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623B1 -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623B1
KR102583623B1 KR1020160124233A KR20160124233A KR102583623B1 KR 102583623 B1 KR102583623 B1 KR 102583623B1 KR 1020160124233 A KR1020160124233 A KR 1020160124233A KR 20160124233 A KR20160124233 A KR 20160124233A KR 102583623 B1 KR102583623 B1 KR 10258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ction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779A (ko
Inventor
김상규
정지현
안수창
이재균
권향명
이양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6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터치 스크린 패널이 내장된 유기발광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 프레임 구간을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센싱 구간으로 시분할하여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터치 센싱시 게이트 라인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가 터치 센싱 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블랭크 구간을 터치 센싱 구간으로 활용하여 터치 센싱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열화를 센싱/보상하기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과 구분하여 터치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블랭크 구간에서도 게이트 라인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를 방지하여 터치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TOUCH DRIVING CIRCUI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A BUILT-IN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본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그리고 유기발광표시장치에 포함된 터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의 다양한 타입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명암비,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여러 타입의 표시장치들은 사용자의 편의와 요구에 따라 표시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고 입력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기능을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다수의 터치 전극을 배치하고 터치 전극에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 전극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센싱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작 편리성 향상 및 사이즈 축소 등을 위해서는 터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내장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조와 제작 특성상 상당한 어려움이나 많은 제약 사항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분, 공기 등이나 물리적인 충격, 또는 제조 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이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봉지층 등을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전면에 형성해야 한다.
이로 인해, 공정상의 복잡도 및 어려움이 발생할 분만 아니라, 봉지층으로 인해 표시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터치 센싱을 정상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 전극의 배치 위치를 찾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유기발광표시패널 상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터치 구조를 구현하여,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두께도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기발광표시패널에는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어 있으며,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서 센싱되는 터치 전극의 캐패시턴스 변화는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에 의한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에 의한 노이즈가 터치 센싱 신호에 포함되는 경우, 터치 센싱의 정확도를 떨어뜨리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 패널이 내장된 유기발광표시패널과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터치 센싱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터치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열화를 센싱하는 구간에서 터치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다수의 서브픽셀과 다수의 터치 전극이 배치되고 다수의 서브픽셀을 구동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다수의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배선이 배치된 유기발광표시패널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다수의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은, 봉지층과,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고, 다수의 터치 전극은 봉지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터치 전극은, 봉지층과 컬러필터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봉지층과 컬러필터층 사이에 오버코트층이 포함되는 경우 봉지층과 오버코트층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다수의 터치 전극은, 컬러필터층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컬러필터층 상에 오버코트층이 배치되는 경우 컬러필터층과 오버코트층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게이트 드라이버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 구간 중 액티브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프레임 구간 중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 구동 회로는, 영상 프레임 구간의 액티브 구간 및 블랭크 구간에서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해 스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 동안 다수의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터치 구동 회로는, 액티브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제1 구간이 경과하면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제2 구간 이전에, 제1 구간에서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터치 구동 회로는, 액티브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마지막 구간이 경과하면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마지막 구간에서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터치 구동 회로는, 블랭크 구간 중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제1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과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제2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 사이의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구동 회로는,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에서 게이트 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터치 배선을 통해 TX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게이트 라인과 교차하여 배치된 터치 배선을 통해 RX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하나의 영상 프레임 구간 중 액티브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1 영역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이 경과하면 제1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이 경과하면 액티브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2 영역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프레임 구간 중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블랭크 구간에서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이 경과하면 제2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하나의 영상 프레임 구간의 액티브 구간과 블랭크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 또는 열화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 동안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 전극으로 TX 신호를 출력하는 TX 신호 출력부와, TX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에서 다수의 터치 전극으로부터 RX 신호를 수신하는 RX 신호 수신부와, 수신된 RX 신호를 이용하여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대한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는 터치 구동 회로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기발광표시패널에 터치 전극을 내장함으로써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며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대한 터치를 센싱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으로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과 터치 전극으로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을 시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에 의한 노이즈가 터치 센싱 신호에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블랭크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열화를 센싱하는 구간과 구분된 시간 구간에서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서브픽셀의 열화의 센싱/보상을 위해 인가되는 스캔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고 터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보상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에 의한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도록 터치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터치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 포함된 서브픽셀의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예시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TOE(Touch Senso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M-TOE(Multiple Touch Sensor Metal Laye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1 혼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1 혼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1 혼합 구조의 제작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2 혼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2 혼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2 혼합 구조의 제작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터치 센싱을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위해 인가되는 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가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위해 인가되는 신호의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및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이 배치되고, 다수의 서브픽셀(SP: Sub Pixel)이 배치된 유기발광표시패널(110)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30)와,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구동 방식에 따라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양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유기발광표시패널(110)과 연결된 필름상에 실장되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특정 게이트 라인(GL)이 열리면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 단은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본딩된다.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각종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며,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 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외부(예: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수신한다.
컨트롤러(1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클럭 신호(CLK)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드라이버(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드라이버(12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r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는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본딩된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결 매체를 통해 연결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유기발광표시패널(110),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컨트롤러는 전원 관리 집적회로(Power Management IC)라고도 한다.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배치되는 각 서브픽셀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서브픽셀을 구성하는 회로 소자의 종류 및 개수는 제공 기능 및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배치된 서브픽셀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서브픽셀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DRT)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와, 스캔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해당 데이터 라인(D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캔 트랜지스터(SWT)와,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와 해당 기준 전압 라인(RV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 트랜지스터(S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제1 전극(예: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 유기층 및 제2 전극(예: 캐소드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와 연결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2 전극은 기저 전압(EVSS)이 인가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로서, 게이트 노드에 해당하는 제1 노드(N1),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에 해당하는 제2 노드(N2), 드레인 노드 또는 소스 노드에 해당하는 제3 노드(N3)를 갖는다.
스캔 트랜지스터(SWT)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로 데이터 전압을 전달해주는 트랜지스터로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데이터 라인(D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게이트 노드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에 의해 턴-온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로 데이터 전압을 전달해 줄 수 있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 프레임 동안 일정 전압을 유지해준다.
센싱 트랜지스터(SENT)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와 기준 전압 라인(RV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게이트 노드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센싱 트랜지스터(SENT)는, 턴-온 되어 기준 전압 라인(RVL)을 통해 공급된 기준 전압(Vref)을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에 인가해 줄 수 있다.
또한, 센싱 트랜지스터(SENT)는, 서브픽셀에 포함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나 구동 트랜지스터(DRT)와 같은 회로 소자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브픽셀에 포함된 회로 소자의 열화를 센싱하는 것을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 또는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이라고도 표현한다.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은, 일 예로, 유기발광표시장치(100)가 턴-온 되고 영상을 표시하기 이전, 유기발광표시장치(100)가 턴-오프 된 이후,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가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프레임 중 블랭크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은, 센싱 트랜지스터(SENT)를 턴-온 시켜 제2 노드(N2)와 기준 전압 라인(RVL)을 초기화한 후, 센싱 트랜지스터(SENT)를 턴-오프 한다. 그리고, 스위칭 트랜지스터(SWT)를 턴-온 시켜 센싱용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 후 스위칭 트랜지스터(SWT)를 턴-오프 시켜 제2 노드(N2)의 전압을 플로팅시킨다.
이후, 센싱 트랜지스터(SENT)를 턴-온 시켜 제2 노드(N2)의 전압을 센싱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DRT)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열화 정도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열화 정도에 따른 보상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서브픽셀에 포함된 회로 소자의 열화로 인한 휘도 편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고 입력 처리에 이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은,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다수의 터치 전극을 내장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며 터치 센싱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기판 또는 백 플레이트(L01) 상에 폴리이미드층(LI02, PI(Polyimide) Layer)이 위치한다.
폴리이미드층(L02) 상에 버퍼층(L03)이 위치할 수 있으며, 버퍼층(L03) 상에 층간 절연막(L04)이 위치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L04) 상에 게이트층(L05)이 존재할 수 있으며, 게이트층(L05)에는, 필요한 위치마다 게이트 전극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층(L05) 상에 게이트 절연막(L06)이 존재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L06) 상에 소스/드레인층(L07)이 존재할 수 있다.
소스/드레인층(L07)에는, 데이터 라인(DL), 링크 라인(GL) 등의 신호 배선과, 각종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드레인층(L07) 상에는 보호층(L08)이 존재할 수 있다.
보호층(L08) 상에 평탄화층(L09)이 위치하고, 평탄화층(L09) 상에, 각 서브픽셀의 발광 위치에 제1 전극(E1)이 형성되는 제1 전극층(L10)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전극층(L10) 상에 뱅크층(L11)이 위치하고, 뱅크층(L11) 상에, 유기발광층(L12)이 위치한다.
유기발광층(L12) 상에 모든 서브픽셀 영역에 공통으로 형성되는 제2 전극층(L13)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전극층(L13) 상에, 수분, 공기 등의 침투 방지를 위한 봉지층(L14)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패널 외곽에는, 봉지층(L14) 등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주변보다 높게 쌓아 올린 댐(Dam)이 존재할 수 있다.
봉지층(L14)은 1개의 층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봉지층(L14)은 금속층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유기물층과 무기물층이 둘 이상이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의 구현 예시의 경우, 봉지층(L14)이 제1 봉지층(L14a), 제2 봉지층(L14b) 및 제3 봉지층(L14c)으로 적층된 경우이다.
제1 봉지층(L14a), 제2 봉지층(L14b) 및 제3 봉지층(L14c) 각각은 유기물층과 무기물층일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봉지층(L14)은 봉지 성능을 고려하여 두께가 설정될 수 있다.
봉지층(L14)의 두께는, 봉지 성능뿐만 아니라, 터치 구동 및 터치 센싱시 RC 지연과 터치 성능(터치 감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봉지층(L14)의 두께는 봉지 성능과, RC 지연 및 터치 센싱 성능을 모두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봉지층(L14)의 두께는, RC 지연과 터치 성능(터치 감도)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은, 봉지층(L14) 상에 컬러필터층이 위치하는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와, 봉지층(L14) 상에 터치 전극(TE), 터치 라인(TL) 등의 터치 센서 메탈이 위치하는 TOE(Touch Senso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를 갖는다.
아래에서는, COE 구조 및 TOE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COE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자의 유기물질이 산소, 수분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층(L14)이 존재한다.
이러한 봉지층(L14)은, 모든 서브픽셀이 배열되는 영역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2 전극(E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1 전극(E1)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유기발광층(EL)으로부터 발광되는 백색의 빛을 다른 색으로 변환하는 컬러필터층(CFL: Color Filter Lay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컬러필터층(CFL)에는, 일 예로, 적색의 컬러필터, 녹색의 컬러필터 및 청색의 컬러필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서, 컬러필터층(CFL)이 봉지층(L14) 상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라고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TOE(Touch Senso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내장되는 터치 센서에 해당하는 다수의 터치 전극(TE) 중 적어도 하나에는 터치 구동 구간 동안 터치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된 터치 전극(TE)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 수단에 해당하는 포인터와 캐피시턴스(셀프-캐패시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메탈 중 하나인 다수의 터치 전극(TE)은 봉지층(L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TOE(Touch Senso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라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COE 구조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을 설계함으로써 광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원형(Circular) 편광판을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TOE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표시 기능에 문제가 되지 않으면서 터치 센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내장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을 구현할 수 있고, 패널 제작 공정을 복잡하게 하지 않아도, 유기발광표시패널 (110)에 터치 스크린을 내장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싱시 이용되는 터치 센서 메탈에는, 다수의 터치 전극(TE) 이외에, 다수의 터치 전극(TE)과 터치 구동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다수의 터치 라인(T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터치 라인(TL) 또한 봉지층(L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구동 회로와 터치 전극(TE)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터치 라인(TL)을 봉지층(L14) 상에 배치해둠으로써, 터치 구동 및 터치 센싱 처리를 위한 신호 전달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M-TOE(Multiple Touch Sensor Metal Laye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 메탈은 다수의 터치 전극(TE) 및 다수의 터치 라인(T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터치 전극(TE) 및 다수의 터치 라인(TL)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터치 라인(TL)은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 1st Touch Sensor Metal Layer)에 배치되고, 다수의 터치 전극(TE)은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 2nd Touch Sensor Metal Layer)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다수의 터치 라인(TL)이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에 배치되고,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수의 터치 라인(TL)은 다수의 터치 전극(TE)과 1:1로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다수의 터치 라인(TL) 각각은, 대응되는 터치 전극(TE)과는 절연층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대응되지 않는 다른 터치 전극(TE)과는 절연층을 통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연결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다수의 터치 전극(TE) 및 다수의 터치 라인(TL)이 봉지층(L14) 상에 배치되되 서로 다른 터치 센서 메탈층(TSML, TSML2)에 배치되는 TOE(Touch Senso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를 M-TOE(Multiple Touch Sensor Metal Layer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라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을 M-TOE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아야 하는 터치 전극(TE)과 터치 라인(TL)이 정확하게 단선(Disconnection) 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이 COE 구조 및 M-TOE 구조를 가질 때,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혼합 구조에 대한 2가지 예시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1 혼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수의 터치 라인(TL)일 수 있는 제1 터치 센서 메탈이 존재하는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과, 다수의 터치 전극(TE)일 수 있는 제2 터치 센서 메탈이 존재하는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은, 절연층(IL)에 의해 분리된다.
물론, 각 터치 라인(TL)은, 절연층(IL)을 관통하는 컨택홀(브릿지 부분에 존재함)을 통해, 대응되는 터치 전극(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 절연층(IL) 및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은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터치 센서 메탈층(TSML1), 절연층(IL) 및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은, 봉지층(L14)과 컬러필터층(CF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봉지층(L14),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TSML1, IL, TSML2), 컬러필터층(CFL)의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컬러필터층(CFL)이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TSML1, IL, TSML2) 보다 외곽에 형성됨으로써, 컬러필터층(CFL)에서 색 변환된 빛이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TSML1, IL, TSML2)에서 왜곡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터치 센서 구조가 표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줄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1 혼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봉지층(L14)과 다수의 컬러필터(CF)가 패터닝된 컬러필터층(CFL) 사이에 오버코트층(OCL: Overcoat Layer)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컬러필터층(CFL)에는, 각 서브픽셀의 영역마다 해당 색상의 컬러필터(CF)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적색의 빛을 내는 서브픽셀, 녹색의 빛을 내는 서브픽셀, 청색의 빛을 내는 서브픽셀이 배열되는 경우, 컬러필터층(CFL)에는, 적색 컬러필터(CF_R), 녹색 컬러필터(CF_G) 및 청색 컬러필터(CF_B)이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2개의 서브픽셀의 사이마다 블랙 매트릭스(BM: Black Matrix)가 존재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터치 전극(TE)은 봉지층(L14)과 오버코트층(OC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터치 패드(TP)와 가장 가깝게 위치한 메쉬 타입의 1개의 터치 전극(TE)과, 브릿지 부분에서, 메쉬 타입의 1개의 터치 전극(TE)과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1개의 터치 라인(TL)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메쉬 타입의 터치 전극(TE)의 개구부들의 위치는, 각 서브픽셀의 발광 영역의 위치와 대응된다.
각 서브픽셀의 발광 영역의 위치는, 각 서브픽셀의 제1 전극(E1)의 위치와 대응되고, 각 서브픽셀에 대응되는 컬러필터(CF)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터치 라인(TL)이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과, 절연층(IL)과,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은, 봉지층(L14)과 오버코트층(OC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 절연층(IL) 및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으로 이루어진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은, 봉지층(L14)과 오버코트층(OC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터치 라인(TL)이 봉지층(L14) 상의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에 배치된다.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 상에 절연층(IL)이 배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절연층(IL) 상의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에 배치된다.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 상에 오버코트층(OCL)이 배치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터치 라인(TL) 각각의 단 부에는 터치 구동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패드(TP)가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에 존재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1 혼합 구조의 제작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은 구조가 되도록 봉지층(L14)를 형성한 이후, 봉지층(L14) 상에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터치 라인(TL)이 봉지층(L14) 상의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에 배치된다.
터치 라인(TL)의 단 부는 터치 구동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패드(TP)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 상에 절연층(IL)이 배치되고, 그 위에,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에 배치된다.
이후,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된 봉지층(L14)을 오버코트층(OCL)으로 덮는다.
이때,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루는 터치 센서 메탈(TE, TL, TP) 중 터치 패드(TP)에 해당하는 일부분은, 터치 구동 회로와의 연결을 위해, 노출시킨다.
이후, 오버코트층(OCL) 상에 서브픽셀 경계 지점마다 블랙 매트릭스(BM)을 형성한다.
이후, 서브픽셀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컬러필터(CF)를 패터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라인(TL), 터치 패드(TP) 및 터치 전극(TE) 등의 터치 센서 메탈 상에 오버코트층(OCL)을 형성함으로써, 오버코트층(OCL)을 통해 터치 센서 메탈(TE, TL)을 보호해줄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2 혼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수의 터치 전극(TE), 다수의 터치 라인(TL)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메탈은, 컬러필터층(CF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봉지층(L14), 컬러필터층(CFL), 터치 센서 메탈(TE, TL, TP)의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의 터치 라인(TL)이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은, 봉지층(L14) 상의 컬러필터층(CFL)의 위에 존재한다.
다수의 터치 라인(TL)이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 위에 절연층(IL)이 존재하고, 그 위에,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이 존재한다.
여기서, 다수의 터치 라인(TL)이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 절연층(IL),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은,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내장된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봉지층(L14), 컬러필터층(CFL) 등의 표시 기능과 관련된 패턴들을 모두 형성한 이후, 터치 센서 메탈(예: 터치 전극(TE))을 최 외곽과 가깝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포인터와 터치 전극(TE)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이를 통해, 포인터와 터치 전극(TE) 사이의 캐패시턴스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위치 및 터치 유무를 정확하게 알아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2 혼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봉지층(L14)의 위에 다수의 컬러필터(CF)가 패터닝 된 컬러필터층(CFL) 상에 오버코트층(OCL: Overcoat Layer)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컬러필터층(CFL)에는, 각 서브픽셀의 영역마다 해당 색상의 컬러필터(CF)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적색의 빛을 내는 서브픽셀, 녹색의 빛을 내는 서브픽셀, 청색의 빛을 내는 서브픽셀이 배열되는 경우, 컬러필터층(CFL)에는, 적색 컬러필터(CF_R), 녹색 컬러필터(CF_G) 및 청색 컬러필터(CF_B)이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2개의 서브픽셀의 사이마다 블랙 매트릭스(BM: Black Matrix)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OCL)은 컬러필터(CF)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터치 전극(TE), 다수의 터치 라인(TL), 다수의 터치 패드(TP)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메탈은 오버코트층(O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터치 라인(TL)이 배치되는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과, 절연층(IL)과,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배치되는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은 오버코트층(O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각 터치 라인(TL)과 연결되거나 각 터치 라인(TL)의 일부분일 수 있는 터치 패드(TP)도,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에 존재한다.
그리고,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에 존재하는 터치 전극(TE)은, 브릿지 부분에서 컨택홀을 통해,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에 존재하는 터치 라인(TL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터치 패드(TP)와 가장 가깝게 위치한 메쉬 타입의 1개의 터치 전극(TE)과, 브릿지 부분에서, 메쉬 타입의 1개의 터치 전극(TE)과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1개의 터치 라인(TL)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메쉬 타입의 터치 전극(TE)의 개구부들의 위치는, 각 서브픽셀의 발광 영역의 위치와 대응된다.
각 서브픽셀의 발광 영역의 위치는, 각 서브픽셀의 제1 전극(E1)의 위치와 대응되고, 각 서브픽셀에 대응되는 컬러필터(CF)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서, COE 구조 및 M-TOE 구조의 제2 혼합 구조의 제작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은 구조가 되도록 봉지층(L14)를 형성한 이후, 봉지층(L14) 상에, 서브픽셀 경계 지점마다 블랙 매트릭스(BM)을 형성한다.
이후, 서브픽셀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컬러필터(CF)를 패터닝 한다.
컬러필터(CF) 및 블랙 매트릭스(BM)이 패터닝 된 봉지층(L14)을 오버코트층(OCL)으로 덮는다.
이후, 오버코트층(OCL) 상에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OCL) 상에 내장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루는 터치 센서 메탈에 해당하는 터치 전극(TE), 터치 라인(TL) 및 터치 패드(TP)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버코트층(OCL) 상의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에 터치 라인(TL)이 위치하고,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 상에 절연층(IL)이 존재하며, 절연층(IL) 상의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에 터치 전극(TE)이 위치한다.
제2 터치 센서 메탈층(TSML2)에 위치한 터치 전극(TE)은, 브릿지 영역의 컨택홀을 통해,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에 위치한 터치 라인(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터치 라인(TL)과 연결되는 터치 패드(TP) 또는 터치 라인(TL)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터치 패드(TP)가 제1 터치 센서 메탈층(TSML1)에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컬러필터층(CFL) 상에 오버코트층(OCL)을 형성하고 그 위에 터치 센서 메탈(TE, TL, TP)을 형성함으로써, 오버코트층(OCL)을 통해 컬러필터층(CFL)과 그 아래의 패턴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오버코트층(OCL)으로 인해, 터치 전극(TE), 터치 라인(TL) 등이 오버코트층(OCL)의 아래에 있는 다른 전극이나 전압 배선 또는 신호 라인 등으로부터 전기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이 내장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다수의 터치 전극(TE)과 다수의 터치 배선(TL)이 배치된 유기발광표시패널(110)과,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구동 회로(150)를 포함한다.
다수의 터치 전극(TE)은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배선(TL)을 통해 터치 구동 회로(150)와 연결된다.
터치 배선(TL)은, 터치 구동 회로(150)로부터 출력된 TX 신호를 터치 전극(TE)으로 인가하는 배선과, RX 신호를 터치 전극(TE)으로부터 터치 구동 회로(150)로 전달하는 배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TX 신호를 전달하는 터치 배선(TL)은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RX 신호를 전달하는 터치 배선(TL)은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구동 회로(150)는, 터치 센싱 구간에서 다수의 터치 전극(TE)으로 TX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터치 전극(TE)에 TX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 전극(TE)의 캐패시턴스 변화가 발생한다.
터치 구동 회로(150)는, 터치 전극(TE)으로부터 수신되는 RX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전극(TE)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센싱하고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은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하므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터치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센싱 신호에는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GL)에 의한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으며, 터치 센싱 신호에 노이즈가 포함되는 경우 터치 센싱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위해 출력하는 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으로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터치 센싱을 위한 TX 신호가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서 게이트 라인(GL)과 평행하게 배치된 터치 배선(TL)을 통해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와 터치 전극(TE)의 구동을 위한 TX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과 영역이 겹치게 되면서, 터치 센싱 신호에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GL)에 의한 노이즈가 포함되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인식이 가능한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터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대한 터치를 센싱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한다.
도 15와 도 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가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타이밍을 나타낸 것으로서, 액티브 구간과 블랭크 구간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 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1501을 참조하면, 하나의 영상 프레임 구간에서 디스플레이 구동이 수행되는 액티브 구간과 액티브 구간 사이의 블랭크 구간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터치 센싱을 수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구동을 수행하는 액티브 구간에서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터치 센싱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가 터치 센싱 신호가 포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구동을 수행하는 구간을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구간과 분할하여 수행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도 15의 150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영상 프레임 구간 중 액티브 구간에서 디스플레이 구동을 수행하는 구간과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구간을 시분할하여 터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1502의 예시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센싱 구간이 교번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액티브 구간을 이분할하여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으로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터치 구동 회로(150)는,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이후에 터치 센싱 구간이 되면,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스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터치 구동 회로(150)가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터치 구동 회로(150)는, 이전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에서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된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센싱 구간을 시분할하여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하며, 각각의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 또는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터치 센싱을 수행함에 있어서 액티브 구간 이후의 블랭크 구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구간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교번하여 진행하고, 블랭크 구간은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이므로 터치 센싱을 수행한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고 터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 프레임 구간 중 블랭크 구간을 활용함으로써 터치 센싱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서브픽셀에 포함된 회로 소자의 열화 보상을 위해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을 수행하며,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은 액티브 구간 이후의 블랭크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블랭크 구간을 활용하여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경우에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과 터치 센싱 구간이 중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게이트 라인 구동에 의한 노이즈가 터치 센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유기발광표시장치(100)가 터치 센싱을 수행함에 있어서 블랭크 구간을 활용하되,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 구간까지 고려하여 터치 센싱 구간을 시분할하고 터치 센싱을 수행한다.
도 15의 1503을 참조하면, 영상 프레임 구간 중 액티브 구간에서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서로 다른 시간 구간에서 교번하여 진행한다.
영상 프레임 구간 중 블랭크 구간은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터치 센싱을 수행하되, 블랭크 구간 중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과 시간 구간을 구분하여 터치 센싱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센싱 구간을 시분할하여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터치 센싱 신호에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영상 프레임 구간 중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블랭크 구간에서 터치 센싱을 수행하되,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과도 시분할하여 터치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터치 센싱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터치 센싱 및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수행하는 방식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센싱 구간을 시분할하여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한다.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영상 프레임 구간의 액티브 구간 중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제1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터치 구동 회로(150)는, 제1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된 이후의 터치 센싱 구간에서 제1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TE)으로 순차적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 구동 회로(150)가 제1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이 경과하면,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제2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으로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GL)이 구동되는 타이밍과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타이밍을 구분함으로써,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가 터치 센싱 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가 제2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 이후에, 터치 구동 회로(150)는 제2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액티브 구간 이후의 블랭크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블랭크 구간에서는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므로, 블랭크 구간에서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과 구분되는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일 예로,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을 위한 센싱용 데이터 전압의 인가를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전체 영역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특성치를 센싱하는 것을 예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만 수행할 수도 있다.
센싱용 데이터 전압의 인가를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이 경과하면, 터치 구동 회로(150)는 제2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블랭크 구간의 마지막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에 따른 보상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될 수 있으므로, 터치 구동 회로(150)는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을 위한 제1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과 제2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 사이의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영상 프레임 구간 중 블랭크 구간을 이용하여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터치 센싱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과 구분하여 터치 센싱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블랭크 구간에서의 터치 센싱 신호가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가 디스플레이 구동, 터치 센싱 및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시분할하여 수행하는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1080개의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되고, 게이트 라인(GL)과 평행한 방향으로 30개의 터치 배선(TL)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영상 프레임 구간의 액티브 구간 중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상단부에 배치된 첫 번째 게이트 라인(GL)부터 540번째 게이트 라인(GL)까지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540번째 게이트 라인(GL)까지 스캔 신호를 출력하면, 터치 구동 회로(150)는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상단부에 배치된 터치 전극(TE)과 연결된 첫 번째 터치 배선(TL)부터 15번째 터치 배선(TL)까지 TX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터치 구동 회로(150)가 15번째 터치 배선(TL)으로 TX 신호를 출력하면,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액티브 구간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하단부에 배치된 541번째 게이트 라인(GL)부터 1080번째 게이트 라인(GL)까지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액티브 구간 이후의 블랭크 구간에서 터치 구동 회로(150)는 16번째 터치 배선(TL)부터 TX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므로, 터치 구동 회로(150)는 블랭크 구간 중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위한 제1 스캔 신호와 제2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 사이의 구간에서 16번째 터치 배선(TL)부터 30번째 터치 배선(TL)까지 TX 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과 구분되는 구간에 터치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액티브 구간 및 블랭크 구간에서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가 터치 센싱 신호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구동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액티브 구간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인 제1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제1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S1800).
터치 구동 회로(150)는 제1 구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인 제2 구간 이전에 제1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S1810).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액티브 구간의 제2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제2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S1820),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한다(S1830).
터치 구동 회로(150)는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유기발광표시패널(110)의 제2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TE)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S1840).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기발광표시패널(110)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내장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며 터치 센싱이 가능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센싱 구간을 시분할하여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가 터치 센싱 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블랭크 구간을 터치 센싱 구간으로 활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센싱을 효율적으로 시분할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블랭크 구간에서 서브픽셀의 특성치 센싱/보상을 위한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과 구분하여 터치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블랭크 구간에서의 터치 센싱도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액티브 구간 및 블랭크 구간에서 터치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110: 유기발광표시패널 120: 게이트 드라이버
130: 데이터 드라이버 140: 컨트롤러
150: 터치 구동 회로

Claims (17)

  1. 다수의 게이트 라인, 다수의 터치 전극 및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과 연결된 다수의 터치 배선이 배치된 유기발광표시패널;
    하나의 영상 프레임 구간 중 액티브 구간에서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 프레임 구간 중 블랭크 구간에서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액티브 구간 및 상기 블랭크 구간에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스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 동안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블랭크 구간 중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제1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과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제2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액티브 구간에서 상기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제1 구간이 경과하면 상기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제2 구간 이전에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스캔 신호가 인가된 상기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터치 전극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액티브 구간에서 상기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마지막 구간이 경과하면 상기 블랭크 구간에서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상기 마지막 구간에서 상기 스캔 신호가 인가된 상기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터치 전극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에서 상기 게이트 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터치 배선을 통해 TX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교차하여 배치된 상기 터치 배선을 통해 RX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은,
    봉지층과,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은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컬러필터층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컬러필터층 사이에 배치되는 오버코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오버코트층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은,
    상기 컬러필터층 상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층 상에 배치되는 오버코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은,
    상기 컬러필터층과 상기 오버코트층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11. 하나의 영상 프레임 구간 중 액티브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1 영역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이 경과하면 상기 액티브 구간에서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2 영역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 프레임 구간 중 블랭크 구간에서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랭크 구간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블랭크 구간 중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제1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과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제2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터치 배선을 통해 TX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TX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에서 상기 게이트 라인과 교차하여 배치된 터치 배선을 통해 RX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4. 하나의 영상 프레임 구간의 액티브 구간과 블랭크 구간에서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 또는 열화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 동안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 전극으로 TX 신호를 출력하는 TX 신호 출력부;
    상기 TX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으로부터 RX 신호를 수신하는 RX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RX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대한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TX 신호 출력부는,
    상기 블랭크 구간 중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제1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과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제2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TX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구동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TX 신호 출력부는,
    상기 액티브 구간에서 상기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제1 구간이 경과하면 상기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제2 구간 이전에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터치 전극으로 상기 TX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구동 회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TX 신호 출력부는,
    상기 액티브 구간에서 상기 서브픽셀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되는 마지막 구간이 경과하면 상기 블랭크 구간에서 상기 서브픽셀의 열화 센싱을 위한 스캔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상기 마지막 구간에서 상기 스캔 신호가 인가된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터치 전극으로 상기 TX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구동 회로.
  17. 삭제
KR1020160124233A 2016-09-27 2016-09-27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58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33A KR102583623B1 (ko) 2016-09-27 2016-09-27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33A KR102583623B1 (ko) 2016-09-27 2016-09-27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779A KR20180034779A (ko) 2018-04-05
KR102583623B1 true KR102583623B1 (ko) 2023-09-27

Family

ID=6197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233A KR102583623B1 (ko) 2016-09-27 2016-09-27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449B1 (ko) * 2018-09-10 2022-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 내 피로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CN109766025B (zh) * 2019-01-14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信号处理方法、触控显示面板及计算机可读介质
KR20220015112A (ko) * 2020-07-30 2022-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를 포함한 모바일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511B1 (ko) * 2012-12-27 2021-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50100997A (ko) * 2014-02-24 2015-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309172B1 (ko) * 2014-10-24 2021-10-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70988B1 (ko) * 2014-12-26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779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7522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内蔵型有機発光表示パネル及び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281226B1 (ko) 표시장치
KR20180033390A (ko) 터치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US10204926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KR102583623B1 (ko)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CN107026188B (zh) 滤色器基板以及具有滤色器基板的显示装置
US20230006183A1 (en) Display Device
KR102647988B1 (ko)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EP4167061A1 (en) Touch display device
US11782567B2 (en) Touch display device
US11921945B2 (en) Touch display device
US11847290B2 (en) Touch display device
US11567608B2 (en) Touch display device
US11983361B2 (en) Touch display device
US20230118014A1 (en) Touch Display Device
US11886658B2 (en) Touch display device
EP4167059A1 (en) Touch display device
TWI838867B (zh) 觸控顯示裝置
US20230325025A1 (en) Touch Display Device
US20230118885A1 (en) Touch Display Device
US20230124340A1 (en) Touch Display Device
CN116264796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