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870B1 - Ice Machine for Ice Slurry - Google Patents

Ice Machine for Ice Slur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870B1
KR102580870B1 KR1020230071584A KR20230071584A KR102580870B1 KR 102580870 B1 KR102580870 B1 KR 102580870B1 KR 1020230071584 A KR1020230071584 A KR 1020230071584A KR 20230071584 A KR20230071584 A KR 20230071584A KR 102580870 B1 KR102580870 B1 KR 102580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scraper
assembly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종수
Original Assignee
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종수 filed Critical 변종수
Priority to KR102023007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8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8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out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1/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producing ice
    • F25C2301/002Producing ice slur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하우징어셈블리(100);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샤프트어셈블리(200);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을 회전시키는 구동어셈블리(300);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경유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어셈블리(400);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 외주면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공급장치(500);를 포함하는 아이스 슬러리를 위한 제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냉매가 통과되는 샤프트어셈블리를 고정하고, 스크래퍼가 회전되면서 샤프트 외주면에 생성된 얼음을 긁어내기 때문에,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a housing assembly 100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10; a shaft assembly (200) fixed to the base (10),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assembly (100), and forming i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driving assembly 300 that rotates the housing assembly 100; A cooling assembly (400) that circulates refrigerant via the shaft assembly (200); An ice maker for ice slurry including a water supply device (500) that supplies wat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ssembly (200).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act in size because it fixes the shaft assembly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and scrapes off the i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as the scraper rotates.

Description

아이스 슬러리를 위한 제빙기{Ice Machine for Ice Slurry}Ice Machine for Ice Slurry}

본 발명은 아이스 슬러리를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capable of making ice slurry.

일반적으로 육류의 숙성이라 하면 건조 숙성(Dry Aging) 방식과 습식 숙성(Wet Aging)이 있다.In general, when it comes to aging meat, there are two types of methods: dry aging and wet aging.

건조 숙성은 저온 냉장고와 같이 일정 온도와 습도, 통풍이 유지되는 곳에서 2주 ~ 4주 정도 고깃덩어리를 공기 중에 노출시켜 자연적으로 숙성시키는 방법이다.Dry aging is a method of naturally maturing meat by exposing it to the air for 2 to 4 weeks in a place where constant temperature, humidity, and ventilation are maintained, such as a low-temperature refrigerator.

건조 숙성을 통해 고기 근육에서 수분이 증발되어 진한 풍미가 더해지고, 천연 효소가 근육을 분해해 고기가 부드러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수분이 빠져나가 육류 무게가 5% ~ 20%까지 줄어들기도 하고, 공기와의 접촉으로 과도하게 말라버리거나 곰팡이가 발생되고 산패한 겉 부분을 잘라내어 결과적으로 육류의 무게가 50%이상 줄어들기 때문에 일반 고기보다 비싸다는 단점도 있다.Dry aging evaporates moisture from the meat muscles, adding a rich flavor, and natural enzymes break down the muscles, making the meat softer. However, the weight of the meat may decrease by 5% to 20% as moisture escapes, and the weight of the meat may decrease by more than 50% as a result of excessive drying, mold growth, and rancid outer parts cut off due to contact with air.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more expensive than meat.

습식 숙성은 고기를 진공 포장하여 냉장창고에서 숙성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마르거나 곰팡이에 의한 손질로 인해 발생되는 감량이 없어 수율의 손실이 없고 유지비용도 저렴하여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방식이다.Wet aging refers to vacuum-packing meat and maturing it in a refrigerated warehouse. There is no weight loss caused by drying out or handling by mold, so there is no loss in yield and maintenance costs are low, so it is a generally popular method.

하지만 0℃ ~ 10℃의 냉장창고에서 숙성시 온도 편차(약 ±5℃)가 심하여 장기간 숙성할 경우 고기가 변질된다. 예를 들면 0℃로 설정된 냉장창고는 영상 5℃ ~ 영하 5℃의 온도 범위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어는점이 영하 17℃인 육우의 경우 냉동과 해동이 반복되어 적합한 숙성기간을 미처 견디지 못하고 변질되기 때문에 숙성기간을 짧게 해야만 하여 건조 숙성 육우만큼의 품질을 얻을 수 없다. However, when maturing in a refrigerated warehouse between 0℃ and 10℃, the temperature variation (approximately ±5℃) is severe, so the meat deteriorates if aged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 example, a refrigerated warehouse set at 0℃ has a temperature range of +5℃ to -5℃. In this case, in the case of beef cattle with a freezing point of -17℃,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do not survive the appropriate maturation period and deteriorate, so the maturation period must be shortened, and the quality of dry-aged beef cannot be obtained.

또한 냉장 창고의 잦은 입출입에 의해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건조 숙성방식으로 숙성한 육류에 비해 식감과 풍미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internal temperature due to frequent entry and exit from the refrigerated warehou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xture and flavor a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meat aged through dry aging.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온도의 편차가 정밀한 냉장창고 및 기타의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나 그 비용이 매우 높거나 원하는 만큼 온도 제어가 정밀하지 않은 실정이다. 습식 숙성이 건식 숙성만큼의 숙성에 의한 식감과 풍미가 향상되려면 정확한 온도 범위 내에서 일정기간 동안 보존할 필요가 있다.To overcome these problems, refrigerated warehouses and other devices with precise temperature deviations have been developed, but their cost is very high or temperature control is not as precise as desired. In order for wet aging to improve texture and flavor as much as dry aging, it needs to be preserv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in an accurate temperature range.

등록특허공보 제10-1950406호 “육류의 빙온숙성 방법” (2019년 05월 21일 공고)에서는 육돈(肉豚), 육우(肉牛) 등 섭취되는 고기(생고기)를 젤아이스를 이용하여 -1℃로 유지되는 환경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빙온 숙성시킴으로써, 각 고기의 어는점을 기반으로 고기가 얼지 않는 조건에서 숙성시킴으로써, 고기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식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육류의 빙온숙성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50406, “Ice-temperature aging method for meat” (announced on May 21, 2019), ingested meat (raw meat) such as pork and beef is treated with gel ice -1 By aging the meat at ice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an environment maintained at ℃, the meat is aged under conditions that do not freeze based on the freezing point of each meat, thereby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the meat and improving its texture. It is being disclosed.

숙성조 뚜껑에 하부방향으로 굴곡된 돌출체를 이용하여 숙성조 내부의 폭기수단에 의해 물과 젤아이스가 순환되도록 하고 있다. A protrusion curved downward on the lid of the maturation tank is used to allow water and gel ice to circulate by means of aeration inside the maturation tank.

등록특허공보 제10-2072626호 “염도 자동조절이 가능한 염수 칠러 시스템” (2020년 03월 02일 공고)에서는 염수 탱크 내 염수의 염도와 온도를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염수의 분사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없이 회전부를 회전함으로써 염수 탱크 내 염수의 염도 및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염도 자동조절이 가능한 염수 칠러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72626, “Salt water chiller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salinity” (announced on March 2, 2020), not only can the salinity and temperature of the brine in the brine tank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preset settings. Disclosed is a salt water chiller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salinity, which can maintain uniform salinity and temperature of salt water in a salt water tank by rotating the rotating part without separate power using the spraying force of salt wat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0406호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504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262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726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52583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52583

본 발명은 육류 숙성을 위해 아이스 슬러리를 만들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er capable of making ice slurry for meat aging.

본 발명은 매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아이스 슬러리를 위한 제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er for ice slurry that is miniaturized so that it can be used in stores.

본 발명은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하우징어셈블리(100);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샤프트어셈블리(200);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을 회전시키는 구동어셈블리(300);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경유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어셈블리(400);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 외주면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공급장치(500);를 포함하는 아이스 슬러리를 위한 제빙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a housing assembly 100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10; a shaft assembly (200) fixed to the base (10),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assembly (100), and forming i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driving assembly 300 that rotates the housing assembly 100; A cooling assembly (400) that circulates refrigerant via the shaft assembly (200); An ice maker for ice slurry including a water supply device (500) that supplies wat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ssembly (200).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는, 내부에 공간(101)이 형성된 원통형태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향해 돌출된 스크래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assembly 100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110 with a space 101 formed therein; It may include a scraper 150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protruding toward the shaft assembly 200.

상기 스크래퍼(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결합되는 제 1 스크래퍼(160) 및 제 2 스크래퍼(18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크래퍼(16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고정되는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와, 상기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에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스크래퍼부(16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크래퍼(18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고정되는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와, 상기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에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향해 돌출되는 제 2 스크래퍼부(18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 및 제 2 스크래퍼부(184)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craper 150 includes a first scraper 160 and a second scraper 180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the first scraper 16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It includes a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and a first scraper part 164 protruding from the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toward the shaft assembly 200, and the The second scraper 180 includes a second scraper fixing part 182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protrudes from the second scraper fixing part 182 toward the shaft assembly 200. and a second scraper unit 184, and the first scraper unit 164 and the second scraper unit 184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상기 하우징(110)은 어퍼하우징(120) 및 로어하우징(130)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샤프트중공(211)이 형성된 샤프트(210); 상기 샤프트(2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120)을 지지하는 어퍼플랜지(220); 상기 샤프트(21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로어플랜지(230); 상기 어퍼플랜지(22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120)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어퍼베어링(240); 상기 로어플랜지(23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하우징(130)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로어베어링(250); 상기 샤프트중공(211)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10)의 내주면(212)에 밀착되고, 냉각된 냉매가 유동되는 샤프트배관(260);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210)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샤프트(21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10)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includes an upper housing 120 and a lower housing 130, and the shaft assembly 200 includes a shaft 210 having a shaft hollow 2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upper flange 220 disposed at the top of the shaft 210 and supporting the upper housing 120; A lower flange 230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haft 210 and fixed to the base 10; An upper bearing 240 disposed on the upper flange 220 and reducing friction with the upper housing 120; A lower bearing 250 disposed on the lower flange 230 and reducing friction with the lower housing 130; A shaft pipe 260 is disposed in the shaft hollow 2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12 of the shaft 210, and through which the cooled refrigerant flows, and the shaft 21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 and is fixed to the base 10, and the housing 110 can be rotat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with the shaft 210 inserted.

상기 냉각어셈블리(40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10)와, 상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열교환기(420)와, 상기 응축열교환기(42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430)와, 상기 팽창밸브(430)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밸브(430)에서 팽창된 냉매가 상기 샤프트배관(260)에 공급되어 증발되고, 상기 냉매의 증발열에 의해 상기 샤프트(210)가 냉각될 수 있다. The cooling assembly 400 includes a compressor 410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a condensation heat exchanger 420 that condens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430 that expands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ation heat exchanger 420. And, it includes the expansion valve 430, and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expansion valve 430 is supplied to the shaft pipe 260 and evaporated, and the shaft 210 can be cooled by the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there is.

첫째, 본 발명은 냉매가 통과되는 샤프트어셈블리를 고정하고, 스크래퍼가 회전되면서 샤프트 외주면에 생성된 얼음을 긁어내기 때문에,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act in size because it fixes the shaft assembly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and scrapes off the i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as the scraper rotates.

둘째, 본 발명은 제 1 스크래퍼 및 제 2 스크래퍼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 일부가 오버랩되기 때문에 얼음이 긁히지 않는 데드존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ead zones in which ice is not scratched because the first scraper and the second scraper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nd partially overlap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슬러리를 위한 제빙기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샤프트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도시된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및 아이스탱크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부 형상이 도시된 정면도이ㄷ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부 형상이 도시된 정면도이ㄷ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부 형상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1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er for ice slur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ure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aft assembly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rap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of a bas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sket and ice tan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craper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craper por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craper por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ability to,” or “changed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orki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슬러리를 위한 제빙기의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샤프트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FIG. 1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er for ice slur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2, FIG.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aft assembly shown in FIG. 1, and FIG. 4 is This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하우징어셈블리(100)과,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샤프트어셈블리(200)와,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을 회전시키는 구동어셈블리(300)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경유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어셈블리(400)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 외주면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공급장치(500)를 포함한다.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base 10, a housing assembly 100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10, fixed to the base 10, and inserted into the housing assembly 100. A shaft assembly 200 that is arranged to form ic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drive assembly 300 that rotates the housing assembly 100, and a cooling assembly 400 that circulates refrigerant through the shaft assembly 200. ) and a water supply device 500 that supplies wat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ssembly 200.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상기 냉각어셈블리(400)에 의해 냉각된 샤프트어셈블리(200) 외주면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가 회전되면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의 외주면에서 성장된 얼음을 절삭한다.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roduces ic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ssembly 200 cooled by the cooling assembly 400, and ice grow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ssembly 200 as the housing assembly 100 rotates. Cut.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얼음을 성장시키는 샤프트어셈블리(200)가 고정되고, 얼음을 깍는 하우징어셈블리(100)가 회전되는 구조적 특징이 있다. That is,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al feature in which the shaft assembly 200 for growing ice is fixed and the housing assembly 100 for cutting ice is rotated.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는, 내부에 공간(101)이 형성된 원통형태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향해 돌출된 스크래퍼(150)를 포함한다. The housing assembly 100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110 with a space 101 formed therein, a scraper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protruding toward the shaft assembly 200. Includes (150).

상기 공간(101)은 원기둥형태이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형태이다. The space 101 is cylindrical, and the housing 110 is cylindrical,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가 상기 하우징(110)의 평면중심에 배치된다. The shaft assembly 20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housing 110.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베이스(10) 및 샤프트어셈블리(2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중심축(C)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축(C)이 상기 평면중심에 배치된다. The housing 110 may be rotated horizontally about the central axis C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base 10 and the shaft assembly 200. 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axis C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plane.

상기 공간(101)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은 어퍼하우징(120) 및 로어하우징(130)을 포함한다.To form the space 101, the housing 110 includes an upper housing 120 and a lower housing 130.

상기 어퍼하우징(120)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101)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측이 폐쇄되고, 하측이 개구된다. The upper housing 1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orms the upper part of the space 101, with the upper side closed and the lower side open.

상기 로어하우징(130)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101)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측이 개구된다. The lower housing 1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s the lower part of the space 101, and is open at the top.

상기 어퍼하우징(120) 및 로어하우징(130)은 단열을 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housing 120 and the lower housing 130 are formed to be thick for insulation, and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disposed therein.

상기 하우징(110)은 반경방향으로 개구된 배출구(115)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5)가 상기 공간(101)과 연통된다.The housing 110 is formed with a radially open outlet 115, and the outlet 115 communicates with the space 101.

상기 배출구(115)가 상기 공간(101)의 하측과 연결되고, 상기 스크래퍼(150)에 의해 절삭된 얼음결정이 자중에 의해 공간(101)의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배출구(115)를 통해 하우징(11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outlet 115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ace 101, and the ice crystals cut by the scraper 150 are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ace 101 by their own weight, and are discharg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outlet 115. (110) Can be discharged out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115)가 상기 로어하우징(130)에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outlet 115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130.

상기 로어하우징(130)에 형성된 배출구(115)는 상측이 개구되고, 상기 어퍼하우징(120)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배출구(115)의 상측이 폐쇄된다. The upper side of the outlet 115 formed in the lower housing 130 is open, and the upper side of the outlet 115 is closed through coupling with the upper housing 120.

그리고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는 상기 배출구(115)를 개폐하는 셔터(170)를 더 포함한다. And the housing assembly 100 further includes a shutter 170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115.

상기 셔터(170)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된다.The shutter 170 opens and clo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셔터(170)는 셔터바디(172)와, 상기 셔터바디(172) 및 어퍼하우징(12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셔터힌지(174)를 포함한다. The shutter 170 includes a shutter body 172 and a shutter hinge 174 that rotatably connects the shutter body 172 and the upper housing 1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바디(172)의 상단에 셔터힌지(174)가 배치되고, 상기 셔터힌지(174)를 중심으로 상기 셔터바디(172)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In this embodiment, a shutter hinge 174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shutter body 172, and the shutter body 172 rotat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round the shutter hinge 174.

상기 셔터바디(172) 및 어퍼하우징(120)의 외주면(112)에 상기 셔터힌지(174)가 배치되고, 상기 셔터바디(172)는 반경방향 외측 및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출구(115)를 개방한다. The shutter hinge 174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12 of the shutter body 172 and the upper housing 120, and the shutter body 172 is rotated radially outward and upward to open the outlet 115. do.

상기 배출구(115)의 저면(116)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bottom surface 116 of the outlet 115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상기 하우징(110)이 중심축(C)으로 회전될 경우, 원심력에 의해 아이스 슬러리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115)가 개방될 경우, 아이스 슬러리가 상기 배출구(115)를 향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구(115)의 경사를 따라 상기 하우징(11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housing 110 is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C, the ice slurry may be moved radially outward by centrifugal force, and when the outlet 115 is opened, the ice slurry may flow through the outlet 115. It can be moved radially outward, and can be discharged out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slope of the outlet 115 by its own weight.

상기 배출구(115)에서 배출된 아이스 슬러리를 담을 수 있는 바스켓(6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스켓(600)은 탑뷰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A basket 600 capable of containing the ice slurry discharged from the outlet 115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is embodiment, the basket 600 is formed in a ring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상기 바스켓(600)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110)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10)이 회전되면서 배출되는 아이스 슬러리가 상기 바스켓(600)에 담길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inserted into the basket 600, and the ice slurry discharged as the housing 110 rotates can be contained in the basket 600.

상기 바스켓(600)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이너림(610)과, 상기 이너림(610)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아우터림(620)과, 상기 이너림(610) 및 아우터림(620)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스켓바텀(630)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림(610), 아우터림(620) 및 바스켓바텀(630) 사이에 아이스슬러리가 저장되는 바스켓공간(615)이 형성된다. The basket 600 includes an inner rim 61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 outer rim 620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radial outer side of the inner rim 610, and the inner rim ( 610) and a basket bottom 630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outer rim 620, and a basket space ( 615) is formed.

상기 이너림(610)의 상단(611)이 상기 저면(116)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림(610)의 상단(611)이 상기 저면(116)과 동일한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저면(116)의 연장선 상에 상기 상단(611)이 배치된다.The top 611 of the inner rim 610 is disposed lower than the bottom 116. The top 611 of the inner rim 610 forms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bottom surface 116, and the top 611 is disposed on an extension of the bottom surface 116.

상기 아우터림(620)의 상단(621)이 상기 이너림(610)의 상단(611)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The top 621 of the outer rim 6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top 611 of the inner rim 610.

상기 바스켓바텀(63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110)이 회전될 때,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basket bottom 630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remains stationary when the housing 110 is rotated.

상기 스크래퍼(150)는 제 1 스크래퍼(160) 및 제 2 스크래퍼(18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크래퍼(160) 및 제 2 스크래퍼(180)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The scraper 150 includes a first scraper 160 and a second scraper 180, and the first scraper 160 and the second scraper 180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상기 제 1 스크래퍼(16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고정되는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와, 상기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에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스크래퍼부(164)를 포함한다. The first scraper 160 has a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protrudes from the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toward the shaft assembly 200. It includes a first scraper unit 164.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 곡률반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는 상기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의 내측면에서 상기 중심축(C)을 향해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는 정면에서 평면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first scraper portion 164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craper fixing portion 162 toward the central axis (C).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craper portion 164 is formed as a flat surface from the front and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의 외측단이 상기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에 결합되고, 내측단이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outer end of the first scraper part 164 is coupled to the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and the inner e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haft assembly 2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가 복수개소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들이 상기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를 따라 제 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craper portion 164 is dispos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a plurality of first scraper portions 164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interval along the first scraper fixing portion 162.

상기 제 1 간격이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의 상하 방향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The first gap is formed shor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craper part 164.

복수개의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들을 구분하고자 할 경우,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 1-1 스크래퍼부(164a), 제 1-2 스크래퍼부(164b), 제 1-3 스크래퍼부(164c), 제 1-4 스크래퍼부(164d) 순으로 지칭할 수 있다. When it is desir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the first scraper units 164, they are divided into a 1-1 scraper unit 164a, a 1-2 scraper unit 164b, and a 1-3 scraper unit 164c from the top to the bottom. , may be referred to in that order as the 1st to 4th scraper units 164d.

상기 제 2 스크래퍼(18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고정되는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와, 상기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에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향해 돌출되는 제 2 스크래퍼부(184)를 포함한다. The second scraper 180 includes a second scraper fixing part 182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protrudes from the second scraper fixing part 182 toward the shaft assembly 200. It includes a second scraper unit 184.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 곡률반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craper fixing part 18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상기 제 2 스크래퍼부(184)는 상기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의 내측면에서 상기 중심축(C)을 향해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스크래퍼부(184)는 정면에서 평면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second scraper portion 184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craper fixing portion 182 toward the central axis (C).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craper portion 184 is formed as a flat surface from the front and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2 스크래퍼부(184)의 외측단이 상기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에 결합되고, 내측단이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outer end of the second scraper part 184 is coupled to the second scraper fixing part 182, and the inner e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haft assembly 2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스크래퍼부(184)가 복수개소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 2 스크래퍼부(184)들이 상기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를 따라 제 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craper portion 184 is dispos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scraper portions 184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interval along the second scraper fixing portion 182.

상기 제 1 간격이 상기 제 2 스크래퍼부(184)의 상하 방향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The first gap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craper part 184.

복수개의 상기 제 2 스크래퍼부(184)들을 구분하고자 할 경우,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 2-1 스크래퍼부(184a), 제 2-2 스크래퍼부(184b), 제 2-3 스크래퍼부(184c), 제 2-4 스크래퍼부(184d) 순으로 지칭할 수 있다. When it is desir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the second scraper units 184, they are divided into a 2-1 scraper unit 184a, a 2-2 scraper unit 184b, and a 2-3 scraper unit 184c from the top to the bottom. , may be referred to in that order as the 2nd to 4th scraper units (184d).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 및 제 2 스크래퍼부(184)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평면으로 볼 때,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 및 제 2 스크래퍼부(184)가 일렬로 배치된다.The first scraper unit 164 and the second scraper unit 184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when viewed in plan, the first scraper unit 164 and the second scraper unit 184 are arranged in a line.

특히,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 및 제 2 스크래퍼부(184)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In particular, the first scraper unit 164 and the second scraper unit 184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 및 제 2 스크래퍼부(184)가 회전되면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얼음을 긁어낸다. 여기서 제 1 스크래퍼부(164) 및 제 2 스크래퍼부(184)를 상하 방향에 대해 일부 겹치게 배치하여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의 외주면에서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배제한다. As the first scraper unit 164 and the second scraper unit 184 rotate, i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ssembly 200 is scraped off. Here, the first scraper unit 164 and the second scraper unit 184 are arranged to partially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 non-contact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ssembly 200.

구체적으로 상기 제 1-1 스크래퍼부(164a)의 하단 및 제 2-1 스크래퍼부(184a)의 상단이 일부 오버랩되고, 상기 제 2-1 스크래퍼부(184a)의 하단 및 제 1-2 스크래퍼부(164b)이 일부 오버랩되는 방식으로 제 1 스크래퍼부(164) 및 제 2 스크래퍼부(184)를 배치한다.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1-1 scraper unit 164a and the upper end of the 2-1 scraper unit 184a partially overlap, and the lower end of the 2-1 scraper unit 184a and the 1-2 scraper unit The first scraper unit 164 and the second scraper unit 184 ar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164b) partially overlaps.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샤프트중공(211)이 형성된 샤프트(210)와, 상기 샤프트(2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120)을 지지하는 어퍼플랜지(220)와, 상기 샤프트(21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로어플랜지(230)와, 상기 어퍼플랜지(22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120)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어퍼베어링(240)과, 상기 로어플랜지(23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하우징(130)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로어베어링(250)과, 상기 샤프트중공(211)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10)의 내주면(212)에 밀착되고, 냉각된 냉매가 유동되는 샤프트배관(260)을 포함한다. The shaft assembly 200 includes a shaft 210 having a shaft hollow 211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upper flange 220 disposed on the top of the shaft 210 and supporting the upper housing 120. and a lower flange 23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210 and fixed to the base 10, and disposed on the upper flange 220 to reduce friction with the upper housing 120. An upper bearing 240, a lower bearing 250 disposed on the lower flange 230 and reducing friction with the lower housing 130, and disposed on the shaft hollow 211, the shaft 210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12 and includes a shaft pipe 260 through which the cooled refrigerant flows.

상기 샤프트중공(211)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고, 이를 상측개구면(211a) 및 하측개구면(211b)이라 한다. The shaft hollow 211 is open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nd these are referred to as the upper opening surface 211a and the lower opening surface 211b.

상기 어퍼하우징(120)의 상측벽(12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어퍼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중공(211)의 상측이 상기 어퍼홀(121)과 연통된다. An upper hole 121 is formed that penetrates the upper wall 123 of the upper housing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shaft hollow 211 communicates with the upper hole 121.

상기 어퍼베어링(240)은 상기 어퍼플랜지(220)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베어링(240)이 상기 상측벽(123)에 밀착된다. 상기 어퍼베어링(240)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회전 시 마찰을 저감시킨다. The upper bearing 24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lange 220, and the upper bearing 2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wall 123. The upper bearing 240 supports the load of the housing 110 and reduces friction when the housing 110 rotates.

상기 로어하우징(120)의 하측벽(13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어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210)가 상기 로어홀(132)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A lower hole 132 is formed that penetrates the lower wall 134 of the lower housing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haft 210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lower hole 132.

상기 로어베어링(250)은 상기 로어플랜지(230)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베어링(250)이 상기 하측벽(134)의 저면에 밀착된다. The lower bearing 25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lange 230, and the lower bearing 2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wall 134.

상기 로어베어링(250)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회전 시 마찰을 저감시킨다. The lower bearing 250 supports the load of the housing 110 and reduces friction when the housing 110 rotates.

상기 샤프트배관(260)이 상기 샤프트(210)의 내주면(212)에 밀차되고, 열전도를 통해 상기 샤프트(210)는 냉각시킨다. The shaft pipe 26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12 of the shaft 210, and the shaft 210 is cooled through heat conduction.

상기 샤프트배관(260)이 상기 냉각어셈블리(400)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냉매를 증발시키며, 냉매의 증발열을 통해 상기 샤프트(210)를 냉각시킨다. The shaft pipe 260 is connected to the cooling assembly 400 to receive refrigerant, evaporate the supplied refrigerant, and cool the shaft 210 through the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상기 샤프트배관(260)은 상기 상측개구면(211a)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인릿배관(261)과, 상기 인릿배관(261)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샤프트(210)의 내주면(212)에 밀착되는 열교환배관(262)과, 상기 열교환배관(262)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츠개구면(211b)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아웃릿배관(263)을 포함한다. The shaft pipe 260 includes an inlet pipe 261 disposed to penetrate the upper opening surface 211a,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26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12 of the shaft 210. It includes a heat exchange pipe 262 and an outlet pipe 263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 pipe 262 and disposed to penetrate the heart opening surface 211b.

상기 인릿배관(261)이 상단에 상기 냉각어셈블리(400)와의 연결을 위한 밸브 또는 인릿접속구(261a)가 배치된다. 상기 아웃릿배관(263)의 하단에 상기 냉각어셈블리(400)와의 연결을 위한 밸브 또는 아웃릿접속구(263a)가 배치된다. A valve or inlet connector 261a for connection to the cooling assembly 40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inlet pipe 261. A valve or outlet connector 263a for connection to the cooling assembly 40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outlet pipe 263.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배관(262)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샤프트(210)의 내주면(212)에 밀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heat exchange pipe 262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nd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12 of the shaft 210.

상기 열교환배관(262)을 나선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냉매가 샤프트(210)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냉각열을 상기 샤프트(210)에 제공할 수 있다. By forming the heat exchange pipe 262 in a spiral shape, the residence time of the refrigerant inside the shaft 210 can be increased, and through this, more cooling heat can be provided to the shaft 210.

또한 나선형으로 형성된 열교환배관(262)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10)에 조립되고, 조립 후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210)의 내주면(212)에 밀착된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irally formed heat exchange pipe 262 is assembled to the shaft 210 in a state in which it is elastically deformed radially inward, and provides elastic force radially outward after assembly,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12 of the shaft 210 It can effectively maintain a state of close contact.

상기 냉각어셈블리(40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10)와, 상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열교환기(420)와, 상기 응축열교환기(42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430)와, 상기 팽창밸브(430)를 포함한다. The cooling assembly 400 includes a compressor 410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a condensation heat exchanger 420 that condens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430 that expands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ation heat exchanger 420. and the expansion valve 430.

상기 팽창밸브(430) 및 샤프트배관(260)을 연결하는 인릿배관(431)과, 상기 샤프트배관(260) 및 압축기(410)를 연결하는 아웃릿배관(411)을 더 포함한다. It further includes an inlet pipe 431 connecting the expansion valve 430 and the shaft pipe 260, and an outlet pipe 411 connecting the shaft pipe 260 and the compressor 410.

상기 인릿배관(431)이 상기 인릿접속부(261a)에 연결되고, 상기 아웃릿배관(411)이 상기 아웃릿접속구(263a)에 연결된다. The inlet pipe 431 is connected to the inlet connection portion 261a, and the outlet pipe 411 is connected to the outlet connection port 263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배관(260)이 냉각사이클에서 증발열교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샤프트(210)의 내주면(212)에 제 1 온도센서(441)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제 2 온도센서(44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온도센서(441) 및 제 2 온도센서(442)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압축기(410)가 작동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haft pipe 260 serves as an evaporative heat exchanger in the cooling cycle. A first temperature sensor 441 is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12 of the shaft 210,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442 is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The compressor 41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41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42.

상기 워터공급장치(500)는 상기 공간(101)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면(214)에 빙결정을 생성 및 성장시킨다. The water supply device 500 supplies water to the space 101 to generate and grow ice crystal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14 of the shaft 210.

상기 워터공급장치(5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워터탱크(510)와,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배치되는 노즐(520)과, 상기 노즐(520) 및 워터탱크(510)를 연결하는 공급관(530)을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device 500 includes a water tank 5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10, a nozzle 520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the nozzle 520, and It includes a supply pipe 530 connecting the water tank 510.

상기 워터탱크(510)가 상기 하우징(110)이 상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된다. The water tank 51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10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housing 110 rotate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탱크(510)는 상하 방향으로 탱크중공(511)이 형성된 도넛형태이다. 상기 인릿배관(431)이 상기 탱크중공(511)을 통해 상기 샤프트배관(260)에 연결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tank 510 has a donut shape with tank hollows 511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let pipe 431 is connected to the shaft pipe 260 through the tank hollow 511.

상기 샤프트중공(211)의 상측개구면(211a)이 상기 탱크중공(51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중공(511)과 연통된다. The upper opening surface 211a of the shaft hollow 211 is disposed below the tank hollow 511 and communicates with the tank hollow 511.

상기 탱크중공(511) 및 샤프트중공(211)이 상하 방향으로 일렬배치된다. The tank hollow 511 and the shaft hollow 211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샤프트(2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이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210) 안으로 공급되는 냉매가 개구된 탱크중공(511) 및 샤프트중공(211)를 거쳐 상기 샤프트(210) 내부의 샤프트배관(260)으로 유동될 수 있다. Since the housing 110 rotates while the shaft 210 is fixed, the refrigerant supplied into the shaft 210 passes through the open tank hollow 511 and the shaft hollow 211 to the shaft 210. It can flow into the internal shaft pipe 260.

상기 워터탱크(510)는 물이 저장되는 레저버(515)가 도넛형태로 형성된다. The water tank 510 has a reservoir 515 in which water is stored in a donut shape.

상기 노즐(520)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면(213)을 향해 물을 분사한다. 상기 노즐(520)에서 분사되는 물은 무화된 상태로 토출되고, 이를 통해 빙결정을 신속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The nozzle 52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sprays water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13 of the shaft 210. The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520 is discharged in an atomized state, and through this, ice crystals can be quickly formed.

상기 하우징(110)가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520)이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면을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한다. As the housing 110 rotates, the nozzle 520 sprays water while rot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520)이 상기 어퍼플랜지(220)의 하측을 향해 물을 분사한다. 상기 노즐(520)이 제 1-1 스크래퍼부(164a)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 2-1 스크래퍼부(184a)의 상측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nozzle 520 sprays wate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lange 220. The nozzle 52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1-1 scraper part 164a and above the 2-1 scraper part 184a.

상기 워터탱크(510)가 하우징(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노즐(520)이 하우징(1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공급관(53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급관(530)이 얼어서 막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Since the water tank 51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nozzle 520 is dispos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housing 110, the length of the supply pipe 530 can be minimized, and through this, the supply pipe 530 can be minimized. (530) has a feature that can minimize clogging due to freezing.

상기 구동어셈블리(300)는 상기 하우징(110)을 회전시키고, 내부의 상기 스크래퍼(150)를 통해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얼음을 긁어낼 수 있다. The drive assembly 300 rotates the housing 110 and can scrape off i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210 through the scraper 150 inside.

상기 구동어셈블리(300)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구동모터(310)의 모터축(31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3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종동기어(330)와, 상기 구동기어(320) 및 종동기어(330)를 감싸고, 상기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340)를 포함한다.The drive assembly 300 includes a drive motor 310 installed on the base 10, a drive gear 320 coupled to the motor shaft 311 of the drive motor 310 and rotated, and the housing ( A driven gear 330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110,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that surrounds the driving gear 320 and the driven gear 330 and rotates the housing 110 through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310. Includes (34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340)는 체인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구동기어(320), 종동기어(330) 및 체인 대신 벨트-풀리 구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340 is a chain. Unlike this embodiment, a belt-pulley structure may be used instead of the driving gear 320, driven gear 330, and chain.

상기 모터축(311)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320), 종동기어(330) 및 체인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motor shaft 311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iving gear 320, driven gear 330, and chain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종동기어(330)가 상기 하우징(110)에 일체로 제작된다.The driven gear 330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10.

상기 종동기어(330)가 상기 하우징(110)의 높이 중간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회전시킬 때 상기 하우징(110)에서 발생되는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driven gear 330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height of the housing 110, and through this, the moment generated in the housing 110 when rotating the housing 110 can be minimized.

상기 구동모터(310)를 상기 베이스(10)에 결합고정시키기 위해 모터브래킷(315)이 더 배치될 수 있다. A motor bracket 315 may be further disposed to couple and fix the drive motor 310 to the base 10.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도시된 개략 정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rap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150)는 상기 제 1 스크래퍼(160)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제 1 스크래퍼(160)는 상기 샤프트(210)를 향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 1 서포트어셈블리(190)와, 상기 제 2 스크래퍼(180)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제 1 스크래퍼(160)는 상기 샤프트(21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 2 서포트어셈블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The scraper 1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scraper 160, and the first scraper 160 includes a first support assembly 190 that slides toward the shaft 210, and the The second scraper 180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the first scraper 160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assembly (not shown) that slides toward the shaft 210.

상기 제 1 서포트어셈블리(190) 및 제 2 서포트어셈블리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서포트어셈블리(19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the first support assembly 190 and the second support assembl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only the first support assembly 19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1 서포트어셈블리(190)는, 상기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 서포트홈(113)에 삽입되게 형성되는 제 1 서포트넥(193)과, 상기 제 1 서포트넥(193)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서포트홈(113)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서포트바디(194)와, 상기 제 1 서포트홈(113)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바디(194)를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195)를 포함한다. The first support assembly 190 includes a first support neck 193 formed to be inserted into a first support groove 113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10 in the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A first support body 194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neck 193 and moving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first support groove 113,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groove 113, and the first support body 194 1 It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195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upport body 194.

상기 제 1 서포트홈(113)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서포트홈(113)의 단면적으로 축소시켜 상기 제 1 서포트바디(194)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트걸림부재(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support locking member 196 is disposed on the radial inner side of the first support groove 113 and forms mutual locking with the first support body 194 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upport groove 113. ) may further be included.

상기 제 1 서포트넥(193)이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195)의 탄성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neck 193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an be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95.

상기 제 1 서포트넥(193)의 반경방향 외측단이 상기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와 결합되고, 반경방향 내측단이 상기 제 1 서포트바디(194)와 결합된다. The radially outer end of the first support neck 193 is coupled with the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and the radially inner end is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 body 194.

상기 제 1 서포트홈(113)은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바디(194)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The first support groove 113 extends long in the radial direction and guid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body 194.

상기 제 1 서포트바디(194)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제 1 탄성부재(195)가 배치된다.The first elastic member 195 is disposed on the radial out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ody 194.

상기 제 1 탄성부재(195)의 반경방향 내측단이 상기 제 1 서포트바디(194)를 지지하고, 반경방향 외측단이 상기 하우징(110)을 지지한다. The radially inn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95 supports the first support body 194, and the radially outer end supports the housing 1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탄성부재(195)는 코일스크링이 사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lastic member 195 is a coiled coil.

상기 제 1 서포트홈(113)에 상기 제 1 탄성부재(195)의 중심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보스(113a)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탄성부재(195)를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A first fixing boss 113a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95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first support groove 113, thereby keeping the first elastic member 195 in the correct position. It can be positioned.

상기 제 1 서포트바디(194)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고정보스(113a) 측으로 절곡된 제 1 서포트고정부(194a)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서포트고정부(194a)가 상기 제 1 탄성부재(195)의 반경방향 내측가장자리를 감싸게 배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 1 탄성부재(195)가 제 1 서포트바디(19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first support fixing part 194a may be further formed bent from an edge of the first support body 194 toward the first fixing boss 113a, and the first support fixing part 194a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support body 194. It is arranged to surround the radial inner edge of the elastic member 195, and through this, the first elastic member 19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body 194.

상기 제 1 서포트어셈블리(190)를 통해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를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얼음에 밀착시킬 수 있다. The first scraper part 164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210 through the first support assembly 190.

특히,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면에 얼음이 두껍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 1 탄성부재(195)가 압축되면서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손상 및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particular, even if ice is thick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210, the first elastic member 195 is compressed and the first scraper unit 164 can be moved radially outward. External force applied to (164) can be minimized, and damage and failure resulting from this can be minimized.

상기 제 1 서포트어셈블리(19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를 구분할 경우, 상측에 배치된 것을 제 1-1 서포트어셈블리(190a)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것을 제 1-2 서포트어셈블리(190b)라 한다. The first support assembly 19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using 110, respectively. When dividing them, the one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called the 1-1 support assembly 190a, and the one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called the 1-1 support assembly 190a. It is referred to as the 1-2 support assembly (190b).

상기 하우징(110)의 하측에 제 1-2 서포트어셈블리(190b)가 설치되는 제 2 서포트홈(114)이 형성된다. A second support groove 114 in which the 1-2 support assembly 190b is installe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10.

상기 제 1 스크래퍼(160)의 상측 및 하측이 상기 제 1-1 서포트어셈블리(190a) 및 제 1-2 서포트어셈블리(190b)에 각각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210)의 외측면 상측 및 하측의 얼음두께가 다르더라도 상기 제 1 스크래퍼(160)가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Sinc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scraper 160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1-1 support assembly 190a and the 1-2 support assembly 190b,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outer surfaces of the shaft 210 Even if the ice thickness is different, the first scraper 160 has the feature of being able to adhere uniformly.

구체적으로 상측에서 깍여진 얼음이 하측의 샤프트(210) 외주면에 다시 부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샤프트(210) 외부면에 형성된 얼음두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Specifically, ice chipped from the upper side may reattach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haft 210, and because of this,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i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210.

상기 제 1-1 서포트어셈블리(190a) 및 제 1-2 서포트어셈블리(190b)가 이와 같은 얼음의 두께차를 해소하여 상기 제 1 스크래퍼(160)의 손상 및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1-1 support assembly 190a and the 1-2 support assembly 190b can minimize the damage and failure of the first scraper 160 by resolving the ice thickness difference.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및 아이스탱크의 정단면도이다.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bask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sket and the ice tan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달리 바스켓(600)으로 이동된 아이스 슬러리를 모아 저장할 수 있는 아이스탱크(700)를 더 포함한다.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ice tank 700 capable of collecting and storing the ice slurry moved to the basket 600.

상기 바스켓(600)에 저장된 아이스 슬러리를 한쪽으로 모으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수집판(280)이 더 배치된다. 상기 수집판(280)은 상기 하우징(110)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수집판(280)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바스켓(600)의 바스켓공간(615)으로 삽입되게 위치된다.A collection plate 280 is further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collect the ice slurry stored in the basket 600 to one side. The collection plate 280 rotates together with the housing 110. The collection plate 280 is dispos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its lower end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basket space 615 of the basket 600.

상기 수집판(280)의 반경방향 내측단(281)이 상기 이너림(61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집판(280)의 반경방향 외측단(282)이 상기 아우터림(620)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며, 수집판(280)의 하단(283)이 상기 바스켓바텀(630)의 상측에 위치된다.The radial inner end 281 of the collecting plate 280 is disposed on the radial outer side of the inner rim 610, and the radial outer end 282 of the collecting plate 280 is disposed on the outer rim 620. is located radially inside, and the lower end 283 of the collection plate 280 is located above the basket bottom 630.

상기 바스켓(600)의 바스켓바텀(63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집홀(635)이 형성된다.A collection hole 635 is formed that penetrates the basket bottom 630 of the basket 6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수집판(280)이 상기 바스켓바텀(630)의 상측을 회전하면서 배출된 아이스 슬러리를 상기 수집홀(635)로 밀어 넣는다.The collection plate 280 rotates on the upper side of the basket bottom 630 and pushes the discharged ice slurry into the collection hole 635.

상기 수집홀(635)의 하측에 아이스탱크(700)가 배치된다.An ice tank 700 is disposed below the collection hole 635.

상기 아이스탱크(700)는 베이스(10)의 내부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베이스홀(12)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홀(12)이 상기 수집홀(635)의 하측에 배치된다.The ice tank 700 is disposed inside or below the base 10, and has a base hole 12 penetrating the bas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ase hole 12 is the collection hole ( 635) is placed below.

상기 아이스탱크(700)는 상기 베이스홀(12)을 관통하여 상기 수집홀(635)에 삽입되는 투입구(710)와, 상기 투입구(710)와 연통되고 아이스 슬러리를 저장하는 아이스탱크바디(720)를 포함한다. The ice tank 700 has an inlet 710 that penetrates the base hole 12 and is inserted into the collection hole 635, and an ice tank body 720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let 710 and stores ice slurry. Includes.

상기 아이스탱크바디(720)를 개폐하는 아이스도어(미도시)가 더 배치되고, 상기 아이스도어를 개방하여 저장된 아이스 슬러리를 밖으로 꺼낼 수 있다. An ice door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the ice tank body 720 is further disposed, and the stored ice slurry can be taken out by opening the ice door.

상기 아이스탱크(700)가 베이스(10) 밑에 은닉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단열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ice tank 700 is hidden under the base 10,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minimized and insulation is easy.

상기 하우징(110)의 회전을 이용하여 하우징(110) 밖으로 배출된 아이스 슬러리를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아이스 슬러리의 수집이 용이하고, 바스켓(600)의 하부에 아이스탱크(700)가 배치되기 때문에, 배출된 아이스 슬러리를 신속하게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Since the ice slurry discharged out of the housing 110 can be collected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housing 110, the collection of the ice slurry is easy, and because the ice tank 700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sket 600, It has the feature of being able to quickly collect and store the discharged ice slurry.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부 형상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부 형상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부 형상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craper par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craper par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craper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스크래퍼부(1164)는 반경방향 내측단이 길고 반경방향 외측단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scraper unit 1164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with a long radial inner end and a short radial outer end.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스크래퍼부(1264)는 반경방향 내측단이 짧고 반경방향 외측단이 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first scraper unit 1264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with a short radial inner end and a long radial outer end.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스크래퍼부(1364)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나의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scraper unit 1364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상기 제 1 스크래퍼부 및 제 2 스크래퍼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Unlike the above embodiments, the first scraper portion and the second scraper portion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이와 같이 상기 제 1 스크래퍼부 및 제 2 스크래퍼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scraper part and the second scraper par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and equivalents.

10 : 베이스 100 : 하우징어셈블리
110 : 하우징 120 : 어퍼하우징
130 : 로어하우징 150 : 스크래퍼
160 : 제 1 스크래퍼 170 : 셔터
180 : 제 2 스크래퍼 190 : 제 1 서포트어셈블리
200 : 샤프트어셈블리 210 : 샤프트
220 : 어퍼플랜지 230 : 로어플랜지
240 : 어퍼베어링 250 : 로어베어링
260 : 샤프트배관 300 : 구동어셈블리
310 : 구동모터 320 : 구동기어
330 : 종동기어 400 : 냉각어셈블리
500 : 워터공급장치 600 : 바스켓
700 : 아이스탱크
10: Base 100: Housing Assembly
110: housing 120: upper housing
130: lower housing 150: scraper
160: first scraper 170: shutter
180: 2nd scraper 190: 1st support assembly
200: Shaft assembly 210: Shaft
220: Upper flange 230: Lower flange
240: Upper bearing 250: Lower bearing
260: Shaft piping 300: Drive assembly
310: drive motor 320: drive gear
330: driven gear 400: cooling assembly
500: Water supply device 600: Basket
700: Ice tank

Claims (5)

아이스 슬러리를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하우징어셈블리(100);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샤프트어셈블리(200);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을 회전시키는 구동어셈블리(300);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경유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어셈블리(400);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 외주면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공급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어셈블리(100)는,
내부에 공간(101)이 형성된 원통형태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향해 돌출된 스크래퍼(1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결합되는 제 1 스크래퍼(160) 및 제 2 스크래퍼(18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크래퍼(16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고정되는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와, 상기 제 1 스크래퍼고정부(162)에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스크래퍼부(16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크래퍼(18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111)에 고정되는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와, 상기 제 2 스크래퍼고정부(182)에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를 향해 돌출되는 제 2 스크래퍼부(18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크래퍼부(164) 및 제 2 스크래퍼부(184)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은 어퍼하우징(120) 및 로어하우징(130)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어셈블리(20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샤프트중공(211)이 형성된 샤프트(210);
상기 샤프트(2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120)을 지지하는 어퍼플랜지(220);
상기 샤프트(21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로어플랜지(230);
상기 어퍼플랜지(22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120)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어퍼베어링(240);
상기 로어플랜지(23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하우징(130)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로어베어링(250);
상기 샤프트중공(211)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10)의 내주면(212)에 밀착되고, 냉각된 냉매가 유동되는 샤프트배관(260);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210)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샤프트(21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10)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아이스 슬러리를 위한 제빙기.
In an ice maker that can make ice slurry,
base (10);
a housing assembly 100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10;
a shaft assembly (200) fixed to the base (10),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assembly (100), and forming i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driving assembly 300 that rotates the housing assembly 100;
A cooling assembly (400) that circulates refrigerant via the shaft assembly (200);
It includes a water supply device 500 that supplies wat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ssembly 200,
The housing assembly 100,
A cylindrical housing 110 with a space 101 formed therein;
It includes a scraper 150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protruding toward the shaft assembly 200,
The scraper 150 includes a first scraper 160 and a second scraper 180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The first scraper 160,
A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a first scraper part 164 protruding from the first scraper fixing part 162 toward the shaft assembly 200. Including,
The second scraper 180,
A second scraper fixing part 182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a second scraper part 184 protruding from the second scraper fixing part 182 toward the shaft assembly 200. Including,
The first scraper unit 164 and the second scraper unit 184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The housing 110 includes an upper housing 120 and a lower housing 130,
The shaft assembly 200 is,
A shaft 210 having a long shaft hollow 2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upper flange 220 disposed at the top of the shaft 210 and supporting the upper housing 120;
A lower flange 230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haft 210 and fixed to the base 10;
An upper bearing 240 disposed on the upper flange 220 and reducing friction with the upper housing 120;
A lower bearing 250 disposed on the lower flange 230 and reducing friction with the lower housing 130;
It includes a shaft pipe 260 disposed in the shaft hollow 211,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12 of the shaft 210, and through which the cooled refrigerant flows,
The shaft 210 penetrates the housing 110 and is fixed to the base 10, and the housing 110 rotates horizont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with the shaft 210 inserted. Ice maker for ice slurr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어셈블리(40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10)와, 상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열교환기(420)와, 상기 응축열교환기(42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430)와, 상기 팽창밸브(430)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밸브(430)에서 팽창된 냉매가 상기 샤프트배관(260)에 공급되어 증발되고, 상기 냉매의 증발열에 의해 상기 샤프트(210)가 냉각되는 아이스 슬러리를 위한 제빙기.
In claim 1,
The cooling assembly 400 includes a compressor 410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a condensation heat exchanger 420 that condens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430 that expands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ation heat exchanger 420. And, including the expansion valve 430,
An ice maker for ice slurry in which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expansion valve 430 is supplied to the shaft pipe 260 and evaporated, and the shaft 210 is cooled by the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KR1020230071584A 2023-06-02 2023-06-02 Ice Machine for Ice Slurry KR102580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584A KR102580870B1 (en) 2023-06-02 2023-06-02 Ice Machine for Ice Slur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584A KR102580870B1 (en) 2023-06-02 2023-06-02 Ice Machine for Ice Slur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870B1 true KR102580870B1 (en) 2023-09-20

Family

ID=8819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584A KR102580870B1 (en) 2023-06-02 2023-06-02 Ice Machine for Ice Slur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87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048U (en) * 1993-07-19 1995-02-16 신성조 Massage with a watch attached
KR200152583Y1 (en) 1997-04-12 1999-07-15 이종수 Sealing shaft apparatus for slush machine
KR20050026321A (en) * 2003-09-09 2005-03-15 이효복 Apparatus for producing artificial snow and table displaying bottled beers using the same
JP2005221212A (en) * 2004-02-09 2005-08-18 Hoshizaki Electric Co Ltd Ice maker
JP5073614B2 (en) * 2007-08-31 2012-11-1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Auger ice machine
KR101950406B1 (en) 2018-08-23 2019-05-21 김지영 Method for cold aging meat
KR102072626B1 (en) 2019-07-19 2020-03-02 (주)리코시스템 Salt chiller System with automatic salt contro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048U (en) * 1993-07-19 1995-02-16 신성조 Massage with a watch attached
KR200152583Y1 (en) 1997-04-12 1999-07-15 이종수 Sealing shaft apparatus for slush machine
KR20050026321A (en) * 2003-09-09 2005-03-15 이효복 Apparatus for producing artificial snow and table displaying bottled beers using the same
JP2005221212A (en) * 2004-02-09 2005-08-18 Hoshizaki Electric Co Ltd Ice maker
JP5073614B2 (en) * 2007-08-31 2012-11-1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Auger ice machine
KR101950406B1 (en) 2018-08-23 2019-05-21 김지영 Method for cold aging meat
KR102072626B1 (en) 2019-07-19 2020-03-02 (주)리코시스템 Salt chiller System with automatic salt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40502A (en) A kind of wind cooling refrigerator defrost humidify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US4272025A (en) Water distribution system for an ice making device
CN102135359A (en) Method for improving humidity in refrigerator for air cooling refrigerator and air cooling refrigerator
KR102580870B1 (en) Ice Machine for Ice Slurry
CN107606843A (en) A kind of Novel frost-free refrigerator-freezer refrigerating plant with solution dehumidification
CN210275727U (en) Quick-freezing device for aquatic product processing
US4048815A (en) Flake ice maker
US4549408A (en) Cube icemaker with rotary ice remover means
CN210625080U (en) Tunnel type instant freezer
US3921415A (en) Flake ice maker
CN110089550A (en) A kind of seafood fish refrigerated structure and method
EP3364135B1 (en) Chest freezer
CN210441512U (en) Accurate humidification device of forced air cooling refrigerator
CN207351025U (en) For refrigeration plant box liner assembly and there is its refrigeration plant
US8528356B2 (en) Auger style ice maker and refrigeration appliance incorporating same
CN113566473A (en) Accurate control device for ice temperature storage and fresh keeping of edible fungi
CN219318740U (en) Air refrigeration type aquatic product refrigerated cabinet
KR102559749B1 (en) Blo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3727425A (en) Ice flaking machine for domestic refrigerators
WO1997010481A1 (en) Flake freezing machine and system using same
CN104567199B (en) Immersion freezing chamber device
KR102629896B1 (en) Flake ice manufacture device
CN217360634U (en) Drainage and dehumidific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CN213362964U (en) Defrosting and refrigerating chamber structure of air-cooled refrigerator
CN211372890U (en) Device is frozen fast in meeting of cold at vegetables normal temp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