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043B1 - 빨대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빨대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043B1
KR102585043B1 KR1020220153892A KR20220153892A KR102585043B1 KR 102585043 B1 KR102585043 B1 KR 102585043B1 KR 1020220153892 A KR1020220153892 A KR 1020220153892A KR 20220153892 A KR20220153892 A KR 20220153892A KR 102585043 B1 KR102585043 B1 KR 10258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s
straw
dispenser
stored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아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아미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아미가
Priority to KR102022015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음료 매장 등에서 빨대를 제공하도록 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빨대 디스펜서에 수납된 빨대를 회전식 구동의 인출방식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하여 제공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빨대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 수납된 빨대의 저장공간 및 경사부를 주기적으로 흔들어주도록 형성하여, 빨대의 이동 과정에서의 막힘 현상을 미연에 차단하고, 빨대 디스펜서의 고장 및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빨대의 수납 및 인출 구조를 이원화하여, 다른 종류 및 규격의 빨대를 동시에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빨대 디스펜서 { Dispenser for straw }
본 발명은 카페 등의 각종 매장에서 빨대를 제공하도록 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빨대를 회전식 구동에 의해 제공되도록 하고 빨대 인출 시의 막힘 현상을 차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빨대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된 빨대의 막힘 현상에 따른 고장 및 오동작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대는 음료 등을 마시도록 하기 위한 일정 길이로 구비된 원통형의 도구로서, 주로 합성수지 또는 종이 및 친환경 재료 등으로 제작하여, 일반 가정이나 카페 등의 각종 음료 매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빨대는 개별적으로 포장된 다수 개의 빨대를 별도의 용기에 기립, 또는 수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수량에 따라 직접 지급받도록 하거나, 비포장된 빨대는 별도의 디스펜서에 수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레버를 동작하여 제공되는 빨대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비포장된 빨대는 다수의 인원에 의해 접촉 우려 및 비위생적인 단점이 발생하였고, 개별 포장된 빨대는 각 빨대의 별도 포장 작업에 따른 과도한 제작단가 및 포장되는 비닐 사용에 의한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비포장의 빨대를 위생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각종의 디스펜서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빨대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빨대를 제공받기 위해서 별도의 레버 및 버튼 등을 수동으로 동작시키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다수의 인원이 레버 및 버튼을 파지 또는 접촉함으로써, 각종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의 감염에 취약하였으며, 최근의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에서 개인위생 및 전염병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나타나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빨대 디스펜서에 관련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22년 8월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2-0097813호의 발명의 명칭 ‘ 빨대 디스펜서 ’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빨대 디스펜서는, 인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빨대가 인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구동 버튼이나 레버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고 편리하게 제공되는 빨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빨대 디스펜서를 비접촉의 자동 제공방식으로 구비하여, 각종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빨대를 수납 보관하는 공간에 별도의 살균램프를 구비함으로써, 빨대 디스펜서의 빨대가 수납 보관되는 저장공간의 위생 및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각종 바이러스의 서식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빨대 디스펜서는 빨대를 인출 제공하도록 하는 동작 구조가 래크와 피니언의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때문에, 빨대가 수납된 이동구의 이동 과정에서 인출구 등에 걸리게 되는 오동작 및 고장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빨대가 수납되어 경사부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납된 다량의 빨대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빨대를 원활하게 제공받지 못하는 단점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더욱이, 카페 등의 음료 매장에서 사용되는 빨대는, 음료의 종류 등에 따라 사용되는 빨대의 크기 및 지름 등의 규격이 상이하기 때문에, 빨대의 규격에 따라 각각 별도의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빨대 디스펜서에 수납된 빨대를 회전식 구동의 인출방식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하여 제공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빨대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 수납된 빨대의 저장공간 및 경사부를 주기적으로 흔들어주도록 형성하여, 빨대의 이동 과정에서의 막힘 현상을 미연에 차단하고, 빨대 디스펜서의 고장 및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빨대의 수납 및 인출 구조를 이원화하여, 다른 규격의 빨대를 동시에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빨대를 수납하고 인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 본체와, 수납되는 빨대를 보관 저장하도록 하는 저장부재와, 수납된 빨대를 이동 인출되도록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재로 구성된 빨대 디스펜서에 있어서,
전면에는 빨대를 이송되도록 하는 인출구와, 이송된 빨대를 정지시키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한 디스펜서 본체와;
수납 저장된 빨대를 하방으로 낱개씩 인출되도록 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경사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를 형성한 저장부재와;
수납된 빨대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하는 회전부와, 회전부를 축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결합되어 고정된 브래킷을 형성한 구동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빨대 디스펜서에 수납된 빨대를 회전식 구동의 인출방식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하여 제공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빨대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 수납된 빨대의 저장공간 및 경사부를 주기적으로 흔들어주도록 형성하여, 빨대의 이동 과정에서의 막힘 현상을 미연에 차단하고, 빨대 디스펜서의 고장 및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빨대의 수납 및 인출 구조를 이원화하여, 다른 종류 및 규격의 빨대를 동시에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빨대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부재를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저장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빨대 디스펜서는, 빨대를 수납하고 인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 본체(100)와, 수납되는 빨대를 보관 저장하도록 하는 저장부재(200)와, 수납된 빨대를 이동 인출되도록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 본체(100)는 상부의 개폐 수단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어 빨대를 수납 보관하도록 구비하고, 전면에는 빨대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인출구(110)와, 이송 배출된 빨대를 정지시키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돌출된 돌출부(120)를 형성한다.
상기 디스펜서 본체(100)는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저장부재(200) 및 구동부재(300)를 각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여, 수납되는 빨대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구분하여 수납 보관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도록 한다.
상기 인출구(110)는 별도의 램프(111)를 구비하도록 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제공된 빨대의 확인 및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120)는 말단에 이송된 빨대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단턱(121)을 구비하여, 관성에 의해 이동하는 빨대의 낙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재(200)는 수납 저장된 빨대를 하방으로 낱개씩 인출되도록 하는 경사부(210)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경사부(210)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220)를 형성한다.
상기 회동부(220)는 디스펜서 본체(100)의 내면에 부착 결합되도록 하고, 경사부(210)의 상측 부위에 설치되도록 하여, 경사부(210)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고, 경사부(210)를 회동시키도록 회전 동작하는 캠(221)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캠(221)은 별도의 전동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동작되도록 하거나, 구동부재(300)에 별도의 벨트 또는 체인 등의 동력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캠(221)의 회전축에 체결되도록 하는 회전 핸들 등의 구비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주기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어느 방식으로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캠(221)의 대용으로 별도의 진동 수단을 구비하고, 주기적인 진동에 의해 경사부(210)를 회동시키도록 하여, 수납되어 경사부(210)를 따라 하강 이동하는 빨대의 병목현상에 의한 막힘 현상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재(300)는 수납된 빨대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하는 회전부(310)와, 회전부(310)를 축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결합되어 저장부재(200)에 고정된 브래킷(320)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부(310)는 전동기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임펠러(311)와, 다수 개의 임펠러(311)를 연결 회전시키도록 회전축(312)을 형성한다.
상기 임펠러(311)는 빨대를 요입시키도록 하는 요입부(311a)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브래킷(320)는 하단을 디스펜서 본체(100)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회전축(312)의 양단을 축 결합되도록 하여, 임펠러(311)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형성하고, 일측으로 경사부(210)를 따라 하강하는 빨대를 낱개로 수납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21)를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S는 빨대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빨대 디스펜서를 각종 매장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디스펜서 본체(100)의 상부의 개폐구 등을 통해 개방하여, 빨대(S)를 투입 수납되도록 하고, 디스펜서 본체(100)에 구비된 센서의 감지를 통해, 구동부재(300)가 동작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200)에 투입된 빨대(S)는 경사부(210)의 비스듬한 경사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낱개의 빨대(S)는 구동부재(300)의 브래킷(320)에 구비된 가이부(321)부를 따라, 구동부재(300)의 임펠러(311)의 요입부(311a)에 요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등의 감지에 의한 동작에 따라, 브래킷(320)에 축 결합된 회전부(31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312)으로 연결 결합된 임펠러(311)가 회전하게 되어, 디스펜서 본체(100)의 전면에 구비된 인출구(110)를 통해 디스펜서 본체(100)의 외부로 빨대(S)를 이송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송된 빨대(S)는 돌출부(120)에 구비된 단턱(121)에 의해 정지되어 안정적으로 돌출부(12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인출구(110)에 구비되는 램프(111)를 통해,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가 제공되는 빨대를 용이하게 확인 및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 디스펜서의 다수 개의 빨대를 수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빨대 저장부재(200)의 경사부(210)에서 구동부재(300)로 통하는 빨대의 이동 공간에서 병목 등의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주기적인 자동의 방식 또는 별도의 회전 핸들 등을 통해 외부에서 캠의 회전축과 체결하여 필요시에 수동으로 회동부(220)를 동작시키게 되면 캠(221)이 회전함으로써, 디스펜서 본체(100)의 내측으로 축 결합된 경사부(21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기 때문에, 저장부재(200)에 다수 개 적층되어 막힌 빨대를 재정렬되도록 하여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펜서 본체(100)의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저장부재(200) 및 구동부재(300)를 구분 분할된 각 공간에 설치하게 되면, 각종 음료 매장 등에서 사용되는 빨대의 종류 및 크기, 또는 규격 등에 따라 구분하여 수납 보관되도록 하여, 수동 또는 자동의 각각의 구동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원하는 빨대를 용이하게 인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펜서 본체 110 : 인출구
111 : 램프 120 : 돌출부
121 : 단턱 200 : 저장부재
210 : 경사부 220 : 회동부
221 : 캠 300 : 구동부재
310 : 회전부 311 : 임펠러
311a : 요입부 312 : 회전축
320 : 브래킷 321 : 가이드부

Claims (7)

  1. 전면으로 빨대가 이송되도록 하고, 야간 및 어두운 장소에서 제공된 빨대의 확인과 식별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램프(111)를 구비한 인출구(110)와, 이송된 빨대를 정지시키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돌출되고, 말단에 이송된 빨대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단턱(121)을 구비한 돌출부(120)를 형성한 디스펜서 본체(100)와;
    수납 저장된 빨대를 하방으로 낱개씩 인출되도록 하는 경사부(210)를 형성한 저장부재(200)와;
    수납된 빨대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하는 회전부(310)와, 회전부(310)를 축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결합되어 저장부재(200)에 고정된 브래킷(320)를 형성한 구동부재(300);
    로 구성된 빨대 디스펜서에 있어서,
    디스펜서 본체(100)는,
    수납되는 빨대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수납 보관되도록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저장부재(200) 및 구동부재(300)를 각 공간에 설치하도록 형성하고;
    저장부재(200)는,
    경사부(210)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220)를 형성하고;
    구동부재(300)의 회전부(310)는,
    빨대를 요입시키도록 하는 요입부(311a)를 구비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임펠러(311)와, 다수 개의 임펠러(311)를 연결 회전시키도록 회전축(312)을 형성하고,
    구동부재(300)의 브래킷(320)은,
    하단을 디스펜서 본체(100)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회전축(312)의 양단을 축 결합되도록 하여, 임펠러(311)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형성하고, 일측으로 경사부(210)를 따라 하강하는 빨대를 낱개로 수납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2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재(200)의 회동부(220)는,
    디스펜서 본체(100)의 내면에 부착 결합되도록 하고, 경사부의 상단에 축 결합되도록 하여, 경사부(210)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고, 경사부(210)를 회동시키도록 회전 동작하는 캠(221)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디스펜서.
  6. 삭제
  7. 삭제
KR1020220153892A 2022-11-16 2022-11-16 빨대 디스펜서 KR10258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892A KR102585043B1 (ko) 2022-11-16 2022-11-16 빨대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892A KR102585043B1 (ko) 2022-11-16 2022-11-16 빨대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043B1 true KR102585043B1 (ko) 2023-10-06

Family

ID=8829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892A KR102585043B1 (ko) 2022-11-16 2022-11-16 빨대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04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13Y1 (ko) * 2004-09-07 2004-12-14 (주)렘스 길이방향 연장 물품 수납 및 방출 장치
KR200415282Y1 (ko) * 2006-02-02 2006-05-03 김양회 스트로우인출기
KR20090103655A (ko) * 2008-03-28 2009-10-01 제이씨텍(주) 막대형 비닐봉지 커피믹스 인출장치
US20160375201A1 (en) * 2015-06-24 2016-12-29 Troy L. Knaub Carpule warmer and dispenser
US20170340153A1 (en) * 2016-05-31 2017-11-30 Steri-Straw Inc. Straw dispenser with improved sterilization device
KR102274615B1 (ko) * 2020-01-23 2021-07-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파우치 토출장치
KR20220022412A (ko) * 2020-08-18 2022-02-25 홍기용 이쑤시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13Y1 (ko) * 2004-09-07 2004-12-14 (주)렘스 길이방향 연장 물품 수납 및 방출 장치
KR200415282Y1 (ko) * 2006-02-02 2006-05-03 김양회 스트로우인출기
KR20090103655A (ko) * 2008-03-28 2009-10-01 제이씨텍(주) 막대형 비닐봉지 커피믹스 인출장치
US20160375201A1 (en) * 2015-06-24 2016-12-29 Troy L. Knaub Carpule warmer and dispenser
US20170340153A1 (en) * 2016-05-31 2017-11-30 Steri-Straw Inc. Straw dispenser with improved sterilization device
KR102274615B1 (ko) * 2020-01-23 2021-07-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파우치 토출장치
KR20220022412A (ko) * 2020-08-18 2022-02-25 홍기용 이쑤시개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245B1 (ko) 고체 약물 전달용 분배 캐니스터
RU2548480C2 (ru) Выдающее мешалки или ложк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шин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JP5472162B2 (ja) 注射薬供給装置
EP1971387B1 (en) A receptacle for a catheter
CA2467628C (en) Vacuum drum pill counter
KR101362648B1 (ko) 상부 토출용 식품 또는 약품 디스펜서
US4752274A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having coin transporting arms synchronized on common surface with coin scrapping arms
KR920001392A (ko) 컵식 자동판매기
US6832698B1 (en) Container lid dispenser
US20150001245A1 (en) Bead dispenser
RU2138188C1 (ru) Дозатор для сладостей
KR102585043B1 (ko) 빨대 디스펜서
US7588062B1 (en) Candy powder dispensing apparatus
US7325700B1 (en) Dispenser apparatus and packaging to inhibit propagation of hand-borne pathogens
CN208769397U (zh) 一种自助餐具取用器
CA2065505C (en) Drain cleaner dispenser with locking means
CN109924800A (zh) 一种自助餐具取用器
US4295580A (en) Closure dispenser
KR101156070B1 (ko) 수동식 알약분배기
AU2005237231B2 (en) Capsule loading device for feeding a capsules dispensing machine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JP4013793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リッド装着装置
GB2248443A (en) Vending machine.
KR100578035B1 (ko)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US6877640B1 (e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 or powder to washing machine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