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77B1 -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77B1
KR102583977B1 KR1020210057041A KR20210057041A KR102583977B1 KR 102583977 B1 KR102583977 B1 KR 102583977B1 KR 1020210057041 A KR1020210057041 A KR 1020210057041A KR 20210057041 A KR20210057041 A KR 20210057041A KR 102583977 B1 KR102583977 B1 KR 10258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stribution
virtual
axis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966A (ko
Inventor
정인석
최의집
권태연
이성길
오영택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윈 filed Critical (주) 테크윈
Priority to KR102021005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77B1/ko
Priority to PCT/KR2022/006182 priority patent/WO2022235020A1/ko
Priority to EP22799063.7A priority patent/EP4335800A1/en
Priority to US18/289,230 priority patent/US20240327142A1/en
Publication of KR2022014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81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1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 G01F11/2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rotates or oscillates
    • G01F11/24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rotates or oscillates for fluent sol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형태를 나타내는 분체를 기계적으로 정량 계량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는 호퍼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구되고 입구와 대향 배치되는 출구가 개구된 중공의 계량하우징과,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수직인 가상의 제1축을 기준으로 계량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입구로 유입되는 분체를 출구로 전달하는 분배모듈을 포함하고, 분배모듈의 회전에 따라 입구로 유입되는 분체는 분배모듈에 기설정된 정량으로 분리 수용되었다가 선입선출 방식으로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Description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ROTARY VALVE DEVICE FOR POWDER METERING}
본 발명은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말 형태를 나타내는 분체를 기계적으로 정량 계량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에너지 저장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캠코더,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의 가전제품, 나아가서는 전기차의 에너지까지 적용분야가 확대되면서 전기화학소자의 연구와 개발에 대한 노력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여러 전기화학소자 중 고출력 특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수계 전해질 기반의 리튬 이차전지 및 커패시터(capacitor)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전기화학소자는 일반적으로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양극 및 음극은 일반적으로 전극활물질, 고분자 바인더, 전극활물질의 균일 혼합을 위해 고분자 바인더를 용해시키는 용매를 포함하는 전극활물질 슬러리를 집전체의 표면에 도포하여 전극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전극활물질 슬러리는 전극의 전기전도도 향상을 위하여 도전재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한편, 우수한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극활물질과 도전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재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전극활물질과 도전재의 분산 정도에 따라서 전극의 형상이 달라지며 그에 따라 전지의 성능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분말 형태를 나타내는 활물질의 경우, 투입호퍼로부터 개별의 저장호퍼로 활물질을 이송시킬 때, 정량의 활물질에 대한 이송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활물질의 계량은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스크류를 이용하므로, 활물질의 정량 계량을 명확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57234호 (발명의 명칭 : 분체의 정밀계량 시스템, 2000. 07. 0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말 형태를 나타내는 분체를 기계적으로 명확하게 정량 계량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는 호퍼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구되고, 상기 입구와 대향 배치되는 출구가 개구된 중공의 계량하우징;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수직인 가상의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계량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회전 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배출홈부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분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분체는, 상기 단위배출홈부마다 기설정된 정량으로 분리 수용되었다가 선입선출 방식으로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는 호퍼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구되고, 상기 입구와 대향 배치되는 출구가 개구된 중공의 계량하우징;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수직인 가상의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계량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회전 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배출홈부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분배모듈; 및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 또는 평행 또는 교차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배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분체는, 상기 단위배출홈부마다 기설정된 정량으로 분리 수용되었다가 선입선출 방식으로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는 호퍼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구되고, 상기 입구와 대향 배치되는 출구가 개구된 중공의 계량하우징;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수직인 가상의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계량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회전 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배출홈부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분배모듈; 및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 또는 평행 또는 교차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배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계량하우징에서 상기 단위배출홈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회전센싱모듈; 및 상기 회전센싱모듈에서 감지되는 상기 단위배출홈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속도제어모듈; 중 적어도 회전센싱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배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분체는, 상기 단위배출홈부마다 기설정된 정량으로 분리 수용되었다가 선입선출 방식으로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는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음모듈; 및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 또는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배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분배모듈에 전달하는 변환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축이음모듈은, 상기 계량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이음부재; 및 상기 변환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음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이음부재에는, 상기 계량하우징의 일측으로 개구된 분배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가상의 제1축이 통과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개폐홀부;가 포함되고, 상기 분배개구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개폐홀부에서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부재; 및 상기 가상의 제1축과 상기 개폐홀부의 중심이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부싱부재와 상기 축이음부재 사이의 상기 개폐홀부에서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테이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계량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변환바디;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어 상기 변환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구동축부; 및 상기 가상의 제1축과 수직인 가상의 제2축과 동축 또는 평행을 이루어 상기 전달구동축부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변환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연결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구동축부는, 상기 분배모듈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분배모듈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달구동축부는, 상기 변환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환연결부; 및 상기 분배모듈에 구비된 분배홀부에 삽입 지지되도록 상기 변환연결부에 동축으로 연장되는 분배이음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달구동축부는, 상기 분배이음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분배모듈의 일측에 걸림 지지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분배이음연결부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분배모듈의 타측에 걸림 지지되는 축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속도제어모듈은, 상기 분배모듈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감지신호의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감지확인부; 상기 감지확인부의 체크 결과,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유지시키는 수용제어부; 및 상기 감지확인부의 체크 결과,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설정된 감속력으로 감소시키는 조정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속도제어모듈은, 상기 분배모듈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감지신호의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감지확인부; 상기 감지확인부의 체크 결과,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유지시키는 수용제어부; 및 상기 감지확인부의 체크 결과,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설정된 가속력으로 증가시키는 조정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센싱모듈은,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는 패들축부를 매개로 상기 계량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상의 제1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센싱패들; 및 상기 센싱패들을 감지하는 스피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패들은, 상기 패들축부에 결합되는 패들바디; 및 상기 단위배출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패들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패들바디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감지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드센서는, 상기 감지날개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분배모듈은,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으로 분배홀부가 관통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분배바디; 및 상호 인접한 두 단위배출홈부가 구획되도록 상기 분배바디의 외주면에서 상기 분배바디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날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날개의 단부에는, 상기 계량하우징의 내벽에 밀착 또는 접촉 지지되는 스크래퍼;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환기를 위한 퍼지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 따르면, 분말 형태를 나타내는 분체를 기계적으로 명확하게 정량 계량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량하우징을 통해 분배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내부에 단위배출홈부를 형성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분리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량하우징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분배개구부와 점검구 중 적어도 점검구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계량하우징에서 분배모듈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며, 계량하우징에서 분배모듈의 유지 보수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퍼지부의 구성을 통해 입구와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서 분진 폭발을 방지하고, 분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며, 분체가 분배모듈에 정량공급되도록 하고, 분배모듈에서 분체가 정량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모듈을 통해 계량하우징의 내부에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수용 가능한 단위배출홈부를 형성하고, 분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단위배출홈부를 안정되게 구획하여 단위배출홈부의 분체를 명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래퍼를 통해 계량하우징의 내부에서 분체가 늘러붙는 것을 방지하고, 단위배출홈부 사이에서 분체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이음모듈을 통해 분배개구부와 점검구 중 적어도 분배개구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계량하우징에서 분배모듈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며, 계량하우징에서 분배모듈의 유지보수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이음부재를 통해 계량하우징 내부의 분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배모듈의 회전을 명확하게 하며, 분배모듈의 회전에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이음부재를 통해 가상의 제1축인 전달구동축부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전달구동축부의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환모듈을 통해 회전력을 조절하여 균일한 회전력으로 분배모듈을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환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회전력의 전달 방향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달구동축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분배모듈과 축이음모듈과 변환모듈을 동축에 배치하여 전달구동축부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분배모듈에서 전달구동축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전달구동축부에 분배모듈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축이음모듈에서 전달구동축부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발생모듈을 통해 안정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변환모듈로의 회전력 전달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센싱모듈을 통해 단위배출홈부에 대응하여 분배모듈의 회전량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입구와 출구를 기준으로 단위배출홈부의 위치 파악을 간편하고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센싱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분배모듈의 회전 속도 조절에 필요한 위치 검출을 명확하게 하고, 입구와 단위배출홈부와 출구 사이의 연통 관계를 조절하여 분체가 안정되게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패들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단위배출홈부의 회전폭에 대응하여 센싱 위치를 안정되게 특정시키고, 스피드센서의 감도를 향상시켜 회전력의 조절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폴트설정부를 통해 입구에 대응하여 단위배출홈부를 초기에 정위치할 수 있고,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의 초기화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속도제어모듈을 통해 분배모듈에 전달되는 분체의 전달량을 명확하게 조절하고, 단위분배홈부마다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감속방식을 통해 기준 회전력보다 작은 감속력을 제공하므로, 동력발생모듈에서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회전력 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가속방식을 통해 기준 회전력보다 큰 가속력을 제공하므로, 분배모듈의 회전에 따른 제어를 간편하게 하고, 회전력 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서 분배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서 분배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서 회전센싱모듈의 제1결합 상태를 도시한 (a) 정면도와 (b)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서 회전센싱모듈의 제2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회전센싱모듈의 센싱패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서 회전센싱모듈의 제3결합 상태를 도시한 (a) 정면도와 (b)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는 분말 형태를 나타내어 호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분말 형태의 분체를 기계적으로 명확하게 정량 계량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계량하우징(10)과, 분배모듈(20)을 포함하고, 동력발생모듈(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는 회전센싱모듈(60)과 속도제어모듈(70) 중 적어도 회전센싱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는 축이음모듈(30)과, 변환모듈(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분배모듈(20)이 회전함에 따라 입구(11)로 유입되는 분체는 분배모듈(20)의 단위배출홈부(22)마다 기설정된 정량으로 분리 수용되었다가 선입선출 방식으로 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계량하우징(10)은 중공의 함체로 형성된다. 계량하우징(10)의 상부에는 호퍼가 결합되는 입구(11)가 개구되고, 계량하우징(10)의 하부에는 입구(11)와 대향 배치되는 출구(12)가 개구된다.
여기서, 가상의 선은 입구(11)와 출구(12)를 연결하는 선이고, 가상의 제1축은 가상의 선에 수직인 축이며, 가상의 제2축은 가상의 선과 가상의 제1축에 모두 수직인 축으로 설명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상의 제2축은 가상의 선과 평행할 수 있다.
계량하우징(10)에는 가상의 제1축에 수직인 가상의 제2축을 기준으로 계량하우징(1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분배개구부와, 가상의 제1축에 수직인 가상의 제2축을 기준으로 계량하우징(10)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는 점검구와, 점검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5)가 포함될 수 있다. 분배개구부는 개폐이음부재(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입구(11)와 출구(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환기를 위한 퍼지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계량하우징(10)에는 개폐부재(1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힌지부(16)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개폐부재(15)에 구비되는 개폐손잡이(17)와, 개폐부재(15)를 계량하우징(10)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개폐고정부(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9는 개폐부재(15)에 의한 점검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이다.
분배모듈(20)은 입구(11)와 출구(12)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수직인 가상의 제1축을 기준으로 계량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다. 분배모듈(20)에는 회전 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배출홈부(22)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단위배출홈부(22)에는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수용되도록 한다. 분배모듈(20)은 입구(11)로 유입되는 분체를 출구(12)로 전달한다.
분배모듈(20)은 가상의 제1축과 동축으로 분배홀부(21-1)가 관통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분배바디(21)와, 상호 인접한 두 단위배출홈부(22)가 구획되도록 분배바디(21)의 외주면에서 분배바디(21)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날개(23)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바디(21)에서 분배홀부(21-1)에는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는 전달구동축부(43)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지지되므로, 일측에는 축지지홈부(21-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축결합홈부(21-3)가 구비되도록 한다.
가상의 제1축에 수직인 면으로 분배모듈(20)을 절단했을 때, 단위배출홈부(22)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분배바디(21)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날개(23)는 분배바디(21)의 외주면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계량하우징(10)의 내부에 밀착 또는 접촉 지지된다. 계량하우징(10)의 내벽에 밀착 또는 접촉 지지되는 스크래퍼(24)가 구비되어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크래퍼(2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계량하우징(10)의 내부와 구획날개(23)의 마찰을 줄이고, 구획날개(23)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축이음모듈(30)은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축이음모듈(30)은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축이음모듈(30)은 계량하우징(10)에 결합되어 분배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축이음모듈(30)은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어 분배모듈(20)과 변환모듈(4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축이음모듈(30)은 계량하우징(10)에 결합되고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이음부재(31)와, 변환모듈(40)에 결합되고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음부재(32)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이음부재(31)에는 계량하우징(10)의 일측으로 개구된 분배개구부와 연통되어 가상의 제1축이 통과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개폐홀부(31-1)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 개폐이음부재(31)에는 분배개구부가 밀폐되도록 개폐홀부(31-1)에서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부재(31-2)와, 가상의 제1축과 개폐홀부(31-1)의 중심이 동축을 이루도록 부싱부재(31-2)와 축이음부재(32) 사이의 개폐홀부(31-1)에서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테이너(31-3)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축이음부재(32)에는 가상의 제1축이 통과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축이음홀부(32-1)와, 축이음홀부(32-1)에서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어링부재는 축이음홀부(3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베어링(32-2)과 축이음홀부(3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베어링(32-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베어링부재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변환모듈(40)은 가상의 제1축과 동축 또는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변환모듈(40)은 분배모듈(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변환하여 분배모듈(2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변환모듈(40)은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어 축이음모듈(3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축이음모듈(30)이 생략되는 경우, 변환모듈(40)은 계량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변환모듈(40)은 계량하우징(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축이음모듈(30) 또는 계량하우징(10)과 결합되는 변환바디(41)와,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어 변환바디(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구동축부(43)와, 가상의 제1축과 수직인 가상의 제2축과 동축 또는 평행을 이루어 전달구동축부(43)와 치합된 상태에서 변환바디(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연결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달구동축부(43)는 분배모듈(20)과 함께 회전되도록 분배모듈(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전달구동축부(43)는 변환바디(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환연결부(431)와, 분배모듈(20)에 구비된 분배홀부(21-1)에 삽입 지지되도록 변환연결부(43-1)에 동축으로 연장되는 분배이음연결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구동축부(43)는 축이음모듈(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도록 변환연결부(43-1)와 분배이음연결부(43-3)를 동축으로 연결시키는 축이음연결부(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이음연결부(43-2)는 축이음모듈(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달구동축부(43)는 분배이음연결부(433)의 일측에 형성되고 분배모듈(20)의 일측에 걸림 지지되는 지지돌부(43-4)와, 분배이음연결부(43-3)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분배모듈(20)의 타측에 걸림 지지되는 축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지지돌부(43-4)는 축지지홈부(21-2)에 걸림 지지되고, 축고정부재는 축결합홈부(21-3)에 걸림 지지된다.
축고정부재는 전달구동축부(43)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분배모듈(20)의 타측에서 축결합홈부(213)에 걸림 지지되는 고정브라켓(43-5)과, 고정브라켓(43-5)을 전달구동축부(43)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결합부(4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결합부(43-6)는 고정브라켓(435)을 통과하여 전달구동축부(43)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동력발생모듈(50)은 가상의 제1축과 동축 또는 평행 또는 교차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동력발생모듈(5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분배모듈(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력발생모듈(50)은 가상의 제1축에 수직인 가상의 제2축과 동축 또는 평행을 이루어 변환모듈(4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동력발생모듈(5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51)와, 동력발생부(51)의 중심에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변환모듈(40)의 구동연결축부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동력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발생모듈(50)은 동력축부를 구동연결축부에 연결시키는 동력축이음(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센싱모듈(60)은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회전센싱모듈(60)은 계량하우징(10)에서 단위배출홈부(22)의 위치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센싱모듈(60)은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어 변환모듈(4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변환모듈(40)이 생략되는 경우, 축이음모듈(30) 또는 계량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로터리밸브를 이용한 분체 계량 방식에서는 기계 구조적 특석상 작동이 정재했을 때, 단위배출홈부(22)의 정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설정 계량값 도달 시 계량하우징(10)의 출구(12) 쪽 폐쇄가 부정확하여 배출량의 변동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모듈(20)과 회전센싱모듈(60) 사이의 결합 관계 및 회전센싱모듈(60)의 세부 결합 상태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입구(11)와 단위배출홈부(22)의 연통 및 출구(12)와 단위배출홈부(22)의 연통을 명확하게 하여 단위배출홈부(22)의 정지 위치를 안정화시키고, 분배모듈(20)에 의한 출구(12)의 폐쇄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모듈(20)에서 입구(11)와 단위배출홈부(22)의 연통 및 출구(12)와 단위배출홈부(22)의 연통에 대응하여 출구(12)와 연통된 단위배출홈부(22)의 양쪽에 배치되는 단위배출홈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출구(12)와 연통되지 못하여 출구(12)의 폐쇄 및 밀폐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상호 인접한 한 쌍의 감지날개(62-3) 사이의 공간과 단위배출홈부(22)에 의해 결정되는 분체의 단위 수용공간에서 분체 수용량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회전센싱모듈(60)은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는 패들축부(62-1)를 매개로 변환모듈(40) 또는 축이음모듈(30) 또는 계량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상의 제1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센싱패들(62)과, 센싱패들(62)을 감지하는 스피드센서(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패들(62)은 패들축부(62-1)에 결합되는 패들바디(62-2)와, 단위배출홈부(22)에 대응하여 패들바디(62-2)의 외주면을 따라 패들바디(62-2)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감지날개(6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스피드센서(63)는 감지날개(62-3)를 감지함에 따라 분배모듈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패들(62)에서 패들바디(62-2) 또는 감지날개(62-3) 중 어느 하나에는 디폴트설정부(62-4)가 구비되어 계량하우징(10)의 입구(11)에서 단위배출홈부(22)가 안정되게 개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분배모듈(20)의 초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
회전센싱모듈(60)은 센싱패들(62)과 스피트센서의 일부 또는 전체가 내장되도록 변환모듈(40) 또는 축이음모듈(30) 또는 계량하우징(10)에 결합되는 센싱바디(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 상태를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날개(62-3)는 패들바디(62-2)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드센서(63)는 감지날개(62-3)를 연결하는 가상의 원통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센싱바디(61)에 결합된다. 그러면, 스피드센서(63)는 패들바디(62-2)에서 이격되어 감지날개(62-3)만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므로, 패들축부(62-1)의 회전에 따라 감지날개(62-3)를 간헐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패들축부(62-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한 감지날개(62-3)의 폭이 기설정된 제1감지폭을 형성하므로, 입구(11) 또는 출구(12)에 대응하여 단위배출홈부(22)의 위치 파악을 명확하게 하고, 속도제어모듈(70)에 해 분배모듈(20)의 회전력이 조절될 때,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단위배출홈부(22)에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한다.
제2결합 상태를 참조하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날개(62-3)는 패들바디(62-2)의 둘레면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드센서(63)는 감지날개(62-3)를 연결하는 가상의 원통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센싱바디(61)에 결합된다. 그러면, 스피드센서(63)는 패들바디(62-2)의 둘레면과 감지날개(62-3)를 모두 바라보도록 배치되므로, 패들축부(62-1)의 회전에 따라 감지날개(62-3)를 간헐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패들축부(62-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한 감지날개(62-3)의 폭이 기설정된 제1감지폭보다 작은 제2감지폭을 형성하므로, 입구(11) 또는 출구(12)에 대응하여 단위배출홈부(22)의 위치 파악을 명확하게 하고, 속도제어모듈(70)에 해 분배모듈(20)의 회전력이 조절될 때,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단위배출홈부(22)에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한다.
제3결합 상태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날개(62-3)는 패들바디(62-2)의 둘레면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드센서(63)는 패들바디(62-2)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센싱바디(61)에 결합된다. 그러면, 스피드센서(63)는 패들축부(62-1)와 평행한 방향에서 감지날개(62-3)만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므로, 패들축부(62-1)의 회전에 따라 감지날개(62-3)를 간헐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패들축부(62-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한 감지날개(62-3)의 폭이 기설정된 제1감지폭을 형성하므로, 입구(11) 또는 출구(12)에 대응하여 단위배출홈부(22)의 위치 파악을 명확하게 하고, 속도제어모듈(70)에 해 분배모듈(20)의 회전력이 조절될 때,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단위배출홈부(22)에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한다.
회전센싱모듈(60)의 세부 결합 관계를 참조하면, 패들축부(62-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한 감지날개(62-3)의 폭과, 인접한 두 감지날개(62-3)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스피드센서(63)가 감지날개(62-3)를 감지하는 시간, 동력발생모듈(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조절되는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고, 단위분배홈부(22)에 수용되는 분체를 명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속도제어모듈(70)은 회전센싱모듈(60)에서 감지되는 분배모듈(20)의 단위배출홈부(22)의 위치에 따라 동력발생모듈(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조절한다. 속도제어모듈(70)에서 회전력의 조절 방식은 미세감속방식과 수용가속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회전센싱모듈(60)을 통해 단위배출홈부()의 위치를 감지하고, 속도제어모듈(70)의 제어에 따라 단위배출홈부(22)에 누적되는 분체의 계량값을 연산하고, 단위배출홈부(22) 당 분체의 무게를 환산하여 정밀 계량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한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미세감속방식에 따르면, 속도제어모듈(70)은 분배모듈(20)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감지신호의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감지확인부(71)와, 감지확인부(71)의 체크 결과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동력발생모듈(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유지시키는 수용제어부(72)와, 감지확인부(71)의 체크 결과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동력발생모듈(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설정된 감속력으로 감소시키는 조정제어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가속방식에 따르면, 속도제어모듈(70)은 분배모듈(20)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감지신호의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감지확인부(71)와, 감지확인부(71)의 체크 결과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동력발생모듈(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유지시키는 수용제어부(72)와, 감지확인부(71)의 체크 결과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동력발생모듈(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설정된 가속력으로 증가시키는 조정제어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스피드센서(63)가 센싱패들(62)의 감지날개(62-3)를 감지하는 동안, 속도제어모듈(70)은 동력발생모듈(50)의 회전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상대적으로 분배모듈(20)이 천천이 회전되도록 하므로, 입구(11)에서 단위배출홈부(22)의 연통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입구(11)에서 단위배출홈부(22)의 85%~90%가 연통 상태를 유지하여 분체가 단위배출홈부(22)에 충분히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피드센서(63)가 센싱패들(62)의 감지날개(62-3)를 감지하지 않으면, 속도제어모듈(70)은 동력발생모듈(50)의 회전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상대적으로 분배모듈(20)이 빠르게 회전되도록 하므로, 입구(11)에서 단위배출홈부(22)의 연통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호퍼에서 전달되는 분체의 일부(단위배출홈부(22) 당 수용되는 분체의 10%~15%)만을 단위배출홈부(22)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피드센서(63)가 센싱패들(62)의 감지날개(62-3)를 감지하는 동안, 속도제어모듈(70)은 동력발생모듈(50)의 회전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상대적으로 분배모듈(20)이 천천이 회전되도록 하므로, 인접한 두 단위배출홈부(22)에 각각 분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피드센서(63)가 센싱패들(62)의 감지날개(62-3)를 감지하지 않으면, 속도제어모듈(70)은 동력발생모듈(50)의 회전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상대적으로 분배모듈(20)이 빠르게 회전되도록 하므로, 입구(11)에서 단위배출홈부(22)의 연통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인접한 두 단위배출홈부(22) 중 어느 하나는 출구(12)로 빠르게 이동되고, 인접한 두 단위배출홈부(22) 중 다른 하나는 입구(11)와의 연통면적이 증가하지만, 호퍼에서 전달되는 분체의 일부(단위배출홈부(22) 당 수용되는 분체의 10%~15%)만을 단위배출홈부(22)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에 따르면, 분말 형태를 나타내는 분체를 기계적으로 명확하게 정량 계량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계량하우징(10)을 통해 분배모듈(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내부에 단위배출홈부(22)를 형성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분리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계량하우징(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분배개구부와 점검구 중 적어도 점검구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계량하우징(10)에서 분배모듈(20)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며, 계량하우징(10)에서 분배모듈(20)의 유지 보수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퍼지부(13)의 구성을 통해 입구(11)와 출구(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서 분진 폭발을 방지하고, 분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며, 분체가 분배모듈(20)에 정량공급되도록 하고, 분배모듈(20)에서 분체가 정량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분배모듈(20)을 통해 계량하우징(10)의 내부에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수용 가능한 단위배출홈부(22)를 형성하고, 분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분배모듈(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단위배출홈부(22)를 안정되게 구획하여 단위배출홈부(22)의 분체를 명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24)를 통해 계량하우징(10)의 내부에서 분체가 늘러붙는 것을 방지하고, 단위배출홈부(22) 사이에서 분체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축이음모듈(30)을 통해 분배개구부와 점검구 중 적어도 분배개구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계량하우징(10)에서 분배모듈(20)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며, 계량하우징(10)에서 분배모듈(20)의 유지보수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이음부재(31)를 통해 계량하우징(10) 내부의 분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배모듈(20)의 회전을 명확하게 하며, 분배모듈(20)의 회전에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축이음부재(32)를 통해 가상의 제1축인 전달구동축부(43)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전달구동축부(43)의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변환모듈(40)을 통해 회전력을 조절하여 균일한 회전력으로 분배모듈(20)을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변환모듈(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회전력의 전달 방향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달구동축부(43)의 결합 관계를 통해 분배모듈(20)과 축이음모듈(30)과 변환모듈(40)을 동축에 배치하여 전달구동축부(4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분배모듈(20)에서 전달구동축부(43)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전달구동축부(43)에 분배모듈(2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축이음모듈(30)에서 전달구동축부(43)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동력발생모듈(50)을 통해 안정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변환모듈(40)로의 회전력 전달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센싱모듈(60)을 통해 단위배출홈부(22)에 대응하여 분배모듈(20)의 회전량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입구(11)와 출구(12)를 기준으로 단위배출홈부(22)의 위치 파악을 간편하고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센싱모듈(6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분배모듈(20)의 회전 속도 조절에 필요한 위치 검출을 명확하게 하고, 입구(11)와 단위배출홈부(22)와 출구(12) 사이의 연통 관계를 조절하여 분체가 안정되게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센싱패들(62)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단위배출홈부(22)의 회전폭에 대응하여 센싱 위치를 안정되게 특정시키고, 스피드센서(63)의 감도를 향상시켜 회전력의 조절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폴트설정부(62-4)를 통해 입구(11)에 대응하여 단위배출홈부(22)를 초기에 정위치할 수 있고,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의 초기화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속도제어모듈(70)을 통해 분배모듈(20)에 전달되는 분체의 전달량을 명확하게 조절하고, 단위분배홈부마다 기설정된 정량의 분체가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미세감속방식을 통해 기준 회전력보다 작은 감속력을 제공하므로, 동력발생모듈(50)에서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회전력 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용가속방식을 통해 기준 회전력보다 큰 가속력을 제공하므로, 분배모듈(20)의 회전에 따른 제어를 간편하게 하고, 회전력 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계량하우징 11: 입구 12: 출구
13: 퍼지부 15: 개폐부재 16: 개폐힌지부
17: 개폐손잡이 18: 개폐고정부 19: 리미트스위치
20: 분배모듈 21: 분배바디 21-1: 분배홀부
21-2: 축지지홈부 21-3: 축결합홈부 22: 단위배출홈부
23: 구획날개 24: 스크래퍼
30: 축이음모듈 31: 개폐이음부재 31-1: 개폐홀부
31-2: 부싱부재 31-3: 리테이너 32: 축이음부재
32-1: 축이음홀부 32-2: 제1베어링 32-3: 제2베어링
40: 변환모듈 41: 변환바디 43: 전달구동축부
43-1: 변환연결부 43-2: 축이음연결부 43-3: 분배이음연결부
43-4: 지지돌부 43-5: 고정브라켓 43-6: 고정결합부
50: 동력발생모듈 51: 동력발생부 52: 동력축이음
60: 회전센싱모듈 61: 센싱바디 62: 센싱패들
62-1: 패들축부 62-2: 패들바디 62-3: 감지날개
62-4: 디폴트설정부 63: 스피드센서
70: 속도제어모듈 71: 감지확인부 72: 수용제어부
73: 조정제어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호퍼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구되고, 상기 입구와 대향 배치되는 출구가 개구된 중공의 계량하우징;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수직인 가상의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계량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회전 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배출홈부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분배모듈; 및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 또는 평행 또는 교차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배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계량하우징에서 상기 단위배출홈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회전센싱모듈; 및
    상기 회전센싱모듈에서 감지되는 상기 단위배출홈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속도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음모듈; 및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 또는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배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분배모듈에 전달하는 변환모듈;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이음모듈은, 상기 계량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이음부재; 및 상기 변환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음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이음부재에는, 상기 계량하우징의 일측으로 개구된 분배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가상의 제1축이 통과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개폐홀부;가 포함되고,
    상기 분배개구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개폐홀부에서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부재; 및 상기 가상의 제1축과 상기 개폐홀부의 중심이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부싱부재와 상기 축이음부재 사이의 상기 개폐홀부에서 상기 가상의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테이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고,
    상기 분배모듈의 회전에 따라 입구로 유입되는 분체는, 상기 단위배출홈부마다 기설정된 정량으로 분리 수용되었다가 선입선출 방식으로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변환모듈은,상기 계량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변환바디;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어 상기 변환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구동축부; 및
    상기 가상의 제1축과 수직인 가상의 제2축과 동축 또는 평행을 이루어 상기 전달구동축부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변환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연결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구동축부는, 상기 분배모듈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분배모듈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구동축부는,
    상기 변환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환연결부; 및
    상기 분배모듈에 구비된 분배홀부에 삽입 지지되도록 상기 변환연결부에 동축으로 연장되는 분배이음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구동축부는,
    상기 분배이음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분배모듈의 일측에 걸림 지지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분배이음연결부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분배모듈의 타측에 걸림 지지되는 축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모듈은,
    상기 분배모듈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감지신호의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감지확인부;
    상기 감지확인부의 체크 결과,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유지시키는 수용제어부; 및
    상기 감지확인부의 체크 결과,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설정된 감속력으로 감소시키는 조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모듈은,
    상기 분배모듈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감지신호의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감지확인부;
    상기 감지확인부의 체크 결과,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유지시키는 수용제어부; 및
    상기 감지확인부의 체크 결과,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동력발생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설정된 가속력으로 증가시키는 조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센싱모듈은,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을 이루는 패들축부를 매개로 상기 계량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상의 제1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센싱패들; 및
    상기 센싱패들을 감지하는 스피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패들은,
    상기 패들축부에 결합되는 패들바디; 및
    상기 단위배출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패들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패들바디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감지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드센서는,
    상기 감지날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모듈은,
    상기 가상의 제1축과 동축으로 분배홀부가 관통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분배바디; 및
    상호 인접한 두 단위배출홈부가 구획되도록 상기 분배바디의 외주면에서 상기 분배바디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날개의 단부에는,
    상기 계량하우징의 내벽에 밀착 또는 접촉 지지되는 스크래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환기를 위한 퍼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KR1020210057041A 2021-05-03 2021-05-03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KR10258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041A KR102583977B1 (ko) 2021-05-03 2021-05-03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PCT/KR2022/006182 WO2022235020A1 (ko) 2021-05-03 2022-04-29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EP22799063.7A EP4335800A1 (en) 2021-05-03 2022-04-29 Powder material measuring rotary valve device
US18/289,230 US20240327142A1 (en) 2021-05-03 2022-04-29 Powder material measuring rotary valv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041A KR102583977B1 (ko) 2021-05-03 2021-05-03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966A KR20220149966A (ko) 2022-11-10
KR102583977B1 true KR102583977B1 (ko) 2023-10-05

Family

ID=8393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041A KR102583977B1 (ko) 2021-05-03 2021-05-03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327142A1 (ko)
EP (1) EP4335800A1 (ko)
KR (1) KR102583977B1 (ko)
WO (1) WO202223502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836B2 (ja) * 1997-01-28 2000-07-04 アルインコ株式会社 梯子兼用脚立の回転金具
JP2001159469A (ja) * 1999-12-01 2001-06-12 Cosmotex:Kk ロータリバルブ
JP2002211746A (ja) * 2001-01-11 2002-07-31 Sumitomo Chem Co Ltd ロータリーバルブ及び移送方法
KR200350681Y1 (ko) * 2004-02-05 2004-05-13 유성분체기계 주식회사 로터리 밸브의 스크래핑 장치
JP6667992B2 (ja) * 2015-02-05 2020-03-18 日鉄テックスエンジ株式会社 粉体供給速度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234B1 (ko) 1997-11-28 2000-07-01 권원섭 분체의정밀계량시스템
KR100308937B1 (ko) * 1998-06-05 2002-08-13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확장판을갖는로타리밸브
JP3058836U (ja) * 1998-11-02 1999-06-22 株式会社コスモテックス ロータリバルブ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836B2 (ja) * 1997-01-28 2000-07-04 アルインコ株式会社 梯子兼用脚立の回転金具
JP2001159469A (ja) * 1999-12-01 2001-06-12 Cosmotex:Kk ロータリバルブ
JP2002211746A (ja) * 2001-01-11 2002-07-31 Sumitomo Chem Co Ltd ロータリーバルブ及び移送方法
KR200350681Y1 (ko) * 2004-02-05 2004-05-13 유성분체기계 주식회사 로터리 밸브의 스크래핑 장치
JP6667992B2 (ja) * 2015-02-05 2020-03-18 日鉄テックスエンジ株式会社 粉体供給速度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5800A1 (en) 2024-03-13
KR20220149966A (ko) 2022-11-10
US20240327142A1 (en) 2024-10-03
WO2022235020A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974B2 (en) Slurry manufactur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slurry manufacturing device
KR102583977B1 (ko) 분체계량 로터리밸브장치
US8298695B2 (en) Battery electrodes
EP2449618A1 (en) Metal-air flow battery
CN105836401A (zh) 上料机
KR101462028B1 (ko) 분체 처리 장치
KR20180107847A (ko) 원통형 전지셀의 캔의 공급 장치
EP4349473A1 (en) Smart granular raw material conveyance system and smart granular raw material conveyance method
CN215644575U (zh) 燃料电池的双极板、电池堆、燃料电池以及车辆
CN212334031U (zh) 一种给料装置
CN211246702U (zh) 一种电池正负极材料混合筛装置
CN107305332B (zh) 粉盒及打印机
CN108824359A (zh) 一种生态潜坝系统
WO2022095216A1 (zh) 播撒机的物料检测装置、播撒机及植保系统
CN111908169B (zh) 粉料计量式下料装置
CN115881977A (zh) 燃料电池的双极板、电池堆、燃料电池以及车辆
JP6626799B2 (ja) 電極材料の混練機
CN215795803U (zh) 便捷定量装置
CN221373898U (zh) 一种锂电池浆料螺杆泵
JP2010040406A (ja) 電極性能評価装置
CN211576316U (zh) 无斗绞龙称
CN218808241U (zh) 一种粘结剂粉体输送与定量供给机构
CN213302770U (zh) 一种处理盒
CN220909028U (zh) 一种防水工程施工用涂料滚刷装置
CN210001187U (zh) 一种新型双料仓关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