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098B1 - 숙면 유도용 베개 - Google Patents

숙면 유도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098B1
KR102585098B1 KR1020210180176A KR20210180176A KR102585098B1 KR 102585098 B1 KR102585098 B1 KR 102585098B1 KR 1020210180176 A KR1020210180176 A KR 1020210180176A KR 20210180176 A KR20210180176 A KR 20210180176A KR 102585098 B1 KR102585098 B1 KR 10258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upport
neck
user
support part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948A (ko
Inventor
우 진 박
Original Assignee
박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진 filed Critical 박우진
Priority to KR1020210180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0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누울 때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베개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목에 닿아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와; 상기 목지지부의 좌·우측에 목지지부 보다는 넓은 면적을 지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 연장부와; 상기 목지지부의 및 좌·우측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머리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는 반듯하게 누웠을 때 뿐만 아니라 좌우측으로 돌아 누웠을 때에도 사용자를 감싸주도록 설계되어 있어 안락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가 돌아 누었을 때 귀가 닿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여 귀가 접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숙면 유도용 베개{Pillow for inducing sound sleep}
본 발명은 잠을 잘때 목과 함께 머리를 지지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누울 때 머리를 지지하는 물건을 가리킨다.
현재 이러한 베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누울 때 머리를 지지하는 단순한 역할이외에 머리를 지지할 때 목 뒷덜미를 지압 및 안마기능과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 등의 사용자가 더욱더 효과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고 있다.
이러한 베개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134917호에 납작하고 표면과 이면이 평면상이면서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베개의 베갯잇을 입자나 비드가 누출이 방지되면서 유동이 가능하게 충전된 제1공간부와 그 하단에 일측변에서 지퍼로 개폐되어지는 제2공간부를 제1공간부와 구획되어지게 구비하고, 상기 제2공간부에는 솜이나 메모리폼이 별도의 커버체로 감싸여진 상태에서 지퍼의 개폐에 의하여 탈착가능하게 충전되어지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갯잇은 표면과 이면이 테두리면에 의하여 입체감을 갖도록 봉착되어지고 표면과 이면의 사이에는 차단천이 테두리면과 구획봉재라인에 의하여 봉재되어 베개의 전체적인 외관의 굴곡을 제공하고, 상기 베개의 제1공간부를 베갯잇의 표면과 차단천의 사이로 복수의 봉재라인에 의하여 구획토록 하여 제1공간부에 충전된 입자나 비드의 유동에 따라 납작한 베개의 하변과 상변으로 입자가 몰림이 선택적으로 가능토록 하기위하여 목 뒷부분을 베개의 하변이나 상변의 만곡면에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받침 목 부분이 받쳐진 상태에서 뒷머리가 놓여져 받쳐지는 평면한 면에는 다이아몬드나 삼각형의 형태로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를 이격간격이 거의 동일하게 구비토록 하고, 상변이나 하변의 만곡면에 둥그런 목 뒷부분이 밀착되면서 목이 상변과 하변의 받침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뒷머리가 동일한 압력으로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에 밀착가능토록 하고, 상기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에 뒷 머리가 놓여진 상태에서 머리가 좌우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의 좌우측으로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와 일정간격이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만곡되어진 긴 만곡봉재라인을 구비하여 그 외측으로 입자가 충전된 상태에서 볼록면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의 하부로는 상측으로 만곡되는 긴 봉재라인을 구비하고, 상측으로 만곡되는 긴봉재라인의 좌우로는 외측으로 만곡되어진 긴 만곡봉재라인의 외측 하단보다 내측에 위치되어지고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의 좌우폭보다는 길에 구비되어지는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높이조절가능한 베개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5401호에 제어부(60)와; 머리가 안착 되는 안착홈(11)이 상부면에 형성되며, 제1 에어백(20)과 제2 에어백(30)(30a)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13)이 전방에 형성된 베이스 몸체(10)와; 제어부(6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핑 작동하면서 제1 에어백(20)과 제2 에어백(30)(30a)을 수축 및 팽창시키는 에어펌프(70)가 구비된 에어공급수단과; 다수의 자바라식 제1 주름부(21)로 형성되고, 제1 주름부(21)의 전방을 제1 고정부(22)로 고정시켜 상기 제1 고정부(22)를 중심으로 제1 에어백(20)의 후방이 상,하로 팽창 및 수축 작동하면서 상기 베이스 몸체(10)를 베고누운 사용자의 경추를 스트레칭 할 수 있게 설치홈(13)의 바닥면(14)에 설치되는 제1 에어백(20)과; 안착홈(11)에 안착된 사용자의 머리를 좌,우로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에어백(20)이 상부면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 에어백(30)(30a);으로 구성되며,
제어부(60)는, 특정버튼(P1) 입력시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에어백(20)을 주기적으로 수축 및 팽창시켜 사용자의 경추가 스트레칭 되도록 하는 제1 작동모드(S1)로 작동하고, 이후 제1 에어백(20)을 수축 및 팽창시킴과 동시에 한 쌍의 제2 에어백(30)(30a)을 교번 되게 수축 및 팽창시켜 사용자의 머리를 좌,우로 서서히 운동시키는 제2 작동모드(S2)로 동작하며, 제2 작동모드(S2)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수면높이로 제1 에어백(20)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에어백(30)(30a)은, 다수의 자바라식 제2 주름부(31)로 형성되며, 제2 주름부(31)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32)을 제2 에어백(30)(30a)에 형성하여 상기 제2 고정부(32)을 중심으로 제2 주름부(31) 후단이 전,후로 팽창 및 수축 작동하면서 베이스 몸체(10)를 베고 누운 사용자의 머리를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2 에어백(30)(30a)은, 외측으로 갈수록 결합면(41)이 상향 경사진 지지부(40)를 상기 제1 에어백(20)의 상부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하고, 그 지지부(40)의 결합면(41)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스트레칭 베개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베개들은 반듯하게 누운 상태에서만 효과적이고 좌우와 같이 모로 누웠을 때는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좌우로 베개를 베고 누워을 때에도 편안한 휴식과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숙면 유도용 베개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목에 닿아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와; 상기 목지지부의 좌·우측에 목지지부 보다는 넓은 면적을 지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 연장부와; 상기 목지지부 및 좌·우측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머리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는 반듯하게 누웠을 때 뿐만 아니라 좌우측으로 돌아 누웠을 때에도 사용자를 감싸주도록 설계되어 있어 안락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가 돌아 누었을 때 귀가 닿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여 귀가 접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의 또 다른 측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의 접지부와 접지선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에 목받침대가 구비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에 구비되는 목받침대 사시도.
본 발명의 베개(10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목에 닿아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110)와; 상기 목지지부(110)의 좌·우측에 목지지부(110) 보다는 넓은 면적을 지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 연장부(120, 130)와; 상기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머리지지부(140);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 중 어느 하나에는 금속재질의 접지부(150)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부(150)에는 도전체인 접지선(160)이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접지부(150)에 체결된 접지선(160)의 타단에는 플러그(16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러그(161)를 가정에 설치된 콘센트에 체결함으로써 접지효과가 발생되도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머리지지부(140)는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 보다는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좌·우측 연장부(120, 130)의 상면에는 귀가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귀접힘 방지홈(1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머리지지부(14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목지지부(110)에는 사용자의 목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목받침대(18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을 더욱더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의 또 다른 측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의 접지부와 접지선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에 목받침대가 구비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에 구비되는 목받침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목에 닿아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110)와; 상기 목지지부(110)의 좌·우측에 목지지부(110) 보다는 넓은 면적을 지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 연장부(120, 130)와; 상기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머리지지부(140);로 이루어져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누울 때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100)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도록 목지지부(110)가 사용자의 목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목지지부(110)의 양단에는 목지지부(110) 보다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좌·우측 연장부(120, 130)가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연장부(120, 130)는 목지지부(110)와 높이가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가 위를 보고 반듯하게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좌측에 있는 구성을 좌측 연장부(120)라 하고, 사용자의 우측에 있는 구성을 우측 연장부(130)라 한다.
상기 좌·우측 연장부(120, 130)는 목지지부(110) 보다는 뒤쪽으로 넓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에 의해 공간부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140)가 구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머리지지부(140)는 삼면이 각각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에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머리지지부(140)는 목지지부(110) 보다는 높이가 낮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누웠을 때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유도하여 거북목이 되어 있는 목이 역‘C’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 준다.
또한, 상기 좌·우측 연장부(120, 130)의 상면에는 귀가 접히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귀접힘 방지홈(170)을 형성하여 보다 사용자가 좌·우측 방향인 모로 누웠을 때에도 매우 편안하고 안락한 숙면이 취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베개(100)의 외측 표면은 엠보싱 처리함으로써 지압효과 및 촉감이 매우 좋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로 이루어진 베개(100)는 평상시에는 커버(도면 미도시)를 씌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시에는 베개(100)로부터 커버를 분리하여 커버만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의 측면에는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을 장착하여 내부에 적절한 높이조절물질을 충진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기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는 각각 내부에 서로 격벽(도면 미도시)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도록 하고, 각각의 측면에는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을 장착하였다.
이에, 각각의 내부에 적절한 높이조절물을 충진할 때 사용자는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상기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의 내부어 서로 다른 양의 충진물을 충진하거나 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각각의 내부에 서로 다른 물질의 충진물을 충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상기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의 측면에는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을 장착하여 내부에 적절한 높이조절물질을 충진하여 사용하도록 하되,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는 각각 내부에 서로 격벽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여 서로 간의 충진물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의 각각의 측면에 장착된 개폐수단을 통해 각각의 내부에 적절한 높이조절물을 신체적 특성에 맞추어 충진하여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높이조절물질은 콩이나 팥과 같은 천연재료나 합성수지 알갱이와 같은 인공재료 등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상기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 중 어느 하나에는 금속재질의 접지부(150)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부(150)에는 도전체인 접지선(160)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150)에 체결된 접지선(160)의 타단에는 플러그(16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러그(161)를 가정에 설치된 콘센트에 체결함으로써 접지효과가 발생되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선(160)의 양단에는 각각 플러그(161)와 금속재질의 똑딱이 단추와 같은 형태의 접지단자(162)를 형성하고, 접지부(150)도 상기 접지단자(162)가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똑딱이 단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다.
콘센트가 접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지의 확인 여부의 공지된 콘센트접지확인 시험기를 사용하여 테스트해보면 된다.
이러한 어씽(Earthing)은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더욱더 원할한 숙면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어씽(Earthing)에 대한 효과는 인터넷의 검색사이트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어씽(Earthing)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섬유재질은 널리 공지되어 있는 것 중 하나를 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머리지지부(14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목지지부(110)에는 사용자의 목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목받침대(180)가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목부분이 전체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편안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목받침대(180)의 전체적인 형상은 일면이 목지지부(110)에 접촉되는 삼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지지부(110)에 접촉되는 목받침대(180)의 하단부 측의 목지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 접착기능이 있는 벨크로(181)(일명 찍찍이)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목지지부(110)의 하면에도 목받침대(180)에 형성된 벨크로(181)에 대응하는 벨크로(도면 미도시)를 형성하여 목지지부(110)로부터 목받침대(18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효과적인 숙면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숙면 유도용 베개는 반듯하게 누웠을 때 뿐만 아니라 좌우측으로 돌아 누웠을 때에도 사용자를 감싸주도록 설계되어 있어 안락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가 돌아 누었을 때 귀가 닿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여 귀가 접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베개
110. 목지지부
120. 좌측 연장부
130. 우측 연장부
140. 머리 지지부
150. 접지부
160. 접지선 161. 플러그 162. 접지단자
170. 귀접힘 방지홈
180. 목받침대 181. 벨크로

Claims (8)

  1.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목에 닿아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110)와; 상기 목지지부(110)의 좌·우측에 목지지부(110) 보다는 넓은 면적을 지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 연장부(120, 130)와; 상기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머리지지부(140);로 이루어진 숙면 유도용 베개(100)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140)는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 보다는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연장부(120, 130)의 상면에는 귀가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귀접힘 방지홈(1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목지지부(110) 및 좌·우측 연장부(120, 130) 중 어느 하나에는 금속재질의 접지부(150)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부(150)에는 도전체인 접지선(160)이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접지부(150)에 체결된 접지선(160)의 타단에는 플러그(16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러그(161)를 가정에 설치된 콘센트에 체결함으로써 접지효과가 발생되도록 한 것으로, 접지부(150)에 체결되는 접지선(160)의 일단에는 금속재질의 똑딱이 단추와 같은 형태의 접지단자(162)를 형성하고, 접지부(150)도 상기 접지단자(162)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똑딱이 단추 형태로 제작하며,
    상기 머리지지부(14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목지지부(110)에는 사용자의 목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목받침대(18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목받침대(180)의 전체적인 형상은 일면이 목지지부(110)에 접촉되는 삼각형 형상으로 제작하되, 목지지부(110)에 접촉되는 목받침대(180)의 하단부 측에는 목지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 접착기능이 있는 벨크로(181)를 형성하고, 목지지부(110)의 하면에도 목받침대(180)에 형성된 벨크로(181)에 대응하는 벨크로를 형성함으로써 목지지부(110)로부터 목받침대(18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필요시 목받침대(180) 목지지부(110)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며,
    상기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의 측면에는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을 장착하여 내부에 높이조절물질을 충진하여 사용하도록 하되,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는 각각 내부에 서로 격벽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여 서로 간의 충진물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의 각각의 측면에 장착된 개폐수단을 통해 각각의 내부에 높이조절물을 신체적 특성에 맞추어 충진하여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개(100)의 외측 표면은 엠보싱 처리함으로써 지압효과 및 촉감이 좋도록하되, 목지지부(110), 좌·우측 연장부(120, 130), 및 머리지지부(140)로 이루어진 베개(100)는 커버를 씌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시에는 베개(100)로부터 커버를 분리하여 커버만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도록 한 것이 특징인 숙면 유도용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80176A 2021-12-15 2021-12-15 숙면 유도용 베개 KR10258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176A KR102585098B1 (ko) 2021-12-15 2021-12-15 숙면 유도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176A KR102585098B1 (ko) 2021-12-15 2021-12-15 숙면 유도용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948A KR20230090948A (ko) 2023-06-22
KR102585098B1 true KR102585098B1 (ko) 2023-10-06

Family

ID=8698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76A KR102585098B1 (ko) 2021-12-15 2021-12-15 숙면 유도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0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116A (ja) * 2000-10-27 2002-06-25 Chang Gyu Kim 頚椎保護用首枕
KR102010370B1 (ko) * 2019-04-22 2019-08-13 홍성창 체내 정전기를 제거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뛰어난 치료 효과와 대사성 증후군 증상개선 및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어스 터치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347Y1 (ko) * 1999-04-07 2002-01-10 김팽원 전자파 차폐용 베개
KR100982080B1 (ko) * 2008-06-24 2010-09-13 김대영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116A (ja) * 2000-10-27 2002-06-25 Chang Gyu Kim 頚椎保護用首枕
KR102010370B1 (ko) * 2019-04-22 2019-08-13 홍성창 체내 정전기를 제거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뛰어난 치료 효과와 대사성 증후군 증상개선 및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어스 터치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948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2254B2 (ja) エアマッサージ機
US7069609B2 (en) Inflatable liquid furniture
US20100077551A1 (en) Pillow cover with neck support
US6122784A (en) Travel headrest
KR102585098B1 (ko) 숙면 유도용 베개
US5544373A (en) Air cushion for sleeping in a car
US5195196A (en) Sculptured, stretchable waterbed mattress with aesthetic appearance
US20120133190A1 (en) Air inflatable reclining shampoo chair
KR102022362B1 (ko) 경추용 높이조절베개
JP4263977B2 (ja) マッサージ機用カバー、フットレスト用カバー、及びこれらのカバーを用いたマッサージ機
JP5527703B1 (ja) 腰部包囲座布団
JP3232897U (ja)
WO2019048959A1 (en) TRAVEL PILLOW
JPS5937115B2 (ja) 蛇腹外被の簡易サウナ風呂。
KR20034691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접이식 베개
JP3064236U (ja) 折畳式マットレス
JP3041464U (ja)
CN101889800B (zh) 多用靠垫
JP4116701B2 (ja) 環状クッションおよびクッションカバー
US1445409A (en) Cushion or mattress
KR101583468B1 (ko) 경추지지부가 구비된 베개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0372638Y1 (ko) 접이형 매트리스
KR200389617Y1 (ko) 쿠션
JPH11235254A (ja) 多目的クッション
JP2017131605A (ja) 丸く折り畳んで洗える安眠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