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54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546B1
KR102583546B1 KR1020180095104A KR20180095104A KR102583546B1 KR 102583546 B1 KR102583546 B1 KR 102583546B1 KR 1020180095104 A KR1020180095104 A KR 1020180095104A KR 20180095104 A KR20180095104 A KR 20180095104A KR 102583546 B1 KR102583546 B1 KR 10258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ate
microcontroller
boot
b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9503A (en
Inventor
백종식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9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546B1/en
Publication of KR2020001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5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구비된 스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는, 스위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부팅 어플리케이션 및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제1 테이블 및 제2 테이블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이블은, 상기 스위치의 개폐 상태와 관련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 인덱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테이블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과 관련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플래그를 구비하며, 상기 부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테이블로부터 상기 부팅 플래그를 획득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상태 인덱스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태 인덱스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상태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 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명령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switches provided in a battery pack.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a switch, and includes a microcontroller having a boot application, a main application, a first table, and a second table, and the first table is , has a state index of the switch related to the open/closed state of the switch, and the second table has a boot flag of the microcontroller related to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and the boot application is provided from the second table. Obtain the boot flag to check the booting parameters of the microcontroller, obtain the state index from the first table and transmit the state index to the main application, and the main application determines the status index of the switch from the state index.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extracted by extracting the state indicates the on state, the microcontroller is commanded to maintain the switch in the on state.

Figure R1020180095104
Figure R1020180095104

Description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에 구비된 스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switches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switches provided in a battery pack.

근래에 들어서,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laptops, video cameras, and portable phones has rapidly increased, and as the development of energy storage batteries, robots, and satellites has begun in earnest, high-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have been developed. Research is actively underway.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무정전 전원 장치 등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는 고출력, 대용량 이차 전지로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ccordingly,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power storage devices, and uninterruptible power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secondary batteries used in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are high-output, high-capacity secondary batteries, and m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m.

또한, 이차 전지에 대한 많은 수요와 함께 이차 전지와 관련된 주변 부품이나 장치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즉, 복수의 이차 전지를 연결하여 하나의 모듈로 만든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고 각 이차 전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BMS, 배터리 모듈과 BMS를 하나의 팩으로 만든 배터리 팩, 배터리 모듈을 모터와 같은 부하와 연결하는 스위치(Switch) 등 다양한 부품과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along with the great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research on peripheral parts and devices related to secondary batteries is also being conducted. That is, a battery module made by connecting multiple secondary batteries into one module, a BMS that control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module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each secondary battery, a battery pack, and a battery module made by combining the battery module and BMS into one pack.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various parts and devices such as switches that connect a load such as a motor.

특히, 스위치는 배터리 모듈과 부하를 연결하고, 전력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로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 널리 사용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작동 전압은 약 3.7V ~ 4.2V로서, 고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In particular, the switch connects the battery module and the load and controls whether or not power is supplied, and much research is being done on this. As an example, the operating voltage of a widely use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about 3.7V to 4.2V, and a battery module is formed by connecting a number of secondary batteries in series to provide a high voltage.

이러한 배터리 모듈과 모터를 연결하는 스위치는 전원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시스템이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 전원 시스템의 안전과 관련하여, 차량 주행 중에 시스템 적인 오류에 의하여 스위치가 개방되지 않고 스위치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A switch connecting such a battery module and a motor may be provided in the power system. Additionally, the power system can be responsible for stable power supply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one switch. When such a power system is installed in a vehicle, with regard to the safety of the power system,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switch is not opened due to a systematic erro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at the switch remains closed.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시스템의 오류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스위치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조건은 회로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in the art for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keep the switch in a closed state despite system errors. These requirements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 circuit.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배경하에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에 구비된 스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개선된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above prior art, and relates to an improved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switches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switches provided in a battery pack.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는, 스위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부팅 어플리케이션 및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제1 테이블 및 제2 테이블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이블은, 상기 스위치의 개폐 상태와 관련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 인덱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테이블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과 관련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플래그를 구비하며, 상기 부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테이블로부터 상기 부팅 플래그를 획득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상태 인덱스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태 인덱스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상태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 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명령한다.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switch, and includes a microcontroller including a boot application, a main application, and a first table and a second table. The first table includes a state index of the switch related to an open/closed state of the switch, and the second table includes a boot flag of the microcontroller related to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The application obtains the boot flag from the second table to check the boot factor of the microcontroller, obtains the state index from the first table and transmits the state index to the main application, and the main application , the state of the switch is extracted from the state index, and if the extracted state of the switch indicates an on state, the microcontroller is commanded to maintain the switch in the on state.

또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제1 테이블의 상기 상태 인덱스에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인 것으로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application, when an output for switching the switch to the on state is transmitted from the microcontroller to the switch and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on state, the main application of the first table is based on the output of the microcontroller. It may be configured to record in the state index that the state of the switch is in the on state.

또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부팅의 원인이 되는 상기 부팅 인자를 획득하여 상기 제2 테이블의 상기 부팅 플래그에 상기 부팅 인자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the main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obtain the booting factor that causes booting from the microcontroller and record the booting factor in the booting flag of the second table.

또한, 상기 부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부팅 플래그로부터 상기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상기 부팅 인자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부팅인 경우,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ot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check the boot factor from the boot flag when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and to obtain the status index from the first table when the boot factor is a software boot related to the main application. It can be configured.

또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출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명령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application may command the microcontroller to transmit an output from the microcontroller to the switch within a preset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팅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에 할당된 메모리 주소를 서로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emory device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table and the second table, wherein the boot application and the main application are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table and the second table. It may be configured to share the memory address allocated to the second tabl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Additionally, a B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Additionally,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방법은, 스위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위치의 개폐 상태와 관련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 인덱스를 기록하는 단계;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과 관련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플래그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부팅 플래그 기록 단계에 의해 기록된 상기 부팅 플래그를 획득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상기 부팅 인자를 기초로 상기 상태 인덱스 기록 단계에 의해 기록된 상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인덱스 획득 단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상태 인덱스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상태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 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swit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switch, comprising: recording a state index of the switch related to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switch; recording a boot flag of the microcontroller associated with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Obtaining the boot flag recorded by the boot flag recording step to check a booting factor of the microcontroller, and obtaining the state index recorded by the state index recording step based on the booting factor; and extracting the state of the switch from the state index obtained by the state index acquisition step, and when the extracted state of the switch indicates an on state, commanding the microcontroller to maintain the switch in the on state. Includes.

또한, 상기 상태 인덱스 기록 단계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상태 인덱스에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인 것으로 기록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state index recording step, when an output for switching the switch to the on state is transmitted from the microcontroller to the switch and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on state, the state index is recorded based on the output of the microcontroller. The state of the switch can be recorded as being on.

또한, 상기 부팅 플래그 기록 단계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부팅의 원인이 되는 상기 부팅 인자를 획득하여 상기 부팅 플래그에 상기 부팅 인자를 기록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boot flag recording step, when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the booting factor that causes booting can be obtained from the microcontroller and the booting factor can be recorded in the booting flag.

또한, 상기 상태 인덱스 획득 단계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부팅 플래그로부터 상기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상기 부팅 인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부팅인 경우, 상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state index acquisition step, when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the booting factor can be checked from the booting flag, and if the booting factor is software booting related to the main application, the state index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효과적으로 스위치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te of the switch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through a plurality of applica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스위치의 상태를 기록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스위치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check the state of the switch and maintain the state of the switch by recording the state of the switch.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원인과 스위치의 이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스위치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개선된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proved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can be provided that can effectively maintain the state of the switch by checking the booting cause of the microcontroller and the previous state of the switch.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other effects, and these 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an be more clearly seen through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가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 요소와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가 참조하는 제1 테이블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가 참조하는 제2 테이블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some components of a battery pack.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provided in a micro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first table referenced by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econd table referenced by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swit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graphs explaining a swit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ust appropriately us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entirely repres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options that can replace them are availab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dditionally, terms such as 'microprocessor'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Addition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refers not only to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s.

본 명세서에서, 이차 전지는,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를 구비하며,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하나의 독립된 셀을 의미한다. 일 예로, 파우치형 리튬 폴리머 셀 하나가 이차 전지로 간주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n independent cell that has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is physically separable. As an example, one pouch-type lithium polymer cell may be considered a 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가 배터리 팩의 일부 구성 요소와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의 블록도이다.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some components of a battery pack, and FIG. 2 is an application provided in a micro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block diagram.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배터리 팩은, 제1 셀 어셈블리(10), 제2 셀 어셈블리(90), 스위치(30), 차량 부하(50), 전압 드라이버(60, 62), 전기 라인(40, 41, 42, 43, 44, 45), 전원 공급 IC(70)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battery pack includes a first cell assembly 10, a second cell assembly 90, a switch 30, a vehicle load 50, a voltage driver 60, 62, an electric line 40, 41, 42, 43, 44, 45), a power supply IC 70, and a microcontroller 100.

배터리 팩은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A battery pack may include a cell assembly including one or more secondary batteri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예를 들어, 제1 셀 어셈블리(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 차량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셀 어셈블리(10)의 양극 단자는 차량 부하(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셀 어셈블리(10)의 음극 단자는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vehicle, the first cell assembly 10 may be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motor of the vehicle. Here,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first cell assembly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load 50,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first cell assembly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예를 들어, 제2 셀 어셈블리(9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 차량의 MCU 등에 시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셀 어셈블리(90)의 양극 단자는 전원 공급 IC(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셀 어셈블리(90)의 음극 단자는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vehicle, the second cell assembly 90 may be a battery that supplies starting power to the MCU of the vehicle, etc. Here,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second cell assembly 9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IC 70,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second cell assembly 9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스위치(30)는 컨택터(31), 컨택터 코일(32), 제1 전기 노드(33) 및 제2 전기 노드(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전기 노드(33)는 전기 라인(40)을 통해 제1 셀 어셈블리(10)의 양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기 노드(34)는 전기 라인(41)을 통해 차량 부하(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택터 코일(32)의 제1 단부는 전기 라인(43)을 통해 전압 드라이버(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압 드라이버(60)는 전기 라인(42)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130)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컨택터 코일(32)의 제2 단부는 전기 라인(45)을 통해 전압 드라이버(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압 드라이버(62)는 전기 라인(44)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witch 30 may include a contactor 31, a contactor coil 32, a first electrical node 33, and a second electrical node 34. The first electrical node 3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first cell assembly 10 through an electrical line 40. The second electrical node 3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load 50 through an electrical line 41 . The first end of contactor coil 3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voltage driver 60 via electrical line 43 . Voltage driver 60 may be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digital input/output device 130 of microcontroller 100 via electrical line 42 . The second end of contactor coil 3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voltage driver 62 via electrical line 45 . Additionally, voltage driver 6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digital input/output device 130 of microcontroller 100 through electrical line 44.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전압 드라이버(60, 62) 각각에 의해 전달되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 할 때, 컨택터 코일(32)은 통전되어 컨택터(31)를 폐쇄 상태로 전환시켜, 차량 부하(50)는 제1 셀 어셈블리(10)로부터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microcontroller 100 generate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delivered by each of the voltage drivers 60 and 62, the contactor coil 32 is energized and switches the contactor 31 to a closed state. , the vehicle load 50 may receive voltage from the first cell assembly 10.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전압 드라이버(60, 62) 각각에 의해 전달되는 제3 및 제4 제어 신호를 생성 할 때, 컨택터 코일(32)은 비 작동 되어 컨택터(31)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및 제4 제어 신호는 각각 접지 전압 레벨 일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generates the third and fourth control signals transmitted by the voltage drivers 60 and 62, respectively, the contactor coil 32 is deactivated, leaving the contactor 31 in an open state. It can be converted to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and fourth control signals may each be a ground voltage level.

전원 공급 IC(7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로 차량 시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IC(70)는,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시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셀 어셈블리(90)로부터 시동 전력을 공급받아, 시동 전력을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전원 공급 IC(70)는,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IC 70 can supply vehicle starting power to the microcontroller 100.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vehicle starting signal from the ECU of the vehicle, the power supply IC 70 may receive starting power from the second cell assembly 90 and transmit the starting power to the microcontroller 100. . The power supply IC 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100 to exchange electrical signals.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스위치(3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0),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130) 및 메모리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controller 100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witch 30. Additionally, the microcontroller 100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110, a digital input/output device 130, and a memory device 120.

마이크로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130) 및 메모리 디바이스(120)에 동작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130)는 전기 라인(42, 44)을 통해 전압 드라이버(60, 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microprocessor 110 may be opera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gital input/output device 130 and the memory device 120 . Digital input/output device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voltage drivers 60 and 62 through electrical lines 42 and 44.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microcontrol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110 and a memory device 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디바이스(120)는,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table 121 and a second table 122.

상기 제1 테이블(121)은, 스위치(30)의 개폐 상태와 관련된 스위치(30)의 상태 인덱스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30)의 개폐 상태는, 스위치(30)가 개방된 상태인 ON 상태와 스위치(30)가 폐쇄된 상태인 OFF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테이블(121)에는, 스위치(30)의 상태 인덱스가 인코딩 된 이진수 값으로 기록될 수 있다.The first table 121 may include a state index of the switch 30 related to the open/closed state of the switch 30. Here, the open/closed state of the switch 30 may include an ON state in which the switch 30 is open and an OFF state in which the switch 30 is closed. For example, in the first table 121, the state index of the switch 30 may be recorded as an encoded binary value.

상기 제2 테이블(122)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부팅과 관련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부팅 플래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부팅은, 하드웨어적인 요인에 의한 하드웨어 부팅과 소프트웨어적인 요인에 의한 소프트웨어 부팅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부팅은, 전원 공급 IC(70)로부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로 차량 시동 전원이 공급되어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부팅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부팅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에서 발생되는 소프트웨어적인 에러에 의하여 발생하는 재부팅에 의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부팅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테이블(122)에는, 부팅 플래그가 인코딩 된 이진수 값으로 기록될 수 있다.The second table 122 may include a booting flag of the microcontroller 100 related to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100. Here,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100 may include hardware booting due to hardware factors and software booting due to software factors. For example, hardware booting may mean that vehicle starting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IC 70 to the microcontroller 100 and the microcontroller 100 is booted. Additionally, software booting may mean that the microcontroller 100 is booted by rebooting due to a software error occurring in the microcontroller 100. For example, in the second table 122, a boot flag may be recorded as an encoded binary value.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0)는, 부팅 어플리케이션(111) 및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processor 110 may include a boot application 111 and a main application 112.

상기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제2 테이블(122)로부터 부팅 플래그를 획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부팅 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부팅되는 경우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의 첫 번째 동작으로 메모리 디바이스(120)로부터 제2 테이블(122)을 읽을 수 있다. 또한,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제2 테이블(122)에 기록된 부팅 플래그를 획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부팅의 원인이 되는 부팅 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팅 인자는, 하드웨어 부팅 및 소프트웨어 부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booting application 111 may obtain a booting flag from the second table 122 and check the booting parameters of the microcontroller 100. More specifically, the boot application 111 may be executed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booted. Additionally, the boot application 111 may read the second table 122 from the memory device 120 as the first operation of the boot application 111. Additionally, the boot application 111 may obtain the boot flag recorded in the second table 122 and check the boot factor that causes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100. For example, the boot factor may be either hardware boot or software boot.

또한,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제1 테이블(121)로부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으로 상태 인덱스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메모리 디바이스(120)로부터 제1 테이블(121)을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제2 테이블(122)로부터 확인한 부팅 인자가 소프트웨어 부팅인 경우 메모리 디바이스(120)로부터 제1 테이블(121)을 읽을 수 있다. 또한,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제1 테이블(121)에 기록된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여 상태 인덱스를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으로 전송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ooting application 111 may obtain a state index from the first table 121 and transmit the state index to the main application 112. More specifically, the boot application 111 can read the first table 121 from the memory device 120. For example, the boot application 111 may read the first table 121 from the memory device 120 when the boot factor confirmed from the second table 122 is software boot. Additionally, the booting application 111 may obtain the state index recorded in the first table 121 and transmit the state index to the main application 112.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상태 인덱스로부터 스위치(30)의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으로부터 상태 인덱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상태 인덱스로부터 스위치(30)의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The main application 112 can extract the state of the switch 30 from the state index. More specifically, the main application 112 may receive a status index from the boot application 111. Additionally, the main application 112 can extract the state of the switch 30 from the state index.

또한,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추출된 스위치(30)의 상태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스위치(30)를 온 상태로 유지 시키도록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에 명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상태 인덱스로부터 추출된 스위치(30)의 상태가 ON 상태인 경우, 스위치(30)를 온 상태로 유지 시키도록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에 명령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스위치(30)가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스위치(30)로 출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상태 인덱스로부터 추출된 스위치(30)의 상태가 OFF 상태인 경우, 스위치(30)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extracted state of the switch 30 indicates the on state, the main application 112 may command the microcontroller 100 to maintain the switch 30 in the on state. More specifically,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30 extracted from the state index is ON, the main application 112 may command the microcontroller 100 to maintain the switch 30 in the ON state. In this case, the microcontroller 100 may transmit an output to the switch 30 so that the switch 30 is switched to the on state. Additionally, the main application 112 may not change the state of the switch 30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30 extracted from the state index is OFF.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프로세서(110)는, 도 2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icroprocesso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상기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은, 스위치(3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은,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한 명령에 따라 스위치(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은,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으로부터 스위치 ON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스위치(30)가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스위치(30)로 출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witch 30. More specifically,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may receive a command from the main application 112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3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For example, when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receives a switch ON command from the main application 112,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may transmit an output to the switch 30 so that the switch 30 is switched to the on stat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가 참조하는 제1 테이블을 보여준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가 참조하는 제2 테이블을 보여준다.Figure 3 shows a first table referenced by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Figure 4 shows a second table referenced by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레코드(I1, I2)를 갖는 제1 테이블(121)이 도시되어 있다. 레코드(I1, I2)에는 부팅 어플리케이션(111) 및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에 의해 이용되는 상태 인덱스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인덱스에는, 스위치(30)의 ON 상태를 나타내는 ON이 레코드(I1)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30)의 OFF 상태를 나타내는 OFF가 레코드(I2)에 기록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ure 3, a first table 121 is shown with records I1 and I2. The state index used by the boot application 111 and the main application 112 may be recorded in the records I1 and I2. For example, in the state index, ON indicating the ON state of the switch 30 may be recorded in the record I1. Additionally, OFF indicating the OFF state of the switch 30 may be recorded in the record I2.

도 4를 참조하면, 레코드(F1, F2)를 갖는 제2 테이블(122)이 도시되어 있다. 레코드(F1, F2)에는 부팅 어플리케이션(111) 및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에 의해 이용되는 부팅 플래그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팅 플래그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소프트웨어적인 부팅을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부팅이 레코드(F1)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하드웨어적인 부팅을 나타내는 하드웨어 부팅이 레코드(F2)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부팅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실행 중에 소프트웨어적인 에러에 의하여 재부팅되는 런닝 리셋(Running reset)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부팅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12V 시동 전원을 공급받아 실행되는 부팅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a second table 122 is shown having records F1 and F2. Boot flags used by the boot application 111 and the main application 112 may be recorded in the records F1 and F2. For example, in the boot flag, software boot indicating software boot of the microcontroller 100 may be recorded in the record F1. Additionally, hardware booting indicating hardware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100 may be recorded in the record F2. For example, software booting may include a running reset in which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due to a software error while it is running. Additionally, hardware booting may include booting in which the microcontroller 100 is executed by receiving 12V startup power.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로부터 스위치(30)로 스위치(30)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이 전달되어 스위치(30)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출력을 기초로 제1 테이블(121)의 상태 인덱스에 스위치(30)의 상태가 온 상태인 것으로 기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에 구비된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으로부터 스위치(30)로 스위치(30)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이 전달되는 경우, 제1 테이블(121)의 상태 인덱스에 스위치(30)의 상태가 온 상태인 것으로 기록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in application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output for switching the switch 30 to the on state from the microcontroller 100 to the switch 30, thereby turning the switch 30 on. When the state is switched to the state, the state of the switch 30 may be recorded as on in the state index of the first table 121 based on the output of the microcontroller 100. More specifically, when an output for switching the switch 30 to the on state is transmitted from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provided in the microcontroller 100 to the switch 30, the main application 112 displays the first table It can be recorded in the state index of (121) that the state of the switch 30 is in the on state.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부팅되는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로부터 부팅의 원인이 되는 부팅 인자를 획득하여 제2 테이블(122)의 부팅 플래그에 부팅 인자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부팅되는 경우, 부팅 기록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부팅의 원인이 되는 부팅 인자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부팅 기록 어플리케이션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에 구비되어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부팅되는 경우, 부팅의 원인이 되는 부팅 인자를 메모리 디바이스(12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부팅 기록 어플리케이션은, 부팅 인자를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부팅되는 경우, 부팅 기록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부팅 인자를 획득하여 제2 테이블(122)의 부팅 플래그에 부팅 인자를 기록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booted, the main application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booting factor causing booting from the microcontroller 100 and creates a second table ( 122) Booting parameters can be recorded in the boot flag. For example,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booted, the main application 112 may obtain booting factors that cause booting from the boot record application. Here, the boot record application is provided in the microcontroller 100 and,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booted, can record boot factors that cause booting in the memory device 120. Additionally, the boot record application may transmit boot parameters to the main application 112. Additionally,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booted, the main application 112 may obtain booting factors from the boot record application and record the booting factors in the boot flag of the second table 122.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부팅되는 경우 부팅 플래그로부터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부팅 인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112)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부팅인 경우, 제1 테이블(121)로부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부팅되는 경우 제2 테이블(122)에 기록된 부팅 플래그로부터 부팅 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팅 어플리케이션(111)은, 확인된 부팅 인자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런닝 리셋과 같은 소프트웨어 부팅인 경우, 제1 테이블(121)로부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booting application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booting factor from the booting flag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booted, and the booting factor is used to boot software related to the main application 112. In the case, the state index can be obtained from the first table 121. For example, the boot application 111 may check boot factors from the boot flag recorded in the second table 122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booted. Additionally, the boot application 111 may obtain a status index from the first table 121 when the confirmed boot factor is a software boot such as a running reset of the microcontroller 100.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팅 어플리케이션(111) 및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에 할당된 메모리 주소를 서로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팅 어플리케이션(111) 및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ot application 111 and the main application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hare the memory addresses allocated to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with each other. there is.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boot application 111 and the main application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ccess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당업계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icroprocessor 110 is a processor known in the art,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other chipset, a logic circuit, a register, a communication modem, and/or a data processing device to perform the operations described above.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optionally includes, etc.

한편, 메모리 디바이스(120)는, 정보를 기록하고 소거할 수 있는 저장 매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120)는, RAM,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광기록 매체 또는 자기기록 매체일 수 있다. 메모리 디바이스(120)는,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0)에 의해 각각 접근이 가능하도록 예컨대 데이터 버스 등을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11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디바이스(120)는,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0)가 각각 수행하는 각종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또는 제어 로직이 실행될 때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갱신 및/또는 소거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ype of the memory device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orage medium capable of recording and eras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memory device 120 may be RAM, ROM, register, hard disk, optical recording medium, or magnetic recording medium. The memory devices 120 may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110 through, for example, a data bus so that each of the memory devices 120 can be accessed by the microprocessor 110 . The memory device 120 also stores and/or updates and/or erases and/or transmits programs including various control logics each performed by the microprocessor 110, and/or data generated when the control logic is executed. You can.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는, BMS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BMS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종래 BMS에 포함된 구성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추가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 디바이스(120)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의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MS. That is, the B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is configuration,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supplementing or adding functions of the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conventional BMS. For example, the microprocessor 110 and memory device 120 of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components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는, 배터리 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은,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 상기 스위치 제어 장치, 전장품(BMS나 릴레이, 퓨즈 등 구비) 및 케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battery pack. That is,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ere, the battery pack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ary batteries, the switch control device, electrical equipment (equipped with a BMS, relay, fuse, etc.), and a cas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운용 장치의 각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Figure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swit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5, the subject performing each step can be said to be each component of the battery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운용 방법은, 상태 인덱스 기록 단계(S100), 부팅 플래그 기록 단계(S110), 상태 인덱스 획득 단계(S120) 및 스위치(30) 온 상태 유지 단계(S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battery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e index recording step (S100), a boot flag recording step (S110), a state index acquisition step (S120), and a switch 30 on state maintenance step ( S130).

먼저, 상태 인덱스 기록 단계(S100)에서는, 스위치의 개폐 상태와 관련된 스위치의 상태 인덱스를 기록할 수 있다. 이어서, 부팅 플래그 기록 단계(S110)에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과 관련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플래그를 기록할 수 있다. 이어서, 상태 인덱스 획득 단계(S120)에서는, 부팅 플래그 기록 단계에 의해 기록된 부팅 플래그를 획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부팅 인자를 기초로 상태 인덱스 기록 단계에 의해 기록된 상태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스위치 온 상태 유지 단계(S130)에서는, 상태 인덱스 획득 단계에 의해 획득된 상태 인덱스로부터 스위치의 상태를 추출하여 추출된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 시키도록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명령할 수 있다.First, in the state index recording step (S100), the state index of the switch related to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switch can be recorded. Next, in the boot flag recording step (S110), the boot flag of the microcontroller related to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may be recorded. Next, in the state index acquisition step (S120), the boot flag recorded by the boot flag recording step is obtained to check the booting factor of the microcontroller, and the state index recorded by the state index recording step is obtained based on the boot factor. can do. Next, in the switch-on state maintenance step (S130), the state of the switch is extracted from the state index obtained by the state index acquisition step, and when the extracted state of the switch indicates the on state, the microcontroller is used to maintain the switch in the on state. Commands can be given to the controller.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인덱스 기록 단계(S100)에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스위치로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이 전달되어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출력을 기초로 상태 인덱스에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인 것으로 기록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ate index recording step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utput for switching the switch to the on state is transmitted from the microcontroller to the switch and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on state, the output of the microcontroller Based on this, the state of the switch can be recorded as on in the state index.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팅 플래그 기록 단계(S110)에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부팅의 원인이 되는 부팅 인자를 획득하여 부팅 플래그에 부팅 인자를 기록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boot flag recording step (S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the boot factor that causes booting can be obtained from the microcontroller and the boot factor can be recorded in the boot flag. there is.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인덱스 획득 단계(S120)에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부팅 플래그로부터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부팅 인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부팅인 경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ate index acquisition step (S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the boot factor is checked from the boot flag, and if the boot factor is software boot related to the main application, the state index can be obtain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6 and 7 are graphs explaining a swit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a swit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전원 공급 IC(70)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어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전원 공급 IC(7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부팅되어 작동될 수 있다. The microcontroller 100 may stop operating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IC 70 is cut off. Subsequently, the microcontroller 100 may be booted and operated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IC 70.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작동되는 중에 소프트웨어적인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작동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작동되는 재부팅(예를 들어, 런닝 리셋)이 되어 작동될 수 있다.Additionally, if a software error occurs while the microcontroller 100 is operating, the microcontroller 100 may be stopped and then restarted (for example, running reset).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출력 신호(S1) 및 제2 출력 신호(S2)가 도시되어 있다.2 and 6, a first output signal (S1) and a second output signal (S2) are shown.

상기 제1 출력 신호(S1)는,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으로부터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으로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 신호(S1)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되는 시점(T1)에서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신호(S1)는,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으로부터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으로 스위치(30) 온 상태 명령이 전달되는 시점(T2)에서 다시 출력될 수 있다.The first output signal S1 may be a signal output from the main application 112 to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For exampl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6, the output of the first output signal S1 may be stopped at the time T1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Additionally, the first output signal S1 may be output again at the point in time (T2) when the switch 30 on state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application 112 to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상기 제2 출력 신호(S2)는,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으로부터 스위치(30)로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출력 신호(S2)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되는 시점(T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3-T1) 동안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출력 유지 시간은, 3msec일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30)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 신호(S2)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되는 시점(T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3-T1)이 경과되는 경우,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30)는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 신호(S2)는,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으로부터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으로 스위치(30) 온 상태 명령이 전달되는 시점(T2)에서 다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30)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The second output signal S2 may be 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to the switch 30. For exampl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6, the second output signal S2 may remain output for a preset time (T3-T1) from the time (T1)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there is. For example, the preset output maintenance time may be 3 msec. In this case, the switch 30 may remain closed without being switched to the open state. Additionally, the output of the second output signal S2 may be stopped when a preset time (T3-T1) elapses from the point in time (T1) at which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In this case, the switch 30 can be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Additionally, the second output signal S2 may be output again at the point in time (T2) when the switch 30 on state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application 112 to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In this case, the switch 30 can be switch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스위치(30) 제어 방법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되는 경우, 스위치(3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만약, 전기 차량 주행 중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 된다면 전기 차량이 주행 중에 멈추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witch 30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maintain the switch 30 in a closed state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If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driving, an accident may occur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stops while driving.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30)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 and 7 ,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witch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전원 공급 IC(70)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어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전원 공급 IC(7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부팅되어 작동될 수 있다. The microcontroller 100 may stop operating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IC 70 is cut off. Subsequently, the microcontroller 100 may be booted and operated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IC 70.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작동되는 중에 소프트웨어적인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작동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작동되는 재부팅(예를 들어, 런닝 리셋)이 되어 작동될 수 있다.Additionally, if a software error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microcontroller 100, the microcontroller 100 may be stopped and then restarted (for example, running reset).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출력 신호(S3) 및 제4 출력 신호(S4)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7, a third output signal (S3) and a fourth output signal (S4) are shown.

상기 제3 출력 신호(S3)는,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으로부터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으로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출력 신호(S3)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되는 시점(T1)에서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제3 출력 신호(S3)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소프트웨어적인 에러에 의하여 재부팅되는 경우,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이 상태 인덱스로부터 스위치(30)의 온 상태를 확인하는 시점(T3)에 다시 출력될 수 있다.The third output signal S3 may be a signal output from the main application 112 to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For exampl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7, the third output signal S3 may stop output at the time T1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In addition, the third output signal (S3) is generated at the time (T3) when the main application 112 checks the on state of the switch 30 from the status index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due to a software error. It can be printed again.

상기 제4 출력 신호(S4)는,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으로부터 스위치(30)로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출력 신호(S4)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되는 시점(T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3-T1) 동안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출력 유지 시간은, 3msec일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30)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출력 신호(S4)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되는 시점(T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3-T1)이 경과되기 전에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이 상태 인덱스로부터 스위치(30)의 온 상태를 확인하여 제3 출력 신호(S3)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The fourth output signal S4 may be 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to the switch 30. For exampl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7, the fourth output signal S4 may maintain output for a preset time (T3-T1) from the time (T1)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there is. For example, the preset output maintenance time may be 3 msec. In this case, the switch 30 may remain closed without being switched to the open state. In addition, the fourth output signal (S4) is the switch 30 of the main application 112 from the state index before a preset time (T3-T1) elapses from the time (T1) at which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When the on state is confirmed and the third output signal S3 is output, the output may be maintaine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로부터 스위치(30)로 출력이 전달되도록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에 명령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application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and the microcontroller 100 to transmit an output from the microcontroller 100 to the switch 30 within a preset time.

예를 들어, 메인 어플리케이션(112)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되는 시점으로부터 800usec 이내에 상태 인덱스로부터 스위치(30)의 온 상태를 확인하여 제3 출력 신호(S3)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113)은, 제3 출력 신호(S3)를 수신하고, 제3 출력 신호(S3)를 기초로 제4 출력 신호(S4)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application 112 may check the on state of the switch 30 from the state index within 800 usec from the time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and output the third output signal S3. In this case, the switch control application 113 may receive the third output signal S3 and maintain the output of the fourth output signal S4 based on the third output signal S3.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방법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되는 경우, 스위치(3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방법은, 전기 차량 주행 중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가 재부팅 되는 경우, 전기 차량이 주행 중에 멈추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wit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switch 30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Additionally, the swit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 accident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stops while driving when the microcontroller 100 is rebooted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driving.

또한, 상기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control logic is implemented as software, the micro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et of program modules. At this time, the program modul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다양한 제어 로직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되고, 조합된 제어 로직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체계로 작성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접근이 가능한 것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상기 기록 매체는, ROM, RAM, 레지스터,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기록장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드 체계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 분산되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합된 제어 로직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various control logics of the microprocessor is combined, and the types of the combined control logic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written in a computer-readable code system and can be accessed in a computer-readable manner. As an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ROM, RAM, register,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recording device. Additionally, the code system can be distributed, stored and executed on computers connected to a network. Additionally,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combined control logics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10: 제1 셀 어셈블리
30: 스위치
31: 컨택터
32: 컨택터 코일
33: 제1 전기 노드
34: 제2 전기 노드
40, 41, 42, 43, 44, 45: 전기 라인
50: 차량 부하
60, 62: 전압 드라이버
70: 전원 공급 IC
90: 제2 셀 어셈블리
100: 마이크로 컨트롤러
110: 마이크로 프로세서
111: 부팅 어플리케이션
112: 메인 어플리케이션
113: 스위치 제어 어플리케이션
120: 메모리 디바이스
121: 제1 테이블
122: 제2 테이블
130: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
10: first cell assembly
30: switch
31: contactor
32: contactor coil
33: first electrical node
34: second electrical node
40, 41, 42, 43, 44, 45: Electrical lines
50: Vehicle load
60, 62: Voltage driver
70: Power supply IC
90: second cell assembly
100: Microcontroller
110: microprocessor
111: boot application
112: Main application
113: Switch control application
120: memory device
121: first table
122: second table
130: Digital input/output device

Claims (12)

스위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팅 어플리케이션 및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제1 테이블 및 제2 테이블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이블은, 상기 스위치의 개폐 상태와 관련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 인덱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테이블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과 관련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플래그를 구비하며,
상기 부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테이블로부터 상기 부팅 플래그를 획득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상태 인덱스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태 인덱스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상태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 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In a device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switch,
It includes a microcontroller having a boot application, a main application, a first table, and a second table,
The first table includes a state index of the switch related to an open or closed state of the switch,
The second table includes a boot flag of the microcontroller related to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The boot application obtains the boot flag from the second table to check the boot factor of the microcontroller, obtains the state index from the first table and transmits the state index to the main application,
The main application extracts the state of the switch from the state index, and when the extracted state of the switch indicates an on state, the main application commands the microcontroller to maintain the switch in the on stat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제1 테이블의 상기 상태 인덱스에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인 것으로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an output for switching the switch to the on state is transmitted from the microcontroller to the switch and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on state, the main application determines the state index of the first table based on the output of the microcontroller. A switch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cord the state of the switch as being in the on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부팅의 원인이 되는 상기 부팅 인자를 획득하여 상기 제2 테이블의 상기 부팅 플래그에 상기 부팅 인자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main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obtain the booting factor that causes booting from the microcontroller when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and record the booting factor in the booting flag of the second tabl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부팅 플래그로부터 상기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상기 부팅 인자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부팅인 경우, 상기 제1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boot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check the boot factor from the boot flag when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and to obtain the status index from the first table when the boot factor is a software boot related to the main application. Characterized by a switch control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출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main application is a switch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ands the microcontroller to transmit an output from the microcontroller to the switch within a preset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팅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에 할당된 메모리 주소를 서로 공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further comprising a memory device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table and the second table,
The boot application and the main application are configured to share memory addresses assigned to the first table and the second tabl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BMS.
A BMS comprising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위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스위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개폐 상태와 관련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 인덱스를 기록하는 단계;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과 관련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플래그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부팅 플래그 기록 단계에 의해 기록된 상기 부팅 플래그를 획득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상기 부팅 인자를 기초로 상기 상태 인덱스 기록 단계에 의해 기록된 상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인덱스 획득 단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상태 인덱스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상태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 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명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I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switch,
recording a state index of the switch related to an open or closed state of the switch;
recording a boot flag of the microcontroller associated with booting of the microcontroller;
Obtaining the boot flag recorded by the boot flag recording step to check a booting factor of the microcontroller, and obtaining the state index recorded by the state index recording step based on the booting factor; and
Extracting the state of the switch from the state index obtained by the state index acquisition step, and when the extracted state of the switch indicates an on state, commanding the microcontroller to maintain the switch in the on state.
A switch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인덱스 기록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상태 인덱스에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인 것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In the state index recording step, when an output for switching the switch to the on state is transmitted from the microcontroller to the switch and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on state, the switch is recorded in the state index based on the output of the microcontroller. A switch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recording that the state is in the on st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플래그 기록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부팅의 원인이 되는 상기 부팅 인자를 획득하여 상기 부팅 플래그에 상기 부팅 인자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The boot flag recording step is a switch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the booting factor that causes booting is obtained from the microcontroller and the booting factor is recorded in the booting fla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인덱스 획득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부팅 플래그로부터 상기 부팅 인자를 확인하고, 상기 부팅 인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부팅인 경우, 상기 상태 인덱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The state index acquisition step is a switch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icrocontroller is booted, the boot factor is checked from the boot flag, and if the boot factor is a software boot related to the main application, the state index is obtained. method.
KR1020180095104A 2018-08-14 2018-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KR1025835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104A KR102583546B1 (en) 2018-08-14 2018-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104A KR102583546B1 (en) 2018-08-14 2018-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503A KR20200019503A (en) 2020-02-24
KR102583546B1 true KR102583546B1 (en) 2023-09-26

Family

ID=6963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104A KR102583546B1 (en) 2018-08-14 2018-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546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752A (en) * 2002-09-05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ngine stall holding apparatus of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060047106A (en) * 2004-11-15 2006-05-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ower source maintenance circuit of the control apparatus of electric powered vehicle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503A (en)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8989A1 (en) Battery control method, battery control system, unmanned aerial vehicle, and battery
US20180370465A1 (en) Switch device for on-board power supply and on-board power supply device
EP3575139A1 (en) Switch control circuit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88802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ipient drive of slow charger for a vehicle with electric motor
US20200076205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6606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relay of an auxiliary battery and method thereof
US201701580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charge of vehicle battery
EP3754350A1 (en) Switch diagnosis device and method
US1008124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OBC output terminal
KR1025835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CN109964385B (en) Power supply circuit switching device and method
US11919402B2 (en) Re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14709899A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11155183B2 (en)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using latching relay and battery system using the same
CN114161992A (en) Power drive control method, device, vehicl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8068074A (en) Power supply device
CN114252785B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823855B2 (en) Re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14069547A (en) Power distribution circuit, vehicle body controller, vehicle and power distribu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16461357A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hot plug
KR101783924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Havig Internal Structure for Improving Reusability
US20210078437A1 (en) Switch Control Apparatus
CN116353353A (en) Fuel cell operation control method, fuel cell and fuel cell automobile
CN117767476A (en) Pre-charging device, pre-charging method, marine power system, marine vessel, and storage medium
CN112440911A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video recor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