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722B1 -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722B1
KR102585722B1 KR1020220055426A KR20220055426A KR102585722B1 KR 102585722 B1 KR102585722 B1 KR 102585722B1 KR 1020220055426 A KR1020220055426 A KR 1020220055426A KR 20220055426 A KR20220055426 A KR 20220055426A KR 102585722 B1 KR102585722 B1 KR 10258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harging
voltage
discharging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엔씨 filed Critical (주)케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05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충방전 모듈,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상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증폭 모듈 및 상기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충방전 모듈이 이상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방전 모듈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 장치{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 시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충방전 모듈의 이상 동작을 확인하기 용이한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생 에너지원, 특히, 태양광 발전이나 풍력 발전에 기초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함에 있어서,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활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그 발생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점점 요구하는 쪽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로 알려진 리튬 이온 배터리는 충전 사이클의 수가 높으며 긴 수명 및 높은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설계에 따라 그 용량의 30%까지 방전된다. 즉, 그 임계치인 30% 이하로 배터리를 방전하게 되면 리튬 이온 배터리는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파손되기 때문에, 배터리에 저장된 고유 에너지 30%는 사용자에게 활용되지 못한다. 배터리가 이 임계치 이하로 방전되면, 이온들은 전극 재료(구리, A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극이 파괴될 수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 등 배터리를 생산하여 출고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Aging, 화성공정(Formation), OCV(Open Circuit Voltage) 검사, IR(내부저항) 검사, Grading 등이 있다.
이들 공정 중 화성공정(Formation)은 생산된 O 볼트(Volt)의 배터리를 셀 전압 4.2 V로 충전하고 다시 2.7 V로 방전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최종 3.7 V로 출하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특성 및 품질이 이 공정에서 결정되므로, 화성공정(Formation)은 배터리의 품질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하지만, 화성공정 시, 리튬 이온 배터리는 용량의 80%까지만 충전되는데, 그 이유는, 충전 종단 전압(end-of-charge voltage)에 도달할 때 정상적으로 전류는 제한을 받으며, 그래서, 용량의 나머지 20%는 더 적은 암페어에서 충전되어 시간적인 관점에서 더 적은 에너지가 전지로 저장 또는 쌓이게 되므로, 전지가 100 %까지 충전되려면, 기하 급수적으로 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최근 들어, 화성 공정 시 고(high) 전류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여 배터리의 특성 및 품질을 높이는 추세이며, 충전 및 방전 시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 시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충방전 모듈의 이상 동작을 확인하기 용이한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는, 이차전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충방전 모듈,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상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증폭 모듈 및 상기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충방전 모듈이 이상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방전 모듈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증폭 모듈은, 상기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션트 저항, 상기 션트 저항의 양단에 흐르는 양단 전류를 제1 배수로 증폭한 제1 전류전압을 출력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1 전류전압 및 그라운드 전압을 제2 배수로 증폭한 제2 전류전압을 출력하는 제2 증폭기, 상기 제2 증폭기와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1 전류전압 및 상기 그라운드 전압을 제3 배수로 증폭한 제3 전류전압을 출력하는 제3 증폭기 및 상기 제2, 3 전류전압 중 설정된 전류 범위에 속하는 직류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직류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먹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이차전지의 캐소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증폭기는, 상기 양단 전류에 대응하는 양단 전압을 상기 제1 배수로 차동 증폭하거나, 또는 상기 양단 전압 사이의 전압차를 상기 제1 배수로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제2, 3 증폭기 각각은, 상기 제1 전류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그라운드와 연결된 비반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전류값이 상기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면 상기 충방전 모듈이 정상 동작으로 확인하고, 상기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충방전 모듈이 이상 동작으로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충방전 모듈이 이상 동작으로 확인하면,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이 차단되게 상기 충방전 모듈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기와 상기 제2, 3 증폭기 사이에 연결된 아날로그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버퍼는, 상기 제1 전류전압을 그대로 상기 제2, 3 증폭기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는 충전 및 방전 시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신호를 다단 증폭하도록 함으로써, 전류 신호의 증폭시 노이즈의 증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화성 공정(Formation)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충방전 모듈에서 출력되는 충전 펄스들 및 방전 펄스들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충전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방전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전류 증폭 모듈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전류 증폭 모듈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화성 공정(Formation)을 나타낸 도이다.
도 1(a)는 리튬 이차 전지가 제조된 후 전기적인 특성을 지니지 않은 상태이며, 도 1(b)는 화성 공정(Formation)이며, 리튬 이차 전지에 전기적인 특성을 갖도록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층의 형성을 시작하는 상태이며, 도 1(c)는 화성 공정이 완료된 후 전기적인 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리튬 이차 전지의 전기 용량, 성능 및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즉, 도 1(b)는 리튬 이차 전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캐소드 및 애노드로 충전 펄스들 및 방전 펄스들을 서로 번갈아 공급하여 애노드 측에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차후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시 애노드에서 리튬 이온(Li+)과 다른 물질이 반응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일종의 이온 터널기능을 수행하며, 리튬 이온(Li+) 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즉,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화성 공정(Formation), 즉 리튬 이차 전지의 최초 충전 공정으로 방전 상태의 셀을 활성화시키는 공정에서 생성할 수 있다.
먼저,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시, 리튬 이차 전지로 충전 펄스가 공급되는 경우, 리튬 이온(Li+)는 리튬 이차 전지의 캐소드에서 애노드로 넘어가고, 음극 전해액 내의 첨가물과 반응을 일으켜 애노드 계면의 앞쪽에 얇은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층(SEI)은 전지의 이온 이동량이 많아질때 형성되는 부도체이며, 일단 형성이 되면 차후 전지 충전시 애노드에서 리튬 이온(Li+)과 다른 물질이 반응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 및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충방전 모듈에서 출력되는 충전 펄스들 및 방전 펄스들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100)는 입력 모듈(110), 충방전 모듈(120), 전류 증폭 모듈(130) 및 제어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충전 장치(100)는 이차전지,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화성 공정(Formaition)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입력 모듈(110)는 전기적 특징이 없는 이차전지의 정격 용량 정보 및 상기 이차전지의 활성화 시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차전지의 정격 용량 정보는 상기 이차전지의 최대 충전 용량 및 정격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활성화 시작 명령은 상기 이차전지의 최초 충방전을 시작하는 명령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력 모듈(110)은 상기 이차전지의 방전 상태에서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층의 형성을 시작하는 상기 활성화 시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충방전 모듈(120)은 제어 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지그(Jig)에 접촉 결합된 상기 이차전지로 충전을 위한 충전 펄스들(cp) 및 방전을 위한 방전 펄스들(dp)을 공급할 수 있다.
충방전 모듈(120)은 충전부(122) 및 방전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충방전 모듈(120)는 충전부(122) 및 방전부(126)의 개수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먼저, 충전부(122)는 제어 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충전 펄스들(cp)을 상기 이차전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방전부(126)는 제어 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방전 펄스들(dp)을 상기 이차전지로 공급할 수 있다.
충전부(122) 및 방전부(126)는 도 4, 5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류 증폭 모듈(130)은 상기 이차전지의 캐소드에 연결되어,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시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류 증폭 모듈(130)에 대한 자세한 동작은 도 6 및 도 7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모듈(140)은 상기 정력 용량 정보에 따라 충전 펄스들(cp)의 충전 전류(Ic) 및 방전 펄스들(dp)의 방전 전류(Id)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활성화 시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 모듈(140)은 활성화 시작 시점(TP)부터 상기 이차전지로 고전류의 충전 펄스들(cp) 및 방전 펄스들(dp)을 서로 번갈아 공급되게 충방전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40)은 상기 정격 전류를 기반으로 충전 전류(I1) 및 방전 전류(I2)를 설정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충전 전류(I1)는 상기 정격 전류 대비 1배 내지 3배일 수 있으며, 상기 정격 전류 대비 1배 미만인 경우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시간이 길어지며, 상기 정격 전류 대비 3배 보다 큰 경우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시간이 짧아질 수 있으나 과 충전으로 인한 염 반응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류(I2)는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2배 내지 0.5배일 수 있음,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2배 미만인 경우 상기 이차전지의 방전 시간이 길어지며,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5배 보다 큰 경우 상기 이차전지의 방전 시간이 짧아질 수 있으나 과 장전으로 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40)은 충전 전류(I1)에 따라 충전 유지 시간(ct)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격 전류 대비 3배인 경우, 충전 전류(I1)의 충전 유지 시간(ct)은 충전 전류(I1)가 상기 정격 전류 대비 1배인 경우보다 긴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충전 전류(I1)의 충전 유지 시간(ct)는 20 ms 내지 100 ms일 수 있으며, 20ms 보다 빠른 경우 충전 전류(I1)가 상기 정격 전류 대비 3배보다 크게 되어 과 충전이 될 수 있으며, 100 ms 보다 긴 경우 충전 전류(I1)가 상기 정격 전류 대비 1배 미만이므로 충전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방전 전류(I2)에 따라 방전 유지 시간(dt)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5배인 경우, 방전 전류(I2)의 방전 유지 시간(dt)은 방전 전류(I2)가 상기 정격 전류 대비 0.2배인 경우보다 짧은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방전 전류(I2)의 방전 유지 시간(dt)는 5ms 내지 30ms일 수 있으며, 5ms 보다 빠른 경우 방전 전류(I2)에 의한 방전 효과가 낮아지며, 30 ms 보다 긴 경우 방전 전류(I2)의 방전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충전 펄스들(cp)의 충전 유지 시간(ct)은 방전 펄스들(dp)의 방전 유지 시간(dt) 대비 1.5배 내지 5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방전 펄스들(dp) 각각의 방전량은 충전 펄스들(cp) 각각의 충전량 대비 0.04배 내지 0.16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량 및 상기 방전량은 전류 및 유지 시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이차전지의 정격 용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와 같이, 충전 장치(100)는 전기적 특성을 갖지 않은 상기 이차전지로 충전 펄스들(cp) 및 방전 펄스들(dp)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차전지 내에 고체 전해질 중간물질(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층의 형성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40)은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위해 제1, 2 제어 신호 전압(SC1, SC2)를 충전부(122) 및 방전부(126)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충전부(122) 및 방전부(126)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동작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외부로 결과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충전부(122) 및 방전부(126)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 중, 제어 모듈(140)은 전류 증폭 모듈(130)에서 입력된 상기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충전부(122) 및 방전부(126) 중 어느 하나가 이상 동작 중인 것으로 확인 또는 판단하여, 충전부(122) 및 방전부(126)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40)은 판단부(142), 확인부(144) 및 동작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42)는 상기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전류값이 상기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확인부(144)는 상기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면 상기 충방전 모듈이 정상 동작으로 확인하고, 상기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충방전 모듈이 이상 동작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동작부(146)는 충방전 모듈이 이상 동작, 즉 충전부(122) 및 방전부(126) 중 어느 하나가 이상 동작으로 확인하면,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이 차단되게 상기 충방전 모듈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충전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부(122)는 제1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1), 제1 반전 증폭부(INOP2) 및 제1 스위치(FET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1)는 제어 모듈(140)로부터 입력된 제1 제어 신호 전압(SC1) 및 상기 제1 자기보상 전압 사이의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제1 턴온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1)는 제1 스위치(FET1)의 게이트 및 소오스 사이 전압(Vgs)이 초기 설정된 상기 제1 턴온 전압까지 상승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자기보상 전압으로 전압 위상을 높일 수 있다.
제1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1)는 제1 제어 신호 전압(SC1)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및 제1 반전 증폭부(INOP2)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자기보상 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1)는 상기 제1 턴온 전압을 제1 스위치(FET1)으로 공급하여, 제1 스위치(FET1)를 턴온시킬 수 있다.
제1 반전 증폭부(INOP2)는 제1 반전 증폭기(OP1) 및 제1 적분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반전 증폭기(OP1)는 이전 충전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충전 전압이 입력되는 반전단자 및 그라운드 전압이 입력되는 비반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충전 전압 및 상기 그라운드 전압을 반전 증폭한 제1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분기는 제1 저항(R1) 및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저항(R1)은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제1 자기보상 전압으로 낮출수 있으며, 제1 커패시터(C1)는 상기 제1 자기보상 전압을 충전할 수 있다.
즉, 제1 커패시터(C1)는 제1 스위치(FET1)에서 출력되는 충전 펄스(cp)의 전위가 낮아질때 상기 제1 자기보상 전압을 제1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위치(FET1)는 상기 제1 턴온 전압이 입력되는 게이트, 충전펄스를 공급하는 전원부(Vcc)와 연결된 드레인 및 상기 이차전지로 상기 충전펄스를 공급하는 소오스를 포함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여기서, 충전부(122)의 동작을 살펴보면, 충전부(122)의 제1 스위치(FET1)가 턴온에서 턴오프로 전환되는 경우에 대해 제1 자기보상 전압(Vch)이 충전될 수 있다.
이차전지로 충전 펄스(cp)의 공급 중 제1 스위치(FET1)가 턴오프되면, 제1 반전 증폭기(OP1)의 반전 단자는 충전 펄스(cp)에 대응하는 제1 충전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전 증폭기(OP1)의 비반전 단자는 그라운드 전압이 공급되며, 결과적으로 제1 반전 증폭기(OP1)는 상기 제1 충전 전압 및 상기 그라운드 전압을 비반전 증폭한 제1 전압(Vop)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저항(R1)은 제1 전압(Vop)을 제1 자기보상 전압(Vch)로 낮추고, 제1 커패시터(C1)는 제1 자기보상 전압(Vch)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122)의 제1 스위치(FET1)가 턴오프에서 턴온으로 전환되는 경우에 대해 제1 자기보상 전압(Vch) 및 제1 제어 신호 전압(SC1)의 전압 차에 대한 제1 턴온 전압(ON)을 생성하여 제1 스위치(FET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치(FET1)의 턴오프 상태에서 제1 제어 신호 전압(SC1)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1)는 제1 커패시터(C1)에서 공급되는 제1 자기보상 전압(Vch) 및 제1 제어 신호 전압(SC1) 사이의 전압 차를 증폭하여 제1 턴온 전압(ON)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스위치(FET1)는 제1 턴온 전압(ON)에 따라 턴오프에서 턴온 상태로 전환되고, 전원부(Vcc)에 대한 충전 펄스(cp)를 이차전지로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방전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전부(126)는 제2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3), 제2 반전 증폭부(INOP4) 및 제2 스위치(FET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2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3)는 제어 모듈(140)로부터 입력된 제2 제어 신호 전압(SC2) 및 상기 제2 자기보상 전압 사이의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제2 턴온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3)는 제2 스위치(FET1)의 게이트 및 소오스 사이 전압(Vgs)이 초기 설정된 상기 제2 턴온 전압까지 상승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자기보상 전압으로 전압 위상을 높일 수 있다.
제2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3)는 제2 제어 신호 전압(SC2)이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및 제2 반전 증폭부(INOP4)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자기보상 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3)는 상기 제2 턴온 전압을 제2 스위치(FET2)으로 공급하여, 제2 스위치(FET2)를 턴온시킬 수 있다.
제2 반전 증폭부(INOP4)는 제2 반전 증폭기(OP2) 및 제2 적분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2 반전 증폭기(OP2)는 이전 충전펄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충전 전압이 입력되는 반전단자 및 그라운드 전압이 입력되는 비반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충전 전압 및 상기 그라운드 전압을 반전 증폭한 제2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적분기는 제2 저항(R2)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2 저항(R2)은 상기 제2 전압을 상기 제2 자기보상 전압으로 낮출수 있으며, 제2 커패시터(C2)는 상기 제2 자기보상 전압을 충전할 수 있다.
즉, 제2 커패시터(C2)는 제2 스위치(FET2)에서 출력되는 방전 펄스(dp)의 전위가 낮아질때 상기 제2 자기보상 전압을 제2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3)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치(FET2)는 상기 제2 턴온 전압이 입력되는 게이트, 방전펄스(dp)를 공급하는 전원부(Vdd)와 연결된 드레인 및 상기 이차전지로 방전펄스(dp)를 공급하는 소오스를 포함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여기서,방전부(126)의 제2 스위치(FET2)가 턴온에서 턴오프로 전환되는 경우에 대해 제2 자기보상 전압(Vch)이 충전될 수 있다.
이차전지로 방전 펄스(dp)의 공급 중 제2 스위치(FET2)가 턴오프되면, 제2 반전 증폭기(OP2)의 반전 단자는 방전 펄스(dp)에 대응하는 제2 충전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2 반전 증폭기(OP2)의 비반전 단자는 그라운드 전압이 공급되며, 결과적으로 제2 반전 증폭기(OP2)는 상기 제2 충전 전압 및 상기 그라운드 전압을 비반전 증폭한 제2 전압(Vop)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저항(R2)은 제2 전압(Vop)을 제2 자기보상 전압(Vch)로 낮추고, 제2 커패시터(C2)는 제2 자기보상 전압(Vch)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방전부(126)의 제2 스위치(FET2)가 턴오프에서 턴온으로 전환되는 경우에 대해 제2 자기보상 전압(Vch) 및 제2 제어 신호 전압(SC2)의 전압 차에 대한 제2 턴온 전압(ON)을 생성하여 제2 스위치(FET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FET2)의 턴오프 상태에서 제2 제어 신호 전압(SC2)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인스트루먼테이션 증폭기(INOP3)는 제2 커패시터(C2)에서 공급되는 제2 자기보상 전압(Vch) 및 제2 제어 신호 전압(SC2) 사이의 전압 차를 증폭하여 제2 턴온 전압(ON)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2 스위치(FET2)는 제2 턴온 전압(ON)에 따라 턴오프에서 턴온 상태로 전환되고, 전원부(Vdd)에 대한 방전 펄스(dp)를 이차전지로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전류 증폭 모듈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류 증폭 모듈(130)은 션트 저항(SR), 제1 내지 제3 증폭기(AP1 내지 AP3) 및 먹스(MUX)를 포함할 수 있다.
션트 저항(SR)은 이차전지의 캐소드, 즉 마이너스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션트 저항(SR)은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 시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증폭기(AP1)는 션트 저항(SR)의 양단에 흐르는 양단 전류를 제1 배수로 증폭한 제1 전류전압(V1)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증폭기(AP1)는 상기 양단 전류에 대응하는 양단 전압을 상기 제1 배수로 차동 증폭하거나, 또는 상기 양단 전압 사이의 전압차를 상기 제1 배수로 증폭할 수 있다.
제1 증폭기(AP1)은 차동 증폭기 또는 계측 증폭기일 수 있으며, 연산 증폭기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증폭기(AP1)의 비반전 단자에는 이차전지의 캐소드와 션트저항(SR)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증폭기(AP1)의 반전 단자는 션트저항(SR)의 타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증폭기(AP1)는 션트저항(SR)의 양단 전류에 대응하는 양단 전압을 제1 배수로 증폭한 제1 전류 전압(V1)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3 증폭기(AP2, AP3)는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3 증폭기(AP2, AP3)는 2개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그 개수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먹스(MUX)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은 션트저항(SR)의 양단전류에 대응하는 양단 전압 대비 10배, 20배, 50배 및 100배인 경우 제1 증폭기(AP1)에 병렬 연결된 증폭기가 4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제1 증폭기(AP1)는 양단 전압 대비 10배 증폭된 제1 직류전압(V1)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3 증폭기(AP1, AP2) 각각은 제1 직류전압(V1)을 1배 내지 10배로 증폭한 제2, 3 전류 전압(V2, V3)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증폭기(AP2)의 비반전 단자는 제1 증폭기(AP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 전류 전압(V1)이 입력되고, 제2 증폭기(AP2)의 반전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제3 증폭기(AP3)의 비반전 단자는 제1 증폭기(AP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 전류 전압(V1)이 입력되고, 제3 증폭기(AP3)의 반전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증폭기(AP2)는 제1 전류 전압(V1)과 그라운드 전압을 제2 배수로 증폭한 제2 전류 전압(V2)을 출력하며, 제3 증폭기(AP3)는 제1 전류 전압(V1)과 그라운드 전압을 제3 배수로 증폭한 제3 전류 전압(V3)을 출력할 수 있다.
먹스(MUX)는 제2, 3 증폭기(AP2, AP3)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입력된 제2, 3 전류전압(V2, V3) 중 설정된 전류 범위에 속하는 직류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직류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전류 신호를 제어 모듈(1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전류 범위는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시 가변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 모듈(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값과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를 비교하여, 충방전 모듈(120)의 이상 동작 시 충방전 모듈(120)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전류 증폭 모듈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류 증폭 모듈(130)은 션트 저항(SR), 제1 내지 제3 증폭기(AP1 내지 AP3), 아날로그 버퍼(BUF) 및 먹스(MUX)를 포함할 수 있다.
션트 저항(SR)은 이차전지의 캐소드, 즉 마이너스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션트 저항(SR)은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 시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증폭기(AP1)는 션트 저항(SR)의 양단에 흐르는 양단 전류를 제1 배수로 증폭한 제1 전류전압(V1)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증폭기(AP1)는 상기 양단 전류에 대응하는 양단 전압을 상기 제1 배수로 차동 증폭하거나, 또는 상기 양단 전압 사이의 전압차를 상기 제1 배수로 증폭할 수 있다.
제1 증폭기(AP1)은 차동 증폭기 또는 계측 증폭기일 수 있으며, 연산 증폭기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증폭기(AP1)의 비반전 단자에는 이차전지의 캐소드와 션트저항(SR)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증폭기(AP1)의 반전 단자는 션트저항(SR)의 타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증폭기(AP1)는 션트저항(SR)의 양단 전류에 대응하는 양단 전압을 제1 배수로 증폭한 제1 전류 전압(V1)을 출력할 수 있다.
아날로그 버퍼(BUF)는 제1 증폭기(AP1)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제1 전류 전압(V1)을 입력받아 그대로 제2, 3 증폭기(AP2, AP3)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버퍼(BUF)는 제1 전류 전압(V1)이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및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 전류 전압(V1)이 귀환되는 반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3 증폭기(AP2, AP3)는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3 증폭기(AP2, AP3)는 2개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그 개수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먹스(MUX)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은 션트저항(SR)의 양단전류에 대응하는 양단 전압 대비 10배, 20배, 50배 및 100배인 경우 제1 증폭기(AP1)에 병렬 연결된 증폭기가 4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제1 증폭기(AP1)는 양단 전압 대비 10배 증폭된 제1 직류전압(V1)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3 증폭기(AP1, AP2) 각각은 제1 직류전압(V1)을 1배 내지 10배로 증폭한 제2, 3 전류 전압(V2, V3)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증폭기(AP2)의 비반전 단자는 아날로그 버퍼(BUF)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 전류 전압(V1)이 입력되고, 제2 증폭기(AP2)의 반전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제3 증폭기(AP3)의 비반전 단자는 아날로그 버퍼(BUF)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 전류 전압(V1)이 입력되고, 제3 증폭기(AP3)의 반전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증폭기(AP2)는 제1 전류 전압(V1)과 그라운드 전압을 제2 배수로 증폭한 제2 전류 전압(V2)을 출력하며, 제3 증폭기(AP3)는 제1 전류 전압(V1)과 그라운드 전압을 제3 배수로 증폭한 제3 전류 전압(V3)을 출력할 수 있다.
먹스(MUX)는 제2, 3 증폭기(AP2, AP3)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입력된 제2, 3 전류전압(V2, V3) 중 설정된 전류 범위에 속하는 직류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직류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전류 신호를 제어 모듈(1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전류 범위는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시 가변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 모듈(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값과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를 비교하여, 충방전 모듈(120)의 이상 동작 시 충방전 모듈(120)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기적 특징이 없는 이차전지의 최대 충전 용량 및 정격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격 용량 정보 및 상기 이차전지의 활성화 시작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모듈;
    이차전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충방전 모듈;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상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증폭 모듈; 및
    상기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충방전 모듈이 이상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방전 모듈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 증폭 모듈은,
    상기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션트 저항;
    상기 션트 저항의 양단에 흐르는 양단 전류를 증폭한 제1 전류전압을 출력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1 전류전압 및 그라운드 전압을 제2 배수로 증폭한 제2 전류전압을 출력하는 제2 증폭기;
    상기 제2 증폭기와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1 전류전압 및 상기 그라운드 전압을 제3 배수로 증폭한 제3 전류전압을 출력하는 제3 증폭기; 및
    상기 제2, 3 전류전압 중 설정된 전류 범위에 속하는 직류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직류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먹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정격 전류를 기반으로 충전 펄스들(cp)의 충전 전류 및 방전 펄스들(dp)의 방전 전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충전 유지 시간을 결정하거나 또는 설정된 방전 전류에 따라 방전 유지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이차전지의 캐소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기는,
    상기 양단 전류에 대응하는 양단 전압을 제1 배수로 차동 증폭하거나, 또는 상기 양단 전압 사이의 전압차를 상기 제1 배수로 증폭하는,
    충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3 증폭기 각각은,
    상기 제1 전류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그라운드와 연결된 비반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전류값이 상기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면 상기 충방전 모듈이 정상 동작으로 확인하고, 상기 기준 충방전 전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충방전 모듈이 이상 동작으로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충방전 모듈이 이상 동작으로 확인하면,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이 차단되게 상기 충방전 모듈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기와 상기 제2, 3 증폭기 사이에 연결된 아날로그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버퍼는,
    상기 제1 전류전압을 그대로 상기 제2, 3 증폭기로 출력하는,
    충전 장치.
KR1020220055426A 2022-05-04 2022-05-04 충전 장치 KR102585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426A KR102585722B1 (ko) 2022-05-04 2022-05-04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426A KR102585722B1 (ko) 2022-05-04 2022-05-04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722B1 true KR102585722B1 (ko) 2023-10-10

Family

ID=8829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426A KR102585722B1 (ko) 2022-05-04 2022-05-04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7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6628A (ja) * 2014-03-28 2017-06-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電源システム
KR20200086621A (ko) * 2019-01-08 2020-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시스템용 제어 시스템, 전지 시스템, 차량, 및 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6628A (ja) * 2014-03-28 2017-06-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電源システム
KR20200086621A (ko) * 2019-01-08 2020-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시스템용 제어 시스템, 전지 시스템, 차량, 및 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1659B1 (en) Two-stage charge eq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ies-connected battery string
US8723480B2 (en) Charge equalization apparatus for series-connected battery string using regulated voltage source
KR100835091B1 (ko) 충전기 및 이 충전기를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및 그들의 제어 회로
EP2201660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with integration of voltage sensor and charge equalizer
US10116154B2 (en) Battery pack
JP5618986B2 (ja) 充電装置
JP4812419B2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充放電方法
US20110019328A1 (en) Relay driving circuit and battery pack using same
US4970451A (en) Device for utilizing low voltage electric current sources
US11277012B2 (en) Battery control unit and battery system
JP2010225332A (ja) 組電池システム及び組電池の保護装置
US11539222B2 (en) Battery control unit and battery system
US1141805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charge of power storage device
CN110855170A (zh) 光伏逆变器及电容放电电路
KR102585722B1 (ko) 충전 장치
JPH0467733A (ja) 放電制御回路を備えた電力供給装置
KR102598301B1 (ko) 충전 장치
KR102468985B1 (ko)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530290B1 (ko) 충전 장치
KR102530291B1 (ko) 충전 장치
US10594143B2 (en) Charging method for battery set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2585723B1 (ko) 충전 장치
KR102530292B1 (ko) 충전 장치
JP3010563B2 (ja) 少なくとも2つの電気化学電池の放電を最適化するための装置
US11936223B2 (en) Battery polarity determination circuit,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