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986B1 - Griptok for portable telephone with a magnifying glass - Google Patents
Griptok for portable telephone with a magnifying gla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5986B1 KR102585986B1 KR1020210181107A KR20210181107A KR102585986B1 KR 102585986 B1 KR102585986 B1 KR 102585986B1 KR 1020210181107 A KR1020210181107 A KR 1020210181107A KR 20210181107 A KR20210181107 A KR 20210181107A KR 102585986 B1 KR102585986 B1 KR 1025859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ifying glass
- locking plate
- plate portion
- spring
- gript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폰 후면에 부착되어 휴대폰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그립톡의 일측에 돋보기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그립톡의 기능을 제공하면서 필요시 돋보기를 쉽게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노년층도 휴대폰을 통한 다양한 정보습득이 가능하게 하는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Tok for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magnifying glass. More specifically, the function of the GripTok is provided by attaching a magnifying glass to one side of the GripTok, which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nd can be easily held, so that the magnifying glass can be detachably provided. This is about GripTok for mobile phones equipped with a magnifying glass, which allows even the elderly to acquir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mobile phones, as the magnifying glass can be easily removed and used when necessary.
Description
본 발명은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폰 후면에 부착되어 휴대폰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그립톡의 일측에 돋보기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그립톡의 기능을 제공하면서 필요시 돋보기를 쉽게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노년층도 휴대폰을 통한 다양한 정보습득이 가능하게 하는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Tok for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magnifying glass. More specifically, the function of the GripTok is provided by attaching a magnifying glass to one side of the GripTok, which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nd can be easily held, so that the magnifying glass can be detachably provided. This is about GripTok for mobile phones equipped with a magnifying glass, which allows even the elderly to acquir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mobile phones, as the magnifying glass can be easily removed and used when necessary.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휴대폰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데, 근래의 휴대폰은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전화번호, 스케줄, 개인정보 등을 저장, 관리할 수 있고,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어서 사진도 촬영, 저장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이 있다.To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phone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allow users to freely communicate wireless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have become widespread. Modern mobile phones not only can send and receive text messages, but also have a built-in flash. The memory allows you to store and manage phone numbers, schedules, personal information, etc., and the built-in camera allows you to take and save photos.
또한 근래에는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되어 휴대폰을 이용하여 영화감상이나 음악감상 또는 유튜브 시청이 이루어지고 있는 등 휴대폰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점차 노년층에서도 그 사용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mobile phones have become popular, with various contents being provided and people using mobile phones to watch movies, listen to music, or watch YouTube. This is gradually increasing the use of older people as well.
그러나, 노년층의 경우 휴대폰의 소형화와 노안이나 시력감퇴로 인하여 휴대폰의 문자나 숫자 등을 식별하기가 어렵고 휴대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찾을 때도 별도의 돋보기나 돋보기 안경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mobile phones and presbyopia or reduced vision, it is difficult to identify letters or numbers on the mobile phone, an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use a separate magnifying glass or reading glasses to find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mobile phone.
물론 휴대폰에 손가락 2개를 접지하고 간격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방법(펀치투줌)으로 화면을 확대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노년층에서는 쉽게 사용하기 어렵고 확대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은 글씨의 확인이 어려운 실정이다. Of course, there is a way to enlarge the screen and check it by touching two fingers on the phone and enlarging or reducing the gap (punch to zoom), but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use and if the magnification function is not provided, it is difficult to check small text. The situation is difficult.
이에 일부에서는 휴대폰 액세서리로서 열쇠고리 형태의 돋보기를 제공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열쇠고리의 걸림부를 제거한 형태로 휴대폰이 발전됨에 따라 열쇠고리 형태의 액세서리는 사용할 수 없다. Accordingly, some provide magnifying glasses in the form of key chains as mobile phone accessories, but recently, as mobile phones have developed into a form in which the locking part of the key chain has been removed, key chain-shaped accessories cannot be used.
한국등록특허 제10-1392562호(2014.04.29.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는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휴대 단말기를 감싸는 케이스의 후면에 장착홈과 탈부착홈을 형성하여 교체형모듈을 교체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교체형모듈로서 확대경을 구비하여 필요시 확대경을 사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은 확대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교체형모듈을 교체해야됨으로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그립톡이나 확대경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Korean Patent No. 10-1392562 (registered on April 29, 20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1’) presented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replaceable module. The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282호(2009.09.16.공개;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휴대폰 줄용 돋보기 악세사리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휴대폰의 일측에 마련된 걸이부에 체결될 수 있는 휴대폰줄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돋보기 악세사리로서 덮개를 연결끈상에서 상하 이동하여 내부 돋보기를 개방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근래 출시되는 휴대폰은 걸이부가 없으므로 휴대폰줄을 돋보기 제공은 사용할 수 없다.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09282 (published on September 16, 200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2’) presented a magnifying glass accessory for a mobile phone strap. The preceding document 2 is a magnifying glass accessory used by attaching to a cell phone strap that can be fastened to a hoo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ll phon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nal magnifying glass is opened by moving the cover up and down on the connecting string. However, recently released mobile phones do not have a hanger, so the mobile phone strap cannot be used as a magnifying glass.
따라서, 현재 휴대폰 악세서리에 적용하여 필요시 돋보기를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악세서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Therefore, a need has emerged for a new type of accessory that can be applied to current mobile phone accessories and allow the magnifying glass to be easily taken out and used when necessary.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은, GripTok for mobile phones equipped with a magnifying glas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손가락에 끼워서 휴대폰을 지지하는 그립톡의 기능을 제공하면서 필요시 그립톡에서 분리하여 화면을 확대해서 볼 수 있는 돋보기가 구비된 그립톡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is to provide GripTok with a magnifying glass that can be detached from GripTok to enlarge the screen when necessary while providing the function of GripTok that supports the mobile phone by attaching it to the finger.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은, GripTok for mobile phones equipped with a magnifying glas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휴대폰 후면에 부착되는 부착판부와; 상기 부착판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등에 접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판부와; 상기 부착판부와 걸림판부의 중심을 연결하여 일정간격 이격시키고 부착판부와 걸림판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외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내입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이격축부와; 상기 걸림판부에 결합수단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테두리인 링부와, 상기 링부내측에 배치된 렌즈부와, 상기 링부 하부에 돌출된 손잡이부로 형성된 돋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 attachment plat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 locking plate par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attachment plate 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caught by contacting the user's finger, etc.; a spaced shaft portion that connects the centers of the attachment plate portion and the locking plate portion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attachment plate portion and the locking plate portion to form an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user's finger on the out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gnifying glass,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plate with a coupling means and is formed of a ring portion as an edge, a lens portion disposed inside the ring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ing portion.
상기 결합수단은, 걸림판부와 돋보기 링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서로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으로 형성하여 자력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The coupling means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magnetic force by forming all or part of the locking plate portion and the magnifying glass ring portion with corresponding magnets or metal.
또한, 상기 걸림판부의 가장자리에는 돋보기의 링부와 대응되는 환형태의 걸림홈이 더 형성되어 돋보기가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ing-shaped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ing portion of the magnifying glass is further formed at the edge of the locking plate portion to ensure that the magnifying glass is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걸림판부의 내측으로 돋보기를 내입시키는 내입공간을 형성하고, 내입공간은 일측으로 개방되고, 내입공간의 두께는 링부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돋보기가 걸림판부의 내입공간으로 슬라이딩되어 탈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forms an inner space for inserting the magnifying glass into the inside of the locking plate portion, the inner space is open on one side, and the thickness of the inner space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ring portion, so that the magnifying glass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locking plate portion. It can be slid to enable attachment and detachment.
또한, 상기 내입공간 내면 또는 이에 접하는 돋보기의 링부 외면에는 수지층을 형성하여 마찰에 의해 지지력을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resin layer can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vity or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of the magnifying glass in contact with it to increase the holding force through friction.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걸림판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C형 돌출대와; 상기 돌출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돋보기의 링부가 내입되는 ㄷ자 형태의 내입홈과; 걸림판부 외면 중 돋보기의 렌즈부가 배치되는 중심 부분에 적어도 3개 이상 방사상 배치되는 스프링안치홈과; 상기 스프링안치홈의 저면에 하단이 부착되는 스프링과; Additionally,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C-shaped protrusion extending axially from the outer edge of the locking plate portion; a U-shaped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nto which the ring portion of the magnifying glass is inserted; At least three spring resting grooves arranged radially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where the lens portion of the magnifying glass is disposed; a spring whose lower end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pring resting groove;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저면이 부착되어 상측은 스프링안치홈에서 일부 돌출되어 돋보기 렌즈부를 가압 또는 링부에 걸리거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안치홈으로 내입되는 돔형걸림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spring, and the upper side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spring resting groove to press the magnifying glass lens part or be caught by the ring portion, or it can be made of a dome-shaped locking piece that is inserted into the spring resting groov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은, GripTok for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magnifying glas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solution,
돋보기를 그립톡 후면에 자석 또는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하여 필요시 그립톡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사용하고 다시 부착하여 보관하는 등 편의성과 보관성을 향상시켜 노년층이 휴대폰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등 노년층도 정보화시대를 영위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By attaching a magnifying glass to the back of GripTok using a magnet or insertion method, you can easily detach it from GripTok when necessary and reattach it for storag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storage, allowing the elderly to easily check various information from their mobile phone.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ide devices that allow older people to live in the information ag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그립톡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으로 자석을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결합수단으로 걸림판부에 내입공간이 형성된 홀더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A-A부분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결합수단으로 스프링을 이용한 걸림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A-A부분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돔형걸림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확대단면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GripTok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using a magnet as a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ing plate portion in which a locking groove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A showing a holder with an internal space formed in the locking plate portion by the coup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are a plan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showing a locking form using a spring as a coup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ome-shaped locking 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tak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or reduced from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that are commonly used and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그립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GripTalk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그립톡(10)은, 휴대폰(90) 또는 휴대폰 케이스 후면에 부착되는 큰 직경이 부착판부(20)와, 상기 부착판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큰 직경의 걸림판부(30)와, 상기 부착판부와 걸림판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작은 직경의 이격축부(40)와, 상기 걸림판부에 결합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돋보기(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referred to, the
상기 부착판부(20)은 저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 후면에 부착 및 고정된다. The
또한 상기 이격축부(40)은 축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구조로 제공하여 미사용시에는 걸림판부와 부착판부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고, 사용시에는 걸림판부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격축부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서 걸림판부와 부착판부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내입할 수 있는 끼움홈(41)이 형성되게 한다. 즉, 상기 이격축부(40)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으로 각각 부착판부와 걸림판부가 배치되어 그립톡이 사용자 손가락에 걸려 손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돋보기(50)은 걸림판부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직경을 갖는 링부(51)와, 상기 링부 내측에 배치되는 렌즈부(52)와, 상기 링부의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52)는 유리로 형성할 수 있으나, 충격에 의한 파손시 사용자에게 신체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위해서 필름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으로 자석을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Figures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using a magnet as a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걸림판부(30)에 돋보기(50)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자석(60)이 이용될 수 있다.A
걸림판부(30)의 외면과 이에 접하는 돋보기의 링부(51)을 모두 자석으로 형성하거나 어느 일측은 자석으로 형성하고 타측은 금속으로 형성하여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또한 도 2a와 같이 걸림판부(30)과 돋보기 링부(51)의 접하는 면 전체를 자석으로 형성하거나, 도 2b와 같이 돋보기(50)의 일부분만 자석(60)로 형성하여 부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물론 링부를 전체 금속 또는 자석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걸림판부를 부분적으로 자석 또는 금속으로 형성하여 탈부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a, the entire contact surface of the
도 2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걸림판부(30)의 외면에는 돋보기의 링부(51)이 접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홈(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돋보기(50)은 링부(51)과 내측의 렌즈부(5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됨으로, 상기 단차와 유사하 깊이로 걸림홈(31)을 형성하면 돋보기의 링부(51)이 걸림판부의 걸림홈(31)에 끼워지게 됨으로 정위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이 단차가 형성되면 걸림홈을 형성하는 바닥면을 자석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C, a locking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결합수단으로 걸림판부에 내입공간이 형성된 홀더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A-A부분단면도이다. Figures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A showing a holder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in the locking plate portion by the coup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결합수단은 걸림판부(30)에 내입공간(32)를 형성하여 내입공간으로 돋보기(50)을 슬라이딩 탈착시키는 홀더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the coupling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der that forms an
상기 걸림판부(30)은 내부에 돋보기를 수평방향으로 내입시킬 수 있는 내입공간(32)가 형성된다. 상기 내입공간(32)는 돋보기의 링부(51)이 안치되는 직경으로 형성하며 일측방향으로는 돋보기 링부(51)의 입축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The locking
여기서 상기 내입공간(32)의 두께는 돋보기 링부(51) 두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하여 내입공간으로 돋보기를 내입시켰을 때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thickness of the
또한, 상기 걸림판부(30)은 하중을 가하면 약간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탄성소재 예컨대 연질 플라스틱이나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내입공간의 입구는 돋보기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좁은 입구의 내입공간으로부터 돋보기를 배출시키거나 내입시키면 가압력에 의해 내입공간 입구가 탄성변형에 의해 확장되면서 돋보기의 입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이외에 도 3c를 참조한 바와같이 내입공간(32) 내면 또는 이에 접하는 돋보기 링부(51)의 외면에 수지층(33,54)을 형성하여 수지층과의 마찰에 의해 지지력을 제공하여 돋보기가 내입공간으로부터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층(33)은 내입공간 내면 전체에 형성하거나 내입공간의 입구측 면에만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referring to FIG. 3C, resin layers 33 and 54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결합수단으로 스프링을 이용한 걸림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B-B부분단면도이다. Figures 4a and 4b are a plan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B-B showing a locking form using a spring as a coup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은, 스프링(37)을 이용한 걸림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using a locking method using a spring (37).
상기 걸림판부(30)의 외면 중 가장자리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된 C형태의 돌출대(34)를 형성한다.A C-shaped
상기 돌출대(34)의 돌출된 내벽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홈이 형성하여 돋보기의 링부(51)이 일부내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ㄷ자 형태의 내입홈(35)가 형성된다. A groov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rotruding inner wall of the protruding
또한, 상기 걸림판부(30)의 외면 중 돋보기의 렌즈부(52)가 배치되는 영역인 중심부분에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되 중심에서 서로 등각을 갖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안치홈(36)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three
상기 스프링안치홈(36)에는 나선스프링 또는 판스프링등 다양한 모양 중 어느 한 형태의 스프링(37)이 내입되되 스프링의 내측 하단은 스프링안치홈의 저면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고정된다. A
상기 스프링(37)의 상단은 돔형걸림편(38)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 또는 부착된다. 상기 돔형걸림편(38)은 도 4c를 참조한 바와같이 스프링안치홈(36)에 내입되고 스프링안치홈 내벽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되는 원기둥부분과, 상부측으로 일부 표출되는 상단의 돔형부분으로 이루어진다. The upper end of the
이러한 구조에서 돋보기(50)이 내입홈(35)에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돋보기의 링부(51)은 돔형걸림편(38)의 상부면에 부딪치는데 이때 수평력은 돔형걸림편(38)을 하부로 가압하게 됨으로 돔형걸림편은 스프링안치홈(36)로 내입되고 돋보기의 링부(51)은 돔형걸림편을 넘어서 이동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when the magnifying glass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35) and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ing portion (51) of the magnifying glass collid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ome-shaped locking piece (38). At this time, the horizontal force moves the dome-shaped locking piece (38) to the lower side. By pressing, the dome-shaped lock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이어서 돋보기의 링부(51)이 통과하면 돔형걸림편(38)은 스프링(3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외부로 돌출되어 돋보기의 렌즈부(52) 영역에 근접 배치된다. 따라서 수평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돔형걸림편이 렌즈부를 가압 또는 링부와의 걸림에 의해 돋보기의 수평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Then, when the
이외에도 걸림판부의 내측면을 스프링에 의해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걸림판부 내면 전체를 통해 내입된 돋보기를 가압해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can be formed to protrude by means of a spring so that the magnifying glass inserted through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can be pressed and supported so that it cannot be easily removed.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 그립톡은 그립톡의 기능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필요시 그립톡의 일측에 결합된 돋보기를 분리함으로써 휴대폰의 작은 글씨를 확대하거나 기타 다른 서류의 글씨를 확대하여 볼 수 있는 노년층을 위한 유용한 휴대폰 악세서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GripTok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unctions of GripTok as is, but when necessary, separates the magnifying glass attached to one side of GripTok to enlarge small text on a mobile phone or magnify text on other documents.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ide useful mobile phone accessories for the elderly.
10 : 그립톡
20 : 부착판부
30 : 걸림판부
31 : 걸림홈 32 : 내입공간
33 : 수지층 34 : 돌출대
35 : 내입홈 36 : 스프링안치홈
37 : 스프링 38 : 돔형걸림편
40 : 이격축부
41 : 끼움홈
50 : 돋보기
51 : 링부 52 : 렌즈부
53 : 손잡이부 54 : 수지층
60 : 자석
90 : 휴대폰10: Grip Talk
20: Attachment plate part
30: Locking plate part
31: Locking groove 32: Internal space
33: Resin layer 34: Projection zone
35: Internal groove 36: Spring anchor groove
37: spring 38: dome type locking piece
40: Separated shaft part
41: Fitting groove
50: magnifying glass
51: ring part 52: lens part
53: handle portion 54: resin layer
60: magnet
90: mobile phone
Claims (6)
상기 부착판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등에 접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판부(30)와;
상기 부착판부(20)과 걸림판부(30)의 중심을 연결하여 일정간격 이격시키고, 부착판부와 걸림판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내입할 수 있는 끼움홈(41)이 형성되는 이격축부(40)와;
상기 걸림판부에 결합수단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테두리인 링부(51)와, 상기 링부내측에 배치된 렌즈부(52)와, 상기 링부 하부에 돌출된 손잡이부(53)로 형성된 돋보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걸림판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C형 돌출대(34)와;
상기 돌출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돋보기의 링부가 내입되는 ㄷ자 형태의 내입홈(35)과;
걸림판부 외면 중 돋보기의 렌즈부가 배치되는 중심에서 동일반경 위치에 서로 등각을 갖도록 방사상 3개가 배치되는 스프링안치홈(36)과;
상기 스프링안치홈의 저면에 하단이 부착되는 스프링(37)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저면이 부착되어 상측은 스프링안치홈에서 일부 돌출되어 돋보기 렌즈부를 가압 또는 링부에 걸리거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안치홈으로 내입되는 돔형걸림편(3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An attachment plate portion (20) attached to the rear of the mobile phone;
A locking plate portion 30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attachment plate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caught by contacting the user's fingers, etc.;
The centers of the attachment plate portion 20 and the locking plate portion 30 are connected and spaced apart at a certain interval, and an insertion groove 41 is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attachment plate portion and the locking plate portion to allow the user's finger to be inserted to the outside. A spaced-apart shaft portion (40);
A magnifying glass (50) formed by a ring portion (5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plate by a coupling means and is an edge, a lens portion (52) disposed inside the ring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53)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ing portion. Consisting of ;;
The coupling means is,
a C-shaped protrusion 34 extending axially from the outer edge of the locking plate portion;
a U-shaped inner groove 3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nto which the ring portion of the magnifying glass is inse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three spring resting grooves 36 are arranged radially so as to have equal angles to each other at the same radial position from the center where the lens part of the magnifying glass is disposed;
a spring (37) whose lower end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pring resting groove;
The bottom surface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spring, and the upper side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spring resting groove to press the magnifying lens part or be caught by the ring portion, or a dome-shaped locking piece (38) that is inserted into the spring resting groove by spring elastic force. GripTok for mobile phones equipped with a magnifying gla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1107A KR102585986B1 (en) | 2021-12-16 | 2021-12-16 | Griptok for portable telephone with a magnifying gla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1107A KR102585986B1 (en) | 2021-12-16 | 2021-12-16 | Griptok for portable telephone with a magnifying glas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1718A KR20230091718A (en) | 2023-06-23 |
KR102585986B1 true KR102585986B1 (en) | 2023-10-05 |
Family
ID=8699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1107A KR102585986B1 (en) | 2021-12-16 | 2021-12-16 | Griptok for portable telephone with a magnifying gla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598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7976B1 (en) | 2023-09-22 | 2024-02-19 | (주)오가프린스 | smartphone stan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0982B1 (en) * | 2008-06-03 | 2010-07-20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Slide module for protecting camera lenz of mobile device |
KR101392562B1 (en) * | 2013-04-05 | 2014-05-09 | 최상효 | Portable terminal case with exchangeable module |
KR200490903Y1 (en) * | 2018-08-28 | 2020-01-20 | 남동훈 |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ith mirror |
JP2020088560A (en) * | 2018-11-22 | 2020-06-04 | 株式会社ラックンドック | 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9282U (en) | 2008-03-12 | 2009-09-16 | 최은순 | An accessories having a magnifying glass for handphone line |
-
2021
- 2021-12-16 KR KR1020210181107A patent/KR10258598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0982B1 (en) * | 2008-06-03 | 2010-07-20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Slide module for protecting camera lenz of mobile device |
KR101392562B1 (en) * | 2013-04-05 | 2014-05-09 | 최상효 | Portable terminal case with exchangeable module |
KR200490903Y1 (en) * | 2018-08-28 | 2020-01-20 | 남동훈 |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ith mirror |
JP2020088560A (en) * | 2018-11-22 | 2020-06-04 | 株式会社ラックンドック | 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1718A (en) | 2023-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031428B (en) | Wearable equipment with bluetooth headset | |
US10152028B2 (en) | Wristwatch type smart terminal | |
KR102585986B1 (en) | Griptok for portable telephone with a magnifying glass | |
KR101191867B1 (en) | Case of mobile phone | |
CN107249151B (en) | Bluetooth headset accomodates structure, bluetooth headset and intelligent wrist-watch | |
WO2018086568A1 (en) | Waterproof mechanism, card connector, and metal housing | |
TWI292298B (en) | hinge and lid-lift electrical device using the hinge | |
CN103427224A (en) | Mobile terminal | |
US7586539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module | |
CN107197060B (en) | Suspension device | |
KR20060023303A (en) | Data inputting key for portable apparatus and key array thereof | |
KR101327370B1 (en) | Protecting cover with drawing type supporter for mobile phone | |
KR101371033B1 (en) | Portable terminal | |
JP4340088B2 (en) | Mobile device | |
EP1909469B1 (en) | Battery cov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0187702Y1 (en) | Touch screen type portable phone | |
CN101686623A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CN102237500A (en) | Cover latch structure | |
KR102532654B1 (en)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KR200336833Y1 (en) | A accessories for mobile phone to having a glasses | |
JP3240474U (en) | mobile phone cover | |
JP2005236924A (en) | Collapsible mobile information terminal | |
KR200447071Y1 (en) | Accessory for portable telephone with a magnifying glass | |
CN113726925B (en) | Mobile phone card holder, card support and terminal equipment | |
KR20100040544A (en) | Cover locking device for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