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544B1 - Vertical stirring type ink storage unit - Google Patents

Vertical stirring type ink storag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544B1
KR102585544B1 KR1020210192686A KR20210192686A KR102585544B1 KR 102585544 B1 KR102585544 B1 KR 102585544B1 KR 1020210192686 A KR1020210192686 A KR 1020210192686A KR 20210192686 A KR20210192686 A KR 20210192686A KR 102585544 B1 KR102585544 B1 KR 10258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tirring
storage space
stored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02501A (en
Inventor
최윤석
부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테크
Priority to KR102021019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544B1/en
Publication of KR2023010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5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잉크젯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자석이 설치된 하부블럭;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잉크를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고 일부는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고 영구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의 자력과 영구자석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교반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자;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 내부로 돌출된 교반날개; 상기 몸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윗면에 접촉하여 교반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범위를 제한하는 상부 스토퍼; 및 상기 몸체에서 상기 상부커버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아랫면에 접촉하여 교반부가 위로 올라가는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k to supply ink to an inkjet head having a nozzle for discharging ink, comprising: a lower block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a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and an electromagnet installed therein; An upper cover located above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It includes a stirring part tha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orage space where the ink is stored and agitates the ink, wherein the stirring part includes a body locat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where the ink is stored and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cover; A mov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nd equipped with a permanent magnet, which moves the stirrer up and down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and the permanent magnet; a stirring wing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body into a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An upper stopper located at the top of the body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to limit the downward range of the stirring unit; And a lower stopper located below the upper cover in the body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to limit the upward range of the stirring unit.

Description

자력에 의한 상하 교반을 수행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저장 장치{VERTICAL STIRRING TYPE INK STORAGE UNIT}An ink storage device for an inkjet printer that performs upward and downward agitation by magnetic force {VERTICAL STIRRING TYPE INK STORAGE UNIT}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서 잉크젯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되는 잉크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unit that stores ink to supply ink to an inkjet head in an inkjet prin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k storage device applied to inkjet printers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본 발명은 창업진흥원의 민간공동 창업자 발굴육성사업 (POST TIPS)(과제명: 효율 16.5% 이상을 목표로 하는 3세대 태양전지(페로브스카이트;PSC) 제조용 2G 잉크젯 공정장비 개발)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과제이다.(No.10423442)This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and Entrepreneurship Development's private joint venture discovery and development project (POST TIPS) (Task name: Development of 2G inkjet process equipment for manufacturing 3rd generation solar cells (perovskite; PSC) targeting efficiency of 16.5% or higher). This is a task that was accepted and performed. (No.10423442)

일반적으로 형상 신호에 따라 매체 표면에 액상의 잉크를 액적형태로 분사하는 잉크젯 방식은 문서나 광고지를 작성하는 프린팅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용액 공정에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inkjet method, which sprays liquid ink in the form of droplets on the surface of a medium according to shape signals, is used not only for printing documents or flyers, but also for solution processes in the semiconductor or display fields.

기판에 복잡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거나 특정 위치에만 잉크를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팅의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문서 작성을 위한 소형의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 액적을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에서 잉크를 저장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대형의 문서 작성용 프린터나 산업용으로 제작된 잉크젯 프린터는 많은 양의 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잉크젯 헤드가 분리된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The scope of application of inkjet printing, which can form complex patterns on a substrate or precisely discharge ink only at specific locations, is expanding. Small inkjet printers for document creation store ink in an inkjet head that ejects ink droplets, but large document printers or inkjet printers manufactured for industrial use use large amounts of ink, so ink is stored in the inkjet head that discharges ink droplets. A structure where the storage unit and the inkjet head are separated is applied.

잉크젯 프린팅 과정에서 정확한 양의 잉크를 토출하기 위해서는, 잉크젯 헤드에서 토출 준비상태인 잉크가 노즐 입구를 기준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내측으로 요입된 곡면 상태인 메니스커스(meniscus)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잉크 저장 장치의 위치를 잉크젯 헤드보다 높게 위치하게 하고, 대신에 잉크 저장탱크의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잉크젯 헤드에서 잉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메니스커스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order to eject an accurate amount of ink during the inkjet printing process, the ink that is ready for ejection from the inkjet head must maintain a meniscus state, which is a curved state in which the ink is drawn inward by capillary action with respect to the nozzle inlet. For this purpose, it is common to position the ink storage device higher than the inkjet head and instead generate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ink storage tank to prevent ink from flowing from the inkjet head and maintain the meniscus state. .

전통적인 인쇄분야에서는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가 포함된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였다. 이때, 프린팅을 수행하기 전까지 잉크젯 헤드와 분리된 저장부 또는 잉크젯 헤드와 결합된 카트리지에 잉크가 장시간 보관되기 때문에, 안료의 분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계면 활성제 등을 분산제로서 함께 사용하고 있다.In the traditional printing field, inkjet printing was performed using ink containing pigments that represent colors. At this time, since ink is stored in a storage unit separate from the inkjet head or in a cartridge coupled to the inkjet head for a long time before printing, a surfactant or the like is used as a dispersant to maintain the dispersibility of the pigment.

최근에는 일정량을 정밀하게 토출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의 특징을 제품의 생산 과정에 적용하고 있으며, 특히 높은 정밀도가 필요한 전자 제품의 제조에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는 단순히 안료와 함께 또는 안료를 대신하여 부품 제조에 필요한 물질이 포함된 잉크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전기전자 부품의 일부분에 절연 코팅을 수행하는 경우에 안료와 함께 절연물질로서의 고분자 수지를 함께 사용하고, 금속 도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 구리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잉크젯 프린팅의 잉크는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기 때문에 단순히 분산제를 함께 첨가하는 것만으로는 잉크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의 분산성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잉크 저장 장치 또는 잉크 카트리지에 보관되는 동안에 잉크의 균질성이 무너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Recently, the characteristics of inkjet printers, which can precisely eject a certain amount, are being applied to the product production process, and in particular, their application to the manufacturing of electronic products that require high precision is increasing. Industrial inkjet printers used to manufacture products simply use ink that contains the substances needed to manufacture the part, along with or instead of pigments. For example, when per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on a part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 a polymer resin as an insulating material is used together with a pigment, and an ink containing metallic copper is also used to form a metal conductor. As such, since the ink of inkjet printing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contains various ingredient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dispersibility of the various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k simply by adding a dispersant,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dispersibility of the various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k and store it in an ink storage device or ink cartridge. During this process, the homogeneity of the ink often breaks down.

최근에는 잉크젯 프린터가 반도제 제조 공정 등의 초정밀 분야에 적용되면서 프린팅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잉크에 포함되는 물질로는 전극 패턴을 위한 금속 입자뿐만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발광부 또는 컬러 필터 등에 사용되는 양자점 물질과 같이 분산성 유지가 어려운 물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PZT를 적용한 잉크젯 프린팅을 활용하여 코팅하는 기술이 개발되는 등 여러 가지 물질을 포함한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하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잉크에 입자 형태의 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도 산업용 잉크젯 프린팅에 사용되는 잉크에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사용되기 때문에 잉크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Recently, as inkjet printers are applied to ultra-precision fields such a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the demand for printing precision is increasing. Accordingly, the use of materials included in ink that are difficult to maintain dispersibility, such as quantum dot materials used in light emitting units or color filters in the display field, as well as metal particles for electrode patterns, is increasing. Furthermore,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inkjet print ink containing various substanc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ating technology using inkjet printing using PZT, and even when the ink does not contain particulate substances, industrial inkjet printing can be used. Since various types of materials are used in the ink, maintaining the uniformity of the ink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잉크젯 헤드를 향하여 잉크를 일 방향으로 공급하지 않고, 잉크젯 헤드의 잉크를 다시 잉크 저장 장치로 되돌려서 순환시켜서 분산성을 유지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잉크 저장 장치에 저장된 잉크의 분산성을 유지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이다. 그에 따라서 잉크 저장 장치에 잉크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에도 잉크의 균질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교반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maintain dispersibility by returning ink from the inkjet head to the ink storage device and circulating it instead of supplying ink in one direction toward the inkjet head. However, maintaining the dispersibility of ink stored in the ink storage device is difficult. It's still an important issue. Accordingly, a stirring technology is needed to maintain the homogeneity of the ink even while the ink is stored in the ink storage device.

따라서 산업 분야에서 잉크젯 프린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나노로드와 같이 잉크 내에서의 분산성이 매우 낮은 물질의 분산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Therefore, in order to apply inkjet printing in industrial fields, technology is needed to maintain the dispersibility of materials with very low dispersibility in ink, such as nanorod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17249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No. 10-2016-011724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07124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No. 10-2016-000712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35004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No. 10-2016-00350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잉크 저장 장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잉크를 교반하여 분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잉크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ink storage device that can maintain dispersibility by stirring ink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in an ink storage device that is narrow and high in heigh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잉크젯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는,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자석이 설치된 하부블럭;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잉크를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고 일부는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고 영구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의 자력과 영구자석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교반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자;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 내부로 돌출된 교반날개; 상기 몸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윗면에 접촉하여 교반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범위를 제한하는 상부 스토퍼; 및 상기 몸체에서 상기 상부커버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아랫면에 접촉하여 교반부가 위로 올라가는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k to supply ink to an inkjet head equipped with a nozzle for ejecting 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and has an electromagnet installed therein. lower block; An upper cover located above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It includes a stirring part tha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orage space where the ink is stored and agitates the ink, wherein the stirring part includes a body locat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where the ink is stored and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cover; A mov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nd equipped with a permanent magnet, which moves the stirrer up and down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and the permanent magnet; a stirring wing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body into a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An upper stopper located at the top of the body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to limit the downward range of the stirring unit; And a lower stopper located below the upper cover in the body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to limit the upward range of the stirring unit.

종래의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바 형태의 교반장치가 양자점 물질이 분산된 잉크에 대해서도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는 상황에서 양자점 물질보다 크기가 큰 나노로드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분산성을 유지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저장부에 저장된 잉크 중에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잉크를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교반하는 교반 장치를 포함하는 잉크 저장 장치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여 출원하였으나, 적용될 수 있는 저장부의 형태가 제한적이었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산업용 잉크젯 프린트의 경우, 잉크 저장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폭이 좁아서 높이(수직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형태로 잉크 저장 장치를 구성해야 하며, 저장부의 외형이 제한되면서 선행 출원의 교반 장치를 설치하기는 매우 어려워졌다. 나아가 저장부에서 저장되는 잉크의 형태가 폭이 좁고 높이가 긴 형태가 됨으로 인하여, 입자가 분산된 정도는 저장된 잉크에서 위치에 따라서 차이가 더욱 심해지는 결과가 되고 있다.When using ink containing nanorods larger than the quantum dot material in a situation where the conventional bar-shaped stirring device rotating around the vertical rotation axis does not achieve sufficient effect even for ink in which the quantum dot material is dispersed, Maintaining decentralization is even more difficult. 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ed and applied for a technology for an ink storage device that includes a stirring device that agitates the ink located at the bottom among the ink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by pulling it upward, but the form of the storage portion that can be applied is limited. It was limited. In the case of industrial inkjet printers recent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display devices, etc.,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ink storage device is narrow, so the ink storage device must be configured in a way that increases the height (vertical length), an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torage unit Due to this limitation, it became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stirring device of the prior application. Furthermore, as the shape of the ink stored in the storage unit becomes narrow and tall, the degree of particle dispersion becomes more and mo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tored ink.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교반기를 통해 잉크에 분산된 입자의 분산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형태의 저장부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dispersibility of particles dispersed in ink through a stirrer that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using magnetic force, it can be applied to a narrow and tall storage unit.

상기 이동자는 단면이 역삼각형 형태이고,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바닥면이 이동자의 단면에 대향되도록 중심부가 오목한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er preferably has an inverted triangle shape in cross section, and has a concave inclined surface at the center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faces the cross section of the mover.

상기 교반 날개가 위쪽방향으로만 접히도록 구성하여, 교반부가 아래로 이동할 때에는 교반 날개가 접히고, 교반부가 위로 이동할 때에는 교반 날개가 펼쳐지는 것일 수 있다.The stirring wing may be configured to fold only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at when the stirring part moves downward, the stirring wing folds, and when the stirring part moves upward, the stirring wing unfolds.

상기 교반 날개는 일 방향으로만 열리는 판막이 형성되어, 교반부가 아래로 이동할 때에는 판막이 열리고, 교반부가 위로 이동할 때에는 판막이 닫히는 것일 수 있다.The stirring blade may be formed with a valve that opens in only one direction, so that the valve opens when the stirring part moves downward, and closes when the stirring part moves upwar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교반부를 움직임으로써,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형태의 저장부에 대해서도 잉크의 분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dispersibility of ink even in a narrow and tall storage unit by moving the stirring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magnetic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의 다른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osition of the stirring part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tirring blade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up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down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tirring blade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tirring blade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tirring blade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up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down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tirring blade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up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down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and elements indicated by the same symbol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r be provided with other components. .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의 다른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different positions of the stirring unit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잉크 저장 장치는 저장부(100)와 교반부(200)로 구성된다.The ink storage device of this embodiment consists of a storage unit 100 and a stirring unit 200.

저장부(100)는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저장용기는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는 것과 함께, 잉크젯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배관라인과 외부에서 잉크를 보충 받는 보충라인 연결된다. 각종 배관의 연결 구조는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0 is a storage container that stores ink. The storage container stores ink inside and is connected to a piping line that supplies and retrieves ink to the inkjet head and a replenishment line that receives ink from the outside. Various piping connection structures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y do not impai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저장부(100)의 재질은 잉크에 의해서 변질되지 않고 잉크를 변질시키지 않는 재질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 교반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에서는 자력에 의한 교반을 방해하지 않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common to use a variety of materials for the storage unit 100 that do not deteriorate by ink and do not deteriorate ink.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tirring using magnetic force, a certain portion of the material is stirred by magnetic force. It is desirable to apply a material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저장부(10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형태가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형태인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본 실시예는 저장부(100)의 측면이 원통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저장 공간은 상부와 하부에서 잉크에 포함된 입자의 분산성이 차이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지만, 상부와 하부의 잉크를 순환시키기 위한 교반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구조인 점에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교반기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저장 공간에 대해서는 교반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이외에 새롭게 개발된 교반 장치들에서도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저장 공간에 적용이 어렵다. The shape of the storage unit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when the storage space in which ink is stored is narrow and high. This embodiment describes the case where the side of the storage unit 100 is cylindrical. A storage space with a narrow width and high height inevitably has a very large difference in the dispersibility of particles contained in ink at the top and bottom, but it is problematic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 agitator to circulate the ink at the top and bottom. is even more serious. Conventional typical stirrers are installed on the floor and rotate around a vertical rotation axis, so stirring efficiency is very low for narrow and high storage spaces. In addition, newly developed stirring devices are difficult to apply to narrow and high storage spaces.

교반부(200)의 설치 및 동작을 위하여, 저장부(100)의 하부에는 하부블럭(110)이 위치하고, 상부에는 상부커버(120)가 위치한다. 하부블럭(110)과 상부커버(120)의 구체적인 구조와 기능은 교반부(200)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stirring unit 200, a lower block 110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and an upper cover 120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The specific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ower block 110 and the upper cover 120 are related to the stirring unit 200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교반부(200)는 저장부(10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잉크를 교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의 교반기들이 회전을 통해서 교반을 수행하였던 것과는 달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를 교반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The stirring unit 200 is a component for stirring the ink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00,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tirs the ink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unlike conventional stirrers that perform stirring through rotation. there is.

교반부(200)는 저장부(100)의 저장 공간 하부에서 상부에 이르는 몸체를 구비하며, 몸체의 하단에는 이동자(210)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간에는 교반날개(220)가 돌출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하부스토퍼(230)와 상부스토퍼(24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저장 공간에 설치된 교반부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때 교반부의 몸체는 봉 형상이다. 저장 공간의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형태를 변형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구성요소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stirring unit 200 has a body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space 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A mover 2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a stirring wing 220 protrudes in the middle of the body. A lower stopper 230 and an upper stopper 240 are formed at the upper part of . In this embodiment, the explanation is based on the stirring unit installed in a cylindrical storage space, and in this case, the body of the stirring unit is rod-shaped. If the shape of the storage space changes, the shape can be changed without impai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also applies to other components.

이동자(210)는 본 실시예의 교반부(200)를 상하 이동 시키는 부분으로서, 자력에 의해서 교반부가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영구자석(212)이 설치된다. The mover 210 is a part that moves the stirring unit 200 up and down in this embodiment, and a permanent magnet 212 is installed so that the stirring unit can move up and down by magnetic force.

저장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블럭(110)에는 전자석(112)이 설치되며, 이동자(210)에 설치된 영구자석(212)과 전자석(112)의 자력을 이용하여 교반부(2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블럭(110)에 설치된 전자석(112)의 자극 방향을 변경하거나 자력을 변경하면, 전자석(112)의 자력에 영향을 받는 영구자석(212)이 설치된 이동자(210)의 위치가 위 아래로 이동하며, 이동자(210)의 이동에 따라서 교반부(200)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An electromagnet 112 is installed in the lower block 11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stirring unit 200 is stirred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212 and the electromagnet 112 installed on the mover 210. It can be moved up and down. Specifically, when the magnetic pol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112 installed in the lower block 110 is changed or the magnetic force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mover 210 on which the permanent magnet 212, which is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is installed, moves up and down. moves, and the entire stirring unit 20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r 210.

이때, 방사형으로 퍼지는 자력장의 특성상, 이동자(210)가 상하 운동하는 과정에서 좌우로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At this time, due to the nature of the magnetic field that spreads radially, the mover 210 may tend to deviate to the left or right while moving up and dow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이동자(210)를 역원뿔 형태로 구성하여, 단면이 역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석(112)의 자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동자(210)의 중심이 과도하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바닥면인 하부블럭(110)의 상면을 이동자(210)의 형태에 맞추어 중심이 오목한 경사면으로 구성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s the mover 210 in the shape of an inverted cone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in the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so that even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is changed, the center of the mover 210 is excessively I made sure not to escape.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110,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was configured as an inclined surface with a concave center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mover 210.

또한, 교반부(200)가 과도하게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스토퍼(230)를 형성하였다. 하부스토퍼(230)는 저장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부스토퍼(230)가 저장부(100)의 상부커버(120) 하면과 접촉하는 이상으로 교반부(200)가 올라가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dditionally, a lower stopper 230 was formed to prevent the stirring unit 200 from moving upward excessively. The lower stopper 230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unit 100 and controls the stirring unit 200 to not rise beyond the lower stopper 230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20 of the storage unit 100. performs its function.

나아가 교반부(200)가 과도하게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스토퍼(240)를 형성하였다. 상부스토퍼(240)는 저장부(1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부스토퍼(240)가 저장부(100)의 상부커버(120) 상면과 접촉하는 이하로 교반부(200)가 내려가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교반부(200)의 이동자(210)가 저장 공간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경우에 이동자(210)를 구성하는 물질이 잉크에 섞여 들어갈 수도 있고, 잉크에 포함된 나노로드 등의 입자물질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상부스토퍼(240)를 형성하여 이동자(210)가 저장 공간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교반부(2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면, 상기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an upper stopper 240 was formed to prevent the stirring unit 200 from moving excessively downward. The upper stopper 240 is located outside the storage unit 100 and controls the stirring unit 200 not to go below the level where the upper stopper 24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20 of the storage unit 100. performs the function of When the mover 210 of the stirring unit 20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mover 210 may be mixed into the ink, and particle materials such as nanorods contained in the ink may be damaged. Problems may arise. By forming the upper stopper 240 to limit the movement range of the stirring unit 200 to prevent the mover 210 from contacting the floor of the storage space, the above problems can be prevented.

이때, 상부스토퍼(24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교반부(200)의 위쪽 일부가 상부커버(120)를 관통하여야 한다. 상부커버(120)의 관통부분으로 교반부(200)의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교반부(200)가 저장부(100)의 중심점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동자(210)의 역원뿔형 구조와 상부커버(120)를 관통하는 구조에 의해서, 교반부(200)는 자기장에 의해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좌우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stall the upper stopper 240, the upper part of the stirring unit 200 must penetrate the upper cover 120. Since the position of the stirring unit 200 is limited to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120,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tirring unit 200 from deviating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storage unit 100 can be obtained. Finally, due to the inverted cone-shaped structure of the mover 210 and the structure penetrating the upper cover 120, the stirrer 200 is restric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and moves up and down despite being moved by the magnetic field.

교반날개(220)는 몸체에서 저장 공간 내부로 돌출되며, 교반부(200)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저장 공간에 저장된 잉크를 상하로 교반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tirring wing 220 protrudes from the body into the storage space and is a component that stirs the ink stored in the storage space up and down while the stirring unit 200 moves up and down.

교반날개(220)는 교반부(200)가 상하로 움직일 때에 함께 움직이면서 잉크를 교반하기 때문에, 종래에 회전으로 잉크를 교반한 것에 비하여 상하방향으로의 흐름을 형성하기에 유리하며, 저장 공간이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구조일 때에 상하 방향의 균질성을 유지할 수 있다. Since the stirring wing 220 moves together and stirs the ink when the stirring part 200 moves up and down, it is advantageous to form a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agitating the ink by rotation, and the storage space is wide. With this narrow and tall structure, homogene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maintained.

교반날개(220)는 잉크가 저장된 저장 공간 내부에서 잉크를 상하 방향으로 교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The stirring wing 220 may be of various forms capable of stirring the ink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within the storage space where the ink is stored.

도 3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tirring blade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본 실시예의 잉크 저장 장치는 저장부(100)와 교반부(200)로 구성된다.The ink storage device of this embodiment consists of a storage unit 100 and a stirring unit 200.

저장부(100)는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저장용기는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는 것과 함께, 잉크젯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배관라인과 외부에서 잉크를 보충 받는 보충라인 연결된다. 각종 배관의 연결 구조는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0 is a storage container that stores ink. The storage container stores ink inside and is connected to a piping line that supplies and retrieves ink to the inkjet head and a replenishment line that receives ink from the outside. Various piping connection structures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y do not impai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저장부(100)의 재질은 잉크에 의해서 변질되지 않고 잉크를 변질시키지 않는 재질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 교반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에서는 자력에 의한 교반을 방해하지 않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common to use a variety of materials for the storage unit 100 that do not deteriorate by ink and do not deteriorate ink.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tirring using magnetic force, a certain portion of the material is stirred by magnetic force. It is desirable to apply a material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저장부(10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형태가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형태인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저장 공간은 상부와 하부에서 잉크에 포함된 입자의 분산성이 차이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지만, 상부와 하부의 잉크를 순환시키기 위한 교반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구조인 점에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교반기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저장 공간에 대해서는 교반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이외에 새롭게 개발된 교반 장치들에서도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저장 공간에 적용이 어렵다. The shape of the storage unit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when the storage space in which ink is stored is narrow and high. A storage space with a narrow width and high height inevitably has a very large difference in the dispersibility of particles contained in ink at the top and bottom, but it is problematic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 agitator to circulate the ink at the top and bottom. is even more serious. Conventional typical stirrers are installed on the floor and rotate around a vertical rotation axis, so stirring efficiency is very low for narrow and high storage spaces. In addition, newly developed stirring devices are difficult to apply to narrow and high storage spaces.

교반부(200)의 설치 및 동작을 위하여, 저장부(100)의 하부에는 하부블럭(110)이 위치하고, 상부에는 상부커버(120)가 위치한다. 하부블럭(110)과 상부커버(120)의 구체적인 구조와 기능은 교반부(200)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stirring unit 200, a lower block 110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and an upper cover 120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The specific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ower block 110 and the upper cover 120 are related to the stirring unit 200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교반부(200)는 저장부(10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잉크를 교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의 교반기들이 회전을 통해서 교반을 수행하였던 것과는 달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를 교반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The stirring unit 200 is a component for stirring the ink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00,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tirs the ink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unlike conventional stirrers that perform stirring through rotation. there is.

교반부(200)는 저장부(100)의 저장 공간 하부에서 상부에 이르는 몸체를 구비하며, 몸체의 하단에는 이동자(210)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간에는 교반날개(220)가 돌출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하부스토퍼(230)와 상부스토퍼(24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저장 공간에 설치된 교반부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때 교반부의 몸체는 봉 형상이다. 저장 공간의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형태를 변형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구성요소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stirring unit 200 has a body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space 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A mover 2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a stirring wing 220 protrudes in the middle of the body. A lower stopper 230 and an upper stopper 240 are formed at the upper part of . In this embodiment, the explanation is based on the stirring unit installed in a cylindrical storage space, and in this case, the body of the stirring unit is rod-shaped. If the shape of the storage space changes, the shape can be changed without impai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also applies to other components.

이동자(210)는 본 실시예의 교반부(200)를 상하 이동 시키는 부분으로서, 자력에 의해서 교반부가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영구자석(212)이 설치된다. The mover 210 is a part that moves the stirring unit 200 up and down in this embodiment, and a permanent magnet 212 is installed so that the stirring unit can move up and down by magnetic force.

저장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블럭(110)에는 전자석(112)이 설치되며, 이동자(210)에 설치된 영구자석(212)과 전자석(112)의 자력을 이용하여 교반부(2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블럭(110)에 설치된 전자석(112)의 자극 방향을 변경하거나 자력을 변경하면, 전자석(112)의 자력에 영향을 받는 영구자석(212)이 설치된 이동자(210)의 위치가 위 아래로 이동하며, 이동자(210)의 이동에 따라서 교반부(200)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An electromagnet 112 is installed in the lower block 11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stirring unit 200 is stirred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212 and the electromagnet 112 installed on the mover 210. It can be moved up and down. Specifically, when the magnetic pol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112 installed in the lower block 110 is changed or the magnetic force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mover 210 on which the permanent magnet 212, which is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is installed, moves up and down. moves, and the entire stirring unit 20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r 210.

이때, 방사형으로 퍼지는 자력장의 특성상, 이동자(210)가 상하 운동하는 과정에서 좌우로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At this time, due to the nature of the magnetic field that spreads radially, the mover 210 may tend to deviate to the left or right while moving up and dow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이동자(210)를 역원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전자석(112)의 자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동자(210)의 중심이 과도하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s the mover 210 in an inverted cone shape to prevent the center of the mover 210 from deviating excessively even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changes.

또한, 교반부(200)가 과도하게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스토퍼(230)를 형성하였다. 하부스토퍼(230)는 저장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부스토퍼(230)가 저장부(100)의 상부커버(120) 하면과 접촉하는 이상으로 교반부(200)가 올라가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dditionally, a lower stopper 230 was formed to prevent the stirring unit 200 from moving upward excessively. The lower stopper 230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unit 100 and controls the stirring unit 200 to not rise beyond the lower stopper 230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20 of the storage unit 100. performs its function.

나아가 교반부(200)가 과도하게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스토퍼(240)를 형성하였다. 상부스토퍼(240)는 저장부(1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부스토퍼(240)가 저장부(100)의 상부커버(120) 상면과 접촉하는 이하로 교반부(200)가 내려가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교반부(200)의 이동자(210)가 저장 공간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경우에 이동자(210)를 구성하는 물질이 잉크에 섞여 들어갈 수도 있고, 잉크에 포함된 나노로드 등의 입자물질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상부스토퍼(240)를 형성하여 이동자(210)가 저장 공간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교반부(2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면, 상기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an upper stopper 240 was formed to prevent the stirring unit 200 from moving excessively downward. The upper stopper 240 is located outside the storage unit 100 and controls the stirring unit 200 not to go below the level where the upper stopper 24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20 of the storage unit 100. performs the function of When the mover 210 of the stirring unit 20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mover 210 may be mixed into the ink, and particle materials such as nanorods contained in the ink may be damaged. Problems may arise. By forming the upper stopper 240 to limit the movement range of the stirring unit 200 to prevent the mover 210 from contacting the floor of the storage space, the above problems can be prevented.

이때, 상부스토퍼(24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교반부(200)의 위쪽 일부가 상부커버(120)를 관통하여야 한다. 상부커버(120)의 관통부분으로 교반부(200)의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교반부(200)가 저장부(100)의 중심점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동자(210)의 역원뿔형 구조와 상부커버(120)를 관통하는 구조에 의해서, 교반부(200)는 자기장에 의해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좌우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stall the upper stopper 240, the upper part of the stirring unit 200 must penetrate the upper cover 120. Since the position of the stirring unit 200 is limited to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120,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tirring unit 200 from deviating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storage unit 100 can be obtained. Finally, due to the inverted cone-shaped structure of the mover 210 and the structure penetrating the upper cover 120, the stirrer 200 is restric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and moves up and down despite being moved by the magnetic field.

본 실시예는 교반날개(221)로서 위쪽으로만 접히는 구조의 날개를 적용하였다. 예를 들면, 몸체를 기준으로 하여 최대 90도 각도로 펼쳐지지만, 아래쪽으로는 접히지 않고 위쪽으로만 접히는 형태이다.In this embodiment, a wing with a structure that folds only upward was applied as the stirring wing 221. For example, it unfolds at an angle of up to 90 degrees relative to the body, but only folds upward, not downward.

교반부(200)가 상하로 움직일 때에 교반날개(221)가 함께 움직이면서 잉크를 교반하지만, 교반부(200)가 아래로 움직일 때에는 잉크의 저항에 의해서 교반날개(221)가 위쪽으로 접히면서 잉크를 아래로 밀어내는 효과가 감소하고, 교반부(200)가 위로 움직일 때에는 잉크의 저항에 의해서 교반날개(221)가 넓게 펴지면서 잉크를 위로 끌어올리는 효과가 증가한다.When the stirring part 200 moves up and down, the stirring wing 221 moves together and agitates the ink, but when the stirring part 200 moves downward, the stirring wing 221 folds upward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ink, releasing the ink. The downward pushing effect decreases, and when the stirring unit 200 moves upward, the stirring wing 221 spreads wider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ink,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pulling the ink upward.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up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down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석(112)의 자력이 이동자(210)의 영구자석(212)을 밀어내면, 교반부(200)는 위쪽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pushes the permanent magnet 212 of the mover 210, the stirring unit 200 moves upward.

이때, 교반부(200)의 측면에 돌출된 교반날개(221)는 잉크의 저항에 의해서 옆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며, 잉크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잉크를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교반효과를 강하게 나타낸다.At this time, the stirring wing 22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stirring unit 200 is spread sideways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ink, and becau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ink is large, it strongly exerts a stirring effect to pull the ink upward.

반면에, 전자석(112)의 자력이 약해지거나 반대방향으로 변경되면, 이동자(210)의 영구자석(212)을 밀어내는 힘이 약해지거나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반부(200)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is weakened or changed to the opposite direction, the force pushing the permanent magnet 212 of the mover 210 is weakened or a pulling force is applied, causing agitation, as shown in FIG. 6. Part 200 moves downward.

본 실시예의 교반날개(221)는 위쪽으로 접히는 구성이기 때문에, 교반부(200)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잉크의 저항을 받으면 교반날개(221)가 위쪽으로 접힌다. 교반날개(221)가 위쪽으로 접히면 잉크에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면서, 잉크를 아래쪽으로 끌어내리는 교반효과는 약해진다.Since the stirring wing 221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fold upward, when the stirring part 200 moves downward and receives resistance from the ink, the stirring wing 221 folds upward. When the stirring wing 221 is folded upward,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ink decreases, and the stirring effect of pulling the ink downward becomes weaker.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형태가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형태인 경우에서 잉크의 분산성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상부보다 하부로 무거운 물질이 가라앉는다는 점이다. 잉크에 입자가 분산된 경우에는 이러한 특징이 더욱 심해지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래쪽의 잉크를 위쪽으로 끌어 올리는 교반이 중요하다.When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is narrow and high, the main problem with the dispersibility of ink is that heavy substances sink to the bottom rather than the top. This characteristic becomes more severe when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ink, and to solve this problem, it is important to stir the ink from the bottom to the top.

이에 본 실시예는 위쪽으로만 접히는 교반날개(221)를 적용함으로써, 교반부(200)가 위로 이동할 때에 잉크를 끌어올리는 교반이 더욱 강하게 수행되도록 구성하였다.Accordingly,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pply a stirring blade 221 that folds only upward, so that the stirring that raises the ink is performed more strongly when the stirring unit 200 moves upward.

도 7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tirring wing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wing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도 4에는 교반날개(221)가 같은 높이에서 대칭되는 2개가 돌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보다 많은 개수의 교반날개(221)가 같은 높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Figure 4 shows a case where two symmetrical stirring blades 221 are formed to protrude at the same height. However, as shown in FIG. 7, a larger number of stirring blades 221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the same height.

또한, 높이를 달리 하여 복수의 교반날개(2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 교반날개(221)의 돌출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221 may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stirring blades 221 form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ir protruding directions are staggered.

본 실시예의 교반부(200)는 위로의 이동과 아래로의 이동이 함께 수행되기 때문에, 다층으로 교반날개를 설치할 경우에 아래쪽의 잉크가 위쪽으로 교반되는 높이가 제한적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위쪽으로 접히는 교반날개를 적용하면, 잉크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힘은 줄어들고 잉크를 위로 끌어올리는 힘은 증가하기 때문에 다층으로 교반날개를 설치하여도 전체적인 상하방향의 교반이 수행될 수 있다.Since the stirring unit 200 of this embodiment performs both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lower ink is stirred upward may be limited when the stirring blades are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However, when upward folding stirring blades are applied, the force pulling the ink down decreases and the force pulling the ink upward increases, so even if the stirring blades are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overall stirr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performed.

도 9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tirring blade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본 실시예의 잉크 저장 장치는 저장부(100)와 교반부(200)로 구성된다.The ink storage device of this embodiment consists of a storage unit 100 and a stirring unit 200.

저장부(100)는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저장용기는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는 것과 함께, 잉크젯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배관라인과 외부에서 잉크를 보충 받는 보충라인 연결된다. 각종 배관의 연결 구조는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0 is a storage container that stores ink. The storage container stores ink inside and is connected to a piping line that supplies and retrieves ink to the inkjet head and a replenishment line that receives ink from the outside. Various piping connection structures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y do not impai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저장부(100)의 재질은 잉크에 의해서 변질되지 않고 잉크를 변질시키지 않는 재질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 교반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에서는 자력에 의한 교반을 방해하지 않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common to use a variety of materials for the storage unit 100 that do not deteriorate by ink and do not deteriorate ink.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tirring using magnetic force, a certain portion of the material is stirred by magnetic force. It is desirable to apply a material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저장부(10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형태가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형태인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저장 공간은 상부와 하부에서 잉크에 포함된 입자의 분산성이 차이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지만, 상부와 하부의 잉크를 순환시키기 위한 교반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구조인 점에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교반기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저장 공간에 대해서는 교반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이외에 새롭게 개발된 교반 장치들에서도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저장 공간에 적용이 어렵다. The shape of the storage unit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when the storage space in which ink is stored is narrow and high. A storage space with a narrow width and high height inevitably has a very large difference in the dispersibility of particles contained in ink at the top and bottom, but it is problematic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 agitator to circulate the ink at the top and bottom. is even more serious. Conventional typical stirrers are installed on the floor and rotate around a vertical rotation axis, so stirring efficiency is very low for narrow and high storage spaces. In addition, newly developed stirring devices are difficult to apply to narrow and high storage spaces.

교반부(200)의 설치 및 동작을 위하여, 저장부(100)의 하부에는 하부블럭(110)이 위치하고, 상부에는 상부커버(120)가 위치한다. 하부블럭(110)과 상부커버(120)의 구체적인 구조와 기능은 교반부(200)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stirring unit 200, a lower block 110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and an upper cover 120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The specific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ower block 110 and the upper cover 120 are related to the stirring unit 200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교반부(200)는 저장부(10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잉크를 교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의 교반기들이 회전을 통해서 교반을 수행하였던 것과는 달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를 교반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The stirring unit 200 is a component for stirring the ink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00,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tirs the ink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unlike conventional stirrers that perform stirring through rotation. there is.

교반부(200)는 저장부(100)의 저장 공간 하부에서 상부에 이르는 몸체를 구비하며, 몸체의 하단에는 이동자(210)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간에는 교반날개(220)가 돌출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하부스토퍼(230)와 상부스토퍼(24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저장 공간에 설치된 교반부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때 교반부의 몸체는 봉 형상이다. 저장 공간의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형태를 변형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구성요소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stirring unit 200 has a body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space 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A mover 2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a stirring wing 220 protrudes in the middle of the body. A lower stopper 230 and an upper stopper 240 are formed at the upper part of . In this embodiment, the explanation is based on the stirring unit installed in a cylindrical storage space, and in this case, the body of the stirring unit is rod-shaped. If the shape of the storage space changes, the shape can be changed without impai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also applies to other components.

이동자(210)는 본 실시예의 교반부(200)를 상하 이동 시키는 부분으로서, 자력에 의해서 교반부가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영구자석(212)이 설치된다. The mover 210 is a part that moves the stirring unit 200 up and down in this embodiment, and a permanent magnet 212 is installed so that the stirring unit can move up and down by magnetic force.

저장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블럭(110)에는 전자석(112)이 설치되며, 이동자(210)에 설치된 영구자석(212)과 전자석(112)의 자력을 이용하여 교반부(2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블럭(110)에 설치된 전자석(112)의 자극 방향을 변경하거나 자력을 변경하면, 전자석(112)의 자력에 영향을 받는 영구자석(212)이 설치된 이동자(210)의 위치가 위 아래로 이동하며, 이동자(210)의 이동에 따라서 교반부(200)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An electromagnet 112 is installed in the lower block 11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stirring unit 200 is stirred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212 and the electromagnet 112 installed on the mover 210. It can be moved up and down. Specifically, when the magnetic pol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112 installed in the lower block 110 is changed or the magnetic force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mover 210 on which the permanent magnet 212, which is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is installed, moves up and down. moves, and the entire stirring unit 20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r 210.

이때, 방사형으로 퍼지는 자력장의 특성상, 이동자(210)가 상하 운동하는 과정에서 좌우로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At this time, due to the nature of the magnetic field that spreads radially, the mover 210 may tend to deviate to the left or right while moving up and dow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이동자(210)를 역원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전자석(112)의 자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동자(210)의 중심이 과도하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s the mover 210 in an inverted cone shape to prevent the center of the mover 210 from deviating excessively even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changes.

또한, 교반부(200)가 과도하게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스토퍼(230)를 형성하였다. 하부스토퍼(230)는 저장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부스토퍼(230)가 저장부(100)의 상부커버(120) 하면과 접촉하는 이상으로 교반부(200)가 올라가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dditionally, a lower stopper 230 was formed to prevent the stirring unit 200 from moving upward excessively. The lower stopper 230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unit 100 and controls the stirring unit 200 to not rise beyond the lower stopper 230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20 of the storage unit 100. performs its function.

나아가 교반부(200)가 과도하게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스토퍼(240)를 형성하였다. 상부스토퍼(240)는 저장부(1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부스토퍼(240)가 저장부(100)의 상부커버(120) 상면과 접촉하는 이하로 교반부(200)가 내려가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교반부(200)의 이동자(210)가 저장 공간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경우에 이동자(210)를 구성하는 물질이 잉크에 섞여 들어갈 수도 있고, 잉크에 포함된 나노로드 등의 입자물질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상부스토퍼(240)를 형성하여 이동자(210)가 저장 공간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교반부(2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면, 상기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an upper stopper 240 was formed to prevent the stirring unit 200 from moving excessively downward. The upper stopper 240 is located outside the storage unit 100 and controls the stirring unit 200 not to go below the level where the upper stopper 24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20 of the storage unit 100. performs the function of When the mover 210 of the stirring unit 20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mover 210 may be mixed into the ink, and particle materials such as nanorods contained in the ink may be damaged. Problems may arise. By forming the upper stopper 240 to limit the movement range of the stirring unit 200 to prevent the mover 210 from contacting the floor of the storage space, the above problems can be prevented.

이때, 상부스토퍼(24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교반부(200)의 위쪽 일부가 상부커버(120)를 관통하여야 한다. 상부커버(120)의 관통부분으로 교반부(200)의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교반부(200)가 저장부(100)의 중심점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동자(210)의 역원뿔형 구조와 상부커버(120)를 관통하는 구조에 의해서, 교반부(200)는 자기장에 의해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좌우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stall the upper stopper 240, the upper part of the stirring unit 200 must penetrate the upper cover 120. Since the position of the stirring unit 200 is limited to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120,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tirring unit 200 from deviating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storage unit 100 can be obtained. Finally, due to the inverted cone-shaped structure of the mover 210 and the structure penetrating the upper cover 120, the stirrer 200 is restric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and moves up and down despite being moved by the magnetic field.

본 실시예는 교반날개(220)에 잉크가 위쪽으로 지나갈 때에만 개방되는 판막(222)이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예를 들면, 도시된 것과 같이, 판막(222)은 원판형의 교반날개(220)에 형성된 관통공을 위쪽에 덮고 있으며, 위쪽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하여 아래쪽의 잉크가 위로 올라갈 때에는 개방되지만, 위쪽의 잉크가 아래로 내려올 때에는 닫히는 구조이다.In this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a valve 222 is formed on the stirring blade 220 that opens only when ink passes upward is applied. For example, as shown, the valve 222 covers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isc-shaped stirring blade 220 at the top, and is bent only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at it opens when the ink at the bottom rises upward, but the valve 222 is bent only in the upward direction. It has a structure that closes when the ink goes down.

교반부(200)가 상하로 움직일 때에 교반날개(220)가 함께 움직이면서 잉크를 교반하지만, 교반부(200)가 아래로 움직일 때에는 잉크의 저항에 의해서 판막(222)이 개방되면서 잉크를 아래로 밀어내는 효과가 감소하고, 교반부(200)가 위로 움직일 때에는 잉크의 저항에 의해서 판막(222)이 닫히면서 잉크를 위로 끌어올리는 효과가 증가한다.When the stirring part 200 moves up and down, the stirring wing 220 moves together to stir the ink, but when the stirring part 200 moves downward, the valve 222 opens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ink and pushes the ink downward. The effect of pulling the ink upward decreases, and when the stirring unit 200 moves upward, the valve 222 closes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ink, and the effect of pulling the ink upward increases.

도 11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up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down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석(112)의 자력이 이동자(210)의 영구자석(212)을 밀어내면, 교반부(200)는 위쪽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pushes the permanent magnet 212 of the mover 210, the stirring unit 200 moves upward.

이때, 교반부(200)의 측면에 돌출된 교반날개(220)에 위치한 판막(222)은 잉크의 저항에 의해서 관통공을 폐쇄한 상태가 되며, 교반날개(200)의 전체면으로 잉크와 접촉하기 때문에 잉크를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교반효과를 강하게 나타낸다.At this time, the valve 222 located on the stirring wing 220 protruding on the side of the stirring unit 200 has the through hole closed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ink,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stirring wing 200 is in contact with the ink. Because of this, it has a strong agitation effect that pulls the ink upward.

반면에, 전자석(112)의 자력이 약해지거나 반대방향으로 변경되면, 이동자(210)의 영구자석(212)을 밀어내는 힘이 약해지거나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반부(200)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12 is weakened or changed to the opposite direction, the force pushing the permanent magnet 212 of the mover 210 is weakened or a pulling force is applied, causing agitation, as shown in FIG. 12. Part 200 moves downward.

본 실시예의 판막(222)은 교반날개(220)의 위쪽을 덮으면서 접히는 구성이기 때문에, 교반부(200)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잉크의 저항을 받으면 판막(222)이 관통공을 개방한다. 판막(222)이 열리면 관통공으로 잉크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원판형상의 교반날개(220)에서 잉크에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면서, 잉크를 아래쪽으로 끌어내리는 교반효과는 약해진다.Since the valve 222 of this embodiment is folded while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irring blade 220, when the stirring part 200 moves downward and receives resistance from the ink, the valve 222 opens the through hole. When the valve 222 is opened, ink can move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ink on the disk-shaped stirring blade 220 decreases, and the stirring effect that draws the ink downward becomes weaker.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형태가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형태인 경우에서 잉크의 분산성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상부보다 하부로 무거운 물질이 가라앉는다는 점이다. 잉크에 입자가 분산된 경우에는 이러한 특징이 더욱 심해지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래쪽의 잉크를 위쪽으로 끌어 올리는 교반이 중요하다.When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is narrow and high, the main problem with the dispersibility of ink is that heavy substances sink to the bottom rather than the top. This characteristic becomes more severe when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ink, and to solve this problem, it is important to stir the ink from the bottom to the top.

이에 본 실시예는 일 방향으로만 열리는 판막(222)을 교반날개(220)에 적용함으로써, 교반부(200)가 위로 이동할 때에 잉크를 끌어올리는 교반이 더욱 강하게 수행되도록 구성하였다.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valve 222 that opens only in on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stirring blade 220, so that when the stirring unit 200 moves upward, the stirring to raise the ink is performed more strongly.

도 13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 사용된 교반날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tirring blade use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는 교반날개(220)가 하나만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높이를 달리 하여 복수의 교반날개(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 교반날개(220)에 형성된 관통공과 판막(222)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ure 10 shows a case where only one stirring blade 220 is provided, but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220 may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n this case, through holes and valves formed in the stirring blades 220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t is desirable to arrange the positions of (222) so that they are staggered.

본 실시예의 교반부(200)는 위로의 이동과 아래로의 이동이 함께 수행되기 때문에, 다층으로 교반날개를 설치할 경우에 아래쪽의 잉크가 위쪽으로 교반되는 높이가 제한적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일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판막을 적용하면, 잉크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힘은 줄어들고 잉크를 위로 끌어올리는 힘은 증가하기 때문에 다층으로 교반날개를 설치하여도 전체적인 상하방향의 교반이 수행될 수 있다.Since the stirring unit 200 of this embodiment performs both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lower ink is stirred upward may be limited when the stirring blades are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However, if a valve that is open in only one direction is applied, the force pulling the ink down decreases and the force pulling the ink upward increases, so even if stirring blades are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overall agi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performed.

도 14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저장 장치에서 교반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unit moving up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moving downward in the in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네 번째 실시예는,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위로만 접히는 교반날개(221)와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일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판막(222)이 형성된 교반날개(220)를 하나씩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irring blade 221 that folds only upwar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a stirring blade 220 formed with a valve 222 that opens only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o it as

교반날개의 구조에 따라서 잉크를 끌어올리는 힘과 잉크를 끌어내리는 힘에서 차이가 있으며, 교반부(200)의 상부에 설치하였을 때에 더 효과가 좋은 경우와 교반부(200)의 하부에 설치하였을 때에 더 효과가 좋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교반날개를 함께 사용하면서, 각 날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높이에 설치함으로써 각 날개의 효과와 장점을 이용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tirring wing,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rce to pull up the ink and the force to pull down the ink. It is more effective when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stirring part 200 and when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irring part 200. There are cases where it works better. Therefore, while using different types of stirring blades together, the effects and advantages of each blade can be utilized by installing them at a height that can increase the effect of each blad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not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저장부
110: 하부블럭
112: 전자석
120: 상부커버
200: 교반부
210: 이동자
212: 영구자석
220,221: 교반날개
222: 판막
230: 하부스토퍼
240: 상부스토퍼
100: storage unit
110: Lower block
112: electromagnet
120: Top cover
200: stirring unit
210: mover
212: Permanent magnet
220,221: Stirring wing
222: valve
230: Lower stopper
240: Upper stopper

Claims (4)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잉크젯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로서,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자석이 설치된 하부블럭;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잉크를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고 일부는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고 영구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의 자력과 영구자석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교반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자;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 내부로 돌출된 교반날개;
상기 몸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윗면에 접촉하여 교반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범위를 제한하는 상부 스토퍼; 및
상기 몸체에서 상기 상부커버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커버의 아랫면에 접촉하여 교반부가 위로 올라가는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저장 장치.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k to supply ink to an inkjet head equipped with a nozzle for ejecting ink,
A lower block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and an electromagnet installed therein;
An upper cover located above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It includes a stirring part that moves up and down in the storage space where the ink is stored and agitates the ink,
The stirring part,
A body locat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and a portion of the body exposed through the upper cover;
A mov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nd equipped with a permanent magnet, which moves the stirrer up and down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and the permanent magnet;
a stirring wing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body into a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An upper stopper located at the top of the body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to limit the downward range of the stirring unit; and
An ink storage device for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wer stopper located below the upper cover in the body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stirring unit moves up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는 단면이 역삼각형 형태이고,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바닥면이 이동자의 단면에 대향되도록 중심부가 오목한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저장 장치.
In claim 1,
The mover has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An ink storage device for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where ink is stored is a concave inclined surface at the center so as to face the cross section of the m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가 위쪽방향으로만 접히도록 구성하여, 교반부가 아래로 이동할 때에는 교반 날개가 접히고, 교반부가 위로 이동할 때에는 교반 날개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저장 장치.
In claim 1,
An ink storage device for an inkjet printer, wherein the stirring wing is configured to fold only in an upward direction, so that when the stirring part moves downward, the stirring wing folds, and when the stirring part moves upward, the stirring wing unfold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는 일 방향으로만 열리는 판막이 형성되어, 교반부가 아래로 이동할 때에는 판막이 열리고, 교반부가 위로 이동할 때에는 판막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저장 장치.
In claim 1,
The stirring blade is formed with a valve that opens in only one direction, so that the valve opens when the stirrer moves downward and closes when the stirrer moves upward.
KR1020210192686A 2021-12-30 2021-12-30 Vertical stirring type ink storage unit KR102585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86A KR102585544B1 (en) 2021-12-30 2021-12-30 Vertical stirring type ink storag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86A KR102585544B1 (en) 2021-12-30 2021-12-30 Vertical stirring type ink storage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501A KR20230102501A (en) 2023-07-07
KR102585544B1 true KR102585544B1 (en) 2023-10-10

Family

ID=8715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686A KR102585544B1 (en) 2021-12-30 2021-12-30 Vertical stirring type ink storag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54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3371A1 (en) 2000-09-13 2003-03-20 Reto Schoeb Magnetic stirring apparatus and an agit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8517A (en) * 1958-04-28 1960-11-01 Bellco Glass Inc Vessel for tissue culture and the like comprising a magnetic stirrer
WO2015012356A1 (en) 2013-07-25 2015-01-29 石原産業株式会社 Metallic copper dispers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usage for same
KR20160007124A (en) 2014-07-11 2016-01-20 표현학 Inkjet insulating material composition and using this ink-jet insulating printing method
JP2016190981A (en) 2015-03-31 2016-11-10 日信化学工業株式会社 Ink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3371A1 (en) 2000-09-13 2003-03-20 Reto Schoeb Magnetic stirring apparatus and an agit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501A (en)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664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 formed body
Castrejon-Pita et al. Futur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inkjet technologies
KR101989375B1 (en) Ink circulation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ink-jet head
US20200180322A1 (en) Ink container for inkjet printer
US8070272B2 (en) Liquid container adapted to be mounted on a carriage to reciprocate together with a liquid ejecting head
KR102585544B1 (en) Vertical stirring type ink storage unit
KR102525314B1 (en) Liquid ejection head,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module
CN107709026A (en) Ink jet printing method, water-based ink
JP5195544B2 (en) Liquid container
KR102301582B1 (en) Ink storage unit capable of stirring ink by ink circulation
WO2006068036A1 (en) Liquid ejector
KR102530985B1 (en) Liquid ejection head, liquid ejection module,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KR20220038890A (en) Ink storage tank of inkjet printer including agitating device for improving dispersion stability
KR102525781B1 (en) Liquid ejection head, liquid ejection module,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CN202115112U (en) Liquid-holding container
JP4715214B2 (en) Liquid discharge head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JPH11124525A (en) Ink composition for ink jet recording method, its utilization and recording device therewith
KR102090552B1 (en) Manifold and ink circulation supply pump system for ink-jet printer with the same
US20240165958A1 (en) Ink storage apparatus with rotating type ink storage pouch and ink-jet printer having same
JP5768325B2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KR20240076300A (en) Ink storage apparatus with rotating type ink storage pouch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JP2007130813A (en) Liquid container
JP5786063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WO2019225675A1 (en) Reaction product manufacturing device and reaction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JP2005060506A (en) Colora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image formation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