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857B1 -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공정 - Google Patents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857B1
KR102582857B1 KR1020217014674A KR20217014674A KR102582857B1 KR 102582857 B1 KR102582857 B1 KR 102582857B1 KR 1020217014674 A KR1020217014674 A KR 1020217014674A KR 20217014674 A KR20217014674 A KR 20217014674A KR 102582857 B1 KR102582857 B1 KR 10258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sh
zone
feed
unit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439A (ko
Inventor
앤튼 엔. 믈리나
그레고리 에이. 언스트
알. 제이슨 엘. 노에
Original Assignee
유오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피 엘엘씨 filed Critical 유오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8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8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01D15/1828Simulated moving beds characterised by process features
    • B01D15/1835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01D15/185Simulated moving bed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sepa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67C8H10 hydrocarbons
    • C07C15/08X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05Processes comprising at least two steps in s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일렌 추출 공정을 위한 공급물에 대한 이중 추출물 플러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사 이동층 추출 공정을 위한 공급물에 대한 이중 추출물 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라인 플러시 인 및 라인 플러시 아웃을 분리시켜, 각각의 플러시를 독립적으로 최적화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은 각각의 층라인(bedline)을 최소화하고 각각 그 자신의 층라인 부피에 따라 플러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이는 챔버에 첨가되는 임의의 추가의 비-이상적인 조성물 또는 하류 분별을 최소화할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공정
본 발명은 자일렌 추출 공정을 위한 공급물의 이중 추출물 플러시(dual extract flush)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사 이동층(simulated moving bed)의 사용에 의한 파라-자일렌 추출 또는 메타-자일렌 추출과 같은 자일렌 추출 공정을 위한 공급물의 이중 추출물 플러시에 관한 것이다.
파라-자일렌 및 메타-자일렌 모사 층 분리 공정, 및 다른 모사 이동층 분리 공정에서, 추출된 스트림 및 추출되지 않은 스트림 둘 모두를 운반하기 위해 층라인(bedline)들이 사용된다. 이는 추출된 스트림이 배출될 수 있기 전에 이들 층라인을 플러싱하여 추출되지 않은 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행해지지 않으면, 생성물의 순도가 영향을 받을 것이다. 현재의 관행에서는, 공급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된 층라인이 2회 플러싱된다. 첫 번째에는, 공급물이 2개의 층라인으로 아래로 진행한 후에, 잔류 공급물 재료가 챔버들 내로 플러싱되고 흡착 사이클의 반대편 단부로부터의 추출물 재료로 대체된다. 두 번째 플러시는, 처음에 플러싱되지 않은 임의의 잔류 오염물과 함께, 이제 층라인 내에 있는 추출물 재료를 추출물이 배출되는 곳 바로 아래의 층으로 밀어낸다.
현재의 관행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로, 이것은 라인 플러시 아웃(line flush out)의 요건을 초기 라인 플러시 인(line flush in)과 결부시키지만, 이들 둘은 동일한 최적 설정을 갖지 않을 수 있다(즉, 라인 플러시 아웃은 100%에서 최적일 수 있는 반면, 라인 플러시 인은 100% 초과에서 최적일 수 있다). 둘째로, 이것은 추출 컬럼으로 보내지는 재료에 상당하는 최초 층라인 부피일 탈착제로 가득 찬 상태로 층라인을 남겨 두며, 이는 분리에 비효율적인데, 그 이유는 이러한 재료가 이미 분리되어 있음에도, 이를 분리하는 데 열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셋째로, 공급물 층라인 내에 남아 있는 임의의 공급물은, 일부 분리가 이미 발생한 지점에서, 공급물이 도입된지 2 내지 3분 후에, 공급물이 들어가는 2개의 가득 찬 층 이후에 챔버에 추가되는데, 이는 공급물 분리를 비효율적으로 만든다. 마지막으로, 제1 플러시 후에 층라인 내에 남아 있는 공급물로부터의 임의의 잔류 오염물이 추출물 바로 아래의 층으로 보내지므로, 추출물로부터 이들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분리 층은 단지 하나이다.
본 발명은 몇몇 이점을 포함한다. 이것은 라인 플러시 인 및 라인 플러시 아웃을 분리시켜, 각각의 플러시를 독립적으로 최적화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은 각각의 층라인을 최소화하고 각각 그 자신의 층라인 부피에 따라 플러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이는 챔버에 첨가되는 임의의 추가의 비-이상적인 조성물 또는 하류 분별을 최소화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추출물 재료를 제1 플러시 및 제2 플러시 둘 모두로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독특하다. 이것은 중요한데, 그 이유는 추출 컬럼으로 보내지기 직전에 층라인에 있을 나머지 층라인 재료가 그 안에 추출물을 가질 것이며, 따라서 이것이 여분의 탈착제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업무를 요구함이 없이 추출 컬럼에 의해 정상적으로 처리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이점은, 층라인에 있는 것과 조성이 가장 밀접하게 일치하는 재료를 제1 플러시와 추출물 사이의 위치로 보내고 층라인이 깨끗하게 되는 것을 보장할 제2 플러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제2 플러시를 갖는 현재의 설계에 의하면, 이는 회전 밸브의 스텝핑(stepping)으로 인해 회전 밸브에서 발생하는 오염 때문에 필요하다. 최근의 발명은 이러한 오염을 방지하므로,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제2 플러시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설계에서의 제2 플러시는, 추출물을 운반하기 위해 층라인을 사용하기 전에, 단지 (제1 플러시 후에 남아 있는) 잔류하는 플러싱되지 않은 오염물을 층라인에서 제거하는 데 필요한 것을 추가하는 것일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컬럼 내의 공급 지점에서 흡착제의 흡착 용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1 플러시의 오버플러싱된 성분의 재배치를 포함할 것이다. 현재의 관행은 제1 플러시를 층라인 부피를 넘어서 20%만큼 오버플러싱하는 것이다. 이러한 오버플러싱은 탈착제 및 이미 추출된 파라-자일렌을 공급 지점으로 도입하는데, 이는 용량 차감(capacity debit)을 초래한다. 순도를 위해 이러한 20% 오버플러시가 필요한 경우, 층 내의 재료는 플러싱되는 층라인 내에 있는 것에 더 가깝기 때문에, 추출 지점에 더 가까운 챔버로 보내져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량에 대한 영향이 감소되거나, 또는 모든 실질적인 목적상 제거될 것이다. 이것이 제2 추출물 플러시의 목적일 것이다.
상기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다면, 모든 온도는 섭씨 온도로 기술되며,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부피 기준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응용이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의 추가의 목적, 이점 및 신규한 특징이 하기의 설명에 부분적으로 제시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거나, 또는 실시예의 제조 또는 작동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개념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지시된 방법, 기구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수 있다.
도면은 모사 이동층 추출 공정을 위한 공급물에 대한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예시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스트림"은 다양한 탄화수소 분자 및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스트림", "공급물", "생성물", "일부" 또는 "부분"은 직쇄형 및 분지형 알칸, 나프텐, 알켄, 알카다이엔, 및 알킨과 같은 다양한 탄화수소 분자, 및 선택적으로 다른 물질, 예를 들어 가스, 예를 들어 수소, 또는 불순물, 예를 들어 중금속, 및 황 및 질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은 방향족 및 비-방향족 탄화수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오버헤드 스트림"은 컬럼과 같은 용기의 상부 또는 그 부근에서 배출되는 스트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하부 스트림"은 컬럼과 같은 용기의 하부 또는 그 부근에서 배출되는 스트림을 의미할 수 있다.
탄화수소 분자는 C1, C2, C3, Cn(여기서, "n"은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분자 내의 탄소 원자의 수를 나타냄)으로 약칭될 수 있거나, 이 약어는 예를 들어, 비-방향족 또는 화합물에 대한 형용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방향족 화합물은 A6, A7, A8, An(여기서, "n"은 하나 이상의 방향족 분자 내의 탄소 원자의 수를 나타냄)으로 약칭될 수 있다. 더욱이, 약칭된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C3+ 또는 C3-와 같이, 윗첨자 "+" 또는 "-"가 약칭된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표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약어 "C3+"는 3개 이상의 탄소 원자의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분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유닛"은 하나 이상의 장비 품목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하위 구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장비 품목은 하나 이상의 반응기 또는 반응기 용기, 분리 용기, 흡착 챔버 또는 챔버들, 증류탑, 가열기, 교환기, 파이프, 펌프, 압축기, 및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반응기, 건조기, 흡착 챔버 또는 용기와 같은 장비 품목이 하나 이상의 구역 또는 하위 구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컬럼"은 상이한 휘발도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증류 컬럼 또는 컬럼들을 의미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컬럼은, 오버헤드 스트림의 일부분을 응축시켜 다시 컬럼의 상부로 환류시키기 위한 컬럼의 오버헤드 상의 응축기, 및 하부 스트림의 일부분을 기화시켜 다시 컬럼의 하부로 보내기 위한 컬럼의 하부의 리보일러(reboiler)를 포함한다. 컬럼으로의 공급물은 예열될 수 있다. 상부 또는 오버헤드 압력은 컬럼의 증기 출구에서의 오버헤드 증기의 압력이다. 하부 온도는 액체 하부 출구 온도이다. 오버헤드 라인 및 하부 라인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컬럼에 대한 임의의 환류 또는 리보일의 하류에서의 컬럼으로부터의 네트 라인(net line)을 지칭한다. 스트리핑 컬럼은 컬럼의 하부의 리보일러를 생략하고, 대신에 스팀과 같은 유동화된 불활성 매체로부터 가열 요건 및 분리 추진력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공정 흐름 라인은, 예컨대 라인, 파이프, 공급물, 가스, 생성물, 배출물, 일부, 부분, 또는 스트림으로서 상호 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다.
용어 "통과"는 재료가 도관 또는 용기로부터 물체로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은 적합한 컴퓨터 코드(소스(source) 코드, 오브젝트(object) 코드, 또는 실행가능(executable) 코드를 포함함)로 구현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명령어, 절차, 함수,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이들의 일부분의 세트들을 지칭한다. 용어 "통신하다" 및 그 파생어는 직접 통신 및 간접 통신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흡착 섹션 내의 제어 요소의 설정점을 결정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퓨팅 컴포넌트로서 정의된다.
용어 "구역 1"은 공급물 지점 아래의 그리고 라피네이트(raffinate) 지점 위의 흡착 챔버 내의 구역으로서 정의되며, 또한 "흡착 구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용어 "구역 2"는 추출물 지점 아래의 그리고 공급물 지점 위의 흡착 챔버 내의 구역으로서 정의되며, 또한 "정제 구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용어 "구역 3"은 탈착제 지점 아래의 그리고 추출물 지점 위의 흡착 챔버 내의 구역으로서 정의되며, 또한 "탈착 구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사실상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기재된 실시 형태의 응용 및 용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의 배경 기술 또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된 임의의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본 발명의 장치의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시된다.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며,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대체로 넓은 범위에 대한 과도한 제한으로서 의도되지 않는다. 밸브, 펌프, 압축기, 열 교환기, 계측기(instrumentation) 및 제어기와 같은 소정의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에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생략되었다. 이러한 하드웨어의 사용 및 적용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 내에 충분히 속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형태는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공정(10)에 관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10)은 흡착 구역(18), 정제 구역(16) 및 탈착 구역(14)을 포함하는 유닛(12)을 포함한다. 파라-자일렌 분리를 위한 것과 같은 그러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 모사 이동층 기술에서, 각각의 구역 및 챔버로부터 배출되거나 부가되는 각각의 스트림의 위치는 유닛(12)을 통해 연속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일단 유닛(12)의 하부에 도달하면, 유닛(12)의 상부로 다시 보내진다. 각각의 구역 및 스트림의 상대적인 위치는 모든 다른 구역 및 스트림에 대해 동일하게 유지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흡착 구역(18)은 공급물(20)과 라피네이트(24) 사이에서 유닛(12) 내에 위치되고, 정제 구역(16)은 추출물(26)과 공급물(20) 사이에서 유닛(12) 내에 위치되고, 탈착 구역(14)은 탈착제(22)와 추출물(26) 사이에서 유닛(12) 내에 위치된다. 흡착 구역은 공급물(20) 및 라피네이트(24)를 포함한다. 라피네이트는 흡착 구역(18)의 하부에서 유닛(12)을 빠져나간다. 공급물(20)은 흡착 구역(18)의 상부에서 유닛(12)으로 들어간다. 정제 구역(16)은 정제 구역(16)의 상부에서 유닛(12)을 빠져나가는 추출물(26), 및 제1 플러시(40) 및 제2 플러시(42)를 포함한다. 제1 플러시(40)는 제2 플러시(42) 아래에 위치된다. 여기서, 추출물(26)은 유닛(12)을 빠져나가서 라인(38)에 의해 추출 컬럼으로 보내진다. 라인(38)은 라인 플러시 아웃(28)과 합쳐지고, 일부분이 펌프(44)로의 라인(36)으로서 취해진다.
추출물 스트림(26)은 추출 컬럼으로 보내지는 부분(37)을 포함하고, 나머지 스트림(36)은 펌프(44)로 보내진다. 추출 컬럼으로 보내지는 스트림(38)은 탈착제(22) 아래의 탈착 구역(14)에서 유닛(12)을 빠져나가는 라인 플러시(28)를 또한 포함한다.
일단 추출물 스트림(36)이 펌프(44)를 통과하면, 2개의 플러시 라인으로 분할된다. 제1 플러시(40)는 라인(36)으로부터 펌핑되고, 층라인이 공급물을 챔버 내에 공급하는 데 사용된 직후에 유닛(12) 내의 층라인으로 보내진다. 층라인은 여전히 공급물을 수용하고, 이들 나머지 공급물 성분들은 챔버 내로 플러싱되어 이들을 공급물이 챔버로 들어가는 위치에 가능한 한 가깝게 챔버로 보낼 것이다. 이러한 플러시는 단일 단계 동안 층라인 부피의 80 내지 100%를 플러싱하도록 설정될 것이며, 이때 오버플러싱은 거의 또는 전혀 허용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위치에서의 오버플러싱은 용량 차감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플러싱 유량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것이다.
생성물 순도를 위해 추가적인 플러싱이 필요하다. 이러한 추가적인 플러시는 추출물 지점에 더 가까운 정제 구역 내로 보내져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 지점 부근의 층 내의 조성물에 탈착제 및 원하는 성분 둘 모두가 더 풍부하기 때문이다. 현재의 관행은 이러한 재료를 추출물로부터 1개의 층 아래로 보내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오버플러싱된 양은 추출물 생성물의 오염을 야기할 수 있는 더 높은 농도의 공급 오염물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플러시의 속도는 낮아야 하며, 잔류 공급물 성분을 제거하기에 단지 충분하다. 이것이 층라인 부피의 20 내지 50%일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이러한 추정치는 공급 오염물의 전체 층라인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 층라인 부피의 120 내지 130%를 플러싱 재료로 플러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모델링 작업으로부터 취해진다. 따라서, 제1 플러시(40)에 의해 층라인 플러시의 초기 80 내지 100%가 수행된 후에, 나머지 필요한 플러시가 나중에 정제 구역(16)에서 제2 플러시(42)에 의해 달성될 것이다.
제1 플러시(40)는, 정제 구역(16)에서 유닛(12)으로 또한 들어가는 제2 플러시 라인(42) 아래에서, 정제 구역(16)에서 유닛(12)으로 들어간다. 하나의 고려되는 예에서, 제1 플러시(40)는 요구되는 총 플러싱 양의 60 내지 80%를 구성할 수 있고, 제2 플러시(42)는 요구되는 총 플러싱 양의 40 내지 20%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고려되는 예에서, 제1 플러시(40)는 요구되는 총 플러싱 양의 70%를 구성할 수 있고, 제2 플러시(42)는 요구되는 총 플러싱 양의 30%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고려되는 예에서, 제1 플러시(40)는 요구되는 총 플러싱 양의 60%를 구성할 수 있고, 제2 플러시(42)는 요구되는 총 플러싱 양의 40%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고려되는 예에서, 제1 플러시(40)는 요구되는 총 플러싱 양의 50%를 구성할 수 있고, 제2 플러시(42)는 요구되는 총 플러싱 양의 5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라인 플러시들의 다른 조합이 사용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제1 플러시(40)가 공급물(20)로부터 2개의 층라인 위에서 정제 구역(16) 내에 위치될 것임이 고려된다. 제2 플러시(42)가 공급물(20)로부터 2개의 층 내지 4개의 층 위에서 정제 구역(16) 내에 위치될 것임이 고려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은 큰 경제적 이득을 나타낼 것이다. 이는 추출 컬럼에서 분리될 필요가 있는 추출물 스트림(38) 내의 탈착제 성분의 양을 감소시킬 것이다. 또한, 이는 유닛(12) 내의 흡착제의 흡착 용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고려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경 및 등가의 배열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
하기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이러한 설명은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는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방법이며, 이 방법은 공급물 및 탈착제를 유닛 내로 통과시키는 단계로서, 유닛은 탈착 구역, 정제 구역, 및 흡착 구역을 포함하고, 탈착 구역은 탈착제와 추출물 사이에 위치되고, 정제 구역은 추출물과 공급물 사이에 위치되고, 흡착 구역은 공급물과 라피네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단계; 유닛으로부터 추출물을 제거하고 추출물 스트림의 일부분을 제1 플러시 및 제2 플러시로 분할하는 단계; 및 제1 플러시 및 제2 플러시를 유닛에 다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닛이 파라-자일렌 추출 유닛인,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닛이 메타-자일렌 추출 유닛인,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공급물이 정제 구역과 흡착 구역이 만나는 지점에서 유닛으로 들어가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추출물이 탈착 구역과 정제 구역이 만나는 지점에서 유닛으로부터 제거되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제1 플러시가 제2 플러시 아래에서 유닛으로 들어가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제1 플러시 및 제2 플러시가 공급물 위에서 그러나 추출물 아래에서 유닛으로 들어가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제1 플러시는 플러시의 70%를 구성할 수 있고, 제2 플러시는 플러시의 30%를 구성할 수 있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제1 플러시는 플러시의 60%를 구성할 수 있고, 제2 플러시는 플러시의 40%를 구성할 수 있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제1 플러시는 플러시의 80%를 구성할 수 있고, 제2 플러시는 플러시의 20%를 구성할 수 있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제1 플러시 및 제2 플러시가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제1 플러시 및 제2 플러시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닛으로부터의 추출 생성물 스트림을 라인 플러시 아웃과 조합하고 이러한 조합된 스트림을 추출 컬럼으로 보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닛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제2 플러시가 공급물로부터 2 내지 4개의 층 위에서 유닛으로 들어가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닛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제1 플러시가 공급물로부터 2개의 층 위에서 유닛으로 들어가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닛으로부터의 추출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되어 정제 구역에서 유닛으로 다시 보내질 수 있는 제3 플러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제3 플러시가 제2 플러시와 추출물 사이에서 유닛으로 들어갈 수 있는, 본 단락의 제1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는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방법이며, 이 방법은 공급물 및 탈착제를,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유닛으로 통과시키는 단계로서, 유닛은 탈착 구역, 정제 구역, 및 흡착 구역을 포함하고, 탈착 구역은 탈착제와 추출물 사이에 위치되고, 정제 구역은 추출물과 공급물 사이에 위치되고, 흡착 구역은 공급물과 라피네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단계; 유닛으로부터 추출물을 제거하는 단계; 추출물 스트림을 제1 플러시 및 제2 플러시로 분할하는 단계; 및 제1 플러시 및 제2 플러시를 유닛에 다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플러시는 플러시의 70%를 구성할 수 있고 제2 플러시는 플러시의 3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닛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제2 플러시가 추출물 아래에서 그리고 공급물로부터 2 내지 4개의 층 위에서 유닛으로 들어가는, 본 단락의 제2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닛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제1 플러시가 추출물 아래에서 그리고 공급물로부터 2개의 층 위에서 유닛으로 들어가는, 본 단락의 제2 실시 형태까지의 본 단락의 이전 실시 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 형태,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모든 실시 형태이다.
추가의 상술 없이도, 전술한 설명을 사용하여 당업자는 본 발명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행하고 이를 다양한 사용 및 조건에 적응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본 개시의 나머지를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그것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 및 등가의 배열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기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모든 온도는 섭씨 온도로 제시되며,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Claims (10)

  1. 이중 추출물 플러시(dual extract flush)를 위한 방법으로서,
    공급물 및 탈착제를 유닛 내로 통과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유닛은 탈착 구역, 정제 구역, 및 흡착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 구역은, 상기 탈착 구역 상단의 상기 탈착제 주입구와 상기 정제 구역 상단의 추출물 배출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정제 구역은 상기 추출물 배출구와 상기 흡착 구역 상단의 공급물 주입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흡착 구역은 상기 공급물 주입구와 상기 흡착 구역 하단의 라피네이트(raffinate) 배출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공급물은 상기 공급물 주입구를 통해 도입되고, 상기 탈착제는 상기 탈착제 주입구를 통해 도입되는 단계;
    상기 추출물 배출구를 통해 상기 유닛으로부터 추출물 스트림을 제거하고, 추출물 스트림의 일부분을 제1 플러시 및 제2 플러시로 분할하는 단계; 및
    제1 플러시 주입구 및 제2 플러시 주입구를 통해 상기 정제 구역 내 상기 유닛에 상기 제1 플러시 및 상기 제2 플러시를 다시 통과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파라-자일렌 추출 유닛 또는 메타-자일렌 추출 유닛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물은 상기 정제 구역과 상기 흡착 구역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유닛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상기 추출물 스트림은 상기 탈착 구역과 상기 정제 구역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유닛으로부터 제거되거나, 또는 이들 둘 모두인,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7014674A 2018-10-19 2019-10-17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공정 Active KR102582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7900P 2018-10-19 2018-10-19
US62/747,900 2018-10-19
PCT/US2019/056699 WO2020081787A1 (en) 2018-10-19 2019-10-17 Process for a dual extract fl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439A KR20210080439A (ko) 2021-06-30
KR102582857B1 true KR102582857B1 (ko) 2023-09-25

Family

ID=7027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674A Active KR102582857B1 (ko) 2018-10-19 2019-10-17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공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27221B2 (ko)
JP (1) JP7231723B2 (ko)
KR (1) KR102582857B1 (ko)
CN (1) CN112969679A (ko)
WO (1) WO202008178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61B1 (ko) * 2010-03-30 2014-08-1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분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8536B2 (en) 2005-02-02 2011-08-30 Winter George R Simulated moving bed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for handling multiple feedstocks
FR2904776B1 (fr) 2006-08-08 2009-01-23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n lit mobile simule a nombre de vannes reduit
FR2907021B1 (fr) 2006-10-16 2009-02-06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n lit mobile simule a nombre de vannes de grand diametre reduit
FR2913345B1 (fr) 2007-03-09 2010-06-11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n lit mobile simule a nombre de vannes et volume de lignes reduits
FR2919603B1 (fr) 2007-07-30 2012-09-21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ameliore de paraxylene en lit mobile simule
KR100963746B1 (ko) 2008-03-13 2010-06-14 삼성토탈 주식회사 유사 이동층 분리법에 의한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방법
US7977526B2 (en) 2008-04-01 2011-07-12 Porter John R Simulated countercurrent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FR2935101B1 (fr) 2008-08-19 2011-04-08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tif de separation en lit mobile simule a debit de fluide de derivation non regule automatiquement
FR2935100B1 (fr) 2008-08-19 2011-03-18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n lit mobile simule a debit de fluide de derivation module
JP5662938B2 (ja) 2008-11-19 2015-02-04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分離方法
FR2944215B1 (fr) 2009-04-10 2011-04-01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n lit mobile simule comportant des lignes de derivation d'un lit sur deux et a debit de fluide de derivation module
EP2435153A4 (en) 2009-05-29 2014-05-21 Exxonmobil Chem Patents Inc Parex unit feed
FR2956037B1 (fr) 2010-02-11 2012-02-17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n lit mobile simule comportant des lignes de derivation d'un lit sur deux avec debits de balayage controles lors des injections et des soutirages
SG10201508309YA (en) 2011-03-23 2015-11-27 Exxonmobil Chem Patents Inc Reduction in flushing volume in an adsorptive separation system
US8841503B2 (en) 2011-05-26 2014-09-23 Uop Llc Product recovery from adsorption-separation purge fluids
CN102895800B (zh) 2011-07-28 2016-05-2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模拟移动床吸附分离方法和设备
CN102895799B (zh) 2011-07-28 2015-09-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控制阀数量减少的模拟移动床吸附分离方法和设备
US8404916B1 (en) 2011-12-05 2013-03-26 Uop Llc Process for separating and/or introducing a flush material in an adsorption separation system
US20130153500A1 (en) 2011-12-15 2013-06-20 Uop Llc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8558049B2 (en) 2011-12-15 2013-10-15 Uop Llc Process and apparatus for para-xylene production using multiple adsorptive separation units and multiple adsorptive bed feed points
US20140170763A1 (en) 2012-12-14 2014-06-19 Uop Llc Processes for Determining Stream Compositions in Simulated Moving Bed Systems
US8933288B2 (en) 2013-03-20 2015-01-13 Uop Llc System and process for flushing residual fluid from transfer lines in simulated moving bed adsorption
CN104513125B (zh) 2013-09-29 2016-08-2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液相模拟移动床吸附分离c8芳烃的方法
CN104513118B (zh) 2013-09-29 2017-03-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吸附分离对二甲苯和乙苯的方法
US9522863B2 (en) 2014-02-28 2016-12-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Xylene separation process
US9090523B1 (en) 2014-03-03 2015-07-28 Uop Llc Process for flushing top and bottom heads of a vessel
US9522862B2 (en) 2014-06-30 2016-12-20 Uop Llc Simulated moving bed separators and methods for isolating a desired component
US9464012B2 (en) 2014-11-20 2016-10-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Xylene separation process and apparatus
WO2016133589A1 (en) 2015-02-19 2016-08-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Xylene separation process
US10059641B2 (en) 2015-09-25 2018-08-2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onversion of non-aromatic hydrocarbon
CN105413591A (zh) 2015-11-30 2016-03-23 重庆天奕恒化科技有限公司 用于px生产的多段式绝热固定床反应器
US9878968B2 (en) 2016-04-26 2018-01-3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Xylene separation process
WO2017201159A1 (en) 2016-05-20 2017-11-2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Xylene separation process
US10124273B1 (en) 2017-09-30 2018-11-13 Uop Llc Process for a dual extract flu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61B1 (ko) * 2010-03-30 2014-08-1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분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31723B2 (ja) 2023-03-01
US11027221B2 (en) 2021-06-08
JP2022504954A (ja) 2022-01-13
CN112969679A (zh) 2021-06-15
US20200122057A1 (en) 2020-04-23
WO2020081787A1 (en) 2020-04-23
KR20210080439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S212781B2 (en) Method of separating normal paraffins
KR101957521B1 (ko) 파라-크실렌의 시뮬레이팅 역류 생성용 고 유연성 프로세스 및 장치
US9045384B2 (en) Product recovery from adsorption-separation purge fluids
US20130153500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9017558B2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899277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KR102347627B1 (ko)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공정
KR102582857B1 (ko) 이중 추출물 플러시를 위한 공정
US20130158335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2013015350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TWI524928B (zh) 以模擬移動床吸附法進行產品回收的系統和流程
US20130153502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20130153501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KR102689160B1 (ko) 바이패스 유체 유동을 갖는 시뮬레이션된 이동 베드 분리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3089922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10703691B1 (en) Process for producing para-xylene using two feed raffinate colu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