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706B1 -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706B1
KR102580706B1 KR1020230092883A KR20230092883A KR102580706B1 KR 102580706 B1 KR102580706 B1 KR 102580706B1 KR 1020230092883 A KR1020230092883 A KR 1020230092883A KR 20230092883 A KR20230092883 A KR 20230092883A KR 102580706 B1 KR102580706 B1 KR 102580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ion
water
ion generator
water droplet
observ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요
밀로슬라브 벨로리드
차주완
이용희
이경미
백정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09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8Testing or calibrating meteorological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지상의 안개를 소산시키거나 안개로부터 물을 수집하고 대기 중의 강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상조절 실험과 실용화에 활용될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증기가 음이온과 충돌 및 병합하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수직 방향의 음이온 챔버(10);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음이온 챔버(10)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기(20); 음이온 챔버(10)를 지지하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31)와 수적의 성장을 관측하기 위한 수적 관측장치(32)가 수용된 장치 테이블(30); 및 상기 음이온 발생기(20)와 가습기(31) 및 수적 관측장치(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Water Droplet Growth Observation System using Negative Ion Generator}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지상의 안개를 소산시키거나 안개로부터 물을 수집하고 대기 중의 강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상조절 실험과 실용화에 활용될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 등에 의한 이상기상 현상으로 가뭄, 홍수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 중 가뭄 발생은 물부족 사태를 초래하여 사회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도시화 및 산업화의 가속화로 용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수자원의 확보와 용수의 안정적 공급 및 체계적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수자원은 다른 사회간접자본과는 달리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정부는 댐 건설에 의한 수자원 확보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러나 이 정책은 댐 적지 감소, 환경문제, 수몰보상비의 상승 등으로 곤란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부족한 물을 충당하기 위한 새로운 대체수자원 개발이 필요하며, 대체수자원 확보 방안으로는 지하댐, 강변여과수, 해수담수화, 해양심층수, 인공강우 등이 있다.
그 중 인공강우란 구름층은 형성되어 있으나 대기 중에 응결핵 혹은 빙정핵이 적어 구름 방울이 빗방울로 성장하지 못할 때, 인위적으로 인공의 구름씨를 뿌려 특정지역에 강수를 유도하거나, 과냉각수적을 자연적인 상태보다 빨리 동결시켜 잠열 방출에 의한 구름내부의 상승류가 강화되어 자연적인 강우량에 비해 더욱 많은 강수를 유발하는 것이다. 인공강우는 개발에 따른 환경문제를 최소화하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수자원을 확보하고 가뭄 피해를 경감케 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한편 오늘날 물류량 증가, 교통·통신 발달 및 대기오염 증가 등에 따라 공항 및 교량, 도로에 발생하는 안개로 인한 인적, 경제적 피해 또한 심각하다. 따라서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교통안전 분야에서 안개 문제의 해결은 필수적이다.
안개소산은 열, 바람, 화학물질 등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안개입자를 증발 또는 낙하시켜 시정을 개선하는 기술로서, 안개소산 기술을 공항 및 고속도로 등에서 활용하면 시정 악화에 따른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연료비 절약 및 시간 감축 등으로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크다.
인공강우나 안개소산과 같은 기상조절 기술의 개발에는 장기간에 걸친 실험이 수반되어야 하고 인공강우에 의해서 확보되는 수자원 양에 대한 평가와 농업, 공업 등 간접적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경제성 평가가 매우 어렵다. 안개저감에 의한 편익 또한 단순히 시정개선으로 인한 이익 이외에도 다양한 정성적 효과가 있으나 객관적인 효과 입증이 어렵다.
일반적으로 기상조절 실험은 지상과 공중에서 염화칼슘과 요오드화은 등의 물질을 연소시키거나 파우더 형태의 물질들을 살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경우는 연소 물질들의 보관과 관리가 어렵고, 1회 실험에 대한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음이온 발생기를 활용할 경우 친환경적이고 유지관리가 쉬우며 장치 가동 중의 전력 사용 비용만 발생되는 강점이 있다.
음이온 발생기는 다음과 같은 이온화 과정을 거쳐 대기중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음이온 발생기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자들이 장치의 양극에서 음극으로 자유 이동하고, 장치의 끝단인 섬유 또는 금속으로 이동한 전자들은 주변의 공기 분자들과 충돌하며 공기 분자의 전자를 이탈시켜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음이온 발생기마다 허용 전압과 소재가 다르지만, 국내 가정용 전압인 220V를 사용하는 탄소섬유 소재의 음이온 발생기는 수백만~수천만개/cm3의 음이온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전압이 더 강하게 가해질 경우 더 많은 음이온이 발생된다. 이 음이온들은 물 분자의 전기적 유인력을 강화시키고 표면장력을 약화시켜 물 분자 사이의 충돌 및 병합 확률을 증가시켜 수적을 더 크게 만든다. 따라서 음이온 발생 장치로부터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목적의 기상조절 실험과 실용화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선행 특허문헌을 찾지 못하였으며, 인접 기술분야의 선행기술이 다음과 같이 검색되었다.
특허문헌 1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시정거리 표지판을 카메라로 촬영해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안개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안개가 발생하였을 경우 안개 소산 장치부의 히팅부와 송풍부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의한 건조공기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입자에 의한 응결핵을 생성하여 송풍부에 전달하고, 상기 연결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음이온 생성부에서 음이온을 생성하여 송풍부에 의해 건조공기와 응결핵과 음이온을 안개 발생 지역에 분사함으로써 안개 발생 지역의 안개입자가 음이온과 결합하여 안개입자가 음이온화되면 음이온화 된 안개입자는 응결핵과 결합하여 침강하고 작은 안개입자들은 건조공기의 분사로 증발되어 안개를 소산할 수 있는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고온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스팀온풍기의 운전을 온도와 수위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가능하며, 스팀온풍기의 내외환경조건에 따라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제어함을 제공하도록, 한쪽 상부에 통풍구를 구비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과열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생성부와, 상기 수증기생성부로부터 발생한 과열 수증기를 상기 몸체케이스의 통풍구로 송출하는 송풍기로 구성되는 스팀온풍기와; 상기 스팀온풍기의 물저장부를 향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스팀온풍기의 물저장부로 공급하되 상기 물저장부로부터 물을 끌어올 수 있게 동력을 생성시키는 수압펌프와, 상기 수압펌프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로 공급가능한 물의 이동경로를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급수개폐밸브로 구성되는 급수부와; 상기 물저장부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스팀온풍기의 몸체케이스 상에 설치되되 전원의 온/오프를 비롯하여 시간 및 온도를 설정입력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시간 및 온도 정보와 함께 기능설정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이 구비되는 제어컨트롤러와; 상기 제어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팀온풍기의 수증기생성부와 급수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부의 수압펌프 및 급수개폐밸브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물을 이용한 스팀온풍기의 제어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KR 10-2014-0038014 A KR 10-2016-0020091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지상의 안개를 소산시키거나 안개로부터 물을 수집하고 대기 중의 강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상조절 실험과 실용화에 활용될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은, 수증기가 음이온과 충돌 및 병합하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수직 방향의 음이온 챔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음이온 챔버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기; 음이온 챔버를 지지하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와 수적의 성장을 관측하기 위한 수적 관측장치가 수용된 장치 테이블; 및 상기 음이온 발생기와 가습기 및 수적 관측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이온 챔버는 장치 테이블의 외측 지지대에 끼워져 조립되는 원통형의 외부몸체와, 장치 테이블의 내측 지지대에 끼워져 조립되며 외부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내부몸체와, 반구형 돔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몸체의 상단에 끼워져 조립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몸체는 외부몸체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이온 발생기는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치 테이블의 가습기는 음이온 챔버의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사이로 돌출된 가습파이프를 통해 수증기를 공급하고, 수적 관측장치는 내부몸체의 내부로 돌출된 흡입파이프를 통해 수적을 흡입하여 수적의 입자 크기와 입자 크기별 수농도를 관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치 테이블은 이동과 관측의 편의를 위한 고정 가능한 이동바퀴를 하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은 수증기와 음이온의 상호 작용을 통해 수적을 충돌 및 병합시켜 수적을 성장시키고 이를 관측하게 되므로,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지상의 안개를 소산시키거나 안개로부터 물을 수집하고 대기 중의 강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상조절 실험과 실용화에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이온 챔버가 내부몸체와 외부몸체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에 반구형 상부덮개가 설치됨에 따라 수증기와 수적의 이동 경로를 다르게 하고 원할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몸체가 외부몸체에 비해 낮게 형성됨에 따라 수증기가 상부몸체를 따라 이동한 후 내부몸체의 내부로 낙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에서 수적의 성장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에서 수적의 성장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챔버(10), 음이온 발생기(20), 장치 테이블(30) 및 전원공급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람의 키(180cm) 높이 정도로 형성된다. 물론, 용도에 따라 더 크거나 작은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부품은 조립 형태로 되어 있어 언제든지 탈부착이 가능하며 음이온 발생기(2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이온 챔버(10)는 수증기가 음이온과 충돌 및 병합하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 챔버(10)는 장치 테이블(30)의 외측 지지대(33)에 끼워져 조립되는 원통형의 외부몸체(11)와, 장치 테이블(30)의 내측 지지대(34)에 끼워져 조립되며 외부몸체(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내부몸체(12)와, 반구형 돔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몸체(11)의 상단에 끼워져 조립되는 상부덮개(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부몸체(12)는 외부몸체(11)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몸체(11)와 내부몸체(12) 및 상부덮개(13)는 음이온이 정전기 등으로 방전되거나 벽면 등에 음이온이 부착되지 않도록 전도성이 낮은 금속판(예: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으며. 외관의 변형과 무게를 견디고 제작과 추가 장치 등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적절한 두께를 갖는다.
또한, 음이온 챔버(10)는 수증기와 음이온의 충돌 및 병합 과정이 충분히 이뤄질 수 있도록 가습기(31)로부터 공급된 수증기와 음이온 발생기(20)로부터 발생된 음이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 구조로 형성된다. 즉, 장치 테이블(30)과 외부몸체(11), 그리고 상부덮개(13)에 의해 외부가 완벽히 차단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 이동하는 수증기에 지속적인 음이온 영향을 미치게 하기 위해 내부몸체(12)의 내부에 일정 간격 또는 특정 위치에 음이온 발생기(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내부몸체(12)로 유입된 수증기가 음이온 발생기(20)를 순차적으로 지나가며 주변 수증기와 충돌 및 병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상기 음이온 발생기(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음이온 챔버(10)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다. 이때, 음이온 발생기(20)의 소재, 전압, 개수, 장치간 설치 거리 등의 변수를 조합하여 이온화 방법을 이용한 기상조절 실험의 효과와 효율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이온 발생기(20)는 내부몸체(12)와 외부몸체(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대(25)에 의해 내부몸체(12)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장치 테이블(30)은 음이온 챔버(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음이온이 정전기 등으로 방전되거나 음이온이 부착되지 않도록 전도성이 낮은 금속판(예: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장치 테이블(30)에는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31)와 수적의 성장을 관측하기 위한 수적 관측장치(32)가 수용된다. 이때, 장치 테이블(30)은 이동과 관측의 편의를 위한 고정 가능한 이동바퀴(35)를 하부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치 테이블(30)의 가습기(31)는 음이온 챔버(10)의 외부몸체(11)와 내부몸체(12) 사이로 돌출된 가습파이프(31')를 통해 수증기를 공급하고, 수적 관측장치(32)는 내부몸체의 내부로 돌출된 흡입파이프(32')를 통해 수적을 흡입하여 수적의 입자 크기와 입자 크기별 수농도를 관측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음이온 발생기(20)와 가습기(31) 및 수적 관측장치(3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원공급부(40)는 음이온 발생기(20)와 가습기(31) 및 수적 관측장치(32)에 각각 전원선(41)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에서 토출된 수증기를 이동시킨 후 낙하시키면서 음이온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충돌 및 병합시켜 수적을 성장시키고 이를 관측하게 된다.
가습기(31)에서 가습파이프(31')를 통해 음이온 챔버(10)의 내부몸체(12)와 외부몸체(11) 사이로 수증기를 분출하면 수증기가 상승하여 상부덮개(13)에 도달하고, 상부덮개(13)의 곡면을 따라 중앙측으로 이동하여 내부몸체(12)의 안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내부몸체(12)의 안쪽에 구비된 음이온 발생기(20)에서 발생한 음이온과의 상호작용(전기적 유인력 강화 및 표면장력 약화)을 통해 수적끼리 충돌 및 병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음이온 발생기(20)는 전압과 수량 등에 따라 수적을 더 크게 또는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적은 점점 성장하게 되고, 성장한 수적은 흡입파이프(32')를 통해 수적 관측장치(32)로 흡입된다, 따라서, 수적 관측장치(32)에서 수적의 입자 크기와 입자 크기별 수농도를 관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음이온 챔버
11...외부몸체
12...내부몸체
13...상부덮개
20...음이온 발생기
25...지지대
30...장치 테이블
31...가습기
31'...가습파이프
32...수적 관측장치
32'...흡입파이프
33...외측 지지대
34...내측 지지대
35...이동바퀴
40...전원공급부
45...전원케이블

Claims (8)

  1. 수증기가 음이온과 충돌 및 병합하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수직 방향의 음이온 챔버(10);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음이온 챔버(10)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기(20);
    음이온 챔버(10)를 지지하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31)와 수적의 성장을 관측하기 위한 수적 관측장치(32)가 수용된 장치 테이블(30); 및
    상기 음이온 발생기(20)와 가습기(31) 및 수적 관측장치(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챔버(10)는 장치 테이블(30)의 외측 지지대(33)에 끼워져 조립되는 원통형의 외부몸체(11)와, 장치 테이블(30)의 내측 지지대(34)에 끼워져 조립되며 외부몸체(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내부몸체(12)와, 반구형 돔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몸체(11)의 상단에 끼워져 조립되는 상부덮개(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13)가 반구형 돔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사이로 공급된 수증기가 내부몸체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고,
    가습기의 가습 속도와 수적 관측장치의 흡입 속도를 조작하여 음이온 챔버 내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12)는 외부몸체(11)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기(20)의 설치 위치와 개수 그리고 전압을 조작하여 수적의 성장 효과와 효율을 실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기(20)는 내부몸체(12)와 외부몸체(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대(25)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테이블(30)의 가습기(31)는 음이온 챔버(10)의 외부몸체(11)와 내부몸체(12) 사이로 돌출된 가습파이프(31')를 통해 수증기를 공급하고,
    수적 관측장치(32)는 내부몸체의 내부로 돌출된 흡입파이프(32')를 통해 수적을 흡입하여 수적의 입자 크기와 입자 크기별 수농도를 관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테이블(30)은 이동과 관측의 편의를 위한 고정 가능한 이동바퀴(35)를 하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KR1020230092883A 2023-07-18 2023-07-18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KR102580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883A KR102580706B1 (ko) 2023-07-18 2023-07-18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883A KR102580706B1 (ko) 2023-07-18 2023-07-18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706B1 true KR102580706B1 (ko) 2023-09-22

Family

ID=8819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883A KR102580706B1 (ko) 2023-07-18 2023-07-18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7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220A (ko) * 2008-07-31 2011-03-24 메테오 시스템즈 인터내셔널 아게 대기에서 전기적 프로세스에 의한 기상 변경 장치 및 이와 관계된 방법
US20120255861A1 (en) * 2010-09-27 2012-10-11 Susanne Vera Hering Growth tube microchip electrophoresis system
KR20140038014A (ko) 2012-09-19 2014-03-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KR20160020091A (ko) 2014-08-13 2016-02-23 (주) 오스팀 물을 이용한 스팀온풍기의 제어시스템
US20200124766A1 (en) * 2018-10-19 2020-04-23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sonde temperature and humidity calibration using upper air simulation technology
CN109270595B (zh) * 2018-09-20 2020-11-10 华中科技大学 一种天气作业的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220A (ko) * 2008-07-31 2011-03-24 메테오 시스템즈 인터내셔널 아게 대기에서 전기적 프로세스에 의한 기상 변경 장치 및 이와 관계된 방법
US20120255861A1 (en) * 2010-09-27 2012-10-11 Susanne Vera Hering Growth tube microchip electrophoresis system
KR20140038014A (ko) 2012-09-19 2014-03-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KR20160020091A (ko) 2014-08-13 2016-02-23 (주) 오스팀 물을 이용한 스팀온풍기의 제어시스템
CN109270595B (zh) * 2018-09-20 2020-11-10 华中科技大学 一种天气作业的方法和系统
US20200124766A1 (en) * 2018-10-19 2020-04-23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sonde temperature and humidity calibration using upper air simulation technolo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38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 modification of atmosphere
Ghosh et al. Cooling tower fog harvesting in power plants–A pilot study
US201002123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tmospheric water
AU2009275553B2 (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weather modification by electrical processes in the atmosphere
CN1539072A (zh) 风力发电设备
CN102373727A (zh) 太阳能造水站
KR102580706B1 (ko)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수적 성장 관측 시스템
RU2422584C1 (ru) Способ рассеивания тумана
JP2007051540A (ja) 霧解消装置
JP5019492B1 (ja) エアコン室外機用吸入空気冷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コン室外機
SA521421144B1 (ar) نظام إزالة ذرات الملح وتبريد ماء الري
CN102434934A (zh) 悬挂式贯流风送喷雾降温设备
RU253456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сеивания тумана
KR20140024782A (ko) 해수를 이용한 인공강우 시스템
EP3565645B1 (en) Atmospheric negative ionizer
US3934817A (en) Precipitation of steam fogs
KR101570743B1 (ko) 하이브리드형 음이온생성장치를 통한 안개제거장치
CN205246521U (zh) 一种简易激光水生物观察装置
RU2647276C1 (ru) Способ рассеивания туманов и облаков и вызывания осадков
CN101469549B (zh) 从空气中提取水的装置
RU2661765C1 (ru) Способ рассеивания тума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205775911U (zh) 道路激光警示系统
CN201764610U (zh) 一种超高压干雾式加湿空调机
CN108640189A (zh) 一种再生能源浓盐水蒸发系统及控制方法
CN213480467U (zh) 一种新型雾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