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072B1 -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2X 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2X 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072B1
KR102587072B1 KR1020210109980A KR20210109980A KR102587072B1 KR 102587072 B1 KR102587072 B1 KR 102587072B1 KR 1020210109980 A KR1020210109980 A KR 1020210109980A KR 20210109980 A KR20210109980 A KR 20210109980A KR 102587072 B1 KR102587072 B1 KR 102587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robot
user terminal
edg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8649A (en
Inventor
정성환
최경호
박근호
김선형
조복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에코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에코스이엔씨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0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72B1/en
Publication of KR2023002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6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7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consumer application, e.g. in same machine, in same home or in same sub-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bo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로봇,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이용하는 차량 이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에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차량 간의 충전 절차는 V2G 표준 절차에 따라 수행되며, 상기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충전 로봇 간 시그널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간 시그널링은 V2X 표준 기반 시그널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rranged in at least one charging station,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charging a battery by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 user terminal carried by a vehicle user using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and the at least one and an edge server that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disposed in a charging station, and the charging procedure between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nd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is in accordance with the V2G standard procedure. Disclosed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erein signaling between a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present in the charging station and signaling between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are set to perform V2X standard-based signaling.

Description

V2X 기반 이기종 네트워킹을 통한 자율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2X 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2X 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V2X 기반 이기종 네트워킹을 통한 자율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rough V2X-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that supports charging electric vehicles based on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최근 전기차 기술 개발 및 보급이 확대되면서 국내외로 전기차 충전소(EV-charging station)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충전소 부족과 충전 시간문제 등이 전기차 보급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lectric vehicle technology has expanded, research on establishing electric vehicle (EV-charging station) infrastructure and servic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ut the lack of charging stations and charging time problems are becoming major obstacles to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기반 시설 구축 확대 및 그리드(grid) 기술 측면에서의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광범위하게 산재되어 있는 충전소에 대한 실시간 및 비실시간 정보들을 웹(web) 또는 모바일(mobile) 기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are supporting expansion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erms of grid technology. In addition, real-time and non-real-time information about widely scattered charging stations is provided through web or mobile-based applications.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사용자가 전기차를 직접 충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는 모델이다. 이에 따라, 고도의 인터페이스(interface) 및 프로토콜(protocol)을 요구하는 자율 충전 로봇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currently availabl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s a model that provides only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users to directly charge their electric vehicles.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pply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an autonomous charging robot, which requires a high level of interface and protocol.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들 예컨대, 본 발명은 국제 표준으로 제공되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프로토콜 및 V2G)Vehicle to Grid)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자율 충전 로봇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V2X 기반 이기종 네트워킹을 통한 자율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ervice using an autonomous charging robot based on the V2X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V2G (Vehicle to Grid) communication protocol provided as international standards. The goal is to provide an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through V2X-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로봇,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이용하는 차량 이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에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차량 간의 충전 절차는 V2G 표준 절차에 따라 수행되며, 상기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충전 로봇 간 시그널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간 시그널링은 V2X 표준 기반 시그널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disposed in at least one charging station,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whose battery is charged by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nd a vehicle user using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One user terminal,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disposed in the at least one charging station,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and an edge server that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nd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The charging procedur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2G standard procedure, and the signa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present i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signaling between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are set to perform V2X standard-based signaling.

여기서, 상기 에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들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로봇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edge server receives a charging request message requesting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check the status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nd determine a charging robo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

한편, 상기 에지 서버는 상기 전기차가 자율 주행이 가능한 경우,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이 배치된 충전소에 상기 자율 주행을 통해 상기 전기차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f the electric vehicle i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the edge server controls the electric car to move through autonomous driving to a charging station where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is placed.

또는, 상기 에지 서버는 상기 전기차가 비자율 주행 차량인 경우,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이 배치된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if the electric vehicle is a non-autonomous driving vehicle, the edge server controls t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where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is placed to the user terminal.

추가로, 상기 전기차 충전을 위해 결정된 충전 로봇은 상기 전기차 충전을 위한 연결부를 상기 전기차의 소켓에 연결하고,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면서, 상기 전기차 충전과 관련하여 진행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에지 서버에 전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charging robot determin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connects the connector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to the socket of the electric vehicle,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edge serv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에지 서버가, 전기차를 이용하는 차량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기차 충전을 위한 복수의 충전 로봇 및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과 상기 전기차 간의 V2X 및 V2G callset-up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V2X 세션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 중 상기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V2G 세션을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dge server initializing V2X and V2G callset-up between the user terminal of a vehicle user using an electric vehicle, a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nd the electric vehicle. Performing, the edge server determining a charging robo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based on the V2X session, the edge server determining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based on the V2G ses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controlling to perform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using.

여기서, 상기 충전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차의 위치 정보와 상기 충전 로봇의 위치를 수집하고, 상기 전기차로 이동할 수 있는 최적 경로를 가지는 충전 로봇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충전 로봇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차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rging robot includes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robot, selecting a charging robot with an optimal path to move to the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of the selected charging robo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moving to the electric vehicle.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이 상기 전기차의 소켓에 연결부를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면, 상기 전기차가 결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에 전달하고,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이 상기 에지 서버에 충전 및 상기 결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에지 서버에 전달하면 상기 에지 서버가 충전 및 결제에 관한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connects the connector to the socket of the electric vehicle to supply power, the electric vehicle transmits payment information to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and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connects to the edge server. When information about charging and payment is transmitted to the edge server, the edge server transmits a report message about charging and payment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V2X 기반 이기종 네트워킹을 통한 자율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율 충전 로봇이 포함된 이기종 네트워킹(V2X 및 V2G)을 통해 정보 전기차 충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예: 센서 정보)의 수집, 분석, 공유를 처리함으로써 종래 기술 대비 경제성과 신뢰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향상된 전기차 충전 관련 심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rough V2X-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e.g., sensors) required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through heterogeneous networking (V2X and V2G) including an autonomous charging robot. By processing the collection, analysis, and sharing of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depth services related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that are improved in terms of economics, reliability, and safety compared to conventional technologies.

또한, 본 발명은 R2R(Robot to Robot)이 포함된 V2X 기반의 충전 요청에 따른 최적의 충전 로봇(배터리 동선, 차량 동선, 배터리 잔량에 따른 운행 가능 거리 등) 선택을 통해 에너지, 비용, 시간 측면의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energy, cost, and time aspects by selecting the optimal charging robot (battery movement route, vehicle movement route, driving distance according to remaining battery capacity, etc.) according to the V2X-based charging request including R2R (Robot to Robot). economic feasi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R2R이 포함된 V2X 기반의 센싱(sensing) 가시거리 확장에 따른 자율 주행 측면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autonomous driving due to expansion of V2X-based sensing visibility range including R2R.

본 발명은 V2R(vehicle to robot)이 포함된 V2X 기반의 충전 차량 위치 정보 공유에 따른 자율 주행을 통해 에너지, 비용, 시간 측면의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economic efficiency in terms of energy, cost, and time through autonomous driving based on V2X-based charging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including V2R (vehicle to robot).

본 발명은 엣지 클라우드 컴퓨팅(edge cloud computing) 기반의 이기종 네트워킹(V2X 및 V2G)을 통해 수집되는 실시간 정보를 융합, 생성 및 재구성하는 하이브리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ybrid integrated solution that converges, creates, and reorganizes real-tim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heterogeneous networking (V2X and V2G) based on edge cloud comput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로봇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각 엔터티들 간의 시그널링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과 관련한 통합 하이브리드 자율 충전 시스템 통합 객체 모델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객체 모델링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2X/V2G callset-up 초기화와 관련한 임시 모델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지 서버 V2X 세션 형성과 관련한 모델링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지 서버 V2G 세션 형성과 관련한 모델링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a charg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ignaling between each entity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integrated object modeling of an integrated hybrid autonomous charging system related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description of the object modeling of FIG. 3.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emporary modeling related to V2X/V2G callset-up initia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deling related to edge server V2X s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deling related to edge server V2G s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use the concept of terminology appropriately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clearly.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로봇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각 엔터티들 간의 시그널링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a charg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signaling between each entit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로봇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에서, 충전 로봇(200)과 전기차(400) 간의 충전 절차는 V2G 표준을 따르며,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충전 로봇(200) 간, 그리고 운행 중인 전기차(400) 간 V2X 표준 기반 signaling을 통해 돌발상황 대응 및 최적 경로 등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 using a charg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procedure between the charging robot 200 and the electric vehicle 400 follows the V2G standard, and the charging procedure existing in the charging station Response to unexpected situations and optimal routes can be provided through V2X standard-based signaling between charging robots 200 and electric vehicles 400 in operation.

이와 관련하여, 충전 로봇을 이용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10)은 충전소(예: 사용자 단말기(100), 전기차(400), 충전 로봇(200) 및 충전 배터리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의 엔터티가 존재하는 물리적 공간)에 설치된 통신 접속 포인트(600), 상기 통신 접속 포인트(600)에 연결되는 에지 서버(500), 상기 충전소 내에 위치하며 차량 배터리를 포함하며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400), 전기차(400)를 운전하며 전기차(400) 충전에 관한 요청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100), 전기차(400) 충전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로봇(200), 상기 전기차(400)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배터리 장치(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 using a charging robot is a charging station (e.g., where at least one entity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electric vehicle 400, the charging robot 200, and the charging battery device 300 exists). a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installed in a physical space), an edge server 5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an electric vehicle 400 located in the charging station, including a vehicle battery and requiring charging, and an electric vehicle 400. A user terminal 100 that drives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performs controls such as requests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400, at least one charging robot 200 that performs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a charging device us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400. It may include a battery device 300, etc.

상기 통신 접속 포인트(600)는 충전소 일측에 배치되어 충전소 내 통신망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접속 포인트(600)는 와이파이 접속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 접속 포인트(60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접속 포인트(600)는 전기차(400), 충전 로봇(200), 충전 배터리 장치(300),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각 구성들 간의 신호 전달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 포인트(600)는 에지 서버(5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전기차(400), 충전 로봇(200), 충전 배터리 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신호를 에지 서버(500)에 전달하거나, 에지 서버(500)가 전달하는 신호를 상기 전기차(400), 충전 로봇(200), 충전 배터리 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통신 접속 포인트(600)는 원거리 통신 접속을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채널(예: 이동통신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에지 서버(500), 전기차(400), 충전 로봇(200), 충전 배터리 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기(10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통신 채널을 통하여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이용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10)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을 위한 각 구성들 간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라면 어떠한 통신 방식도 이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station to form a communication network within the charging station.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may include a Wi-Fi access point.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may include a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amo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capable of forming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can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electric vehicle 400, the charging robot 200,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and the user terminal 100, and process signal transmission between each componen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edge server 500 and provides signal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electric vehicle 400, charging robot 200,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and user terminal 100.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edge server 500, or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edge server 500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electric vehicle 400, the charging robot 200,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and the user terminal 100. .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may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supporting the formation of a communication channel (e.g., a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capable of supporting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connection.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edge server ( 500), at least one of the electric vehicle 400, the charging robot 200,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and the user terminal 100 may proc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As su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 using the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ommunication method, and any communication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transmit signals between each component for charging.

상기 전기차(4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한 차량 이용자를 탑승시킬 수 있는 탑승 차체와, 상기 탑승 차체의 구동을 위한 바퀴, 상기 바퀴 구동에 필요한 동력 장치, 상기 바퀴 조향에 필요한 조향 장치, 동력 장치에 동력(예: 전기)을 전달하는 차량 배터리, 탑승 차체에 설치된 다양한 편의 장치(예: 에어콘 시스템, 난방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장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기차(4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통신 접속 포인트(600)와 통신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통신 접속 포인트(600)에 연결된 에지 서버(500)의 요청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 차량 배터리 잔량 상태, 차량 타입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차(400)는 자율 주행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상기 자율 주행 알고리즘 운용에 따라 자율 주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차(400)는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회피하거나 신호등 상태 또는 주변 차량 상태에 따라 가속과 정지를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다양한 센서(예: 카메라 센서, 라이다 센서,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차(400)는 에지 서버(500)가 지정한 충전소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지정한 충전소까지 탑승자 유무에 관계없이 자율 주행을 수행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충전이 완료된 후, 차량 이용자 설정에 따라 지정된 장소(예: 차량 이용자가 지정한 주차 장소)까지 이동 및 대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0)은 상기 전기차(400)가 별도의 자율 주행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충전소 내에 위치하는 경우, 충전 로봇(200)의 자율 주행을 통하여 전기차(40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0)은 자율 주행 또는 비자율주행 전기차의 종류에 관계없이 충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400 includes a riding body capable of boarding a vehicle user carrying the user terminal 100, wheels for driving the riding body, a power device necessary for driving the wheels, a steering device necessary for steering the wheels, It may include a vehicle battery that delivers power (e.g. electricity) to the power unit, and various convenience devices (e.g. air conditioning system, heating system, display device, audio device, etc.)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In particular, the electric vehicle 400 includes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and the edge server 500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Upon request, information such a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vehicle battery remaining status, and vehicle type can be provided. The electric vehicle 400 stores an autonomous driving algorithm and can drive autonomous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algorithm. In this regard, the electric vehicle 400 has various sensors (e.g., camera sensor, lidar sensor, distance measurement) that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 to avoid obstacles on the driving path or accelerate and stop according to traffic light conditions or surrounding vehicle conditions. sensor) may be included. The above-mentioned electric vehicle 400 can autonomously drive and move to a charging station designated by the edge server 500 or a charging st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100,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ssengers, and after charging is completed, the electric vehicle 400 can move to a charging station designated by the edge server 500 or a charging station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100. You can move to a location (e.g., a parking location designated by the vehicle user) and wait.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electric vehicle 400 through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charging robot 200 when located within a charging station, even if the electric vehicle 400 does not perform separate autonomous driving. Support for charging is available. Accordingl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charging services regardless of the type of autonomous or non-autonomous electric vehicle.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차(400)를 이용하는 차량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이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전기차(400) 충전을 위한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 단말 메모리, 디스플레이, 단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접속 포인트(600)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위치 정보 및 충전 비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차량 이용자가 특정 충전소를 지시하는 경우, 해당 충전소 충전을 위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전기차(4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전기차(400) 식별 정보 및 전기차(400) 위치 정보를 수집한 후, 충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에지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전기차(400) 충전과 관련한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는 전기차(400)의 충전 완료 이후 주차할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 terminal carried by a vehicle user using the electric vehicle 400. A vehicle user may make a request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400 using the user terminal 100. In this regard,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terminal memory, display, and terminal processor.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s to the Internet or at least on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using a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cost of at least one charging station, and outputs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can do. When the vehicle user indicates a specific charging sta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process a request for charging at the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In this regard, the user terminal 100 communicates with the electric vehicle 400, collects the electric vehicle 4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electric vehicle 400 location information, and then includes the information in the charging request message to the edge server 500. Can be transmitted. The charging request message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payment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400. Additionally, the charging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re to park the electric vehicle 400 after completion of charging.

상기 충전 로봇(200)은 통신 접속 포인트(600)를 통하여 에지 서버(5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에지 서버(500)로부터 전기차(400) 충전에 관한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로봇(200)은 충전 지시를 수신하면, 주변 스캔을 수행하여 충전할 전기차(400)가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전기차(400)가 검색되면 충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충전 로봇(200)은 에지 서버(500)로부터 충전할 전기차(4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로 이동하여 전기차(400)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충전 로봇(200)은 전기차(400)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전기차(400) 충전 포트를 확인하고, 전기차(400) 충전 포트에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기차(400)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충전 로봇(200)은 전기차(400)가 위치한 지점까지 자율 주행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알고리즘, 상기 자율 주행에 따라 전기차(400)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전기차(400) 충전을 위한 충전 케이블(또는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로봇 팔), 전기차(400)에 주입할 전력이 저장된 로봇 배터리,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하여 전기차(400)가 요청한만큼의 전력을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로봇(200)은 로봇 배터리가 지정된 크기 이상의 전력보다 낮은 경우, 충전 배터리 장치(300)로 이동하여 추가 로봇 배터리를 획득하거나, 로봇 배터리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harging robot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edge server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and receive instructions regarding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400 from the edge server 500. When the charging robot 200 receives a charging instruction, it scans the surrounding area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electric vehicle 400 to be charged, and when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400 is found, it can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Alternatively, the charging robot 20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to be charged from the edge server 500, move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 a sca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At this time, the charging robot 200 may check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4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connect the charging cable to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400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400. In this regard, the charging robot 200 includes an autonomous driving algorithm capable of autonomously driving to the point where the electric vehicle 400 is located, a moving means capable of moving to the loc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according to the autonomous driving, at least one sensor, and an electric vehicle. (400) A charging cable for charging (or a robot arm to which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a robot battery storing power to be injected into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are controll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400 with as much power as requested. It may include a robot processor. If the power of the robot battery is lower than the specified size, the charging robot 200 may move to the charging battery device 300 to obtain an additional robot battery or replace the robot battery.

상기 충전 배터리 장치(300)는 충전 로봇(200)의 로봇 배터리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상기 충전 배터리 장치(300)는 상시 전원 또는 영구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복수의 로봇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 로봇(200) 요청에 따라 충전이 완료된 로봇 배터리를 충전 로봇(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배터리 장치(30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전원부에 고정될 수 있다. 충전 배터리 장치(300)는 충전 로봇(200) 요청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전기차(400) 충전 중인 충전 로봇(200)에 로봇 배터리를 배달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로봇(200)이 로봇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충전 지점(예: 전원부) 까지의 자율 주행을 수행하고, 충전이 완료된 이후, 전기차(400) 충전 요청에 따라 충전하도록 설계되는 경우, 충전 배터리 장치(3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may support robot battery management of the charging robot 200. As an example,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charges a plurality of robot batteries by receiving power from a constant power source or a permanent power source, and supplies the fully charged robot batteries to the charging robot 200 at the request of the charging robot 200. It can be delivered.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may be designed to be movable or may be fixed to a power source.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may deliver a robot battery to the charging robot 200 that is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400 at a specific location at the request of the charging robot 200. If the charging robot 200 is designed to perform autonomous driving to a charging point (e.g., a power source) to charge the robot battery and, after charging is completed, charge the electric vehicle 400 according to a charging request, the charging battery device (300) may be omitted.

상기 에지 서버(500)는 V2X 및 V2G 기반 자율 충전 서비스를 관장하는 통합 하이브리드 센터가 될 수 있다. 상기 에지 서버(500)는 상기 통신 접속 포인트(6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충전소 운영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달, 충전소에 배치된 각 구성들(예: 전기차(400), 충전 로봇(200), 충전 배터리 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과 관련한 정보의 수집,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에 필요한 동선 설계, 충전에 따른 비용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에지 서버(500)는 통신 접속 포인트(6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서버 통신 인터페이스, 충전소에 출입하는 전기차(400)와 사용자 단말기(100)들의 정보, 충전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로봇(200)들의 정보, 충전 배터리 장치(300)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서버 메모리(또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100) 요청에 따른 충전소까지의 전기차(400) 자율 주행 제어, 충전소 상황에 따른 충전 로봇(200) 제어를 통한 전기차(400) 충전 제어, 충전 배터리 장치(300)의 이동 및 충전 제어 등을 수행하는 서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dge server 500 can be an integrated hybrid center that manages V2X and V2G-based autonomous charging services. The edge server 50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t least one charging st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generates and transmits control signal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charging station, and controls each component placed at the charging station (e.g., electric vehicle ( 400), collec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robot 200, the charging battery device 300, and the user terminal 100), design of the movement line required for charging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processing of costs according to charging, etc. It can be done. In this regard, the edge server 500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interface capable of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mmunication access point 600, information on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user terminals 100 entering and exiting the charging station, and information placed at the charging station. Server memory (or server database)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harging robot 200, information on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etc., autonomous driving control of the electric vehicle 400 to th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 It may include a server processor that performs charging control of the electric vehicle 400 through control of the charging robot 200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ion situation, and movement and charging control of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한 예로서, 에지 서버(500)는 충전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엔터티들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각 엔터티들이 제공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전기차(400) 충전에 필요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서버(500)는 복수의 충전소들의 전기차(400)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기차(400)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전기차(4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충전소에서의 충전을 스케줄링을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충전소에 전기차(400)들이 충전 중인 경우, 에지 서버(500)는 해당 전기차(400)들의 충전이 완료되는 시점에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400)가 충전소를 방문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또는, 에지 서버(500)는 전기차(400)의 충전 완료 요청 시간을 확인하고, 전기차(400)가 위치한 지점을 기준으로 가장 빠르게 전기차(40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를 검색하고, 해당 충전소에서 전기차(400)의 충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에지 서버(500)는 전기차(400)가 자율 주행이 가능한 경우, 전기차(400)가 주차된 지점 또는 충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시점의 위치에서부터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까지 전기차(400) 자율 주행을 요청할 수 있다. 전기차(400)가 자율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 에지 서버(500)는 전기차(400)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400)를 차량 이용자가 충전소까지 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edge server 500 may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t least one entity placed at a charging station and perform scheduling necessary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400 based on messages provided by each entity. For example, the edge server 500 checks the charging status of the electric vehicle 400 at a plurality of charging stations, and upon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message for the electric vehicle 400 from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Based on this, you can design charging schedule at the nearest charging station. At this time, when electric vehicles 400 are being charged at a charging station, the edge server 500 may schedule the electric vehicles 400 in need of charging to visit the charging station at the time the charging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s 400 is completed. Alternatively, the edge server 500 checks the charging completion request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400, searches for a charging station that ca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400 the fastest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electric vehicle 400 is located, and performs charging at the charging station.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400 can be scheduled. In this process, if the electric vehicle 400 i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the edge server 500 autonomously operates the electric vehicle 400 from the location where the electric vehicle 400 is parked or when the charging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a charging station where charging is possible. You can request a ride. If the electric vehicle 400 cannot drive autonomously, the edge server 500 provides the user terminal 100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a charging station where the electric vehicle 400 can be charged, so that the vehicle user can bring the electric vehicle 400 that needs charging to the charging station. We can assist you in driving.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에서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각 엔터티들(예: 전기차(400), 사용자 단말기(100), 충전 로봇(200), 충전 배터리 장치(300))들은 설명자(descriptor) 형태의 시그널링을 송수신하여 각 엔터티의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 이 때, 각 설명자는 해당 엔터티 내에서 수집 가능한 모든 실시간 데이터 정보를 의미한다. 일 예로, MD(mobile descriptor)의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 실시간 위치 정보, 사용자 요청에 따른 charging level 등이 될 수 있다. ED(EV descriptor)의 경우 GPS 기반 실시간 위치 정보, EV model, EV charging capacity, EV charging connector 위치, 현재 EV battery level, AVM(around view monitoring) 등이 될 수 있다. RD(robot descriptor)의 경우 GPS 기반 실시간 위치 정보, 현재 charging-robot의 charging level, 실시간 AV(audio/video) 등이 될 수 있다. BD(battery descriptor)의 경우 현재 battery의 charging level, charging capacity, 충전 소요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각 엔터티에 할당된 IP address 및 port number 정보는 모든 엔터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단일의 charging-station 엔터티 내의 나머지 엔터티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mobile 엔터티는 0 ~ N 개로 구성될 수 있다. EV 엔터티는 mobile 엔터티와 동일하게 0 ~ N 개로 구성될 수 있다. charging-robot 엔터티는 0 ~ M 개로 구성될 수 있다. battery 엔터티는 0 ~ K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N ≥ M, N ≥ K 이며 K ≥ M 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단일의 charging-station 엔터티 내의 구성은 0 ~ J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대 J 개의 charging-station 엔터티를 관장하는 edge server 엔터티는 0 ~ L 개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in the above-describ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 each entity present in the charging station (e.g., electric vehicle 400, user terminal 100, charging robot 200, and charging battery device 300) ) can share information about each entity in real time by sending and receiving signaling in the form of a descriptor. At this time, each descriptor refers to all real-time data information that can be collected within the corresponding entity. For example, in the case of MD (mobile descriptor),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harging level according to user request, etc. In the case of ED (EV descriptor), it can be GPS-base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EV model, EV charging capacity, EV charging connector location, current EV battery level, and AVM (around view monitoring). In the case of RD (robot descriptor), it can be GPS-base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current charging-robot charging level, real-time AV (audio/video), etc. In the case of BD (battery descriptor), it can be the current battery charging level, charging capacity, charging time, etc. Lastly, the IP address and port number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entity can be applied equally to all entities. At this time, the remaining entities within a single charging-station entity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The number of mobile entities can be 0 to N. The EV entity can be composed of 0 to N items, just like the mobile entity. The charging-robot entity can consist of 0 to M entities. The battery entity can consist of 0 to K entities. At this time, N ≥ M, N ≥ K and K ≥ M are defined. Additionally, the configuration within the single charging-station entity may consist of 0 to J items. Additionally, the number of edge server entities that manage the maximum J charging-station entities may be 0 to 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과 관련한 통합 하이브리드 자율 충전 시스템 통합 객체 모델링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3의 객체 모델링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llustrates integrated object modeling of an integrated hybrid autonomous charging system related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llustrates an explanation of the object modeling of FIG. 3 .

도 3을 참조하면, integrated object modelin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모듈(module)은 객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한 각 엔터티들은 온오프(on/off) 방식으로 필요한 객체를 활성화(activate)하여 사용하고 불필요한 객체는 비활성화(de-activate)함으로써 엔터티 특성에 맞도록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성할 수 있다. callset-up manager는, 엔터티들의 초기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callset-up manager 객체는 자동 EV 충전(autonomous EV chagrining)을 위한 V2G와 자율 주행(autonomous driving)을 위한 V2X 국제 표준에 따라 모델링될 수 있다 session은 callset-up manager를 제외하고 메모리 또는 데이터 등의 측면에서 추가 객체들을 제어할 수 있다. session 객체는 충전 로봇 엔터티가 쓰레드에 의해 다중 세션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ncoder는 각 엔터티들로부터 생성된 실시간 데이터들 예컨대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센싱 데이터 등을 엔코딩할 수 있다. decoder는 각 엔터티들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데이터들 예컨대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센싱 데이터 등을 디코딩할 수 있다. packetizer는 다른 엔터티들에게 엔코딩된 실시간 데이터들을 전송하기 위해 패킷화할 수 있다. de-packetizer는 패킹된 데이터들을 통합할 수 있다. sender는 실시간 정보 공유를 위하여 다른 엔터티들에게 패킹된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ender 객체는 예컨대, TCP 또는 UDP/I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receiver는 실시간 정보 공유를 위하여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패킹된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receiver 객체는 예컨대, TCP 또는 UDP/I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renderer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패킹되고 디코딩된 AV 스트림을 렌더링할 수 있다. QoS manager는 AV 또는 센싱 데이터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을 QoS파라메터(latency, 대역, 패킷 로스율 등)에 따라 QoS/QoE를 위한 엔터티들 사이에서 스케줄링할 수 있다. QoS manager는 CLI(Cross Layer Interface)로서 정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as seen in integrated object modeling, all modules are objectified. Therefore, each entit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gure an application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ty by activating and using necessary objects in an on/off manner and deactivating unnecessary objects. there is. A callset-up manager can support initial connection of entities. The callset-up manager object can be modeled according to the V2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autonomous EV chagrining and V2X for autonomous driving. The session excludes the callset-up manager and has aspects such as memory or data. You can control additional objects. The session object supports the charging robot entity to create and manage multiple sessions by thread. The encoder can encode real-time data generated from each entity, such as text, audio, video, and sensing data. The decoder can decode real-time data received from each entity, such as text, audio, video, and sensing data. A packetizer can packetize encoded real-time data for transmission to other entities. A de-packetizer can integrate packed data. The sender can transmit packed data to other entities for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The sender object may use, for example, TCP or UDP/IP protocols. The receiver can receive packed data from other entities for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The receiver object may use, for example, TCP or UDP/IP protocols. The renderer can render integrated packed and decoded AV streams for real-time monitoring. The QoS manager can schedule real-time data streaming such as AV or sensing data among entities for QoS/QoE according to QoS parameters (latency, bandwidth, packet loss rate, etc.). QoS manager can be defined as CLI (Cross Layer Interface).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위한 통합 하이브리드 자율 충전 시스템의 엔터티간 임시 모델링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2X/V2G callset-up 초기화와 관련한 임시 모델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5 to 7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emporary modeling between entities of an integrated hybrid autonomous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emporary modeling related to V2X/V2G callset-up initia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100)는 충전 로봇(200)에 자신의 식별 메시지(MD)를 포함한 충전 요청 메시지(request+MD)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 로봇(20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충전 요청 메시지(request+MD)에 대응하는 제1 응답 메시지(response+RD)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주변 검색을 수행하여 충전이 가능한 충전 로봇(2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거나, 또는 충전 요청 메시지(request+MD)를 broadcasting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 로봇(200)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출력한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충전 로봇(200)은 제1 응답 메시지(response+MD)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충전 로봇(200)들은 전기차(400)를 충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충전 요청 메시지(request+MD)를 수신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a charging request message (request+MD) including its own identification message (MD) to the charging robot 200. The charging robot 200 may transmit a first response message (response+RD)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request message (request+M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0 may perform a surrounding search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harging robot 200 capable of charging, or may output a charging request message (request+MD) in a broadcasting manner. Among at least one charging robot 200, the charging robot 200 that has received the charging request message output by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a first response message (response+MD) to the user terminal 100. In this regard, the charging robots 200 may be in a standby state in which they can receive a charging request message (request+MD) from the user terminal 100 while not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400 .

충전 요청 메시지(request+MD)를 수신한 충전 로봇(200)은 전기차(400)에게 충전 요청 확인 메시지(request+RD)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요청 확인 메시지(request1+RD)를 수신하는 전기차(400)는 제2 응답 메시지(response+ED)를 충전 로봇(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전달한 충전 요청 메시지(request+MD)에는 전기차(4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충전 로봇(200)은 상기 연결 정보를 통해 전기차(400)를 스캔하고, 스캔된 전기차(400)에 상기 충전 요청 확인 메시지(request1+RD)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응답 메시지(response+ED)는 상기 전기차(4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기차(400)의 배터리 잔량, 상기 전기차(400)의 타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robot 200, which has received the charging request message (request+MD), may transmit a charging request confirmation message (request+RD) to the electric vehicle 400. The electric vehicle 400 receiving the charging request confirmation message (request1+RD) may transmit the second response message (response+ED) to the charging robot 200. In this regard, the charging request message (request+MD)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connection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400. The charging robot 200 may scan the electric vehicle 400 us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charging request confirmation message (request1+RD) to the scanned electric vehicle 400. The second response message (response+ED)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400, typ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etc.

상기 전기차(400)로부터 제2 응답 메시지(response+ED)를 수신한 충전 로봇(200)은 충전 할당 요청 메시지(request2+RD)를 충전 배터리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할당 요청 메시지(request2+RD)는 상기 전기차(400)를 충전하기 위해 필요한 크기의 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배터리 장치(300)는 상기 충전 로봇(200)이 요구한 전력이 완료되면, 제3 응답 메시지(response+BD)를 충전 로봇(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 배터리 장치(300)가 자율 주행이 가능한 경우, 상기 충전 로봇(200)은 전기차(400)의 위치 정보 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충전 배터리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charging robot 200, which has received the second response message (response+ED) from the electric vehicle 400, may transmit a charging allocation request message (request2+R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The charging allocation request message (request2+RD) may include power information of the size requir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400. When the power requested by the charging robot 200 is completed,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may transmit a third response message (response+BD) to the charging robot 200. At this time, if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i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the charging robot 200 ma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or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상기 제3 응답 메시지(response+BD)를 수신한 충전 로봇(200)은 전기차 충전 관련 메시지(request3+RD)를 에지 서버(500)에 전송하고, 상기 에지 서버(500)는 이에 대한 제4 응답 메시지(response+CD)를 충전 로봇(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아기 전기차 충전 관련 메시지(request3+RD)는 어떠한 사용자 단말기(100)가 어떠한 전기차(400)의 충전을 요청하였으며, 충전을 위하여 어떠한 충전 배터리 장치(300)를 할당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robot 200, which has received the third response message (response+BD), transmit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related message (request3+RD) to the edge server 500, and the edge server 500 sends a fourth response thereto. A message (response+CD) can be transmitted to the charging robot 200. Here, the baby electric vehicle charging related message (request3+RD)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user terminal 100 requested charging of which electric vehicle 400 and which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was assigned for charging. there is.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충전 요청 메시지(request+MD)를 충전 로봇(200)에 전송한 이후, 충전 요청 관련 정보(request+MD)를 에지 서버(500)에 전송하고, 에지 서버(500)로부터 응답 메시지(response_CD)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에지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100) 정보를 수집하여, 충전 로봇(200)이 제공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a charging request message (request+MD) to the charging robot 200, then transmits charging request-related information (request+MD) to the edge server 500, and the edge server 500 ) can receive a response message (response_CD) from. In this process, the edge server 500 can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100 and compare it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harging robot 200.

한편, 상술한 callset-up 초기화 과정에서는, 단순히, 사용자 단말기(100), 충전 로봇(200), 전기차(400), 충전 배터리 장치(300) 및 에지 서버(500)들 간의 할당 메시지만을 송수신하여, 어떠한 전기차(400)가 충전을 필요로 하는지, 이를 위해 어떠한 충전 로봇(200) 및 충전 배터리 장치(300)가 할당되는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callset-up initialization process, only allocation message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charging robot 200, electric vehicle 400,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and edge server 5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electric vehicle 400 needs charging and which charging robot 200 and charging battery device 300 are allocated for this purpos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지 서버 V2X 세션 형성과 관련한 모델링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deling related to edge server V2X s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차(400)는 충전 로봇(200)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자신의 위치 관련 정보(location info + ED)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차(400)는 위치 관련 정보를 에지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electric vehicle 400 may transmit its own location-related information (location info + ED) including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harging robot 200. Additionally, the electric vehicle 400 may transmit location-related information to the edge server 500.

한편, 충전 배터리 장치(300)는 자신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배터리 관련 정보(location info + BD)를 충전 로봇(200) 및 에지 서버(500)에 전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may transmit battery-related information (location info + BD) including its own statu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harging robot 200 and the edge server 500.

전기차(400)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 및 충전 배터리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확보하면, 전기차(400)는 충전 로봇(200)에 ED를 제공하고, 충전 로봇(200)은 전기차(400)에 RD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충전 로봇(20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RD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응답으로 MD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로봇(200)은 충전 로봇 결정 프로세스 함수를 실행하고, 로봇 구동 플래그가 false인 경우 충전 로봇 결정 프로세스를 구동하고, 충전 로봇(200)이 결정된 로봇 구동 플래그를 true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전기차(400)의 충전을 위한 충전 로봇을 결정할 때까지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충전 로봇(200)은 충전 로봇 구동 플래그가 true이면 그에 따른 RD를 에지 서버(5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에지 서버(500)는 전기차(400) 충전 로봇(200) 결정이 완료되면, ID(Integrated Descriptor)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On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are secured, the electric vehicle 400 provides ED to the charging robot 200, and the charging robot 200 provides ED to the electric vehicle 400. RD can be provided to. In this process, the charging robot 200 may provide an R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receive an MD in response. The charging robot 200 executes a charging robot decision process function, drives the charging robot decision process when the robot drive flag is false, and converts the determined robot drive flag to true. This operation can be performed repeatedly for a period of time until a charging robo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400 is determined. Meanwhile, if the charging robot driving flag is true, the charging robot 20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RD to the edge server 500. When the edge server 500 completes determining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the charging robot 200, the edge server 500 may provide an Integrated Descriptor (ID) to the user terminal 100.

정리하면, 상술한 V2X 세션과 관련하여, 에지 서버(500)는 전기차(400) 충전을 위한 충전 로봇(200) 할당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전기차(400) 및 사용자 단말기(100)가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400)는 차량 이용자에 의하여 충전소에 배치되거나 또는 에지 서버(500)가 지정된 충전 로봇(200)이 있는 충전소까지 자율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충전 로봇 할당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서버(500)는 상기 전기차(4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충전 로봇(200)의 위치를 수집하고, 상기 전기차로 이동할 수 있는 최적 경로를 가지는 충전 로봇(200)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충전 로봇(200)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차(400)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summary, in relation to the above-described V2X session, the edge server 500 performs allocation of the charging robot 200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the user terminal 100 share the resulting results. can do. Here, the electric vehicle 400 can autonomously drive to a charging station where the charging robot 200 is placed at the charging station by the vehicle user or where the edge server 500 is designated. Additionally, in allocating the charging robot, the edge server 500 col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robot 200, and provides a charging robot with an optimal path to move to the electric vehicle. By selecting (200),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selected charging robot (200) can be controlled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40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지 서버 V2G 세션 형성과 관련한 모델링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deling related to edge server V2G s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충전 로봇(200)은 세션 시작 시, 전기차(400)의 소켓에 충전 케이블의 연결부를 도킹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전기차(400) 충전을 위한 연결부 도킹을 수행할 수 있다. 전기차(400)는 충전 로봇(200)의 연결부 도킹(SECC discovery)에 따라, 이에 대한 충전 메시지(TCP request+ED)를 충전 로봇(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로봇(200)은 충전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response+RD)를 전기차(400)에 전달하고, 도킹된 연결부를 통하여 전기차(40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전기차(400)는 충전 로봇(200)의 충전에 대응하는 충전 결제 정보 메시지(TLS based payment info)를 충전 로봇(200)에 전달하고, 충전 로봇(200)은 충전 결제 정보 메시지(TLS based payment info)를 에지 서버(500)에 전달할 수 있다. 충전 결제 정보 메시지(TLS based payment info)를 수신한 에지 서버(500)는 이에 대응하는 리포트 메시지(report message)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a session is started, the charging robot 200 transmits a message to dock the connection part of the charging cable to the socket of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performs docking of the connection par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400. . The electric vehicle 400 may transmit a charging message (TCP request+ED) to the charging robot 200 according to the docking of the charging robot 200 (SECC discovery). The charging robot 200 can transmit a response message (response+R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harging message to the electric vehicle 400 and charge the electric vehicle 400 through the docked connection unit. The electric vehicle 400 transmits a charging payment information message (TLS based payment info) corresponding to charging of the charging robot 200 to the charging robot 200, and the charging robot 200 transmits a charging payment information message (TLS based payment info) to the charging robot 200. info) can be delivered to the edge server 500. The edge server 500, which has received a charging payment information message (TLS based payment info), may provide a corresponding report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0.

다음으로, 충전 로봇(200)은 전기차(400)에 전력을 공급(transmission power)할 수 있다. 전기차(400)는 전력 공급 완료에 따라 충전 로봇(200)의 연결 해제가 필요한 충전 연결 해제 메시지(release_flag+ED)를 충전 로봇(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로봇(200)은 충전 연결 해제 메시지(release_flag+ED)를 수신하면, 그에 따른 안내 메시지(RD)를 에지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charging robot 200 can supply power (transmission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400. The electric vehicle 400 may transmit a charging disconnection message (release_flag+ED) to the charging robot 200, which requires disconnection of the charging robot 200 upon completion of power supply. When the charging robot 200 receives the charging disconnection message (release_flag+ED), it may transmit a corresponding information message (RD) to the edge server 500.

충전 로봇(200)은 연결부 해제가 완료되면, 해제 메시지(release message)를 전기차(400), 충전 배터리 장치(300) 및 에지 서버(500)에 전달하고, 상기 에지 서버(500)는 해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release of the connection is completed, the charging robot 200 transmits a release message to the electric vehicle 400, the rechargeable battery device 300, and the edge server 500, and the edge server 500 sends a release message.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정리하면, 본 발명은 상술한 에지 서버의 V2G 세션 형성을 기반으로, 전기차(400)의 충전을 수행하고, 충전에 따른 결제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충전 완료 후, 해제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모델링을 제공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400, processing payment according to charging, based on the V2G session formation of the edge server described above, and performs release processing after completion of charging. We can provide modeling that can be do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10)은 V2X(vehicle to everything) 및 V2G(vehicle to grid) 통신 프로토콜이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킹 기술과 해당 환경에서 자율 충전 로봇(autonomous charging-robot)을 활용한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자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4.0 단계의 모빌리티 플랫폼(Lvl.4-based mobility platform) 기술이며, 자율 충전 로봇 엔터티(entity)가 추가된 고도의 하이브리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heterogeneous networking technology that mixes V2X (vehicle to everything) and V2G (vehicle to grid) communication protocols and autonomous charging robots (autonomous charging) in the corresponding environment. It is a level 4.0 mobility platform (Lvl.4-based mobility platform) technology to provide autonomous charging services for electric vehicles (EV) using robots, and is a highly hybrid technology with the addition of an autonomous charging robot entity. It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Meanwhil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0: 전기차 충전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충전 로봇
300: 충전 배터리 장치
400: 전기차
500: 에지 서버
600: 통신 접속 포인트
10: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user terminal
200: Charging robot
300: Rechargeable battery device
400: electric vehicle
500: Edge server
600: Communication access point

Claims (8)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로봇;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이용하는 차량 이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에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차량 간의 충전 절차는 V2G 표준 절차에 따라 수행되며,
상기 충전소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충전 로봇 간 시그널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 간 시그널링은 V2X 표준 기반 시그널링을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V2X 표준 절차에 따른 시그널링과 관련하여, 상기 에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관련한 특정 전기차 충전과 관련한 충전 로봇을 결정하고, 상기 충전 로봇 결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특정 전기차에 전달한 후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으로 상기 특정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V2G 표준 절차에 따른 시그널링과 관련하여, 상기 에지 서버는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이 상기 특정 전기차를 충전하는 동안 상기 특정 전기차로부터 충전 결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결제 정보 메시지에 대응하는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특정 전기차의 충전 완료 시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으로부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A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disposed within at least one charging station;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whose battery is charged by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 user terminal carried by a vehicle user using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It includes; an edge server that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disposed within the at least one charging station,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The charging procedure between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nd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is performed according to V2G standard procedures,
Signaling between a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present in the charging station and signaling between the at least one electric vehicle are set to perform V2X standard-based signaling,
In relation to signaling according to the V2X standard procedure, the edge server determines a charging robot related to charging a specific electric vehicle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harging robot decis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and then performs the determined charging. Controlling the robot to charge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In relation to signaling according to the V2G standard procedure, the edge server receives a charging payment information message from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while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is charging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and sends a repor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payment information messag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 a release message from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when charging of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전기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들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로봇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dge server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herein upon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message requesting charging of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from the user terminal, the status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is checked and a charging robo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is determ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서버는
상기 특정 전기차가 자율 주행이 가능한 경우,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이 배치된 충전소에 상기 자율 주행을 통해 상기 특정 전기차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dge server is
If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above i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herein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is controlled to move through autonomous driving to a charging station where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is pla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서버는
상기 특정 전기차가 비자율 주행 차량인 경우,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이 배치된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dge server is
If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is a non-autonomous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 t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where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is placed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기차 충전을 위해 결정된 충전 로봇은
상기 특정 전기차 충전을 위한 연결부를 상기 특정 전기차의 소켓에 연결하고, 상기 특정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면서, 상기 특정 전기차 충전과 관련하여 진행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에지 서버에 전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harging robot determined to charge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is
Connecting the connection for charging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to the socket of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edge serve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do so.
에지 서버가, 전기차를 이용하는 차량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기차 충전을 위한 복수의 충전 로봇 및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과 상기 전기차 간의 V2X 및 V2G callset-up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V2X 세션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 중 상기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기차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V2G 세션을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이 상기 전기차를 충전하는 동안 상기 전기차로부터 충전 결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결제 정보 메시지에 대응하는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충전 완료 시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으로부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An edge server performing V2X and V2G callset-up initializ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of a vehicle user using an electric vehicle and a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and the electric vehicle;
The edge server determining a charging robo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based on the V2X session,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electric vehicle;
Controlling the edge server to perform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based on the V2G session, receiving a charging payment information message from the electric vehicle while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is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 transmitting a repor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payment inform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release message from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upon completion of charg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차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충전 로봇의 위치를 수집하고, 상기 전기차로 이동할 수 있는 최적 경로를 가지는 충전 로봇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충전 로봇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차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rging robot is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locations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robots, determining a charging robot having an optimal path to move to the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of the determined charging robot to move it to the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comprising:

삭제delete
KR1020210109980A 2021-08-20 2021-08-20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2X 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870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80A KR102587072B1 (en) 2021-08-20 2021-08-20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2X 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80A KR102587072B1 (en) 2021-08-20 2021-08-20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2X 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649A KR20230028649A (en) 2023-03-02
KR102587072B1 true KR102587072B1 (en) 2023-10-11

Family

ID=8550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980A KR102587072B1 (en) 2021-08-20 2021-08-20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2X 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07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72B1 (en) * 2013-04-25 2014-06-23 (주)세화하이테크 Robot for Recharging of Electir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143B1 (en) * 2017-09-14 2019-06-10 포테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charging battery of electric car
KR20190050228A (en) * 2017-11-02 2019-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charging of vehicle, vehicle charging system
KR20210001180A (en) * 2019-06-27 2021-01-06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e / discharge of electric vehicle in V2X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72B1 (en) * 2013-04-25 2014-06-23 (주)세화하이테크 Robot for Recharging of Electi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649A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8693B2 (en)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operated vehicle
JP7006187B2 (en) Mobiles, vehicle allocation systems, servers, and mobile vehicle allocation methods
US11197042B2 (en) Distributed 3D video for navigation
US11589198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vehicle
US10300808B2 (en) Preconditioned charging using an autonomous vehicle
US10391873B2 (en) Mobile energy storage and method for providing energy to a consumer
US11273727B2 (en) In-motion electric vehicle-to-vehicle recharging
US20210132604A1 (en) Autonomous passenger vehicle system
JP6930380B2 (en) Vehicle dispatch system, vehicle dispatch device used for it, and vehicle dispatch method
KR101063656B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
KR1018702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CN110997398A (en) Parking vehicle, method for parking an electric vehicle and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nd parking space system
CN111347897A (en) Mutual power borrowing system of unmanne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075038A (en) Movable body utilization system, server, method of using movable body
JP7096433B2 (en) Autonomous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JP2019075039A (en) Movable body utilization system, server, movable body, method of using movable body
CN106985680A (en) Electric car charging service device and electric car charging service system
WO2016206552A1 (en) Automatic traveling servo charging platform and servo charging delivery system for electrical vehicle
CN108116242B (en) Transport vehicle,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CN111867878A (en) Vehicle sharing charg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nd mobile charging vehicle
KR102587072B1 (en)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2X bas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90138023A1 (en) Movable body, image capture system using movable body, server,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ing movable body
WO2019026986A1 (en)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7114477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server, unmanned aerial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system
JP2021144300A (en) Vehicle dispatch service device, vehicle dispatch service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