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210B1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210B1
KR102584210B1 KR1020220119645A KR20220119645A KR102584210B1 KR 102584210 B1 KR102584210 B1 KR 102584210B1 KR 1020220119645 A KR1020220119645 A KR 1020220119645A KR 20220119645 A KR20220119645 A KR 20220119645A KR 102584210 B1 KR102584210 B1 KR 10258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uction
impeller
vacuum clea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3159A (en
Inventor
황필재
황만태
황정배
성은지
이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210B1/en
Publication of KR2022013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1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2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 상기 흡입 모터를 둘러싸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 및 상기 유동 가이드를 둘러싸며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와 함께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바디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suction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force; a dust separation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force; a motor housing surrounding the suction motor; a flow guid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motor housing and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to the suction motor; and a body that surrounds the flow guide, forms an exterior, and guides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together with the flow guide.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by suctioning or wiping away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area to be cleaned.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These vacuum cleaners can be divided into manual vacuum cleaners, which perform cleaning while the user moves the vacuum cleaner, and automatic vacuum cleaners, which perform cleaning while traveling on their own.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manual cleaners can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type cleaners, hand-held cleaners, stick-type cleaners,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cleaner.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7088호(등록일 2012.03.08.)에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A handheld vacuum clean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27088 (registration date 2012.03.08), which is a prior document.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흡입관과, 기류 생성기, 원심 분리 장치, 전원 및 핸들을 포함한다. The handheld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tube, an airflow generator,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a power source, and a handle.

또한, 상기 기류 생성기는 모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모터 및 팬 어셈블리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모터 앞쪽에 프리모터 필터가 구비되고, 모터 뒤쪽에 포스트모터 필터가 구비된다. Additionally, the airflow generator is located within the motor housing and has the form of a motor and fan assembly. Additionally, a pre-motor filt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motor, and a post-motor filter is provided behind the motor.

이때, 필터의 장시간 사용 시 필터가 먼지가 쌓일 수 있으며, 필터가 청소되지 않으면 필터에 쌓인 먼지가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여 흡입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filter is used for a long time, dust may accumulate on the filter, and if the filter is not cleaned,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ilter acts as flow resistance, which reduces suction performance.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프리모터 필터가 기류 생성기와 원심 분리기 사이에 위치되므로, 포스트모터 필터가 외측의 하우징에 의해서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제품을 분해하여야 필터에 접근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literature, since the pre-motor filter is located between the airflow generator and the centrifugal separator, the post-motor filter is surrounded by an outer housing, so the filter can be accessed only by disassembling the product,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there is.

또한, 원심 분리 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를 모터 측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구조와 모터를 지난 공기를 포스트모터 필터로 안내하는 구조가 별도로 존재하므로, 부품의 개수가 많아지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separate structur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to the motor and a structure for guiding the air past the motor to the post-motor filter,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유동 가이드가 흡입 모터의 흡입 유로와 배기 유로를 형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부품 수가 줄어들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a reduced number of parts because one flow guide forms the suction flow path and the exhaust flow path of the suction moto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이 컴팩트 해지면서도 흡입 모터로 유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의 폭이 확보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secure the width of the air passage for flowing to the suction motor while making the product compac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이루는 바디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ddition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deformation of the body forming the exterior can be limit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 기구 및 프리 필터의 분리가 가능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ddition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filter mechanism and the pre-filter can be separa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와,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를 둘러싸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와, 상기 유동 가이드를 둘러싸며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와 함께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바디를 포함한다.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uction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force, a dust separator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force, a motor housing surrounding the suction motor, and a flow guide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motor housing and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to the suction motor, and surrounds the flow guide to form an exterior, and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together with the flow guide. Includes a body that guides.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모터 하우징 사이에 상기 흡입 모터로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 유로를 제공하는 제1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first air passage providing a suction passage for air to be sucked into the suction motor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and the motor housing.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 사이에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 유로를 제공하는 제2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a second air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and the body to provide an exhaust flow path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is exhausted.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ow guide may include a guide body whos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상기 가이드 바디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공기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벽이 구비될 수 있다. The guid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flow path forming wall that protrudes outward and forms a part of the first air flow path.

상기 유로 형성벽은 상기 바디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벽에는 상기 바디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바디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를 향하여 연장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low path forming wall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The flow path forming wall may be provided with reinforcing ribs extending toward the body to limit deformation of the bod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ody.

흡입 모터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본 실시 예의 청소기는 상기 가이드 바디 내에 수용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uction motor, the vacuum cleaner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re-filter accommodated in the guide body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motor housing.

상기 흡입 모터는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may include an impeller that rotates.

상기 프리 필터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임펠러가 상기 흡입 모터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 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흡입 모터의 임펠러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o enable separation of the pre-filter, the suction motor may be arranged so that the impeller is located above the suction motor, and the pre-filter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impeller of the suction motor.

상기 가이드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프리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A filt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re-filter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body.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프리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tor housing may include a filt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re-filter.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필터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기구는 상기 프리 필터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프리 필터를 가압할 수 있다. It further includes a filter mechanism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and the filter mechanism can pressurize the pre-filter to prevent movement of the pre-filter.

상기 필터 기구는,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mechanism may include a filter for filtering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and a filter frame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바디와 상기 유동 가이드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유동 가이드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lter frame may be fixed to the flow guide while the filt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the flow guide.

상기 필터 프레임과 상기 유로 가이드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유동 가이드의 외주면에는 고정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고정 리브가 수용되는 리브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fix the filter frame and the flow guide, a fixing rib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and the filter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rib receiv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fixing rib.

상기 필터 프레임이 상기 유동 가이드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의 일부는 상기 필터 프레임에 수용될 수 있다. While the filter frame is fixed to the flow guide, a portion of the flow guide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lter frame.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의 외주면과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주면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너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lter frame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sealing member to prevent air from leaking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frame.

상기 인너 실링부재는 상기 유동 가이드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The inner sealing member may be seated on the top of the flow guide.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흡입 모터를 감싸며 상기 유동 가이드와 함께 상기 제1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모터 하우징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제2공기 유로로 안내하는 공기 가이드를 구비하는 하부 모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tor housing includes an upper motor housing that surrounds the suction motor and forms the first air passage along with the flow guid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motor housing to direct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into the second air passage. It may include a lower motor housing having a guiding air guide.

상기 유동 가이드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모터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low guide may be fastened to the motor housing by a fastening member.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길이 방향 축을 가지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 모터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상방에 구비되는 공기 배출구; 및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 측으로 상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흡입 모터를 지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구 측으로 상방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한다.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suction part having a longitudinal axis; a suction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force to suck air through the suction unit; a dust separation unit located below the suction motor and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force; an air outlet provided above the suction motor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unit being horizontal; and a flow guide that guides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upward toward the suction motor and guid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upward toward the air outlet.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흡입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의 내주면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의 외주면은 상기 흡입 모터를 지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한다. The flow guide may be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guides the air upwar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guides the air past the suction motor upwar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유동 가이드의 내주면이 흡입 유로를 형성하고, 유동 가이드의 외주면이 배기 유로를 형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forms a suction passag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forms an exhaust passage, thereby providing a vacuum cleaner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 가이드에 제1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벽이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흡입 모터로 유동하기 위한 제1공기 유로의 폭이 확보되어 공기 유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path forming wall forming the first air flow path in the flow guide protrudes outward, the width of the first air flow path for flowing to the suction motor is secured, thereby improving air flow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 형성벽에 보강 리브가 구비됨에 따라, 바디가 유로 형성벽 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inforcing ribs are provided on the flow path forming wall, the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toward the flow path forming wal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기구가 바디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필터 청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mechanism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ter can be clea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펠러가 흡입 모터의 상측부에 위치되도록 흡입 모터가 위치되므로, 프리 필터가 흡입 모터의 상측부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필터 기구의 분리 시 프리 필터의 상측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ction motor is positioned so that the impelle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motor, the pre-filter can cover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motor, so when the filter mechanism is separated, it can be separ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e-filte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의 하측을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7의 필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필터 기구의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필터 커버에 인너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과 제2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below.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filter mechanism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looking from the bottom of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echanism of Figure 7;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echanism of Figure 7;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ner frame coupled to the filter cover of Figure 11.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top view of a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low guide.
Figure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flow guide.
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tor housing and a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ir flow in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op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and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2.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의 앞쪽에 결합되는 흡입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unit 5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2. The suction unit 5 can guide air containing dust to the main body 2.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핸들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3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handle portion 3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portion 5 in the main body 2.

즉,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 사이에 상기 본체(2)가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main body 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art 5 and the handle part 3.

상기 본체(2)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2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는 직접 결합되거나 중간의 매개부재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include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12 located above the first body 10.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may be directly coupled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 intermediate member.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are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그리고,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 각각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즉, 상기 각 바디(10, 12)는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each have upper and lower openings. That is, each of the bodies 10 and 12 may include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그리고, 상기 흡입부(5)의 중앙부가 대략적으로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의 경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ction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ction unit 5 is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dust separation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상기 먼지 분리부는, 일 예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디(10)가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한다.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cyclone unit 110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cyclonic flow. At this time, the first body 10 includes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flows spirally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xis of cyclonic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는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yclone unit 130 that separates dust again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At this time,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cyclone unit 110 to minimize the siz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arranged in parallel.

다른 예로서, 상기 먼지 분리부가 단일의 싸이클론부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for the dust separation unit to have a single cyclone unit, and even in this case,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바디(10)는 상기 각 싸이클론부(110, 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역할을 한다. The first body 10 serves as a dust container that stores dust separated from each cyclone unit 110 and 130.

상기 본체(2)는 상기 제1바디(10)의 하측을 개폐하는 바디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16)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1바디(10)를 개폐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body cover 16 that opens and closes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10. The body cover 16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body 10 by rotating.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바디(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located within the first body 10 .

상기 제1바디(10) 내에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을 가이드하는 먼지 저장 가이드(1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 커버(16)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A dust storage guide 124 may be disposed within the first body 10 to guide the storage of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The dust storage guide 124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nd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cover 16.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1바디(10) 내부의 공간을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1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2먼지 저장부(123)로 구획할 수 있다. The dust storage guide 124 divides the space inside the first body 10 into a first dust storage unit 121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is stored, and a second cyclone. It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wher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unit 130 is stored.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제2먼지 저장부(123)이고,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와 상기 제1바디(10) 사이 공간이 제1먼지 저장부(121)이다. The inner space of the dust storage guide 124 is the second dust storage part 123, and the space between the dust storage guide 124 and the first body 10 is the first dust storage part 121.

상기 바디 커버(16)는 상기 제1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2먼지 저장부(123)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The body cover 16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together.

상기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20)와,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motor 20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and a battery 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20.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2바디(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먼지 분리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1바디(10)의 상방에 위치된다. The suction motor 20 may be located within the second body 1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20 may be located above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ly,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above the first body 10.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20 may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2)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와 연결되는 배출 가이드(28)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와 연통되는 유동 가이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guide 28 connected 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nd a flow guide 22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guide 28.

일 예로 상기 배출 가이드(28)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상측에 위치된다. For example, the discharge guide 28 is locat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nd the flow guide 22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guide 28.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부에 위치된다.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inside the flow guide 22.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기 흡입 모터(20)를 관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pass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상기 흡입 모터(20)가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가 바로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20) 간의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13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can flow directly toward the suction motor 20, The flow path between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suction motor 20 can be minimized.

상기 흡입 모터(20)는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00)는 샤프트(2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0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The suction motor 20 may include an impeller 200 that rotates. The impell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202. The shaft 202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임펠러(200)가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 모터(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임펠러(200)에 의해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ction motor 2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impeller 2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motor 20. In this case, air may flow from above to below the suction motor 20 by the impeller 200.

상기 샤프트(202)의 연장선(임펠러(200)의 회전축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상기 제1바디(1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과 상기 먼지 분리부의 제1싸이클론부(110)에서 발생되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An extension of the shaft 202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200) may pass through the first body 10. At this time,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200 and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generated in the first cyclone unit 110 of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 즉,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하는 경로가 줄어들고, 공기의 방향 변화가 줄어들 수 있어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that is, the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flows towards the suction motor 20 is reduced, and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air is reduced. 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air flow loss.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경우,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When air flow loss is reduced, suction power can be increased and the usage time of the battery 40 to supply power to the suction motor 20 can be increased.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상기 흡입 모터(20)의 하측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각 모터 하우징(26)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motor housing 26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motor 20 and a lower motor housing 27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suction motor 20. . The suction motor 20 may be accommodated inside each motor housing 26, and the flow guide 22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upper motor housing 26.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바디(12)와 이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w guide 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otor housing 26. Addi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w guide 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ody 12.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외주면은 제1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은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한다. Accordingl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2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motor housing 26 form a first air flow path 23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2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 forms a second air flow path 234.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유동 가이드(22)가 제1공기 유로(232)와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하고, 각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품 수가 줄어들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flow guide 22 forms the first air passage 232 and the second air passage 234, and the number of parts for forming each air passage can be reduc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there is.

상기 제1공기 유로(232)는 흡입 유로 역할을 하고, 상기 제2공기 유로(234)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The first air passage 232 serves as an intake passage, and the second air passage 234 serves as an exhaust passage.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동하고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를 따라 유동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기 유로(234)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flows to the suction motor 20 along the first air passage 232,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20 flows into the second air passage ( 234)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second air flow path 234 serves as an exhaust flow path.

상기 핸들부(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30)과, 상기 핸들(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unit 3 may include a handle 30 for a user to hold, and a battery housing 410 disposed below the handle 30.

상기 핸들(30)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andle 30 may be located behind the suction motor 20.

방향에 대해서 정의하면, 상기 청소기(1)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5)가 위치되는 방향이 전방이고, 상기 핸들(30)이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 When defining the direction, in the vacuum cleaner 1,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unit 5 is located relative to the suction motor 20 is 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30 is located is rear.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제1바디(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와 상기 배터리(4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배치 높이 또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40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body 10. Accordingly, the suction motor 20 and the battery 40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ir arrangement heights may also be differen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0)가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청소기(1)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청소기(1)의 앞쪽과 뒤쪽에 무게가 무거운 구성이 분산되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30, the heavy suction motor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handle 30, and the heavy battery 40 is positioned at the handle 30. Since it is located downward, the weight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vacuum cleaner 1. When the user cleans while holding the handle 30, strain on the user's wrist can be prevented. That is, heavy component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acuum cleaner 1, but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1 can be prevented from shifting to one side.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30)의 상방에는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핸들(30)의 상면은 상기 청소기(1)의 상면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Since the battery 40 is located below the handle 30 and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handle 30, there is no structure above the handle 3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30 forms a partial upper surface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1.

따라서, 상기 핸들(30)을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청소기(1)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while holding and using the handle 30, a component of the vacuum cleaner 1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s arm.

상기 핸들(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1연장부(310)와, 상기 제1연장부(310)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handle 30 includes a first extension 310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be held by the user,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310 toward the suction motor 20. It may include unit 320.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0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연장부(310)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손이 상기 제1연장부(310)의 길이 방향(도 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1연장부(310)에서 상기 흡입부(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310 is provided with a device to prevent the user's hand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310 (up and down in FIG. 2) while holding the first extension 310. A movement restriction unit 312 may be provided. The movement limiting part 312 may exten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toward the suction part 5.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2연장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상방에 위치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하방에 위치된다.The movement limiting part 312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Accordingly, while holding the first extension 310, some fingers are positioned above the movement limiting part 312, and other fingers are positioned below the movement limiting part 312.

일 예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 사이에 상기 이동 제한부(312)가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vement limiter 312 may be located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part 5 can pass the user's wrist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이 펴진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은 사용자의 팔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기(1)를 밀거나 당길 때 필요한 사용자의 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unit 5 passes through the user's wrist,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unit 5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user's arm when the user's arm is spread out. It can be side by side. Therefore, in this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force required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30 and pushes or pulls the vacuum cleaner 1 is minimized.

상기 핸들(30)은 조작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326)는 상기 제2연장부(32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6)를 통하여 청소기(흡입 모터)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he handle 30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326.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unit 326 may be located on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second extension unit 320.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326, on and off commands for the vacuum cleaner (suction motor) can be input.

상기 조작부(326)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326)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326 may be arranged to face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handle 30, the manipulation unit 326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vement limiting unit 312.

상기 조작부(316)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 보다 높게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상기 조작부(326)를 조작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316 is located higher than the movement limiting unit 312.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manipulation unit 326 with his or her thumb while holding the first extension unit 310.

또한, 상기 제1연장부(310)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조작부(326)가 위치되므로, 상기 제1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때, 의도하지 않게 상기 조작부(326)가 조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nipulation unit 326 is loca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when cleaning is performed while holding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the manipulation unit 326 may be unintentionally touch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anipulated.

상기 제2연장부(320)에는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일 예로 상기 제2연장부(32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연장부(320)의 상면에 위치한 표시부(322)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일 예로 배터리(40)의 잔량, 흡입 모터의 세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322 to display an operating stat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22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unit 320.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display unit 322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unit 320 during the cleaning process.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22 may displa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40, the strength of the suction motor, etc.

상기 표시부(32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부는 상기 제2연장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22 is not limited, bu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은 상기 제1연장부(3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housing 410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의 하방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The battery 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410 . For example, the battery 40 may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housing 410 from below.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의 후면과 상기 제1연장부(310)의 후면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과 상기 제1연장부(310)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The back of the battery housing 410 and the back of the first extension 310 may form a continuous surface. Accordingly, the battery housing 410 and the first extension 310 may have a sense of unity.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522)를 가지는 필터 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522)는 일 예로 다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다수의 개구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522)는 링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chanism 50 having an air outlet 522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is discharged. For example, the air outlet 5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air outlet 522 may be arranged in a ring shape.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제2바디(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522)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방에 위치된다. The filter mechanism 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 That is, the filter mechanism 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12. The air outlet 522 is located above the suction motor 20 when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unit 5 is horizontal.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제2바디(12)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본체(2)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다.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a portion of the filter mechanism 50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body 12. Accordingly, a part of the filter mechanism 5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2, and the other part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2.

상기 본체(2)의 높이는 상기 핸들(3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handle 30. Accordingly, the filter mechanism 50 protrudes upward from the main body 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lter mechanism 50 while holding the filter mechanism 50.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상측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The air outlet 52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echanism 50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20 is discharged upward from the main body 2.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구(522)에서 배출된 공기가 사용자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cleaning using the vacuum cleaner 1,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522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oward the user.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프리 필터(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프리 필터(29)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pre-filter 29 for filtering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motor 20. The pre-filter 29 may be located within the flow guide 22. Additionally, the pre-filter 29 may be seated on the upper motor housing 26 and may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motor housing 26. That is, the upper motor housing 26 may include a filt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re-filter 29.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프리 필터(29)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 필터(29)를 가압할 수 있다.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2, the filter mechanism 50 may pressurize the pre-filter 29 to prevent the pre-filter 29 from moving.

일 예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리 필터(29)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For example, the filter mechanism 50 may press the pre-filter 29 downwar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tructure for fixing the pre-filter 29 is not requir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의 하측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필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필터 기구의 단면 사시도이다.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filter mechanism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looking from the bottom of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view of the filter mechanism of Figure 7.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echanism,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echanism of FIG. 7.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5 to 9, the filter mechanism 5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일 예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lter mechanism 50 may be separated above the main body 2.

상기 임펠러(200)가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프리 필터(29)가 상기 임펠러(200)를 커버하도록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Since the impeller 200 is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motor 20, the pre-filter 29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upper motor housing 26 to cover the impeller 200.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 필터(29)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프리 필터(29)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Accordingly,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the pre-filter 29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the pre-filter 29 can be separated.

상기 프리 필터(29)는 손잡이(29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프리 필터(29)의 손잡이(29a)를 잡고 상기 프리 필터(29)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상기 프리 필터(29)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The pre-filter 29 may include a handle 29a. The user may hold the handle 29a of the pre-filter 29 exposed to the outside and lift the pre-filter 29 upward to separate the pre-filter 29 from the main body 2. Since the pre-filter 29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pre-filter 29.

상기 필터 기구(50)는,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560)와, 상기 필터(560)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mechanism 5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560 for filtering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20 and a filter frame supporting the filter 560.

상기 필터(560)는 일 예로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필터)일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프리 필터(29)는 "제1필터" 또는 "1차 필터"로 이름할 수 있고, 상기 필터(560)는 "제2필터" 또는 "2차 필터"로 이름할 수 있다. The filter 560 may be, for example, 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 Hereinafter, the pre-filter 29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filter” or “primary filter”, and the filter 56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filter” or “secondary filter.”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필터(56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56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flow guide 22 to prevent the height of the cleaner 1 from increasing while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즉, 상기 필터(560)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며, 상기 필터(56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유동 가이드(22)이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filter 56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for example, and the flow guide 22 may be partially located within the area formed by the filter 560.

또한, 상기 필터(560)가 형성하는 영역에 상기 프리 필터(29)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560)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둘러싼다. Addi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filter 29 may be accommodated in the area formed by the filter 560. That is, the filter 560 surrounds the pre-filter 29.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제2바디(12)와 상기 유동 가이드(22)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lter frame may be coupled to the flow guide 22 while being inserted between the second body 12 and the flow guide 22.

상기 필터 프레임은, 인너 프레임(501)과, 인너 프레임(501)을 둘러 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5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frame may include an inner frame 501 and an outer frame 540 arranged to surround the inner frame 501.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외주면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내주면은 이격되며,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 사이에 상기 필터(560)가 위치될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frame 501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540 are spaced apart, and the filter 56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frame 501 and the outer frame 540.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공기 배출구(522)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560)의 상측을 커버하는 배기 그릴(520)과, 상기 필터(560)의 하측을 커버하는 필터 커버(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frame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grill 520 in which the air outlet 522 is formed and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560, and a filter cover 570 that covers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560. You can.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프레임(501)은 상면부(502)와, 상기 상면부(502)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둘레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frame 501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portion 502 and a peripheral portion 50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502.

상기 둘레부(503)는, 제1부분(503a)과, 상기 제1부분(50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부분(503a)의 직경 보다 직경이 큰 제2부분(503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eripheral portion 503 may include a first portion 503a and a second portion 503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portion 503a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portion 503a. You can.

상기 제1부분(503a)과 상기 제2부분(503b)의 직경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1부분(503a)과 상기 제2부분(503b) 사이에는 상기 배기 그릴(5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506)가 형성될 수 있다. A seating portion for seating the exhaust grill 520 between the first part 503a and the second part 503b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first part 503a and the second part 503b ( 506) can be formed.

상기 안착부(506)는 상기 상면부(502)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둘레부(50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seating portion 506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503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502.

상기 배기 그릴(520)이 상기 안착부(506)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기 그릴(520)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그릴(520)의 내경은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506)의 외경 및 상기 제2부분(503b)의 외경은 상기 배기 그릴(520)의 내경 보다 클 수 있다. The exhaust grill 5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exhaust grill 520 can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506. Additionally, the inner diameter of the exhaust grill 520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ortion 503a of the peripheral portion 503. Additionally,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506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ortion 503b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xhaust grill 520.

따라서,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상면부(502) 및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이 상기 배기 그릴(52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 그릴(520)이 상기 안착부(506)에 안착될 수 있다.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rface portion 502 and the first portion 503a of the peripheral portion 503 of the inner frame 501 penetrate the exhaust grill 520, the exhaust grill 520 is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 506).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인너 데코부재(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mechanism 5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decoration member 510 coupled to the edge of the inner frame 501. The inner decoration member 51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에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512)가 구비된다. The inner decoration member 510 is provided with a hook 512 for being coupled to the inner frame 501.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는 상기 후크(512)가 결합되기 위한 후크 결합홀(508)이 형성될 수 있다. A hook coupling hole 508 for attaching the hook 512 may be formed in the inner frame 501.

상기 후크 결합홀(508)은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에는 상기 후크(512)를 상기 후크 결합홀(508)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50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50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hook coupling hole 508 may be formed in the first portion 503a of the peripheral portion 503. Additionally, a guide groove 507 may be formed in the first portion 503a of the peripheral portion 503 to guide the hook 512 to the hook coupling hole 508. The guide groove 507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의 후크(512)가 상기 안내홈(507)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후크 결합홀(508)과 정렬되면 상기 후크(512)가 상기 후크 결합홀(508)에 삽입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hook 512 of the inner decoration member 51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507 and is aligned with the hook coupling hole 508, the hook 512 is inserted into the hook coupling hole 508. It can be.

상기 배기 그릴(520)이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안착부(50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inner decoration member 51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frame 501 while the exhaust grill 52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506 of the inner frame 501.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 그릴(5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의 후크(512)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안내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52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o this end, a guide groove 524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haust grill 52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ook 512 of the inner decoration member 510 can move. The guide groove 524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의 후크(512)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안내홈(507) 및 상기 배기 그릴(520)의 안내홈(5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ook 512 of the inner decoration member 510 can move along the guide groove 507 of the inner frame 501 and the guide groove 524 of the exhaust grill 520.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는 상기 배기 그릴(5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When the inner decoration member 510 is coupled to the inner frame 501, the inner decoration member 51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grill 52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기 그릴(520)을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 고정수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xhaust grill 520 to the inner frame 501 is not required.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은 상기 배기 그릴(5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은 상기 배기 그릴(520)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 예로 융착에 의해서 상기 배기 그릴(5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 그릴(520)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고정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outer frame 540 may support the exhaust grill 520. The outer frame 540 may be fixed to the exhaust grill 520 by, for example, fusion whil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xhaust grill 520.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method of fixing the exhaust grill 520 and the outer frame 540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이 상기 배기 그릴(52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는 상기 배기 그릴(5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544)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outer frame 540 to support the exhaust grill 520, a seating groove 544 for seating the exhaust grill 520 may be formed in the outer frame 540.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이 상기 배기 그릴(520)과 고정되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550)과 상기 인너 프레임의 둘레부(503) 사이에 필터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수용 공간에 상기 필터(56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560)가 상기 필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560)는 상기 공기 배출구(52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된다. When the outer frame 540 is fixed to the exhaust grill 520, a filter receiv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 550 and the peripheral portion 503 of the inner frame, and the filter ( 560) can be accepted. When the filter 560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the filter 560 overlaps the air outlet 522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 결합되는 아우터 데코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는 상기 배기 그릴(520)의 둘레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상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하단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546)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mechanism 5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decoration member 550 coupled to the outer frame 540. The outer decoration member 55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frame 540 whil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exhaust grill 520. Additionally, the outer decoration member 550 may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540. A seating surface 546 for seating the lower end of the outer decoration member 55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540.

상기 아우터 테코부재(5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5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54)가 수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홈(542)이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554 for coupling to the outer frame 540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ecto member 550, and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554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540. One or more coupling grooves 542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5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552)는 일 예로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일 수 있다. An anti-slip portion 55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decoration member 550 to prevent the user's hand from slipping when separating or assembling the filter mechanism 50. For example, the anti-slip portion 552 may b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decoration member 550.

사용자의 손의 미끄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다수의 미끄럼 방지부(552)가 상기 아우터 테코부재(550)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anti-slip portions 55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tack member 550 to effectively prevent the user's hands from slipping.

상기 필터 커버(570)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57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cover 57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for example, and may include an opening 574 for air to pass through.

상기 필터 커버(57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 사이에 수용된 필터(560)를 커버할 수 있다. The filter cover 570 may cover the filter 560 accommodated between the outer frame 540 and the inner frame 501.

상기 필터 커버(57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하면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 및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일 예로 융착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ilter cover 570 ma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54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50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540 and the inner frame 501, for example, by fusion. can be combined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530, 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mechanism 50 further includes sealing members 530 and 580 for sealing the filter mechanism 50 and the main body 2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can do.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부재(530, 58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의 공기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구비되는 후크 결합홀(508)을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너 실링부재(530)(또는 제1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sealing members 530 and 580 prevent the air in the flow guide 22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ok coupling hole 508 provided in the inner frame 501. It may include an inner sealing member 530 (or a first sealing member) to prevent damage.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inner sealing member 53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503 of the inner frame 501.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상면부(502)에서 하방으로 실링 리브(504)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리브(504)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리브(504)는 상기 상면부(501)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Specifically, a sealing rib 504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502 of the inner frame 501. The sealing ribs 50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al portion 503 of the inner frame 501. The sealing rib 504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501.

따라서, 상기 실링 리브(504)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 사이에는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의 일부는 상기 공간에 끼워진다. Accordingly, a space for receiving the inner sealing member 530 is formed between the sealing rib 504 and the peripheral portion 503 of the inner frame 501, and a portion of the inner sealing member 530 is Fitted into space.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는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의 하면, 상기 제2부분(503b)의 내주면 및 실링 리브(504)의 하면에 접촉한다. When the inner sealing member 530 is coupled to the inner frame 501, the inner sealing member 530 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art 503a of the peripheral part 503 and the second part 503b. It contac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rib 504.

그리고,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된다. And,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inner sealing member 53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low guide 22.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인너 실링부재(230)가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의 하면, 상기 제2부분(503b)의 내주면 및 실링 리브(504)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되므로,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후크 결합홀(508)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ealing member 230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art 503a of the peripheral part 503,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art 503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rib 504. Since it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low guide 22 in one state, air flowing through the flow guide 22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hook coupling hole 508.

또한, 상기 인너 실링부재(230)에 의해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 내주면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ealing member 230 can prevent air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guide 2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portion 503 of the inner frame 501.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 기구(50)의 외면과 상기 제2부재(12)의 내주면 사이에는 틈새가 생길 수 있다. In order for the filter mechanism 50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a gap may be cre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mechanism 5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12.

상기 실링부재(530, 580)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의 공기가 상기 필터(56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제2바디(12) 사이 틈새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우터 실링부재(580)(또는 제2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s 530 and 580 prevent the air in the second air passage 234 from flow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uter frame 540 and the second body 12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560.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ealing member 580 (or a second sealing member) to prevent damage.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는 상기 필터 커버(570)의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는 상기 필터 커버(570)에 끼움 결합되거나 상기 필터 커버(570)와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sealing member 580 may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filter cover 570. Although not limited, the outer sealing member 580 may be fitted into the filter cover 570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ter cover 570 by insert injection molding.

상기 제2부재(12)의 내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가 지지되기 위한 지지면(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25)은 상기 제2부분(12)의 일부분의 두께가 커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 support surface 125 for supporting the outer sealing member 580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12. The support surface 125 may be form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12.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가 상기 지지면(125)에 안착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outer sealing member 580 may be seated on the support surface 125.

따라서, 상기 제2공기 유로(234)의 공기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제2부재(12)의 내주면 사이 틈새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in the second air passage 234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outer frame 54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12.

한편,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는 상기 본체(2)의 제2바디(12)의 상측에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outer decoration member 550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ody 12 of the main body 2. Accordingly, the user can separate the filter mechanism 50 from the main body 2 by rotating the filter mechanism 50 in one direction while holding the outer decoration member 550.

그리고,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560)의 일부는 상기 본체(2)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본체(2)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And,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a part of the filter 560 may be located within the main body 2, and another part may be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2.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가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도 상기 필터(560)가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56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필터(560)의 면적이 증가되어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rt of the filter mechanism 50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2, it becomes possible for the user to hold the filter mechanism 50 and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 Since the filter 560 can be positioned on the protruding portion, the size of the filter 560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area of the filter 560 that can contact the air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필터 커버에 인너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ner frame coupled to the filter cover of Figure 11, and Figure 13 is a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14 is a top view of a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커버(570)는, 인너 바디(571)와, 상기 인너 바디(571)와 이격되는 아우터 바디(572)와, 상기 인너 바디(571)와 상기 아우터 바디(572)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573)를 포함할 수 있다. 10 to 14, the filter cover 570 includes an inner body 571, an outer body 572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dy 571, and the inner body 571 and the outer body. It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573 that connects (572).

상기 인너 바디(571)와 상기 아우터 바디(572)는 각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body 571 and the outer body 572 may each be formed in a ring shape.

상기 연결 바디(573)에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57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ody 573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openings 574 for air to pass through.

상기 인너 바디(571)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하면(509)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프레임 지지리브(5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 지지리브(575)는 상기 인너 바디(57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rame support ribs 575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body 571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509 of the inner frame 501. The plurality of frame support ribs 575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body 571.

상기 인너 바디(571)의 내주면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와의 결합을 위한 리브 결합부(577)가 구비될 수 있다. A rib coupling portion 577 for coupling with the flow guide 22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body 571.

상기 리브 결합부(577)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바디(571)는 연장부(5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76)는 상기 인너 바디(57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576)에 상기 리브 결합부(577)가 구비될 수 있다. The inner body 571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576 so that the rib coupling portion 577 extends in a downward direction. The extension portion 576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571, and the rib coupling portion 577 may be provided on the extension portion 576.

따라서, 상기 리브 결합부(577)는 상기 프레임 지지리브(575)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Accordingly, the rib coupling portion 577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rame support rib 575 and extends to be inclined downward.

상기 리브 결합부(577)가 하향 경사지는 이유는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 회전 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승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rib engaging portion 577 is inclined downward is that the filter mechanism 50 can be rotatably coupled and uncoupled from the main body 2 and the filter mechanism 5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This is to allow the filter mechanism 50 to rise in the process.

상기 필터 기구(5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필터 기구(50)가 분리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rises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filter mechanism 50 is being separated.

상기 필터 기구(5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결합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필터 기구(50)에 회전력이 가해져야 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본체(2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nfigured to be disengaged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ilter mechanism 50, a rotational force must be applied to the filter mechanism 50, so even if the filter mechanism 50 is pulled, the main body ( 20), separation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 filter mechanism 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상기 리브 결합부(577)는 후술할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돌기(229)가 수용되는 슬롯(5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578)은 홈이거나 홀일 수 있다. The rib coupling portion 577 may include a slot 578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229 of the flow guide 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The slot 578 may be a groove or a hole.

상기 인너 프레임(501)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하면(509)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접촉부(50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09a)는 상기 필터 커버(570)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리브(575)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inner frame 501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ortion 509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509 of the inner frame 501. The contact portion 509a may contact the side of the frame support rib 575 when the filter cover 570 and the inner frame 501 are coupled.

상기 인너 프레임(501)은, 상기 유동 가이드(22)에 형성된 고정 리브(228)가 수용되기 위한 리브 수용부(579)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509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frame 501 may include a recessed portion 509b that is depressed upward to form a rib receiving portion 579 for receiving the fixed rib 228 formed on the flow guide 22. there is.

상기 인너 프레임(501)이 상기 필터 커버(57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509b)는 상기 결합 리브(577)의 상방에서 상기 결합 리브(577)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When the inner frame 501 is coupled to the filter cover 570, the recessed portion 509b is disposed above the coupling rib 577 and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rib 577.

이때,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및 하강 과정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리브(228)가 상기 함몰부(509b)와 상기 리브 결합부(577) 사이의 리브 수용부(579)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509b)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during the rotation and lowering of the filter mechanism 50, the fixed rib 228 of the flow guide 22 is attached to the rib receiving portion 579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509b and the rib engaging portion 577. To be accommodated, the depression 509b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따라서, 상기 리브 수용부(579)도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리브 수용부(579)은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필터 커버(570) 사이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리브(228)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필터 커버(57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rib receiving portion 579 also extends obliquely downward. The rib receiving portion 579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501 and the filter cover 570. That is, the fixed rib 228 of the flow guide 22 may be inserted between the inner frame 501 and the filter cover 570.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는 가이드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220)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제1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 형성벽(2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low guide 22 may include a guide body 220 whose upper and lower ends are open. The guide body 220 may include a flow path forming wall 222 for forming the first air flow path 232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flows.

상기 유로 형성벽(222)은 상기 가이드 바디(222)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may protrude from the guide body 222 in the radial direction.

이때, 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유로 형성벽(222)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so that air can flow smoothly, the flow guide 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ow path forming walls 222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부에 상기 흡입 모터(20)가 위치되는데, 상기 본체(2)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상기 흡입 모터(20)와의 갭이 크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상기 흡입 모터(20)와의 갭이 크지 않으면, 공기 유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inside the flow guide 22, and in order for the size of the main body 2 not to increase, the gap between the flow guide 22 and the suction motor 20 should not be large. . However, if the gap between the flow guide 22 and the suction motor 20 is not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air flow performance deteriorates.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유로 형성벽(222)이 상기 가이드 바디(220)에서 돌출되면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의 단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공기 유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protrudes from the guide body 220, a sufficient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flow is secured by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thereby improving air flow performance. It can be.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측부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으면서 상기 유로 형성벽(222)이 상기 필터 기구(50)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유로 형성벽(222)은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guide 22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inner frame 501 and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lter mechanism 50. It is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guide 22 to the lower side.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상측부 외경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때,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측부가 상기 필터 기구(50)에 수용되어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가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ody 22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eripheral portion 503 of the inner frame 501. Therefore,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guide 22 is received in the filter mechanism 50 and the inner sealing member 530 is connected to the flow guide 22. ) can be placed at the top of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일부가 상기 필터 기구(50)의 내측에 수용되므로, 상기 청소기(1)의 높이가 증가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rt of the flow guide 22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lter mechanism 50, the increase in height of the cleaner 1 can be minimized.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프리 필터(29)의 하단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지지부(225)는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내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A filter support portion 225 that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pre-filter 29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body 220. The filter support portion 225 may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body 220.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하단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26, 27)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A fastening portion 226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body 220 for fastening to the motor housings 26 and 27.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체결부(226)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S1)가 상방에서 상기 체결부(226)를 관통한 후에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226 of the guide body 220 may be seated on the upper motor housing 26. In this state, the fastening member S1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motor housing 26 after penetrating the fastening part 226 from above.

상기 체결부재(S1)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 및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관통한 후에 상기 배출 가이드(28)에도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적은 개수를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구조 및 조립 방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 fastening member S1 may be fastened to the discharge guide 28 after penetrating the upper motor housing 26 and the lower motor housing 27.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a small number can be assembled using fastening member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are easy.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필터 기구(5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 리브(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고정 리브(22)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22)의 하면에 고정 돌기(229)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low guide 22 may include a fixing rib 228 for coupling with the filter mechanism 50. The fixing rib 22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extend obliquely so that the height of the filter mechanism 50 can be vari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lter mechanism 50 . Additionally, a fixing protrusion 229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rib 22.

한편,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는 보강 리브(2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과 이격된다. Meanwhile, reinforcing ribs 227 may be formed on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The flow guide 22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 to form the second air passage 234.

상기 보강 리브(227)는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서 상기 제2바디(1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ribs 227 may extend from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toward the second body 12.

이와 같이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2바디(12)의 외측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바디(12)가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향하여 변형될 우려가 있다. In this way, when the flow guide 22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12, the second body 12 is moved to the flow guide 22. )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 toward .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 보강 리브(227)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2바디(12)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2바디(12)가 상기 보강 리브(227)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2바디(12)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inforcing ribs 227 are formed on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body 12, the second body 12 maintains the reinforcing ribs 227. ), so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body 12 may be limited.

상기 유로 형성벽(222)이 상기 가이드 바디(220)에서 돌출되므로, 상기 보강 리브(227)가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 리브(227)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protrudes from the guide body 220, when the reinforcing ribs 227 are formed on the flow path forming wall 222,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ribs 227 can be reduced. There is.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low guide, and 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flow guide. .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 기구(50)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15 and 16, the assembly process of the filter mechanism 50 will be described.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 기구(50)의 하측 일부를 상기 제2바디(12)에 수용시킨다. In order to couple the filter mechanism 50 to the main body 2, a lower part of the filter mechanism 5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body 12.

그러면, 상기 필터 기구(50)의 리브 수용부(579)과 상기 고정 리브(228)가 정렬될 수 있다. Then, the rib receiving portion 579 of the filter mechanism 50 and the fixing rib 228 can be aligned.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 용이하게 수용되기 위하여 상기 리브 수용부(579)의 높이는 상기 고정 리브(228)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rotated, the fixed rib 228 is received in the rib receiving portion 579.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fixing rib 228 to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rib receiving part 579, the height of the rib receiving part 579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xing rib 228.

상기 고정 리브(228)가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고정 리브(228)에 의해서 하강하게 된다. Since the fixing rib 228 extends obliquely, the filter mechanism 50 is lowered by the fixing rib 228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lter mechanism 50.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 돌기(229)가 상기 리브 결합부(577)의 슬롯(578)에 삽입되면,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결합 즉, 유동 가이드(22)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When the fixing protrusion 229 is inserted into the slot 578 of the rib engaging portion 577 during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fixing rib 228 in the rib receiving portion 579, the filter mechanism 50 and the The coupling of the main body 2, that is, the coupling with the flow guide 22, is completed.

한편,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228)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고정 리브(228)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서 빠지면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결합이 해제된다. Meanwhile, in order to separate the filter mechanism 50 from the main body 2, the filter mechanism 50 is rotated in another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rib 228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filter mechanism 50 is raised by the fixing rib 228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lter mechanism 50. And, when the fixing rib 228 is removed from the rib receiving portion 579, the filter mechanism 50 and the main body 2 are disconnected.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In this state, if the filter mechanism 50 is moved upward, the filter mechanism 5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과 제2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tor housing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1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제2바디(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5 and 17, the lower motor housing 27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body 12.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에는 상기 배출 가이드(28)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273)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273 may be formed in the lower motor housing 27 through which air flowing along the discharge guide 28 passes.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 사이에는 제1실러(27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motor housing 27 may support the upper motor housing 26. At this time, a first sealer 27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motor housing 27 and the upper motor housing 26.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motor housing 27 may further include an air guide 272 to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20 to the second air passage 234.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7)과 상기 유동 가이드(22) 사이에는 제2실러(27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motor housing 27 may support the flow guide 22. A second sealer 27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motor housing 27 and the flow guide 22.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도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의 관통홀(273)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홀(262)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262 through which ai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73 of the lower motor housing 27 may also be formed in the upper motor housing 26.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ir flow within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청소기(1)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the air flow in the cleaner 1 will be described.

상기 흡입 모터(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서로 분리된다. The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20 flow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먼지 저장부(121)에 저장된다.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로 유동된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로 유동된 공기는 재차 먼지와 분리된다.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flows downward and is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flows 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is separated from dust again.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먼지 저장부(123)에 저장된다. 반면,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되어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상승한다.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n the second cyclone unit 130 flows downward and is stored in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On the other hand, the air separated from dust in the second cyclone unit 130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nd rises toward the suction motor 20.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 가이드(28)를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의 관통홀(273)을 통과한 후에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의 제1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 유로(232)의 공기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통과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flows along the discharge guide 28,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73 of the lower motor housing 27, and then flows into the first cyclone unit in the flow guide 22. It rises along the air flow path 232. And, the air in the first air passage 232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29.

상기 프리 필터(29)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7) 내의 흡입 모터(20)를 통과한다. 공기는 상기 임펠러(200)에 의해서 상기 흡입 모터(20) 내부를 유동한 후에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8)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8)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272)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유동한다.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29 passes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within the upper motor housing 27. Air flows inside the suction motor 20 by the impeller 200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lower motor housing 28.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lower motor housing 28 is changed in direction by the air guide 272 and flows into the second air passage 234.

그리고,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필터(560)를 지난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air passage 234 passes through the filter 560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522.

1: 청소기 2: 본체
3: 핸들부 5: 흡입부
20: 흡입 모터 22: 유동 가이드
26: 상부 모터 하우징 27: 하우 모터 하우징
1: Vacuum cleaner 2: Main body
3: handle part 5: suction part
20: suction motor 22: flow guide
26: upper motor housing 27: lower motor housing

Claims (19)

핸디형 청소기 내부로 공기 흡입을 가이드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샤프트의 상부에 연결된 임펠러를 가지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제1싸이클론부;
상기 제1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 및
상기 제2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여과하도록 상기 샤프트를 따라 연장되는 임펠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시스템은,
상기 흡입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2싸이클론부에서 토출되어 상기 흡입 모터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프리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2차 필터를 포함하는 핸디형 청소기.
A suction part that guides air suction into the handheld vacuum cleaner;
a suction motor having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haft to generate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through the suction unit;
a first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 second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nd
A filter system that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extending along the shaft to filt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The filter system is,
a pre-filter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filtering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and introduced into the suction motor; and
A handy vacuum cleaner disposed above the pre-filter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and including a secondary filter that filters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motor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 및 상기 2차 필터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 모터로부터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re-filter and the secondary filter are,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impell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as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A handy vacuum cleaner that is detachable from the suction motor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리 필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 시스템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body accommodating the suction motor,
At least some of the pre-filters are:
A handy vacuum cleaner that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based on the fact that the filter system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필터 시스템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3,
The pre-filter is a handheld vacuum cleaner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based on the filter syste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시스템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가 상하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핸디형 청소기가 배향된 상태에서,
상기 2차 필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임펠러 위에 배치되고,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2차필터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3,
With the filter system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handheld vacuum cleaner oriented so that the shaft is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ary filter is disposed above the impeller,
A handheld vacuum cleaner wherein the pre-filter and the secondary filter ar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의 반경 방향 폭은, 상기 프리 필터의 반경 방향 폭 보다 크게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 handy vacuum cleaner wherein the radial width of the secondary filter is greater than the radial width of the pre-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는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흡입 모터를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배치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re-filter is a handy vacuum cleaner arranged so that the filtered air flows in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suction motor.

핸디형 청소기 내부로 공기 흡입를 가이드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제1싸이클론부;
상기 제1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흡입 모터;
상기 제2싸이클론부 보다 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 보다 위에 배치된 임펠러 및 상기 흡입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임펠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시스템은,
상기 제2싸이클론부에서 토출되어 상기 흡입 모터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흡입모터의 외주에서 필터링하도록 배치되는 제 1 필터; 및
상기 임펠러 보다 위에서 상기 제 1 필터의 주위에 배치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제 2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디형 청소기.

A suction part that guides air suction into the handheld vacuum cleaner;
a first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 second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 suction motor including an impeller that generates suction force to suck air through the suction unit;
a motor housing dispos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and accommodating the impeller and the suction motor disposed above the suction motor; and
A filter system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mpell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otor housing and is separ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The filter system is,
a first filter arranged to filter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and introduced into the suction motor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motor; and
A second filter is disposed above the impeller and around the first filter and filters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econd filter is a handy vacuum cleaner that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제 1 필터의 일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제 2 필터의 외주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모터 및 상기 임펠러 중 적어도 어느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8,
The second filter is disposed above a portion of the first filter,
The first filter is disposed within an area defin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filter and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the impell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시스템은 상기 제 2 필터를 수용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8,
The filter system accommodates the second filter and further includes a filter frame formed in a ring shap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싸이클론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바닥은 상기 제2싸이클론부의 상단 보다 위에 배치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8,
A handheld vacuum cleaner in which the axis of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ttom of the suction motor is disposed above the top of the second cyclone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싸이클론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의 일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모터 하우징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8,
The second cyclon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tor housing to separate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yclone bodies is arranged to overlap the motor housing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싸이클론부, 흡입 모터 및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8,
The second cyclone unit, suction motor, and impeller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샤프트의 상부에 연결된 임펠러를 포함하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 모터와 상기 임펠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제1싸이클론부;
상기 제1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 및
상기 본체에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시스템은,
상기 모터 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싸이클론부에서 토출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으로 유입시키는 프리 필터; 및
상기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흡입 모터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본체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2차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시스템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기초로,상기 2차 필터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2차 필터의 반경 방향 끝단까지 거리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프리 필터의 반경 방향 끝단까지의 거리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에 대한 반경 방향으로 상기 프리 필터 보다 멀리 배치되는 핸디형 청소기.
suction part;
a suction motor including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haft to generate a suction force by which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 motor housing ho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the impeller;
a main body accommodating the motor housing;
a first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 second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nd
It includes a filter system that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along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impeller,
The filter system is,
A pre-filter arranged to surround the motor housing, filter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and introduces it into the motor housing; and
A secondary filter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motor housing and disposed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and filter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so that it exits the main body,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ilter system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secondary filter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and the radial end of the secondary filt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and the radial end of the pre-filter A hand-held vacuum cleaner disposed further than the pre-filter in the radial direction relative to the larger on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시스템은 상기 흡입 모터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4,
The filter system is a handheld vacuum cleaner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2차 필터는,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4,
A handy vacuum cleaner in which the pre-filter and the secondary filter ar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main body in the same direc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필터 시스템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4,
The pre-filter is a handy vacuum cleaner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lter system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2차 필터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존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4,
The pre-filter is a handy vacuum cleaner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depending on the secondary filter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는 헤파 필터를 포함하는 핸디형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4,
The secondary filter is a handy vacuum cleaner including a HEPA filter.
KR1020220119645A 2016-08-25 2022-09-21 Cleaner KR102584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645A KR102584210B1 (en) 2016-08-25 2022-09-21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13A KR20180023273A (en) 2016-08-25 2016-08-25 Cleaner
KR1020220119645A KR102584210B1 (en) 2016-08-25 2022-09-21 Clea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13A Division KR20180023273A (en) 2016-03-31 2016-08-25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159A KR20220133159A (en) 2022-10-04
KR102584210B1 true KR102584210B1 (en) 2023-10-05

Family

ID=6168857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13A KR20180023273A (en) 2016-03-31 2016-08-25 Cleaner
KR1020220119645A KR102584210B1 (en) 2016-08-25 2022-09-21 Cleaner
KR1020220119646A KR102584214B1 (en) 2016-08-25 2022-09-21 Cleaner
KR1020230009599A KR20230019904A (en) 2016-08-25 2023-01-25 Clean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13A KR20180023273A (en) 2016-03-31 2016-08-25 Cleaner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646A KR102584214B1 (en) 2016-08-25 2022-09-21 Cleaner
KR1020230009599A KR20230019904A (en) 2016-08-25 2023-01-25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80023273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00B1 (en) * 2018-11-09 2020-05-28 장성철 Double cyclone dust cleaner
KR20230060160A (en) 2021-10-27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925A (en) * 2005-09-30 2007-04-12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US20100251507A1 (en) * 2009-03-11 2010-10-07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30091661A1 (en) * 2011-10-12 2013-04-18 Black & Decker Inc.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JP2015119878A (en)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東芝 Electric vacuum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4643U (en) * 1979-11-12 1981-06-18
JP2003210370A (en) * 2002-01-24 2003-07-29 Sharp Corp Vacuum cleaner
KR20110066782A (en) * 2009-12-11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suction motor for a vacuum cleaner
GB2508035B (en) * 2012-11-20 2015-03-11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925A (en) * 2005-09-30 2007-04-12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US20100251507A1 (en) * 2009-03-11 2010-10-07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30091661A1 (en) * 2011-10-12 2013-04-18 Black & Decker Inc.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JP2015119878A (en)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東芝 Electric vacuum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159A (en) 2022-10-04
KR102584214B1 (en) 2023-10-04
KR20180023273A (en) 2018-03-07
KR20220131888A (en) 2022-09-29
KR20230019904A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6519B2 (en) Vacuum cleaner
KR102584210B1 (en) Cleaner
KR102613504B1 (en) Cleaner
KR102022098B1 (en) Cleaner
KR102180672B1 (en) Cleaner
CN209733830U (en) Vacuum cleaner
KR102180674B1 (en) Cleaner
KR102022096B1 (en) Cleaner
KR102037329B1 (en) Cleaner
KR102558087B1 (en) Cleaner
KR102292991B1 (en) Cleaner
KR102123680B1 (en) Cleaner
KR102123682B1 (en) Cleaner
KR20180023275A (en)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