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033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033B1
KR101371033B1 KR1020070074777A KR20070074777A KR101371033B1 KR 101371033 B1 KR101371033 B1 KR 101371033B1 KR 1020070074777 A KR1020070074777 A KR 1020070074777A KR 20070074777 A KR20070074777 A KR 20070074777A KR 101371033 B1 KR101371033 B1 KR 10137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ar set
earset
unit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1327A (en
Inventor
김영중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033B1/en
Priority to DE102007059693.8A priority patent/DE102007059693B4/en
Priority to TW097101977A priority patent/TWI384843B/en
Priority to US12/018,077 priority patent/US8204549B2/en
Priority to JP2008192284A priority patent/JP5149729B2/en
Publication of KR2009001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3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0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셋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셋의 휴대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함과 동시에 보다 편리한 이어셋의 착탈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ear set is detachably mounted, and provides a more convenient detachable structure of the ear set while at the same time relieving user inconvenience caused by carrying the ear se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0001]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어셋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n earset is detachably mounted.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and is realized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It is becoming.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its own personality, and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사용자는 이어셋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쥐지 않고, 이어셋을 착용하는 것에 의하여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In recent year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talk by wearing the earset without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earset.

본 발명은 이어셋을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편리한 이어셋 착탈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ient earset detachable structure while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by detachably mounting the earset to the terminal body.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이어셋 장착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바디와, 이어셋 장착부에 그 일단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되어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거나 단말기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이어셋, 및 이어셋 장착부와 이어셋에 형성되어 이어셋을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을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n earset which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or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by being rotated while the one end is caught in the earset mounting portion is formed, and And a locking unit formed in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and the ear set to lock or unlock the ear set.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어셋 장착부는 이어셋의 일부가 잠기도록 단말기 표면에서 움푹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어셋 장착부의 하단에는 이어셋이 걸리기 위한 이어셋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set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ess i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so that a portion of the earset is locked, the earset engaging groove for catching the earset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earset moun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어셋은 스피커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이어셋 걸림홈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단에는 이어셋 장착부에 록킹되기 위한 록킹홈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 set is provided with a speaker, a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catch for catching the ear set engaging groove, the upper end may be formed a locking groove for locking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록킹유닛은 록킹홈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이어셋 장착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어셋의 진입시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어 벌어졌다가 복귀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un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inner wall of the locking groove,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is movable so as to open and contact the locking projection when entering the ear set is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It may include a hook hook.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록킹유닛은 걸림후크와 단말기 바디 사이에 장착되어 걸림후크가 걸림돌기에 걸리는 방향으로 걸림후크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mounted between the hooking hook and the terminal body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hooking hook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oking hook is engaged with the hook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걸림후크에는 이어셋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걸림돌기와 접촉한 상태로 이동되어 걸림돌기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ook hook to remove the earset may be formed inclined surface to be moved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rojection to release the locking from the locking proj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어셋 장착부와 이어셋 사이에는 이어셋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릴리스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ease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and the ear set for applying a force in a direction of separating the ear se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록킹유닛은 이어셋 장착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어셋의 진입시 상기 이어셋에 접촉되어 이동되었다 복귀되어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볼과, 록킹볼과 단말기 바디 사이에 장착되어 록킹볼이 록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록킹볼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unit is movably installed in the earset mounting portion, the locking ball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earset when entering the earset is returned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between the locking ball and the terminal body Is mounted may include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bal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ball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본 발명은 이어셋의 일단이 이어셋 장착부에 걸림된 상태로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거나 분리되게 함으로써, 간단하고 편리한 착탈 패턴을 제공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적인 장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ne end of the ear set to be mounted or separated on the terminal body in a state of being locked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thereby providing a simple and convenient detachable pattern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a more stable mounting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록킹유닛을 사용자가 이어셋에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이어셋이 록킹되거나 록킹해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편한 착탈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convenient detachable structure to the user as the locking unit is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ear set by the use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ear set.

또한, 본 발명은 이어셋을 이어셋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이어셋의 휴대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arrying of the ear set.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20 that is slidable along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0.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2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the first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dy 20 )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ommunication mod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A casing (a casing, a housing, a cover, etc.)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0 is formed by a front case 11 and a rear case 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또는 제1 조작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 the sound output unit 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or the first operation unit 16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formation input by a user's touch.

상기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상기 제1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The first operation unit 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 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case 21 and the rear case 22 can form the case of the second body 2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10.

제2 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on unit 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21. [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 부(24), 음향 입력부(25),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manipulation unit 24, the sound input unit 25, and the interface 26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21 and the rear case 22.

상기 제1 내지 제3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ors 16, 23, and 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operation unit 16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and scroll,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23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The third operation unit 24 may operate as a hot-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

상기 음향 입력부(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microphon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26 is a path through which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26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a wireless Lan port),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26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ept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27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rear case 22 side. The power supply unit 27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rechargeable battery for charging or the like.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22 of the second body 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see FIG. 1),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 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 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29 and a mirror 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flash 29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mirror unit 30 enable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photograph the user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리어 케이스(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nd the second sound output section 31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rear case 22. [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talking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리어 케이스(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32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ar case 22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The antenna 32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body 20.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33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is disposed on the rear case 12 side of the first body 10. [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33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ont case 21 of the second body 20 and may be in a form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this figure.

이상에서는 제2영상 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or the like has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the second body 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28 to 3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rear case 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0, mainly the rear case 12.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rear case 12 in the closed state is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20.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photography can be taken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제2바디(20)의 후면에는 이어셋 장착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이어셋 장착부(200)에는 이어셋(10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이어셋 장착부(200)가 제2바디(20)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나, 이어셋 장착부(200)는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에 따라 제1바디(10) 및 제2바디(2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body of the second body 20 is provided with an ear set mounting portion 200,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2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ear set 100.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arset mount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20. However, the earset mounting unit 200 may include the first body 10 and the first body 10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It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two body (20).

도 3과 도 4는 도 2의 A-A 라인을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로서,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에 장착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ortable terminal along the line A-A of FIG. 2,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ar set 100 is separat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ear set 100 is mounted on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이어셋(100)은 이어셋 본체부(110) 및 이어셋 본체부(110)에서 전송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20)를 포함한다.The earset 100 includes an earset main body 110 and a speaker 120 for outputting sound transmitted from the earset main body 110.

이어셋(100)의 이어셋 본체부(110)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내부에 장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ear set body 110 of the ear set 100 may include a housing 111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inside the housing 111.

하우징(111)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제2바디(2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신호를 주고 받는다. 제2바디(2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제2바디(20)의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어셋(100)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송할 수 있고, 이어셋(100)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모듈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in the housing 111 exchanges signals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in the second body 20.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in the second body 20 may transmit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20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in the ear set 100, and the ear set 100. A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therein.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일예로서, 블루투스(Bluetooth)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는 무선통신 기기간에 근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 예를 들면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 휴대폰, 헤드셋, 개인 휴대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등의 기기간에 정보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표준이다.As an example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luetooth may be used. Here, Bluetooth is a stand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t low power in a short distance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example, information between devices such as a mobile computer, a mobile phone, a headset,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ersonal computer (PC). A communication standard for the purpose of transmission.

제2바디(2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제1바디(10) 및 제2 디(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부품들의 배치에 따라 제1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inside the second body 20 is mounted inside the first body 1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die 20. May be

스피커부(120)는 이어셋 본체부(110)와 연결되어, 이어셋 본체부(110)의 하우징(111)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서 전송되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스피커부(120)는 출력된 사운드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speaker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earset body unit 110 and outputs a sound transmitted from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in the housing 111 of the earset body unit 110. The speaker unit 12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so that the output sound is delivered to the user.

스피커부(120)는 이어셋 장착부(200)에 삽입될 때 이어셋(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스피커부(120)는 이어셋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피커 바디(121)와, 스피커 바디(12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재(122)를 포함한다. The speaker unit 120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ear set 100 when inserted in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200. The speaker unit 120 includes a speaker body 12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earset main body 110 and a support member 122 movably mounted to the speaker body 121.

스피커 바디(121)는 그 일단이 이어셋 본체부(110)의 일측면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이어셋 본체부(110)와 연결되어 이어셋 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서 송신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장착된다. The speaker body 12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which is extended at a right angle from one side of the earset main body 110, and is connected to the earset main body 110 in the inside of the earset main body 110. A speaker for outpu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therein is mounted.

지지부재(122)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귀에 지지될 수 있는 도넛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바디(121)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된다. The support member 122 is formed in a donut shape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nd supported by the ear, and is mounted to sli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eaker body 121.

상기 이어셋(100)이 장착되는 이어셋 장착부(200)는 배터리 장착부(27)의 상측에 형성되어 이어셋(100)의 이어셋 본체부(110)가 삽입되는 제1장착부(210)와, 스피커부(120)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220)를 포함한다.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on which the ear set 100 is mount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27, and the first mounting unit 210 and the speaker unit 120 into which the ear set main unit 110 of the ear set 100 is inserted. It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220 is mounted.

제1장착부(210)는 이어셋 본체부(110)의 일부가 잠기도록 제2바디(20)의 표 면에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된다. 제2장착부(220)는 제1장착부(210)에 스피커부(120)의 모양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recessed shape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so that a part of the ear set body 110 is locke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peaker unit 120 is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0.

제2장착부(220)에는 이어셋(100)을 이어셋 장착부(200)에서 분리하는 경우, 제2장착부(220)를 덮어주는 커버(310)가 장착될 수 있다.When the ear set 100 is detached from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the cover 310 covering the second mounting unit 220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unit 220.

커버(310)는 제2장착부(220)에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커버(310)와 제2장착부(220) 사이에는 커버(310)에 이어셋(100)의 분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커버 탄성부재(311)가 설치된다.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에 장착되는 경우 커버(310)는 이어셋(10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커버(310)는 커버 탄성부재(311)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어셋(10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장착부(220)를 덮게 된다. 이어셋(100)이 제2바디(20)와 분리되더라도, 제2장착부(220)가 커버(310)에 의하여 덮어지게 되어 미관상 제2장착부(220)가 가려지게 된다.The cover 310 is disposed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 set 100 is separated from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200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and the cover 310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310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 Is provided with a cover elastic member 311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ear set 100. When the ear set 100 is mounted on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the cover 31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ear set 100, and when the ear set 100 is separated from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the cover 310 is a cov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11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 set 100 is separated to cover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Even if the ear set 10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20,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is covered by the cover 310, so that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may be covered.

제1장착부(210)와 이어셋 본체부(110)에는 이어셋(100)을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400)이 장착된다. 이하 록킹 유닛(400)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The locking unit 400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ear set 100 is mounted to the first mounting unit 210 and the ear set body 110.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 내지 도 7은 록킹 유닛(400)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은 그 역순으로 진행된다.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400. 5 to 7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the ear set 100 is mounted on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and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ear set 100 from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에 관련된 이어셋(100)은 이어셋 장착부(200)에 그 일단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되어 이어셋 장착부(200)에 장착되거나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분리된다. 제1장착부(210)의 하단에는 이어셋(100)이 걸리기 위한 이어셋 걸림홈(230)이 형성되고, 이어셋 본체부(110)의 하단에는 이어셋 걸림홈(230)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130)가 형성된다. 이어셋 본체부(110)의 상단에는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에 록킹되기 위한 록킹홈(140)이 형성된다.The ears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earset mounting unit 200 is locked, and is mounted on the earset mounting unit 200 or separated from the earset mounting unit 200.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0, an earset locking groove 230 for hooking the ear set 100 is formed, and a locking portion 130 for hooking on the earset locking slot 23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arset body 110. Is formed. A locking groove 140 for locking the ear set 100 to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ear set main unit 110.

록킹 유닛(400)은 이어셋(100)을 이어셋 장착부(200)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록킹홈(140)의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10)와 이어셋 장착부(2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후크(420)를 포함한다.The locking unit 400 i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ear set 100 to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and is movable to the locking protrusion 410 and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locking groove 140. It includes a hook hook 420 is installed.

걸림돌기(410)는 이어셋 본체부(110)에 형성된 록킹홈(140)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어셋(100)의 장착시 록킹홈(140)의 내부에 걸림후크(420)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The locking protrusion 4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locking groove 140 formed in the earset main body 110, and the locking hook 4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40 when the earset 100 is mounted. I get caught.

걸림후크(420)는 이어셋(100)의 진입시 걸림돌기(410)에 접촉되어 벌어졌다가 복귀되어 걸림돌기(410)에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The catching hook 420 is formed to be caught and contacted with the catching protrusion 410 when the ear set 100 enters, to be caught by the catching protrusion 410.

제2바디(20)의 내부에는 걸림후크(4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430)이 형성될 수 있고, 걸림후크(420)는 가이드 홈(430)에 삽입되어 제2바디(20)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걸림후크(420)는 걸림돌기(410)에 걸림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421)와, 고정부(42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가이드홈(430)을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부(422)를 포함한다.A guide groove 43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2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hook hook 420, and the hook hook 42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30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20. Can be moved in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k hook 420 is fixed to the locking protrusion 410 and fixed to the locking portion 421 and a movemen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ortion 421 to move the guide groove 430. A portion 422 is included.

고정부(421)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고,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때 록킹홈(140)의 걸림돌기(410)와 접촉하여 걸림후크(4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경사면(423, 424, 도 6 참조)을 갖는다.The fixing part 421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the hook hook 420 may move by contacting the locking protrusion 410 of the locking groove 140 when the ear set 100 is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ear set mounting part 200. First and second slopes 423, 424 (see FIG. 6).

이동부(422)는 고정부(421)의 일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이어셋(100)이 장착되거나 분리될 때 걸림돌기(410)에 의해 고정부(421)에 힘이 가해지면, 이에 따라 가이드 홈(430)의 내부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The moving part 422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art 421, an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art 421 by the locking protrusion 410 when the ear set 100 is mounted or detached, the guide accordingly. It is configured to move inside the groove 430.

걸림후크(420)의 이동부(421)와 가이드 홈(430) 사이에는 걸림후크(420)가 걸림돌기(410)에 걸리는 방향으로 걸림후크(4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40)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410)가 가하는 힘에 의해 걸림후크(420)가 이동되더라도, 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후크(420)가 복원되게 된다.A spring 440 is provided between the moving part 421 of the hook hook 420 and the guide groove 430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hook hook 4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ok hook 420 is caught by the hook protrusion 410. Can be. Accordingly, even when the hook hook 420 is moved by the force applied by the hook protrusion 410, the hook hook 420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40.

록킹유닛(400)이 이어셋(100)을 이어셋 장착부(200)에 록킹시키는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도 5와 같이 이어셋(10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130)가 제1장착부(210)의 걸림홈(230)에 걸림되어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에 진입하게 된다.When the locking unit 400 describes the operation of locking the ear set 100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200, the locking portion 130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ear set 100 as shown in Figure 5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0 Being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30, the ear set 100 enters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200.

도 6과 같이,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에 근접하게 진입하면, 록킹홈(140)의 걸림돌기(410)가 걸림후크(420)의 고정부(421)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이어셋(100)의 진입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걸림돌기(410)가 걸림후크(42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걸림돌기(410)의 진입방향을 제1방향(①)이라고 하고, 제1방향(①)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②)이라고 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ear set 100 enters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in close proximity, the locking protrusion 410 of the locking groove 1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unit 421 of the locking hook 420. At this time,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in the entry direction of the ear set 100, the locking projection 410 applies a force to the locking hook 420. Here,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41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①, and the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①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②.

걸림돌기(420)의 고정부(421)에는 제1경사면(423)이 형성되고, 걸림후크(420)는 걸림돌기(410)가 걸림후크(420)에 힘을 가함에 따라 제1경사면(423)에 의해 제2방향(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423 is formed on the fixing portion 421 of the locking protrusion 420, and the locking hook 420 has the first slope 423 as the locking protrusion 410 applies a force to the locking hook 420. It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②) by).

고정부(421)에는 제1경사면(423)에서 연장되어 제1경사면(423)과 반대되는 경사를 가지는 제2경사면(424)이 형성된다. 도 7과 같이, 걸림돌기(410)가 제1경사면(423)을 지나 제2경사면(424)에 이르게 되면, 걸림후크(420)는 제2방향(②)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440)은 걸림후크(420)에 제2방향(②)과 반대방향을 갖는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fixing part 421 is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424 extending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3 and having a slope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3. As shown in FIG. 7, when the locking protrusion 410 reaches the second slope 424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lope 423, the locking hook 420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②. In this case, the spring 440 provides the hook hook 420 with an elastic force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②).

걸림후크(420)가 제2방향(②)으로 이동한 후 다시 복귀하여 걸림돌기(410)가 맞물리게 되면, 도 3의 상태와 같이 이어셋(100)은 이어셋 장착부(200)에 장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440)이 걸림후크(420)에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이어셋(100)에 일정이상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이어셋(100)은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When the locking hook 42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②) and then returns again, and the locking protrusion 410 is engaged, the ear set 100 is mounted and fixed to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as shown in FIG. 3. . In this case, the ear set 100 is not separated from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200 unless a force is applied to the ear set 100 by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hook hook 420 by the spring 440.

다음으로 이어셋(100)이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한다.Next,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ear set 100 from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이어셋(10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어셋(100)에 힘을 가하면 이에 따라, 걸림돌기(410)가 걸림후크(42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이어셋 장착부(200)의 제1장착부(210)와 이어셋(100) 사이에는 이어셋(100)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릴리스 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릴리스 홈(150)은 제1장착부(2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사용자는 릴리스 홈(150)에 손가락을 걸어 제1방향(①)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이어셋(1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applies the force to the ear set 1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ar set 100 is separated, the locking protrusion 410 applies a force to the locking hook 420. Here, a release groove 15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0 of the earset mounting portion 200 and the earset 100 to apply a force in a direction of separating the earset 100. The release groove 150 is formed at the top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0, and the user puts a finger on the release groove 150 to apply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①) to separate the ear set 100. Can be.

도 7과 같이, 걸림후크(420)의 고정부(421)에 형성된 제2경사면(424)에 의해 걸림후크(420)는 걸림돌기(410)와 접촉한 상태로 제2방향(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걸림후크(420)의 이동을 위해서는 스프링(440)이 걸림후크(420)에 가하는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을 걸림돌기(410)가 걸림후크(420)에 가해 주어야 한다.As shown in FIG. 7, the hooking hook 42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②)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rotrusion 410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formed on the fixing part 421 of the hooking hook 420. Done. In this case, in order to move the hook hook 420, the locking protrusion 410 must apply a force exceeding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spring 440 to the hook hook 420 to the hook hook 420.

도 6 및 도 5와 같이, 걸림돌기(410)가 제2경사면(걸림후크(420)에)을 지나 제1경사면(424)에 이르게 되면 이어셋(100)을 구속하는 힘이 제거되므로 이어셋(100)은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6 and 5, when the locking protrusion 410 reaches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4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n the hook hook 420), the force restraining the earset 100 is removed, thereby the earset 100. ) Is separated from the earset mounting portion 200.

본 발명에 관련된 착탈 가능한 이어셋(100)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이어셋(100)에 제1방향(①)으로 힘을 가하여 이어셋(100)을 이어셋 장착부(200)에 장착시키거나, 이어셋(100)에 제1방향(①)과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여 이어셋(100)을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분리시키는 착탈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착탈구조를 통하여,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는 등의 별도의 동작 없이 보다 편리하게 이어셋(100)을 제2바디(200)에 장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detachable ear s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pplies a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①) to the ear set 100 throug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200. Mounting, or by applying a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ar set 100 in the first direction (①) provides a detachable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ear set 100 from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200). Through such a detachable structure,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attach or detach the ear set 100 to the second body 200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such as pressing a butt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로서, 록킹 유닛(5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ing unit 500.

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은 록킹유닛(500)을 제외하고 앞선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except for the locking unit 500.

본 실시예에 관련된 록킹유닛(500)은 이어셋 장착부(2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볼(510)과, 록킹볼(510)과 제2바디(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록킹볼(510)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셋(100)이 접근하는 방향 을 제3방향(③)이라고 하고, 제3방향(③)과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방향을 제4방향(④)이라고 한다.The lock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ball 510 and the locking ball 510 and the second body 20 that are movably installed in the earset mounting unit 200. It includes a spring 520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 set 100 approaches is called a third direction ③, and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hird direction ③ is called a fourth direction ④.

제2바디(20)의 내부에는 록킹볼(5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511)이 형성되고, 록킹볼(510)은 가이드 홈(51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홈(511)에 삽입된다. 가이드 홈(511)과 록킹볼(510) 사이에는 록킹볼(510)에 제4방향(④)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록킹볼(510)을 지지하는 스프링(520)이 장착될 수 있다.A guide groove 511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2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ocking ball 510, and the locking ball 510 is movable in the guide groove 511. Is inserted into A spring 520 for supporting the locking ball 510 may be mounted between the guide groove 511 and the locking ball 510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ball 5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urth direction ④. have.

본 실시예의 록킹홈(160)은 이어셋 본체부(110)의 상측면에 록킹볼(510)에 대응하는 원형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록킹볼(510)은 록킹홈(150)에 삽입됨으로써 이어셋(100)을 이어셋 장착부(200)에 고정시킨다.The locking groove 1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ball 510 on the upper side of the ear set main body 110, the locking ball 51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50 The ear set 100 is fixed to the ear set mounting part 200.

본 실시예에 의한 록킹유닛(5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이어셋(100)이 제3방향(③)으로 접근하면 이어셋 본체부(110)의 상측면과 록킹볼(510)이 접촉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이어셋(100)에 스프링(520)이 록킹볼(510)에 가하는 탄성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게 되면, 록킹볼(510)이 이어셋(100)의 상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제4방향(④)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셋(100)이 제3방향(③)으로 계속 진입됨에 따라 록킹볼(510)이 이어셋(100)의 상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록킹홈(160)에 이르게 되면, 록킹볼(510)은 제4방향(④)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복귀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ar set 100 approaches in the third direction (③), the upper surface of the ear set main body 110 and the locking ball 510 is in contact. . When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spring 520 to the locking ball 510 is applied to the ear set 100 by the user, the locking ball 5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ar set 100 in the fourth direction ( ④). When the locking ball 510 reaches the locking groove 160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ball 5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ar set 100 as the ear set 100 continues to enter in the third direction ③, the locking ball 510 is removed. It returns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our directions (④).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20)의 탄성력에 의해 이어셋(100)은 이어셋 장착부(200)에 체결된 상태가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ear set 100 is fastened to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20.

이어셋(100)을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이어셋(100)에 제3방향(③)과 반대 방향을 가지는 힘이 가해지면 이어셋(100)의 상측면은 록킹볼(510)에 제4방향(④)으로의 힘을 가하게 된다. 스프링(520)이 갖는 탄성력 이상의 힘이 록킹볼(510)에 가해지면 록킹볼(510)은 제4방향(④)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셋(100)과 록킹볼(510)의 접촉이 해제되면 이어셋(100)은 이어셋 장착부(20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When the ear set 100 is separated from the ear set mounting part 200, when a force havi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③ is applied to the ear set 100,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ear set 100 is formed on the locking ball 510. The force is applied in four directions (④). When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20 is applied to the locking ball 510, the locking ball 510 moves in the fourth direction ④, and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ear set 100 and the locking ball 510 is released. The ear set 100 is separated from the ear set mounting unit 200.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이어셋이 이어셋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A 라인을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long the line A-A of FIG. 2 for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ear set is mounted on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도 4는 이어셋이 이어셋 장착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A 라인을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long the line A-A of FIG. 2 for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ear set is separated from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록킹 유닛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록킹 유닛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리세스 되는 이어셋 장착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바디;A terminal body having an earset mounting portion recess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상기 이어셋 장착부에 그 일단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거나 상기 단말기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이어셋; 및An earset that is rotated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earset mounting unit is locked and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or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And 상기 이어셋 장착부와 상기 이어셋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셋을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며,A locking unit formed in the earset mounting unit and the earset to lock or unlock the earset, 상기 이어셋은,The ear- 일면에 형성되는 록킹홈을 포함하는 이어셋 본체부; Earset body portion including a lock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상기 록킹홈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wall of the locking groove; And 상기 이어셋 본체부로부터 상기 이어셋 장착부를 향해 돌출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speaker protruding from the ear set body portion toward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상기 록킹유닛은, The locking unit includes: 상기 록킹홈에 인입 및 인출되는 걸림후크; 및A hook hook for drawing in and out of the locking groove; And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hoo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king projection, 상기 걸림후크의 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접하여 상대이동하고 상기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접하여 상대이동하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ok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nd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in the other surfac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셋 장착부는 이어셋의 일부가 잠기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의 표면에서 움푹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되고,The ear set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recessed i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a portion of the ear set is locked, 상기 이어셋 장착부의 하단에는 상기 이어셋이 걸리기 위한 이어셋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lower end of the earset mounting portion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set engaging groove is formed for the earset to be caught. 제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어셋은 스피커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이어셋 걸림홈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이어셋 장착부에 록킹되기 위한 록킹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ear set is provided with a speaker, a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for catching the ear set engaging groove, the upper end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for locking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is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셋 장착부와 상기 이어셋 사이에는 상기 이어셋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릴리스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earset mounting portion and the earset release groove for applying a force in the direction of separating the earset is formed.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이어셋 장착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되고,The ear set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상기 릴리스 홈은 상기 이어셋 장착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release groove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top of the earset mount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cking unit, 상기 이어셋 장착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어셋의 진입시 상기 이어셋에 접촉되어 이동되었다 복귀되어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볼; 및A locking ball movably installed in the ear set mounting unit, the locking ball being moved in contact with the ear set when the ear set enters and returned to the locking groove; And 상기 록킹볼과 상기 단말기 바디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록킹볼이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볼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pring mounted between the locking ball and the terminal body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bal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ball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KR1020070074777A 2007-06-13 2007-07-25 Portable terminal KR1013710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77A KR101371033B1 (en) 2007-07-25 2007-07-25 Portable terminal
DE102007059693.8A DE102007059693B4 (en) 2007-06-13 2007-12-12 Portable terminal
TW097101977A TWI384843B (en) 2007-06-13 2008-01-18 Portable terminal
US12/018,077 US8204549B2 (en) 2007-06-13 2008-01-22 Portable terminal
JP2008192284A JP5149729B2 (en) 2007-07-25 2008-07-25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77A KR101371033B1 (en) 2007-07-25 2007-07-25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27A KR20090011327A (en) 2009-02-02
KR101371033B1 true KR101371033B1 (en) 2014-03-10

Family

ID=4040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777A KR101371033B1 (en) 2007-06-13 2007-07-25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49729B2 (en)
KR (1) KR1013710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12778A (en) * 2009-09-22 2011-04-01 Giga Byte Tech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517225B1 (en) 2016-08-04 202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 treating appratus
KR102215153B1 (en) * 2019-08-05 2021-02-10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A card payment terminal having replaceable ic card socket
CN112449273B (en) * 2019-12-05 2023-10-24 惠州市合升科技有限公司 Sound equipment for teaching learning
JP7432107B2 (en) 2020-02-07 2024-02-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information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591A (en)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mount/demount type subhousing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20060019109A (en) * 2004-08-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ellular phone having a wireless ear-set uni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995B2 (en) * 1987-10-15 1997-01-16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Telephone equipment
JPH05316583A (en) * 1991-04-05 1993-11-26 Pilot Corp:The External auditory insertion type ear piece
JPH0518146U (en) * 1991-08-15 1993-03-05 ソニー株式会社 Car phone
JP2574598B2 (en) * 1992-06-22 1997-0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Fixing device for mobile phones
JPH0870342A (en) * 1994-08-26 1996-03-12 Kokusai Electric Co Ltd On-vehicle adapter
JPH1155376A (en) * 1997-07-31 1999-02-26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Telephone set holder
JP2004080344A (en) * 2002-08-16 2004-03-1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ing unit
US7603148B2 (en) * 2003-12-16 2009-10-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grated wireless headset
TWM256036U (en) * 2004-03-22 2005-01-21 Global Target Entpr Inc Adjustable bluetooth wireless earphone
WO2007061213A1 (en) * 2005-11-28 2007-05-31 Wise&Blue Co., Ltd. Wireless head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591A (en)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mount/demount type subhousing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20060019109A (en) * 2004-08-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ellular phone having a wireless ear-se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33748A (en) 2009-02-12
KR20090011327A (en) 2009-02-02
JP5149729B2 (en)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80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KR101356167B1 (en) Portable terminal
US8204549B2 (en) Portable terminal
US9083104B2 (en) Mobile terminal
KR20120031830A (en) Portable terminal
KR10137103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371032B1 (en) Portable terminal
KR10098372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3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37661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38647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6B1 (en)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KR101970525B1 (en) Mobile terminal
KR20090017908A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1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5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7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2727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3190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76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8713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6026B1 (en) Portable terminal
KR20070113026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20087731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