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88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888B1
KR102583888B1 KR1020180155372A KR20180155372A KR102583888B1 KR 102583888 B1 KR102583888 B1 KR 102583888B1 KR 1020180155372 A KR1020180155372 A KR 1020180155372A KR 20180155372 A KR20180155372 A KR 20180155372A KR 102583888 B1 KR102583888 B1 KR 10258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space
light
emitting member
spac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411A (ko
Inventor
이진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5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8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에 장착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의 전단부를 형성하며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을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는 삽입 공간; 상기 삽입 공간의 측방 개구를 통해서, 상기 삽입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 장착되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조명장치; 상기 선반의 좌우측부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 공간의 측방 개구를 차폐하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으로는 섭씨 1~4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채소와 같은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섭씨 -18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제공되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 및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차폐하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 공간은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이들 냉장실과 냉동실에는 식품의 효율적인 저장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선반이 구비될 수 있다.
고내에 수납된 식품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고내에는 발광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는 일반적인 램프 또는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내의 후벽면 또는 좌우 측면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28178호에는, 저장공간의 후면에 저장공간을 밝히는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들에서는 발광부재가 외부로 직접 노출됨으로써 조도가 밝을 경우 사용자에게 자극적이며, 조도가 낮을 경우에는 고내측을 충분하게 밝혀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수의 식품이 수납되는 경우 발광부재의 앞부분을 가리게 되어 수납 공간에 전체에 고르게 빛을 조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의 전단에 조명장치가 구비되며, 조명장치가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눈부심이 방지되고 저장공간을 고르게 밝힐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의 전단에 조명장치를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에 장착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의 전단부를 형성하며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을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는 삽입 공간; 상기 삽입 공간의 측방 개구를 통해서, 상기 삽입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 장착되는 투명한 소재로 된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되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조명장치; 상기 선반의 좌우측부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 공간의 측방 개구를 차폐하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은, 상기 삽입 공간의 내측 상면에 형성되는 반사부; 상기 삽입 공간에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절개부; 및 상기 삽입 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발광부재의 하방을 지나 상기 절개부까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을 가리는 가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되면,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차폐하고,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가림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는, 상기 발광부재로 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삽입 공간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에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의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반사부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반사부에 반사된 빛이 상기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는, 상기 반사부의 하방에 위치된 상기 삽입 공간의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반사부의 전단 보다 후단에 인접하도록 후방으로 편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발광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발광부재가 장착되는 발광부재 장착부;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빛이 통과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를 차폐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공간은,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가 위치되는 제1 공간; 상기 제1 공간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반사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는 상기 가림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공간의 배면에는,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삽입 공간 내측으로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리브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후단에는 상기 리브 구속부에 측방에서 삽입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는, 적어도 상기 발광부재의 상면과 전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의 측면에 구비되며, 비접촉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원 공급장치; 상기 측면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 공급장치에서 송신된 전력을 수신하는 전원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은,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의 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전후방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 바디;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수신장치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와 커버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의 전단에는, 상기 삽입 공간의 측방 개구를 차폐하는 삽입 공간 차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공간 차폐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 수신장치와 조명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선반의 전단부를 형성하며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이 구비되며, 전면 프레임에는 측방 빛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조명장치는 상기 삽입 공간의 측방 개구를 통해서 상기 삽입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명장치를 상기 전면 프레임에 측방에서 용이하게 삽입 장착 가능하게 되어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이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공간이 하방으로 개구됨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이 전방으로 조사되지 않고 하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장치에 의해서 저장공간을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는, 상기 발광부재로 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삽입 공간의 하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선반의 전단에서 하방 및 후방으로 조사될 수 있게 되어, 저장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다.
셋째, 삽입 공간의 산면에는,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을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반사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반사부에 반사되어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를 통해서 하방 및 후방으로 보다 고르게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을 보다 고르게 밝힐 수 있다.
넷째, 조명장치는 발광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발광부재가 장착되는 발광부재 장착부와.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빛이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를 차폐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에 의해서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가 차폐됨에 따라, 상기 삽입 공간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가 빛이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발광부재의 빛이 상기 연장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삽입 공간의 하면에는, 발광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의 후단 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을 가지를 가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는 상기 가림부의 후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림부에 의해서 상기 발광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선반의 전방측으로 조사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상기 측면 프레임은 측면 프레임 바디와, 측면 프레임 바디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를 외측에서 감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즉, 상기 측면 프레임은 서로 겹쳐지는 복수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를 금속소재로 하여 상기 선반의 지지 강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를 상기 전면 프레임과 동일한 소재로 하여 선반의 외형을 일체감 있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7'-7''을 기준으로 절개시킨 선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반의 단면을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의 저장공간은 하나의 저장실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구획되어 다수의 저장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 양측 및/또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 저장실과 하부 저장실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좌우로 구획되어 좌측 저장실과 우측 저장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다수의 저장실 중 일부는 식품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일 수 있으며, 일부는 식품의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실일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저장실 모두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다수의 저장실 중 일부는 급속 냉각실이거나 온도가 가변 가능한 저장실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하나가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20)는 다수가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예로들어, 한쌍의 도어(20)가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한쌍의 도어(20)는 좌우측으로 배치되어, 좌측의 도어는 저장실의 좌측공간을 개폐하고 우측의 도어는 저장실의 우측공간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공간과 도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는 냉장고(1)를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저장공간은 베리어(11)에 의해서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상측의 저장공간은 냉장실(12)일 수 있다. 그리고, 하측의 저장공간은 냉동실(13)일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20)의 일부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출입에 의해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각각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측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의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12)의 좌측을 개폐하고, 우측의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12)의 우측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좌우측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좌축의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냉동실(13)의 좌측을 개폐하고, 우측의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냉동실(13)의 우측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에는 전후방으로 인출입되도록 구비되며,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14)이 구비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서랍(14)은 상기 냉장실(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 및 좌우로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에는 식품의 안착을 위한 선반(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100)은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 및 냉동실(1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12)에 선반(100)이 구비되는 구조를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선반(100)은 상기 냉장실(12)을 구획하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반(100)에는 식품 또는 식품이 저장되는 용기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선반(100)은 상기 냉장실(1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100)은 탈거 및 장착을 통해서 장착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선반(100)은 후단이 캔틸레버 방식으로 상기 냉장실(16)의 후벽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후벽에는 상기 선반(100)이 장착되는 선반 장착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장착부재(30)는, 상기 냉장실(12)의 후벽에 상하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장착부재(30)의 전면은 상기 냉장실(12)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의 후벽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선반 장착부재(30)는, 상기 냉장실(12)의 후벽에 좌우로 이격된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선반 장착부재(30)는, 후술할 상기 선반(100)의 후단에 형성된 장착돌기(101)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선반(100)의 후단에 좌우로 이격된 한쌍의 장착돌기가 구비되는 경우, 한쌍의 선반 장착부재(30)는 상기 한쌍의 장착돌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100)이 상기 냉장실(12)에 동일 높이에 좌우로 한쌍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선반 장착부재(30)는 상기 냉장실(1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장착부재(30)는 상기 냉장실(12)의 가로폭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장착부재(30)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31)은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31)은 상기 선반 장착부재(30)의 전면에 상하로 이격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선반(100)을 탈거시킨 후, 상기 장착돌기를 원하는 높이의 상기 장착홀(31)에 장착시킴으로써, 상기 선반(100)의 장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반(100)에는 후술할 조명장치(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도어(30)가 개방되거나 사용자의 특정 조작에 의해서 점등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밝힐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선반(100)이 상기 냉장실(12)에 장착된 경우, 상기 선반(100)에 구비된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냉장실(21) 도어의 개방시 점등되어 상기 냉장실(12)을 밝힐 수 있다.
또는, 상기 선반(100)에 구비된 상기 조명장치(170)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에 구비된 별도의 조작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점등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선반(100)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특정조건에서 점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선반(100)의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선반(100)의 전단에서 하방 및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0)가 하방 및 후방으로 빛을 조사 가능함에 따라, 빛이 상기 선반(100)의 하방 공간의 중앙을 향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을 고르게 밝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170)가 상기 선반(100)의 전단에서 후측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빛이 직접적으로 조사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선반(100)에는 무선으로 전원을 수신하는 전원 수신장치(18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에는 상기 선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장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는, 무선으로 전원을 송신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는, 상기 냉장실(12)의 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동일한 높이에 하나의 선반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는 상기 냉장실(12)의 좌우 측벽 중 일측 벽에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2)의 동일한 높이에 좌우측으로 한쌍의 선반(100)이 구비 가능한 구조에서는,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는 상기 냉장실(12)의 좌우 측벽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실(12)의 좌측 벽에 구비된 전원 공급장치(500)는 좌측의 선반(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냉장실(12)의 우측 벽에 구비된 전원 공급장치(500)는 우측의 선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는, 상기 선반(100)이 장착 가능한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는 상기 선반 장착부재(30)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는, 상기 선반(100)이 다양한 높이에 장착되더라도 상기 선반(100)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와 전원 수신장치(180)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방식에는, 유도전력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유도전력 방식은,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에는 외부전력으로 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서 자기장을 형성하는 1차 코일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에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기전력이 발생되는 2차 코일이 형성되는 방식이다.
두번째, 전자기파 방식은,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에는 외부전원으로 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서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마그네트론이 포함되고,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에는 전자기파수신기가 포함되어 수신한 전자기파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방식이다.
세번째, 초음파 방식은,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에는 외부전력으로 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서 초음파를 방사하는 초음파발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에는 초음파수신기가 포함되어 수신한 초음파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도전력 방식이 적용된 전원 공급장치(500)와 전원 수신장치(180)를 일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에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1차 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에는 유도기전력이 발생되는 2차 코일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의 내부에는, 나선형의 1차 코일이 상하로 길게 타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공급장치(500)의 내부에는, 나선형의 1차 코일이 다수로 구비되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선반(100)은,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0)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0)는 빛의 통과가 가능하토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1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선반(100)의 둘레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10)의 둘레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선반 장착부재(3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돌기(101)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선반(100)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선반(100)의 견고한 장착을 위해서 적어도 일부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레임이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보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은 중심이 개구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전면 프레임(120)과 후면 프레임(130) 및 한쌍의 측면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상기 프레임의 전단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상기 프레임의 전측 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10)의 전단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0)의 전단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프레임(130)은 상기 프레임의 후단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면 프레임(130)은 상기 프레임의 후측 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프레임(130)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10)의 후단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0)의 후단은 상기 후면 프레임(1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측면 프레임(140)은 좌우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좌측의 측면 프레임(140)은 상기 프레임의 좌측단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좌측의 측면 프레임(140)은 상기 프레임의 좌측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의 측면 프레임(14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와 후면 프레임(130)의 좌측 단을 연결할 수 있다.
우측의 측면 프레임(140)은 상기 프레임의 우측단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우측의 측면 프레임(140)은 상기 프레임의 우측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측면 프레임(14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후면 프레임(130)의 우측 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140)과 전면 프레임(120)의 접촉된 단부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140)과 후면 프레임(120)의 접촉된 단부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140)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측면의 전후 폭에 대응하 전후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측면 프레임(140)의 상면에는 상기 플레이트(110)의 좌우측 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프레임(14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101)는 상기 측면 프레임(14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면 프레임(140)의 후측부의 상하 높이가 높음에 따라, 상기 측면 프레임(140) 후측부로 집중되는 상기 선반(1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조명장치(170)의 장착 구조 및 상기 측면 프레임(14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내부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는 상기 조명장치(17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121)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을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121)은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 공간(121)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좌우 길이에 대응하는 좌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삽입 공간(121)에 측방에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삽입 공간(121)의 측방 개구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삽입되는 장착부재(300)와, 발광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조명장치(17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좌우 길이에 대응하는 좌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삽입 공간(121)에 측방에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는 상기 장착부재(3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는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발광부재(200)는 LED 또는 전구와 같이 전력에 의해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발광부재(200)가 LED 인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발광부재(200)는 상기 장착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발광부재(200)는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LED 소자는 상기 장착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LED 소자는 소자는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전도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프레임(140)은,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는, 상기 측면 프레임(140)의 전체적인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는, 상기 측면 프레임(150)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바디 측면부(151)와, 상기 바디 측면부(151)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바디 상면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측면부(151)는 상기 플레이트(110)의 측면 전후방 길이에 대응하는 전후방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 측면부(15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상면부(152)는 상기 바디 측면부(151)의 상단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14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101)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121)은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1)에 의해서 측방 개구가 차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1)의 전단부에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 공간 차폐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 차폐부(153)는, 상기 삽입 공간(121)의 측방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 공간(121)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160)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는 상기 커버(16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커버(160)와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커버(160)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후면 프레임(13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후면 프레임(130)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커버(160)는 동일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가 강보의 보강을 위해서 별도의 소재로 형성되더라도, 전체적인 외관이 일체감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60)는, 상기 바디 측면부(151)의 형상에 대응하는 커버 측면부(161)와, 상기 커버 측면부(161)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커버 상면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측면부(161)는 상기 플레이트(110)의 측면 전후방 길이에 대응하는 전후방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측면부(16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측면부(161)는 상기 바디 측면부(151)를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상면부(162)는 상기 커버 측면부(161)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플레이트(110)의 측단부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 상면부(162)는 상기 바디 상면부(15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상면부(162)는 상기 바디 상면부(152)의 상방에서 상기 바디 상면부(152)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121)은 상기 커버 측면부(161)에 의해서 측방 개구가 차폐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측면부(161)의 전단부는 상기 삽입 공간(121)의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 상면부(152)와 커버 상면부(162) 중 하나만 형성되더라도, 상기 플레이트(110)의 측단을 지지 가능하므로, 상기 바디 상면부(152)와 커버 상면부(162)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 측면부(161)와 바디 측면부(151)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삽입 공간(121)의 측방 개구를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로들어, 상기 삽입 공간 차폐부(153)는 상기 바디 측면부(151)의 전단부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커버 측면부(161)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를 함께 관통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의 전단부를 관통한 체결부재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의 후단부를 관통한 체결부재는 상기 후면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측면 프레임(140)이 상기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조립이 적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의 사이에는,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커버 측면부(161)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65)는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65)에 의해서,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의 사이에는,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와 상기 조명장치(170)는 전선(19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선(190)에 의해서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로 부터 상기 조명장치(17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측면부(151)의 전단에는, 상기 전선(190)이 상기 삽입 공간(12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는, 전선 통과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부(154)는 상기 전선(190)이 관통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 측면부(151)의 전단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전선 통과부(154)는, 상기 삽입 공간 차폐부(153)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 공간 차폐부(153)는 상기 바디 측면부(151)의 전단부로 정의 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 통과부(154)는 상기 바디 측면부(151)의 전단부 상단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부(154)에 의해서, 상기 삽입 공간(121)과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150)와 커버(160)의 사이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삽입 공간(121)의 측방에서 상기 삽입 공간(121)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조명장치(170)의 세부적인 구조 및, 상기 조명장치(170)가 상기 삽입 공간(121)에 장착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3의 7'-7''을 기준으로 절개시킨 선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반의 단면을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전단이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부(122)와, 상기 조명장치(170)가 장착되는 조명장치 장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2)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후측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2)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2)의 전단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10)의 전단은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2)의 전방에 위치되거나 하방에 위치되거나 전방 및 하방에 걸쳐서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공간(121)은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2)의 전방에 위치되거나 하방에 위치되거나 전방 및 하방에 걸쳐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는 상기 조명장치(170)의 상기 장착부재(30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는 상기 조명장치(170)의 상면과 전면과 후면과 하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121)은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중심을 좌우로 관통하여, 좌우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121)은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하면에는, 절개부(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3a)는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하면 일부가 전후방으로 소정의 폭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3a)는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하면을 따라 가로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좌측단에서 부터 후측단 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빛의 투과가 불가능하도록, 불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간(121)에 수용된 상기 조명장치(170)의 빛은 상기 절개부(123a)를 통해서만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삽입 공간(121)은, 후술할 상기 장착부재(300)의 발광부재 장착부(310)가 수용되는, 제1 공간(121a)과 상기 제1 공간(121a)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2 공간(12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121a)은 후술할 상기 장착부재(300)의 발광부재 장착부(310)를 수용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간(121a)은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2 공간(121b)과 연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공간(121a)의 후방개구는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의 상하 높이 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1 공간(121a)의 후방 개구는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의 상단 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의 배면 상단은 상기 제1 공간(121a)의 배면 상단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121a)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121b)의 상면은 적어도 일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121b)의 상면은 상기 발광부재(200)에서 조사된 빛을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공간(121b)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내측 상면에는 반사부(12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123b)는 후방으로 평평하게 연장되다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123b)는 상기 발광부재(200)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반사부(123b)에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의 별도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부(123a)는 상기 제2 공간(121b)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부(123b)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부(123b)에 반사된 빛이 상기 절개부(123a)를 통해서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121b)의 배면에는, 후술할 상기 장착부재(300)의 리브(330)가 측방에서 슬라이딩 삽입되는 리브 구속부(123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공간(121b)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후측부에는 상기 리브 구속부(123c)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리브 구속부(123)는 다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121b)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하면에서 상기 절개부(123a)의 전방에는, 가림부(123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23d)는 상기 제1 공간(121a)의 하면 및 상기 제2 공간(121b)의 하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가림부(123d)는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내측 전면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의 하방을 지나 후방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림부(123d)는 상기 반사부(123b)의 일부 영역과 상하로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림부(123d)에 의해서,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에 구비된 상기 발광부재(200)에서 발산되는 빛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전방으로 조사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가림부(123d)는 상기 발광부재(200)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선반(100)의 전방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차폐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림부(123d)의 후단은 상기 리브 구속부(123c)와 전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부(123d)의 후단은 상기 리브 구속부(123c)의 전단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3a)는 상기 가림부(123d)의 후단과 상기 리브 구속부(123d)가 전후로 이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발광부재(200)가 장착되는 발광부재 장착부(310)와,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는, 상기 발광부재(20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는 상기 발광부재(2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의 내부 공간은 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의 LED 소자는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의 후방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200)의 LED소자는 상기 반사부(123b)와 가림부(123d)의 사이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200)가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재(200)의 빛은 후방으로 발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의 일부는 상기 가림부(123d)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일부는 상기 절개부(123a)를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가림부(123d)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321)와, 상기 안착부(32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절개부(123a)를 차폐하는 투과부(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투과부(322)와 안착부(321)과 단차지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투과부(322)와 안착부(321)가 접하는 부분은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투과부(322)는 상기 안착부(321)와 하방으로 단차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322)는, 상기 조명장치(170)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투과부(322)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절개부(123a)를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하면의 연장 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외관을 일체감 있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과부(322)는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투과부(322)의 영역만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전체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부(123b)에 의해서 반사된 상기 발광부재(200)의 빛이 상기 투과부(322)를 통과하여 하방 및 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과부(322)의 후단에는 상기 리브 구속부(123c)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기 리브(3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30)는 상기 투과부(322)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후 후방으로 다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발광부재(200)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하방 빛 후방으로 조사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 공간(121)의 측방 개구를 통해서, 상기 조명장치(170)는 상기 삽입 공간(121)의 측방에서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에 측방에서 슬라이딩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는 상기 제1 공간(121a)을 따라 측방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제2 공간(121b)을 따라 측방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착부(321)는 상기 가림부(123d)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322)는 상기 삽입 공간(121)의 하방 개구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123a)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0)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부(322)는 상기 절개부(123a)에 위치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하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330)는 상기 리브 구속부(123c)를 따라 측방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장치(180)에서 수신된 전력은 상기 전선(190)을 통해서 상기 발광부재(200)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상기 발광부재(200)는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는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공간(121a)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의 LED 소자는 상기 제2 공간(121b)을 향하여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면 프레임(120)이 불투명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가 상기 발광부재(200)의 상방 및 전방 및 하방을 차폐함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200)의 빛이 상기 선반의 전방측으로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123)의 가림부(123d)가 상기 발광부재(200)의 하방에서 후방으로 일정영역을 차폐함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200)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선반의 전방측으로 조사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반사부(123b)에 의해서 반사되어 하방 및 후방으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된 빛은 상기 투과부(322)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123a)를 통해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사부(123b)가 상기 발광부재(2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200)에서 조사되는 빛이 하방 및 후방으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322)가 상기 반사부(123b)의 하방에 위치되되, 상기 가림부(123d)에 의해서 후방으로 편측되어 위치되므로, 상기 발광부재(200)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하방 및 후방으로 안정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Claims (15)

  1.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에 장착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의 전단부를 형성하며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을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는 삽입 공간;
    상기 삽입 공간의 측방 개구를 통해서, 상기 삽입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 장착되는 투명한 소재로 된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되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조명장치;
    상기 선반의 좌우측부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 공간의 측방 개구를 차폐하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은,
    상기 삽입 공간의 내측 상면에 형성되는 반사부;
    상기 삽입 공간에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절개부; 및
    상기 삽입 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발광부재의 하방을 지나 상기 절개부까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을 가리는 가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되면,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차폐하고,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가림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는, 상기 발광부재로 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삽입 공간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의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반사부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반사부에 반사된 빛이 상기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는,
    상기 반사부의 하방에 위치된 상기 삽입 공간의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반사부의 전단 보다 후단에 인접하도록 후방으로 편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발광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발광부재가 장착되는 발광부재 장착부;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빛이 통과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를 차폐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은,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가 위치되는 제1 공간;
    상기 제1 공간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면에 상기 반사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의 하방 개구는 상기 가림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의 배면에는,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삽입 공간 내측으로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리브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후단에는 상기 리브 구속부에 측방에서 삽입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는, 적어도 상기 발광부재의 상면과 전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의 측면에 구비되며, 비접촉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원 공급장치;
    상기 측면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 공급장치에서 송신된 전력을 수신하는 전원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의 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전후방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 바디;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수신장치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와 커버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 바디의 전단에는, 상기 삽입 공간의 측방 개구를 차폐하는 삽입 공간 차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 차폐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 수신장치와 조명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0155372A 2018-12-05 2018-12-05 냉장고 KR10258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72A KR102583888B1 (ko) 2018-12-05 2018-12-0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72A KR102583888B1 (ko) 2018-12-05 2018-12-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11A KR20200068411A (ko) 2020-06-15
KR102583888B1 true KR102583888B1 (ko) 2023-10-04

Family

ID=7108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372A KR102583888B1 (ko) 2018-12-05 2018-12-0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8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0206A (ja) 2012-06-18 2014-01-09 Okamura Corp ショーケース
US20170191743A1 (en) 2016-01-04 2017-07-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20180031310A1 (en) 2013-07-17 2018-02-01 Whirlpool Corporation Lighted refrigerator shelf with overmold
CN207922683U (zh) 2018-03-13 2018-09-2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具有发光层架的冰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507B1 (ko) * 2008-10-13 2012-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내부 조명장치
KR20110034271A (ko) * 2009-09-28 2011-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선반
KR20110045445A (ko) * 2009-10-27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14317B1 (ko) * 2016-01-04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0206A (ja) 2012-06-18 2014-01-09 Okamura Corp ショーケース
US20180031310A1 (en) 2013-07-17 2018-02-01 Whirlpool Corporation Lighted refrigerator shelf with overmold
US20170191743A1 (en) 2016-01-04 2017-07-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207922683U (zh) 2018-03-13 2018-09-2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具有发光层架的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11A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5445A (ko) 냉장고
EP2594880B1 (en) Refrigerator
JP4811210B2 (ja) 冷蔵庫
JP5674496B2 (ja) 冷蔵庫
DE102012202322A1 (de) Kältegerät mit indirekter Kühlkammerbeleuchtung
JP5845435B2 (ja) 冷蔵庫
KR102583888B1 (ko) 냉장고
US20100053934A1 (en) Refrigerator and lighting apparatus thereof
JP5277102B2 (ja) 冷蔵庫
JP2012220134A (ja) 冷蔵庫
KR20100041052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내부 조명장치
KR20140088371A (ko) 냉장고
JP2008039355A (ja) 冷蔵庫
KR20090132400A (ko) 냉장고의 조명장치
KR20110088804A (ko) 냉장고
CN210625106U (zh) 冰箱
US20170292779A1 (en) Refrigerator and light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CN220669890U (zh) 冰箱及其储物装置
JP4867541B2 (ja) 冷蔵庫
CN219797598U (zh) 冰箱
KR20210048908A (ko) 조명유닛을 가지는 냉장고
CN219913582U (zh) 冰箱
JP7120446B2 (ja) 冷蔵庫
JP5778520B2 (ja) 冷蔵庫
JP5869787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