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819B1 - 면조립가능한 블록 큐브 - Google Patents
면조립가능한 블록 큐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0819B1 KR102580819B1 KR1020210060800A KR20210060800A KR102580819B1 KR 102580819 B1 KR102580819 B1 KR 102580819B1 KR 1020210060800 A KR1020210060800 A KR 1020210060800A KR 20210060800 A KR20210060800 A KR 20210060800A KR 102580819 B1 KR102580819 B1 KR 102580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be
- attachment surfaces
- attachment surface
- cube attachment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를 포함한 중심부(140), 상기 체결부(141)와 연결된 연결부(111, 121, 131)를 포함하는 6개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6개의 큐브부착면을 각각 사출하여 서로 조립할 수 있고, 큐브부착면의 색상을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141)와 상기 연결부(111, 121, 131) 내에 자성체(650)를 위치하여 큐브들끼리 결합이 용이하게 해체되지 않는 블록 큐브(100)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성체를 포함하는 면조립가능한 블록 큐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면체인 블록 큐브의 6개의 면을 서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각각의 면을 개별적으로 사출하여 6개의 면들을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 및 변경할 수 있는 블록 큐브에 관한 것이다.
교육완구로서의 블록 큐브는 일반적인 놀이 기구 중의 하나이며, 입체도형, 특히 정육면체와 같은 여러 가지 모양의 블록을 이용해 블록 쌓기, 퍼즐 맞추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어린이들의 능동적인 사고 발달 및 집중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정육면체 조립 완구를 제조시 블록 큐브 전체를 일체로 사출하거나, 각각의 블록 큐브를 용이하게 정렬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자석이 내장되는 경우에는 큐브들끼리 결합이 용이하게 해체되지 않도록 상기 자석이 어느 한 면의 중심에서 해당 면의 일 측변까지 유동될 수 있는 유동공간이 각 블록 큐브면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두 개의 블록큐브의 접촉하는 2개의 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자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 블록들이 출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648055호의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육면체인 블록의 각 면의 중앙에 자석(67)이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어느 방향으로든 복수개의 블록이 자석의 인력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자석을 수용하는 격실(13, 61, 63)을 포함하는 조립 단위를 커버(10)와 몸체(60)로 간략히 설계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도모하게 하는 자석을 이용한 퍼즐 블록’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석을 이용한 블록 큐브 완구는 사출의 편의성을 위해 블록 큐브의 일면을 구성하는 커버와 블록 큐브의 5개의 면을 구성하는 몸체의 단위로 제조되어 조립하도록 되어 있어서, 블록 큐브의 각 면의 색상에 다양한 변화를 주기 어려우며 블록 큐브 조립이 획일화되어 있어 조립자의 능동적인 사고 발달 및 창작성을 고취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육면체 블록 큐브를 구성하는 6개의 부착면을 각각 조립하여 다양한 구성의 블록 큐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 큐브 완구를 구성하는 6개의 면의 일부 또는 전체의 색상을 상이하게 각각 사출하고 완구의 사용자가 6개의 면을 원하는 색상의 구성으로 자유롭게 조합하여 큐브를 조립 또는 재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큐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6개의 면을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는 블록 큐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출 공정이 용이하면서 조립이 용이한 형태를 갖는 블록 큐브 부품들을 포함하는 블록 큐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 각각 조립가능하도록 연결부를 포함하는 6개의 큐브부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는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의 연결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각각은 인접하는 큐브부착면들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중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각각의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각각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홈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중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각각의 결합부재는,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각각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홈에 암수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벽체돌출부와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각각의 대향하는 제3 변 및 제4 변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홈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중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 각각의 결합부재는, 상기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의 각각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홈에 암수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과 상기 중심부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은 색상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는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의 연결부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각각의 연결부는 다각형 또는 원통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 각각의 일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연결부 각각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에 암수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부는 상기6개의 큐브부착면의 연결부 각각에 연결되는 6개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의 각각의 연결부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 각각은 상기 체결부와의 체결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 내에 상기 자성체가 위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은 각각의 대향하는 제3 변 및 제4 변의 모서리 내부에 지지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의 지지돌출부 각각은 상기 제5 큐브부착면과 제6 큐브부착면의 각각의 대향하는 제3 변 및 제4 변에 형성된 상접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 각각 조립 가능하도록 연결부를 포함하는 6개의 큐브부착면을 포함하는 블록 큐브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중 서로 대향하는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의 연결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와 연결하는 제1 연결단계;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중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에 인접하는 서로 대향하는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의 연결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와 연결하는, 제2 연결단계;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중 서로 대향하는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의 연결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와 연결하는, 제3 연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연결단계는, 각 큐브부착면의 연결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 사이에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의 연결부 각각을 상기 중심부의 체결부와 연결하는 것은, 상기 연결부 각각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를 상기 체결부에 암수결합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단계는,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각각의 제1 변을 상기 제3 큐브부착면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에 각각 암수결합하고,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각각의 상기 제1 변에 대향하는 제2 변을 상기 제4 큐브부착면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에 각각 암수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단계는,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의 제3 변을 상기 제5 큐브부착면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에 암수결합하고,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의 제3 변에 대향하는 제4 변을 상기 제6 큐브부착면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에 암수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단계는,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각각의 제1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홈을 상기 제3 큐브부착면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 각각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벽체돌출부와 각각 암수결합하고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각각의 제2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홈을 상기 제4 큐브부착면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 각각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와 각각 암수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단계는,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각각의 제3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홈을 상기 제5 큐브부착면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와 각각 암수결합하고,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각각의 상기 제3 변과 대향하는 제4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홈을 상기 제6 큐브부착면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변의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와 각각 암수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연결단계는, 각 큐브부착면의 연결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 사이에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큐브 완구를 구성하는 중심부와 6개의 큐브부착면이 개별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에 의하면, 6개의 면을 개별적으로 사출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블록 큐브를 구성하여 다양한 색상 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블록 큐브의 제조시 사출공정의 단순화 및 블록 큐브의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중심부의 체결부에 각각의 큐브부착면의 연결부를 결합하는 형태로 블록 큐브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각 큐브부착면의 색상을 다르게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블록 큐브 면의 조합으로 블록 큐브 조립체를 제작할 수 있어, 조립자가 능동적인 사고 발달 및 창작성을 고취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에 의하면, 본 발명의 효과 는 6개의 면을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는 블록 큐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게 조립이 용이한 형태를 갖는 블록 큐브 부품들을 포함하는 블록 큐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록 큐브들의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중심부와 3면의 내부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중심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3쌍의 큐브부착면 각각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일 큐브부착면의 내부 구조 및 그 내부 구조 내에서의 자성체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7(b), 7(c), 7(d), 7(e)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 조립 방법의 블록 큐브의 조립 순서 및 그에 따른 블록 큐브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중심부와 3면의 내부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중심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3쌍의 큐브부착면 각각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일 큐브부착면의 내부 구조 및 그 내부 구조 내에서의 자성체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7(b), 7(c), 7(d), 7(e)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 조립 방법의 블록 큐브의 조립 순서 및 그에 따른 블록 큐브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록 큐브들의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는 육면체로서 다양한 색상의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큐브(100)의 구성에 따르면, 도 1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 큐브(100)들을 가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구성의 다양한 블록 결합체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큐브(100)를 구성하는 각 면을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각 면의 색상 조합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록 큐브(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자성체를 배치함으로써, 자성체의 극성에 관계 없이 어느 방향에서나 블록 큐브(100) 간의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의 내부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는,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 및 중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40)는 블록 큐브(100) 내의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 각각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 각각은 상기 중심부(140)에 결합되는 연결부(111, 121, 131)을 포함하고, 상기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 각각은 인접하는 큐브부착면(110, 120, 130)들과 체결되도록 구성된 결합부재(113, 122, 123, 13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113, 122, 123, 132)는 암수결합 부재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홈 또는 벽체돌출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수 또는 형태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큐브부착면은 모두 색상이 동일할 수도 있고, 6개의 큐브부착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면의 색상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1, 121, 131)는 중심부(140) 표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 각각의 연결부(111, 121, 131)는 다각형 또는 원통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1, 121, 131)의 일측 단부는 폐쇄되어 있거나 개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일측 단부 각각은 상기 중심부(140)의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에 암수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에서 상기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과 상기 중심부(14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큐브(100)에서 중심부(140) 표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와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 각각의 연결부(111, 121, 131)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 각각은 인접하는 큐브부착면(110, 120, 130)들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암수결합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연결부(111, 121, 131)와 체결부(141)의 결합 부분 내에 자성체(미도시)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그러한 자성체(미도시)는 각각의 블록 큐브를 상호 결합하여 용이하게 정렬하고 유지하여 블록 쌓기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큐브들끼리 결합이 용이하게 해체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의 중심부(14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심부(140)는 외곽에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를 포함하며, 체결부(141)는 연결부(111, 121, 131)와 결합을 위한 암형 또는 수형 요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러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141)는 십자형 돌출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141)는 중심부(140)와 큐브부착면(110, 120, 130)의 조립시, 상기 큐브부착면(110, 120, 130)의 연결부(111, 121, 131)와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141)는 암수결합을 위한 부재의 일부분으로, 중심부(140)와 상/하, 좌/우, 앞/뒤의 6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3 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에 대응하는6개의 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중심부(140)가 포함하는 체결부의 수 또는 형태가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의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의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13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은 각각의 중심에 다각형 또는 원통형의 형태를 가진 연결부(111, 121, 131)를 포함하며, 연결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111, 121, 131)는 암형 또는 수형의 요철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부(140)의 표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와 암수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 큐브(100)는, 블록 큐브 부착면들의 조립시, 상하좌우의 방향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나, 편의상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130, 130’)이 조립되는 면을 각각 상면 및 하면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서로 대향하는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의 각각의 결합부재는, 제1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제1 변, 제2 변)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홈(113)과 제2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제3 변, 제4 변) 내부에 지지돌출부(112)를 포함하고, 대향하는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 각각의 결합부재는, 제1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제1 변, 제2 변)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벽체돌출부(123)와 제2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제3 변, 제4 변)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홈(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130, 130’) 각각의 결합부재는, 제1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제1 변, 제2 변)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132)와 제2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제3 변, 제4 변)에 형성된 상접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는, 블록 큐브 부착면들의 조립시,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각각의 제1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홈(113, 113’)은 제3 큐브부착면(12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 각각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벽체돌출부(123)와 각각 암수결합될 수 있고,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각각의 제2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홈(113)은 제4 큐브부착면(12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 각각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벽체돌출부(123’)와 각각 암수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 각각의 제3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홈(122)은 상기 제5 큐브부착면(13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 각각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132)와 각각 암수결합되고,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 각각의 상기 제3 변과 대향하는 제4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홈(122’)은 상기 제6 큐브부착면(13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132’)와 각각 암수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6개의 큐브부착면의 인접 큐브부착면들 사이에 체결하기 위한 상이한 암수결합 구조의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큐브부착면들의 홈과 벽체돌출부의 수 또는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각각의 제2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에 지지돌출부(112, 112’)를 더 포함하고, 지지돌출부(112, 112’) 각각은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130, 130’)의 제2의 대향하는 제3 변 및 제4 변 각각에 형성된 상접부(133)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은 서로 상이한 색상의 3쌍의 큐브부착면이거나 모두 동일한 색상의 큐브부착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6개의 큐브부착면 모두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6개의 큐브부착면 중 2개 이상이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3쌍의 큐브부착면(110, 120, 130)은 결합부재를 통해 인접하는 큐브부착면(110, 120, 13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 큐브부착면(110, 120, 130)을 서로 탈부착하는 과정으로 블록 큐브(100)의 형태로 조립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큐브부착면(620)의 내부 구조 및 그 내부 구조 내에 위치된 자성체(6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의 큐브부착면(620)은, 각각의 중심에 다각형 또는 원통형의 형태를 가진 연결부(621)를 포함하며, 연결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21) 각각은 체결부(141)와 암수결합 구조로 조립될 수 있으며, 조립시 연결부(621)와 체결부(141) 사이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650)는 조립 전 연결부(621) 내부에 위치되어, 조립이 이루어진 후 상기 중공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의 직경은 내부에 위치한 자성체(650)가 상기 중공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성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650)는 육면체의 각 중앙에 위치하여 인접한 블록 큐브(100) 간의 자성체(650)의 인력에 의한 연결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6개의 큐브부착면 중 일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5개의 타 큐브부착면에도 동일하게 각 연결부 각각은 중심부의 체결부(141)와 암수결합 구조로 조립될 수 있으며, 조립시 그 연결부와 체결부(141) 사이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650)는 조립 전 각 연결부 내부에 위치되어, 조립이 이루어진 후 상기 중공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a), 7(b), 7(c), 7(d), 7(e)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 조립 방법의 블록 큐브의 조립 순서 및 그에 따른 블록 큐브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의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 조립 방법은, 제1 연결단계에서, 6개의 큐브부착면 중 서로 대향하는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의 연결부(111, 111’) 각각을 중심부(140)의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에 결합한다. 제1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의 연결부 각각(111, 111’)을 중심부(140)의 체결부(141)와 연결하는 것은, 연결부(111, 111’) 각각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를 체결부(141)에 암수결합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결합에서, 연결부(111, 111’)와 체결부(141)의 암수결합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 조립 방법은, 제2 연결단계에서, 6개의 큐브부착면 중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에 인접하는 서로 대향하는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의 연결부(121, 121’)를 중심부(140)의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와 결합한다.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의 연결부(121, 121’) 각각을 중심부(140)의 체결부(141)와 연결하는 것은, 연결부(121, 121’) 각각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를 체결부(141)에 암수결합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단계에서는,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각각의 제1 변을 제3 큐브부착면(12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에 각각 암수결합되고,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각각의 상기 제1 변에 대향하는 제2 변을 제4 큐브부착면(12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에 각각 암수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암수결합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각각의 제1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홈(113, 113’)을 상기 제3 큐브부착면(12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 각각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벽체돌출부(123)와 각각 암수결합되고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각각의 제2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홈(113, 113’)을 상기 제4 큐브부착면(12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 각각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123’)와 각각 암수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 조립 방법은, 제3 연결단계에서, 6개의 큐브부착면 중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에 인접하는, 서로 대향하는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130, 130’)의 연결부(131, 131’)를 중심부(140)의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와 결합한다.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130, 130’)의 연결부(131, 131’) 각각을 중심부(140)의 하나 이상의 체결부(141)와 연결하는 것은, 연결부(131, 131’) 각각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를 체결부(141)에 암수결합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연결단계에서는,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의 제3 변을 상기 제5 큐브부착면(13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에 각각 암수결합하고,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의 제3 변에 대향하는 제4 변을 상기 제6 큐브부착면(13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에 각각 암수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암수결합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 각각의 제3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홈(122)을 상기 제5 큐브부착면(13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132)와 각각 암수결합되고,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120, 120’) 각각의 상기 제3 변과 대향하는 제4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홈(122’)을 상기 제6 큐브부착면(130’)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132’)와 각각 암수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연결단계에서,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110, 110) 각각의 제2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에 위치된 지지돌출부(112, 112) 각각은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130, 130)의 대향하는 제3 변 및 제4 변 각각에 형성된 상접부(133)를 지지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 조립 방법에서, 6개의 큐브부착면은 서로 상이한 색상의 3쌍의 큐브부착면이거나 모두 동일한 색상의 큐브부착면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6개의 큐브부착면 모두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조립될 수 있고, 6개의 큐브부착면 중 2개 이상이 상이한 색상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큐브(100) 조립 방법은, 제1연결 단계에서, 연결부 각각(111, 111’)을 체결부(141)와 연결시, 연결부(111, 111)의 일 단부에 형성된 개구 내에 자성체(650)를 각각 위치시킨 후 각각 대응하는 체결부(141)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조립 후 연결부(111, 111’)와 체결부(141) 사이에 위치되는 중공 내에 자성체(650)가 회전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 단계에서도, 연결부 각각(121, 121’)을 체결부(141)와 연결시, 연결부(121, 121’)의 일 단부에 형성된 개구 내에 자성체(650)를 각각 위치시킨 후 각각 대응하는 체결부(141)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조립 후 연결부(121, 121’)와 체결부(141) 사이에 위치되는 중공 내에 자성체(650)가 회전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3 연결 단계에서도, 연결부 각각(131, 131’)을 체결부(141)와 연결시, 연결부(131, 131’)의 일 단부에 형성된 개구 내에 자성체(650)를 각각 위치시킨 후 각각 대응하는 체결부(14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블록 큐브의 조립 후 연결부(131, 131’)와 체결부(141) 사이에 위치되는 중공 내에 자성체(650)가 회전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정육면체 형상의 블록 큐브(1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든 면의 색상을 다르게 사출하거나, 블록 형상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삼각기둥 또는 다각형의 블록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기둥 형태의 블록은, 중심부와 상, 하 부착면 및 옆면으로 구성되어, 중심부와 각 부착면들 간의 암수결합 구조 및 자성체의 수용 구조를 동일하게 가지면서, 부착면들 서로 간의 암수결합 구조를 일부 생략하거나 추가하여 적어도 2쌍 이상의 다른 형태 및 색상의 부착면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의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블록 큐브
110, 110’: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111, 111’, 121, 121’, 131, 131, 621: 연결부
112, 112’: 지지돌출부
113, 113’: 제1 홈
120, 120, 620: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122, 122’: 제2 홈
123, 123’: 제1 벽체돌출부
130, 130’: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
132, 132’: 제2 벽체돌출부
133, 133’: 상접부
140: 중심부
141: 체결부
650: 자성체
110, 110’: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111, 111’, 121, 121’, 131, 131, 621: 연결부
112, 112’: 지지돌출부
113, 113’: 제1 홈
120, 120, 620: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122, 122’: 제2 홈
123, 123’: 제1 벽체돌출부
130, 130’: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
132, 132’: 제2 벽체돌출부
133, 133’: 상접부
140: 중심부
141: 체결부
650: 자성체
Claims (10)
-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 각각 조립가능하도록 연결부를 포함하는 6개의 큐브부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는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의 연결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각각은 인접하는 큐브부착면들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중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각각의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 각각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홈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중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각각의 결합부재는,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각각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모서리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홈에 암수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벽체돌출부와 상기 제3 큐브부착면 및 제4 큐브부착면 각각의 대향하는 제3 변 및 제4 변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홈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중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 각각의 결합부재는, 상기 제5 큐브부착면 및 제6 큐브부착면의 각각의 대향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홈에 암수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벽체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과 상기 중심부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은 색상이 상이한 것인,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는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의 연결부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 각각의 연결부는 다각형 또는 원통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 각각의 일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연결부 각각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에 암수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인,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의 연결부 각각에 연결되는 6개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는 상기 6개의 큐브부착면의 각각의 연결부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각각은 상기 체결부와의 체결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 내에 상기 자성체가 위치되는 것인,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은 각각의 대향하는 제3 변 및 제4 변의 모서리 내부에 지지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큐브부착면 및 제2 큐브부착면의 지지돌출부 각각은 상기 제5 큐브부착면과 제6 큐브부착면 각각의 대향하는 제3 변 및 제4 변에 형성된 상접부를 지지하는 것인, 조립 가능한 블록 큐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800A KR102580819B1 (ko) | 2021-05-11 | 2021-05-11 | 면조립가능한 블록 큐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800A KR102580819B1 (ko) | 2021-05-11 | 2021-05-11 | 면조립가능한 블록 큐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3719A KR20220153719A (ko) | 2022-11-21 |
KR102580819B1 true KR102580819B1 (ko) | 2023-09-21 |
Family
ID=8423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0800A KR102580819B1 (ko) | 2021-05-11 | 2021-05-11 | 면조립가능한 블록 큐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081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03791A1 (en) * | 1999-07-10 | 2001-01-18 | Kiblo Limited | Toy building blocks |
US20040116038A1 (en) * | 2002-11-27 | 2004-06-17 | Hunts Larry Dean | Devise for connecting plural multi-shaped bodies utilizing magnets |
US20190054389A1 (en) * | 2016-08-24 | 2019-02-21 | Joshua Davis | Building blocks |
WO2020085974A1 (en) * | 2018-10-23 | 2020-04-30 | Aaberg Erik | Bulding system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8055B1 (ko) | 2009-06-16 | 2016-08-16 | 지연경 | 자석을 이용한 퍼즐블록 |
KR101876275B1 (ko) * | 2016-12-12 | 2018-07-09 | 이정호 | 구구단 학습용 큐브 |
-
2021
- 2021-05-11 KR KR1020210060800A patent/KR1025808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03791A1 (en) * | 1999-07-10 | 2001-01-18 | Kiblo Limited | Toy building blocks |
US20040116038A1 (en) * | 2002-11-27 | 2004-06-17 | Hunts Larry Dean | Devise for connecting plural multi-shaped bodies utilizing magnets |
US20190054389A1 (en) * | 2016-08-24 | 2019-02-21 | Joshua Davis | Building blocks |
WO2020085974A1 (en) * | 2018-10-23 | 2020-04-30 | Aaberg Erik | Bulding system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3719A (ko) | 2022-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5187B1 (ko) | 자석이 내장된 조립식 완구 블록 | |
US8540545B2 (en) | Interconnectible building elements for intellectual challenge games | |
KR100524154B1 (ko) |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 |
KR102580819B1 (ko) | 면조립가능한 블록 큐브 | |
KR100937354B1 (ko) | 회전이 가능한 조립식 블록 완구 | |
KR200394479Y1 (ko) | 입체형 자석놀이완구 | |
KR100546070B1 (ko) |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 |
KR101927033B1 (ko) |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 |
KR20120138103A (ko) | 자석퍼즐 | |
KR200469966Y1 (ko) | 조립식 블록 완구 | |
KR20190001186A (ko) |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 |
KR101927035B1 (ko) |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 |
KR100546071B1 (ko) | 입체형 자석놀이완구 | |
KR101927034B1 (ko) |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 |
CN112272582A (zh) | 构造型玩具的立方体元件及其形成方法 | |
US12029997B2 (en) | Versatile three-dimensional fort building kit | |
KR101740504B1 (ko) | 조립식 블록완구 | |
US20230191274A1 (en) | Modularized toy building block assembly | |
JP2006000619A (ja) | 立体迷路形成用玩具 | |
CN212262385U (zh) | 一种智力积木 | |
US20180345162A1 (en) | Kit of construction elements | |
JP3247006U (ja) | 木製の組立玩具 | |
RU228476U1 (ru) | Деталь конструктора | |
KR200394449Y1 (ko) |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 |
CN210698797U (zh) | 磁性积木及积木玩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