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155B1 - Flying care robot system - Google Patents

Flying care robo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155B1
KR102581155B1 KR1020230039966A KR20230039966A KR102581155B1 KR 102581155 B1 KR102581155 B1 KR 102581155B1 KR 1020230039966 A KR1020230039966 A KR 1020230039966A KR 20230039966 A KR20230039966 A KR 20230039966A KR 102581155 B1 KR102581155 B1 KR 10258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re robot
care
flying
robo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화
Priority to KR102023003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1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1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having parallel kinematics
    • B25J9/007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having parallel kinematics actuated by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9Nursing, e.g. carrying sick persons, pushing wheelchairs, distributing dr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B25J19/002Balancing devices using 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Abstract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케어 대상 영역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하부에 윈치가 내장되는 지지대, 윈치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동작하는 제1와이어, 제1와이어에 결합되어 윈치의 구동에 따라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플라잉하는 리깅부, 리깅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수직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동작하는 제2와이어,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를 통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케어 대상자가 요청하는 특정 임무를 수행하는 케어 로봇, 및 지지대, 리깅부 및 케어 로봇과 통신하여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flying care robot system is provided.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area to be cared for and includes a support base with a winch built into the bottom,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winch and oper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wind or unwind, and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 rigging part that flies to a random position when the winch is driven, a second wi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igging part that winds or unwi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is mov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rough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t includes a care robot that performs a specific task requested by the care recipi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d controls the support, rigging unit, and care robot.

Description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Flying care robot system} Flying care robot system

본 발명은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 구동 방식에 의해 케어 대상 영역을 공중에서 비행하면서 대상자 케어를 위한 특정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ying care robot system, and in particular, to a flying care robot system that can perform a specific task for patient care while flying in the air over a care target area by a wire driving method.

최근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를 케어하기 위한 로봇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케어 로봇은 케어 인력을 대체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케어 로봇의 주요 기능은 특정 영역 내에서 자율 주행하면서 특정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Recently, robots have been appearing to care for elderly people and patients with limited mobility. Demand for these care robots is increasing due t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place care workers. The main function of a care robot is to provide convenience to care recipients by autonomously driving within a specific area and performing specific tasks.

그러나 종래의 케어 로봇은 바닥을 주행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실내의 특정 공간에 설치된 다양한 사물들이 장애물로 작용하므로, 운영 공간에 따라 주행하는데 많은 장애가 발생한다. 따라서 장애물에 의한 주행 장애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since conventional care robots are configured to travel on the floor, various objects installed in specific indoor spaces act as obstacles, resulting in many obstacles to driving depending on the operating spa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minimize driving obstacles caused by obstacles.

KRKR 10-2412945 10-2412945 B1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 구동 방식에 의해 케어 대상 영역을 공중에서 비행하면서 대상자 케어를 위한 특정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flying care robot system that can perform a specific task for patient care while flying in the air over the care target area by a wire driving method. do.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어 대상 영역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하부에 윈치가 내장되는 지지대; 상기 윈치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동작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윈치의 구동에 따라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플라잉하는 리깅부; 상기 리깅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수직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동작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를 통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케어 대상자가 요청하는 특정 임무를 수행하는 케어 로봇; 및 상기 지지대, 상기 리깅부 및 상기 케어 로봇과 통신하여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 support bar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care target area and having a winch built into the lower part;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winch and wound or unwoun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igg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wire and flying to a random position as the winch is driven; a second wi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igging unit and operated to be wound or unwound in a vertical direction; a care robot that mov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to perform a specific task requested by the care recipi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upport, the rigging unit, and the care robot to control each; a flying care robot system including a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는, 바닥에 적어도 두 방향으로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길이 조절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최상단에 구비된 개구; 및 상기 개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연장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장착되는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includes a base suppor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on the floor;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to accommodate the winch; An extension pa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and whose length is adjusted; an opening provided at the top of the extension part; and a pulley provided in the opening so that the first wi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깅부는, 상기 제1와이어에 결합되며 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된 상부몸체;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는 사각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요동을 안정화시키는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 상부몸체의 모서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구; 상기 상부몸체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와이어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 및 상기 상부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 모터가 내장된 하부몸체; 및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하부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gging unit includes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first wire and having a hollow portion on the inside; A square frame provided in the hollow part; A universal join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quare frame to stabilize the shaking of the upper body; A coupler provided at a corner of the upper body to which the first wire is coupled; A lower bod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and having a built-in lifting motor that provides driving force for the second wire and a rotation motor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universal joint and the lower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어 로봇은,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물을 인식하는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와이어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도 조절시 상기 몸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카운트웨이트; 상기 몸체의 양측에 결합되며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 측에 구비되어 상기 특정 임무를 수행하는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e robot includes a display unit; A senso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to recognize an object; a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to which the second wire is coupled; a count weigh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operating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ody when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a support fram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and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a gripp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to perform the specific task.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리퍼는 카메라 짐벌, 각도를 꺽을 수 있는 그리퍼, 석션 그리퍼, 감시 조명 및 스피커를 포함하며 교환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the gripper includes a camera gimbal, tiltable gripper, suction gripper, surveillance light, and speaker and is interchangeab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상기 그리퍼의 하측에 구비되어 대상 물건에 부착된 고리를 들어올리는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hook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ipper to lift a hook attached to an obj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임무는 상기 케어 대상자의 요청에 따른 대상 물건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 물건을 잡아 들어서 상기 케어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pecific task may be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target objec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are recipient, pick up the target object, and provide it to the care recipi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상기 케어 대상자에 의해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여 상기 케어 로봇의 상기 특정 임무를 요청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unit operated by the care recipient. Here, the manipulation unit may request the specific task of the care robot b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는 전원부가 내장되고, 상기 제1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케어 로봇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has a built-in power supply and can supply power to the care robot through the first wi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어 로봇에 의해 이동시키는 대상 물건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2와이어를 고정하고, 상기 제1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상기 대상 물건을 상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f the target object moved by the care robo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he control unit fixes the second wire and controls the object to rise by driving the first wir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코너의 지지부를 통한 와이어 구동 방식으로 케어 로봇을 공중에서 비행시킴으로써, 케어 대상 영역 내의 배치된 장애물에 의한 주행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ies the care robot in the air using a wire drive method through a corner support, thereby improving usability by minimizing travel obstacles caused by obstacles placed in the care target area. You can do 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공중에 위치하여 대상자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대상자가 누운 상태에서도 편안하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air and displays by adjus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 so that the subject can comfortably watch the image even while lying dow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지지대를 대상 영역의 모서리에 세워서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 the support stand standing at the corner of the target area, making it easy to install due to its simpl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센서를 구비하여 사물을 인식함으로써, 케어 대상자가 원하는 물건을 쉽게 찾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케어 임무를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ensor to recognize objects, so that the care recipient can easily find and deliver the desired object, thereby expanding the care miss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그리퍼나 후크를 통하여 물건을 잡아 케어 대상자에게 이동시킴으로써, 환자에게 물리적 도움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케어 인력을 대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physical assistance to patients by grabbing objects through grippers or hooks and moving them to the care recipient, thereby replacing care personne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중량체를 후쿠로 들어올리거나 지지대에 의해 상승시킴으로써, 중량체를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적용 대상을 확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elevate a heavy body by lifting the weight with a hook or raising it with a support, thus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지지대에 전원부를 구비하고 케이블을 통하여 케어 로봇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케어 로봇의 충전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wer unit on the support and supplies power to the care robot through a cable, so that the care robot can be used continuously without charging, thereby improving the usage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은 특정 용도에 따른 그리퍼를 구비하여 교환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요구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needs or characteristics of the care recipient by providing and exchanging grippers for specific purposes, thereby improving expand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지지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리깅부와 케어 로봇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리깅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케어 로봇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케어 로봇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케어 로봇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of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rigging part of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nd the car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gging part of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are robot in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are robot in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are robot in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개략도이다.Hereinafter,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지지대(110), 제1와이어(120), 리깅부(130), 제2와이어(140), 케어 로봇(150), 조작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110, a first wire 120, a rigging part 130, a second wire 140, It may include a care robot 150, an operation unit 170, and a control unit 180.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여 케어 대상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3차원 윈치 체계에 승하강이 가능한 로봇을 걸어서 공중을 비행하면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임무를 수행하여 대상자를 케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케어 대상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 등과 같이 침대에서 주로 생활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일례로,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홈케어 로봇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병실, 실버타운이나 요양원 객실 내에서 활용하기 위한 케어 로봇 시스템일 수 있다.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is a system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care recipients by performing various missions. It flies in the air by hanging a robot capable of going up and down on a three-dimensional winch system and performs preset specific tasks to care for the recipient. It is a system for doing this. Here, the care recipient may be a person who mainly lives in bed, such as an elderly person or a patient with limited mobility. For example,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may be a home care robot,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care robot system for use in a hospital room, silver town, or nursing home room.

이러한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케어 로봇(150)이 공중에 영구적으로 떠 있을 수 있으므로 실내 환자등의 조망과 상태 케어에 대한 최적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케어 로봇(150)은 감성표출 스크린과 소형프로젝터, 그리퍼 암, 중량체 이동을 위한 후크, 상호작용가능한 스피커 등을 매개로 AI 기반으로 동료(companion)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케어 로봇(150)은 케어 대상자에게 간단한 물리적 도움을 수행할 수 있다.This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may be an optimal system for viewing and condition care of indoor patients because the care robot 150 can permanently float in the air. At this time, the care robot 150 can perform the role of a companion based on AI through an emotional expression screen, a small projector, a gripper arm, a hook for moving a heavy body, an interactive speaker, etc. For example, the care robot 150 can provide simple physical assistance to the care recipient.

지지대(110)는 케어 대상 영역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대(110)는 대략 사각형의 꼭지점을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10)는 하부에 윈치(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윈치(미도시)는 제1와이어(12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 및 드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윈치(미도시)는 토크센서를 구비하여 제1와이어(120)가 구동시 토크의 이상여부를 감지하여 이상토크 감지시 전체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10)는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support 110 may be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area to be cared for. For example, the support 110 may be installed with four approximately square vertices. At this time, the support 110 may have a winch (not shown) built into the lower part. The winch (not shown) is for driving the first wire 120 and may be composed of a motor and a drum. In addition, the winch (not shown) is equipped with a torque sensor to detect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torque when the first wire 120 is driven, and can stop the entire operation when the abnormal torque is detected. This support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제1와이어(120)는 지지대(110)에 내장된 윈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120)는 각 지지대(110)로부터 연장되어 리깅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와이어(120)는 각 지지대(110)의 윈치(미도시)로부터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리깅부(130)의 수평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와이어(120)는 리깅부(130)의 이동 방향 측의 지지대(110)로 감겨지고, 이동 방향의 반대 측의 지지대(110)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 The first wire 120 is connected to a winch (not shown) built into the support 110 and can be wound or unwou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wire 120 may extend from each support 110 and be coupled to the rigging portion 130. Here, the first wire 120 can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rigging unit 130 by winding or unwinding the first wire 120 from a winch (not shown) of each support 110. For example, the first wire 120 may be wound around the support 110 on the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igging unit 130 and unwound from the support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리깅부(130)는 제1와이어(120)에 결합되어 지지대(110)에 내장된 윈치(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플라잉할 수 있다. 즉, 리깅부(130)는 제1와이어(120)에 의해 지지대(110) 사이의 공간에서 비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라잉과 비행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리깅부(13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rigging unit 130 is coupled to the first wire 120 and can be flown to an arbitrary position by driving a winch (not shown) built into the support 110. That is, the rigging unit 130 can fly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s 110 by the first wire 120. In this specification, flying and flight are used with the same meaning. This rigg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제2와이어(140)는 리깅부(130)의 하측에 구비되어 수직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2와이어(140)는 리깅부(130)로부터 연장되어 케어 로봇(15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와이어(140)는 리깅부(130)로부터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케어 로봇(150)의 수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2와이어(140)는 케어 로봇(150)이 승하강하독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제2와이어(140)는 케어 로봇(150)이 대상 물건을 집거나 케어 대상자에게 물건을 전달하도록 하강하는 경우 풀려지고, 케어 로봇(150)이 대상 물건을 이동시키거나 케어 대상자에게 물건을 전달한 후 원위치하도록 상승하는 경우 감겨 질 수 있다. 제2와이어(140)는 케어 로봇(150)의 균형 유지가 용이하게 되도록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제2와이어(140)는 중심을 기점으로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wire 14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igging unit 130 and can be wound or unwou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wire 140 may extend from the rigging part 130 and be coupled to the care robot 150. Here, the second wire 140 can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are robot 150 by winding or unwinding from the rigging unit 130. That is, the second wire 140 allows the care robot 150 to move up and down. For example, the second wire 140 is released when the care robot 150 descends to pick up a target object or deliver an object to a care recipient, and the care robot 150 moves the target object or delivers the object to the care recipient. If it rise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delivering it, it may be wound up. The second wire 140 may be composed of three pieces to facilitat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care robot 150. At this time, the three second wires 140 may be arranged at an equal angle with the center as the starting point.

케어 로봇(150)은 제1와이어(120) 및 제2와이어(140)를 통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즉, 케어 로봇(150)은 지지대(110) 사이의 3차원 공간에서 임의의 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케어 로봇(150)은 케어 대상자가 요청하는 특정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임무는 케어 대상자의 요청에 따른 대상 물건의 위치로 이동하여 대상 물건을 잡아 들어서 케어 대상에게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특정 임무는 케어 대상자에게 물떠다 주기, 특정 물건 찾아서 짚어 주기 및 약 가져다 주기 등일 수 있다. 이때, 케어 로봇(150)은 물컵 디스펜서와 정수기와 IoT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케어 로봇(150)은 약 전용 디스펜서와 IoT 연동될 수 있다.The care robot 150 can be mov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40. That is, the care robot 150 can move between arbitrary position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between the supports 110. At this time, the care robot 150 may perform a specific task requested by the care recipient. Here, the specific task may be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target objec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are recipient, pick up the target object, and provide it to the care recipient. For example, specific tasks may include carrying water to the person receiving care, finding and pointing out a specific object, and delivering medicine. At this time, the care robot 150 can be linked to the water cup dispenser and water purifier through IoT. Additionally, the care robot 150 may be linked to a medicine dispenser and IoT.

또한, 케어 로봇(150)은 스크린을 통해 감성 또는 정보를 표출하거나, 귀 모양의 조명을 통해 상태를 표시하거나,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출력하거나,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통해 3차원 공간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케어 로봇(150)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care robot 150 expresses emotions or information through a screen, displays status through ear-shaped lighting, inputs and outputs voice through a speaker and microphone, or provides 3D information through a Time of Flight (ToF) sensor. It can be equipped with the function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space. This care robot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조작부(170)는 케어 대상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170)는 제어부(180)와 무유선으로 통신하여 케어 로봇(150)의 특정 임무를 요청할 수 있다. 일례로, 조작부(170)는 별도로 구비되거나 케어 대상자의 스마트폰에 어플(APP)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챗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및 TTS(Text-To-Speech) 등의 대화상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작부(170)는 케어 로봇(15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어플(APP)의 설치에 따라 케어 로봇(150)의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170 may be operated by the care recipient. At this time, the manipulation unit 170 may request a specific task of the care robot 150 by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the control unit 18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may be used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APP) on the care recipient's smartphone. The manipulation unit 170 may be equipped with conversation partner functions such as chat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and TTS (Text-To-Speech). Alternatively, the manipulation unit 170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f the care robot 150.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of the care robot 150 can be added by installing the application (APP).

제어부(180)는 지지대(110), 리깅부(130), 케어 로봇(150) 및 조작부(17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110), 리깅부(130), 케어 로봇(150), 조작부(170) 및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대(110)와 제어부(180)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어부(180)는 케어 대상자에 의한 조작부(170)의 지시에 따라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80)는 리깅부(130)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도록 각 지지대(110)의 윈치(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케어 로봇(150)의 승하강을 위해 리깅부(130) 또는 케어 로봇(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케어 로봇(150)의 임무 수행을 위해 케어 로봇(15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10, the rigging unit 130, the care robot 150, and the manipulation unit 17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To this end, the support 110, the rigging unit 130, the care robot 150, the manipulation unit 170, and the control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of course, the support 110 and the control unit 180 may communicate by wir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instructions from the operation unit 170 by the care recipien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a winch (not shown) of each support 110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rigging unit 13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rigging unit 130 or the care robot 150 to raise and lower the care robot 15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care robot 150 to perform its miss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코너의 지지부를 통한 와이어 구동 방식으로 케어 로봇을 공중에서 비행시킴으로써, 케어 대상 영역 내의 배치된 장애물에 의한 주행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ies the care robot in the air using a wire drive method through a corner support, thereby minimizing travel obstacles caused by obstacles placed in the care target area. Therefore, usability can be improv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지지대의 상부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of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110)는 베이스(112), 수용부(114), 연장부(116), 개구(118) 및 도르래(11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3 , the support 110 may include a base 112, a receiving portion 114, an extension portion 116, an opening 118, and a pulley 119.

베이스(112)는 바닥에 적어도 두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112)는 직립 설치되는 지지대(1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직각으로 구성된 직선바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2)는 지지대(11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3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후면은 지지대(110)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의 바깥 측면을 의미한다. The base 112 may be supported on the floor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 example, the base 112 may include a straight bar configured at a right angle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support 110 installed upright. Of course, the base 112 can be supported in three directions to support the rear of the support 110. Here, the rear refers to the outer side of the area specified by the support 110.

수용부(114)는 베이스(112)의 상측에 구비되어 윈치(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수용부(114)는 윈치(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특정 부피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수용부(114)는 지지대(110)의 무게 중심을 하측에 배치하여 지지대(110)의 직립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14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2 and can accommodate a winch (not shown). That is, the receiving portion 114 may be provided to have a specific volume to accommodate a winch (not shown). 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114 can maintain the upright position of the support 110 by plac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pport 110 at the lower side.

연장부(116)는 수용부(114)의 상측에 구비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116)는 두 개의 프레임(116a, 116b)로 구비되어 제2프레임(116b)이 제1프레임(116a) 내에 삽입되거나 추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116)는 제2프레임(116b)을 제1프레임(116a) 내로 삽입하거나 제1프레임(116a)로부터 추출함으로써,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연장부(116)는 3개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extension part 116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114 and can be adjusted in length. For example, the extension 116 may be comprised of two frames 116a and 116b so that the second frame 116b is inserted into or extracted from the first frame 116a. That is,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ortion 116 can be adjusted by inserting the second frame 116b into the first frame 116a or extracting it from the first frame 116a. Of course, the extension portion 116 may be composed of three or more frames.

연장부(116)는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여 제1와이어(12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연장부(116)는 제1와이어(120)가 수용부(114)의 윈치(미도시)에 연결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116 has a hollow portion inside so that the first wire 120 can be disposed. That is, the extension portion 116 may function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wire 120 is connected to the winch (not shown) of the receiving portion 114.

개구(118)는 연장부(116)의 최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개구(118)는 제2프레임(116b)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18)는 제1와이어(120)의 유입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The opening 118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extension portion 116. That is, the opening 118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second frame 116b. This opening 118 may function as an inlet passage for the first wire 120.

도르래(119)는 개구(118)에 구비되어 제1와이어(12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제1와이어(120)가 연장부(116)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도르래(119)에 장착될 수 있다. 도르래(119)는 제1와이어(120)가 연장부(116)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연장부(116)의 외측에서 수평으로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마찰을 감소하는 동시에 감김 및 풀림이 용이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The pulley 119 is provided in the opening 118 so that the first wire 120 can be mounted thereon. That is, the first wire 120 may be mounted on the pulley 119 so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116. The pulley 119 reduces friction and facilitates winding and unwinding when the first wire 120 moves vertically in the extension part 116 and then changes its direction horizontally on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art 116. It can be rotated to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대(110)를 케어 대상 영역의 모서리에 세운후 연장부(116)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can be easily installed by setting the support stand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t the corner of the care target area and t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ortion 11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지지대를 대상 영역의 모서리에 세워서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 the support stand standing at the corner of the target area, making it easy to install due to its simpl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한편, 지지대(110)는 전원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일례로, 전원부(미도시)는 수용부(114)에서 윈치(미도시)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미도시)는 제1와이어(120)를 통하여 케어 로봇(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 전원부(미도시)는 지지대(11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된 제1와이어(120)와 지지대(110) 중 다른 하나로부터 연장된 제1와이어(120)를 통하여 케어 로봇(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110 may have a built-in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accommodated with a winch (not shown) in the receiving unit 114.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supply power to the care robot 150 through the first wire 120.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are robot 150 through the first wire 120 extending from one of the supports 110 and the first wire 120 extending from the other one of the supports 110. Power can be suppli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지지대에 전원부를 구비하고 케이블을 통하여 케어 로봇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케어 로봇의 충전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wer unit on the support and supplies power to the care robot through a cable, so it can be used continuously without charging the care robot, thereby improving usage time. You can do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리깅부와 케어 로봇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리깅부의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rigging part of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nd the car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gging part of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깅부(130)는 상부몸체(131), 사각 프레임(132), 유니버셜 조인트(133), 결합구(134), 하부몸체(135) 및 연결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rigging part 130 includes an upper body 131, a square frame 132, a universal joint 133, a coupler 134, a lower body 135, and a connection part 136. It can be included.

상부몸체(131)는 대략 사각형으로 구비되며 제1와이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몸체(131)는 각 모서리가 제1와이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몸체(131)는 원형 등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제1와이어(120)에 의해 균형 유지를 위해 사각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부몸체(131)는 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몸체(13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 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body 131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and can be coupled to the first wire 120. At this time, each corner of the upper body 13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wire 120. Here, the upper body 131 may be provided in other shapes such as a circle, but a square shape is preferred to maintain balance by the first wire 120. The upper body 131 may be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on the inside. That is, the upper body 13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with a constant thickness.

사각 프레임(132)은 상부몸체(131)의 중공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 프레임(132)은 유니버셜 조인트(133)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quare frame 132 may be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upper body 131. This square frame 132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universal joint 133.

유니버셜 조인트(133)는 사각 프레임(132)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부몸체(131)의 요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일례로, 유니버셜 조인트(133)는 3축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니버셜 조인트(133)는 중력 방향에 따라 케어 로봇(150)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즉, 유니버셜 조인트(133)는 케어 로봇(15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몸체(131)가 수평으로 요동하는 움직임을 감쇄시킬 수 있다. The universal joint 133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quare frame 132 to stabilize the shaking of the upper body 131. For example, the universal joint 133 may be provided to drive in three axes. This universal joint 133 can stabilize the care robot 15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at is, the universal joint 133 can attenuate the horizontal shaking movement of the upper body 131 as the care robot 15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대안적으로, 상부몸체(131)는 3축 인코더를 구비하여 케어 로봇(150)의 상태를 입력받고, 3축 모터를 구비하여 승하강시 케어 로봇(150)의 요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pper body 131 may be provided with a 3-axis encoder to receive input of the state of the care robot 150, and may be provided with a 3-axis motor to stabilize the shaking of the care robot 150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결합구(134)는 상부몸체(131)의 모서리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몸체(131)의 모서리는 모따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구(134)는 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구(134)는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 또는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와이어(120)의 유동을 상부몸체(131)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The coupler 134 may be provided at a corner of the upper body 131. Here, the edges of the upper body 131 may be provided with chamfers. For example, the coupler 134 may be provided in a ball shape. In this case, the coupler 134 may rotate or move in any direction. As a result, the flow of the first wire 120 can be block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pper body 131.

하부몸체(135)는 상부몸체(131) 하측에 구비되어 연결부(136)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135)는 제2와이어(140)를 통하여 케어 로봇(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하부몸체(135)는 제2와이어(14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미도시) 및 상부몸체(131)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 모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35)는 상부몸체(131)에 대하여 요(yaw)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어 로봇(150)의 화면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135)는 케어 로봇(150)을 승하강 하도록 제2와이어(140)에 구동하여 케어 로봇(150)의 고도를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몸체(135)는 해당 모터와 함께 감속기 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케어 로봇(150)의 승하강을 위한 모터 및 감속기는 케어 로봇(1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부몸체(135)는 요 방향 회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부몸체(131)와 상이하게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body 135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131 and can be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136. Additionally, the lower body 135 may be connected to the care robot 150 through the second wire 140. At this time, the lower body 135 may be equipped with a lifting motor (not shown) that provides driving force for the second wire 140 and a rotation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131.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lower body 135 can rotate in the yaw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131 to adjust the screen direction of the care robot 150. In addition, the lower body 135 can adjust the altitude of the care robot 150 by driving the second wire 140 to raise and lower the care robot 150. In addition, the lower body 135 may be equipped with a reducer set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motor. Optionally, a motor and a reduc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are robot 150 may be provided in the care robot 150. Here, because the lower body 135 rotates in the yaw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differently from the upper body 131.

연결부(136)는 유니버셜 조인트(133)와 하부몸체(135)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6)는 직선 형상의 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36)는 하부몸체(135)의 요 방향 회전축으로 기능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136 can connect the universal joint 133 and the lower body 135. The connection portion 136 may be formed as a straight bar. The connection portion 136 may function as a yaw direction rotation axis of the lower body 13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케어 로봇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are robot in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케어 로봇(150)은 디스플레이부(151), 센서(152), 몸체(153), 카운트웨이트(154), 지지 프레임(155), 그리퍼(156) 및 후크(15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are robot 15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 sensor 152, a body 153, a count weight 154, a support frame 155, a gripper 156, and a hook 157. It can be included.

디스플레이부(151)는 케어 로봇(150)의 얼굴에 대응하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적으로 캐릭터의 얼굴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케어 대상자의 터치에 의해 특정 임무에 대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는 조작부(170)와 유사하게 대화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조작부(170)가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경우, 안드로이드 기반 인터랙티브 스크린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s to the face of the care robot 150 and can display information. That is, the display unit 151 may be provided overall in the shape of a character's fac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touch screen. In this case, a command for a specific task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51 by a touch of the care recipient.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equipped with a conversation function similar to the manipulation unit 170.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n Android-based interactive screen when the operation unit 170 is configured as a smartphone.

센서(152)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152)는 비전 센서 또는 뎁스(depth) 센서일 수 있다.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의 최초 설치시 케어 로봇(150)이 지지대(110) 사이에서 공간을 스캔하는 경우, 센서(152)는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케어 로봇(150)은 센서(152)를 통하여 AI 오브젝트 인식, 인물 인식, 포즈 인식 및 표정 인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nsor 152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151 and can recognize objects. For example, sensor 152 may be a vision sensor or a depth sensor. When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is first installed and the care robot 150 scans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s 110, the sensor 152 can recognize an object. That is, the care robot 150 can perform AI object recognition, person recognition, pose recognition,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hrough the sensor 15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센서를 구비하여 사물을 인식함으로써, 케어 대상자가 원하는 물건을 쉽게 찾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케어 임무를 확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ensor to recognize objects, so that the care recipient can easily find and deliver the desired object, thereby expanding the care mission.

몸체(153)는 케어 로봇(150)의 몸통에 대응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몸체(153)는 제2와이어(140)가 결합될 수 있다. 몸체(153)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모터가 내장될 수 있다. 즉, 몸체(153)는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5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body 153 corresponds to the body of the care robot 150 an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51. The body 153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wire 140. The body 153 may have a built-in motor so that the display unit 151 rotates at various angles. That is, the body 153 can adjust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151 disposed on the front.

카운트웨이트(154)는 케어 로봇(150)의 꼬리에 대응하며, 몸체(153)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카운트웨이트(154)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카운트웨이트(154)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각도 조절시 몸체(153)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151)가 하측을 향하도록 각도 조절된 경우, 카운트웨이트(154)는 몸체(153)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몸체(153)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카운트웨이트(154)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동작에 따라 자동 카운터 밸런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unt weight 154 corresponds to the tail of the care robot 150 and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53. That is, the countweight 154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unit 151. At this time, the count weight 154 may operate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ody 153 when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151. For example, when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151 is adjusted to face downward, the count weight 154 may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153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ody 153. That is, the countweight 154 can perform an automatic counter bal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51.

지지 프레임(155)은 몸체(153)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 프레임(155)은 전반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몸체(153)에 결합되어 몸체(153)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55)은 그리퍼(156)를 몸체(153)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55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153. For example, the support frame 155 may be provided in an overall 'ㄷ' shape, and both ends may be coupled to the body 153 and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53. The support frame 155 may be a means for connecting the gripper 156 to the body 153.

그리퍼(156)는 지지 프레임(155)의 하단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퍼(156)는 케어 로봇(150)의 특정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임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그리퍼(156)는 물컵의 좌우에 밀착되어 물컵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리퍼(156)는 카메라 짐벌, 각도를 꺽을 수 있는 그리퍼, 석션 그리퍼, 감시 조명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리퍼(156)는 특정 임무에 따라 교환가능하다. The gripper 156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155. The gripper 156 is intended to perform a specific mission of the care robot 150,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pecific mission. For example, the gripper 156 may be formed in a 'ㄷ' shape so that it can lift the water cup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ter cup. As another example, the gripper 156 may include a camera gimbal, an angle-bending gripper, a suction gripper, a surveillance light, and a speaker. At this time, the gripper 156 can be exchanged depending on the specific miss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특정 용도에 따른 그리퍼를 구비하여 교환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요구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needs or characteristics of the care recipient by providing and exchanging grippers for specific purposes, thereby improving expandability. .

후크(157)는 그리퍼(156)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크(157)는 지지 프레임(155)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157)는 그리퍼(156)로 이동하기 어려운 비교적 무거운 중량체를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 물건에 부착된 고리를 들어올릴 수 있다. The hook 157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ipper 156. At this time, the hook 157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55. The hook 157 is used to move relatively heavy objects that are difficult to move with the gripper 156, and can lift a hook attached to an objec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케어 로봇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의 케어 로봇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are robot in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are robot in a flying car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케어 로봇(160)은 카메라 짐벌(166)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61), 센서(162), 몸체(163), 카운트웨이트(164) 및 지지 프레임(165)은 도 6의 케어 로봇(15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케어 로봇(160)은 셀카나 인터넷 방송을 위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are robot 160 may be equipped with a camera gimbal 166. Here, the display unit 161, sensor 162, body 163, count weight 164, and support frame 165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are robot 150 of FIG. 6, so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At this time, the care robot 160 can take selfies or take pictures for Internet broadcasting.

도 8을 참조하면, 케어 로봇(160a)은 그리퍼(166a)가 도 6과 상이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리퍼(166a)는 교환가능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어 로봇(160a)은 디스플레이부(161)가 케어 대상자를 향하도록 하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카운트웨이트(164)는 몸체(163)의 균형을 위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are robot 160a may be provided with a gripper 166a in a different form from that of FIG. 6. These grippers 166a may be interchangeable. Here, as described above, the care robot 160a may be tilted downward so that the display unit 161 faces the person receiving care. At this time, the count weight 164 may move upward to balance the body 163.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공중에 위치하여 대상자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대상자가 누운 상태에서도 편안하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air and displays by adjus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because the subject can comfortably watch the image even while lying down. You can do it.

한편, 제어부(180)는 케어 로봇(150)에 의해 이동시키는 대상 물건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2와이어(140)를 고정하고, 제1와이어(120)의 구동에 의해 대상 물건을 상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평상시 제1와이어(120)는 X, Y 축의 수평 방향으로 동작하고, 제2와이어(140)는 Z 축의 수직 방향 승하강을 위해 동작하지만, 임계값 이상의 중량체를 이동하는 경우, 제2와이어(140)에 대한 토크가 약하므로 정상적인 동작이 곤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제2와이어(140)의 구동을 고정시키고, 지지대(110)를 통한 4개의 제1와이어(120)의 구동에 의해 중량체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target object to be moved by the care robot 15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he control unit 180 fixes the second wire 140 and raises the target object by driving the first wire 120. You can control it. That is, normally, the first wire 120 oper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ince the torque on the wire 140 is weak, normal operation may be difficul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80 may fix the driving of the second wire 140 and control the weight to rise by driving the four first wires 120 through the support 1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중량체를 후쿠로 들어올리거나 지지대에 의해 상승시킴으로써, 중량체를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적용 대상을 확장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raise a heavy body by lifting it with a hook or raising it with a support, and thus can expand its application targe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과 같이, 4개의 지지대(110)를 케어 대상 영역의 모서리에 설치한다. 이후, 케어 로봇(150)은 지지대(110) 사이의 공간에서 3차원 비행을 통해 케어 대상 영역을 비행하면서 센서(152)를 통하여 공간을 스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어 로봇(150)은 3차원 공간 상에서 동작가능 범위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four supports 110 are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area to be cared for. Thereafter, the care robot 150 can scan the space through the sensor 152 while flying over the care target area through 3D flight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s 110. Through this, the care robot 150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 operable range in three-dimensional space.

다음으로, 케어 로봇(150)이 수행하는 특정 임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케어 로봇(150)의 특정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기들과의 연동을 준비할 수 있다. 일례로, 케어 로봇(150)은 약 전용 디스펜서와 IoT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케어 로봇(150)은 약 전용 디스펜서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Next, the specific task performed by the care robot 150 can be defined. At this time, the care robot 150 can prepare for interworking with corresponding devices to perform a specific mission. For example, the care robot 150 may be linked to a medicine dispenser and IoT. At this time, the care robot 150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medicine dispenser.

다음으로, 케어 대상자가 조작부(170)나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하는 임무를 케어 로봇(150)으로 요청하면, 케어 로봇(150)은 요청된 임무에 따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케어 대상자는 케어 로봇(15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임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케어 대상자는 음성으로 케어 로봇(150)에게 임무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케어 로봇(150)은 케어 대상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Next, when the care recipient requests a desired task from the care robot 150 using the control unit 170 or his/her smartphone, the care robot 150 can perform the task according to the requested task. Optionally, the care recipient may request a miss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f the care robot 150. Additionally, the care recipient can request a task from the care robot 150 by voice. In other words, the care robot 150 can recognize the voice of the care recipient and execute commands.

이때, 제어부(180)는 케어 로봇(150)이 해당 임무와 관련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지대(110)의 윈치(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케어 로봇(150)은 제1와이어(120)의 구동에 따라 약 전용 디스펜서의 위치로 수평 이동한 후 제2와이어(140)의 구동에 따라 약 전용 디스펜서의 약 배출구로 하강하고, 약 전용 디스펜서가 약을 배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winch (not shown) of the support 110 so that the care robot 150 moves to a posi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ission. For example, the care robot 150 moves horizontally to the position of the medicine-only dispens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wire 120, then descends to the medicine discharge port of the medicine-only dispens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wire 140, and dispenses medicine. A dedicated dispenser can be requested to dispense medication.

다음으로, 케어 로봇(150)은 해당 임무와 관련된 대상 물건을 잡은 후 제2와이어(140)의 구동에 따라 상승한 다음 제1와이어(120)의 구동에 따라 케어 대상자의 위치로 수평 이동하도록 비행할 수 있다.Next, the care robot 150 catches the target object related to the task, ris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wire 140, and then flies to move horizontally to the location of the care recipien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wire 120. You can.

다음으로, 케어 로봇(150)은 케어 대상자가 위치한 침대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제2와이어(140)의 구동에 따라 케어 대상자가 누운 위치까지 하강하여 케어 대상자에게 약을 전달할 수 있다.Next, the care robot 150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bed where the care recipient is located, and then desce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care recipient lies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wire 140 to deliver medicine to the care recipi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100)은 그리퍼나 후크를 통하여 물건을 잡아 케어 대상자에게 이동시킴으로써, 환자에게 물리적 도움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케어 인력을 대체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lying car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physical assistance to patients by grabbing objects through grippers or hooks and moving them to the care recipient, thereby replacing care personnel.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110 : 지지대 120 : 제1와이어
130 : 리깅부 140 : 제2와이어
150, 160 : 케어 로봇 170 : 조작부
180 : 제어부
100: Flying Care Robot System
110: support 120: first wire
130: Rigging part 140: Second wire
150, 160: Care robot 170: Control unit
180: control unit

Claims (10)

케어 대상 영역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하부에 윈치가 내장되는 지지대;
상기 윈치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동작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윈치의 구동에 따라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플라잉하는 리깅부;
상기 리깅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수직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동작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를 통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케어 대상자가 요청하는 특정 임무를 수행하는 케어 로봇; 및
상기 지지대, 상기 리깅부 및 상기 케어 로봇과 통신하여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 support bar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area to be cared for and having a winch built into the lower part;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winch and wound or unwoun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igg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wire and flying to a random position as the winch is driven;
a second wi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igging unit and operated to be wound or unwound in a vertical direction;
a care robot that mov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to perform a specific task requested by the care recipi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d controls the support, the rigging unit, and the care robot;
A flying care robot system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바닥에 적어도 두 방향으로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길이 조절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최상단에 구비된 개구; 및
상기 개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연장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장착되는 도르래;
를 포함하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ort is,
a base supported on the floor in at least two directions;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to accommodate the winch;
An extension pa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and whose length is adjusted;
an opening provided at the top of the extension part; and
a pulley provided in the opening and mounted to discharge the first wire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 flying care robot system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깅부는,
상기 제1와이어에 결합되며 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된 상부몸체;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는 사각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요동을 안정화시키는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 상부몸체의 모서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구;
상기 상부몸체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와이어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 및 상기 상부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 모터가 내장된 하부몸체; 및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하부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igging part,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first wire and having a hollow portion on the inside;
A square frame provided in the hollow part;
A universal join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quare frame to stabilize the shaking of the upper body;
A coupler provided at a corner of the upper body to which the first wire is coupled;
A lower bod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and having a built-in lifting motor that provides driving force for the second wire and a rotation motor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universal joint and the lower body;
A flying care robot system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로봇은,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물을 인식하는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와이어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도 조절시 상기 몸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카운트웨이트;
상기 몸체의 양측에 결합되며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 측에 구비되어 상기 특정 임무를 수행하는 그리퍼;
를 포함하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re robot is,
display unit;
A senso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to recognize an object;
a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to which the second wire is coupled;
a count weigh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operating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ody when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a support fram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and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A gripper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perform the specific task;
A flying care robot system includ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카메라 짐벌, 각도를 꺽을 수 있는 그리퍼, 석션 그리퍼, 감시 조명 및 스피커를 포함하며 교환가능한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gripper is an interchangeable flying care robot system that includes a camera gimbal, an angle-bending gripper, a suction gripper, a surveillance light, and a speak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의 하측에 구비되어 대상 물건에 부착된 고리를 들어올리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A flying care robo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hook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ipper to lift a hook attached to a target objec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임무는 상기 케어 대상자의 요청에 따른 대상 물건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 물건을 잡아 들어서 상기 케어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것인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pecific task is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target objec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are recipient, pick up the target object, and provide it to the care recip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대상자에 의해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여 상기 케어 로봇의 상기 특정 임무를 요청하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operated by the care recipient,
A flying care robot system in which the manipul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to request the specific task of the care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전원부가 내장되고,
상기 제1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케어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ort has a built-in power supply,
A flying care robot system that supplies power to the care robot through the first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어 로봇에 의해 이동시키는 대상 물건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2와이어를 고정하고, 상기 제1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대상 물건을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플라잉 케어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flying care robot system wherein the control unit fixes the second wire and controls the object to be raised by driving the first wire when the object moved by the care robot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KR1020230039966A 2023-03-27 2023-03-27 Flying care robot system KR1025811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966A KR102581155B1 (en) 2023-03-27 2023-03-27 Flying care robo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966A KR102581155B1 (en) 2023-03-27 2023-03-27 Flying care robo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155B1 true KR102581155B1 (en) 2023-09-22

Family

ID=8818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966A KR102581155B1 (en) 2023-03-27 2023-03-27 Flying care robo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1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891A (en) * 2013-03-11 2013-04-02 (주)알앤디글로벌 Wellness and human care robot
KR20150032406A (en) * 2013-09-17 2015-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 winch system
KR20180014545A (en) * 2016-08-01 2018-02-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 cable robot for an agricultural multipurpose
KR102412945B1 (en) 2020-10-23 2022-06-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A smart living care rob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891A (en) * 2013-03-11 2013-04-02 (주)알앤디글로벌 Wellness and human care robot
KR20150032406A (en) * 2013-09-17 2015-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 winch system
KR20180014545A (en) * 2016-08-01 2018-02-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 cable robot for an agricultural multipurpose
KR102412945B1 (en) 2020-10-23 2022-06-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A smart living care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387B2 (en)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ity aid apparatus
CN107438805B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method and device
JP3217820U (en) Drone
AU20173222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nd resolving failure events when raising and lowering a payload
JP6743676B2 (en) Remote control terminal
US11753133B2 (en) Flying robot with Coanda effect fan and internal rear projector
CN104343641B (en) Blade clamping device with rectangle bearing structure
JP6213968B2 (en) Shooting unit
JP2017177978A (en) Remote-controlled rotary wing aircraft
JP2003339896A (en) Searching robot system
CN114234010B (en) Display stan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040006A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aerial vehicle, carrier, and operating device
US20170299952A1 (en) Moving Head Projector System
KR102581155B1 (en) Flying care robot system
JP4338657B2 (en) Moving body overturn prevention device, method for supporting moving body, and program
CN209672006U (en) A kind of elevator monitoring equipment increasing visualization range
JP6798729B2 (en) An air vehicle with a long body
JP6904628B1 (en) An air vehicle with a long body
CN105923162A (en) Unmanned aerial vehicle automatic airbrushing device
JP6757425B2 (en) Moving wall elements and moving wall systems
JP2020063121A (en) Rotation suppression device and crane operation system
CN211067994U (en) Moxibustion system of full-automatic moxibustion arm
CN109807904A (en) Juvenile interacts robot
KR102462237B1 (en) Helipad of drone oper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and mine site management
CN217524474U (en) Robot display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