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451B1 - 종이 아이스박스 - Google Patents

종이 아이스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451B1
KR102581451B1 KR1020200034108A KR20200034108A KR102581451B1 KR 102581451 B1 KR102581451 B1 KR 102581451B1 KR 1020200034108 A KR1020200034108 A KR 1020200034108A KR 20200034108 A KR20200034108 A KR 20200034108A KR 102581451 B1 KR102581451 B1 KR 102581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blocking
box body
plat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645A (ko
Inventor
정정일
Original Assignee
정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일 filed Critical 정정일
Priority to KR102020003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4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2External coverings o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4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를 이용하여 단열기능을 구현하여 아이스박스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는 간편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종이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으로, 박스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종이 아이스박스를 구비하고, 박스본체는 골판지의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전,후변의 제1측벽판과 좌,우변의 제2측벽판이 제1,2내벽판에 의하여 두 겹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제1측벽판과 제1내벽판 및 제2측벽판과 제2내벽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공기층에 의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골판지 자체의 공기층과 측벽판과 내벽판의 이격된 공간의 공기층에 의하여 이중으로 단열이 이루어져 보온, 보냉기능을 갖도록 함은 물론, 박스본체의 내측으로는 수납공간을 차단하기 하여 수납공간 내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차단부재를 삽입하고, 차단부재는 차단판과, 차단판의 테두리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면서 관성에 의하여 복원력이 부가되는 차단측벽을 구성하여 차단부재를 박스본체에 삽입하면 차단측벽의 벌어지려는 관성에 의하여 의하여 차단측벽이 박스본체의 측벽 내면을 가압하여 밀착 고정되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고 기밀성있게 포장이 이루어지면서도 테두리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비틀림에 의한 냉기유출을 방지하도록 하며, 골판지 표면에는 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코팅층을 형성하고, 코팅층을 수용성의 방수코팅으로 수행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종이 아이스박스{Ice box assembled from corrugated cardboard}
본 발명은 종이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를 이용하여 단열기능을 구현하여 아이스박스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는 간편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종이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박스는 보온, 보냉기능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쉽게 상하는 제품이나 냉동식품의 경우 아이스박스에 담아서 유통된다.
이러한 아이스박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효과가 우수한 스티로폼으로 주로 제작되는데, 스티로폼재질의 특성상 제조가 간편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쉽게 부서져서 가루가 날리게 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종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이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아이스 박스는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재 안쪽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보온,보냉 기능을 더 부가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이재에 알루미늄을 증착할 경우 즉시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재활용을 위해서는 결국 알루미늄 증착된 부분을 제거하고 재활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인건비가 더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재활용을 하고자 하는 종이 아이스박스의 목적이 무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이재로 아이스박스를 제작하는 경우에 접이식 구조로 인하여 아이스박스의 모서리틈으로 냉기가 유출되기 때문에 단열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이재의 특성상 강도가 비교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아이스박스를 포장한 상태에서 유통과정에서 외부 충격이 발생하면 박스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고, 박스의 형태를 온전하게 유지하지 못하면서 연결부위가 틀어지거나 손상되며,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틈을 통하여 냉기유출이 더욱 가속화되기 때문에 아이스박스로써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종이 아이스박스의 냉기 유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박스의 조립구조는 더욱 복잡해 질수밖에 없고, 그로 인하여 제조단가는 더욱 상승하는 반면에, 조립 및 분해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하여 종이 아이스박스의 상품 경쟁력이 떨어지지므로 여전히 스티로폼 재질의 아이스박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스티로폼 재질의 아이스박스의 환경오염문제와 종이재에 알루미늄 증착되는 아이스박스의 재활용, 단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재로 아이스박스를 저렴하고 가볍게 제작하여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쉽게 재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스티로폼 재질의 아이스박스와 동일한 정도의 단열성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아이스박스의 구조가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박스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고 단열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박스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종이 아이스박스를 구비하고, 박스본체는 골판지의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전,후변의 제1측벽판과 좌,우변의 제2측벽판이 제1,2내벽판에 의하여 두 겹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제1측벽판과 제1내벽판 및 제2측벽판과 제2내벽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공기층에 의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골판지 자체의 공기층과 측벽판과 내벽판의 이격된 공간의 공기층에 의하여 이중으로 단열이 이루어져 보온, 보냉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박스본체의 내측으로는 수납공간을 차단하기 하여 수납공간 내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차단부재를 삽입하고, 차단부재는 차단판과, 차단판의 테두리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면서 관성에 의하여 복원력이 부가되는 차단측벽을 구성하여 차단부재를 박스본체에 삽입하면 차단측벽의 벌어지려는 관성에 의하여 의하여 차단측벽이 박스본체의 측벽 내면을 가압하여 밀착 고정되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고 기밀성있게 포장이 이루어지면서도 테두리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비틀림에 의한 냉기유출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골판지 표면에는 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코팅층을 형성하고, 코팅층을 수용성의 방수코팅으로 수행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종이 아이스박스에 의하면, 종이재인 골판지를 사용하여 아이스박스를 제작함에도 간편하게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골판지 자체의 특성 및 다층 구조로 공기층에 의한 단열이 이루어지고, 벽체가 이중 구조로 중첩되면서도 접이식으로 조립되는 구조임에도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보온, 보냉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이스박스의 덮개가 이중으로 차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차단부재에 의하여 박스본체의 상단이 차단되고 테두리가 지지된 상태에서 덮개로 다시 덮어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외관 손상이나 틀어짐을 최소화하여 단열효과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박스본체와 덮개의 체결부위가 이중으로 내기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통과정에서 제품의 변질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스티로폼 재질의 아이스박스와 동일한 정도의 기능을 유지하므로 제품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박스본체에 담겨지는 제품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거나 가득 담지 않는 경우에는 충진재나 유동방지구를 별도로 삽입하여야 하는 종래와는 달리 차단부재를 깊숙히 넣어서 수납된 제품의 상단에 밀착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이 유동되지 않고 유통과정에서 이동 및 운반시 제품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티로폼 재질의 아이스박스의 외관도
도 2는 종래의 종이 아이스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종이 아이스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골판지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종이 아이스박스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박스본체와 차단부재의 조립구조도
도 10은 차단부재의 접이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차단부재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박스본체의 전개도
도 13은 도 12의 박스본체의 조립단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종이 아이스박스는 박스본체(1)와 박스본체의 상단에 끼워져 개폐가 이루어지는 덮개(2)로 구성되는 것으로, 박스본체(1)는 저면부(1a)의 테두리에 상부측으로 수직으로 직립하는 전,후,좌,우의 측벽(1b)이 형성되어 상부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2)는 박스본체(1)의 상단 테두리 둘레를 감싸도록 상단부(2a)의 테두리를 따라 덮개측벽(2b)을 구성하여 박스본체(1)가 조립된 상태에서 덮개(2)를 덮어 밀폐가 이루어지면서 제품을 포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박스본체는 골판지의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100)과, 바닥판의 전,후변의 제1측벽(120)판과 좌,우변의 제2측벽판(140)이 제1,2내벽판(122,142)에 의하여 두 겹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측벽판(120)과 제1내벽판(122) 및 제2측벽판(140)과 제2내벽판(14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공기층에 의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골판지 자체의 공기층과 측벽판과 내벽판의 이격된 공간의 공기층에 의하여 이중으로 단열이 이루어져 보온, 보냉기능을 갖도록 된다.
상기 박스본체(1)와 덮개(2)는 습기가 유입되는 경우 단열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골판지 표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성의 방수코팅을 실시한 코팅층(4)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4)은 골판지의 표면에 방수코팅을 하거나, 또는 방수코팅이 이루어진 상태의 다른 종이재를 합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용성의 방수코팅은 습기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박스 조립를 위하여 전개된 상태를 접을 경우에 접힘부위에서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함은 물론,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방수코팅에 의하여 크랙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아이스박스 내부와 외부의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고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본체(1)의 상단에는 박스본체(1)에 덮개(2)를 조립하기 이전에 박스본체(1)의 개구된 상단에 조립되는 차단부재(3)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차단부재(3)에 의하여 아이스박스가 이중으로 차단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차단부재(3)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의 개구된 상단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300)과, 상기 차단판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되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면서 박스본체(1)의 내벽에 밀착되어 차단판(300)이 지지되도록 하는 차단측벽(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차단판(300)의 모서리부분에는 차단측벽(320) 간의 인접한 변을 서로 연결하면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코너내접편(34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코너내접편(340)은 접힘선(342)에 의하여 차단측벽(320)이 차단판(30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벌어지는 복원력을 제공하여 차단측벽(320)의 외면이 박스본체(1)의 내벽에 밀착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박스본체(1)가 조립된 상태에서 차단부재(3)를 끼우면 박스본체(1)의 상단을 차단부재(3)의 테두리부분이 지지하게 되고, 박스본체(1)의 개구된 상면을 1차로 차단한 이후에 덮개(2)에 의하여 2차로 차단되면서 제품을 수납하는 박스본체(1)의 수납공간이 외부와 이중으로 차단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3)는 코너내접편(340)의 관성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복원력에 의하여 차단측벽(320)이 제1,2내벽판(122,142)의 내면을 가압하면서 완전히 밀착되어 틈새가 없도록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박스본체(1)와 덮개(2) 간의 조립부위가 차단부재(3)에 의하여 이중으로 차단됨은 물론,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1)의 수납공간의 하단에 위치되어 바닥면을 이중으로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수납공간 상단에 위치되어 덮개부분을 이중구조로 단열하는 차단부재를 동시에 구비하여 아이스박스의 바닥과 덮개부분의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납공간의 하단에 위치되는 차단부재는 차단측벽(320)이 하부측으로 접힘이 이루어져 제품이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로 수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수납공간의 상단에 위치되는 차단부재는 차단측벽(320)이 상부측으로 접힘이 이루어져 제품에 밀착하여 삽입이 이루어진 후 이중 단열구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바닥과 덮개부분에서도 이중으로 단열 구조가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아이스박스 전체가 이중으로 단열 구조를 갖도록 되어 단열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수납공간의 상단에 위치되는 차단부재(3)는 차단측벽(320)이 차단판(30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접힘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차단측벽(320)이 차단판(300)의 상부측으로 직립하게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단부재(3)를 박스본체(1)에 끼워 넣을 때 더욱 쉽게 조립이 이루어지면서도 차단판(300)이 제품의 상단에 밀접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하면서도 박스본체(1)에 덮개(2)를 덮은 상태에서는 차단판(300)과 덮개(2)의 덮개판(20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3)도 골판지의 종이재로 구성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그 표면에도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성의 방수코팅 또는 방수코팅이 이루어진 종이재를 합지하여 코팅층(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코팅층에 의하여 차단측벽(320)을 접어 강제 끼움으로 박스본체의 수납공간에 끼워 넣을 경우 그 접힘부위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틈새가 없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박스본체(1), 덮개(2), 차단부재(3)의 표면에만 코팅함에도 두겹으로 접힘이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박스의 외면을 포함하여 내면에도 코팅층이 노출되며, 외면에 노출되는 코팅층(4)의 외부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습기를 차단하고, 내면에 노출되는 코팅층(4)은 냉동식품 등에서 물기가 발생하더라도 골판지 종이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박스본체(1)의 세부 접이구조를 살펴보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0)과, 바닥판(100)의 전,후변에 서로 대향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1측벽판(120)과, 바닥판(100)의 좌,우변에 서로 대향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2측변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판(100)의 전,후변에 연장 형성되는 제1측벽판(120)은 아이스박스의 전,후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박스본체(1)를 접어서 조립할 때 전면과 후면에 각각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고, 바닥판(100)의 좌,우변에 연장 형성되는 제2측벽판(140)은 아이스박스의 좌,우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박스본체(1)를 접어서 조립할 때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측벽판(120, 140)은 바닥판(100)의 네 변에 각각 형성되어 한 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며, 조립시 제1,2측벽판(120, 140)이 서로 인접하게 직립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측벽판(120)과 제2측벽판(140)에는 각각 제1내벽판(122)과 제2내벽판(142)이 형성되어 박스본체의 측벽을 이중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측벽판(120)은 제1측벽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벽을 이중으로 구성하는 제1내벽판(122)이 형성되고, 제1측벽판(120)과 제1내벽판(122)이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측벽판(120)과 제1내벽판(122)의 사이에는 제1수평연결편(121)이 형성되어 제1측벽판(120), 제1수평연결편(121), 제1내벽판(122)이 바닥판(100)의 전,후변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측벽판(120), 제1수평연결편(121), 제1내벽판(122)의 경계에는 각각 접힘선이 형성되어 박스 조립시 접힘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측벽판(140)은 제2측벽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벽을 이중으로 구성하는 제2내벽판(142)이 형성되고, 제2측벽판(140)과 제2내벽판(142)이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측벽판(140)과 제2내벽판(142)의 사이에는 제2수평연결편(141)이 형성되어 제2측벽판(140), 제2수평연결편(141), 제2내벽판(142)이 바닥판(100)의 좌,우측변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측벽판(140), 제2수평연결편(141), 제2내벽판(142)의 경계에는 각각 접힘선이 형성되어 박스 조립시 접힘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내벽판(122)의 양측변에는 수직으로 절첩되면서 바닥판(10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접힘이 이루어지는 직립날개편(124)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접힘이 이루어지는 한편, 제1측벽판(120)과 제2측벽판(140)의 마주보는 측변에는 내접편(160)이 형성되어 박스본체(1)의 접힘이 이루어질 때 내접편(160)이 접힘선(162)에 의하여 접히면서 직립날개편(124)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판(120)을 바닥판(100)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먼저 접은 후에, 제1수평연결편(121)을 수평방향으로 접고 제1내벽편(122)이 측벽의 내벽을 구성하도록 접으면 측벽이 이중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제1수평연결편(121)의 폭에 따라서 제1측벽판(120)과 제1내벽판(122)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박스본체(1)의 전,후면 벽체를 먼저 세워 조립할 때 제1내벽판(122)에 연장된 직립날개편(124)을 직각으로 접고, 이때 직립날개편(124)이 제1내벽판(12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직립날개편(124)을 직각으로 접힌 상태에서 그 하단이 바닥판(10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직립날개편(124)은 내접편(160)이 접힘되면서 서로 밀착되게 접힘이 이루어져 상호 지지가 이루어지며, 이렇게 박스본체의 전,후 측벽을 먼저 접은 후에 제2측벽판(140), 제2수평연결편(141), 제2내벽판(142)을 순차적으로 접어서 제2내벽판(142)이 직립날개편(124)과 내접편(160)을 감싸 조립이 이루어지면서 박스본체를 구성하는 측벽의 사면 전체가 이중 구조로 중첩되게 조립이 이루어지면서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조립부위에서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박스본체의 측벽이 수직하중에 대하여 균일한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박스본체의 제1수평연결편(121)과 제2수평연결편(141)은 동일한 연장길이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측벽판(120)과 제2측벽판(140)을 상호 연결하면서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내접편(160)은 제1측벽판(120)과 제2측벽판(140)의 측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으로, 제1,2측벽판(120,140)으로부터 선단변까지의 거리를 직립날개편(124)의 제1내벽판(122)의 측변으로부터 선단변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직립날개편(124)과 내접편(160)이 접힘된 상태에서 3중면이 겹쳐진 상태로 지지되며 아이스박스의 모서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접편(160)은 외측변 선단이 사선으로 절단되어 박스본체(1)를 접을 때 내접편(160)이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후방 측벽이 직립하게 조립한 상태에서 좌,우 측벽을 조립할 때 임의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내벽판(142)의 양측변에는 끼움편(143)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내벽판(122)에는 끼움편(14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부(123)를 형성하면 제1내벽판(122)과 직립날개편(124)이 접힘된 상태에서 끼움편(143)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절개부(123)의 높이는 끼움편(143)이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편(143)의 높이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절개부(123)의 높이가 끼움편(143)의 높이보다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끼움편(143)이 쉽게 끼움되면서도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2)는 공지의 아이스박스 구성과 대응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상단부를 구성하는 덮개판(200)과, 덮개판(200)의 테두리변에 연장 형성되어 접힘이 이루어지면서 덮개측벽을 구성하는 측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측판(220)들은 연결판(240)에 의하여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재(3)의 차단측벽(320)이 서로 인접하는 코너에 형성되는 코너내접편(342)은 접힘선(342)이 중앙에 형성되어 코너내접편(342)을 등분하여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차단부재(3)를 접은 상태에서 접힘선(342)의 의하여 접힌 부분이 내입돌출되게 형성되어 차단부재(3)를 박스본체(1)로부터 인출할 때 차단부재(3)를 잡고 꺼내기 위한 손잡이로도 사용할 수 있다.
1: 박스본체
2: 덮개
3: 차단부재
100: 바닥판
120: 제1측벽판 121: 제1수평연결편 122: 제1내벽판
123: 절개부 124: 직립날개편
140: 제2측벽판 141: 제2수평연결편 142: 제2내벽판
143: 끼움편
160: 내접편 162: 접힘선
200: 덮개판
220: 측판
300: 차단판
320: 차단측벽
340: 코너내접편 342: 접힘선

Claims (7)

  1. 박스본체(1), 덮개(2) 및 차단부재(3)로 이루어지는 종이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는 골판지의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전,후변의 제1측벽판(120)과 좌,우변의 제2측벽판(140)이 제1,2내벽판(122, 142)에 의하여 두 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측벽판(120)과 상기 제1내벽판(122) 및 상기 제2측벽판(140)과 상기 제2내벽판(14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공기층에 의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골판지 자체의 공기층과 측벽판과 내벽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공기층에 의하여 이중으로 단열이 이루어져 보온, 보냉기능을 갖게 되고,
    상기 차단부재(3)는 상기 박스본체(1)에 상기 덮개(2)를 조립하기 이전에 상기 박스본체(1)의 개구된 상단으로 삽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본체(1)의 수납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차단판(300)과, 상기 차단판(300)의 테두리에서 위로 또는 아래로 접혀지면서 관성에 의하여 복원력이 부가되는 차단측벽(320)이 구성되어, 상기 차단부재(3)가 상기 박스본체(1)에 삽입되면 상기 차단측벽(320)이 벌어지려는 관성에 의하여 상기 박스본체(1)의 측벽 내면을 가압하여 밀착 고정되어 틈이 발생하지 않고 통기가 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제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측벽의 직립상태가 보강되어 외력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차단부재(3)는 상기 박스본체(1)의 수납공간의 하단에 위치되어 바닥면을 이중으로 단열하는 차단부재(3) 또는 수납공간의 상단에 위치되어 덮개부분을 이중구조로 단열하는 차단부재(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단부재(3)가 포함되되, 수납공간의 하단에 위치되는 차단부재(3)는 상기 차단측벽(320)이 아래로 접혀져 제품이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로 수납되도록 하고, 수납공간의 상단에 위치되는 차단부재(3)는 상기 차단측벽(320)이 위로 졉혀져 제품에 밀착하여 삽입이 이루어진 후 이중 단열구조를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아이스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 덮개(2) 및 차단부재(3)는 습기 유입에 의한 단열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박스를 접을 때 접히는 부위에서의 크랙을 보완하기 위하여 표면에 수용성의 방수코팅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아이스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3)는 상기 차단측벽(320) 간의 인접한 변을 서로 연결하면서 접혀지는 코너내접편(3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아이스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내접편(340)은 접힘선(342)에 의하여 상기 차단측벽(320)이 상기 차단판(300)의 위로 또는 아래로 접힌 상태에서 벌어지려는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단측벽(320)의 외면이 상기 박스본체(1)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아이스박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측벽판(120, 140)에는 이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측벽을 이중으로 구성하는 제1,2내벽판(122, 142) 및 상기 제1,2측벽판(120, 140)과 상기 제1,2내벽판(122, 142)이 이격된 상태에서 직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2측벽판(120, 140)과 상기 제1,2내벽판(122, 142)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2수평연결편(121, 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아이스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벽판(122)의 양측변에는 수직으로 절첩되면서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접혀지는 직립날개편(1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아이스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판(120)과 상기 제2측벽판(140)의 측변을 연결하면서 내입되게 접혀져 상기 직립날개편(124)을 지지하도록 접힘선(162)이 형성된 내접편(160)이 구비되어, 상기 박스본체(1)의 전,후 측벽을 먼저 접은 후에 상기 제2내벽판(142)으로 상기 직립날개편(124)과 상기 내접편(160)을 감싼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박스본체(1)의 사면 측변이 이중 구조로 중첩되어, 박스 연결부위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아이스박스.
KR1020200034108A 2020-03-19 2020-03-19 종이 아이스박스 KR102581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08A KR102581451B1 (ko) 2020-03-19 2020-03-19 종이 아이스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08A KR102581451B1 (ko) 2020-03-19 2020-03-19 종이 아이스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645A KR20210117645A (ko) 2021-09-29
KR102581451B1 true KR102581451B1 (ko) 2023-09-22

Family

ID=7792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108A KR102581451B1 (ko) 2020-03-19 2020-03-19 종이 아이스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4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282A (ja) 1999-11-26 2001-06-05 Utsui:Kk 保温保冷用紙製容器
JP2003191948A (ja) * 2001-12-27 2003-07-09 White House:Kk 蓋付き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745B1 (ko) * 2017-10-31 2019-06-11 이정숙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282A (ja) 1999-11-26 2001-06-05 Utsui:Kk 保温保冷用紙製容器
JP2003191948A (ja) * 2001-12-27 2003-07-09 White House:Kk 蓋付き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645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905B2 (en) Thermal container
US6443309B1 (en) Apparatus for packaging goods
US9682794B2 (en) Packaging system
CN101035716B (zh) 可堆置的纸板容器
US20150158656A1 (en) Thermal container, thermal liner for same and dies for making the thermal liner
US20170327298A1 (en) Thermal liner and thermal container comprising same
US7789292B2 (en) Box flap locking system with sift-proof bottom
KR102282249B1 (ko) 용기 장치
JP3232373U (ja) 生鮮商品運送用で、優れた熱絶縁性と水密性を有し、箱の最終シール工程用の粘着テープの貼り付けを容易にし、以下を特徴とする段ボール箱
US9815587B2 (en) Folding container
US6666334B2 (en) Packing box
KR102581451B1 (ko) 종이 아이스박스
US20020070267A1 (en) Foldable distribution container for conveying perishable foods
JP2006213386A (ja) 配送用箱
CN211568573U (zh) 可折叠箱
KR20100057386A (ko) 포장용 방수 상자
EP2029444A1 (en) Foldable carton
KR102420062B1 (ko) 냉동식품 배송용 골판지 포장박스
CN210971926U (zh) 可折叠箱
CN111453133B (zh) 可折叠容器
US3702676A (en) Pallet accessory
US20030047564A1 (en) Insulated container and methods for making and storing the same
CA2637426C (en) Thermal container
KR102364326B1 (ko) 박스용 라이너
US10717563B2 (en) Reusable bulk-sized shipp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