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494B1 -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494B1
KR102582494B1 KR1020160167275A KR20160167275A KR102582494B1 KR 102582494 B1 KR102582494 B1 KR 102582494B1 KR 1020160167275 A KR1020160167275 A KR 1020160167275A KR 20160167275 A KR20160167275 A KR 20160167275A KR 102582494 B1 KR102582494 B1 KR 102582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content
timing signal
noise
media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458A (ko
Inventor
김건태
한상훈
권영달
윤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6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4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1/0224Processing in the time doma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67Audio streaming, i.e. formatting and decoding of an encoded audio signal representation into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or storage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1/0232Processing in the frequency doma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72Voice signal sepa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는 오디오 컨텐츠의 제 1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하는 검출부,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신호 생성부,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기초하여 오디오 컨텐츠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타이밍 신호를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타이밍 신호 합성부,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를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를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고,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AUDIO CONTENTS}
본 발명은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음성 인식 서비스(예컨대, 음성 인식을 통한 음악 선곡, 채널 및 VOD 컨텐츠 선택 등)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에서 발생되는 잡음과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정확하게 구별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추출하는 음성 노이즈 캔슬링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의 음성 노이즈 캔슬링 기술은 기기 자체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컨텐츠와 마이크로부터 수집되는 소리를 분석하고, 출력된 오디오 컨텐츠와 수집된 소리가 일치하는 경우, 수집된 소리를 노이즈로 간주하여 소거시키는 기술이다.
하지만, 기기 자체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컨텐츠와 마이크로부터 수집되는 소리 간에 시간적인 딜레이를 예측하기 어렵고, 음량의 세기도 상이하기 때문에 기기 자체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컨텐츠와 마이크로부터 수집되는 소리 간의 유사성 분석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491911호에는 획득 대상의 사운드 정보가 발생되었을 때와 사운드 정보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의 크기 주파수 스펙트럼으로부터 사운드 정보가 발생된 주파수 대역 구간을 추출하고, 추출된 주파수 대역 구간에 단시간 에너지(short-time energy)를 사용하여 획득 대상의 사운드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정확한 노이즈 캔슬링을 가능케하기 위해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컨텐츠에 타이밍 신호를 부가함으로써 마이크로부터 수집된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오디오 컨텐츠 및 사람의 음성을 포함)로부터 사람의 음성을 추출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는 오디오 컨텐츠의 제 1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하는 검출부;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신호 생성부; 상기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타이밍 신호 합성부; 상기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를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를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오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선택부;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타이밍 신호 합성부; 및 상기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를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은 오디오 컨텐츠의 제 1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하는 단계;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를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를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정확한 노이즈 캔슬링을 가능케하기 위해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컨텐츠에 타이밍 신호를 부가함으로써 마이크로부터 수집된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오디오 컨텐츠 및 사람의 음성을 포함)로부터 사람의 음성을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에서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미디어 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가청 영역의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에 타이밍 신호를 합성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음성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컨텐츠 분석 시스템은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 및 미디어 재생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오디오 컨텐츠 분석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오디오 컨텐츠 분석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 컨텐츠(120)에 타이밍 신호를 합성한 후,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컨텐츠(120)는 위성 및 케이블 등으로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 VOD 컨텐츠 및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출력된 오디오 컨텐츠(120), 사람(화자, 명령자)의 음성(130) 등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오디오 컨텐츠(120)를 제거함으로써 사람의 음성(130)만을 추출할 수 있다.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130)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오디오 컨텐츠(12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오디오 컨텐츠 분석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이 미디어 재생 장치(200)에 통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디어 재생 장치(200)는 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기 이전에 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 컨텐츠(120)에 타이밍 신호를 합성한 후,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출력된 오디오 컨텐츠(120) 및 사람의 음성(130)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오디오 컨텐츠(120)를 제거함으로써 사람의 음성(130)만을 추출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사용자의 음성(130)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검출부(300), 타이밍 신호 생성부(310), 타이밍 신호 합성부(320), 변환부(330), 출력부(340), 제 1 저장부(350), 제 2 저장부(360), 동기화부(370), 신호 세기 조절부(380) 및 음성 추출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검출부(300)는 오디오 컨텐츠(120)의 제 1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할 수 있다. 잠시 도 7을 참조하면, 오디오 컨텐츠(120)는 주파수 대역(70) 중 18kHz 내지 22kHz의 가청 주파수 대역(72)에서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소리 형태로 출력된다.
예를 들면, 검출부(300)는 방송 서버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10)가 수신하는 방송 컨텐츠(또는 VOD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에서 오디오 컨텐츠의 제 1 샘플링 레이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검출부(30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컨텐츠로부터 오디오 컨텐츠의 제 1 샘플링 레이트를 검출할 수도 있다.
검출부(300)는 검출된 오디오 컨텐츠(120)의 제 1 샘플링 레이트로부터 오디오 컨텐츠(120)의 최대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샘플링 레이트가 48kHz라면 최대 24kHz의 오디오 컨텐츠가 전달될 수 있다.
타이밍 신호 생성부(310)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잠시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타이밍 신호 생성부(310)는 오디오 컨텐츠(120)의 주파수 대역과 차이가 나도록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신호 생성부(310)는 오디오 컨텐츠(120)와 주파수를 달리하여 타이밍 신호(80 또는 82)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신호 생성부(310)는 오디오 컨텐츠(120)의 진폭과 차이가 나도록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신호 생성부(310)는 오디오 컨텐츠(120)와 진폭을 달리하여 타이밍 신호(84 또는 86)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신호 합성부(320)는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기초하여 오디오 컨텐츠(120)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타이밍 신호를 오디오 컨텐츠(120)에 합성할 수 있다. 잠시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타이밍 신호 합성부(320)는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판단된 오디오 컨텐츠(120)의 최대 주파수(가청 주파수 영역)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타이밍 신호(90)를 오디오 컨텐츠(120)에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92)의 주파수 영역을 살펴보면,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92)의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영역과 비가청주파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가청 주파수 영역에는 오디오 컨텐츠(120)의 주파수가 표시되고, 비가청주파수 영역에는 타이밍 신호(90)의 주파수가 표시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변환부(330)는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330)는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의 최대 주파수보다 N 배 이상의 높은 주파수인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함으로써 타이밍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의 주파수가 44.1kHz라면, 48kHz로 제 2 샘플링을 하게 되면 타이밍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변환부(330)는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프로토콜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 전송하고,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120)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레퍼런스 오디오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나오는 오디오 컨텐츠(120)의 출력을 상쇄시켜 사람의 음성(130)만을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3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프로토콜 타입으로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저장부(350)는 내부적으로 출력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레퍼런스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저장부(350)는 내부적으로 출력된 레퍼런스 오디오로부터 타이밍 신호와 오디오 컨텐츠(120)를 추출하여 레퍼런스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제 2 저장부(360)는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컨텐츠(120) 및 사람의 음성(130)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집하여 마이크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저장부(360)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타이밍 신호, 오디오 컨텐츠(120) 및 사람의 음성(130)을 추출하여 마이크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잠시 도 10을 참조하면,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수집된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에서 LPF(Low pass filter)(102)를 이용하여 가청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오디오 컨텐츠(120) 및 사람의 음성(130)을 추출하고, BPF(Band pass filter) 또는 HPF(High pass filter)(104)를 이용하여 비가청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타이밍 신호(90)를 추출할 수 있다.
동기화부(370)는 제 1 저장부(350)에 저장된 레퍼런스 오디오 및 제 2 저장부(360)에 저장된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동기화부(370)는 각각 획득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오디오와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조절부(380)는 타이밍 신호를 기준으로 동기화된 레퍼런스 오디오 및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음성 추출부(390)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레퍼런스 오디오에 대응하는 성분을 제거하여 사람의 음성(130)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검출부(300), 타이밍 신호 생성부(310), 타이밍 신호 합성부(320), 변환부(330), 출력부(340), 제 1 저장부(350), 제 2 저장부(360), 동기화부(370), 신호 세기 조절부(380) 및 음성 추출부(3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에서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 및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 및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오디오 컨텐츠(120)의 제 1 샘플링 레이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기초하여 오디오 컨텐츠(120)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타이밍 신호를 오디오 컨텐츠(120)에 합성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 전송하고,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120)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405에서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판단된 오디오 컨텐츠의 최대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타이밍 신호를 오디오 컨텐츠(120)에 합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409 이후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컨텐츠(120) 및 사람의 음성(130)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 경우, 레퍼런스 오디오 및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각각 획득하고, 각각 획득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오디오와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409 이후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타이밍 신호를 기준으로 동기화된 레퍼런스 오디오 및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동일하게 조절하고,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레퍼런스 오디오에 대응하는 성분을 제거하여 사람의 음성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409 이후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100)는 추출된 사람의 음성(130)을 분석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미디어 재생 장치(200)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디어 재생 장치(200)는 선택부(500), 타이밍 신호 합성부(510), 출력부(520), 수집부(530), 음성 추출부(540), 제어부(550) 및 DB(5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미디어 재생 장치(2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선택부(500)는 미디어 재생 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오디오 컨텐츠(예컨대, 사용자의 검색 결과로서의 오디오 컨텐츠 등)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컨텐츠(120)를 선택받을 수 있다.
타이밍 신호 합성부(510)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선택된 오디오 컨텐츠(120)에 합성할 수 있다. 타이밍 신호 합성부(510)는 선택된 오디오 컨텐츠(120)의 주파수 대역과 차이가 나도록(또는 진폭과 차이가 나도록)에 기초하여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 후, 선택된 오디오 컨텐츠(120)에 합성할 수 있다.
출력부(520)는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외부로 출력하고,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520)는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미디어 재생 장치(200)의 프로토콜 타입으로 변환시킨 후에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수집부(530)는 미디어 재생 장치(200)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 오디오 컨텐츠(120) 및 사람의 음성(130)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DB(560)는 내부적으로 출력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레퍼런스 버퍼에 저장하고, 수집된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DB(560)는 미디어 재생 장치(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미디어 재생 장치(200)와 미디어 재생 장치(2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음성 추출부(540)는 레퍼런스 버퍼에 저장된 레퍼런스 오디오 및 마이크 버퍼에 저장된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음성 추출부(540)는 각각 획득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수집된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 및 레퍼런스 오디오를 동기화하고, 레퍼런스 오디오와 대응하는 성분을 제거하여 사람의 음성(130)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추출된 사람의 음성(130)을 분석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선택부(500), 타이밍 신호 합성부(510), 출력부(520), 수집부(530), 음성 추출부(540), 제어부(550) 및 DB(5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200)에서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방법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및 도 5의 미디어 재생 장치(2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분석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오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200)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선택된 오디오 컨텐츠(120)에 합성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200)는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를 외부로 출력하고,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120)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0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
110: 미디어 재생 장치
120: 오디오 컨텐츠
130: 사람의 음성
300: 검출부
310: 타이밍 신호 생성부
320: 타이밍 신호 합성부
330: 변환부
340: 출력부
350: 제 1 저장부
360: 제 2 저장부
370: 동기화부
380: 신호 세기 조절부
390: 음성 추출부
500: 선택부
510: 타이밍 신호 합성부
520: 출력부
530: 수집부
540: 음성 추출부
550: 제어부
560: DB

Claims (17)

  1.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컨텐츠의 제 1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하는 검출부;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신호 생성부;
    상기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타이밍 신호 합성부;
    상기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를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를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 및 사람의 음성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획득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 및 상기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신호 세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신호 합성부는 상기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판단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최대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것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프로토콜 타입으로 변환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프로토콜 타입으로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레퍼런스 버퍼에 저장하는 제 1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컨텐츠 및 상기 사람의 음성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여 마이크 버퍼에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 및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타이밍 신호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각각 획득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와 상기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에 대응하는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사람의 음성을 추출하는 음성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분석 장치.
  9.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오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선택부;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타이밍 신호 합성부; 및
    상기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를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 및 사람의 음성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의 세기는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 및 상기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획득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출력된 오디오 컨텐츠 및 상기 사람의 음성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를 동기화하고,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와 대응하는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사람의 음성을 추출하는 음성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사람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3.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컨텐츠의 제 1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하는 단계;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컨텐츠를 제 2 샘플링 레이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를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된 오디오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퍼런스 오디오를 내부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 및 사람의 음성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획득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 및 상기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디오 컨텐츠 분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판단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최대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합성하는, 오디오 컨텐츠 분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컨텐츠 및 상기 사람의 음성을 포함하는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 경우,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 및 상기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타이밍 신호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각각 획득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와 상기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분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포함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레퍼런스 오디오에 대응하는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사람의 음성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분석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사람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디오 컨텐츠 분석 방법.
KR1020160167275A 2016-12-09 2016-12-09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82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75A KR102582494B1 (ko) 2016-12-09 2016-12-09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75A KR102582494B1 (ko) 2016-12-09 2016-12-09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458A KR20180066458A (ko) 2018-06-19
KR102582494B1 true KR102582494B1 (ko) 2023-09-25

Family

ID=6279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275A KR102582494B1 (ko) 2016-12-09 2016-12-09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4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2456A (ja) * 1998-04-20 2002-04-23 サ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ネットワーク内でオーディオ・プロトコル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1205359A (ja) * 2010-03-25 2011-10-13 Yamaha Corp エコーキャンセラおよび音声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2478B2 (ja) * 2004-04-06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声再生装置
KR20160023089A (ko) * 2014-08-21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2456A (ja) * 1998-04-20 2002-04-23 サ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ネットワーク内でオーディオ・プロトコル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1205359A (ja) * 2010-03-25 2011-10-13 Yamaha Corp エコーキャンセラおよび音声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458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0668A1 (en)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via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JP6289121B2 (ja) 音響信号処理装置、動画撮影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102325743B1 (ko)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US200901296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ulti-channel sound by using microphone array
RU2010142270A (ru) Повышение разборчивости реч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ескольких микрофонов на нескольких устройствах
JP6138015B2 (ja) 音場測定装置、音場測定方法および音場測定プログラム
KR102582494B1 (ko) 오디오 컨텐츠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2098856A1 (ja) 補聴器、及び、補聴器の制御方法
JP6395558B2 (ja) 第1の録音装置、第2の録音装置、録音システム、第1の録音方法、第2の録音方法、第1の録音プログラム、および第2の録音プログラム
JP6003083B2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電子機器、並びに、信号処理システムおよび信号処理システムの信号処理方法
KR20200116617A (ko) 주변의 환경에 기초하여 오디오의 전처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120795A1 (zh) 采样率处理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KR102196519B1 (ko) 소리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리 제거 방법
JP6730580B2 (ja) 帯域拡張装置および帯域拡張方法
JP6371376B2 (ja) 音響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KR20190136177A (ko) 소리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리 제거 방법
CN111757240B (zh) 音频处理方法与音频处理系统
JP6230969B2 (ja) 音声収音システム、ホス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31762B2 (ja) 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549882B1 (ko) 다수의 휴대폰을 이용한 음성인식 기반의 회의록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6506424B2 (ja) 音響装置、欠落帯域推定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周波数帯域推定装置
EP4270983A1 (en) Ear-mounted type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CN109963228A (zh) 一种音频播放方法
JP6471923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157363A (ja) データ同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