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191B1 -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 Google Patents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191B1
KR102581191B1 KR1020220136054A KR20220136054A KR102581191B1 KR 102581191 B1 KR102581191 B1 KR 102581191B1 KR 1020220136054 A KR1020220136054 A KR 1020220136054A KR 20220136054 A KR20220136054 A KR 20220136054A KR 102581191 B1 KR102581191 B1 KR 10258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heat dissipation
blowing fan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길자
권순상
Original Assignee
성길자
권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길자, 권순상 filed Critical 성길자
Priority to KR102022013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other areas of environ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는 길이방향의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되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지지되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한 쌍의 LED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LED에 대하여 수밀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한 방열부 및 하우징에 지지되어 외부의 공기를 방열부를 향해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LED double-sided floodlight for ships}
본 발명은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조업을 하는 경우 선박 주변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투광기는 일방향으로만 제조되어 사용되는 것이 흔한 예이다. 이 LED투광기는 LED가 장착된 PCB기판이 지지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이 연결되며, 주변으로 광을 출력하게 된다. 선박에서 조업을 하는 경우 선박 주변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LED투광기의 밝기 성능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LED에서 열이 발생되므로 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방열기능을 추가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은 공냉방식의 방열을 수행하고 있으나 LED투광기가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경우 방열기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며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방열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무더운 여름이나 더운 지방에서 사용되는 경우 자연적으로 공냉의 효과로 방열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으며 방열기능의 효율을 향상시킨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는, 길이방향의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지지되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한 쌍의 LED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LED에 대하여 수밀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한 방열부; 및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방열부를 향해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조명부의 조명모듈을 배치하여 하우징의 양측 방향으로 조명광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조명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부로 송풍팬이 공기를 유동시켜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명부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조명부의 사용유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면 주변의 공기를 유동하여 방열부의 방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변이 더운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방열부의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는, 연통로가 형성된 연통부; 및 상기 연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열전소자로 이루어지면 친환경적으로 방열부의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및 상기 조명부,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 각각에 대한 정상온도범위를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상기 정상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열부를 향해 냉각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과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면 조명부, 방열부 및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의 온도에 의해 LED의 성능이 저하되기 전에 방열부에서 방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선체의 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 및 일측이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면 하우징이 선박에 고정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조명부의 조명모듈을 배치하여 하우징의 양측 방향으로 조명광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조명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부로 송풍팬이 공기를 유동시켜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명부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조명부의 사용유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의 공기를 유동하여 방열부의 방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변이 더운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방열부의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방열부의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부, 방열부 및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의 온도에 의해 LED의 성능이 저하되기 전에 방열부에서 방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하우징이 선박에 고정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변형 가능한 방열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다른 변형 가능한 방열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변형 가능한 방열구조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다른 변형 가능한 방열구조의 예시도이며, 도 5는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1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1)의 구성을 설명한다.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1)는 하우징(10), 지지프레임(20), 파지부(30), 조명부(40), 방열부(50), 송풍팬(60), 냉각부(70), 온도센서(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길이방향의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을 갖는다. 후술할 조명부(40)의 제1LED모듈(41)과 제2LED모듈(42)가 설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면은 비어 있는 상태이며,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면의 4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상면체(11), 좌측면체(12), 우측면체(13) 및 하면체(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체(11)는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면의 상면으로 평판의 판넬 형상을 갖는다. 상면체(11)는 후술할 지지프레임(20)과 결합되기 위한 프레임결합공(111)이 복수 형성된다.
좌측면체(12)는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면의 좌측면으로 평판의 판넬 형상을 갖는다. 좌측면체(12)는 후술할 송풍팬(60)이 설치되는 좌송풍결합공(121)이 형성된다.
우측면체(13)는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면의 우측면으로 평판의 판넬 형상을 갖는다. 우측면체(13)는 후술할 송풍팬(60)이 설치되는 우송풍결합공(131)이 형성된다.
하면체(14)는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면의 바닥면으로 평판의 판넬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0)은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격막(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막(15)은 하우징(10) 내부수용공간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격막(15)은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0) 내부수용공간의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 영역 모두를 폐쇄하는 경우 격막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설치의 편리 및 공기의 유동이 방열부(50) 전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를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은 상면체(11)에 지지되며 설치된다. 지지프레임(20)은 프레임결합공(111)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은 지지프레임(20)은 후술할 파지부(30)에 결합되며, 타측이 하우징(10)에 결합되어 하우징(10)을 지지한다.
파지부(30)는 선체의 일부를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30)는 파지본체(31), 파지홈(32) 및 간격조절결합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본체(31)는 막대형상을 가지며, 지지프레임(20)에 고정 결합된다. 파지본체(31)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상태에서 간격조절결합공(311)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본체(31)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파지홈(32)은 선체의 일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본체(31)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간격조절결합부재(33)는 간격조절결합공(311)에 결합되며 한 쌍의 파지본체(3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체의 일부를 파지할 수 있다.
조명부(40)는 광을 출력하여 주변을 밝힐 수 있다. 조명부(40)는 일부가 하우징(10)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되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지지되는 복수의 LED(412, 422)로 이루어진 한 쌍의 LED모듈(41, 42)로 이루어진다. 조명부(40)는 제1LED모듈(41)과 제2LED모듈(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LED모듈(41)은 제1기판(411)과 제1LED(4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기판(411)은 제1LED(412)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제1LED(41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LED(412)는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제2LED모듈(42)은 제2기판(421)과 제2LED(4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기판(421)은 제2LED(422)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제2LED(422)를 지지할 수 있다.
제2LED(422)는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방열부(50)는 하우징(10)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LED(412, 422)에 대하여 수밀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LED(412, 42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한 구성이다. 방열부(50)는 지그재그형상을 갖고 열접촉이 많이 일어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50)는 제1방열부(51)와 제2방열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60)은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외부의 공기를 방열부(50)를 향해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팬(60)은 좌측면체(12), 우측면체(13) 및 하우징(10) 내부수용공간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송풍팬(60)은 제1송풍팬(61), 제2송풍팬(62) 및 제3송풍팬(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부(70)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61 내지 63)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61 내지 63)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부(70)는 제1송풍팬(61)에 설치되는 제1냉각부(71)와 제2송풍팬(62)에 설치되는 제2냉각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부(71)는 제1연통부(711)와 제1열전소자(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통부(711)는 외측이 원기둥 형상이며 중공으로 관이 형성되어 있다.
제1냉각부(71)는 제1연통부(711)를 냉각시키는 복수의 열전소자(712)로 이루어진다. 제1냉각부(71)의 열전소자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의 총칭이다. 회로의 안정화와 열, 전력, 빛 검출 등에 사용하는 서미스터, 온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제베크 효과를 이용한 소자, 냉동기나 항온조제작에 사용되는 펠티에 소자 등이 있다. 여기서, 펠티에 효과는 2종류의 금속 끝을 접속시켜,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2종류의 금속 대신 전기전도 방식이 다른 비스무트·텔루륨 등 반도체를 사용하면, 효율성 높은 흡열·발열 작용을 하는 펠티에 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발열의 전환이 가능하고, 전류량에 따라 흡열/발열량이 조절되므로, 용량이 적은 냉동기 또는 상온 부근의 정밀한 항온조(恒溫槽) 제작에 응용한다. 펠티에 소자는 펠티에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N형과 P형의 반도체를 한 번씩 사용하여 발열과 흡열 반응을 일으킨다. 제1냉각부(71)의 열전소자는 상기와 같이 발열부와 흡열부를 모두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으며 흡열부만을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냉각부(71)의 열전소자는 제1연통부(711) 중공의 배면측 즉, 외측에 부착되어 제1연통부(711)를 냉각시킨다.
제2냉각부(72)는 제2연통부(721)와 제2열전소자(7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통부(721)는 외측이 원기둥 형상이며 중공으로 관이 형성되어 있다.
제2냉각부(72)는 제2연통부(721)를 냉각시키는 복수의 열전소자(722)로 이루어진다. 제2냉각부(72)의 열전소자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의 총칭이다. 회로의 안정화와 열, 전력, 빛 검출 등에 사용하는 서미스터, 온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제베크 효과를 이용한 소자, 냉동기나 항온조제작에 사용되는 펠티에 소자 등이 있다. 여기서, 펠티에 효과는 2종류의 금속 끝을 접속시켜,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2종류의 금속 대신 전기전도 방식이 다른 비스무트·텔루륨 등 반도체를 사용하면, 효율성 높은 흡열·발열 작용을 하는 펠티에 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발열의 전환이 가능하고, 전류량에 따라 흡열/발열량이 조절되므로, 용량이 적은 냉동기 또는 상온 부근의 정밀한 항온조(恒溫槽) 제작에 응용한다. 펠티에 소자는 펠티에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N형과 P형의 반도체를 한 번씩 사용하여 발열과 흡열 반응을 일으킨다. 제2냉각부(72)의 열전소자는 상기와 같이 발열부와 흡열부를 모두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으며 흡열부만을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냉각부(72)의 열전소자는 제2연통부(721) 중공의 배면측 즉, 외측에 부착되어 제2연통부(721)를 냉각시킨다.
온도센서(80)는 조명부(40), 방열부(50) 및 하우징(10)의 내부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조명부(40), 방열부(50) 및 하우징(10)의 내부수용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80)는 제1온도센서(81), 제2온도센서(82) 및 제3온도센서(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조명부(40), 방열부(50) 및 하우징(10)의 내부수용공간 각각에 대한 정상온도범위를 저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81 내지 83)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정상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방열부(50)를 향해 냉각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61 내지 63)과 냉각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80)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90)는 외부에 배치된 온도센서(80)의 정상온도범위를 저장하고, 외부에 배치된 온도센서(8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정상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61 내지 63)과 냉각부(7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해 LED의 성능이 저하되기 전에 방열부(50)에서 방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변형 가능한 방열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3 (a) 상방에서 하우징(10)을 바라본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 흐름을 바라본 것이다. 하우징(10)의 좌우측을 따라 방열부(51, 52)가 배치되어 있으며, 좌측면체(12)에 제1송풍팬(61)과 제1냉각부(71)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면체(13)에 제2송풍팬(62)과 제2냉각부(72)가 설치되어 있다. 제1송풍팬(61)과 제1냉각부(71)를 통해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며 제2송풍팬(62)과 제2냉각부(7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있다.
도 3 (b) 측방에서 하우징(10)을 바라본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 흐름을 바라본 것이다. 하우징(10)의 내부수요공간 중앙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격막공(151)이 형성된 격막(15)이 배치되어 있다. 제1송풍팬(61)과 제1냉각부(71)를 통해 공기가 하우징(10) 내부수용공간의 상부영역으로 유입되며, 격막공(151)을 지나 하우징(10) 내부수요공간의 하부영역으로 유동되고, 제2송풍팬(62)과 제2냉각부(7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있다.
도 4는 다른 변형 가능한 방열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4 (a) 발열부(51, 52)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격막(15)이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부(51, 52)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이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수용공간의 중으로 지나치지 않고 퍼지면서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부(51, 52) 전체에 접촉할 수 있다.
도 4 (b) 격막(15)이 하우징(10)의 상면체(11)와 하면체(14)에 결합되어 지그재그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부(51, 52) 전체에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의 내부수용공간에 송풍팬(63)이 배치되어 내부수용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냉각된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된 송풍팬(63)으로 인하여 발열부(51, 52) 전체에 접촉하면서 유동될 수 있으므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조명부(40) 전체가 하우징(10)의 내부용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면에는 투명창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LED(412, 422)가 하우징(10)의 내부용공간 내에 배치되므로 냉각부(70)의 냉기가 LED(412, 422)까지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조명부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조명부의 사용유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명부(50)는 기판(411, 421)의 테두리 연부에 결합되어 LED(412, 422)에 출력되는 광이 좁은 영역으로 집중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집중반사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LED(412, 422)에 출력되는 광이 보다 멀리 출력될 수 있다.
이 집중반사판은 기판(411, 421)의 테두리 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경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1)로 인하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조명부의 조명모듈을 배치하여 하우징의 양측 방향으로 조명광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조명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부로 송풍팬이 공기를 유동시켜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명부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조명부의 사용유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공기를 유동하여 방열부의 방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변이 더운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방열부의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방열부의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 방열부 및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의 온도에 의해 LED의 성능이 저하되기 전에 방열부에서 방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하우징이 선박에 고정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10: 하우징 11: 상면체
12: 좌측면체 13: 우측면체
14: 하면체
20: 지지프레임
30: 파지부 31: 파지본체
32: 파지홈 33: 간격조절결합부재
40: 조명부 41: 제1LED모듈
42: 제2LED모듈
50: 방열부 51: 제1방열부
52: 제2방열부
60: 송풍팬 61: 제1송풍팬
62: 제2송풍팬 63: 제3송풍팬
70: 냉각부 71: 제1냉각부
72: 제2냉각부
80: 온도센서 81: 제1온도센서
82: 제2온도센서
90: 제어부

Claims (5)

  1.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선체의 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
    일측이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지지되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한 쌍의 LED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LED에 대하여 수밀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한 방열부; 및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방열부를 향해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열부를 좌우측을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되기 위한 프레임결합공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상면체와;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기 위한 좌송풍결합공이 형성되는 좌측면체와;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기 위한 우송풍결합공이 형성되는 우측면체와; 바닥면을 이루는 하면체와;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변경시키며, 상기 내부 공간의 중앙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격막공을 구비한 격막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간격조절결합공이 형성된 막대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파지본체와; 상기 파지본체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파지홈과; 상기 간격조절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본체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연통로가 형성된 연통부; 및
    상기 연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열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및
    상기 조명부,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 각각에 대한 정상온도범위를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상기 정상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열부를 향해 냉각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과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5. 삭제
KR1020220136054A 2022-10-21 2022-10-21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KR10258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54A KR102581191B1 (ko) 2022-10-21 2022-10-21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54A KR102581191B1 (ko) 2022-10-21 2022-10-21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191B1 true KR102581191B1 (ko) 2023-09-21

Family

ID=8818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054A KR102581191B1 (ko) 2022-10-21 2022-10-21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1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704A (ko) * 2012-12-06 2014-06-17 피티씨 주식회사 폐 에너지를 이용한 자가발전 조명장치
KR20180000550A (ko) * 2016-06-23 2018-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6708308B2 (ja) * 2017-07-14 2020-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連結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704A (ko) * 2012-12-06 2014-06-17 피티씨 주식회사 폐 에너지를 이용한 자가발전 조명장치
KR20180000550A (ko) * 2016-06-23 2018-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6708308B2 (ja) * 2017-07-14 2020-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連結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2028B2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US8911125B2 (en) Circuit module, light emitting module, and automotive lamp
JP5304198B2 (ja) 照明器具
US7994533B2 (en) LED lamp
US20110179806A1 (en) Cooling apparatus
US7611263B2 (en) Light source module with a thermoelectric cooler
US20110025211A1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KR20170039194A (ko) Led 광원을 구비한 헤드라이트
KR101152297B1 (ko) 엘이디조명등
KR20120080871A (ko) 엘이디조명등의 냉각장치
CN101995009A (zh) 用于模块化发光二极管照明配件的冷却系统
JP2014522571A (ja) 半導体装置の冷却
JP5479712B2 (ja) 天井照明の機能を備えた天井用放射パネル
KR102581191B1 (ko) 선박용 led 양면 투광기
TWM607434U (zh) 發光模組及發光裝置
KR102138221B1 (ko) 공랭식 레이저 방열 시스템
US20060219284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unit
CN217062830U (zh) 一种宽温度范围激光器温控装置
JP5390781B2 (ja) 光源冷却装置
US9677752B2 (en)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system
JP5179967B2 (ja) Led照明器具
WO2019114295A1 (zh) 照明装置
JP2012119521A (ja) Led光源の冷却装置
KR200330558Y1 (ko) 저전력 냉난방장치
JPS5857679B2 (ja) 電子熱交換ユニ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