2 : 제어장치
10: 하우징부 110: 하우징 커버
112 : 나사구멍 120: 제1 지지리브부
121: 제1 안착홈 130: 제2 지지리브부
140: 제3 지지리브부
161: 트리거 162: 복귀부재
20: 약액실린더 210: 실린더몸체
212 : 엣지면 214 : 메인연장배출구
216 : 보조배출구 220: 약액피스톤
222 : 피스톤몸체 224 : 연장돌부
224a : 블록부 224b : 오목부
30: 솔레노이드부 310: 솔레노이드몸체
311: 솔레노이드보어 312: 솔레노이드코일
313: 솔레노이드걸림부 320: 피스톤부
321: 제1 피스톤 321a: 피스톤걸림부
321b :피스톤홀
322: 제2 피스톤 340: 제1 지지플레이트
40: 탄성복원부 42 : 습동부재
42a : 삽입돌기 42b : 환형돌기
50: 주입가이드부 510: 가이드몸체
511: 결속홈 512: 가이드보어
520: 제2 지지플레이트 521: 제2 안착홈
60: 지지블록부 62: 안내블록
64 : 제1가이드블록 66 : 제2가이드블록
68 : 스토퍼 80: 스위치부
2000 : 제어부 2100 : 입력부
2200 : 디스플레이부 2300 : 전원부
2400 : 무선통신모듈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관통하는 피스톤부를 전, 후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전, 후진 작동을 안내하는 주입가이드부와, 상기 주입가이드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약액을 수용하고 상기 피스톤부에 의하여 상기 수용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실린더로 구성되는 약액주입기; 및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동작횟수 및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르게 기설정된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약액주입기의 동작 횟수를 출력(Output)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약액실린더는,
    내부 공간에 약액이 수용되는 실린더몸체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몸체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약액을 배출시키는 약액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몸체의 엣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약액이 배출되는 메인연장배출구, 및
    상기 약액피스톤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연장배출구에 인입되는 볼록부와 상기 메인연장배출구를 포함하는 오목부로 구성되는 고무재의 연장돌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약액실린더에 수용되는 상기 약액의 양에 기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상기 동작횟수를 도출하고,
    상기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가 얼굴인 경우,
    상기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제1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제어하는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약액이 주입되는 신체부위가 얼굴이외의 부위인 경우,
    상기 동작횟수 및 상기 제1 강도보다 높게 기설정된 제2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제어하는 제2 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동작횟수에서 마지막 기설정된 최종타격횟수는 상기 제1 강도 또는 상기 제2 강도에서 기설정된 강도상승비율을 적용한 제1-1 강도 또는 제2-1 강도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약액실린더의 교체횟수,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동작횟수 및 기설정된 수명임계횟수 대비 상기 동작횟수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상기 약액주입기의 수명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Outpu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기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면에는 상기 메인연장배출구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보조배출구가 더 형성되는, 약액 주입기구.
KR1020230045202A 2023-04-06 2023-04-06 약액 주입기구 KR10258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202A KR102587171B1 (ko) 2023-04-06 2023-04-06 약액 주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202A KR102587171B1 (ko) 2023-04-06 2023-04-06 약액 주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171B1 true KR102587171B1 (ko) 2023-10-12

Family

ID=8829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202A KR102587171B1 (ko) 2023-04-06 2023-04-06 약액 주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1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8182A (ja) * 1998-10-26 2002-09-03 フアーマシア・アー・ベー 自動注射装置
KR102059745B1 (ko) * 2018-06-01 2019-12-26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니들 장치 및 그 용도
KR20220041969A (ko) 2020-09-25 2022-04-04 안철영 낚시용 뜰채
KR102401566B1 (ko) * 2022-04-05 2022-05-25 주식회사 지씨에스 약액 주입장치
KR20220135725A (ko) * 2021-03-31 2022-10-07 메디허브 주식회사 잔량 최소화 기능을 가지는 주사기
KR20220139258A (ko) * 2019-12-05 2022-10-14 바즈바이오메딕 주식회사 무바늘 주사기
KR102480640B1 (ko) * 2021-09-30 2022-12-23 바즈바이오메딕(주) 약물 주입 성능의 조절이 가능한 무바늘 주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8182A (ja) * 1998-10-26 2002-09-03 フアーマシア・アー・ベー 自動注射装置
KR102059745B1 (ko) * 2018-06-01 2019-12-26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니들 장치 및 그 용도
KR20220139258A (ko) * 2019-12-05 2022-10-14 바즈바이오메딕 주식회사 무바늘 주사기
KR20220041969A (ko) 2020-09-25 2022-04-04 안철영 낚시용 뜰채
KR20220135725A (ko) * 2021-03-31 2022-10-07 메디허브 주식회사 잔량 최소화 기능을 가지는 주사기
KR102480640B1 (ko) * 2021-09-30 2022-12-23 바즈바이오메딕(주) 약물 주입 성능의 조절이 가능한 무바늘 주사 시스템
KR102401566B1 (ko) * 2022-04-05 2022-05-25 주식회사 지씨에스 약액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8529C (en) Automatic medication injection device with audible indication of injecting progress
EP2344222B1 (en) Re-usable autoinjection device
US10926072B2 (en) Operation tool for fluid injector using multi microneedle device
CN101687080B (zh) 用于从多腔室安瓿供给流体的活性药剂的装置
KR102139966B1 (ko)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IL157928A0 (en) Injection for an intraocular lens
CN105164741A (zh) 用于医疗注射设备的训练设备以及用于重置此训练设备的重置设备
EP3287037B1 (en) Needle array-equipped cosmetics container
KR102587171B1 (ko) 약액 주입기구
WO2006020756A3 (en) Step by step botox injector
CN102639170A (zh) 药物输送装置
CN105939741A (zh) 用于真皮再生的注射器
KR102401566B1 (ko) 약액 주입장치
KR102185763B1 (ko) 미세바늘이 장착된 피부 자극기용 헤드 제조방법
US20220370731A1 (en) Medicine injection tip, hand piece, and skin treatment device
KR101901657B1 (ko) 액체공급 롤러장치
CN104302348B (zh) 用于插针的设备
JP2017080725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2006937B1 (ko) 주사장치
KR102598848B1 (ko) 약액 정량 주입장치
KR20180082756A (ko) 피부용 액체 투입장치
KR102473109B1 (ko) 굴곡 니들을 갖는 약물 주입용 팁
KR101577130B1 (ko) 피부자극기
CN208877573U (zh) 用于注射的装置
KR102428072B1 (ko) 화장품 흡수를 위한 피부 자극기용 헤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