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586B1 -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 Google Patents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586B1
KR102204586B1 KR1020200077052A KR20200077052A KR102204586B1 KR 102204586 B1 KR102204586 B1 KR 102204586B1 KR 1020200077052 A KR1020200077052 A KR 1020200077052A KR 20200077052 A KR20200077052 A KR 20200077052A KR 102204586 B1 KR102204586 B1 KR 102204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rilization
ultraviolet rays
cov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0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한솔
Original Assignee
주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솔 filed Critical 주한솔
Priority to KR102020007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586B1/en
Priority to CN202021709205.4U priority patent/CN214678623U/en
Priority to KR1020210004363A priority patent/KR1024578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586B1/en
Priority to PCT/KR2021/007306 priority patent/WO20212618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of the cordless type, i.e. whereby the water vessel can be plugged into an electrically-powered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An electric kettle combined with UV LED is provided. The electric kettle combined with UV 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flection unit installed to surround the inside of the electric kettle on an inner lateral side of the electric kettle, and made of a material that reflects ultraviolet rays; and a first sterilizing unit located on an inner lower side of the electric kettle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 kettle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on unit is located, wherein the reflection unit may reflect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 kettle and transmit the ultraviolet rays to an inner upper side of the electric kettle.

Description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본 발명은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기포트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내부에 담긴 물질을 살균할 수 있는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ot to which a UV LED is coupled.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electric pot in which a UV LED capable of sterilizing substances contained therein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side the electric pot.

종래의 전기포트는 내부에 담긴 음료나 액체를 소독하기 위해 발열 코일을 이용하여 100도 이상 상승시켜 내부 물질을 가열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가열 기능을 통해서만 살균 기능을 수행하던 종래의 전기포트는 온도를 과도하게 가열하기 때문에 내부에 담긴 음료를 곧바로 섭취할 수 없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온도를 충분히 낮춘 뒤에만 섭취할 수 있었다.In order to disinfect beverages or liquids contained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pot, the internal material is heated by raising it by 100 degrees or more using a heating coil. However,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electric pot that performs the sterilization function only through the heating function overheats the temperature, so the beverage contained inside cannot be consumed immediately,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it cannot be consumed only after lowering the temperature sufficiently. there was.

특히 유아가 섭취하는 음료나 이유식의 필수적으로 살균이 필요하다. 3년에 한 명 정도의 유아가 음료나 이유식을 섭취할 때 세균에 의해 치명적인 증상이 발병하는데 이는 치사율이 높기 때문에 부모들이 유아에게 음료나 이유식을 먹일 때 살균을 위해 70도까지 가열한 뒤, 다시 식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 유아가 섭취하기 위해 온도를 충분히 낮추어야 하는데, 냉장고와 같이 인위적으로 차가운 온도로 낮추는 경우 원하는 적절한 온도로 다시 낮추는 것이 힘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erilize beverages or baby foods consumed by infants. When about one infant every three years consumes a beverage or baby food, fatal symptoms develop due to bacteria. This is a high mortality rate, so when parents feed an infant with a beverage or baby food, they heat it to 70 degrees for sterilization, and then again. It was often cooled.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must be sufficiently lowered for infants to consume, but if the temperature is artificially lowered to a cold temperature such as a refrigerator, it may be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to lower it back to the desired appropriate temperature.

사용자들은 출근시간, 바쁜 업무 등과 같이 시간이 없을 때에도 온도를 과도하게 높여 살균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온도를 낮추기 위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시간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온도를 과도하게 가열시키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살균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전기포트가 요구되고 있다.Users perform a sterilization function by excessive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even when there is no time, such as at work or busy work. In this case, unnecessary time was generated to lower the temperature.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n electric pot capable of sufficiently exerting a sterilizing effect without excessively heating the temperature.

다만, 온도를 높이지 않는 경우에는 내부에 담긴 물질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물질의 대류를 원활하게 만들어야 살균효과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포트의 경우 단순히 가열 온도만 과도하게 높이는 방식으로 대류를 시키고 살균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있지만, 온도를 낮추면서도 내부에 담긴 물질을 충분히 대류시킬 수 있는 방법은 종래에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기존의 구성을 이용하되, 그 형태와 구조 변경을 통해 본 기술 분야에서 종래 해결하지 못하였던 물질을 활발하게 대류시키는 경우 내부에 담긴 물질을 살균 시킨다는 전기포트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f the temperature is not raised, the convection of the material contained therein is not smoothly performed. Therefore, the sterilization effect can be maximized by making the convection of the material smoothly.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electric pot, convection is achieved by simply increasing the heating temperature excessively and the sterilization effect is maximized.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conventional method capable of sufficiently convectively convection of the material contained therein while lowering the tempera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electric pot is to sterilize the material contained therein when actively convectively convectively convection of a material that has not been solved in the prior art through a change in its shape and structure, but using the existing configuration without adding a separate configuration. Will be able to achieve effectively.

한편, 숙박업소에서 전기포트에 속옷을 삶는 행위 등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전기포트가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공용 전기포트의 사용을 꺼리게 되었으며, 심지어는 개인용 전기포트를 휴대하고 다니는 사람들도 생겨나고 있다. 이에, 효과적인 살균기능이 구비된 전기포트가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act of boiling underwear in the electric pot at the lodgings, users think that the electric pot is not clean for hygiene, so they have been reluctant to use the common electric pot, and even people who carry personal electric pots have arisen. have. Accordingly,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ic port having an effective sterilization function is further required.

등록특허공보 제10- 1604635호 "자외선을 이용한 개인용 컵 살균 장치"(2016.03.14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04635 "Personal cup sterilization device using ultraviolet rays" (registered on March 14, 20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전기포트에 담긴 물질을 살균함에 따라 저온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도 전기포트에 담긴 물질을 충분히 살균 시킬 수 있는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pot combined with a UV LED capable of sufficiently sterilizing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electric pot even when heated to a low temperature by sterilizing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electric pot using ultraviolet rays. It is for sak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사판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반사시킴에 따라 전기포트의 내부에 자외선을 골고루 퍼뜨릴 수 있는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pot in which UV LEDs capable of spreading ultraviolet rays evenly inside the electric pot by reflecting ultraviolet rays using a reflec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열의 기능을 수행하는 히팅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전기포트에 담긴 물질을 활발히 대류시킴에 따라 자외선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heating unit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heat generation to actively convection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electric pot, thereby maximizing the UV effect of the electric pot combined with a UV LED. It is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기포트에 담긴 물질을 고온으로 가열하거나 저온으로 식히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pot combined with a UV LED that can effectively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heat a material contained in the electric pot to a high temperature or to cool it to a low temperatu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는 제1 살균부와 제2 살균부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충분히 살균할 수 있는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port combined with a UV LED capable of sufficiently sterilizing the material stored therein by using a first sterilization unit and a second sterilization unit. It is to do.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는 전기포트 내부 측면부에 상기 전기포트의 내부를 둘러싸며 설치되고,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반사부, 및 전기포트 내부의 하단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기포트의 하측에서 상기 반사부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살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전기포트의 하측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시켜 상기 전기포트의 내부의 상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electric pot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electric pot to surround the inside of the electric pot, and a reflective part made of a material that reflects ultraviolet rays, And a first sterilization unit positioned at a lower side of the electric pot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from a lower side of the electric pot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on unit is located, and the reflective unit reflects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 po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electric po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살균부는, 상기 전기포트 내부 하단의 전후좌우 측에서 상기 반사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rradi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ve unit is located from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po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포트는, 내부 측면부가 이중유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살균부는, 상기 이중유리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pot may have an inner side portion formed of a double glass, and the first sterilization portion may be located inside the double glass.

일 실시예에서,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기포트 내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포트의 내부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heating unit formed in a wave shape and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electric pot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for supplying heat to the electric po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전기포트 내부 하단면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까지 전체에 분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part may be distributed throughou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po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히팅부는,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과 차등화된 온도로 발열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that generates heat at a temperature in which some regions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히팅부는, 전체 영역을 발열하는 가열우선모드와, 일부 영역을 발열하는 살균 우선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발열되는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eating unit may determine an area to generate heat according to a mode selected from among a heating priority mode that generates heat for the entire area and a sterilization priority mode that generates heat for a partial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전기포트 내부 하단면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unit may be located in a central regio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po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전기포트 내부 하단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unit may be located in an edge region of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po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포트의 상측을 덮는 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전기포트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erilization unit coupled to a cover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electric pot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ic po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살균부는, 상기 용기부와 결합된 영역에서 상기 제2 살균부의 외부로 연결된 관으로서, 상기 용기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제2 살균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 및 상기 환기부가 상기 제2 살균부의 외부로 개방되는 위치에 공기순환을 이용하여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is a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in a region coupled to the container unit, a ventilation unit for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container unit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And a ventilation fan for discharging steam to the outside using air circulation at a position where the ventilation unit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살균부가 상기 전기포트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영역에 중공이 형성된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filter cartridg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may include a filter cartridge in which a hollow is formed in an area where the second sterilizing uni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ic po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의 상 측에 형성된 개방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 되어 노즐에 결합되는 투입부, 및 상기 덮개의 하측에 형성된 개방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 된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lter cartridge, the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are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the input portion coupled to the nozzle, and the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area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ver It may include a discharg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의 내부가 투영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의 하측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살균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전기포트의 하단에 위치하는 열선에 의해 내부 물질이 대류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받침부에 표시되는 열선의 온도 설정의 예시이다.
도 7은 전기포트의 덮개에 삽입되는 제2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모듈화된 제2 살균부가 전기포트 외의 다른 용기에 호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 살균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살균부가 덮개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와 하측에서 바라본 하면도이다.
도 11은 제2 살균부가 덮개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2 살균부가 덮개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덮개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덮개부에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가 덮개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14는 필터 카트리지에 물이 투입되어 배출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필터 카트리지에 형성된 투입부와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살균부에 설치된 환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pot to which a UV LED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inside of an electric pot to which a UV LED is coupled is proj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 pot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th through which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sterilizing unit are reflected by the reflecting plate.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ath through which an internal material convections by a heating wire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an electric port.
6 is an example of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displayed on the support.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sterilizing unit inserted into the cover of the electric port.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dularized second sterilization unit is compatible with containers other than the electric pot.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cond sterilizing unit.
10 is a top view viewed from the top and a bottom view viewed from the bottom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erilizing part is not inserted into the cover.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eriliz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cover.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of FIG. 11 rotat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ver and is coupled to the cover.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ter cartridge mounted on a cover portion coupled to a cover.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injected and discharged into the filter cartridge.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put portion and a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filter cartridge.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ntilation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pos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o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의 내부가 투영되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pot 1000 to which a UV LED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rojection of the interior of an electric port 1000 to which a UV LED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는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가열하고 살균하는 장치이다.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는 물, 음료, 스프 또는 음식을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유아의 이유식을 가열, 보온 또는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는 용기부(100), 덮개부(200) 및 받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lectric pot 1000 to which a UV LED is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evice that heats and sterilizes a material stored therein. The electric po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mbined may be used for heating water, beverages, soups or food, and in particular, may be used for heating, keeping warm, or cooking baby food for infants. The electrical por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may include a container part 100, a cover part 200, and a support part 300.

용기부(100)는 물질을 저장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 원기둥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덮개부(200)는 용기부(100)의 상측을 덮는 용도일 수 있다. 덮개부(200)는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고, 손잡이 내에 별도의 자외선 살균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container unit 100 may be used for storing a material, and is illustrated in a cylindrical shape in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ver part 200 may be us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The cover part 200 may have a handle coupled thereto, and a separate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e hand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받침부(300)는 용기부(100)의 하측에서 용기부(100)를 지지하고, 용기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받침부(300)는 용기부(100)에 저장된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각종 모드가 선택될 수 있는 버튼과 전기포트(1000)의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300 supports the container part 100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container part 100. The support unit 300 may include a button for selecting various modes for heating the material stored in the container unit 100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ort 1000.

도 2를 참조하면,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는 받침부(300)의 상측에 용기부(100)가 결합되고, 용기부(100)의 상측에 덮개부(200)가 올려진 채로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electrical por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the container part 1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300, and the cover part 200 is rai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Can be combined while remaining.

몇몇 실시예에서, 용기부(100)는 이중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용기부(100)는 제1 살균부(110), 반사부(120) 및 히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ainer part 100 may be made of double gla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tainless steel or plastic. The container part 100 may include a first sterilizing part 110, a reflecting part 120, and a heating part 130.

제1 살균부(110)는 전기포트(1000) 내부의 하단 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살균부(110)는 이중유리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살균부(110)는 살균력이 높은 250~260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300~400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으나, 이러한 파장을 조사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 port 1000.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be located inside the double glass. The first sterilizing unit 110 may irradiate 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of 250 to 260 nm or 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00 to 400 nm, but is not limited to irradiating such wavelengths.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살균부(110)는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가 내부 물질을 가열할 때 항상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살균부(110)는 모드 설정에 따라서 일부 시간에만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살균부(110)는 모드 설정에 따라 가열이 시작되는 초반 5분에만 작동하거나, 가열이 종료되는 후반 5분에만 작동하거나, 가열이 종료된 이후 30초 동안 작동할 수도 있다. 제1 살균부(110)가 동작하는 모드는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always operate together when the electric po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heats an internal material.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only for some time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operate only in the first 5 minutes when heating starts, only in the latter 5 minutes when heating ends, or may operate for 30 seconds after heating ends. The mode in which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operates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본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는 제1 살균부(110)에 의해 용기부(100)에 저장된 물질을 살균하기 때문에 가열 기능을 통해서만 살균 기능을 수행하던 종래의 전기포트(1000)에 비해 살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는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저온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도 제1 살균부(110)에 의해 충분히 살균이 되기 때문에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고온으로 가열함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과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저온으로 식히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The electric pot 1000 to which the UV L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bined sterilizes the material stored in the container unit 100 by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so the conventional electric pot that performs a sterilization function only through a heating function. Compared to (10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sterilization effect.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al po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is sufficiently sterilized by the first sterilizing unit 110 even when heating the material stored therein to a low temperature, it is required by heating the material stored therein to a high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horten the time and the time required to cool the stored material to low temperature.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는 제1 살균부(110)에 의해 물질을 살균하기 때문에 유아의 이유식을 살균하는데 특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유아의 이유식의 경우 고온으로 가열하여 살균하면 오히려 음식이 과도하게 가열되기 때문에 유아의 섭취를 위해 다시 온도를 낮춰야 하는데, 냉장고와 같이 인위적으로 차가운 온도로 낮추는 경우 원하는 적절한 온도로 다시 낮추는 것이 힘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는 높은 온도로 물질을 가열하지 않아도 제1 살균부(110)에 의해 물질을 살균하기 때문에 불필요가 온도 조절을 위해 시간을 소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는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도)로 물질의 가열을 완료한 뒤에 물질을 식히는 과정 없어 곧장 유아에게 이유식을 먹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electric po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erilizes the material by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it may exert a special effect in sterilizing baby food of infants. In the case of baby food for infants, when heated to high temperature and sterilized, the food is heated excessively, so the temperature must be lowered again for infant consumption.If lowering it to an artificially cold temperature such as a refrigerator, it is difficult to lower it back to the desired temperature. This can be time consuming. However, since the electrical po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erilizes the material by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even without heating the material to a high temperature, it is unnecessary to take time for temperature control. Can be prevented. In this case, the electric po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rectly feed baby food to infants without cooling the material after heating the material to a set temperature (eg, 40 degrees).

제1 살균부(110)는 전기포트(1000)의 하측에서 반사부(12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살균부(110)는 전기포트(1000) 내부 하단의 전후좌우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살균부(110)는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반사판을 향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높이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살균부(110)는 높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가변적으로 필요한 높이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골고루 살균할 수 있다.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irradiate ultraviolet rays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 port 1000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ve unit 120 is located. In addition,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port 1000.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include an angle adjustment unit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toward the reflector by adjusting the vertical angle.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of the first sterilizing unit 110 is adjusted, the material stored therein can be sterilized evenly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a required height variably.

반사부(120)는 전기포트(1000) 내부 측면부에 전기포트(1000)의 내부를 둘러싸며 설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사부(120)는 고휘도 반사판으로서,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반사부(120)는 제1 살균부(110)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120)는 제1 살균부(110)가 전기포트(1000) 하단에서 조사한 자외선을 반사시켜 전기포트(1000)의 상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reflector 12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electrical port 1000 to surround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port 1000. In some embodiments, the reflector 120 is a high-luminance reflector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reflects ultraviolet rays. The reflective unit 120 may reflect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first sterilizing unit 110. For example, the reflective unit 120 may reflect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first sterilizing unit 110 from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port 1000 and transmit it to the upper side of the electric port 1000.

이때, 반사부(120)는 전기포트(1000) 내부 측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자외선이 조사되는 전기포트(1000)의 측면부의 일부 높이에만 설치될 수 있다. 반사부(120)는 일부 높이에만 설치됨에 따라 최소한의 자외선을 이용하면서도 전기포트(1000) 내부에 골고루 자외선을 분산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lector 120 may not be formed on the entire inner side of the electric port 1000 but may be installed only at a partial height of the side portion of the electric port 1000 to which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Since the reflector 120 is installed only at a partial height,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ultraviolet rays evenly inside the electric pot 1000 while using a minimum amount of ultraviolet rays.

일 실시예에서, 반사부(120)는 제1 살균부(110)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반사부(120)는 제1 살균부(110)에서 조사한 자외선을 반사시켜 전기포트(1000) 내부에 전체적으로 자외선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반사부(120)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자외선을 전기포트의 내부 전체적으로 퍼뜨릴 수 없다. 따라서, 반사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전기포트(1000) 내부에 설치된 높이가 조절되거나, 제1 살균부(110)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높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설치된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flective unit 120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at which the first sterilizing unit 11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he reflective unit 120 reflects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to disperse the ultraviolet rays as a whole inside the electric port 1000, so that the reflective unit 120 is not located in a position where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In this case, ultraviolet rays cannot be spread throughout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pot. Therefore, the height of the reflective unit 120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pot 1000 may be adjusted by the user, or the installed height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sterilizing unit 11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have.

예를 들어 반사부(1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용기부의 내부 측면에 고정할 수 있는 반사부 높이 조절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수동으로 반사부(1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a reflective part height adjusting part (not shown) that can be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par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flecting part 12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height of the reflecting part 120 may be manually adjusted.

또는 제1 살균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높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자외선의 높이에 따라 반사부(120)의 높이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자외선 높이 감지부(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n ultraviolet height detection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that automatically detects the height of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and automatically changes the height of the reflective unit 12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ltraviolet rays. .

히팅부(130)는 온도를 상승시키는 발열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히팅부(130)는 전기포트(1000) 내부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히팅부(130)는 전기포트(1000)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웨이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히팅부(130)는 일직선의 형태가 아닌 웨이브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발열을 제공할 수 있는 히팅부(130)의 면적을 넓혀 용기부(100)에 저장된 물질의 대류를 활발하게 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30 may be formed of a heating coil that increases the temperature,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heating unit 13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port 1000. The heating unit 130 may be formed in a wave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ectric pot 1000. As the heating unit 130 is formed in a wave shape rather than a straight line shape, the area of the heating unit 130 capable of providing heat may be increased to facilitate convection of the material stored in the container unit 100.

용기부(100)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에 의해 각종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부(10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1 살균부의 자외선 조사가 제어되거나, 반사부의 위치가 조절되거나, 히팅부의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The container unit 1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various operations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 terminal. The container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For example, the container unit 100 may be operated by an app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reflection unit may be adjusted, or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may be controlled. .

이러한 히팅부(130)는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에 저장된 물질을 대류시켜 용기에 저장된 물질을 골고루 섞을 수 있다. 히팅부(130)는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물결파장을 용기에 저장된 물질로 전달할 수 있다. 히팅부(130)는 용기에 저장된 물질이 제1 살균부(110)에 의해 골고루 살균될 수 있도록 제1 살균부(110)의 살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Since the heating unit 130 is formed in a wave shape, the material stored in the container can be convectively mixed with the material stored in the container. Since the heating unit 130 is formed in a wave shape, the wave wavelength can be transmitted to a material stored in the container. The heating unit 130 may maximize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so that the material stored in the container can be sterilized evenly by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또한, 히팅부(130)는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도 있다. 히팅부(130)는 전체적인 형태로 보면 웨이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웨이브 형태의 면을 인접하여 보았을 때는 곡면이 아닌 미세한 다각화된 다각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30)는 자외선을 다각도로 반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unit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ultraviolet rays, it may reflect ultraviolet rays. The heating unit 130 may be formed in a wave shape when viewed as a whole, and may be formed in a finely diversified polygonal surface instead of a curved surface when the wave shape surface is viewed adjacently. In this case, the heating unit 130 may reflect ultraviolet rays from multiple angles.

지금까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의 개략적인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기포트(1000)의 구체적인 구조와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So far, the schematic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electrical por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the electric pot 1000 and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1000)의 하측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3 is a partial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 port 1000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도 3에서 제1 살균부(110)는 전기포트 내부 하단의 전후좌우 측에서 상기 반사부(1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좌우 측의 전면 방향은 받침부(300)의 디스플레이가 바라보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으며, 후면 방향은 전면 방향의 반대, 좌우 측 방향은 전후면 방향의 수직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제1 살균부(110)는 전후좌우 측에 설치됨에 따라 용기부(100)에 저장된 물질 전체를 골고루 살균할 수 있다.In FIG. 3,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rradi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ve unit 120 is positioned from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pot. Here,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may indicate a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of the support 300 is viewed, the rear direction may indicate the opposite of the front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indicate a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the first sterilizing unit 110 is install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the entire material stored in the container unit 100 may be sterilized evenly.

도 3에서는 전후좌우 측 방향이 정확히 받침부(300)의 디스플레이가 바라보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편의를 위해 전후좌우 측은 받침부(300)의 디스플레이가 바라보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 제1 살균부(110)는 전후좌우 측의 네 군데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개수와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3,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not shown to indicate exact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of the support part 300 is viewed, but for convenience, it is assumed that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sides indic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of the support part 300 is viewed. Let me explain. In addition, in FIG. 3,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is shown to be installed in four places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but the number and posi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제1 살균부(110)는 이중 유리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1 살균부(110)는 용기부(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살균부(110)는 용기부(100)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는 구성으로 설치되지 않고도 전기포트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ouble glass, and accordingly,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unit 100. Therefore,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port without being installed in a configuration that occupies a separate space in the container unit 100.

히팅부(130)는 전기포트 내부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는데, 히팅부(130)의 자세한 구조와 기능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heating unit 130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ctric pot, and a detailed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eat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살균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th through which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sterilizing unit are reflected by the reflecting plate.

도 4를 참조하면, 제1 살균부(110)는 전기포트의 하단에서 반사판이 위치한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전기포트의 내부 전체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좌우 측 제1 살균부(110)는 양쪽에서 각각 반대 위치에 있는 반사판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반사판은 좌우 측 제1 살균부(110)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시켜 전기포트의 측면부의 최 상단 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may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entire interior of the electrical por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al por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or is located. The left and right first sterilization units 110 can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reflecting plates in opposite positions from both sides, and the reflecting plates reflect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left and right first sterilization units 110 to reflect the side portions of the electric port. Can reach the top of

한편, 도 4에는 전후 측 제1 살균부(110) 중에서 전면 측 제1 살균부(110)가 생략되어 있는데, 전후 측 제1 살균부(110)도 마찬가지로 반사부(120)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반사부(120)는 전후 측 제1 살균부(110)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시켜 전기포트의 측면부의 최 상단 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FIG. 4,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on the front side is omitted among the first sterilization units 11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lso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ward the reflection unit 120 as well. The reflective unit 120 may reflect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front and rear first sterilizing units 110 to reach the top of the side of the electric pot.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는 여러 방향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반사부(120)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반사 시킴에 따라 전기포트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전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electric pot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from various directions and reflects the ultraviolet rays using the reflective unit 120, thereby sterilizing the material stored inside the electric pot as a whole. It works.

도 5a 및 도 5b는 전기포트의 하단에 위치하는 히팅부(130)에 의해 내부 물질이 대류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받침부(300)에 표시되는 열선의 온도 설정의 예시이다.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ath through which internal materials convection by the heating unit 13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lectric pot, and FIG. 6 is an example of temperature setting of the heating wire displayed on the support unit 300 to be.

도 5a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히팅부(130)에 의해 전기포트의 내부에 저장된 물질은 하부가 가열되어 상부로 상승하고, 상부가 하부로 하강하여 상하로 대류할 수 있다. 이때, 히팅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웨이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히팅부(130)는 웨이브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형태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의 발열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포트에 저장된 물질을 보다 활발히 대류 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in some embodiments, a material stored in the electric pot by the heating unit 130 may be heated in a lower portion to rise upward, and the upper portion may descend downward to convectively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heating unit 130 may be formed in a wave shape as described above. As the heating unit 130 is formed in a wave shape, it may be formed as a heating device having a wider area than that of a linear shape, and accordingly, the material stored in the electric pot can be more actively convective.

일 실시예에서, 히팅부(130)는 전기포트 내부 하단면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까지 전체에 분포될 수 있다. 이때, 히팅부(130)는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과 차등화 된 온도로 발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부(130)는 전기포트의 중앙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발열하고, 전기포트의 가장자리 영역이 낮은 온도로 발열할 수 있다. 히팅부(130)는 전기포트의 중앙 영역을 높은 온도로 발열함에 따라 중앙 영역에 저장된 물질을 강하게 대류 시키고, 전기포트의 가장자리에 영역을 낮은 온도로 발열함에 따라 가장자리에 저장된 물질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대류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기포트에 저장된 물질은 히팅부(130)가 일률적인 온도로 가열되는 것에 비해 훨씬 잘 섞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에 따라 물질을 곳곳이 살균될 수 있기 때문에 살균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반대로 히팅부(130)는 전기포트의 가장자리 영역을 높은 온도로 발열하고, 중앙 영역을 낮은 온도로 발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unit 130 may be distributed throughou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pot. In this case, the heating unit 130 may generate heat at a temperature in which some regions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For example, the heating unit 130 may generate heat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n a central region of the electric pot and heat at a low temperature in an edge region of the electric pot. As the heating unit 130 heats the central area of the electric pot at a high temperature, the material stored in the central area is strongly convective, and the area at the edge of the electric pot is heated at a low temperature. I can make it. In this case, the material stored in the electric po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ix much better than that of the heating unit 130 being heated to a uniform temperature, and accordingly, the material can be sterilized everywhere, thus maximizing the sterilization effect. Conversely, the heating unit 130 may heat the edge region of the electric pot at a high temperature and heat the central region at a low temperature.

일 실시예에서, 히팅부(130)는 전체 영역을 발열하는 가열 우선모드와, 일부 영역을 발열하는 살균 우선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 발열 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팅부(130)는 필요에 따라 물질을 빠르게 가열시킬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가열우선모드를 통해 물질을 빠르게 가열시키고, 물질을 빠르게 살균 시킬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살균 우선모드를 통해 신속하게 살균을 진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unit 130 may select a heating priority mode that generates heat for the entire area and a sterilization priority mode that heats a partial area, and the area to generate hea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Accordingly, the heating unit 130 quickly heats the material through the heating priority mode in a situation where it is necessary to quickly heat the material, and quickly through the sterilization priority mode in the situation where it is necessary to quickly sterilize the material. Sterilization can proceed.

다른 실시예에서, 히팅부(130)는 도 5b와 같이 전기포트 내부 하단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30)는 전기포트의 중앙 영역의 발열에 집중하여 저장된 물질을 활발히 대류 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eating unit 130 may be located in a central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ic pot as shown in FIG. 5B. In this case, the heating unit 130 may actively convection the stored material by focusing on heat generatio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electric pot.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히팅부(130)는 전기포트 내부 하단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히팅부(130)는 전기포트의 가장자리 영역의 발열에 집중하여 저장된 물질을 활발히 대류 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eating unit 130 may be located in an edge region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pot. In this case, the heating unit 130 may actively convection the stored material by focusing on heat generation in the edge region of the electric pot.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부(300)에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히팅부(130)의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히팅부(130)의 온도는 35도, 40도, 45도, 50도 단위로 저온에서는 5도 단위로 설정될 수 있고, 50도 이상부터 100도까지는 10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히팅부(130)는 50도 이상부터 100도까지도 5도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히팅부(130)가 설정되는 온도의 단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는 살균부에 의해 살균이 가능하기 때문에 40 내지 50도의 저온으로 물질을 가열하더라도 물질을 충분히 살균 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130 may be set through an interface 310 displayed on the support unit 300.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130 may be set in units of 35 degrees, 40 degrees, 45 degrees, and 50 degrees in units of 5 degrees at low temperatures, and from 50 degrees to 100 degrees in units of 10 degrees. The heating unit 130 may be set from 50 degrees or more to 100 degrees in units of 5 degrees. The unit of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heating unit 130 is set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electric pot combined with the UV LE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erilized by a sterilization unit, even if the material is heated at a low temperature of 40 to 50 degrees, the material can be sufficiently sterilized.

지금까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기포트의 구체적인 구조와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덮개(210)에 결합되는 제2 살균부(220)의 구조와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electric pot and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so far.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econd sterilizing unit 220 coupled to the cover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도 7은 전기포트의 덮개(210)에 삽입되는 제2 살균부(2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inserted into the cover 210 of the electric port.

덮개부(200)는 덮개(210) 및 제2 살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210)는 전기포트의 상측면을 덮을 수 있다. 덮개(210)는 제2 살균부(220)가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art 200 may include a cover 210 and a second sterilization part 220. The cover 210 ma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electrical port. The cover 210 may have an insertion hole 211 into which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be coupled.

제2 살균부(220)는 손잡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덮개(210)에 삽입되어 전기포트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살균부(220)는 손잡이 기능을 하는 헤드부(221)와 덮개(210)에 삽입되는 삽입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살균부(220)는 삽입부(222)를 덮개(210)에 삽입하고 회전하는 방식으로 덮개(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살균부(220)는 덮개(210)와 탈부착 되는 모듈화 방식으로 덮개(210)에 결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제2 살균부(220)는 스위치부(223)를 통해 전원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be formed in a handle shape,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cover 210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to the electric pot. The second sterilization part 220 may include a head part 221 that functions as a handle and an insertion part 222 inserted into the cover 210.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210 by inserting the insertion unit 222 into the cover 210 and rotating.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be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cover 210 in a modular manner that is detachable from the cover 210. Power supply to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switch unit 223.

본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는 제2 살균부(220)를 더 이용하여 전기포트에 저장된 물질을 살균 시킴에 따라 전기포트에 저장된 물질의 살균 효과를 보다 증폭시킬 수 있다.The electric pot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further amplify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material stored in the electric pot by further sterilizing the material stored in the electric pot using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도 8은 모듈화 된 제2 살균부(220)가 전기포트 외의 다른 용기에 호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dularized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is compatible with containers other than the electric pot.

제2 살균부(220)는 도 8의 좌측과 같이 전기포트의 덮개(210)에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더해 전기포트 외에도 도 8의 우측과 같이 상자 형태의 저장용기, 페트병, 상자, 식사 그릇의 뚜껑 등에도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살균부(220)는 다양한 구성에 결합되는 모듈화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대상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자외선으로 간편하게 살균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cover 210 of the electric pot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8, and in addition to the electric pot, a box-shaped storage container, a plastic bottle, a box, and a meal bowl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8 Can also be inserted into the lid of th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is configured in a modular manner that is coupled to various configurations,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installed on various targets and sterilizing substances stored therein with ultraviolet rays.

도 9는 제2 살균부(2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terilizing unit 220.

도 9를 참조하면, 제2 살균부(220)는 헤드부(221)에 스위치부(223), 전력 공급부(224), 마개(225), 제어 PCB(226), UV PCB(227), UV LED(228) 및 기울기 센서(22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includes a switch unit 223, a power supply unit 224, a stopper 225, a control PCB 226, a UV PCB 227, and a UV unit on the head unit 221. It may include an LED 228 and a tilt sensor 229.

스위치부(223)는 전력 공급부(224)가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PCB(226)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24)는 충전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개를 열어 연결된 USB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24)는 UV PCB(227)로 전력을 공급하고 UV LED(228)는 UV PCB(227)에 의해 제어되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UV LED(228)는 전기포트의 하단 중심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223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CB 226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224 supplies power. The power supply unit 224 may be configured as a rechargeable type, and may be charged through a USB connected by opening the cap. The power supply unit 224 supplies power to the UV PCB 227 and the UV LED 228 is controlled by the UV PCB 227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At this time, the UV LED 228 may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pot.

기울기 센서(229)는 자외선이 조사되는 중에 상기 제2 살균부(220)가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자외선의 조사를 차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229)는 갑자기 덮개(210)가 열리거나 제2 살균부(220)가 덮개(210)에서 이탈됨에 따라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clination sensor 229 may detect that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is tilted while the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block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ion. The tilt sensor 229 may prevent an accident from occurring as ultraviolet rays are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cover 210 is suddenly opened or the second sterilizing unit 22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210.

삽입부(222)는 중앙 영역에 UV LED의 자외선이 통과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22)의 상측에는 헤드부(221)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부(2221)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21)의 하측에는 제1 결합부(2221)에 회전하여 결합되는 제2 결합부(2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11)는 제2 살균부(220)가 덮개(210) 용도 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11)는 덮개(210)와 브라켓의 회전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데, 반시계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브라켓이 용기에 걸릴 때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222 may have a hole through which ultraviolet rays of the UV LED can pass through the central region. A first coupling portion 2221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head portion 2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222. A second coupling portion 2211 that is rotated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21 may be formed under the head portion 221. The second coupling part 2211 may be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the us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part 220 for the cover 210, and may be used for a fixing bracke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11 may be coupled using a rotation method of the cover 210 and the bracket, and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to prevent loosening when the bracket is caught in the container.

삽입부(222)는 헤드부(221)와 나사 회전방식으로 회전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헤드부(221)는 삽입부(222)에 회전시켜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222)는 차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차망이 탈부착되는 차망 돌기(2223)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222 may be coupled by rotating the head portion 221 and the screw rotation method. That is, the head portion 221 may be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222 by rotating. The insertion part 222 may have a vehicle mesh protrusion 2223 through which a vehicle mesh for filtering impurities of the vehicle is detachable.

제2 살균부(220)는 텀블러 등의 소독용 실리콘 브라켓을 연결하여 용기의 입구 크기에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살균부(220)는 용기의 입구 크기에 관계없이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리콘 브라켓은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를 누르면 압착되면서 삽입된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be coupl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by connecting a disinfecting silicone bracket such as a tumbler. Accordingly,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perform a sterilization function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At this time, the silicone bracket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and when pressing the protrusion, the inside of the inserted container may be made into a vacuum state while being compressed.

도 10은 제2 살균부(220)가 덮개(210)와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와 하측에서 바라본 하면도이고, 도 11은 제2 살균부(220)가 덮개(210)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제2 살균부(220)가 덮개(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덮개(210)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top view viewed from the top and a bottom view viewed from the bottom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is not inserted with the cover 210, and FIG. 11 is a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inserted into the cover 210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and Figure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of FIG. 11 is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ver 210 and coupled to the cover 210.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살균부(220)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에서는 헤드부(221)와 스위치부(223)가 보일 수 있다. 제2 살균부(220)를 하측에서 바라본 하면도에서는 UV LED(228)와 삽입부(222)가 보일 수 있다. 도 10의 제2 살균부(220)의 하면도를 바라본 상태에서 제2 살균부(220)의 삽입부(222)가 덮개(210)에 삽입되면 도 11과 같은 상태가 도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a top view of the second sterilizing unit 220 viewed from above, the head unit 221 and the switch unit 223 can be seen. In a bottom view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viewed from the lower side, the UV LED 228 and the insertion unit 222 can be seen. When the insertion part 222 of the second sterilization part 220 is inserted into the cover 210 while looking at the bottom view of the second sterilization part 220 of FIG. 10, a state as shown in FIG. 11 may be shown.

도 11의 덮개(210)는 삽입홀(211)이 개방될 수 있다. 삽입홀(211)은 삽입부(222)가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덮개(210)의 삽입홀(211)은 삽입부(222)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덮개(210)는 단자가 포함될 수 있고 삽입부(222)의 단자와 접촉되어 제2 살균부(2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the cover 210 of FIG. 11, the insertion hole 211 may be opened. The insertion hole 211 may be a space into which the insertion part 222 is inserted. The insertion hole 211 of the cover 2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insertion part 222. In another embodiment, the cover 210 may include a terminal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insertion part 222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sterilization part 220.

도 11의 제2 살균부(220)는 삽입부(222)가 회전함에 따라 도 12와 같이 덮개(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살균부(220)는 삽입부(222)의 단자와 덮개(210)의 단자가 접촉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살균부(220)는 충전식 배터리의 전력을 모두 소진하더라도 덮개(210)의 단자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of FIG. 11 may be coupled to the cover 210 as shown in FIG. 12 as the insertion unit 222 rotates. In this case, the second sterilizing unit 220 may receive power by contacting the terminal of the insertion unit 222 with the terminal of the cover 210. In this case,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terminal of the cover 210 even if all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exhausted.

이처럼 제2 살균부(220)는 전기포트 뿐 아니라 전기포트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삽입홀이 구비된 경우 어떠한 구성에도 결합되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살균부(220)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성이 있으며, 다양한 장치에 호환될 수 있는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제2 살균부 하나만 가지고 있으면 어느 장소에서든 외부 전원 공급 없이도 음료를 살균 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sterilizing unit 22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in a form in which not only the electric port but also the electric port can be inserted, the second sterilizing unit 220 may be coupled to any configuration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Since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is small in size, it is portable, and because it is compatible with various devices, it is possible to sterilize beverages at any place without external power supply if only one second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특히, 제2 살균부(220)는 제2 살균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덮개에 결합되거나 전기포트와 호환이 될 수 있는 용기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살균부(220) 하나만으로도 이유식 또는 음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외부에서도 간편하게 이유식 또는 음료를 소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be coupled to a cover into which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can be inserted or to a container compatible with an electric port, in this case,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disinfect the baby food or beverage even outside by irradiating the baby food or beverage with UV rays with only one.

지금까지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덮개(210)에 결합되는 제2 살균부(220)의 구조와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였다.So fa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econd sterilizing unit 220 coupled to the cover 21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는 제1 살균부(110)와 제2 살균부(220)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충분히 살균할 수 있고, 히팅부(130)에 의한 물질을 대류에 의해 살균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lectrical pot to which the UV LED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sterilize the material stored therein by using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10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and the heating unit 130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effect of sterilization by convection of the material by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덮개(200)에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2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lter cartridge 230 mounted on the cov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도 13은 덮개(210)부에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230) 가 덮개(210)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투시도이다. 필터 카트리지(230)는 덮개(2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필터이다. 필터 카트리지(230)는 덮개(210)의 내부에는 결합돌기(231)가 형성되어 나사와 같이 회전 나선으로 체결되는 방식으로 덮개(210)와 결합될 수 있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cartridge 230 mounted on the cover 210 is coupled to the cover 210. The filter cartridge 230 is a filt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210. The filter cartridge 23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210 in a manner that a coupling protrusion 231 is formed inside the cover 210 and is fastened in a rotating spiral like a screw.

필터 카트리지(230)는 하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덮개(210)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230)의 걸림턱은 탄성을 가질 수 있는데, 탄성을 이용하여 젖혀진 채로 덮개(210)와 결합되고, 탄성을 이용하여 원위치 되는 방식으로 덮개(210)와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230)는 걸림턱이 젖혀지는 방식으로 덮개(210)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수도 있다. 일례로, 필터 카트리지(230)는 사용자의 엄지와 집게손가락에 의해 걸림턱이 당겨지면서 덮개(2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lter cartridge 230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ver 210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at the lower end. The locking jaws of the filter cartridge 230 may have elasticity, and may be coupled with the cover 210 while being bent by using elasticity, and may maintain the coupling with the cover 210 in a manner in which it is in its original position using elasticity. The filter cartridge 230 may be disengaged from the cover 210 in such a manner that the locking jaw is flipped. For example, the filter cartridge 23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210 while the locking jaw is pulled by the user's thumb and forefinger.

필터 카트리지(230)가 덮개(210)에 결합되는 방식은 상기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ethod in which the filter cartridge 230 is coupled to the cover 2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ethod.

필터 카트리지(230)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230)는 제2 살균부(220)가 전기포트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영역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필터 카트리지(230)는 제2 살균부(220)가 조사하는 자외선을 간섭하지 않고도 덮개(2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lter cartridge 230 may have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The filter cartridge 230 may have a hollow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pot. Accordingly, the filter cartridge 23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21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필터 카트리지(230)는 내부에 수돗물 등에 포함된 염소(cl)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는 염소제거제(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염소제거제(233)는 염소제거 세라믹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lter cartridge 230 may include a chlorine remover 233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chlorine (cl) contained in tap water or the like therein. The chlorine removing agent 233 may be made of a chlorine removing ceramic ball,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도 14는 필터 카트리지(230)에 물이 투입되어 배출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필터 카트리지(230)에 형성된 투입부(235)와 배출부(237)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input and discharged into the filter cartridge 230, and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put unit 235 and the discharge unit 237 formed in the filter cartridge 230 .

도 14를 참조하면, 필터 카트리지(230)는 투입부(235) 및 배출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235)는 덮개(210)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되는 영역으로서, 노즐(240)에 결합될 수 있다. 투입부(235)는 노즐(240)을 통해 물, 음료 등이 투입될 수 있다. 배출부(237)는 덮개(210)의 하측에 형성된 개방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투입부(235)와 배출부(237)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지 않고 중공을 중심으로 서로 최대한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투입부(235)와 배출부(237)는 필터 카트리지(230) 내에서 중공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입부(235)에 투입된 물은 필터 카트리지(230)의 내부에서 충분히 흐른 뒤 배출부(237)로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filter cartridge 230 may include an input unit 235 and a discharge unit 237. The injection part 235 is an area that penetrat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are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210 and may be coupled to the nozzle 240. Water, beverages, etc. may be injected into the injection unit 235 through the nozzle 240. The discharge part 237 may be an area through which a hole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open area formed under the cover 210. That is, the input unit 235 and the discharge unit 237 may not b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ut may be located at positions as far as possible from each other around the hollow. For example, the input unit 235 and the discharge unit 237 may b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ollow in the filter cartridge 230. Accordingly, the water injected into the input unit 235 may sufficiently flow inside the filter cartridge 230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237.

필터 카트리지(230)는 전기포트의 내부로 물을 투입시키면서 배출부(237)와 투입부(235)를 통해 전기포트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역할과 함께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The filter cartridge 230 may discharge steam while lowering the pressure inside the electric pot through the discharge unit 237 and the input unit 235 while introducing water into the electric pot.

도 15와 같이 필터 카트리지(230)의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투입부(235)가 개방될 수 있으며, 필터 카트리지(230)의 하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배출부(237)가 개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input unit 235 may be opened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filter cartridge 230, and the discharge unit 237 may be opened when view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cartridge 230.

도 16은 제2 살균부(220)에 설치된 환기부(2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entilation unit 250 installed in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살균부(220)는 환기부(250)가 형성되어 환기부(250)를 통해 전기포트 내부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제2 살균부(220)는 환기부(250) 및 환기부(26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in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a ventilation unit 250 is formed to discharge steam inside the electric pot through the ventilation unit 250.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may include a ventilation unit 250 and a ventilation unit 260.

환기부(250)는 상기 용기부와 결합된 영역에서 상기 제2 살균부(220)의 외부로 연결된 관일 수 있다. 환기부(250)는 용기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제2 살균부(22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환기부(260)은 환기부(250)가 제2 살균부(220)의 외부로 개방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부(260)은 공기순환을 이용하여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2 살균부(220)는 전기포트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생성되는 증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The ventilation unit 250 may be a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erilizing unit 220 in an area coupled to the container unit. The ventilation unit 250 may discharge steam generated from the container unit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The ventilation unit 26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ventilation unit 250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The ventilation unit 260 may discharge steam to the outside using air circulation. Accordingly,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220 can smoothly discharge the steam generated as the temperature inside the electric pot increase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Claims (21)

용기 덮개의 손잡이를 이루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살균부; 및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살균부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는 중에 상기 제2 살균부가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자외선의 조사를 차단하는 기울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A head portion forming the handle of the container cover;
A second sterilization unit installed on the head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over; And
It is coupled to the head portion, including a tilt sensor unit for blocking the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by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while the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by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용기의 상측을 덮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살균부는,
상기 삽입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를 포함하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Including an insertion portion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hole,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살균부는,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회전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head portion so as to be rotated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3,
The head part,
Including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충전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3,
The head part,
Includ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in a charging method,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삭제delet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살균부는,
상기 용기의 하단 중심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살균부는,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제2 살균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 및
상기 환기부가 상기 제2 살균부의 외부로 개방되는 위치에 공기순환을 이용하여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하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A ventilation unit for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And
Comprising a ventilation fan for discharging steam to the outside using air circulation at a position where the ventilation unit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살균부가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영역에 중공이 형성된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2,
Comprising a filter cartridg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the second sterilizing unit has a hollow formed in the region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되어 노즐에 결합되는 투입부; 및
상기 덮개의 하측에 형성된 개방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덮개에 결합되는 자외선 살균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20,
The filter cartridge,
An injection unit which is connected to a nozzle through a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are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And
Comprising a discharge portion through the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area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UV sterilization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ntainer lid.
KR1020200077052A 2020-06-24 2020-06-24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KR102204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052A KR102204586B1 (en) 2020-06-24 2020-06-24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CN202021709205.4U CN214678623U (en) 2020-06-24 2020-08-17 Electric heating kettle combined with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20210004363A KR102457862B1 (en) 2020-06-24 2021-01-13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PCT/KR2021/007306 WO2021261817A1 (en) 2020-06-24 2021-06-11 Electric pot having uv led coupl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052A KR102204586B1 (en) 2020-06-24 2020-06-24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363A Division KR102457862B1 (en) 2020-06-24 2021-01-13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586B1 true KR102204586B1 (en) 2021-01-19

Family

ID=742372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052A KR102204586B1 (en) 2020-06-24 2020-06-24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KR1020210004363A KR102457862B1 (en) 2020-06-24 2021-01-13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363A KR102457862B1 (en) 2020-06-24 2021-01-13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204586B1 (en)
CN (1) CN214678623U (en)
WO (1) WO2021261817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17A1 (en) * 2020-06-24 2021-12-30 주한솔 Electric pot having uv led coupled thereto
KR102436548B1 (en) * 2022-08-01 2022-08-25 주식회사 해님 Electric pot capable of sterilizing remaining wa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873A (en) * 1998-11-20 2000-06-06 Sharp Corp Electric heat insulating pot
KR101235108B1 (en) * 2009-06-17 2013-02-21 이강메디칼(주) heating pot
KR101604635B1 (en) 2015-03-13 2016-03-18 장용진 A personal device for sterilizing a cup using ultraviolet ray
JP2017158900A (en) *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terilization container
KR20200008369A (en) * 2018-07-16 2020-01-28 박지암 Ingestion container steriliz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964Y1 (en) * 2005-12-08 2006-03-03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The liquefied egg sterilizing apparatus
KR20200002082A (en) * 2018-06-29 2020-01-08 주부경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Sterilizing Device For Airtight Container
KR102127934B1 (en) 2019-11-26 2020-07-09 오환종 Uv sterilization multi cover
KR102204586B1 (en) * 2020-06-24 2021-01-19 주한솔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873A (en) * 1998-11-20 2000-06-06 Sharp Corp Electric heat insulating pot
KR101235108B1 (en) * 2009-06-17 2013-02-21 이강메디칼(주) heating pot
KR101604635B1 (en) 2015-03-13 2016-03-18 장용진 A personal device for sterilizing a cup using ultraviolet ray
JP2017158900A (en) *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terilization container
KR20200008369A (en) * 2018-07-16 2020-01-28 박지암 Ingestion container steriliz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17A1 (en) * 2020-06-24 2021-12-30 주한솔 Electric pot having uv led coupled thereto
KR102436548B1 (en) * 2022-08-01 2022-08-25 주식회사 해님 Electric pot capable of sterilizing remaining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862B1 (en) 2022-10-21
KR20210158752A (en) 2021-12-31
CN214678623U (en) 2021-11-12
WO2021261817A1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586B1 (en) Electric KETTLE coupled with uv led
KR102054265B1 (en) Puff sanitizer of cosmetics kit using UV LED
US20180361001A1 (en) Baby feeding product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s
KR100752472B1 (en) Infant formula preparation apparatus
JP2000511806A (en) Improvements in food production and improvements in food production
JP2009516531A (en) Powdered milk mixing equipment
WO2014065078A1 (en) Water server
KR20180090908A (en) Portable sterilization heating device
CN210169767U (en) Milk brewing device with ultraviolet disinfection function
KR20180089006A (en) Tumbler with carbon heating element
JP2017170341A (en) Water supply device
KR101761490B1 (en) Container drying unit
JP2014061946A (en)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upply member used for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intake device
CN210250647U (en) Sterilizing container for baby feeding bottle
WO2024103603A1 (en) Baby bottle warmer
JPH0866678A (en) Small-sized sterilization device
CN213311969U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KR102238915B1 (en) Disinfection apparatus using ultra violet led and the method for sterilizing beverage using the same
KR20130092008A (en) A drink bottle cover having led heat-sterilization of function
KR20180068689A (en) Electric pot with feeding bottle disinfection function
KR20210156127A (en) Apparatus for uv sterilizing spoon and chopstick with function of theft prevention
KR200454425Y1 (en) UV Sterilization Knife Stand
KR101188624B1 (en) Cooker using Infrared Ray
KR20090008889A (en) Sterilizer for nursing bottle
KR200392717Y1 (en) A baby coldness and warmth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