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407B1 - 두피 케어용 캡 장치 - Google Patents

두피 케어용 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407B1
KR102583407B1 KR1020210071927A KR20210071927A KR102583407B1 KR 102583407 B1 KR102583407 B1 KR 102583407B1 KR 1020210071927 A KR1020210071927 A KR 1020210071927A KR 20210071927 A KR20210071927 A KR 20210071927A KR 102583407 B1 KR102583407 B1 KR 102583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ver
scalp
cover
cap devic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4098A (ko
Inventor
조해
전소하
Original Assignee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1007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407B1/ko
Priority to PCT/KR2022/006801 priority patent/WO2022255684A1/ko
Publication of KR2022016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85Devices for generating hot or cold treatment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8Sca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61F2007/00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61F2007/0063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f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7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머리의 두피에 착용 가능한 두피 케어용 캡 장치가 제공된다.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내측 커버, 외측 커버, 기판, 및 송풍기를 포함한다. 내측 커버는 두피를 덮도록 형성되고,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며, 두피로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복수의 분출공을 갖는다. 외측 커버는 내측 커버에 결합된다. 외측 커버는 기류 통로를 내측 커버의 외면을 따라 한정하도록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풍공을 갖는다. 기판은, 기류 통로에서 내측 커버의 외면을 덮도록 내측 커버에 결합된다. 기판은, 두피에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다수의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복수의 분출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다. 송풍기는 내측 커버의 상단의 위치에서 기류 통로에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송풍기는, 통풍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기류 통로를 경유하여 복수의 분출공을 통해 두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두피 케어용 캡 장치{CAP DEVICE FOR SCALP CARE}
본 개시는 두피 케어를 위해 두피에 착용될 수 있는 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출력 레이저 요법(low-level laser therapy, LLLT)이라고 불리는 저강도의 레이저 빛이 생체 조직의 복구 및 재생을 촉진시키고 세포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저출력 레이저 요법이 발모를 향상시키고 탈모의 과정을 늦추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임상적으로 증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출력 레이저 요법에 의한 레이저 빛을 두피에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레이저 탈모 치료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탈모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헬멧 형태 또는 캡 형태를 갖는다.
레이저 탈모 치료 장치가 조사하는 레이저 빛에 의해 열이 두피에 가해진다. 두피에 가해지는 열은 탈모의 또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레이저 탈모 치료 장치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구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을뿐, 두피에 가해지는 열을 제거하지는 못한다. 또한, 종래의 레이저 탈모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자의 안전성을 고려하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204002호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한 두피 케어용 캡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저출력 레이저 요법을 사용하여 두피에 레이저 빛을 조사할 수 있고 두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착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착용 상태에서만 레이저 빛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 안전성을 향상시킨 두피 케어용 캡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두피 케어를 위해 머리의 두피에 착용 가능한 캡 장치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의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내측 커버, 외측 커버, 기판, 및 송풍기를 포함한다. 내측 커버는 두피를 덮도록 형성되고,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며, 두피로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복수의 분출공을 갖는다. 외측 커버는 내측 커버에 결합된다. 외측 커버는 기류 통로를 내측 커버의 외면을 따라 한정하도록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풍공을 갖는다. 기판은, 기류 통로에서 내측 커버의 외면을 덮도록 내측 커버에 결합된다. 기판은, 두피에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다수의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복수의 분출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다. 송풍기는 내측 커버의 상단의 위치에서 기류 통로에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송풍기는, 통풍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기류 통로를 경유하여 복수의 분출공을 통해 두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커버는 외측 커버를 향해 돌출한 복수의 돌출부를 갖고, 복수의 분출공 중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돌출부에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는 내측 커버에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커버는 상단의 부근에서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설정용 돌기를 갖고, 기판은 한 쌍의 위치설정용 돌기가 각각 끼워맞춤되는 위치설정용 구멍을 갖는다. 송풍기는 한 쌍의 위치설정용 돌기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는, 기류 통로가 내측 커버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커버의 하단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는 머리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한 챙부를 각각 갖고, 내측 커버의 챙부와 외측 커버의 챙부는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은, 내측 커버의 상단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고 내측 커버를 향하여 굽힘 가능한 복수의 아암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아암부 중 내측 커버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아암부는 복수의 관통공 중 하나의 관통공을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이웃하는 아암부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내측 커버에 결합되고 머리의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으로 내측 커버와 두피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간극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간극 조절 장치는, 내측 커버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부와 랙 기어가 형성된 타단부를 각각 갖고, 내측 커버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밴드와, 한 쌍의 밴드의 타단부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머리의 후두부에 접촉되는 하우징과, 한 쌍의 밴드의 랙 기어의 사이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갖고,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 다이얼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조절 다이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디텐트 톱니를 가질 수 있고, 조절 다이얼은, 디텐트 톱니 중의 하나에 맞물리는 래칫 톱니를 가지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래칫 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조절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래칫 톱니가 다수의 디텐트 톱니에 순차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작동,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 및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와, 레이저 다이오드,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 및 송풍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내측 커버에 배치되고 내측 커버가 두피에 착용되는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착용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착용 감지 센서가 내측 커버 내에 두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다수의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두피로 레이저 빛을 조사함과 함께 바람의 형태의 공기를 두피에 분출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레이저 빛이 두피에 생성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간극 조절 장치에 의해 내측 커버와 두피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머리의 다양한 사이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두피에의 착용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두피에 착용되지 않을 때 다이오드들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는 착용 상태에서만 다이오드들로부터의 빛을 두피에 조사하여, 사용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를 도시하는 또 하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의 내측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의 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기판의 평판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의 간극 조절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간극 조절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간극 조절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전원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전방'의 방향지시어는 머리의 후두부로부터 머리의 전두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의 방향지시어는 전방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와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개시하는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두피 케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캡 장치에 관련된다.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용 캡 장치(이하, 간단히 '캡 장치'라고 한다)는, 사용자의 머리의 두피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머리의 두피를 두피의 형상에 맞추어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캡 장치는 두피를 향해 레이저 빛, 적색 빛 및 근적외선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캡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빛, 상기 적색 빛 및 상기 근적외선 빛을 조사하면서, 바람 형태의 공기를 두피로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바람 형태의 공기를 두피로 분출함으로써, 두피의 온도를 낮추고 두피의 열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10)는, 머리의 두피를 두피의 형상에 맞추어 덮는 내측 커버(100)와, 캡 장치(10)의 외부 부재로서 기능하는 외측 커버(200)를 포함한다. 또한, 캡 장치(10)는, 내측 커버(100)와 외측 커버(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기판(300)과, 공기를 분출하는 송풍기(400)를 포함한다. 기판(300)에 상기 레이저 빛, 상기 적색 빛 및 상기 근적외선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다이오드가 장착된다. 송풍기(400)는 캡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분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의 내측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내측 커버(100)는 두피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커버(100)는 대략 반구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커버(10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투명 재료로, 예컨대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레이저 빛, 적색 빛 및 근적외선 빛은 내측 커버(100)를 통해 두피로 조사될 수 있다.
내측 커버(100)는, 두피를 향하는 측의 표면으로 되는 내면(111)과, 내측 커버의 두께 방향에서 내면(111)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외측 커버(200)를 향하는 외면(112)을 갖는다. 또한, 내측 커버(100)는, 두피를 덮으며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부(120)와, 커버부(120)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 플랜지(130)를 갖는다. 커버부(120)의 내측 표면이, 내측 커버(100)의 내면(111)이 될 수 있다. 커버부(120)의 외측 표면이, 내측 커버의 내면에 반대되는 내측 커버의 외면이 될 수 있다. 결합 플랜지(130)의 전방 부분은, 결합 플랜지(130)의 나머지 부분보다 전방 방향(FD)으로 더 돌출하여, 사용자가 챙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한다. 즉, 내측 커버(100)는 전방 방향(FD)으로 돌출한 챙부(140)를 갖는다. 결합 플랜지(130)에는 복수의 관통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가 관통공(131)을 통해 외측 커버(200)에 체결되어, 내측 커버(100)와 외측 커버(200)를 이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버부(120)는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 플랜지(130)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커버(100)는 두피로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복수의 분출공(121)을 갖는다. 상기 공기는 분출공(121)을 통해 바람의 형태로 두피로 분출 및 공급될 수 있다. 복수의 분출공(121)은 내측 커버(100)를 그 두께 방향에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분출공(121)은 내측 커버(100)에서, 머리의 이마로부터 머리의 후두부까지 걸치는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측 커버(100)는 커버부(120)에, 외측 커버(200)를 향해 돌출한 복수의 돌출부(122)를 갖는다. 복수의 분출공(121) 중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돌출부(122)에, 내측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2)에서의 내면(111)의 일부는, 돌출부(122)를 제외한 내면(111)의 다른 부분보다 외측으로 위치한다. 이에 따라, 내측 커버(100)의 내면(111)의 일부는, 돌출부(122)의 영역에서 외측 커버(200)를 향해 함몰되어 있고, 내면(111)에는 돌출부(122)의 영역에서 홈(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113)은 내측 커버의 내면(111)과 두피의 사이에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돌출부(122)의 분출공(121)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상기 여유 공간을 통해 원활하게 확산되어 두피로 공급될 수 있다.
각 돌출부(122)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전방 방향(FD)과 후방 방향(RD)으로 연장한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122)는 내측 커버의 커버부(120)에 복수의 열로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돌출부(122)는 커버부(120)에 서로 평행한 3열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가 이루는 상기 열은, 전방 방향(FD)과 후방 방향(RD)으로 위치한다. 즉, 복수의 돌출부가 이루는 상기 열은, 머리의 이마로부터 머리의 후두부까지 걸치도록 전방 방향(FD)과 후방 방향(RD)으로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측 커버(100)는 커버부(120)에, 한 쌍의 위치설정용 돌기(123)를 가지며, 기판(300)은 위치설정용 돌기(123)에 의해 내측 커버(100)의 외면(112) 상에서 위치설정될 수 있다. 위치설정용 돌기(123)는 내측 커버의 외면(112)으로부터 돌출하며, 내측 커버의 상단의 부근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내측 커버(100)는 각 위치설정용 돌기에 배치되는 쿠션 부재(150)를 가질 수 있다. 쿠션 부재(150)는 캡 장치(10)가 두피에 착용될 때 두피의 상부에 접촉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내측 커버에 결합되는 외측 커버에 대해 설명한다.
외측 커버(200)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내측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나사가 외측 커버에 체결되어, 내측 커버(100)와 외측 커버(2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외측 커버(200)와 내측 커버(100)는 암형 및 수형의 끼워맞춤요소들의 끼워맞춤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외측 커버(200)는, 내측 커버(100)를 덮는 커버부(220)와, 커버부(120)로부터 전방 방향(FD)으로 돌출한 챙부(230)를 갖는다. 커버부(220)는 내측 커버의 커버부(120)보다 큰 치수를 가지도록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챙부(230)는 내측 커버의 챙부(14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결합된 내측 및 외측 커버에서, 내측 커버의 챙부(140)와 외측 커버의 챙부(230)는 상하로 겹쳐지며, 캡 장치의 챙으로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외측 커버(20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풍공(211)을 갖는다. 통풍공(211)은 외측 커버(2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송풍기(400)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커버의 커버부(220)에는, 장타원형의 슬릿(221)이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통풍공(211)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체(210)가 슬릿(221)에 결합되며, 메쉬체(210)는 슬릿(22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메쉬체(210)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메쉬체(210)는 불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측 커버(200)에 대비되는 색감과 질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외측 커버(200)는, 송풍기(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캡 장치(10)의 내부에 형성한다. 즉, 내측 커버(100)에 결합되는 외측 커버(200)는, 기류 통로(240)를 내측 커버의 외면(112)을 따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외측 커버의 커버부(220)가 내측 커버의 커버부(120)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외측 커버(200)의 내면과 내측 커버(100)의 외면의 사이에 기류 통로(240)가 한정될 수 있다.
송풍기(400)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기류 통로(240)를 통해, 내측 커버(10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커버(100)의 하단을 향해 확산되면서 유동할 수 있다. 내측 커버(100)와 외측 커버(200)의 사이에 한정되는 기류 통로(240)는 대략 돔 형상을 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류 통로(240)는 내측 커버(10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커버(100)의 하단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커버의 커버부(120)와 외측 커버의 커버부(220)는, 기류 통로(240)가 내측 커버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커버의 하단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류 통로(240)의 형상 특징으로 인해, 송풍기(400)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송풍기(40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강한 압력으로 분출공(121)으로부터 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두피에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들이 조사하는 빛이, 두피 조직의 복구 및 재생을 촉진하고 두피 조직의 세포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상기 다이오드들은 기판(300)에 장착되며, 기판(300)에 의해 내측 커버(100)와 외측 커버(200) 사이의 기류 통로(240)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300)은 기류 통로(240)에 배치되며, 내측 커버(100)의 외면(112)을 덮도록 내측 커버(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의 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기판의 평판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류 통로에 배치되는 기판(300)은 돔 형상을 취한다. 기판(300)은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300)은 내측 커버의 분출공(121)(도 4 참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311)을 갖는다. 기판(300)은 그 상단의 부근에 위치설정용 구멍(312)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300)이 내측 커버의 외면에 덮도록 내측 커버(100)에 결합되면, 내측 커버의 돌출부(122) 중 일부는 관통공(311)에 삽입되고, 내측 커버의 위치설정용 돌기(123)가 위치설정용 구멍(312)에 삽입 및 끼워맞춤된다. 위치설정용 돌기(123)와 위치설정용 구멍(312)에 의해, 기판(300)은 내측 커버의 외면(112) 상에서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300)은 평판 형태로부터 돔 형태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며, 돔 형태로 변형된 상태에서 내측 커버의 외면을 덮도록 내측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300)은, 상기 다이오드로서,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320)와 다수의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330)를 갖는다. 레이저 다이오드(320)로서는, 약 650nm ~ 655nm 파장의 레이저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약 4MW의 광출력(optical output)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330)로서는, 620nm ~ 630nm 파장의 적색 빛과 840nm ~ 860nm 파장의 적외선 빛을 조사할 수 있고 120도의 뷰잉 앵글(viewing angle)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320)와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330)로부터의 빛이 두피로 전달되어, 두피 조직의 모세 혈관이 확장될 수 있고, 혈류량과 산소량을 증가될 수 있으며, 모낭 생성이 촉진될 수 있고 모근이 강화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320)와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330)는 기판(300)의 소정의 구역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돔 형태로 변형된 기판(300)은, 머리의 정수리를 따라 전방 방향(FD)과 후방 방향(RD)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섹션(341)과, 제1 섹션(341)으로부터 기판의 측단 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섹션(342)과, 제2 섹션(342)으로부터 기판의 측단 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섹션(343)으로부터 구분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320)는 한 쌍의 제1 섹션(341)과 한 쌍의 제2 섹션(342)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섹션(341)이 머리의 이마와 정수리에 놓이게 되므로, 탈모가 많은 두피의 부분에 레이저 다이오드(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330)는, 한 쌍의 제3 섹션(343)에 주로 설치될 수 있고, 제1 섹션(341)의 단부 부근 및 제2 섹션(342)에 설치될 수 있다.
기판(300)은 평판 형태로부터 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다이오드들이 설치된 평판 형태의 기판이 돔 형태로 변형되어 내측 커버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다이오드를 가지면서 내측 커버의 외면에 배치되는 돔 형태의 기판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돔 형태의 변형을 위해, 기판(300)은 그 일부가 내측 커버를 향하여 굽힘되도록 구성된다.
기판(300)은, 베이스부(351)와 베이스부(351)로부터 연장하고 내측 커버를 향하여 굽힘 가능한 복수의 아암부(352, 35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51)는 내측 커버의 상단에 위치하며, 위치설정용 구멍(312)이 베이스부(351)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51)는 내측 커버의 외면에 곡률에 대응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아암부(352, 353)는 베이스부(35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4개의 제1 아암부(352)가 전술한 제1 섹션(341)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아암부(352)는 베이스부(351)로부터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으로 연장한다. 각 제1 아암부(352)는, 그 단부에 내측 커버의 둘레 방향(CD)으로 돌출한 제1 결합부(354)를 갖는다. 2개의 제2 아암부(353)가 베이스부(351)로부터 머리의 귀를 향하는 측방 방향으로 연장한다. 각 제2 아암부(353)에는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돌출부(35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아암부(353)의 돌출부(355)와 돌출부(355)에 인접한 제2 아암부의 부분이 제2 섹션(342)을 구성할 수 있다. 각 제2 아암부(353)는 그 단부에 내측 커버의 둘레 방향(CD)으로 돌출한 한 쌍의 제2 결합부(356)를 갖는다. 각 제2 아암부의 제2 결합부가 제3 섹션(343)을 구성할 수 있다.
기판(300)에 있어서, 전술한 복수의 아암부 중 내측 커버의 둘레 방향(CD)으로 이웃하는 아암부는 복수의 관통공 중 하나의 관통공을 한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둘레 방향으로 이웃한 한 쌍의 제1 아암부(352)가 그들 사이에 관통공(311)을 한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이웃한 제1 아암부(352)와 제2 아암부(353)가 그들 사이에 관통공(311)을 한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300)에 있어서, 이웃하는 아암부들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암부들의 결합을 위해, 제1 결합부(354)와 제2 결합부(356) 중 하나에는, 내측 커버의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 후크(357)가 제공될 수 있고, 제1 결합부(354)와 제2 결합부(356) 중 다른 하나에는, 걸림 후크(357)가 끼워맞춤되는 걸림 슬릿(358)이 제공될 수 있다. 걸림 후크(357)가 걸림 슬릿(358)에 끼워맞춤되어, 둘레 방향으로 이웃한 제1 아암부의 제1 결합부(354)들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둘레 방향으로 이웃한 제1 아암부의 제1 결합부(354)와 제2 아암부의 제2 결합부(356)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아암부들의 결합부들이 둘레 방향으로 결합되어, 돔 형태로 변형된 기판(30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송풍기(400)는 기류 통로(240) 내에서 기류 통로(240)와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송풍기(400)는 내측 커버(100)의 상단의 위치에 배치되며, 내측 커버(100)의 한 쌍의 위치설정용 돌기(123)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송풍기(400)는 내측 커버의 외면(112)에서 대략 중앙에 배치되며, 내측 커버의 외면(112)의 전 영역으로 바람의 형태의 공기를 공급 및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400)는 외측 커버(200)의 내면에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송풍기(400)는 외측 커버의 통풍공(211)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송풍기(400)의 흡기구(410)가 통풍공(211)에 면하도록, 송풍기(400)가 위치설정되어 있다. 송풍기(400)는 그 내측에, 흡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빠른 유속의 바람의 형태의 공기로 전환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할 수 있다. 송풍기(400)는, 바람 형태로 전환된 공기를 송풍구(420)를 통해 방출할 수 있다. 송풍기(400)는 일측에 송풍구(420)를 가질 수 있거나,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으로 이격된 두개의 송풍구(420)를 가질 수 있거나, 송풍기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의 송풍구(420)를 가질 수 있다. 송풍기(400)가 방출한 바람 형태의 공기는, 기류 통로(240)를 통해 분출공(121)으로 들어가고, 분출공(121)으로부터 두피를 향해 분출 및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기(400)는, 기류 통로(240)를 경유하여 분출공(121)을 통해 두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풍기(400)가 분출공(121)을 통해 분출한 공기가 두피에 공급되어, 두피에 가해진 열을 제거할 수 있고, 두피를 식힐 수 있다. 내측 커버의 돌출부(122)가 3열로 배치되어 있고, 돌출부(122)가 이루는 열들의 사이에 기판(300)의 전술한 제1 섹션이 배치되며, 돌출부(122)에 분출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레이저 다이오드가 조사하는 레이저 광에 의해 열이 가해지는 두피의 부분이, 송풍기(400)로부터의 바람 형태의 공기로 인해 용이하게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두피의 정수리 부분에서의 열이 제거될 수 있다. 송풍기(400)가 내측 커버(100)의 상단에 위치하므로, 송풍기(400)로부터 공기는 단축된 유동 거리의 범위에서 강한 압력으로 두피의 정수리 부분으로 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의 다양한 크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캡 장치의 내부와 머리의 두피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간극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의 간극 조절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간극 조절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간극 조절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간극 조절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캡 장치(10)는 내측 커버(100)에 결합되는 간극 조절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간극 조절 장치(500)는, 내측 커버 및 외측 커버의 챙부(140, 230)로부터 후방 방향(RD)으로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간극 조절 장치(500)는, 머리의 전방 방향(FD) 및 후방 방향(RD)으로 내측 커버(100)와 두피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간극 조절 장치(500)는, 사용자가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간극 조절 장치(500)를 조작함에 따라, 내측 커버(100)의 내면(111)과 두피 사이의 간극이 조절될 수 있으며, 머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은 사용자들 모두에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간극 조절 장치(500)는, 내측 커버(100)에의 고정을 위한 한 쌍의 밴드(510)와, 한 쌍의 밴드(510)가 삽입 및 수용되고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부에 접촉되는 하우징(520)과, 하우징(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 다이얼(5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밴드(510)는 내측 커버(100)의 둘레 방향(CD)으로 배치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위치된다. 조절 다이얼(530)을 회전시키면, 한 쌍의 밴드(510)의 겹침 영역(OR)이 증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520)이 전방 방향(FD) 또는 후방 방향(RD)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전방 방향(FD) 또는 후방 방향(RD)으로 내측 커버(100)와 두피 사이의 간극이 조절될 수 있다.
각 밴드(510)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밴드(510)는, 내측 커버의 내면(111)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부(511)와, 하우징(520)에 삽입 및 수용되는 타단부(512)와, 일단부(511)와 타단부(512)를 연결하는 연결부(513)를 갖는다. 일단부(511)에는, 내측 커버의 내면(111)을 향해 돌출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514)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커버(100)는 그 하단 부근에, 끼워맞춤 돌기(514)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구멍(132)(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514)가 끼워맞춤 구멍(132)에 끼워맞춤되므로, 밴드(510)의 일단부(511)는 내측 커버의 내면(111)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타단부(512)에는 랙 기어(515)가 형성되어 있다. 일단부(511)는 내측 커버(100)의 하단에 나란하게 위치한다. 연결부(513)는, 일단부(511)와 타단부(512)가 다른 높이로 위치되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에 따라, 타단부(512)를 수용하는 하우징(520)은 내측 커버(100)의 후방 측에서 내측 커버(100)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밴드(510)의 겹침 영역(OR)이 증대되거나 축소됨에 따라, 하우징(520)은 전방 방향(FD) 또는 후방 방향(RD)으로 이동될 수 있고, 내측 커버(100)의 전단과 하우징(520) 간의 거리가 감소 또는 증가될 수 있다. 하우징(520)은 한 쌍의 밴드(510)의 타단부(512)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520)은, 머리의 후두부에 접촉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전방 하우징(521)과, 조절 다이얼(530)이 배치되는 다이얼 구멍(523)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하우징(5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하우징(522)을 포함한다.
전방 하우징(521)과 후방 하우징(522)에는 내측 커버의 둘레 방향(CD)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 홈(524)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 홈(524)은 상하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 하우징(520)의 측단으로부터 하우징(520)의 내측으로 연장한다. 각 밴드(510)의 타단부(512)가 슬라이드 홈(524)에 삽입 및 수용되므로, 하우징(520)이 타단부(512)들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한다. 전방 하우징(521)은 그 중앙에, 한 쌍의 슬라이드 홈(524)의 사이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다이얼 샤프트(525)를 갖는다. 다이얼 구멍(523)은 후방 하우징(522)의 중앙에 후방 하우징(522)을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후방 하우징(522)은 그 후면에, 다이얼 구멍(523)을 둘러싸는 다수의 디텐트 톱니(526)를 갖는다. 다수의 디텐트 톱니(526)는 조절 다이얼(5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조절 다이얼(5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밴드(510)의 겹침 영역이 증대되고 하우징(520)이 전방 방향(F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절 다이얼(5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밴드(510)의 겹침 영역이 축소되고 하우징(520)은 후방 방향(R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절 다이얼(530)은 후방 하우징(522)을 통해 전방 하우징(5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 다이얼(530)은 하우징(520)의 내부에 위치하는 피니언 기어(531)를 갖는다. 피니언 기어(531)는 한 쌍의 밴드(510)의 각 타단부(512)의 랙 기어(515)의 사이에 배치되며 랙 기어(515)에 맞물린다. 조절 다이얼(530)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 기어(531)가 회전되고, 피니언 기어(531)에 맞물린 랙 기어(515)들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밴드(510)의 겹침 영역(OR)이 증대되거나 축소된다.
또한, 조절 다이얼(530)은, 소정의 미세한 간격으로 랙 기어(515)를 이동시키고 랙 기어(515)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조절 다이얼(530)은, 조절 다이얼(530)을 하우징(52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샤프트(532)와, 부착 샤프트(53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다이얼 휠(534)과, 다이얼 휠(534)의 회전에 연동하는 래칫 플레이트(536)를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531)는 래칫 플레이트(53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래칫 플레이트(53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착 샤프트(532)는 다이얼 휠(534), 래칫 플레이트(536), 피니언 기어(531) 및 다이얼 구멍(523)을 관통해, 다이얼 샤프트(525)에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부착 샤프트(532)는 플랜지(533)를 가지며, 플랜지(533)가 다이얼 휠(534)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이얼 휠(534)은 시계 방향(CW)과 반시계 방향(CCW)으로 다이얼 샤프트(525)와 부착 샤프트(53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다이얼 휠(534)은 전방 방향(FD)으로 돌출한 래칫 회전 돌기(535)를 갖는다. 래칫 플레이트(536)는 다이얼 휠(534)에 의해 덮히며, 디텐트 톱니(526)가 형성하는 환상의 내측에 위치한다.
래칫 플레이트(536)는, 디텐트 톱니(526) 중의 하나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 톱니(537)와, 래칫 톱니(537)의 외측 반경 방향 및 내측 반경 방향에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탄성 아암(538)을 갖는다. 또한, 래칫 플레이트(536)에는, 래칫 회전 돌기(535)가 여유를 가지고 삽입되는 슬릿(539)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슬릿(539)은 다이얼 휠(534)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래칫 회전 돌기(535)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즉, 래칫 회전 돌기(535)가 슬릿(539)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이얼 휠의 회전 방향으로 래칫 회전 돌기(535)와 슬릿(539)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탄성 아암(538)은 대략 U자형으로 구부러져, 그 안에 슬릿(539)을 한정한다. 래칫 회전 돌기(535)가 탄성 아암(538)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탄성 아암(538)의 내측 반부는, 래칫 회전 돌기(535)의 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된다. 탄성 아암(538)은, 예컨대, 다이얼 휠(53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킬 때, 래칫 회전 돌기(535)에 의해 내측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래칫 회전 돌기(535)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이얼 휠(534)을 회전시킴에 따라, 래칫 회전 돌기(535)가 슬릿(539)의 끝에 접촉된다. 래칫 회전 돌기(535)가 슬릿(539)의 끝에 접촉된 상태에서 다이얼 휠(534)이 회전됨에 따라, 래칫 플레이트(536)와 피니언 기어(531)가 회전된다. 피니언 기어(531)의 회전에 의해, 랙 기어(515)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래칫 회전 돌기(535)가 슬릿(539)의 끝에 접촉된 상태에서 다이얼 휠(534)이 회전됨에 따라, 래칫 플레이트(536)의 래칫 톱니(537)가 하나의 디텐트 톱니(526)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인접한 또 하나의 디텐트 톱니(526)에 맞물린다. 예컨대, 다이얼 휠(534)을 시계 방향(CW)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래칫 톱니(53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순차적으로 디텐트 톱니(526)에 맞물릴 수 있다. 디텐트 톱니(526)가 쐐기 형상을 취하므로, 다이얼 휠(534)의 시계 방향(CW)에서의 회전에 따라 래칫 톱니(537)는 순차적으로 디텐트 톱니(526)에 맞물릴 수 있다. 다이얼 휠(534)을 시계 방향(CW)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피니언 기어(531)가 시계 방향(CW)으로 회전되고, 한 쌍의 밴드의 겹침 영역(OR)이 증대되며 하우징은 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이얼 휠(534)을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시키면, 래칫 회전 돌기(535)가 탄성 아암(538)과 접촉되어 탄성 아암(538)을 내측 반경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칫 톱니(537)가 디텐트 톱니(52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 후, 다이얼 휠(534)을 반시계 방향(CCW)으로 더욱 회전시킴에 따라, 피니언 기어(5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한 쌍의 밴드의 겹침 영역(OR)이 축소되고 하우징은 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531)와 래칫 플레이트(536)가 결합되어 있고, 래칫 플레이트(536)가 다수의 디텐트 톱니(526)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맞물리므로, 이웃한 디텐트 톱니(526) 간의 피치에 해당하는 범위만큼 피니언 기어(531)의 회전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쌍의 밴드(510)의 겹침 영역의 증대 및 축소를 디텐트 톱니(526)의 피치를 단위로 하여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래칫 플레이트의 래칫 톱니(537)가 디텐트 톱니(526)에 맞물린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531)의 회전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밴드(510)의 겹침 영역(OR)이 고정될 수 있고 한 쌍의 밴드(510)에는 브레이크 작용이 가해질 수 있으며 하우징(5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휠의 래칫 회전 돌기(535)와 래칫 플레이트의 슬릿(539)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므로, 다이얼 휠(534)의 회전에 의해 즉시적으로 피니언 기어(531)가 회전되지 않고, 상기 여유 공간이 허용하는 회전 딜레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유감을 가지면서 다이얼 휠(534)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더욱 양호한 다이얼 휠의 조작감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캡 장치의 구성요소의 구동을 위한 전력의 위치에 관계 없이 캡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사용자가 두피 케어용의 빛을 조사하기 위한 다이오드와 두피에 공기를 제공하는 송풍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상기 다이오드와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및 이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전원은,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작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전원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제어 장치(610)와 전원(620)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610)와 전원(620)은, 외측 커버(200)로부터 연장하는 전선(630)에 연결되어 있는 조작기(6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선(630)은 제어 장치(610) 및 전원(6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기류 통로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판과 상기 송풍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620)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송풍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620)은 충전 가능한 전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원(620)은 제어 장치(6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610)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작동,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 및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610)는 회로 기판과 이에 장착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프로세서와 연동되는 타이머 소자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 장치(6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작기(600)는 사용자가 상기 다이오드의 작동을 위해 누를 수 있는 제1 푸시 버튼(641)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장치(6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작기(600)는 사용자가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위해 누를 수 있는 제2 푸시 버튼(64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가 사용자의 두피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푸시 버튼(641)을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610)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푸시 버튼(641)을 또 한번 누르는 경우, 제어 장치(610)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에 상기 타이머 소자가 구비되는 경우, 제어 장치(610)는 제1 푸시 버튼(641)의 조작 후에 소정 시간(예컨대, 약 15분) 동안 상기 다이오드들을 작동시킨 후에 상기 다이오드들을 정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푸시 버튼(642)을 누르는 경우, 제어 장치(610)는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송풍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푸시 버튼(642)을 또 한번 누르는 경우, 제어 장치(610)는 상기 송풍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회로 기판에 상기 타이머가 구비되는 경우, 제어 장치(610)는 제2 푸시 버튼(642)의 조작 후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송풍기를 작동 시킨 후에 상기 송풍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다른 작동의 예로서, 제어 장치(610)는 상기 다이오드들과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연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 푸시 버튼(641)을 누르면, 제어 장치(610)는 상기 다이오드들과 상기 송풍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작동의 예로서, 제어 장치(6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해 상기 송풍기의 세기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이오드들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제어 장치(610)에 의해 송풍기의 세기가 증감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다이오드들이 정지된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를 두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는, 빈번하게, 상기 다이오드들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를 두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이오드들이 조사하는 레이저 빛 또는 적외선 빛은 사용자의 눈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사용자가 캡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만 상기 다이오드들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에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착용 감지 선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장치는, 내측 커버(100)에 배치되는 착용 감지 센서(160)를 포함한다. 착용 감지 센서(160)는, 기판(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측 커버(100)를 통해 내측커버(100)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내측 커버(100)에 배치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160)는 도 11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6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착용 감지 센서(160)는, 내측 커버(100)가 두피에 착용되는 상태를 감지하도로 구성되며, 착용 상태의 감지 결과를 제어 장치(61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610)는, 착용 감지 센서(160)가 내측 커버(100) 내에 두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다이오드들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캡 장치를 두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제어 장치(610)에 의해 상기 다이오드들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160)는 두피의 정수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내측 커버(10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착용 감지 센서(160)가 내측 커버(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착용 감지 센서(160)는 광반사 센서(photo reflectiv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160)는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조사하는 빛을 그 수광부에서 받고 수광 신호를 제어 장치(61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착용 감지 센서(160)는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빛을 수광하지 못함에 관한 신호를 제어 장치(61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착용자의 머리의 측면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내측 커버(1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착용 감지 센서(160)에 의해 캡 장치의 착용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제어 장치(610)는, 착용 감지 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이 수광되지 못하는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내측 커버(100) 내에 두피가 존재하고 캡 장치가 두피에 착용되어 있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610)는, 착용 감지 센서(160)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이 수광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내측 커버(100) 내에 두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두피 케어용 캡 장치, 100: 내측 커버, 112: 외면, 121: 분출공, 122: 돌출부, 123: 위치치설정용 돌기, 140: 챙부, 160: 착용 감지 센서, 200: 외측 커버, 211: 통풍공, 230: 챙부, 240: 기류 통로, 300: 기판, 311: 관통공, 312: 위치설정용 구멍, 320: 레이저 다이오드, 330: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 351: 베이스부, 351: 아암부, 352: 아암부, 400: 송풍기, 500: 간극 조절 장치, 510: 밴드, 511: 일단부, 512: 타단부, 515: 랙 기어, 520: 하우징, 526: 디텐트 톱니, 530: 조절 다이얼 531: 피니언 기어, 536: 래칫 플레이트, 537: 래칫 톱니, 610: 제어 장치, 620: 전원, FD: 전방 방향, RD: 후방 방향, CD: 둘레 방향

Claims (12)

  1. 머리의 두피에 착용 가능한 두피 케어용 캡 장치이며,
    두피를 덮도록 형성되고,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피로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복수의 분출공을 갖는 내측 커버와,
    상기 내측 커버에 결합되고, 기류 통로를 상기 내측 커버의 외면을 따라 한정하도록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풍공을 갖는 외측 커버와,
    상기 기류 통로에서 상기 내측 커버의 상기 외면을 덮도록 상기 내측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두피에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다수의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분출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기판과,
    상기 내측 커버의 상단의 위치에서 상기 기류 통로에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통풍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기류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복수의 분출공을 통해 상기 두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된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커버는 상기 외측 커버를 향해 돌출한 복수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분출공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내측 커버에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는 상기 상단의 부근에서 상기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설정용 돌기를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한 쌍의 위치설정용 돌기가 각각 끼워맞춤되는 위치설정용 구멍을 갖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한 쌍의 위치설정용 돌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는, 상기 기류 통로가 상기 내측 커버의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내측 커버의 하단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는 상기 머리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한 챙부를 각각 갖고, 상기 내측 커버의 챙부와 상기 외측 커버의 챙부는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내측 커버의 상기 상단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내측 커버를 향하여 굽힘 가능한 복수의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암부 중 상기 내측 커버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아암부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하나의 관통공을 한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웃하는 아암부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머리의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으로 상기 내측 커버와 상기 두피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간극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조절 장치는,
    상기 내측 커버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부와 랙 기어가 형성된 타단부를 각각 갖고, 상기 내측 커버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밴드와,
    상기 한 쌍의 밴드의 타단부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의 후두부에 접촉되는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밴드의 상기 랙 기어의 사이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절 다이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디텐트 톱니를 갖고,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디텐트 톱니 중의 하나에 맞물리는 래칫 톱니를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래칫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조절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칫 톱니가 상기 다수의 디텐트 톱니에 순차적으로 맞물리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작동,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 및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송풍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커버가 상기 두피에 착용되는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착용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착용 감지 센서가 상기 내측 커버 내에 상기 두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두피 케어용 캡 장치.
KR1020210071927A 2021-06-03 2021-06-03 두피 케어용 캡 장치 KR10258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27A KR102583407B1 (ko) 2021-06-03 2021-06-03 두피 케어용 캡 장치
PCT/KR2022/006801 WO2022255684A1 (ko) 2021-06-03 2022-05-12 두피 케어용 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27A KR102583407B1 (ko) 2021-06-03 2021-06-03 두피 케어용 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098A KR20220164098A (ko) 2022-12-13
KR102583407B1 true KR102583407B1 (ko) 2023-10-05

Family

ID=8432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927A KR102583407B1 (ko) 2021-06-03 2021-06-03 두피 케어용 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3407B1 (ko)
WO (1) WO2022255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3407B (zh) * 2023-07-13 2024-02-02 浙江大学 一种基于红外扫描技术的佩戴式静脉穿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429B1 (ko) * 2020-07-22 2021-01-29 (주)루데아 두피 관리용 엘이디 레이저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0245A (en) * 1997-04-14 1999-09-14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Adjustable headband with a ratchet mechanism having different resistances
KR101242711B1 (ko) * 2011-05-16 2013-03-12 주식회사 박의지 회전조작형 밴드 타이트너
KR102190554B1 (ko) * 2013-06-28 2020-12-14 원텍 주식회사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
KR101803867B1 (ko) * 2016-05-04 2017-12-04 김종천 헬멧타입 두피 관리 장치
KR20200015149A (ko) * 2018-08-03 2020-02-12 이상헌 헬멧형 광 조사 모듈
KR102204002B1 (ko) 2020-04-29 2021-01-15 채민희 의료용 레이저를 사용한 탈모 방지용 헬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429B1 (ko) * 2020-07-22 2021-01-29 (주)루데아 두피 관리용 엘이디 레이저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098A (ko) 2022-12-13
WO2022255684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633B2 (en) Laser phototherapy device for illumination of the scalp to promote hair growth
US10112058B2 (en) Smart laser hair growth helmet
KR101616707B1 (ko) Led 마스크
KR20170008842A (ko) 피부 치료를 위한 광치료 장치
KR101616002B1 (ko) 안면 피부 클리닉 마스크 장치
KR102583407B1 (ko) 두피 케어용 캡 장치
JP2015139700A (ja) 光線カートリッジ及びクーリングカートリッジの取替えが可能な携帯用除毛器
KR20190125528A (ko) 광 치료 플랫폼 시스템
JP2018104876A (ja) 手術用マスク
US10363432B2 (en) Scalp-hair therapy system
KR102226317B1 (ko)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ES2942174T3 (es) Unidad de afeitado y afeitadora eléctrica que comprende un cuerpo principal y una unidad de afeitado
CN111514469B (zh) 生发帽及生发帽的校准方法
KR20210025570A (ko)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JP2015228347A (ja) 歯科用ヘッドライト装置
KR102179915B1 (ko) 수술용 마스크
JP7221316B2 (ja) 光線療法スポット付与装置
CN213527168U (zh) 便携式激光生发仪
KR102188902B1 (ko) 피부 관리 기기
KR102163756B1 (ko) 탈모 치료기
KR102667061B1 (ko) 피부 관리 기기
CN213252647U (zh) 激光生发仪
CN220309597U (zh) 头戴式治疗仪
KR102667062B1 (ko) 피부 관리 기기
CN220175877U (zh) 美容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