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442B1 -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442B1
KR102580442B1 KR1020220105398A KR20220105398A KR102580442B1 KR 102580442 B1 KR102580442 B1 KR 102580442B1 KR 1020220105398 A KR1020220105398 A KR 1020220105398A KR 20220105398 A KR20220105398 A KR 20220105398A KR 102580442 B1 KR102580442 B1 KR 10258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print
information
production
produ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종
이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듦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듦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듦
Priority to KR102022010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지역에 기 존재하는 체인점 기반 매장 등을 허브로 하여, 허브에서 인쇄물에 대한 거래를 관리하고, 거점 서버 등에서 이에 대한 인쇄 처리를 수행하여 배송을 하도록 함으로써, 인쇄물 거래에 대한 지역 체인점을 통한 광고 효과의 극대화와, 유저들의 인쇄물 거래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쇄물 제작을 의뢰하는 유저 계정인 제1 계정으로부터, 지역 내의 체인점 매장의 관리 계정인 제2 계정의 매장에 관련된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된 인쇄물 제작 의뢰 인터페이스인 제1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따라서 입력된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제2 계정에 할당된 저장 공간 내에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제작 요청 수신부;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든 제2 계정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가 저장된 저장 공간의 제2 계정의 식별 정보를 결합한 인쇄물 제작 정보를 생성하여 인쇄물을 제작하는 업체의 계정인 제3 계정에 전송하는 제작 의뢰부; 및 제3 계정으로부터 인쇄물 제작 정보에 대응되는 인쇄물에 대한 제작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제작 완료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물을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계정 또는 제2 계정의 오프라인 상의 주소에 배송하도록 제어하는 인쇄물 배송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PRINT TRADING PLATFORM PROVIDING SYSTEM BASED ON USER LOCATION AND LOCAL CHAIN STORES}
본 발명은 유저 위치와 편의점 등 지역 기반의 체인점으로 구성된 매장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역에 기 존재하는 체인점 기반 매장 등을 허브로 하여, 허브에서 인쇄물에 대한 거래를 관리하고, 거점 서버 등에서 이에 대한 인쇄 처리를 수행하여 배송을 하도록 함으로써, 인쇄물 거래에 대한 지역 체인점을 통한 광고 효과의 극대화와, 유저들의 인쇄물 거래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마켓 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물품에 대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단순 유통 및 쇼핑 서비스뿐 아니라 최근에는 유저가 제작을 의뢰하고, 제작자가 이에 대한 의뢰를 수주하여 의뢰된 물품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맞춤형 제작물품에 대한 제작의뢰 및 배송 서비스가 포함된다.
대표적인 예로서, 팜플릿, 광고 전단지, 현수막을 포함하여 다양한 인쇄물의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인쇄물에 대해서 기존에는 인쇄업체에 사용자가 직접 전화를 하거나 방문하여 인쇄물 제작을 의뢰하고, 인쇄업체가 이에 대한 시안 등을 의뢰인과 확인한 뒤, 인쇄물을 제작하여 의뢰인이 제공한 주소 등으로 배송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영업 형태에서, 사용자들은 인쇄업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뿐 아니라, 가까운 위치에 인쇄 업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물을 제작할 수 있는 인쇄 업체를 찾기 매우 어려워, 인쇄물의 의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과다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2261344호(한국등록공보, 공고일 2021년 6월 4일) 및 10-2261343호(한국등록공보, 공고일 2021년 6월 4일) 등에서는, 인쇄물 제작 등에 관련된 통합 서비스 플랫폼에 유저가 접속하여 인쇄 품목, 생산공급자 등을 선택하여 온라인을 통해서 인쇄를 의뢰하고, 생산공급자가 유저의 의뢰에 따라서 인쇄물을 제작하여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온라인을 통하여 생산공급자 등을 선택하여 유저가 자신이 원하는 시기에 자신이 원하는 품질의 인쇄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음에 따라서 최근에는 실제로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가 다수 런칭되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오프라인 상의 영업 방식을 온라인 상에 구현하는 것이어서, 인쇄물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인쇄업체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직접 온/오프라인 상의 홍보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온라인 서비스를 알지 못하는 고객들이 쉽게 해당 서비스에 대해서 접근하기 어려워 서비스의 활성화에 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역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편의점, 식당 등의 다양한 체인점 네크워크를 허브(영업 거점)로 활용할 수 있는 인쇄물 제작 서비스에 대한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여, 인쇄업체가 쉽게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유저들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체인점을 운영하는 매장의 측면에서는 영업에 따른 수수료 수익을 창출하도록 하여,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다수의 주체들에게 수익 증대, 편의성 향상의 효과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쇄물 제작을 의뢰하는 유저 계정인 제1 계정으로부터, 지역 내의 체인점 매장의 관리 계정인 제2 계정의 매장에 관련된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된 인쇄물 제작 의뢰 인터페이스인 제1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따라서 입력된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제2 계정에 할당된 저장 공간 내에 상기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제작 요청 수신부;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든 제2 계정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가 저장된 저장 공간의 제2 계정의 식별 정보를 결합한 인쇄물 제작 정보를 생성하여 인쇄물을 제작하는 업체의 계정인 제3 계정에 전송하는 제작 의뢰부; 및 상기 제3 계정으로부터 인쇄물 제작 정보에 대응되는 인쇄물에 대한 제작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제작 완료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물을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계정 또는 제2 계정의 오프라인 상의 주소에 배송하도록 제어하는 인쇄물 배송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작 요청 수신부는,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 시, 인쇄물에 따라서 제작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고, 제1 계정으로부터 지불된 금액 중 기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상기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가 저장된 제2 계정에 지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작 요청 수신부는, 기 저장된 다수의 기본 템플릿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기본 템플릿에 대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편집 입력 데이터를 상기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편집 입력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기본 템플릿이 수정된 결과를 인쇄 예상 결과물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계정이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가 예상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 계정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기본 템플릿에 대한 고화질 원본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는 기본 템플릿에 관련된 이미지는 상기 원본 데이터를 경량화한 저화질 데이터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기본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메뉴 및 상기 기본 템플릿에 포함된 구성 요소의 크기, 색상 및 위치를 수정하거나,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및 배치할 수 있는 제2 메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의 실행 시 상기 제1 계정이 이용하는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제2 계정에 대한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2 계정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 공간에, 상기 제작 의뢰부로부터 생성된 인쇄물 제작 정보 및 상기 인쇄물 배송 관리부로부터 생성된 인쇄물의 배송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3 계정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 공간에 상기 관리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계정이 상기 제2 계정의 매장에 배치된 2차원 코드를 인식 시 상기 제1 계정이 이용하는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방식 또는 상기 제1 계정이 적어도 상기 제2 계정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상기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에 따라서 온라인 상으로 실행되는 제2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계정의 매장에 배치된 인쇄물 의뢰용 전용 키오스크를 이용 시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입력이 가능한 메뉴를 포함하여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3 계정과 체인점 본사 간의 계약 시, 상기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상에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형태로 탑재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의점 등 체인점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체인점에 배치된 2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유저들이 인쇄물 의뢰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고 이를 통하여 간단하게 자신이 원하는 인쇄물을 체인점을 운영하는 제2 계정에 의뢰하게 되며, 인쇄물을 제작하는 제3 계정에서는 제2 계정마다 인쇄물에 대한 의뢰에 관련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인쇄물을 제작하여 제2 계정이 운영하는 매장 또는 제1 계정의 주소에 배송하게 된다.
이때 제2 계정은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제2 계정의 식별 정보가 링크된 경우 일정 수수료를 지급받기 때문에, 인쇄물에 대한 제작의 마케팅을 제3 유저 대신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제3 유저인 인쇄업체가 마케팅을 일일이 수행할 필요가 없이 지역별로 인프라가 매우 강하게 구축된 편의점 등의 체인점 네트워크를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국내 거의 모든 영역에 배치된 편의점 등의 체인점의 경우, 물류배송시스템이 완전히 구축되어 있어, 제3 유저에 의하여 생산된 인쇄물의 배송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배송 시스템 구축 비용의 감소 및 배송 시스템의 이용 효율이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계정의 입장에서는 간단한 인쇄물에 대한 마케팅을 통하여 인쇄물을 직접 제작할 필요 없이 제1 계정만을 모집하는 것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계정의 입장에서는 편의점 등 이용 빈도가 매우 높고 접근 난이도가 매우 낮은 체인점을 이용하여 인쇄물에 대한 의뢰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 디자인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이도, 인쇄물에 대한 제작 의뢰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저렴한 비용 및 쉬운 방식으로 인쇄물 제작을 의뢰할 수 있어, 인쇄물 제작을 위한 시간 및 비용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인쇄물이 제작되어 배송되는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수수료가 관리되는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인쇄물의 경량화된 데이터에 의하여 인쇄 제작 의뢰가 관리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서 제1 내지 제3 유저가 분포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1 계정의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1 인터페이스가 실행되기 위한 흐름의 예.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리 데이터가 동기화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인쇄물이 제작되어 배송되는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수수료가 관리되는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인쇄물의 경량화된 데이터에 의하여 인쇄 제작 의뢰가 관리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서 제1 내지 제3 유저가 분포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1 계정의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1 인터페이스가 실행되기 위한 흐름의 예,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리 데이터가 동기화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 각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상기의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10,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함)은, 후술하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관리되는 데이터 또는 처리 용량에 따라서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거나, 컴퓨팅 장치와 동일하거나 다수의 컴퓨팅 장치가 서로 연결된 그룹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후술하는 인쇄물 거래 플랫폼의 운영 시스템과 동일하거나, 운영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인쇄업체의 계정인 제3 계정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 시스템 또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제작 요청 수신부(11), 제작 의뢰부(12) 및 인쇄물 배송 관리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데이터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작 요청 수신부(11)는 인쇄물 제작을 의뢰하는 유저 계정인 제1 계정으로부터, 지역 내의 체인점 매장의 관리 계정인 제2 계정의 매장에 관련된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된 인쇄물 제작 의뢰 인터페이스인 제1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따라서 입력된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제2 계정에 할당된 저장 공간 내에 상기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1 계정은, 유저 단말(2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인쇄물 제작을 의뢰하는 소비자 계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10) 상에는, 상기의 소비자 계정인 제1 계정, 편의점 등 체인점의 매장 관리를 수행하는 대표 계정인 제2 계정 및 인쇄물 제작을 수행하는 인쇄업체의 관리를 수행하는 대표 계정인 제3 계정이 존재한다. 각 계정은, 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접속하여 각 지위에 매칭되는 계정을 생성하여 서비스 플랫폼에 가입하고, 각 계정에 설정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지역 내의 체인점 매장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편의점 등, 특정 지역 또는 영역 내에 다수 존재하는 프랜차이즈 업체에서 운영되는 매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편의점이 대표적인 체인점 매장이며, 프랜차이즈 식당, 생활용품 판매 매장, 미용실 등 체인점으로 관리될 수 있는 다양한 업종에 대한 매장이 본 발명에서의 체인점 매장으로 관리될 수 있다.
특히, 체인점 매장의 경우, 상술한 인쇄물의 배송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구축된 물류 시스템을 인쇄물 배송에 이용할 수 있는 매장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인쇄물의 의뢰 등에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은 체인점 매장의 네트워크 구축말을 통하여, 생산된 인쇄물의 배송 등에 대해서는 체인점 매장의 운용을 위하여 이미 구축된 체인점의 물류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운용하는 플랫폼 제공자(예를 들어 제3 계정)는, 상기의 체인점 네트워크의 본사, 즉 프랜차이즈 본사와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이용 계약을 통하여, 각 프랜차이즈에 속한 체인점 매장을 하나의 허브로 구성하고, 각 허브별로 상술한 제2 계정을 생성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운용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은, 제2 계정, 즉 체인점 매장의 이용이나 광고 등을 위하여 웹 상에서 접속 가능하거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서 이용 가능한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계정은 체인점의 업종에 따라서 온라인 상에서 이용 가능한 기본적인 다양한 서비스 이외에,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물 제작 의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의 인쇄물 제작 의뢰를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메뉴 및 화면을 포함하는 UI/UX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단위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의 제1 인터페이스는,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에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형태로 탑재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제3 계정과 프랜차이즈(체인점) 본사의 계약을 통하여 일 프랜차이즈에 속한 체인점들이 제2 계정으로 가입하게 되면, 체인점 매장에 관련된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상에, 상기의 제1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API가 적용되어,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해당 API를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계정이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면, 도 6의 화면(100)이 단말에 출력될 수 있다.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유저는 쇼핑에 관련된 다양한 메뉴(101)를 활용하거나 이에 API 형태로 실행되어 화면(100)의 일 영역에 출력되는 인쇄물 의뢰 메뉴(102)를 이용하여, 각 인쇄물에 해당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예에 의하면, 제1 계정의 유저 단말(20)에서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함께 이용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결국 유저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예로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편의점 매장 등에 제1 인터페이스의 이용을 위한 별도의 키오스크 단말이 설치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1 계정이 자신의 단말(20)에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계정의 매장에 배치된 인쇄물 의뢰용 전용 키오스크를 이용 시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입력이 가능한 메뉴를 포함하여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인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키오스크 이외에, 제1 계정이 처음으로 제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거나, 편의점에 방문 시 제1 인터페이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편의점에 방문함을 인증받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의 실행은, 편의점의 내부 등에 배치된 인증 수단에 대한 유저 단말(20)의 인증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은, 매장 관리 단말(30)에 제2 계정의 단말(30) 조작에 따라서 출력되는 2차원 코드(301) 또는 매장의 벽면(31) 등에 부착된 오프라인 2차원 코드(302) 등을 인식 시, 상기의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 계정이 이용하는 유저 단말(20)에서 제1 인터페이스(I1)가 실행되는 제1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계없이, 즉 해당 2차원 코드(301, 302)에 대한 유저 단말(20)의 인식에 관계없이, 제2 계정의 정보를 키 정보로 하여 이용 가능한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에 따라서 온라인 상으로 실행되는 제2 방식을 통해서 유저 단말(20)에서 제1 인터페이스가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 시, 유저가 이용할 체인점 매장을 선택하도록 가이드하고, 특정 체인점 매장을 선택 시, 이에 대한 인증 과정을 통하여 현재 이용하는 모든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상의 서비스를 해당 체인점 매장의 관리 계정, 즉 제2 계정에 매칭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상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기반에서 활용된다.
즉, 해당 실시예에서 유저들은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 화면이 출력되기 전, 기 저장된 제2 계정 또는 이용 시마다 자신이 특정 제2 계정을 선택함에 따라서 제2 계정을 링크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2 계정의 링크가 확인되면,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 중 링크된 제2 계정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필터링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2차원 코드의 인식과 관계없이 제1 계정이 제2 계정에 대한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2차원 코드 또는 제2 계정에 대한 선택을 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계정(U21, U22, U23), 즉 체인점 매장을 운영하는 주체들은, 후술하는 수수료 등에 의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인근의 제1 계정이 될 수 있는 유저들(U11, U12, U13)에게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제1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대한 홍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되는 경우, 고객 유치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실제 인쇄업체인 제3 계정(U3)이 수행할 필요 없이, 허브로 작용하는 제2 계정(U21, U22, U23)이 홍보를 대신해주게 된다.
이 경우 각 지역(L1, L2, L3)마다 다수 존재하는 제2 계정(U21, U22, U23)에 의한 홍보는 매우 넓은 범위로 이루어지게 되어 제3 계정(U3) 대신 그 홍보 효과가 극대화되며, 제2 계정(U21, U22, U23)의 본사, 즉 체인점 본사 측면에서는 제1 인터페이스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면,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홍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접적 구매 유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작 의뢰부(12)는,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든 제2 계정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가 저장된 저장 공간의 제2 계정의 식별 정보를 결합한 인쇄물 제작 정보를 생성하여 인쇄물을 제작하는 업체의 계정인 제3 계정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3 계정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인쇄업체의 관리 계정을 의미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계정마다 구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다수의 제3 계정이 연계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제3 계정은 제3 계정이 위치하는 위치에 따라서 각각 지역들을 할당받아 각 할당받은 지역 내의 오더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다종의 인쇄물을 담당하는 제3 계정이 연계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축한 뒤, 의뢰되는 인쇄물의 종류에 따라서 해당 인쇄물을 담당하는 제3 계정이 오더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인쇄 대상이 되는 인쇄 디자인 이미지 또는 이에 대한 편집 정보, 텍스트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는, 상기의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에, 인쇄물 제작을 의뢰한 제1 계정의 식별 정보, 배송지 정보, 납기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4) 내에 제2 계정마다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제2 계정별로 그룹화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 의뢰부(12)가 주기적(예를 들어 12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수집하게 되는데, 수집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해당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가 저장된 저장 공간의 제2 계정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인쇄물 제작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인쇄물 제작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계정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제3 계정에 전송함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데이터베이스(14) 내에 제3 계정마다 할당된 저장공간에, 인쇄물 제작 정보를 저장하고, 제3 계정에 신규 인쇄물 제작 정보의 저장을 알리는 기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인쇄물 배송 관리부(13)는, 제3 계정으로부터 인쇄물 제작 정보에 대응되는 인쇄물에 대한 제작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제작 완료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물을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계정 또는 제2 계정의 오프라인 상의 주소에 배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쇄물에 대한 제작 완료 신호는, 예를 들어 제2 계정 또는 제2 계정에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인쇄물에 대한 시안을 제공하고, 시안에 대한 피드백 과정을 거쳐 시안이 확정되면, 해당 인쇄물에 대한 제작을 시작하고, 제작이 완료된 경우 제3 계정으로부터 입력되는 완료 신호를 의미한다. 이때 완료 신호는 일정한 인증 과정을 거쳐 제작 완료 신호로 인증될 수 있다. 완료 신호에 대한 인증 과정은 정확한 인쇄물이 인쇄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계정으로부터 완료 신호와 함께, 해당 인쇄물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쇄물에 포함된 각 객체 및 배경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 및 배경의 상대 위치, 크기 및 색상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제2 단계, 제2 단계에 의하여 도출된 정보를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 또는 인쇄물 제작 정보와 비교하는 제3 단계 및 제3 단계에서 비교된 둘 이상의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유효하게 제작 완료 신호로 인증하는 제4 단계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계정의 오프라인 상의 주소와 제2 계정의 오프라인 상의 주소는 예를 들어 시스템(10) 상에 등록된 각 계정의 배송지 주소를 의미하거나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마다 제1 계정으로부터 입력되는 주소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계정의 오프라인 상의 주소로 배송 시, 배송 비용이 무료로 되거나 큰 비율로 할인될 수 있다.
이는 제2 계정에 인쇄물을 배송하고 제1 계정이 배송된 인쇄물을 제2 계정이 운영하는 체인점에 방문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제1 계정에 대한 배송을 하나의 제2 계정에 대한 배송으로 처리할 수 있음에 따른 유통 비용의 절감 효과를 제1 계정에 분배하여 제1 계정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제2 계정의 체인점 매장에 제1 계정에 해당하는 소비자가 방문하도록 유도하여, 제2 계정의 체인점 매장에 대한 방문 유도 효과를 얻음에 따른 제1 계정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배송지 주소가 제2 계정의 오프라인 상의 주소로 설정되는 경우, 제1 계정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배송비를 과금하는 대신 제2 계정에 배송비를 과금하도록 할 수 있다.
배송비나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수수료는, 상술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의 생성 시 제1 계정에 과금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요청 수신부(11)는 제1 계정(U1)으로부터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 시, 인쇄물에 따라서 제작에 대한 과금(F1)을 수행하여 제3 계정(F3)에 이를 지불하고, 제1 계정(U1)으로부터 지불된 금액 중 기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가 저장된 제2 계정(U2)에 지불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계정은 수수료의 일부를 수익으로 창출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홍보를 제3 계정 대신 수행할 수 있어, 체인점 인프라를 홍보의 수단으로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는 도 2와 같이 구축된다. 즉, 제1 계정(U1)은 제2 유저(U21)의 정보가 링크된 체인점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며, 이때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된 인쇄물 제작 정보(S1)가 제3 유저(U3)에게 전송된다. 이러한 흐름은 각 체인점별 다수의 제2 유저(U21, U22, U23)마다 수행되어, 각 인쇄물 제작 정보(S1, S2, S3)가 취합되어 제3 유저(U3)에게 전송된다. 이때 제3 유저(U3)의 인쇄 시스템(P) 상에 상기의 인쇄물 제작 정보(S4)가 전송되어 인쇄물이 제작되며, 제작된 인쇄물은 제1 계정(U1) 또는 제2 계정(U21)의 오프라인 상의 주소로 배송될 것이다.
이 경우,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 및 인쇄물 제작 정보에, 인쇄물 디자인에 관련된 전체 이미지가 포함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즉, 인쇄물을 디자인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은, 매우 고화질 데이터인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되는 인쇄물 제작 정보에 저장된 인쇄물에 대한 정보가 디자인 데이터 원본인 경우, 시스템(10)을 통하여 송수신되거나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이 매우 비대해지기 때문에, 시스템(10)의 네트워크 트래픽 또는 저장공간의 로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러한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인쇄에 관련된 정보를 최대한 경량화 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에서는 제1 계정이 디자인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인쇄물에 대한 디자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의 실행에 의하여 제1 계정의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110)에서는 먼저, 인쇄물에 대해서 이용 가능한 다수의 기본 템플릿 중 어느 하나(I1)를 선택하는 제1 메뉴(10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본 템플릿에 포함된 구성 요소, 즉 그래픽 요소로서 객체, 텍스트 영역, 배경 등의 크기, 색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거나, 텍스트 영역 내에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및 배치하고, 텍스트의 크기, 글꼴 및 색상 등을 편집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M1, M2, M3)를 포함하는 제2 메뉴(103)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 메뉴(103)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M1, M2, M3)는 상술한 그래픽 요소별로 구성되어, M1, M2, M3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시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그래픽 요소에 대한 편집 입력의 세부 메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거나, 각 메뉴가 각 편집 기능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현재 화면(102)에는 선택된 기본 템플릿(I1)이 제2 메뉴(103)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편집 입력이 반영된 결과 이미지(I1E)가 출력되어, 의뢰 시 어떤 인쇄물 디자인이 의뢰될지 여부를 제1 계정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인터페이스에는, 102 화면에 편집 입력 데이터에 따라서 기본 템플릿(I1)이 수정된 결과(I1E)를 인쇄 예상 결과물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계정이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가 예상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물 제작 정보 또는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인쇄물 디자인에 대한 정보는 원본 데이터 대신 매우 경량화된 데이터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4)에 기 저장된 다수의 기본 템플릿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른 기본 템플릿의 식별 키 정보와, 기본 템플릿에 대해서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상기의 제2 메뉴의 입력 결과 최종적으로 결정된 편집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는 상기의 기본 템플릿에 대한 선택 입력과 상술한 편집 입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여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쇄물 제작 정보 및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서 인쇄물 디자인에 대한 정보에는 원본 이미지가 아니라, 상술한 기본 템플릿의 식별 키 정보 및 편집 입력 데이터로서 편집 대상이 되는 객체나 배경의 식별 정보, 해당 객체나 배경에 대한 편집 명령 데이터만이 포함되면 되기 때문에, 거의 모든 데이터가 상술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즉 텍스트 정보로 구성되어 원본 이미지 데이터에 비하여 매우 경량화된 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어, 시스템(10)에서 송수신되거나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이 매우 경량화되어 시스템(10)의 운영 비용의 절감 및 트래픽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경량화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3 계정의 데이터베이스(14)에는 당연히 기본 템플릿에 대한 고화질 원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시스템(10)은 자동으로 고화질 원본 데이터를 수신 시, 기본 템플릿에 해당하는 인쇄물 디자인 이미지를 자동으로 경량화된 저화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시에, 기본 템플릿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편집 대상이 되는 다수의 객체 및 배경을 추출하여, 각 객체 및 배경에 식별 키를 부여하고, 속성 정보로서, 각 객체 및 배경의 크기, 색상, 중심 좌표값, 기본 형태 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계정으로부터 고화질 원본 데이터를 수신 시, 상술한 경량화된 저화질 이미지와 함께 객체 및 배경에 대한 식별 키, 속성 정보 등을 함께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면, 상술한 I1E 이미지는, 최초 출력되는 이미지가 상술한 경량화된 저화질 이미지로서 특히 상기의 각 객체 및 배경을 분리할 수 있는 이미지로서 출력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계정(U3)의 데이터베이스(31)에는, 제3 계정이 최초로 생성한 인쇄물 디자인에 대한 원본 고화질 이미지(HI1)가 포함될 수 있다. 제3 계정(U3)의 데이터베이스(31)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14)와 별도로 구성되거나 데이터베이스(14)에 포함되는 별도의 저장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최초 제1 인터페이스(I1)에 제1 유저(U1)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제공되는 기본 템플릿에 대응되는 이미지(LI)는 상술한 바와 같이 HI1 데이터가 경량화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객체 및 배경에 대한 식별 키 정보 및 속성 정보 등이 링크된 상태의 이미지가 전송되어, 편집 가능하도록 구현됨은 당연할 것이다.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하여 제1 계정(U1)으로부터 편집 입력 데이터가 입력되면, 최초 기본 템플릿 이미지(LI1)에 편집 입력 데이터(E1)가 결합된 데이터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물 제작 요청 입력으로서 데이터베이스(14)의 제2 계정별 저장 공간에 저장되며 이는 다시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제3 계정(U3)에 전송되거나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될 것이다.
이러한 LI1 및 E1 데이터가 제3 계정에 전송됨에 따라서 제3 계정은 각 기본 템플릿 이미지에 대해서 객체 및 배경, 텍스트 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원본 고화질 이미지(HI1)를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인쇄 업체에 속한 전문가가 이용하여 편집함으로써 시안 등이 확정되고, 시안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경량화된 이미지를 제1 계정 등에 제공하여 시안에 대한 피드백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시안 역시 상술한 LI1, E1 데이터의 구조를 갖도록 경량화된 데이터로 전송되고, 해당 시안에 대해서 제1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메뉴로서, 제1 유저가 해당 시안에 대한 의견 및 E1과 유사한 편집 입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서브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시안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의 경우 피드백 정보는, 인쇄물 제작 요청 입력과 동일한 형태로서, 시안 이미지 데이터와 이에 대한 편집 입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관리부가 더 포함될 수 잇다. 데이터 관리부는, 모든 인쇄물 제작 요청에 대한 입력 및 인쇄물의 제작 결과 생성될 수 있는 데이터들을 다수의 단말에 동기화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부는 제1 인터페이스의 실행 시 제1 계정(U1)이 이용하는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제2 계정에 대한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2 계정(U2)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 공간(DB1)에,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d1)를 통하여 제작 요청 수신부(11)에 의하여 생성되어 제작 의뢰부(12)에 전송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d2)과, 제작 의뢰부(12)로부터 생성된 인쇄물 제작 정보(d3), 및 인쇄물 배송 관리부(13)로부터 생성된 인쇄물의 제작 완료 및 배송에 관련된 정보(d4)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d2, d3, d4)를 인쇄물 배송 관리부(13)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동시에, 상기의 모든 데이터(d2, d3, d4), 즉 관리 데이터를 제3 계정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 공간(DB2)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쇄물 제작을 의뢰하는 유저 계정인 제1 계정으로부터, 지역 내의 체인점 매장의 관리 계정인 제2 계정의 매장에 관련되되, 제2 계정의 체인점 매장의 이용이나 광고를 위하여 실행되는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상에 인쇄물을 제작하는 업체의 계정인 제3 계정과 제2 계정의 체인점 본사 간의 계약 시, 상기 체인점 어플리케이션 상에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형태로 탑재되는 인쇄물 제작 의뢰 인터페이스인 제1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따라서 입력된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제2 계정에 할당된 저장 공간 내에 상기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제작 요청 수신부;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든 제2 계정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가 저장된 저장 공간의 제2 계정의 식별 정보를 결합한 인쇄물 제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계정에 전송하는 제작 의뢰부; 및
    상기 제3 계정으로부터 인쇄물 제작 정보에 대응되는 인쇄물에 대한 제작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제작 완료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물을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1 계정 또는 제2 계정의 오프라인 상의 주소에 배송하되, 제2 계정의 체인점의 물류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송하도록 제어하는 인쇄물 배송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계정이 상기 제2 계정의 매장에 배치된 2차원 코드를 인식 시 상기 제1 계정이 이용하는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방식 또는 상기 제1 계정이 적어도 상기 제2 계정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상기 체인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에 따라서 온라인 상으로 실행되는 제2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것 특징으로 하는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요청 수신부는,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 인쇄물 제작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 시, 인쇄물에 따라서 제작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고, 제1 계정으로부터 지불된 금액 중 기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상기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가 저장된 제2 계정에 지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요청 수신부는,
    기 저장된 다수의 기본 템플릿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기본 템플릿에 대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편집 입력 데이터를 상기 인쇄물 제작 요청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편집 입력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기본 템플릿이 수정된 결과를 인쇄 예상 결과물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계정이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가 예상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계정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기본 템플릿에 대한 고화질 원본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는 기본 템플릿에 관련된 이미지는 상기 원본 데이터를 경량화한 저화질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기본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메뉴 및 상기 기본 템플릿에 포함된 구성 요소의 크기, 색상 및 위치를 수정하거나,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및 배치할 수 있는 제2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의 실행 시 상기 제1 계정이 이용하는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제2 계정에 대한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2 계정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 공간에, 상기 제작 의뢰부로부터 생성된 인쇄물 제작 정보 및 상기 인쇄물 배송 관리부로부터 생성된 인쇄물의 배송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3 계정의 저장 공간에 상기 관리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05398A 2022-08-23 2022-08-23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58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398A KR102580442B1 (ko) 2022-08-23 2022-08-23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398A KR102580442B1 (ko) 2022-08-23 2022-08-23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442B1 true KR102580442B1 (ko) 2023-09-19

Family

ID=8819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398A KR102580442B1 (ko) 2022-08-23 2022-08-23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4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769A (ko) * 2010-08-20 2012-02-29 천안 온라인 디자인템플릿 편집 출판 시스템 및 방법
KR101731577B1 (ko) * 2015-11-19 2017-05-11 주식회사프린트시티 프론트-엔드 기반 인쇄 시스템
KR102168871B1 (ko) * 2019-11-29 2020-10-22 최양우 인쇄물 통합 관리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769A (ko) * 2010-08-20 2012-02-29 천안 온라인 디자인템플릿 편집 출판 시스템 및 방법
KR101731577B1 (ko) * 2015-11-19 2017-05-11 주식회사프린트시티 프론트-엔드 기반 인쇄 시스템
KR102168871B1 (ko) * 2019-11-29 2020-10-22 최양우 인쇄물 통합 관리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68010A (ja) プログラム
US2014021138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commerce and sales
WO2015095738A9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les execution environment
CN108428160A (zh) 积分系统
KR101958773B1 (ko) 웹툰 기반의 상품 상세 페이지 제작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JP7223934B2 (ja) 中間流通業者を経由して最初供給者及び購買者を連結する流通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TW201508669A (zh) 紅利點數取得機制方法與系統、紅利點數贈送、移轉及兌換機制方法及交易系統
Yu et al. Product design pattern based on big data-driven scenario
KR102445745B1 (ko) 메타버스를 활용한 캐릭터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9010635B2 (en) Layaway apparatus and method
TWM544679U (zh) 加盟式商務雲端服務系統
CN111179020A (zh) 一种军民两用技术线上交易系统及方法
Zhang et al. How can dmall do better? discussion on new retail marketing mode based on 4Cs theory
US20140122269A1 (en) Layaway apparatus and method
KR102580442B1 (ko) 유저위치 및 지역체인점 기반의 인쇄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160043605A (ko) 수익성 서비스를 이용한 회원 공유 및 수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9984B1 (ko) 기업 분석을 통한 로고 매칭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473371B1 (ko) 영상 콘텐츠에 대한 투자 및 소유권을 거래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04205134A (zh) 便携终端管理服务器及便携终端管理程序
KR102257874B1 (ko) 맞춤형 o4o 서비스 구축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402075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rchant managed marketing distribution
KR20230049436A (ko) 인공지능을 통한 대형 상가 내 상점 입주 가이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30079255A (ko) 스마트온 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브로슈어 저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Sun et al. O2O selection mode portrait and optimization for railway service enterprises based on K-means
JP2023516835A (ja) 化粧品製品小売用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