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490B1 -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 Google Patents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490B1
KR102585490B1 KR1020160116549A KR20160116549A KR102585490B1 KR 102585490 B1 KR102585490 B1 KR 102585490B1 KR 1020160116549 A KR1020160116549 A KR 1020160116549A KR 20160116549 A KR20160116549 A KR 20160116549A KR 102585490 B1 KR102585490 B1 KR 10258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outlet nozzle
supply device
magne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5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8777A (en
Inventor
주정현
노형원
조나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90B1/en
Publication of KR2018002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4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물이 이동하는 출수 배관이 내장된 출수부; 상기 출수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출수 배관에 연통되며, 사용자에게 물이나 스팀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출수 노즐; 상기 출수부의 외곽을 둘러싸는 손잡이; 상기 출수부의 하측면에 마련된 출수부 자석; 상기 출수부의 일단에 탈장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 자석에 부착가능한 커버 자석과, 상기 커버 자석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 노즐을 수용해서 상기 출수 노즐의 일단을 밀폐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출수 노즐 커버;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a water outlet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cabinet and having a built-in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moves from the cabinet; a water outlet nozzl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water outlet, communicates with the water outlet pipe, and selectively discharges water or steam to a user; a handle surrounding the exterior of the water outlet; A water outlet magne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outlet unit; A cover magnet detach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water outlet, attachable to the magnet of the water outlet, and a recessed portion fixed to the cover magnet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outlet nozzle and sealing one end of the water outlet nozzle.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water outlet nozzle cover is provided.

Description

음용수 공급 장치{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Drinking water supply device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수 노즐을 세척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cleaning a water outlet nozzle.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마시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자적인 장치일 수 있으며, 다른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s a device that supplies drinking water to users. This drinking water supply may be a stand-alone device or it may form part of another device.

예를 들어, 정수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 내로 통과시킨 후 필터링을 해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울러, 정수된 물을 사용자가 필요 시 냉수나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 또한 정수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다른 가전제품과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다. For example,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passes raw water supplied from a tap through a separate filtration means, filters it, and supplies purified water to the user. In addition, a device that supplies purified water as cold or hot water when the user needs it can also be called a water purifier. The water purifier may be a device independent of other home appliances.

한편,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를 이룰 수도 있다. 즉,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장치를 통해 정수된 물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된 물이 냉각되거나 냉동되어 냉수나 얼음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Meanwhile, such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may form part of a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That is, water purified inside the refrigerator through a water purification device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Of course, purified water inside the refrigerator may be cooled or frozen, and cold water or ice may be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음용수 공급장치는 다른 장치와 독립성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외부에서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인 디스펜서를 갖는 장치라 할 수 있다.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s provided so that users can receive drinking water from an external source, regardless of whether it is independent of other device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o be a device that has a dispenser, which is a space where drinking water is supplied.

이러한 음용수 공급 장치에서 물이 출수되는 노즐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묻어서 오염된 경우에 오염된 물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Since the nozzl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is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if it is contaminated with foreign substances, contaminated wate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이 출수되는 출수 노즐을 세척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cleaning a water outlet nozzl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은 출수 노즐을 세척할 때에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improve cleaning efficiency when cleaning a water outlet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출수 노즐을 세척할 때에 스팀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be safely used because steam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when cleaning the water outlet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출수 노즐의 외부를 스팀에 의해서 세척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clean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nozzle with stea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물이 이동하는 출수 배관이 내장된 출수부; 상기 출수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출수 배관에 연통되며, 사용자에게 물이나 스팀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출수 노즐; 상기 출수부의 외곽을 둘러싸는 손잡이; 상기 출수부의 하측면에 마련된 출수부 자석; 상기 출수부의 일단에 탈장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 자석에 부착가능한 커버 자석과, 상기 커버 자석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 노즐을 수용해서 상기 출수 노즐의 일단을 밀폐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출수 노즐 커버;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 water outlet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cabinet and having a built-in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moves from the cabinet; a water outlet nozzl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water outlet, communicates with the water outlet pipe, and selectively discharges water or steam to a user; a handle surrounding the exterior of the water outlet; A water outlet magne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outlet unit; A cover magnet detach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water outlet, attachable to the magnet of the water outlet, and a recessed portion fixed to the cover magnet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outlet nozzle and sealing one end of the water outlet nozzle.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water outlet nozzle cover is provided.

상기 출수 노즐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수용부와, 상기 필터 수용부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필터 수용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filter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filter for purify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is installed, and a filter accommodating part cover that seals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from the outside.

상기 필터 수용부에는 두 개의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필터 사이에는 상기 커버 자석이 부착가능한 필터 수용부 자석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Two filters may be provid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a filter accommodating magnet to which the cover magnet can be attache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filters.

상기 필터 수용부 자석은, 상기 두 개의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접촉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제1외곽면과, 상기 커버 자석에 면접촉되도록 평면을 이루는 제2외곽면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The filter accommodating magnet may be formed with a first outer surface that is curved to contact the connector connecting the two filters, and a second outer surface that is flat to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cover magnet.

상기 출수부에는 하측에 상기 출수 노즐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광원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hat the water outlet part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disposed below to surround the water outlet nozzle.

상기 광원은 상기 출수 노즐에서 스팀이 배출될 때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light source is capable of emitting light when steam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nozzle.

상기 출수 노즐 커버는, 상기 함몰부에서 상기 커버 자석의 반대편으로 연장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water discharge nozzl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cessed portio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ver magnet.

상기 표시부는 음각으로 새겨진 무늬가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may have an engraved pattern formed thereon.

상기 함몰부와 상기 표시부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The recessed portion and the display portion may be made of the same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상기 함몰부는, 하방을 향해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보다 수직하게 하방을 향해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epression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perpendicularly downward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that finishe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do.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경사부에서 연장된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portion may extend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상기 출수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출수부의 일단과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The water outlet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and the handle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water outlet.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상기 광원은 상기 출수 노즐의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The light source may be arranged to form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outlet nozzle.

상기 함몰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의 수평 단면은 상기 출수 노즐의 직경보다 큰 단면을 가지고, 상기 수용 공간의 수직 단면은 상기 출수 노즐의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보다 큰 깊이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depression may have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nozzle, and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may have a depth greater than the length protruding downward of the water outlet nozzle.

상기 손잡이의 단면은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일단이 굴곡지게 휘어지며, 상기 일단과 상기 출수부의 일단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The cross section of the handl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ar, one end of the handle is curved, and a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ne end and one end of the water outlet.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이 출수되는 출수 노즐이 스팀에 의해서 세척될 수 있어서, 출수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outlet nozzl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can be cleaned with steam,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outlet nozzle from being contaminated.

또한 본 발명은 출수 노즐을 스팀에 의해서 세척할 때에 출수 노즐이 특정 공간에 밀폐될 수 있어서, 세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leaning the water outlet nozzle with steam, the water outlet nozzle can be sealed in a specific space, so clea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스팀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아서, 사용자가 스팀에 의해서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steam is not exposed to the user, so problems such as the user being burned by the steam do not occu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
도 2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필터 수용부 커버를 분리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출수 코크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의 제어 블럭도.
도 7은 일 실시예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1 i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view of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cover removed.
Figure 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ain points of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view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outlet cock cover is installed.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one embodiment.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이다.1 i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at supplies purified water to a user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다수 개의 버튼(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17)을 조작해서 사용자는 음용수 공급 장치로부터 물을 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abinet 10 forming the exteri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17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0. By operating the button 17, the user can discharge water from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에는 상기 캐비닛(10)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물이 이동하는 출수 배관이 내장된 출수부(100)와, 상기 출수부(100)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출수 배관에 연통되며, 사용자에게 물이나 스팀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출수 노즐(110)과, 상기 출수부(100)의 외곽을 둘러싸는 손잡이(120)이 구비된다.In front of the cabinet 10, a water outlet portion 10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cabinet 10 and has a built-in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moves from the cabinet 10, and downward to the water outlet portion 100. A water outlet nozzle 110 is formed to protrude, communicates with the water outlet pipe, and selectively discharges water or steam to a user, and a handle 12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is provided.

상기 출수부(100)는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로 상기 출수부(1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출수부(100)는 회전부(20)을 통해서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출수부(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water outlet 100 is arrang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water outlet 10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a desired position. The water outlet 100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rotating part 20. At this time, the rotating unit 20 may provid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water outlet unit 100 to rotate.

상기 출부부(10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출수부(100)에서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을 때에, 컵 등의 용기를 상기 캐비닛(10)의 제약을 받지 않고 쉽게 위치시킬 수 있다.The outlet 100 is arrang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10, so that when a user receives water supplied from the outlet 100,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placed within the constraints of the cabinet 10. It can be easily positioned without being touched.

상기 출수 노즐(110)은 상기 출수부(100)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물이 배출되는 부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 노즐(110)의 하방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위치시켜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disposed to be exposed downward from the water outlet 1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art where water is discharged. Therefore, water can be supplied by placing a container for holding water below the water outlet nozzle 110.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출수부(100)의 외곽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20)에 손을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출수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handle 12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100,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water outlet 100 while touching the handle 120 with his or her hand.

한편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출수부(100)의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출수부(100)의 상부는 상기 손잡이(120)에 감싸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le 12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water outlet 10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water outlet 100 is not wrapped by the handle 120 and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출수 노즐(110)의 하단은 상기 손잡이(120)의 하부보다 더 낮게 돌출되어서, 상기 출수부(100) 및 상기 손잡이(12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protrudes low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handle 120 and may be exposed downward from the water outlet 100 and the lower end of the handle 120.

상기 출수부(100)의 하부에는 떨어지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트레이(30)이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3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측에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어서, 상기 슬릿을 통해 내부로 물이 이동될 수 있다.A tray 30 capable of receiving falling water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water outlet 100. The tray 30 has a space inside, and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so that water can move inside through the slits.

도 2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필터 수용부 커버를 분리한 도면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며, 도 5는 출수 코크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n embodiment, Figure 3 is a view with the filter housing cover removed, Figure 4 is a view explaining the main part of an embodiment, and Figure 5 is a view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cock cover is installed. am.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출수부(100)에는 하측면에 출수부 자석(130)이 구비된다. 상기 출수부 자석(130)은 자력을 띄고, 상기 출수부(10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2, the water outlet unit 100 is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magnet 130 on the lower side. The water outlet magnet 130 exhibits magnetic force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groove formed in the water outlet unit 100.

상기 출수부 자석(130)이 설치되는 홈은 상기 출수부(100)의 일단이 아니라, 상기 출수부(100)의 중간에 배치되되, 상기 출수 노즐(110)이 위치한 부분에 치우치도록 위치할 수 있다.The groove in which the water outlet magnet 130 is installed is not at one end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but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is located to be biased toward the portion where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located. You can.

상기 홈은 상기 출수부 자석(130)의 돌출된 형상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출수부 자석(130)이 하방으로 크게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rotruding shape of the water outlet magnet 130 is inserted, so that the water outlet magnet 130 may not protrude significantly downward.

상기 출수부(100)에는 상기 출수 노즐(1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광원(140)이 구비된다. 상기 광원(140)은 상기 출수부(100)의 하측에 상기 출수 노즐(1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광원(140)은 다수 개의 엘이디로 구비되어서, 상기 광원(140)이 배치된 형상에 따라 빛을 조사할 수 있다.The water outlet unit 100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140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The light source 140 is disposed below the water outlet portion 100 to surround the water outlet nozzle 110 . The light source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s and can emit light according to the shape in which the light source 140 is arranged.

상기 광원(140)은 상기 출수 노즐(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광원(140)은 상기 출수부(100)에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출수 노즐(110)의 둘레를 따라 빛을 제공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140 may be arranged to form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The light source 140 is arranged to form a circle in the water outlet 100 and can provide l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상기 출수 노즐(110)은 상기 광원(140)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물을 공급받을 때에 용기를 상기 출수 노즐(110)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광원(140)에 의해서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arrang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ight source 140, so that when the user receives water, the user moves the container below the water outlet nozzle 110 to prevent interference by the light source 140. You may not receive it.

상기 출수부(100)는 상기 회전부(2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20)가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는 부분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2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캐비닛(10)의 외관 형상은 변화되지 않는다.The water outlet 100 is arranged to pass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20. The rotating part 2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cabinet 10. Since the portion where the rotating part 20 is installed in the cabinet 10 has an overall circular cross-section, the external shape of the cabinet 10 does not change even if the rotating part 20 is rotated.

상기 출수부(10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부(20)도 함께 회전되지만 상기 회전부는(20)는 원형 단면을 이루기 때문에 회전되었는지를 쉽게 알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음용수 공급 장치의 외관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미려함이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water outlet 100 is rotated, the rotating part 20 is also rotated, but since the rotating part 2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it is not easy to tell whether it has been rotated. Accordingly, because the appearanc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ppears to be maintained constant to the user, aesthetics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수 노즐(110)을 밀폐할 수 있는 출수 노즐 커버(200)가 제공된다. In one embodiment, a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that can seal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provided.

상기 출수 노즐(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이 배출되거나 스팀이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출수 노즐(110)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출수 노즐(110)에서 스팀이 배출되도록 해서 상기 출수 노즐을 살균 세척할 수 있다. 스팀은 상온보다 높은 고온이기 때문에 출수 노즐을 통해서 배출되는 경우에 출수 노즐이 스팀이 이동되는 부분은 물론 출수 노즐의 외곽도 스팀으로 살균 세척될 수 있다.The water outlet nozzle 110 may discharge water or steam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That is, the user can receive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110. Additionally, the user can sterilize and clean the water outlet nozzle 110 by allowing steam to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nozzle 110. Since steam has a high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when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not only the part of the water outlet nozzle where the steam moves but also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nozzle can be sterilized and cleaned with steam.

상기 출수 노즐(110)을 통해서 스팀이 배출될 때에 상기 출수 노즐 커버(200)는 상기 출수 노즐(110)을 통해서 스팀이 배출되더라도, 상기 출수 노즐(110)의 외주면에 인접한 공간 내에만 존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출수 노즐 커버(200)는 상기 출수 노즐(110)의 일단에 밀폐된 공간을 만들어서, 상기 출수 노즐(110)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이 상기 출수 노즐(110)의 외곽만을 살균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When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110, 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is configured to exist only in a space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even if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110. do. That is, 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creates a sealed space at one end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so that steam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nozzle 110 can sterilize and clean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

상기 출수 노즐 커버(200)는 상기 출수부(100)의 일단에 탈장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수 노즐 커버(200)는 상기 출수부 자석(130)에 부착가능한 커버 자석(210)과, 상기 커버 자석(210)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 노즐(110)을 수용해서 상기 출수 노즐(110)의 일단을 밀폐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함몰부(220)를 포함한다.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may be detach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includes a cover magnet 210 attachable to the water outlet magnet 130, and is fixed to the cover magnet 210 and accommodates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t includes a recessed portion 220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at seals one end.

상기 함몰부(220)는 하방을 향해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222)와, 상기 제1경사부(222)보다 수직하게 하방을 향해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224) 및와, 상기 제2경사부(224)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220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222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 second inclined portion 224 formed to be inclined vertically downward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It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226 that finishes the bottom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24.

상기 함몰부(22)는 상기 제1경사부(222), 상기 제2경사부(224) 및 상기 바닥부(226)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수용 공간을 형성해서, 상기 출수 노즐(110)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서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22 forms a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24, and the bottom portion 226, and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It can be accommodated in and sealed from the outside.

상기 출수 노즐 커버(220)는 상기 함몰부(220)에서 상기 커버 자석(210)의 반대편으로 연장되는 표시부(230)를 더 포함한다. The water discharge nozzle cover 220 further includes a display portion 230 extending from the recessed portion 220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ver magnet 210.

즉 상기 출수 노즐 커버(220)는 상기 함몰부(2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는 상기 커버 자석(210)이 마련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표시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discharge nozzle cover 220 may be provided with the cover magnet 210 on one side centered on the recessed portion 220 and the display portion 230 on the other side.

상기 표시부(230)는 음각으로 새겨진 무늬가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The display unit 230 may have an engraved pattern formed thereon.

상기 함몰부(220)와 상기 표시부(230)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광원(140)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함몰부(220)를 통해서 상기 표시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220 and the display portion 230 are made of the same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40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portion 230 through the recessed portion 220. there is.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제1경사부(222)에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경사부(222)는 상기 함몰부(220)에서 가장 넓은 크기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230)가 상기 제1경사부(222)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함몰부(2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display portion 230 may extend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Since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exists at the widest size in the recessed portion 220, the display portion 230 extends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and is stable in the recessed portion 220. can be combined.

상기 함몰부(220)는 상기 광원(140)에서 빛이 조사될 때에, 조사되는 빛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될 수 있도록 음각으로 표시된 무늬(232)를 포함할 수 있다.When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40, the recessed portion 220 may include a pattern 232 that is engraved so that the irradiated light can be refracted at various angles.

상기 출수 노즐 커버(220)는 상기 커버 자석(210)은 상기 출수부 자석(130)에 자력에 의해서 탈부착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반면에, 상기 표시부(230)와 상기 함몰부(22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서, 복수 개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2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water outlet magnet 130 by magnetic force, while the cover magnet 210 is transparent. It is made of plastic material, so it is possible to be composed of multiple materials.

상기 손잡이(120)는 그 단면이 사각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0)는 일단이 굴곡지게 휘어지고, 그 일단과 상기 출수부(100)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handle 120 may have a square bar shape in cross section. The handle 120 can be arranged so that one end is curved and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water outlet 100.

즉 상기 회전부(20)로부터 상기 출수부(100)가 연장된 부분보다, 상기 회전부(20)로부터 상기 손잡이(120)가 연장된 부분이 길어서, 상기 출수부(100)와 상기 손잡이(120)의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That is, the part where the handle 120 extends from the rotary part 20 is longer than the part where the water outlet 100 extends from the rotary part 20, so that the water outlet 100 and the handle 120 There may be space in between.

상기 함몰부(220)에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의 수평 단면은 상기 출수 노즐(110)의 직경보다 큰 단면을 가지고, 상기 수용 공간의 수직 단면은 상기 출수 노즐(110)의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보다 큰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220)는 상기 출수 노즐(110)의 일단을 마감하면서, 상기 출수부(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depression 220 has a cross-sec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and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is larger than the length protruding downward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t can have depth. Accordingly, the depression 22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100 while finishing one end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에는 상기 출수 노즐(110)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320)가 설치되는 필터 수용부(300)와, 상기 필터 수용부(300)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필터 수용부 커버(310)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3, the front of the cabinet 10 includes a filter accommodating part 300 in which a filter 320 is installed to purify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110, and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00. A filter housing cover 310 is provided to seal the filter from the outside.

상기 필터 수용부 커버(31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출수부(100)와 함께 상기 필터 수용부 커버(31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The filter accommodating cover 310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10, so that a user can easily access the filter accommodating cover 310 together with the water outlet 100.

상기 필터 수용부(300)에는 두 개의 필터(320)가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필터 사이에는 상기 커버 자석이 부착가능한 필터 수용부 자석(340)이 구비된다.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00 is provided with two filters 320, and a filter accommodating magnet 340 to which the cover magnet can be attached is provided between the two filters.

상기 두 개의 필터(320)는 연결관(330)에 의해서 연결되어서, 물이 상기 두 개의 필터(320)를 차례대로 통과할 수 있다.The two filters 320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pipe 330, so that water can pass through the two filters 320 in turn.

상기 필터 수용부 자석(340)은 상기 연결관(330)에 설치되어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 수용부 커버(310)을 제거한 후에, 상기 필터 수용부 자석(340)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The filter accommodating magnet 340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33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filter accommodating magnet 340 after removing the filter accommodating cover 310.

한편 상기 필터 수용부 자석(340)은 상기 연결관(330)에 접촉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제1외곽면(342)과, 상기 커버 자석(210)에 면접촉되도록 평면을 이루는 제2외곽면(3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 자석(340)은 상기 연결관(330)에 접촉하는 면과 상기 커버 자석(210)에 접촉하는 면이 상이하게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filter accommodating magnet 340 has a first outer surface 342 that is curved to contact the connector 330, and a second outer surface 344 that is flat to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cover magnet 210. ) can be formed. The filter accommodating magnet 340 has a different surface from a surface contacting the connector 330 and a surface contacting the cover magnet 21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함몰부(220)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커버 자석(210)이 배치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표시부(230)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4, the cover magnet 210 is disposed on one side centered on the recessed portion 220, and the display portion 2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제1경사부(222)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광원(140)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함몰부(220)를 통과한 후에 상기 표시부(232)로 이동될 수 있다.Since the display portion 230 extends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40 may pass through the recessed portion 220 and then move to the display portion 232.

상기 함몰부(220)는 상기 출수 노즐(110)의 일단이 완전히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출수 노즐(110)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상기 함몰부(220)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함몰부(22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출수 노즐(110)에 대해서 살균 세척이 이루어지는 동안, 사용자가 상기 출수 노즐(110)에서 배출되는 스팀에 의해서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없어서,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Since the depression 220 completely accommodates one end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e nozzle 110 does not escape the depression 220 and is outside of the depression 220. does not leak. Therefore, while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being sterilized and cleaned, there is no possibility of the user being injured by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nozzle 110, and the user's safety can be guaranteed.

또한 스팀은 상온에 노출되면 즉시 온도가 하강해서 세척력이 저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수 노즐(110)이 상기 함몰부(220)에 의해서 밀폐되므로 스팀이 상온에 바로 노출되지 않아서 상기 출수 노즐(110)의 외곽을 세척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steam is exposed to room temperature, its temperature immediately drops and its cleaning power may be reduced. In one embodiment, since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sealed by the depression 220, the steam is not immediately exposed to room temperature, so it is possible to secure enough time to clean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nozzle 110. .

또한 상기 세척 노즐(110)에서 배출되는 스팀에 의해서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물방울이 상기 출수 노즐(110)로부터 떨어지지 않아서, 사용자가 상기 출수 노즐(110)이 깨끗하게 유지된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leaning is completed by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cleaning nozzle 110, water droplets do not fall from the water outlet nozzle 110, so the user can get the impression that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kept clean.

도 5a는 상기 출수부(100)의 일단을 하측에서 바라보고, 출수 노즐 커버를 설치하지 않은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출수 노즐 커버(200)를 설치한 도면이다. FIG. 5A is a view of one end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viewed from below without 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installed, and FIG. 5B is a diagram with 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installed in FIG. 5A.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출수부(100)의 일단과 상기 손잡이(120)의 일단은 공간(104)가 마련된다. 상기 공간(104)에는 상기 출수부(100)와 상기 손잡이(120)가 배치되지 않고 빈 공간을 이룬다. As shown in FIG. 5A, a space 10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water outlet 100 and one end of the handle 120. The water outlet 100 and the handle 120 are not disposed in the space 104, forming an empty space.

도 5b와 같이, 상기 공간(104)에는 상기 표시부(230)가 삽입된다. 즉 상기 공간(104)과 상기 표시부(230)는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공간(104)에 삽입되는 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b, the display unit 230 is inserted into the space 104. That is, the space 104 and the display unit 230 have corresponding shapes, so the display unit 230 can be moun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104.

이때 상기 출수 노즐(110)은 상기 함몰부(220)에 의해서 밀폐되면서, 상기 출수 노즐(110)에서 배출되는 스팀은 상기 함몰부(220) 내에서 냉각되어 액체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sealed by the depression 220, and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nozzle 110 may be cooled within the depression 220 and converted into liquid form.

상기 출수부 자석(130)에는 상기 커버 자석(210)이 부착되어서, 상기 출수 노즐 커버(200)가 상기 출수부(100)으로부터 탈거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The cover magnet 210 is attached to the water outlet magnet 130, so that 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can be fixed without being removed from the water outlet unit 100.

도 6은 일 실시예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and FIG. 7 is a diagram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one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출수 노즐(11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스팀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70 may supply water or steam to the water outlet nozzle 110.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 노즐(110)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50)를 구비한다. 상기 물 공급부(50)는 외부 수도관에 연결되어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캐비닛(10)의 내에 설치되는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a water supply unit 50 is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outlet nozzle 110. The water supply unit 5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to receive water.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water from a water tank installed within the cabinet 10.

상기 캐비닛(10) 내에는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스팀 발생부(60)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부(60)는 발생된 스팀을 상기 출수 노즐(110)로 공급해서, 상기 출수 노즐(110)을 통해서 스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steam generator 60 that heats supplied water may also be provided within the cabinet 10. The steam generator 60 may supply the generated steam to the water outlet nozzle 110 so that the steam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110.

상기 스팀 발생부(60)는 물을 가열해서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가 가동되면 물의 온도가 상승되면서 스팀이 발생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60 includes a heater capable of generating steam by heating water. When the heater operate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creases and steam may be generated.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된 버튼(17)의 입력에 의해서 상기 출수 노즐(110)로 물을 배출할 지, 또는 스팀을 배출할 지를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70 can determine whether to discharge water or steam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110 by inputting the button 17 provided on the cabinet 10.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출수 노즐(110)로 스팀이 배출될 때에, 상기 광원(140)이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140 to emit light when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110.

상기 출수 노즐(110)로부터 스팀이 배출되면, 사용자가 상기 광원(140)이 밝아지는 것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출수 노즐(110)로부터 스팀이 배출되어 상기 출수 노즐(110)이 세척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When steam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nozzle 110, the user can perceive that the light source 140 becomes brighter, so the user can clean the water outlet nozzle 110 by discharging steam from the water outlet nozzle 110. You can check the opera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광원(14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함몰부(220)를 거쳐서 상기 표시부(230)로 이동되어서 무늬(232)에서 다양한 각도로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140)이 상기 출수부(100)의 하면에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광원(140)에서 조사되는 빛을 직접적으로 보지 못하더라도,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40 passes through the recessed portion 220 and moves to the display portion 230 and is reflected at various angles by the pattern 232. Therefore, since the light source 14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100, even if the user cannot directly se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40, it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광원(140)에서 빛이 조사되는 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출수 노즐(110)이 세척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40 and can easily confirm that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being cleaned.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상기 버튼(17)을 조작해서 상기 출수 노즐(110)로 물을 배출시키거나 스팀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button 17 to discharge water or steam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110.

사용자가 상기 출수 노즐(110)을 세척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 수용부 커버(310)를 탈거한다. If the user wishes to clean the water outlet nozzle 110, the filter housing cover 310 is removed.

그리고 상기 출수 노즐 커버(200)를 상기 필터 수용부 자석(34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필터 수용부 커버(310)를 다시 상기 캐비닛(10)에 부착한다.Then, 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accommodating magnet 340, and the filter accommodating cover 310 is reattached to the cabinet 10.

상기 출수 노즐 커버(200)를 상기 출수부 자석(130)에 결합한다. 즉 상기 출수부 자석(130)에 상기 커버 자석(210)이 부착되도록 해서, 상기 출수 노즐 커버(200)가 상기 출수부(10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water outlet magnet 130. That is, the cover magnet 210 is attached to the water outlet magnet 130 so that the water outlet nozzle cover 200 can be fixed to one end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그리고 상기 출수 노즐(110)을 통해서 물이 아닌 스팀이 배출되도록 조작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스팀 발생부(60)가 구동되어서 스팀이 상기 출수 노즐(110)로 배출되는 동안 상기 광원(140)을 구동한다. And it is operated so that steam, rather tha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110. The control unit 70 drives the light source 140 while the steam generator 60 is driven and steam is discharg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110.

상기 광원(14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함몰부(220)로 이동되고, 상기 함몰부(220)에서 상기 표시부(230)로 굴절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30)에 표시된 무늬(232)에 의해서 빛이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230)의 색깔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스팀에 의해서 상기 출수 노즐(110)이 세척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40 may move to the depression 220 and be refracted from the depression 220 to the display unit 230. Since light is reflected at various angles by the pattern 232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0, the user can see that the color of the display unit 230 changes, and the water outlet nozzle 110 is cleaned by steam. You can check the operation.

사용자가 상기 출수 노즐(220)이 세척되는 과정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음용수 공급 장치가 위생적이라는 인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user can recognize the process of cleaning the water outlet nozzle 220, the impression that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s hygienic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캐비닛 20: 회전부
100: 출수부 110: 출수 노즐
120: 손잡이 130: 출수부 자석
140: 광원 200: 출수 노즐 커버
210: 커버 자석 220; 함몰부
230: 표시부
10: cabinet 20: rotating part
100: water outlet 110: water outlet nozzle
120: handle 130: outlet magnet
140: Light source 200: Outlet nozzle cover
210: cover magnet 220; depression
230: display unit

Claims (16)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물이 이동하는 출수 배관이 내장된 출수부;
상기 출수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출수 배관에 연통되며, 사용자에게 물이나 스팀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출수 노즐;
상기 출수부의 외곽을 둘러싸는 손잡이;
상기 출수부의 하측면에 마련된 출수부 자석;
상기 출수부의 일단에 탈장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 자석에 부착가능한 커버 자석과, 상기 커버 자석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 노즐을 수용해서 상기 출수 노즐의 일단을 밀폐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출수 노즐 커버;
상기 출수 노즐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수용부에는 두 개의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필터 사이에는 상기 커버 자석이 부착가능한 필터 수용부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cabinet;
a water outlet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cabinet and having a built-in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moves from the cabinet;
a water outlet nozzl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water outlet, communicates with the water outlet pipe, and selectively discharges water or steam to a user;
a handle surrounding the exterior of the water outlet;
A water outlet magne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outlet unit;
A cover magnet detach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water outlet, attachable to the magnet of the water outlet, and a recessed portion fixed to the cover magnet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outlet nozzle and sealing one end of the water outlet nozzle. Outlet nozzle cover;
It includes a filter receiving portion in which a filter for purify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is installed,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wo filter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accommodating magnet to which the cover magnet can be attached is provided between the two fil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용부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필터 수용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cover that seals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from the out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용부 자석은,
상기 두 개의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접촉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제1외곽면과,
상기 커버 자석에 면접촉되도록 평면을 이루는 제2외곽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lter accommodating magnet is,
A first outer surface curved to contact a connector connecting the two filter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outer surface forming a plane is formed to surface contact the cover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에는 하측에 상기 출수 노즐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광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utlet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disposed at a lower side to surround the water outlet nozz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출수 노즐에서 스팀이 배출될 때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light source i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rradiates light when steam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nozz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 커버는,
상기 함몰부에서 상기 커버 자석의 반대편으로 연장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outlet nozzle cover i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cessed portio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ver magn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음각으로 새겨진 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In clause 7,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is formed with an engraved patter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와 상기 표시부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In clause 7,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herein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display portion are made of the same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하방을 향해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보다 수직하게 하방을 향해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depression,
A first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vertically downward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bottom part that finishe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경사부에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herein the display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출수부의 일단과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In clause 7,
The water outlet portion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water outlet to provide a space between it and one end of the water outle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출수 노즐의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ource is arranged to form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outlet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의 수평 단면은 상기 출수 노즐의 직경보다 큰 단면을 가지고,
상기 수용 공간의 수직 단면은 상기 출수 노즐의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보다 큰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depression has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nozzle,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has a depth greater than the length protruding downward of the water outlet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단면은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일단이 굴곡지게 휘어지며,
상기 일단과 상기 출수부의 일단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ross section of the handl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ar,
The handle is curved at one en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ne end of the water outlet.
KR1020160116549A 2016-09-09 2016-09-09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KR1025854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549A KR102585490B1 (en) 2016-09-09 2016-09-09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549A KR102585490B1 (en) 2016-09-09 2016-09-09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777A KR20180028777A (en) 2018-03-19
KR102585490B1 true KR102585490B1 (en) 2023-10-06

Family

ID=6191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549A KR102585490B1 (en) 2016-09-09 2016-09-09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4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374A (en) * 2021-01-08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975B1 (en) * 2005-03-02 2008-01-16 지용삼 A cock of a hot and cold water supplier which transmit u.v light to sterilize the water
KR100864779B1 (en) * 2007-04-09 2008-10-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Safety Apparatus for Coke of Water Purifier
KR101621873B1 (en) * 2015-09-11 2016-05-1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Cock Sterilization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And Cock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61B1 (en) * 2013-05-06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975B1 (en) * 2005-03-02 2008-01-16 지용삼 A cock of a hot and cold water supplier which transmit u.v light to sterilize the water
KR100864779B1 (en) * 2007-04-09 2008-10-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Safety Apparatus for Coke of Water Purifier
KR101621873B1 (en) * 2015-09-11 2016-05-1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Cock Sterilization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And Cock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777A (en) 201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8214B2 (en)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EP2571534B1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beverage dispensers
US9655985B2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dispensers
US9895458B2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dispensers
KR102204085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with sterilizing function
AU2007249638A1 (en) Water purifier
WO2012056374A1 (en) Tea maker with luminous brewing progress indicator
EP2632306A1 (en) Electric tea maker with wooden user interface panel
JP2008295814A (en) Beauty appliance
KR102585490B1 (en)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JP2017170342A (en) Sterilizer
KR20130002604U (en) Multiple sterilization
KR102204586B1 (en)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CN210873165U (en) Sterilization device
KR20110004039U (en) Multi-funtional sterilization case
KR101046185B1 (en) Device for clean water of the refrigerator
JP2014061946A (en)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upply member used for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intake device
JP2017169810A (en) Sterilization vessel
KR101014161B1 (en) table a sterilizer clean machine
KR20150112079A (en) Cup disinfection Device
KR20150105012A (en) A water purifier of sterilized water having transparent window
KR102123683B1 (en) Module for discharging water
JP2000152873A (en) Electric heat insulating pot
KR20120012710A (en) Water Purifier With Sterilization Unit
JP2007507280A (en) Nipple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