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900B1 - Surf rescue board - Google Patents

Surf rescue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900B1
KR102582900B1 KR1020210120881A KR20210120881A KR102582900B1 KR 102582900 B1 KR102582900 B1 KR 102582900B1 KR 1020210120881 A KR1020210120881 A KR 1020210120881A KR 20210120881 A KR20210120881 A KR 20210120881A KR 102582900 B1 KR102582900 B1 KR 102582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urfboard
strap
mounting portion
resc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7834A (en
Inventor
김나리
이승대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서프시티 협동조합
김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프시티 협동조합, 김나리 filed Critical 서프시티 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1012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900B1/en
Publication of KR2023003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40Twintip boards; Wakeboards; Surfboards; Windsurfing boards; Paddle boards, e.g. SUP board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70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프레스큐 보드에 관한 것으로 물에 뜨고, 서핑이 가능한 서프 보드 형상으로 제작된 서프 보드본체, 상기 서프 보드본체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복수의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조 작업 중 구조자 또는 사고자의 손에서 서프보드를 놓치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바닥면이 폭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져 부력을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board, which includes a surfboard body made in the shape of a surfboard that floats on water and is capable of surfing,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andles that ar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surfboard body and can be held by the hand, thereby helping rescuers during rescue operations. Alternatively, it can prevent accidents where the surfboard is lost from the victim's hand, and the bottom surface is flat in the width direction, improving buoyancy so rescu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stably.

Description

서프레스큐 보드{SURF RESCUE BOARD}SURF RESCUE BOARD}

본 발명은 서프레스큐 보드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ressor board.

일반적으로 서프레스큐는 서프 보드로 익수자를 구출해 내는 수상 인명 구조 방법이다. In general, suppression is a water lifesaving method that involves rescuing a drowning person using a surfboard.

즉, 수영에 미숙한 사람이 바다에서 물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파도가 치는 바다에서 수영보다 서프보드로 사고자에게 접근하는 것이 빠르기 때문에 사고자를 신속하게 구할 수 있는 점에서 서프레스큐를 이용한 구조가 유리한 점이 있다. In other words, if an accident occurs where an inexperienced swimmer falls into the water in the sea, it is faster to approach the victim with a surfboard than by swimming in a choppy sea, so the victim can be rescued quickly, which is why rescue using suppression is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그러나, 종래의 서프보드는 서핑을 위해 제작된 것으로 인명을 구조하는 데 있어 초보자가 사용 시 2명의 사람을 파도가 치는 바다에서 띄우는 부력을 가지는데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urfboard was manufactured for surfing, and had the problem of insufficient buoyancy to float two people in the sea with waves when used by a beginner in rescuing people.

또한, 종래의 서프보드는 서핑을 위해 제작된 것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 없어 구조 중 구조자가 손으로 놓치게 되어 사고자 뿐만 아니라 구조자도 위험에 빠지게 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In addition, conventional surfboards were manufactured for surfing and had no parts that could be grasped with the hand, so there was a risk that the rescuer could lose hold of the surfboard during rescue, putting not only the accident victim but also the rescuer in danger.

한국특허등록 제1024595호 "선외기형 추진기를 장착한 서프보드"(2011.03.17.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4595 “Surfboard equipped with an outboard propeller” (registered on March 17,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서프보드에 복수의 손잡이부가 위치되어 구조 시 구조자 또는 사고자의 손에서 서프보드를 놓치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서프레스큐 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ressor cue board that has a plurality of handles located on the surfboard to prevent accidents in which the surfboard is lost from the hand of a rescuer or casualty during rescu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면이 폭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지거나, 바닥에서 안착된 상태에서 최대 높이가 2cm이하로 설정되어 부력을 향상시킨 서프레스큐 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ressor board with improved buoyancy by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or by having a maximum height of 2 cm or less when seated on the floor.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는 물에 뜨고, 서핑이 가능한 서프 보드 형상으로 제작된 서프 보드본체, 상기 서프 보드본체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복수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board body made in the shape of a surfboard that floats on water and is capable of surfing,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surfboard body and is used by han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handle parts that can be grasped.

본 발명에서 상기 서프 보드본체는 바닥면이 폭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board body may have a flat bottom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바닥면에는 물을 뒤로 잘 보내주기 위해 앞쪽에 컨케이브 또는 V홈이 형성되며, 컨베이브 또는 V홈의 깊이는 2c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cave or V-groove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rfboard body to send water backward, and the depth of the conveyor or V-groove can be formed to be 2 cm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서프 보드본체는 양 측에 함몰된 홈 형태의 손잡이 장착용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장착용 홈부에 장착되며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재질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장착되는 손잡이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board main body is provided with grooves for mounting handles in the form of recessed grooves on both sides, is mounted on the grooves for mounting handles, and is stronger than the material of the surfboard main body. It is manufactured from a large material and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handle portion is mounted.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손잡이부재 또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측면 손잡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handle memb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or a side handle member mounted on a sid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측면 손잡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handle memb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nd a side handle member mounted on a sid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 장착부는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각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는 상기 상부 손잡이부재와 상기 측면 손잡이부재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mounting portions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rfboard body,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handle member and the side handle member may be mounted on each handl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내부에는 상부 측으로만 제1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와 제2스트랩 통과용 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스트랩 통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스트랩 통과부는 양 단부 측에 상기 제1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와 상기 제2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로 손잡이 스트랩을 안내하는 제1스트랩 안내 경사면과 제2스트랩 안내 경사면이 위치되며, 상기 상부 손잡이부는 상기 제1스트랩 통과부를 통과하여 서프 보드본체의 저면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상면에만 노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n outlet of the first strap passage hole and a second strap passage hole are located only on the upper side, and a first strap passage portion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board body is provided, The first strap passing portion has a first strap guiding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strap guiding inclined surface that guide the handle strap to the exit of the first strap passing hole and the exit of the second strap passing hole at both ends, The upper handle portion may be positioned so that it passes through the first strap passing portion and is not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surfboard body, but is exposed only to the top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는 상, 하 관통된 제2스트랩 통과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 손잡이부재는 상기 제2스트랩 통과부를 통과하여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측부에 링 형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strap passage portion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the side handle member passes through the second strap passage portion and may be positioned in a ring shape on the side of the surfboard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측면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 상기 손잡이 장착부 내에 위치되고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감겨 보관되는 줄 권취릴부재 및 상기 줄 권취릴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를 풀거나 감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suppressio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ing member for connecting a handle connected to the side handle, a string reel member located in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nd on which the str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handle is wound and stored, and the string winding reel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motor that rotates to unwind or wind the handle connection str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 손잡이부에 위치되고 구조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부 및 상기 마이크부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통해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음성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조자의 음성에 의해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를 풀거나 감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located on the side handle and includes a microphone unit that converts the rescu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through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microphone unit.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s voice to unwind or wind the handle connecting string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음성 작동 제어부에는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상기 줄 권취릴부재에서 풀리도록 하는 풀림 음성신호,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상기 줄 권취릴부재에 감기도록 하는 감김 음성신호,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음성신호가 기설정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의 길이는 구조자가 상기 풀림 음성신호, 상기 감김 음성신호, 상기 정지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를 외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includes an unwinding voice signal for unwinding the handle connection string member from the line take-up reel member, a winding voice signal for causing the handle connection string member to be wound around the line take-up reel member, and the rotation. A stop voice signal that stops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preset, and the length of the rope member for connecting the handle can be adjusted by the rescuer calling out any one of the release voice signal, the winding voice signal, and the stop voice signal. .

본 발명에서 상기 음성 작동 제어부는 구조자가 상기 풀림 음성신호를 한번 외칠 때 기설정된 길이만큼만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풀리도록 하고, 구조자가 상기 감김 음성신호를 한번 외칠 때 기설정된 길이만큼만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감기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releases the handle connection string member only for a preset length when the rescuer shouts the unwinding voice signal once, and connects the handle only for the preset length when the rescuer shouts the winding voice signal once. The rope member can be wound.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폭방향으로 가로 질러 위치되는 가로 스트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strap member positioned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rfboard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상면에서 앞쪽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균형 유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균형 유지부재는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상면에서 앞쪽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가로 스트랩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서핑 시에 분리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alance maintenance member located at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board body to balance the surfboard body, and the balance maintenance member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surfboard body. It is fixed by the horizontal strap member located at the front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and can be separated when surfing.

본 발명은 서프보드의 상면에 복수의 손잡이부가 위치되어 구조 작업 중 구조자 또는 사고자의 손에서 서프보드를 놓치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구조 작업 중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during rescue operations by placing a plurality of handl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board to prevent accidents in which the surfboard is lost from the hands of the rescuer or casualty during rescue operations.

본 발명은 바닥면이 폭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져 부력을 향상시켜 구조 작업 시 구조자와 사고자를 하중에 대해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여 구조자가 안정적으로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buoyancy by having a flat bottom in the width direction, providing sufficient buoyancy for the load of rescuers and casualties during rescue work, allowing rescuers to stably perform rescue 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 B-B', C-C' 단면도로써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장착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장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에서 측면 손잡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s A-A', B-B', and CC' of FIG. 1,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suppressio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suppressio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ide handle member in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are availab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B-B', C-C' 단면도로써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Figure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 B-B', C-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and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One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는 물에 뜨고, 서핑이 가능한 서프 보드 형상으로 제작된 서프 보드본체(100)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fboard body 100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surfboard that floats on water and is capable of surfing.

서프 보드본체(100)는 서핑이 가능한 공지의 서프 보드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urfboard body 10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shape of a known surfboard capable of surfing, s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서프 보드본체(100)는 스티로폼 등의 합성 수지재질로 물에 뜨는 재질로 제작되며, 이외에도 EPS폼(고강도 압축스티로폼), PU(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와 발포성 폴리스티렌 등 공지의 서핑 보드 재질로 하나의 몸체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surfboard body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styrofoam that floats on water, and in addition, known surfboard materials such as EPS foam (high-strength compressed styrofoam), PU (polyurethane), epoxy resin, and expandable polystyrene.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manufactured to have one body.

서프 보드본체(100)는 폭방향으로 세개의 몸체로 분리되고, 몸체 사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한쌍의 스트링거를 포함한다. The surfboard body 100 is divided into three bodi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cludes a pair of stringers positioned between the bod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더 상세하게 서프 보드본체(100)는 중앙에 위치되며 폼재질로 제조된 중앙 몸체부(110), 중앙 몸체부(110)의 일측에 위치되며 폼 재질로 제조된 제1측부 몸체부(120), 중앙 몸체부(110)의 타측에 위치되며 폼 재질로 제조된 제2측부 몸체부(130), 중앙 몸체부(110)와 제1측부 몸체부(120) 사이에 위치되는 제1스트링거부(140), 중앙 몸체부(110)와 제2측부 몸체부(130) 사이에 위치되는 제2스트링거부(150)를 포함한다. In more detail, the surfboard body 100 includes a central body 110 located in the center and made of a foam material, and a first side body 120 locat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body 110 and made of a foam material. , a second side body portion 130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body portion 110 and made of foam material, a first stringer portion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ody portion 110 and the first side body portion 120 ( 140), and includes a second stringer portion 150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side body portion 130.

제1스트링거부(140)와 제2스트링거부(150)는 폼 재질의 서프 보드본체(10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목재 재질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서프 보드에서 중앙 몸체부(110)와 제1측부 몸체부(120) 사이 및 중앙 몸체부(110)와 제2측부 몸체부(130) 사이에 위치되어 EPS폼(고강도 압축스티로폼), PU(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와 발포성 폴리스티렌 등 공지의 서프 보드 재질로 제조된 중앙 몸체부(110), 제1측부 몸체부(120), 제2측부 몸체부(130)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공지의 스트링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rst stringer part 140 and the second stringer part 150 are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surfboard body 100 made of foam, and are made of wood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central body part 110 in the surfboard and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body portion 120 and between the central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side body portion 130 and is made of EPS foam (high-strength compressed styrofoam), PU (polyurethane), epoxy resin, expandable polystyrene, etc. A known string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central body 110, the first side body 120, and the second side body 130 made of known surfboard material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서프 보드본체(100)는 한쌍의 나란한 제1스트링거부(140)와 제2스트링거부(150)를 포함하여 폼 재질의 강성을 보강하여 구부러지거나 비틀림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board body 100 includes a pair of side-by-side first stringer parts 140 and second stringer parts 150, which can stably prevent bending or twisting b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foam material.

또한, 서프 보드본체(100)는 바닥면이 폭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져 구조 작업 시 구조자와 사고자를 하중에 대해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여 구조자가 안정적으로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urfboard body 100 has a flat bottom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providing sufficient buoyancy for the load of rescuers and casualties during rescue operations, allowing rescuers to stably perform rescue operations.

서프 보드본체(100)의 바닥면에는 물을 뒤로 잘 보내주기 위해 앞쪽에 컨케이브 또는 V홈을 형성할 수 있다. On the bottom of the surfboard body 100, a concave or V-groove may be formed at the front to send water backward.

컨베이브 또는 V홈의 깊이는 2cm 이하로 형성하여 하중에 대해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여 구조자가 안정적으로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pth of the conveyor or V-groove is formed to be less than 2cm to provide sufficient buoyancy for the load, allowing rescuers to perform rescue work stably.

서프 보드본체(100)의 저면에는 후단부 측에 서핑용 핀부(300)가 위치되고, 서핑용 핀부(300)는 중앙에 돌출된 중앙핀부(310), 중앙핀부(3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사이드핀부(320)를 포함한다.On the bottom of the surfboard body 100, a surfing fin portion 300 is located at the rear end side, and the surfing fin portion 300 has a central fin portion 310 protruding in the center,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central fin portion 310. It includes a pair of side fin portions 320 that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서핑용 핀부(300)는 중앙핀부(310)만 구비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서프 보드에서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urfing fin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only the central fin unit 310, o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using a structure known in surfboards.

그리고, 서프 보드본체(100)는 바닥면이 폭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져 구조 작업 시 구조자와 사고자를 하중에 대해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여 구조자가 안정적으로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urfboard body 100 has a flat bottom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providing sufficient buoyancy for the load of rescuers and casualties during rescue work, allowing rescuers to stably perform rescue work.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는 서프 보드본체(100)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손잡이부(200)를 더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handle portions 200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board main body 100.

손잡이부(200)는 천재질의 띠형태를 가지는 스트랩인 것을 일 예로 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As an example, the handle portion 200 is a strap having a strip-shaped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whose length is adjustable.

손잡이부(200)는 물에 빠진 사고자 또는 사고자를 구하는 구조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충분한 폭을 가지는 띠 형태를 가지는 스트랩으로 제작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사출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As an example, the handle portion 200 is made of a strap having a band shape with a sufficient width that can be held by hand by a drowning victim or a rescuer rescuing an accident victim, an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in a shape that can be held by hand. It should be noted that injection-produced products can also be used.

또한, 손잡이부(200)는 구조자의 손이 통과되어 손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링형태의 스트랩일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handle portion 200 may be a ring-shaped strap that can be used by hanging on the wrist through which the rescuer's hand passes.

손잡이부(200)는 공지의 손잡이 형태 및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handle portion 200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odifications to known handle shapes and structures.

손잡이부(200)는 천재질의 띠형태로 제작된 손잡이 스트랩이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져 구조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 시 편의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200 is a handle strap made in the form of a strip of fabric, and has a structure that allows length adjustment, so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scuer's hand, ensuring convenience and stability during rescue.

손잡이부(200) 즉, 스트랩의 길이 조절 구조는 클립 등을 이용하여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길이 조절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handle portion 200, that is, the length adjustment structure of the strap,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using a known length adjustment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strap using a clip, etc.,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put it

손잡이부(200)는 서프 보드본체(100)의 양 측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더 상세하게 서프 보드본체(100)의 양측에 쌍을 이루도록 대치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구조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어 사용 시 편의성과 구조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200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on both sides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more detail, the handle portion 200 is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and i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it is provided in multiple pieces and spaced apart, the rescuer can selectively hold it at the desired location using both hands, thereby ensuring convenience during use and stability during rescue.

서프 보드본체(100)는 양 측에 함몰된 홈 형태의 손잡이 장착용 홈부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 장착용 홈부에 장착되며 서프 보드본체(100)의 재질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제조되며 손잡이부(200)가 장착되는 손잡이 장착부(600)를 더 포함한다. The surfboard body 100 is provided with grooves for mounting a handle in the form of recessed grooves on both sides, and one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groove for mounting a handle and the material of the surfboard body 100 It is made of a material with greater strength and further includes a handle mounting portion 600 on which the handle portion 200 is mounted.

손잡이 장착부(600)는 서프 보드본체(100)의 폼재질보다 강도가 큰 폼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 목재 등으로 손잡이부(200)를 구조자가 잡아 당길 때 손잡이부(200)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강성을 가지는 폼재질로 제조되며, 서프 보드 재질인 폼보다 강도가 강하고 손잡이부(200)가 잡아당겨지는 힘에 의해 변형 및 손상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공지의 폼 재질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The handle mounting portion 600 is made of foam material, synthetic resin material, wood, etc., which is stronger than the foam material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so that it is not deformed or damaged by the handle portion 200 when the rescuer pulls the handle portion 200. It is manufactured from a foam material with high rigidity, and is stronger than foam, which is a surfboard material, and is modified in various ways using a known foam material that has a strength that does not deform or damage the handle portion 200 by the pulling force. Let us know that it can be implemented.

손잡이부(200)는 손잡이 장착부(600)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손잡이부재(210), 손잡이 장착부(600)의 측면에 장착되는 측면 손잡이부재(220)를 포함하여 복수의 상부 손잡이부재(210)와 복수의 측면 손잡이부재(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조자가 구조 작업 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200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handle members 210, including an upper handle member 21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600 and a side handle member 220 mounted on the sid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600. A rescuer can selectively hold at least one of the side handle members 220 and the plurality of side handle members 220 as needed during rescue work.

손잡이 장착부(600)는 서프 보드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각 손잡이 장착부(600)에는 상부 손잡이부재(210)와 측면 손잡이부재(220)가 각각 장착되어 구조자가 복수의 상부 손잡이부재(210)와 복수의 측면 손잡이부재(2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해서 잡을 수 있고, 양손으로 2개를 선택해서 잡을 수 있다. The handle mounting portions 600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rfboard body 100,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handle member 210 and a side handle member 220 are respectively mounted on each handle mounting portion 600. Thus, the rescuer can select and hol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pper handle members 210 and the plurality of side handle members 220, and can select and hold two of the plurality of upper handle members 210 and the plurality of side handle members 220.

손잡이부(200)는 서프 보드본체(100)의 상면에만 노출되게 위치되고, 서프 보드의 하부면 즉, 저면에는 노출되지 않아 서핑 시 불편함을 주지 않고, 서핑 보드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The handle portion 200 is positioned to be expos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board body 100 and is not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rfboard, that is, the bottom, so it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when surfing and does not interfere with performing the role of the surfboard. It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work.

서프 보드본체(100)의 저면에는 후단부 측에 서핑용 핀부(300)가 위치되고, 서핑용 핀부(300)는 중앙에 돌출된 중앙핀부(310), 중앙핀부(3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사이드핀부(320)를 포함한다.On the bottom of the surfboard body 100, a surfing fin portion 300 is located at the rear end side, and the surfing fin portion 300 has a central fin portion 310 protruding in the center,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central fin portion 310. It includes a pair of side fin portions 320 that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서핑용 핀부(300)는 중앙핀부(310)만 구비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서프 보드에서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urfing fin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only the central fin unit 310, o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using a structure known in surfboards.

그리고, 서프 보드본체(100)는 바닥면이 폭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져 구조 작업 시 구조자와 사고자를 하중에 대해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여 구조자가 안정적으로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urfboard body 100 has a flat bottom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providing sufficient buoyancy for the load of rescuers and casualties during rescue work, allowing rescuers to stably perform rescue work.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장착부(6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장착부(6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600 in an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600 in an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도 5를 참고하면 손잡이 장착부(600)에는 서프 보드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손잡이부재(210)가 통과되어 장착되는 제1스트랩 통과부(610)가 위치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strap passing part 610 through which the upper handle member 210 is passed and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is located in the handle mounting part 600.

상부 손잡이부재(210)는 손잡이 장착부(600)의 내부에서 서프 보드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스트랩 통과부(610)를 통과하여 서프 보드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위치되는 스트랩으로 구조자가 잡기 용이하고, 서프 보드본체(100)의 측부에서 스트랩 사이로 손을 끼워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The upper handle member 210 is position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through the first strap passing part 610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inside the handle mounting portion 600. The strap makes it easy for the rescuer to hold, and the rescuer can hold it stably by inserting his or her hand between the straps on the side of the surfboard body 100.

제1스트랩 통과부(610)는 손잡이 장착부(600)의 상부면에만 2개의 입구를 구비하고 서프 보드본체(10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어 상부 손잡이부재(210)를 서프 보드본체(100)는 바닥면에서 노출시키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The first strap passing part 610 has two entrances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mounting part 600 and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surfboard main body 100 to connect the upper handle member 210 to the surfboard main body 100. ) has a structure that is not exposed at the bottom.

더 상세하게 제1스트랩 통과부(610)는 양 단부 측에 제1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611)와 제2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612)로 손잡이 스트랩을 안내하는 제1스트랩 안내 경사면(611a)과 제2스트랩 안내 경사면(611b)이 위치된다. In more detail, the first strap passing portion 610 has a first strap guiding inclined surface that guides the handle strap to the exit 611 of the first strap passing hole and the exit 612 of the second strap passing hole on both end sides. (611a) and the second strap guide inclined surface (611b) are located.

제1스트랩 안내 경사면611a과 제2스트랩 안내 경사면(611b)은 상부 손잡이부재(210)인 스트랩을 제1스트랩 통과부(610)로 통과시켜 조립할 때 또는 상부 손잡이부재(210)인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할 때 스트랩의 이동을 안내하여 스트랩의 조립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며, 길이 조절 시 마찰에 의한 스트랩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The first strap guide inclined surface 611a and the second strap guiding inclined surface 611b are used when assembling the strap, which is the upper handle member 210, by passing it through the first strap passing part 610, or when assembling the length of the strap, which is the upper handle member 210. It guides the movement of the strap when adjusting, making it easy to assemble and replace the strap, and minimizing damage to the strap due to friction when adjusting the length.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손잡이 장착부(600)에는 상, 하 관통된 제2스트랩 통과부(620)가 구비되고, 측면 손잡이부재(220)는 제2스트랩 통과부(620)를 통과하여 서프 보드본체(100)의 측부에 링 형상으로 위치되어 구조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고, 손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the handle mounting portion 600 is provided with a second strap passage portion 620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the side handle member 220 passes through the second strap passage portion 620 and is connected to the surfboard. It is located in a ring shape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rescuer can hold it with his hand and use it by hanging it on his wrist.

측면 손잡이부재(2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클립 구조를 가져 길이 조절되어 구조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도 있고, 구조자가 원하는 크기로 착용 구멍을 조절할 수 있다.The side handle member 220 has a clip structure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worn on the rescuer's wrist, and the wearer can adjust the wearing hole to a desired size.

측면 손잡이부재(220)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여 암수 구조로 탈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고, 탄성 재질의 밴드로 길이조절되어 구조자의 손목에 The side handle member 220 may be adjustable in length with a Velcro tape that is detachable in a male and female structure, including a Velcro tape, and can be adjusted in length with a band made of elastic material to fit on the rescuer's wrist.

측면 손잡이부재(220)는 공지의 스트랩 길이 조절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side handle member 220 is a known strap length adjustment structure that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측면 손잡이부재(220)는 서프 보드본체(100)의 측부에 위치되어 구조자가 상부 손잡이부재(210) 중 하나를 선택해서 잡을 수 있고, 특히 구조 작업 중 상부 손잡이부재(210)를 구조자가 잡을 경우 서프 보드본체(100)가 뒤집어질 위험이 있어 구조 작업 중 즉, 사고자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때 까지는 측면 손잡이부재(220)를 이용하고, 사고자의 자세가 안정화된 후 또는 사고자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부 손잡이를 이용하여 구조 작업 중 편의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side handle member 22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so that the rescuer can select and hold one of the upper handle members 210, especially when the rescuer holds the upper handle member 210 during rescue work. There is a risk of the surfboard body 100 turning over, so the side handle member 220 is used during rescue operations, that is, until the casualty's posture is stabilized, and after the casualty's posture is stabilized or when moving to the casualty's location. The upper handle can be used to ensure convenience and stability during rescue operations.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에서 측면 손잡이부재(2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는 측면 손잡이부재(220)에 연결되는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 손잡이 장착부(600) 내에 위치되고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가 감겨 보관되는 줄 권취릴부재(800), 줄 권취릴부재(800)를 회전시켜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를 풀거나 감는 회전모터(900), 회전모터(9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0)를 더 포함한다.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ide handle member 220 in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onnecting a handle connected to the side handle member 220. The rope member 700, the rope winding reel member 800, which is located in the handle mounting portion 600 and stored around the handle connecting rope member 700, and the rope winding reel member 800 are rotated to connect the handle ( I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motor 900 for unwinding or winding 700, and a control unit 10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900.

그리고 제어부(1000)는 측면 손잡이부재(220)에 위치되고 구조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부(1100), 마이크부(110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통해 회전모터(9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음성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조자의 음성에 의해 회전모터(9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를 풀거나 감을 수 있다. And the control unit 1000 is located on the side handle member 22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900 through the microphone unit 1100, which converts the rescuer's voice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unit 1100.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900 can be controlled by the rescuer's voice, including a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to unwind or wind the handle connecting rope member 700.

또한, 측면 손잡이부재(220)는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 또는 손목 스트랩이고, 손목 밴드 또는 손목 스트랩이 장착되고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가 연결되는 줄연결 블록(221)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handle member 220 is a wrist band or wrist strap worn on the wrist, and may include a string connection block 221 to which the wrist band or wrist strap is mounted and the string member 700 for connecting the handle is connected. .

그리고, 마이크부(1100)는 줄연결 블록(221)에 구비되며, 구조자는 손목에 측면 손잡이부재(220)를 착용하고 구조 작업을 수행하고, 구조 작업 중 필요에 따라 음성으로 회전모터(900)의 작동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microphone unit 1100 is provided on the line connection block 221, and the rescuer performs rescue work while wearing the side handle member 220 on the wrist, and uses the rotating motor 900 by voice as needed during the rescue work. Controls the operation of

음성 작동 제어부(1200)에는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가 줄 권취릴부재(800)에서 풀리도록 하는 풀림 음성신호,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가 줄 권취릴부재(800)에 감기도록 하는 감김 음성신호, 회전모터(9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음성신호가 기설정되어 있고, 구조자는 풀림 음성신호, 감김 음성신호, 정지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를 외침으로써 구조 작업 중 간단하게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1200 includes a release voice signal that causes the handle connection rope member 700 to be released from the line take-up reel member 800, and a release voice signal to cause the handle connection rope member 700 to be wound around the line take-up reel member 800. A winding voice signal and a stop voice signal that stops the operation of the rotary motor 900 are preset, and the rescuer can simply connect the handle during rescue work by calling one of the release voice signal, winding voice signal, and stop voice signal. The length of the rope member 700 can be adjusted.

일 예로 구조자가 "풀어"라고 외치면 음성 작동 제어부(1200)가 이를 감지하여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가 줄 권취릴부재(800)에서 풀리도록 회전모터(900)를 작동시키고, 구조자가 "감어" 또는 "감아"라고 외치면 음성 작동 제어부(1200)가 이를 감지하여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가 줄 권취릴부재(800)에 감기도록 회전모터(900)를 작동시키고, 구조자가 "정지"라고 외치면 음성 작동 제어부(1200)가 이를 감지하여 회전모터(9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scuer shouts “Release,” the voice-operated control unit 1200 detects this and operates the rotation motor 900 so that the handle connection rope member 700 is released from the line winding reel member 800, and the rescuer says, “ When you shout "Wind" or "Wind," the voice-operated control unit 1200 detects this and operates the rotation motor 900 so that the handle connection rope member 700 is wound around the line winding reel member 800, and the rescuer says "Stop." If you shout ", the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1200 detects this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900, there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ing member 700 for connecting the handle.

음성 작동 제어부(1200)는 회전모터(900)를 단계별로 작동시켜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의 길이 조절이 더 용이하도록 한다. The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1200 operates the rotation motor 900 step by step to make it easi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ring member 700 for connecting the handle.

더 상세하게, 음성 작동 제어부(1200)는 구조자가 풀림 음성신호를 한번 외칠 때 기설정된 길이만큼만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가 풀리도록 하고, 구조자가 감김 음성신호를 한번 외칠 때 기설정된 길이만큼만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가 감기도록 하여 구조자가 정지 음성신호를 외치지 않더라도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가 갑자기 너무 많이 감기거나 너무 많이 풀어지게 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1200 causes the handle connecting rope member 700 to be released only by a preset length when the rescuer shouts an unwinding voice signal once, and only by a preset length when the rescuer shouts a winding voice signal once. By allowing the rope member 700 for connecting the handle to be wound, it is possible to reduce accidents in which the rope member 700 for connecting the handle is suddenly wound too much or unwound too much even if the rescuer does not shout a stop voice signal.

즉, 구조자는 서프 보드본체(100)를 이용하여 헤엄을 쳐서 사고자의 위치까지 이동하며, 사고자의 자세가 불안정한 경우 구조자는 서프레스큐 보드를 놓고 사고자의 자세를 안정화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서프 보드본체(100)가 방해가 될 수 있어 이에 구조자는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의 길이를 늘려 서프 보드본체(100)가 구조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고, 사고자의 자세가 안정화된 후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700)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서프 보드본체(100)를 이용하여 사고자를 안정적으로 구조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rescuer swims to the position of the casualty using the surfboard main body (100), and if the casualty's posture is unstable, the rescuer must place the suppressor board to stabilize the casualty's posture. In this case, the surfboard main body (100) ) may be in the way, so the rescuer increases the length of the rope member 700 for connecting the handle to prevent the surfboard body 100 from interfering with the rescue operation, and after the posture of the casualty is stabilized, the rope member for connecting the handle is By reducing the length of 700, it is possible to stably rescue the accident victim using the surfboard body 10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다른 실시예는 폭방향으로 가로 질러 위치되는 가로 스트랩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9,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ress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strap member 400 located across the width direction. ) may further be included.

가로 스트랩부재(400)의 양 단부는 고리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As an exampl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trap member 400 are connected in a ring structure, and have a structure whose length is adjustable.

가로 스트랩부재(400)는 구조자 또는 사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구조 용품을 걸어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strap member 400 may be used as a handle that a rescuer or accident victim can hold with his or her hand, or may be used to hang and store rescue supplies.

가로 스트랩부재(400)는 손잡이 용도로 사용되어 구조자 또는 사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범위를 넓혀 구조 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구조 시 보관 중인 구조 용품을 이용하여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strap member 400 is used as a handle to secure convenience during rescue by expanding the range that the rescuer or casualty can hold with their hands, and perform safer and more stable rescue work by using rescue supplies stored during rescue. ca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프레스큐 보드의 다른 실시예는 서프 보드본체(100)의 상면에서 앞쪽 부분에 위치되어 서프 보드본체(100)의 균형을 잡아주는 균형 유지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lance maintenance member 50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to balance the surfboard main body 100. there is.

균형 유지부재(500)는 서프 보드본체(100)의 상면에서 앞쪽 부분에 위치되는 가로 스트랩부재(400)에 의해 고정되고, 서핑 시에 분리될 수 있다. The balance maintenance member 500 is fixed by the horizontal strap member 40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board body 100, and can be separated during surfing.

균형 유지부재(500)는 서프 보드본체(100)의 폭방향에서 중앙부에 위치되고 서프 보드본체(100)의 앞쪽에 위치되어 구조 작업 시 서프 보드본체(10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balance maintenance member 500 is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and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to stably maintain the posture of the surfboard main body 100 during rescue work. .

본 발명은 서프보드의 상면에 복수의 손잡이부(200)가 위치되어 구조 작업 중 구조자 또는 사고자의 손에서 서프보드를 놓치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구조 작업 중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andle parts 200 ar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board to prevent accidents in which the surfboard is lost from the hands of the rescuer or casualty during rescue work, thereby improving safety during rescue work.

본 발명은 바닥면이 폭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져 부력을 향상시켜 구조 작업 시 구조자와 사고자를 하중에 대해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여 구조자가 안정적으로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buoyancy by having a flat bottom in the width direction, providing sufficient buoyancy for the load of rescuers and casualties during rescue work, allowing rescuers to stably perform rescue work.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are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서프 보드본체 110 : 중앙 몸체부
120 : 제1측부 몸체부 130 : 제2측부 몸체부
140 : 제1스트링거부 150 : 제2스트링거부
200 : 손잡이부 210 : 상부 손잡이부재
220 : 측면 손잡이부재 221 : 줄연결 블록
300 : 서핑용 핀부 310 : 중앙핀부
320 : 사이드핀부 400 : 가로 스트랩부재
500 : 균형 유지부재 600 : 손잡이 장착부
610 : 제1스트랩 통과부
611 : 제1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 611a : 제1스트랩 안내 경사면
612 : 제2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 612a : 제1스트랩 안내 경사면
620 : 제2스트랩 통과부 700 :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
800 : 줄 권취릴부재 900 : 회전모터
1000 : 제어부 1100 : 마이크부
1200 : 음성 작동 제어부
100: Surfboard body 110: Central body portion
120: first side body portion 130: second side body portion
140: 1st string rejection 150: 2nd string rejection
200: handle part 210: upper handle member
220: Side handle member 221: String connection block
300: Surfing fin part 310: Central fin part
320: Side fin portion 400: Horizontal strap member
500: Balance maintaining member 600: Handle mounting portion
610: First strap passing part
611: Exit of the first strap passing hole 611a: First strap guiding slope
612: Exit of second strap passing hole 612a: First strap guiding slope
620: Second strap passing part 700: String member for connecting handle
800: Line winding reel member 900: Rotation motor
1000: Control unit 1100: Microphone unit
1200: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Claims (15)

물에 뜨고, 서핑이 가능한 서프 보드 형상으로 제작된 서프 보드본체;
상기 서프 보드본체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복수의 손잡이부; 및
상기 서프 보드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장착되는 손잡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손잡이부재 또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측면 손잡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장착부는 상부 측으로만 제1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와 제2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가 위치되고,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스트랩 통과부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스트랩 통과부는 양 단부 측에 상기 제1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와 상기 제2스트랩 통과용 구멍의 출구로 손잡이 스트랩을 안내하는 제1스트랩 안내 경사면과 제2스트랩 안내 경사면이 위치되며,
상기 상부 손잡이부는 상기 제1스트랩 통과부를 통과하여 서프 보드본체의 저면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상면에만 노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A surfboard body made in the shape of a surfboard that floats on water and is capable of surfing;
a plurality of handle par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surfboard body and can be held by hand; and
It is provided on the surfboard body and includes a handl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mounted,
The handle part,
It includes an upper handle memb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or a side handle member mounted on a sid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The handle mounting unit has an outlet of a hole for passing a first strap and an outlet of a hole for passing a second strap located only on the upper side, and a first strap passing part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board body is provided therein,
The first strap pass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strap guiding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strap guiding inclined surface that guide the handle strap to the exit of the first strap passing hole and the exit of the second strap passing hole at both ends,
A surf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handle por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strap passing portion and is not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surfboard body, but is positioned to be exposed on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물에 뜨고, 서핑이 가능한 서프 보드 형상으로 제작된 서프 보드본체;
상기 서프 보드본체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복수의 손잡이부; 및
상기 서프 보드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장착되는 손잡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손잡이부재 또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측면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는 상, 하 관통된 제2스트랩 통과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 손잡이부재는 상기 제2스트랩 통과부를 통과하여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측부에 링 형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A surfboard body made in the shape of a surfboard that floats on water and is capable of surfing;
a plurality of handle par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surfboard body and can be held by hand; and
It is provided on the surfboard body and includes a handl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mounted,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n upper handle memb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or a side handle member mounted on a side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 suppressor cue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mounting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strap passing part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side handle member passes through the second strap passing part and is positioned in a ring shape on the side of the surfboard main body.
물에 뜨고, 서핑이 가능한 서프 보드 형상으로 제작된 서프 보드본체;
상기 서프 보드본체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복수의 손잡이부; 및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폭방향으로 가로 질러 위치되는 가로 스트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A surfboard body made in the shape of a surfboard that floats on water and is capable of surfing;
a plurality of handle par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surfboard body and can be held by hand; and
A surf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rizontal strap member positioned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rfboard main bod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장착부는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양 측에 함몰된 홈 형태로 구비된 손잡이 장착용 홈부에 장착되며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재질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In claim 1 or claim 2,
The handle mounting part is mounted on a handle mounting groov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ssed groove on both sides of the surfboard main body, and is manufactured from a material stronger than the material of the surfboard main bod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바닥면에는 물을 뒤로 잘 보내주기 위해 앞쪽에 컨케이브 또는 V홈이 형성되며, 컨베이브 또는 V홈의 깊이는 2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onvex or V-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urfboard body at the front to send water backward, and the depth of the conveyor or V-groove is formed to be 2 cm or less.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장착부는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각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는 상기 상부 손잡이부재와 상기 측면 손잡이부재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In claim 1 or claim 2,
The handle mounting portion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rfboard body,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handle member and the side handle member are respectively mounted on each handle moun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
상기 손잡이 장착부 내에 위치되고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감겨 보관되는 줄 권취릴부재; 및
상기 줄 권취릴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를 풀거나 감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In claim 1 or claim 2,
A str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handle connected to the side handle portion;
A rope winding reel member located within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nd on which the handle connection rope member is wound and stored; and
a rotation motor that rotates the line winding reel member to unwind or wind the handle connecting line member; and
A suppressor cue boar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 손잡이부에 위치되고 구조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부; 및
상기 마이크부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통해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음성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조자의 음성에 의해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를 풀거나 감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In claim 10,
The control unit,
A microphone unit located on the side handle and converting the rescu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ncluding a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through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by the rescuer's voice to loosen or wind the handle connection rope member. Featured suppress cue boar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작동 제어부에는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상기 줄 권취릴부재에서 풀리도록 하는 풀림 음성신호,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상기 줄 권취릴부재에 감기도록 하는 감김 음성신호,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음성신호가 기설정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의 길이는 구조자가 상기 풀림 음성신호, 상기 감김 음성신호, 상기 정지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를 외침으로써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In claim 11,
The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includes an unwinding voice signal for unwinding the handle connection string member from the line take-up reel member, a winding voice signal for causing the handle connection string member to be wound around the line take-up reel member, and an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A stop voice signal to stop the surf is preset, and the length of the rope member for connecting the handle is adjusted by a rescuer calling one of the release voice signal, the winding voice signal, and the stop voice signal. Rescue Boar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작동 제어부는 구조자가 상기 풀림 음성신호를 한번 외칠 때 기설정된 길이만큼만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풀리도록 하고, 구조자가 상기 감김 음성신호를 한번 외칠 때 기설정된 길이만큼만 상기 손잡이 연결용 줄부재가 감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In claim 12,
The voice operation control unit unwinds the handle connecting rope member only by a preset length when the rescuer shouts the unwinding voice signal once, and releases the handle connection rope member only by a preset length when the rescuer shouts the winding voice signal once. A suppressor board characterized by winding.
삭제dele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상면에서 앞쪽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균형 유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균형 유지부재는 상기 서프 보드본체의 상면에서 앞쪽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가로 스트랩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서핑 시에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레스큐 보드.
In claim 3,
It further includes a balance maintenance member located at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board body to balance the surfboard body,
The balance maintenance member is fixed by the horizontal strap member located at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board body, and is detachable during surfing.
KR1020210120881A 2021-09-10 2021-09-10 Surf rescue board KR102582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881A KR102582900B1 (en) 2021-09-10 2021-09-10 Surf rescue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881A KR102582900B1 (en) 2021-09-10 2021-09-10 Surf rescue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834A KR20230037834A (en) 2023-03-17
KR102582900B1 true KR102582900B1 (en) 2023-09-26

Family

ID=8587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881A KR102582900B1 (en) 2021-09-10 2021-09-10 Surf rescue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9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369B2 (en) * 1990-03-22 2001-11-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Metallic laminated coating structure
JP2002101794A (en) * 2000-09-29 2002-04-09 Daiwa Seiko Inc Reel for fishing
KR102015432B1 (en) * 2018-03-02 2019-08-28 청정테크주식회사 Surfing board
US20210147041A1 (en) * 2017-12-21 2021-05-20 WBV Weisenburger Bau+Verwaltung GmbH Surfboard with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08B1 (en) * 2008-06-11 2010-09-03 주식회사 스타마린 Inflatable board for surfing
KR101024595B1 (en) 2008-09-11 2011-03-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 surf board with outboard engine type propulsive apparatus
JP3232369U (en) * 2021-03-29 2021-06-10 株式会社ラウンドテールジャパン Folding bo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369B2 (en) * 1990-03-22 2001-11-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Metallic laminated coating structure
JP2002101794A (en) * 2000-09-29 2002-04-09 Daiwa Seiko Inc Reel for fishing
US20210147041A1 (en) * 2017-12-21 2021-05-20 WBV Weisenburger Bau+Verwaltung GmbH Surfboard with handle
KR102015432B1 (en) * 2018-03-02 2019-08-28 청정테크주식회사 Surfing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834A (en)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149E1 (en) Water safety and survival system
US4016616A (en) Diver flotation apparatus
US4919631A (en) Underwater diving system
US3587123A (en) Boat boarding device
US6666622B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with eccentric fixed and mobile ballast and buoyant members
US4645465A (en) Scuba gear with combined flotation and transport device
EP0145461A2 (en) Rescue device
US5074714A (en) Independent scuba tank stabilizing/weight ballast frame
US8720751B2 (en) Lifesaver backpack
US5025747A (en) Flotation supported submersible swim platform
JP7268146B2 (en) Water rescue horseshoe life buoy and associated rescue rope assembly
US3711879A (en) Rescue sled
DK156041B (en) LIFESTYLE OR LIFTING Wreath
KR102582900B1 (en) Surf rescue board
KR101975280B1 (en) Life saving apparatus
US20150232160A1 (en) Snorkel system and flotation device
CA2546927C (en) Portable self-rescue device for kayakers
US20180244359A1 (en) Underwater recreation system
EP1490261B3 (en) Mooring of an inflatable liferaft to a vessel side
US20130130580A1 (en) Hand-held portable and inflata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US20200207448A1 (en) Lifeboat launch control system
RU2718508C1 (en) Set of means of floating rescue device with small impellers on compressed airflow with remote control
KR200490451Y1 (en) Inflatable rescue bouy
CN210942189U (en) Multifunctional seat type lifesaving floating tool for inland ship
CN203902818U (en) Love lifesaving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