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259B1 -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259B1
KR102582259B1 KR1020230028939A KR20230028939A KR102582259B1 KR 102582259 B1 KR102582259 B1 KR 102582259B1 KR 1020230028939 A KR1020230028939 A KR 1020230028939A KR 20230028939 A KR20230028939 A KR 20230028939A KR 102582259 B1 KR102582259 B1 KR 10258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delete delete
reinforcement block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명수
김형주
박준용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2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홀 형성단계; 상기 천공홀 내부에 말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말뚝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보강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천공홀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Precast type foundation pile unit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하부에 설치되는 말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말뚝유닛 구축 과정 중 주입된 콘크리트의 충진이 완료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말뚝유닛의 충진재로 사용된 콘크리트의 수화열로 인한 말뚝유닛 주변 지반이나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뚝유닛은 건축 구조물 하부 지형에 삽입 설치되어 기둥이나 벽체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기초구조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는 수직력을 지반에 전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조물에는 연직하중뿐만 아니라, 수평력이나 모멘트가 동시에 작용하며, 말뚝 역시 상부의 구조물, 지진이나 바람 등의 영향에 따라 과다한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다양한 하중과 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한 복합 구성이 적용된 말뚝유닛이 대형 구조물 하부에 적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말뚝유닛이 설치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말뚝유닛이 설치되고자 하는 지형에 상당한 깊이를 가지는 천공홀(H)을 형성한 후, 상기 천공홀(H) 내부에 상기 천공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관형 말뚝(100)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난 후,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말뚝(100) 주변으로 철골 구조물(120)을 설치한 후에,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말뚝(100)과 철골 구조물(120)을 동시에 덮어 감싸는 형태로 콘크리트(C)를 충진하여 굳힘으로써 말뚝유닛의 구축이 완료되며 상기 구축된 말뚝유닛 상측으로는 교각이나 아파트 등 대형 건축 구조물이 구축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말뚝유닛 주변 지형에 균열이 발생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한 쌍의 말뚝유닛을 연결하는 형태로 교각이 설치된 상태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축되는 종래 말뚝유닛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과정에 있어서 수화열이 발생되는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수화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수화열이 발생하면서 콘크리트가 소정 부피 팽창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구축된 말뚝유닛의 전체적인 팽창에 따라 구축이 완료된 구조물 하부 지형에,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일부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충분히 말뚝유닛의 경화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건축 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심한 경우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에 상당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9292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말뚝유닛에 있어서 콘트리트 충진 영역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말뚝의 구조적 안전성은 향상시키고 최소화한 콘크리트 충진을 통하여 수화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보강 구조물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작업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공홀 형성단계; 상기 천공홀 내부에 말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말뚝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보강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천공홀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말뚝은 상부가 개구된 관형 말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블록은 상기 말뚝 내측 내부면에 대면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외부면이 드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블록은 복수 개가 상기 말뚝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보강블록끼리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면되어 연결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블록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주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주입공을 통하여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블록은 드럼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 하부 중앙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공은 상기 돌출부, 몸체부, 삽입부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블록은 드럼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 하부 중앙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기 몸체부에 소정 이격 간격마다 상기 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형성되는 주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홀 내주면과 상기 말뚝 외주면 사이로 소정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말뚝이 상기 천공홀 내부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말뚝은 상부 상단으로부터 하부 기 설정 길이까지 유색 형광 물질로 페인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블록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드럼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부; 상기 몸체부 하부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부; 및 상기 몸체부와 돌출부, 삽입부를 동시에 상하로 관통하는 주입공;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용 보강블록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주입공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는 후크걸이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부; 상기 몸체부 하부 중앙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부; 및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기 몸체부에 소정 이격 간격마다 상기 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구비되는 주입공;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용 보강블록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와 돌출부, 삽입부를 동시에 상하로 관통하는 주입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주입공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는 후크걸이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및이를 위한 보강블록에 의하면,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말뚝유닛에 있어서 말뚝 내부를 보강블록으로 기밀하게 채운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콘트리트 충진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최소화한 콘크리트 충진을 통하여 수화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팽창하는 콘크리트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말뚝의 구조적 안전성은 향상시키고 최종적으로 말뚝유닛 주변 지형의 파손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급속 교화되는 콘크리트를 사용 시에는 콘크리트 냉각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확실하게 수화열 발생을 억제 말뚝유닛의 구축으로 인한 지형 균열 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말뚝유닛의 보강을 위하여 적용되는 보강블록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작업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보강블록의 일부 구성 변화를 통하여 충진되는 콘크리트가 보강블록과 완전히 일체화됨은 물론 천공홀 내부 주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천공홀이 형성된 지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천공홀 내부에 말뚝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말뚝 외부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기초철근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천공홀 내부로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말뚝유닛 주변 지형에 균열이 발생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한 쌍의 말뚝유닛을 연결하는 형태로 교각이 설치된 상태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천공홀이 형성된 지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천공홀 내부에 말뚝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말뚝 하측에 보강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말뚝 내부에 보강블록이 적층된 형태로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말뚝 내외부로 콘크리트가 주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보강블록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후크걸이봉이 적용된 보강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상기 도 14에 도시된 보강블록의 평면도;
도 16은 보강블록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보강블록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보강블록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보강블록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말뚝 하부에 말뚝기초부가 적용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상기 도 20에 적용된 말뚝기초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보강블록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은 천공홀 형성단계, 상기 천공홀 내부에 말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말뚝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보강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천공홀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교각 하부나 아파트 등 건축물이 설치되는 지형 하부에 기 설정 깊이로 천공홀(H)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천공홀(H)은 굴착기 등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공지된 방식에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홀(H)은 지형 하부에 다수 위치로 형성하게 되며, 이하에서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천공홀(H)에 말뚝유닛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천공홀을 형성한 후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천공홀(H) 내측으로 말뚝(100)을 설치하게 되며, 상기 말뚝(100)은 상부가 개구된 관형 말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말뚝(100)은 강관 말뚝이나 콘크리트 말뚝 등 다양한 재질의 말뚝이 적용 가능하나, 금속재의 강관 말뚝이 적용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말뚝(100) 내측으로 보강블록(150)을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보강블록(150)은 말뚝(100)과 조합되어 전체 말뚝의 구조적 강성을 보다 크게 하도록 하는 구성이며, 말뚝의 내측에 보강블록이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블록(150)은 상기 말뚝(100) 내측 내부면에 대면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외부면이 드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블록(150)은 복수 개가 상기 말뚝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인접하는 보강블록(150)끼리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면되어 연결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블록(150)은 드럼형태의 몸체부(151)와, 상기 몸체부(151) 상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부(153)와, 상기 몸체부(151) 하부 중앙에 상기 돌출부(153)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153)가 삽입되는 삽입부(15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53), 몸체부(151)는 콘크리트재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부(153), 몸체부(151), 삽입부(155)를 동시에 상하로 관통하며 주입공(15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블록(150)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기 제조된 상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블록(150)을 관형 말뚝(100) 내측을 채우도록 설치한 후에는 지형 외부에서 상기 주입공(158)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천공홀(H) 내부 말뚝(100)과 보강블록(150) 모두가 콘크리트에 충진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및이를 위한 보강블록에 의하면,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말뚝유닛에 있어서 말뚝 내부를 보강블록으로 기밀하게 채운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콘트리트 충진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최소화한 콘크리트 충진을 통하여 수화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팽창하는 콘크리트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말뚝의 구조적 안전성은 향상시키고 최종적으로 말뚝유닛 주변 지형의 파손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급속 교화되는 콘크리트를 사용 시에는 콘크리트 냉각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확실하게 수화열 발생을 억제 말뚝유닛의 구축으로 인한 지형 균열 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말뚝유닛의 보강을 위하여 적용되는 보강블록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작업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보강블록의 일부 구성 변화를 통하여 충진되는 콘크리트가 보강블록과 완전히 일체화됨은 물론 천공홀 내부 주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말뚝(100)은 상부 상단으로부터 하부 기 설정 길이까지 유색 형광 물질로 페인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충진되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상부까지 충진되는지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함이 바람직히다.
도 14는 후크걸이봉이 적용된 보강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도 14에 도시된 보강블록의 평면도로서, 상기 보강블록(150)의 주입공(158) 상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돌출부(153)에는 후크걸이봉(15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걸이봉(157)은 상기 보강블록(150)을 포크레인 등과 같은 장비를 이용 현장에서 이동하거나 및 천공홀 내 설치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후크걸이봉(157)은 상기 돌출부(153) 상측으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삽입부(155)의 상하 폭을 크게 하여 보강블록(150)을 전층 시 상기 돌출부(153)와 후크걸이봉(157)이 모두 상부에 위치되는 보강블록(150)의 삽입부(155)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블록(150)은 드럼형태의 몸체부(151)와, 상기 몸체부(151) 상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부(153)와, 상기 몸체부(151) 하부 중앙에 상기 돌출부(153)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55)를 구비하되 상기 주입공(158)은 상기 돌출부(153)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기 몸체부(151)에 소정 이격 간격마다 상기 몸체부(151)를 상하로 관통하며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기 주입공(158)에 후크걸이봉(157)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도 17에서와 같이, 보강블록(250)은 몸체부(151) 둘레부를 따라서 다수의 딤플(154)이 적용되어 콘크리트의 충진 시 말뚝(100)에 보강블록(250)이 보다 일체화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8에서와 같이, 보강블록(350)은 몸체부(151) 둘레부를 따라서 소정 홈(333)이 형성되되, 상기 홈(333) 내측에 소정 압력이 작용 시 압축되는 변형부(3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360)는 고무나 우레탄 등 재질이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강블록(350)이 적용 시에는 콘크리트의 주입 후 콘크리트가 말뚝 내부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팽창 시 상기 홈(333) 내부 변형부(360)를 압착하며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말뚝(100) 내부 콘크리트가 말뚝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19에서와 같이, 보강블록(450)은 하부 삽입부(155)에 외측으로 상기 주입공(158)과 외부를 관통되는 관통홈(159)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블록(450)의 경우 상기 주입공(158)을 통하여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보강블록(450) 하부 및 측부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천공홀(H) 내부 말뚝유닛이 보강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20은 말뚝 하부에 말뚝기초부가 적용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상기 도 20에 적용된 말뚝기초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공홀(H)에 말뚝(100)을 설치 전 말뚝(100) 하부에 설치되는 말뚝기초부(18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말뚝기초부(180)는 전체적으로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되, 메인몸체부(182)와 상기 메인몸체부(182) 상부로 말뚝(100) 하부가 외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림부(184)와 안착부(18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부(182)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홀(188)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말뚝기초부(180)를 말뚝 하부에 설치하는 경우, 말뚝(100) 내부로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말뚝(100) 외부 즉, 말뚝(100)과 천공홀(H) 사이로 배출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전술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강블록(450)을 말뚝(100) 내부 하측에 적용 시 상기 관통홈(159)과 상기 말뚝기초부(180)의 관통홀(188이 서로 연결되도록 각 부재를 형성 시에는 보다 용이하게 말뚝(100) 외부로 콘크리트 배출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말뚝
150: 보강블록
151: 몸체부
153: 돌출부
155: 삽입부

Claims (15)

  1. 천공홀 형성단계;
    상기 천공홀 하부에 말뚝기초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 내부 상기 말뚝기초부 상측으로 말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말뚝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보강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말뚝은 상부가 개구된 관형 말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블록은 상기 말뚝 내측 내부면에 대면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외부면이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블록은 복수 개가 상기 말뚝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보강블록끼리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면되어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보강블록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블록은 드럼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 하부 중앙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공은 상기 돌출부, 몸체부, 삽입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며,
    상기 천공홀 내주면과 상기 말뚝 외주면 사이로 소정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말뚝이 상기 천공홀 내부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블록은 상기 몸체부 둘레부를 따라서 다수의 딤플이 구비되며,
    상기 말뚝기초부는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관을 이루는 메인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 상부로 상기 말뚝 하부가 외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림부와, 상기 말뚝 하부가 지지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몸체부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은 상부 상단으로부터 하부 기 설정 길이까지 유색 형광 물질로 페인팅되는,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록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되는,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30028939A 2023-03-06 2023-03-06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KR10258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939A KR102582259B1 (ko) 2023-03-06 2023-03-06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939A KR102582259B1 (ko) 2023-03-06 2023-03-06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259B1 true KR102582259B1 (ko) 2023-09-22

Family

ID=8818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939A KR102582259B1 (ko) 2023-03-06 2023-03-06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25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41B1 (ko) 2007-07-24 2009-12-0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중공말뚝 내부 지열교환기 매설용 콘크리트 그라우트
JP2012087586A (ja) * 2010-10-22 2012-05-10 Lixil Corp カーポートやテラス等の柱の基礎構造、柱の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120115875A (ko) * 2011-04-11 2012-10-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강관과 콘크리트 합성된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09348A (ko) * 2011-07-15 2013-01-23 (주)한맥기술 강관말뚝과 중공 콘크리트 말뚝의 합성에 의한 심부구속구조를 가지는 합성말뚝
JP2014181979A (ja) * 2013-03-19 2014-09-29 Hazama Ando Corp 放射能汚染物固化体の吊り・収納治具
KR101781369B1 (ko) * 2017-06-28 2017-10-2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조립식 블록어초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00089791A (ko) * 2019-01-17 2020-07-2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파일용 두부보강 구조
JP2020117902A (ja) * 2019-01-22 2020-08-06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支柱用組立て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41B1 (ko) 2007-07-24 2009-12-0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중공말뚝 내부 지열교환기 매설용 콘크리트 그라우트
JP2012087586A (ja) * 2010-10-22 2012-05-10 Lixil Corp カーポートやテラス等の柱の基礎構造、柱の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120115875A (ko) * 2011-04-11 2012-10-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강관과 콘크리트 합성된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09348A (ko) * 2011-07-15 2013-01-23 (주)한맥기술 강관말뚝과 중공 콘크리트 말뚝의 합성에 의한 심부구속구조를 가지는 합성말뚝
JP2014181979A (ja) * 2013-03-19 2014-09-29 Hazama Ando Corp 放射能汚染物固化体の吊り・収納治具
KR101781369B1 (ko) * 2017-06-28 2017-10-2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조립식 블록어초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00089791A (ko) * 2019-01-17 2020-07-2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파일용 두부보강 구조
JP2020117902A (ja) * 2019-01-22 2020-08-06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支柱用組立て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CA2955218C (en) Rapid pier
CN110886507B (zh) 一种既有建筑下方增层扩建的方法
CN110777806B (zh) 多连杆平面框架永久支护结构及其施工工艺
KR100707138B1 (ko) 지반보강용 그라우팅 장치 및 공법
CN113482011B (zh) 一种大直径phc管桩与钻孔灌注桩组合的基坑支护结构及支护方法
CN113417300B (zh) 边坡支护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187170B1 (ko)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
KR101296857B1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799036B2 (ja) 建物の基礎構造とその構築方法
JP4780781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橋脚の耐震補強工法
KR101086643B1 (ko) 다수개의 강선을 인장부의 전단면에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CN110318559B (zh) 一种文物建筑抢险加固装置及方法
KR102582259B1 (ko) 프리캐스트 방식 기초 말뚝유닛 시공방법
JP5465086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383817B1 (ko) 역타공법
JP2000120080A (ja) 中空筒状体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263526Y1 (ko)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CN212388582U (zh) 一种装配式沉井结构
KR200293048Y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지하벽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
KR101131631B1 (ko) 다수개의 강선을 인장부의 전단면에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조립식교량시공방법
CN116219876B (zh) 一种深水区超大下横梁施工方法
CN220768081U (zh) 一种组合斜桩撑基坑支护结构
KR20040012290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지하벽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 및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