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23B1 - 컷팅 장치 - Google Patents

컷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23B1
KR102583923B1 KR1020220020359A KR20220020359A KR102583923B1 KR 102583923 B1 KR102583923 B1 KR 102583923B1 KR 1020220020359 A KR1020220020359 A KR 1020220020359A KR 20220020359 A KR20220020359 A KR 20220020359A KR 102583923 B1 KR102583923 B1 KR 102583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pacer
shaft
jamming prevention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3329A (ko
Inventor
황주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Priority to KR102022002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23B1/ko
Publication of KR2023012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컷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는 컷팅 대상물의 안정적인 컷팅을 위해 끼임 방지부를 구비하여 컷팅에 따른 안정성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Description

컷팅 장치{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광폭의 컷팅 대상물을 컷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컷팅 대상물이 협폭으로 컷팅될 때 끼임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정적인 컷팅을 도모하기 위한 컷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 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상기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주로 행해졌고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의 제조 과정에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체의 단부에 권심을 끼워 원통형으로 권취한 후 권심을 제거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전극 조립체는 실제 제품에 사용되기 이전에 소정의 폭을 갖는 길이로 제작된 후에 별도의 컷팅기를 통해 원하는 폭으로 컷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컷팅기는 수십 미리미터(예를 들면 50mm) 이상의 폭을 갖는 길이로 컷팅이 이루어지는 경우 안정적인 컷팅이 가능하였으나, 상기 폭 길이가 수 미리미터로 짧아질 경우 컷팅되는 과정에서 절단되거나, 컷팅기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일 예로 컷팅기에서 전극 조립체가 유입된 후에 협폭으로 컷팅되는 과정에서 상기 컷팅기의 내측에 끼이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작업자가 작동을 중지한 후에 상기 컷팅기에 끼인 협폭의 전극 조립체를 제거한 후에 재 작동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제10-2006-0052813호
본 실시 예들은 전극 조립체가 협폭으로 컷팅될 때 제1,2 컷팅부의 내측으로 끼이는 현상을 해결한 컷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컷팅 장치는 광폭(Wide width)을 갖는 컷팅 대상물을 협폭(Narrow width)으로 컷팅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측에서 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1절단부와, 상기 제1절단부에 권취되어 상기 컷팅 대상물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는 제1컷팅부; 및 상기 제1컷팅부와 마주보며 상기 케이스에 위치되고, 상기 제1절단부와 함께 상기 컷팅 대상물을 컷팅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2절단부가 구비된 제2컷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컷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샤프트에 상기 제1절단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절단부는 상기 제1샤프트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1샤프트의 축 방향에 삽입된 제1스페이서; 상기 제1샤프트의 축 방향에 삽입되고, 상기 제1스페이서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끼임 방지부가 권취된 제2스페이서; 상기 제1샤프트에 축 삽입되고 상기 제2스페이서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제1나이프; 상기 제1샤프트에 축 삽입되고 상기 제1나이프를 탄지하여 상기 끼임 방지부를 축 방향에서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는 상기 제1샤프트에 교대로 삽입된다.
상기 끼임 방지부는 상기 제1나이프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와 동일 높이가 유지된다.
상기 끼임 방지부는 폼(Foam) 또는 스펀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끼임 방지부는 제2 스페이서의 원주 방향에서 권취된 제1끼임 방지부; 상기 제1끼임 방지부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페이서의 원주 방향에서 권취되며 상기 제1끼임 방지부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 제2끼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끼임 방지부는 상기 제1끼임 방지부 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폼 또는 스펀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링 형태로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 홀이 형성된 접시 스프링이 사용되고, 상기 제1스페이서를 기준으로 축 방향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스페이서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축 방향에서 삽입 되도록 전면과 후면 양측에서 상기 제1스페이서의 내측으로 각각 단차진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외측에 상기 제1나이프가 삽입된다.
상기 제2컷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2 샤프트에 상기 제2절단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2절단부는 상기 제2샤프트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2샤프트의 축 방향에 삽입되고, 상기 제1스페이서와 마주보며 배치된 제3스페이서; 상기 제2샤프트의 축 방향에 삽입되고, 상기 제3스페이서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스페이서와 마주보며 배치된 제4스페이서; 상기 제2샤프트에 축 삽입되고 상기 제3스페이서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제2나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끼임 방지부는 폭 방향 길이(L1)가 상기 제3 스페이서 및 제2나이프가 밀착된 상태의 폭 방향 길이(L2)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들은 컷팅 대상물이 컷팅될 때 제1,2 절단부의 내측에서 끼임 현상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컷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끼임 방지부의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끼임 방지부가 제1절단부의 축 방향에서 지지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컷팅 대상물의 컷팅에 따른 안정성이 유지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컷팅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컷팅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종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컷팅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컷팅부의 분해 사시도.
도 6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끼임 방지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2 절단부의 확대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끼임 방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컷팅 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컷팅 장치의 정면도 이며, 도 3은 도 2의 종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컷팅부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컷팅부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끼임 방지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며,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2 절단부의 확대 단면도 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컷팅 장치(1)는 광폭의 컷팅 대상물(2)을 협폭으로 컷팅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써, 일 예로 상기 컷팅 대상물(2)은 후술할 제1,2 컷팅부(100, 200)에 의해 협폭으로 컷팅된 후에 수십 미리 미터의 폭이 유지되는 전극 조립체가 사용된다.
상기 컷팅 대상물(2)은 후술할 제1,2 컷팅부(100, 200)를 경유할 경우 3 ~ 4mm의 폭을 갖는 협폭으로 컷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후술할 끼임 방지부(12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컷팅 대상물(2)이 협폭으로 컷팅되는 과정 중에 제1컷팅부(100)와 제2컷팅부(200) 사이로 끼이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어 컷팅에 따른 안정성 향상과 품질 안정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광폭(Wide width)을 갖는 컷팅 대상물(2)을 협폭(Narrow width)으로 컷팅하기 위해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1절단부(110)와, 상기 제1절단부(110)에 권취되어 상기 컷팅 대상물(2)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끼임 방지부(120)를 포함하는 제1컷팅부(100)및 상기 제1컷팅부(100)와 마주보며 상기 케이스(10)에 위치되고, 상기 제1절단부(110)와 함께 상기 컷팅 대상물(2)을 컷팅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2절단부(210)가 구비된 제2컷팅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제1,2 컷팅부(100, 20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컷팅부(100)와 제2컷팅부(200) 사이로 컷팅 대상물(2)이 유입된다.
케이스(10)는 직육면체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측에 중장비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아이 볼트(11)가 설치되고, 상기 제1컷팅부(100)의 좌우측 양단에 각각 제1베어링(B1)이 설치되며, 제2컷팅부(200)의 좌우측 양단에 제2베어링(B2)이 설치된다.
상기 제1,2 베어링(B1, B2)은 도면 기준 케이스(10)의 좌우 측벽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2 컷팅부(100, 200)의 안정적인 회전을 도모한다.
상기 제1샤프트(112)에는 상기 제1절단부(110)의 양측 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 제1 지지 링(111)이 삽입된다.
상기 제1샤프트(112)는 제1 베어링(B1)에 의해 축 방향에서 상대 회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1 지지 링(111)에 의해 상기 제1절단부(110)의 설치 및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제1 컷팅부(100)는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샤프트(112)에 상기 제1절단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절단부(110)는 상기 제1샤프트(112)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1샤프트(112)의 축 방향에 삽입된 제1스페이서(114)와, 상기 제1샤프트(112)의 축 방향에 삽입되고, 상기 제1스페이서(114)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끼임 방지부(120)가 권취된 제2스페이서(116)와, 상기 제1샤프트(112)에 축 삽입되고 상기 제2스페이서(116)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제1나이프(118)와, 상기 제1샤프트(112)에 축 삽입되고 상기 제1나이프(118)를 탄지하여 상기 끼임 방지부(120)를 축 방향에서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119)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절단부(110)는 제1스페이서(114)와 제2스페이서(116)가 제1샤프트(112)의 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다수개가 삽입되어 있어 일정한 이격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폼(Foam) 또는 스펀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끼임 방지부(120)는 제2스페이서(116)의 원주 방향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2스페이서(116)는 끼임 방지부(120)가 삽입되기 이전에는 소정의 깊이로 원주 방향에 삽입 홈(116a)이 형성되나, 상기 끼임 방지부(120)가 삽입될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홈(116a)이 채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삽입 홈(116a)은 컷팅 대상물(2)이 컷팅과 동시에 절단된 일부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끼임 방지부(120)를 이용하여 컷팅 대상물(2)의 끼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상기 작업자가 전술한 폼 또는 스펀지를 제1컷팅부(100)와 제2컷팅부(200) 사이로 밀어 넣을 경우 후술할 제1나이프(118)와 제2나이프(216)에 의해 컷팅과 동시에 상기 삽입 홈(116a)에 삽입된다.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삽입 홈(116a)에 삽입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모두 배출된 이후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페이서(116)에 권취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사용 도중에 제2스페이서(116)에서 이탈되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삽입 홈(116a)에 남아있는 끼임 방지부(120)를 모두 제거한 후 폼 또는 스펀지를 재삽입하여 재설치를 손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컷팅 장치에 대한 가동 중지 시간이 최소한으로 유지되고, 재 작동이 가능하여 재 설치에 따른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상기 제1절단부(110)에만 구비되고, 상기 제2절단부(210)에는 미 구비된다.
상기 제1스페이서(114)는 제2스페이서(116)가 교대로 제1샤프트(112)에 삽입되어 있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상기 제1스페이서(114)에는 후술할 제1나이프(118)와 탄성 부재(119)가 삽입된다.
상기 제1스페이서(114)에는 상기 탄성 부재(119)가 축 방향에서 삽입 되도록 전면과 후면 양측에서 상기 제1스페이서(114)의 내측으로 각각 단차진 안착부(114a)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14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데, 다른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안착부(114a)에는 상기 탄성 부재(119)가 단면도를 기준으로 제1스페이서(114)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탄성 부재(119)의 외측에 상기 제1나이프(118)가 삽입된다. 여기서 전면은 단면도를 기준으로 제1스페이서(114)의 좌측에 해당되고, 후면은 우측에 해당된다.
상기 탄성 부재(119)는 링 형태로 형성된 바디부(119a)와, 상기 바디부(119a)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 홀(119b)이 형성된 접시 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탄성 부재(119)는 상기 제1스페이서(114)에서 제1나이프(118)를 향해 소정의 탄성으로 가압을 실시하게 되므로 제1샤프트(112)를 따라 삽입된 제1나이프(118)를 밀착시키는 가압력을 유발시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19)는 상기 제1스페이서(114)를 기준으로 축 방향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1나이프(118)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1스페이서(114)의 좌측과 우측에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제1나이프(118)가 사용도중 움직이거나 오작동되지 않고 정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컷팅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컷팅부(200)는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2 샤프트(211)에 상기 제2절단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절단부(210)는 상기 제2샤프트(211)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2샤프트(211)의 축 방향에 삽입되고, 상기 제1스페이서(114)와 마주보며 배치된 제3스페이서(212)와, 상기 제2샤프트(211)의 축 방향에 삽입되며, 상기 제3스페이서(21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스페이서(116)와 마주보며 배치된 제4스페이서(214)와, 상기 제2샤프트(211)에 축 삽입되고 상기 제3스페이서(212)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제2나이프(216)를 포함한다.
상기 제4스페이서(214)는 제2 스페이서(116)와 다르게 제2나이프(216)과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므로 끼임 방지부재(120)가 미 설치된다.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삽입 홈(116a)에 권취될 경우 상기 제1나이프(118)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와 동일 높이가 유지된다.
즉 상기 제1나이프(118)와 끼임 방지부(120) 사이에 컷팅 대상물(2)이 컷팅된 이후에 끼임이 발생될 수 있는 공간이 미 형성됨으로써 제1,3 스페이서(114, 212)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뿐 만 아니라 제2스페이서(116)와 제4스페이서(214)가 마주보는 영역에서도 정확한 컷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끼임 방지부(120)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제2 스페이서(116)의 반경 방향에서 권취된 제1끼임 방지부(122)와, 상기 제1끼임 방지부(122)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페이서(116)의 원주 방향에서 권취되며 상기 제1끼임 방지부(122)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 제2끼임 방지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끼임 방지부(122, 124)는 이종 재질로 사전에 제작되는데, 일 예로 상기 제1끼임 방지부(122)는 폼 또는 스펀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제2끼임 방지부(124)는 경질의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끼임 방지부(122)가 폼 또는 스펀지가 사용되고, 제2끼임 방지부(124)가 고무로 구성될 경우 제2끼임 방지부(124)의 변형이 최소한으로 발생되어 내구성 향상에 보다 유리해 진다.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이종 재질이 아닌 밀도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단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끼임 방지부(124)가 상기 제1끼임 방지부(122) 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폼 또는 스펀지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끼임 방지부(120)가 구성될 경우 끼임 방지부(120)의 최외곽을 구성하는 제2끼임 방지부(124)의 강도가 향상되어 변형으로 인한 교체 주기가 증가됨으로써 컷팅에 따른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제2끼임 방지부(124)가 제1끼임 방지부(122) 보다 밀도가 높아 컷팅 대상물(2)에 대한 지속적인 컷팅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표면이 손상되는 현상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폭 방향 길이(L1)가 상기 제4스페이서(214) 및 제2나이프(216)가 밀착된 상태의 폭 방향 길이(L2)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컷팅 대상물(2)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미 형성될 수 있어 끼임으로 인한 문제점이 예방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컷팅 대상물
10 :케이스
100 :제1컷팅부
110 :제1절단부
112 :제1샤프트
114 :제1스페이서
116 :제2스페이서
118 :제1나이프
119 :탄성 부재
120 :끼임 방지부
200 :제2컷팅부
210 :제2절단부
211 :제2샤프트
212 :제3스페이서
214 :제4스페이서
216 :제2나이프

Claims (5)

  1. 광폭(Wide width)을 갖는 컷팅 대상물을 협폭(Narrow width)으로 컷팅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측에서 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1절단부와, 상기 제1절단부에 권취되어 상기 컷팅 대상물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는 제1컷팅부; 및
    상기 제1컷팅부와 마주보며 상기 케이스에 위치되고, 상기 제1절단부와 함께 상기 컷팅 대상물을 컷팅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2절단부가 구비된 제2컷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컷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샤프트에 상기 제1절단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절단부는 상기 제1샤프트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1샤프트의 축 방향에 삽입된 제1스페이서와, 상기 제1샤프트의 축 방향에 삽입되고, 상기 제1스페이서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끼임 방지부가 권취된 제2스페이서와, 상기 제1샤프트에 축 삽입되고 상기 제2스페이서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제1나이프와, 상기 제1샤프트에 축 삽입되고 상기 제1나이프를 탄지하여 상기 끼임 방지부를 축 방향에서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스페이서(114)를 기준으로 축 방향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1나이프(118)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1스페이서(114)의 좌측과 우측에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상기 제2 스페이서(116)의 반경 방향에서 권취된 제1끼임 방지부(122)와, 상기 제1끼임 방지부(122)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페이서(116)의 원주 방향에서 권취되며 상기 제1끼임 방지부(122) 보다 밀도가 높게 이루어진 제2끼임 방지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끼임 방지부(120)는 상기 제1절단부(110)에만 구비되고, 상기 제2절단부(210)에는 미 구비되는 컷팅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부는 상기 제1나이프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와 동일 높이가 유지되는 컷팅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컷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2 샤프트에 상기 제2절단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2절단부는 제2샤프트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제2샤프트의 축 방향에 삽입되고, 상기 제1스페이서와 마주보며 배치된 제3스페이서;
    상기 제2샤프트의 축 방향에 삽입되고, 상기 제3스페이서 사이에 위치되며 제2스페이서와 마주보며 배치된 제4스페이서;
    상기 제2샤프트에 축 삽입되고 상기 제3스페이서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제2나이프를 포함하는 컷팅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부는 폭 방향 길이(L1)가 상기 제3 스페이서 및 제2나이프가 밀착된 상태의 폭 방향 길이(L2)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 장치.

KR1020220020359A 2022-02-16 2022-02-16 컷팅 장치 KR102583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359A KR102583923B1 (ko) 2022-02-16 2022-02-16 컷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359A KR102583923B1 (ko) 2022-02-16 2022-02-16 컷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329A KR20230123329A (ko) 2023-08-23
KR102583923B1 true KR102583923B1 (ko) 2023-10-05

Family

ID=8784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359A KR102583923B1 (ko) 2022-02-16 2022-02-16 컷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9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382A (ja) * 1999-10-06 2001-04-17 Toray Eng Co Ltd 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1947A1 (de) 2003-07-15 2005-0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KR101211804B1 (ko) * 2005-12-19 2012-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의 극판 슬리팅 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382A (ja) * 1999-10-06 2001-04-17 Toray Eng Co Ltd 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329A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526B1 (ko) 배터리 셀의 가압 장치
KR101334625B1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제조용 권심
KR102106691B1 (ko) 권취 장치
KR102249261B1 (ko) 이차전지 전극 트리밍 장치
KR102583923B1 (ko) 컷팅 장치
KR20180023230A (ko) 이차전지 제조용 절단장치
US20220158162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therethrough, and secondary battery
KR101956931B1 (ko) 조립형 권심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의 권취장치
KR100670481B1 (ko) 이차 전지용 권취장치
KR20130091928A (ko) 이차 전지용 극판 컷터 어셈블리
CN115103745B (zh) 盒式电极切割设备
US20160072109A1 (en) Battery module for mitigating gas accumulation and methods thereof
KR20070081549A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제조용 권심
EP3907031A1 (en) Slitter
KR101979377B1 (ko) 이차전지용 권취기
KR101347715B1 (ko) 안전판이 구비된 각형 이차전지
JP3619618B2 (ja) 電池の電極用の原反の切断装置及び帯状体の切断装置
KR102300705B1 (ko) 이차전지용 전극 커팅장치
KR102534990B1 (ko) 권취 장치
KR102416856B1 (ko) 배터리 전극 시트용 압연 장치
KR101516649B1 (ko) 안전판이 구비된 각형 이차전지
KR102261506B1 (ko) 전극시트를 고정하는 흡착 패드를 포함하는 노칭 장치
KR102456716B1 (ko) 슬리팅 나이프 유닛
US20230001595A1 (en) Secondary battery pouch cutt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210057687A1 (en) Batte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