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340B1 -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340B1
KR102580340B1 KR1020200094594A KR20200094594A KR102580340B1 KR 102580340 B1 KR102580340 B1 KR 102580340B1 KR 1020200094594 A KR1020200094594 A KR 1020200094594A KR 20200094594 A KR20200094594 A KR 20200094594A KR 102580340 B1 KR102580340 B1 KR 10258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idate beam
base station
candidate
serv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675A (ko
Inventor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s)에서 서빙 빔(serving beam) 선택을 수행하는 기지국(base station)에 있어서, 서빙 빔의 변경 필요성을 판단하는 판단부(determination unit);상기 판단부가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후보 빔(candidate beam)의 하향링크(downlink) 채널 측정을 위한 후보 빔 측정신호를 단말(user equipment)에게 송신하고, 상기 후보 빔 측정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후보 빔 채널정보 보고를 수신하는 후보 빔 관리부(candidate beam management unit); 및 상기 후보 빔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빔으로 사용할 빔을 선택하는 선택부(selection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eam for Use in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s}
본 실시예는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이용한 서빙 빔 선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5G NR(5th Generation New Radio)은 4G LTE(4th Generation Long Term Evolution)와 달리 대용량 다중입출력(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assive MIMO)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4G LTE에서는 전 방향(Omni direction) 형태로 무선 신호를 방사하였지만, 5G NR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신호를 방사한다. 빔포밍 기술의 목적은 능동형 안테나 장비(Active Antenna Unit: AAU)가 단말(User Equipment: UE)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를 최대화할 수 있는 빔을 형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빔의 후보(candidate beam) 중에서 적절한 빔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적절한 빔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SSBRI(SSB Resource Indicator), CRI(CSI-RS Resource Indicator)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빔을 선택하는 주체가 단말이어서, 단말의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의 성능에 따라 빔 선택의 정확도가 결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은 단말로부터 선택된 빔의 인덱스(index) 정보만을 받을 수 있고, 후보 빔에 대한 SIN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I(Rank Indicator),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등 채널의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에서 단말(210)이 송신하는 SRS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상향링크 채널(uplink channel)을 추정한 후, 채널 상호성 관계(channel reciprocity relationship)를 이용해 하향링크 채널(downlink channel)을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빔을 선택한다. 즉, SRS를 이용하는 방법은 빔을 선택하는 주체가 기지국이며, 채널 상호성 관계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하향링크의 채널 품질을 일부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SRS를 이용하더라도, 신호 간섭(interference) 등에 의한 품질저하가 고려된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 정보를 기지국이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후보 빔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정보 보고를 이용하여 서빙 빔을 선택하는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이용한 빔 선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는, 후보 빔의 인덱스(index)가 아닌 구체적인 채널품질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잘못된 빔 변경(wrong beam change) 또는 너무 이른/늦은 빔 변경(too early/late beam change)으로 인한 속도 저하를 방지하여 상향링크/하향링크 스루풋(UL/DL 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이용한 빔 선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를 이용하여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향링크/하향링크 오버헤드(UL/DL overhead)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이용한 빔 선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포밍 통신 시스템(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s)에서 서빙 빔(serving beam) 선택을 수행하는 기지국(base station)에 있어서, 서빙 빔의 변경 필요성을 판단하는 판단부(determination unit); 상기 판단부가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후보 빔(candidate beam)의 하향링크(downlink) 채널 측정을 위한 후보 빔 측정신호를 단말(user equipment)에게 송신하고, 상기 후보 빔 측정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후보 빔 채널정보 보고를 수신하는 후보 빔 관리부(candidate beam management unit); 및 상기 후보 빔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빔으로 사용할 빔을 선택하는 선택부(selection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기지국(base station)의 서빙 빔(serving beam) 선택을 위해 후보 빔(candidate beam)의 채널정보 보고(report)를 수행하는 단말(user equipment)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후보 빔(candidate beam)의 하향링크(downlink) 채널 측정을 위한 후보 빔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후보 빔 측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여 상기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빔 채널정보 보고를 상기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후보 빔 측정부(candidate beam measurement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후보 빔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정보 보고를 이용하여 서빙 빔을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후보 빔의 인덱스(index)가 아닌 구체적인 채널품질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잘못된 빔 변경(wrong beam change) 또는 너무 이른/늦은 빔 변경(too early/late beam change)으로 인한 속도 저하를 방지하여 상향링크/하향링크 스루풋(UL/DL 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AP CSI report)를 이용하여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향링크/하향링크 오버헤드(UL/DL overhead)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빔 스위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및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및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이용한 서빙 빔 선택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서빙 빔 변경 필요성 판단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후보 빔의 채널정보 보고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정보 보고 및 서빙 빔 선택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빔 스위핑(beam sweep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기지국(base station, 100)은 특정 단말(user equipment, 110)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서빙 빔(serving beam)보다 품질이 더 좋은 다른 빔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서로 다른 빔을 이용하여 기준신호(reference signal)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빔 스위핑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기준신호는 채널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신호를 의미한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단말(110)은 순차적으로 수신한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각 빔의 하향링크 채널(downlink channel)을 측정하고,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최적 빔 및 최적 빔 다음으로 품질이 좋은 이차 최적 빔(secondary best beam)을 판단한다. 단말(110)은 최적 빔 및 이차 최적 빔을 식별할 수 있는 인덱스(index)를 기지국(100)에게 전송한다. 기지국(100)은 수신한 인덱스를 이용하여 최적 빔을 식별하고, 최적 빔을 서빙 빔으로 사용한다. 즉, 종래의 빔 스위핑 기술은 서빙 빔을 선택하는 주체가 단말(110)이며, 기지국(100)은 최적 빔 및 이차 최적 빔 인덱스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빔 스위핑 기술은 서빙 빔 변경이 필요없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빔 스위핑을 수행함에 따라 하향링크 오버헤드(DL overhead) 자원 낭비가 초래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200)이 빔의 인덱스뿐만이 아닌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파악하고,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만 빔 스위핑을 수행함에 따라 상향링크/하향링크 오버헤드(UL/DL overhead)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1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판단부(determination unit, 201), 서빙 빔 관리부(serving beam management unit, 202), 후보 빔 관리부(candidate beam management unit, 203), 및 선택부(selection unit, 204)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2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도 2의 (a)의 경우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이 후보 빔의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빙 빔을 선택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기지국(200)은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의 판단부(20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기지국(200)이 사용 가능한 6개의 빔 중 3번째 빔이 기존 서빙 빔이고, 4번째 빔이 후보 빔(candidate beam)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후보 빔은 서빙 빔으로 선택되지는 않았으나, 서빙 빔으로 선택될 가능성이 있어 하향링크 채널 측정이 필요한 빔을 의미한다.
판단부(201)는 기지국(200)이 특정 단말(210)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서빙 빔의 변경 필요성을 판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201)는 단말(210)로부터 상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기준신호(이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단부(201)는 서빙 빔 및 후보 빔을 각각 이용하여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측정한다.
판단부(201)는 측정한 수신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서빙 빔 변경의 필요성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01)는 서빙 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serving) 및 후보 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candidate)의 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RSSIthreshold)보다 작은 경우,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한편, 도 3은 기결정된 후보 빔을 이용한 서빙 빔 변경 필요성 판단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201)는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후보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판단부(201)는 사용 가능한 모든 빔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기준 신호를 수신한 후, 서빙 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serving) 및 기설정된 임계치(RSSIthreshold)의 차보다 큰 수신 신호 세기를 갖는 빔을 후보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201)는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빔 결정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판단부(201)는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 품질이 기설정된 품질 조건보다 낮은 경우, 서빙 빔 변경을 위한 후보 빔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01)는 후보 빔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210)에게 상향링크 기준신호 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01)는 비주기적 SRS(aperiodic SRS) 송신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단말(2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후보 빔 결정방법 및 서빙 빔 변경 필요성 판단방법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든지 후보 빔 결정 및 서빙 빔 변경 필요성 판단을 위해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의 서빙 빔 관리부(201), 후보 빔 관리부(203), 및 선택부(204)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및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기지국(200)이 사용 가능한 6개의 빔 중 3번째 빔이 서빙 빔이고, 4번째 빔 및 5번째 빔이 후보 빔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빙 빔 관리부(202)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단말(210)에게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하향링크 신호(이하 '서빙 빔 측정신호')를 송신하고, 단말(210)로부터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획득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서빙 빔 관리부(202)는 단말(210)에게 서빙 빔 측정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서빙 빔 관리부(202)는 서빙 빔 측정신호로서 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기준신호(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P CSI-RS)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송신한다.
서빙 빔 측정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서빙 빔 관리부(202)는 단말(210)로부터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서빙 빔 관리부(202)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단말(210)로부터 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P CSI report)를 수신하여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는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및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후보 빔 관리부(203)는 단말(210)에게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하향링크 신호(이하 '후보 빔 측정신호')를 송신하고, 단말(210)로부터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획득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판단부(201)가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후보 빔 관리부(203)는 단말(210)에게 후보 빔 측정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후보 빔 관리부(203)는 후보 빔 측정신호로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AP CSI report trigger) 및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기준신호(AP CSI-RS)를 송신한다. 여기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는, 단말(210)에게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측정결과 보고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기지국(200)은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단말(210)에게 송신함으로써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보고를 지시한다.
후보 빔 측정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후보 빔 관리부(203)는 단말(210)로부터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후보 빔 관리부(203)는 단말(210)로부터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보고(AP CSI report)를 수신하여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는 RI, PMI, 및 CQI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후보 빔이 여러 개인 경우, 후보 빔 관리부(203)는 후보 빔별로 다른 시간자원(time resource)을 이용하여 후보 빔 측정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후보 빔 관리부(203)는 후보 빔별로 다른 시간자원을 이용하여 각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후보 빔 관리부(203)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각 후보 빔별로 상이한 슬롯(slot)에 매핑(mapping)시켜 전송한다. 후보 빔 관리부(203)는 n번째 심볼(symbol)에서 4번째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위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n+4)번째 심볼에서 4번째 빔의 하향링크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AP CSI 보고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후보 빔 관리부(203)는 (n+10)번째 심볼에서 5번째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위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n+14)번째 심볼에서 5번째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수신한다.
선택부(204)는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빔으로 사용할 빔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선택부(204)는 서빙 빔 관리부(202)가 획득한 기존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 및 후보 빔 관리부(203)가 획득한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비교하여, 기존 서빙 빔 및 후보 빔 중에서 하향링크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빔을 서빙 빔으로 선택한다.
한편, 판단부(201)가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으나 선택부(204)가 채널정보를 비교한 결과 기존 서빙 빔의 채널 품질이 후보 빔의 채널 품질보다 좋은 경우, 선택부(204)는 서빙 빔 변경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10)은 기준신호 송신부(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unit, 211), 서빙 빔 측정부(serving beam measurement unit, 212), 및 후보 빔 측정부(candidate beam measurement unit, 213)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2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도 2의 (b)의 경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210)이 후보 빔의 채널 정보를 기지국(200)에게 보고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단말(210)은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기준신호 송신부(211)는 상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200)에게 송신한다. 여기서,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준신호 송신부(211)는 기설정된 주기로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거나, 기지국(200)으로부터 상향링크 기준신호 송신 지시를 받을 수 있다.
서빙 빔 측정부(212)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기지국(200)에게 보고한다.
서빙 빔 측정부(212)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기지국(200)으로부터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하향링크 신호(이하 '서빙 빔 측정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210)은 서빙 빔 측정신호로서 서빙 빔을 이용하여 송신된 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기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빙 빔 측정부(212)는 수신한 서빙 빔 측정신호를 기반으로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다. 서빙 빔 측정부(212)는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는 RI, PMI, 및 CQI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빔 측정부(212)는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기지국(200)에게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서빙 빔 측정부(212)는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단말(210)에게 송신한다.
후보 빔 측정부(213)는 기지국(200)의 지시에 따라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기지국(200)에게 보고한다.
후보 빔 측정부(213)는 기지국(200)으로부터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하향링크 신호(이하 '후보 빔 측정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210)은 후보 빔 측정신호로서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지시하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 및 후보 빔을 이용하여 송신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기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후보 빔 측정부(213)는 수신한 후보 빔 측정신호를 기반으로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다. 후보 빔 측정부(213)는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는 RI, PMI, 및 CQI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빔 측정부(213)는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기지국(200)에게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후보 빔 측정부(213)는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단말(210)에게 송신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및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의 (a)를 참조하여 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주기적 CSI-RS를 위한 CSI-RS 구성정보 및 주기적 보고를 설정하기 위한 CSI 보고 구성정보를 송신한다(S600). 구체적으로,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CSI-RS 구성정보 및 CSI 보고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를 송신한다. 여기서, CSI-RS 구성정보는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기준신호인 CSI-RS에 대한 설정 정보이다. CSI-RS 구성정보는 CSI-RS 자원설정, CSI-RS의 전송형태(주기적, 준 지속적, 비주기적), 전송주기 및 슬롯 오프셋(slot offse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CSI 보고 구성정보는 단말(210)이 수행하는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에 대한 설정정보이다. CSI 보고 구성정보는 측정할 CSI-RS, 보고할 정보(CQI, RI, PMI), 보고 전송형태(주기적, 준 지속적, 비주기적), 보고를 위한 자원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210)은 수신한 CSI-RS 구성정보 및 CSI 보고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 CSI-RS를 수신할 시점 및 주기적 CSI 보고를 송신할 시점을 알 수 있다.
기지국(200)은 서빙 빔을 이용하여 주기적 CSI-RS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한다(S610 및 S620). 도 4의 (a)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서빙 빔인 3번째 빔을 이용하여 주기적 CSI-RS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한다.
단말(210)은 주기적 CSI-RS를 이용하여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기지국(200)에게 보고한다(S612 및 S622).
이하, 도 6의 (b)를 참조하여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비주기적 CSI-RS를 위한 CSI-RS 구성정보 및 비주기적 보고를 설정하기 위한 CSI 보고 구성정보를 송신한다(S630). 구체적으로,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CSI-RS 구성정보 및 CSI 보고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비주기적 CSI 보고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는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resourcesForChannelMeasurement는 측정할 CSI-RS의 자원위치, reportConfigType은 보고 전송형태, reportQuantity는 보고할 정보를 의미한다.
csi-ReportConfigToAddModList
reportConfigId 0,
resourcesForChannelMeasurement 4,
csi-IM-ResourcesForInterference 5,
reportConfigType aperiodic :

reportQuantity cri-RI-PMI-CQI : NULL,
reportFreqConfiguration
cqi-FormatIndicator widebandCQI,
pmi-FormatIndicator widebandPMI,
csi-ReportingBand subbands14 : '11111111 111111'B
,
timeRestrictionForChannelMeasurements configured,
timeRestrictionForInterferenceMeasurements configured,
codebookConfig
codebookType type1 :
subType typeI-SinglePanel :
nrOfAntennaPorts moreThanTwo :
n1-n2 two-two-TypeI-SinglePanel-Restriction :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B
,
typeI-SinglePanel-ri-Restriction '00001111'B
,
codebookMode 1
,
dummy n2,
groupBasedBeamReporting disabled :
,
cqi-Table table2,
subbandSize value1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위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송신한다(S640). 구체적으로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채널 상태정보 측정 및 보고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200)은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할 후보 빔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RS를 전송한다(S642). 도 4의 (b)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후보 빔인 4번째 빔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RS를 전송한다. 한편,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 및 비주기적 CSI-RS는 같은 슬롯(slot)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210)은 수신한 비주기적 CSI-RS를 이용하여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기지국(200)에게 보고한다(S644). 이때, 단말(210)은 CSI 보고 구성정보 또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 보고를 송신할 시점을 알 수 있다.
후보 빔이 여러 개인 경우,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다른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위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송신한다(S650).
기지국(200)은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할 후보 빔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RS를 전송한다(S652). 도 4의 (b)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후보 빔인 5번째 빔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RS를 전송한다.
단말(210)은 수신한 비주기적 CSI-RS를 이용하여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보고한다(S654).
이상과 같이, 후보 빔이 복수개인 경우, 기지국(200)은 각 후보 빔별로 다른 시간자원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 및 비주기적 CSI-RS 전송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200)은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각 후보 빔별로 상이한 슬롯에 매핑시켜 단말(210)에게 전송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200)은 하나의 CSI-RS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후보 빔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이용한 서빙 빔 선택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기지국(200)은 특정 단말(210)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서빙 빔의 변경 필요성을 판단한다(S700). 서빙 빔 변경이 필요 없다고 판단한 경우,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지시하지 않는다.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기지국(200)은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후보 빔 측정신호를 단말(210)에게 송신한다(S710). 이때, 기지국(200)은 후보 빔 측정신호로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 및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기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후보 빔 측정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200)은 단말(210)로부터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빔 채널정보 보고를 수신한다(S720). 이때, 기지국(200)은 단말(210)로부터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수신하여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는 RI, PMI, 및 CQI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후보 빔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빔으로 사용할 빔을 선택한다(S730). 이때, 기지국(200)은 기존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 및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비교하여, 기존 서빙 빔 및 후보 빔 중에서 하향링크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빔을 서빙 빔으로 선택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서빙 빔 변경 필요성 판단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기지국(200)은 서빙 빔을 이용하여 단말(210)로부터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세기(RSSIserving)를 측정한다(S800).
기지국(200)은 후보 빔을 이용하여 단말(210)로부터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세기(RSSIcandidate)를 측정한다(S810).
기지국(200)은 측정한 수신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서빙 빔 변경의 필요성을 판단한다(S820).
기지국(200)은 서빙 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serving) 및 후보 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candidate)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치(RSSIthreshold)보다 작은 경우,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S830).
기지국(200)은 서빙 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serving) 및 후보 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candidate)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치(RSSIthreshold)보다 큰 경우, 서빙 빔 변경이 필요없다고 판단한다(S840).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10)의 후보 빔의 채널정보 보고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210)은 기지국으로부터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후보 빔 측정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210)은 후보 빔 측정신호로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 및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기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210)은 후보 빔 측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다(S910). 구체적으로, 단말(210)은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수신하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지시받고, 후보 빔을 이용하여 송신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다.
단말(210)은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생성한다(S920). 이때, 후보 빔의 하항링크 채널정보는 RI, PMI, 및 CQI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10)은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빔 채널정보 보고를 기지국(200)에게 송신한다(S930). 구체적으로, 단말(210)은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기지국(200)에게 송신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정보 보고 및 서빙 빔 선택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CSI-RS 구성정보 및 CSI 보고 구성정보를 송신한다(S1000). 여기서, CSI-RS 구성정보는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주기적 CSI-RS에 대한 설정정보 및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비주기적 CSI-RS에 대한 설정정보를 포함한다. CSI 보고 구성정보는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주기적 보고에 대한 설정정보와,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비주기적 보고에 대한 설정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200)은 서빙 빔을 이용하여 주기적 CSI-RS를 단말(210)에게 송신한다(S1010). 도 4의 (a)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서빙 빔인 3번째 빔을 이용하여 주기적 CSI-RS를 단말(210)에게 송신한다.
단말(210)은 수신한 주기적 CSI-RS를 이용하여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기지국(200)에게 보고한다(S1012).
기지국(200)은 단말(210)로부터 상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사운딩 기준신호를 수신한다(S1020). 기지국(200)은 서빙 빔 및 후보 빔을 각각 이용하여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기지국(200)은 측정한 수신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서빙 빔 변경의 필요성을 판단한다(S1022). 구체적으로, 기지국(200)은 서빙 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serving) 및 후보 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candidate)의 차가 기 설정된 임계치(RSSIthreshold)보다 작은 경우,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지시하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송신한다(S1030). 구체적으로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채널 상태정보 측정 및 보고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200)은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할 후보 빔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RS를 전송한다(S1032). 도 4의 (b)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후보 빔인 4번째 빔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RS를 전송한다.
단말(210)은 수신한 비주기적 CSI-RS를 이용하여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보고한다(S1032). 이때, 단말(210)은 CSI 보고 구성정보 또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 보고를 송신할 시점을 알 수 있다.
후보 빔이 여러 개인 경우, 기지국(200)은 단말(210)에게 다른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위한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를 송신한다(S1040).
기지국(200)은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할 후보 빔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RS를 전송한다(S1042). 도 4의 (b)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후보 빔인 5번째 빔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CSI-RS를 전송한다.
단말(210)은 수신한 비주기적 CSI-RS를 이용하여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보고한다(S1044).
기지국(200)은 서빙 빔으로 사용할 빔을 선택한다(S1050). 구체적으로, 기지국(200)은 기존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결과 및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기존 서빙 빔 및 후보 빔 중에서 하향링크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빔을 서빙 빔으로 선택한다.
기지국(200)은 과정 S1010을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서빙 빔을 이용하여 주기적 CSI-RS를 단말(210)에게 송신한다(S1060). 도 4의 (d)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변경된 서빙 빔인 4번째 빔을 이용하여 주기적 CSI-RS를 단말(210)에게 송신한다.
단말(210)은 수신한 주기적 CSI-RS를 이용하여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과정 S1012를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측정결과를 기지국(200)에게 보고한다(S106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서빙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결과는 주기적으로 보고받지만,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결과는 필요한 경우에만 보고받는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수십 내지 수백 개의 빔을 사용할 수 있는데, 모든 빔의 하향링크 채널 측정결과를 주기적으로 보고받을 경우 CSI-RS 송신을 위해 하향링크 자원이 낭비되어 하향링크 스루풋(DL throughput)이 저하된다. 또한, 상향링크 측면에서는 채널 측정결과 송신을 위해 상향링크 자원이 낭비되어 상향링크 스루풋(UL throughput)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만 비주기적 CSI-RS를 송신하고,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신하므로 상향링크/하향링크 오버헤드(UL/DL overhead)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서빙 빔 및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CQI, RI, PMI 등)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전송속도를 결정짓는 인자(factor)인 MCS 레벨(Modulation and Coding Scheme level) 및 레이어(layer) 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5G NR 시스템(5th Generation New Radio system)에 기반하여, 비주기적 채널상태정보 기준신호(AP CSI-RS)를 이용한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정보 측정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5G NR 시스템 외에 다른 시스템으로도 확장 가능하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을 다른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비주기적 채널상태정보 기준신호와 같은 기능을 하는 다른 신호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 내지 도 10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 내지 도 10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 및 단말(210)의 동작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 및 단말(210)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기지국 201: 판단부
202: 서빙 빔 관리부 203: 후보 빔 관리부
204: 선택부 210: 단말(210)
211: 기준신호 송신부 212: 후보 빔 측정부
213: 서빙 빔 측정부

Claims (6)

  1. 빔포밍 통신 시스템(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s)에서 서빙 빔(serving beam) 선택을 수행하는 기지국(base station)에 있어서,
    서빙 빔의 변경 필요성을 판단하는 판단부(determination unit);
    상기 판단부가 서빙 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서빙 빔으로 선택되지 않은 후보 빔(candidate beam)의 하향링크(downlink) 채널 측정을 위한 후보 빔 측정신호를 단말(user equipment)에게 송신하고, 상기 후보 빔 측정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후보 빔 채널정보 보고를 수신하는 후보 빔 관리부(candidate beam management unit); 및
    상기 서빙 빔의 채널정보 및 상기 후보 빔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빔으로 사용할 빔을 선택하는 선택부(selection unit)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서빙 빔 및 상기 후보 빔을 각각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빔의 변경 필요성을 판단하되,
    상기 서빙 빔의 변경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은, 상기 후보 빔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지시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서빙 빔의 채널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보고되고,
    상기 후보 빔의 채널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비주기적으로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빔 관리부는,
    상기 단말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설정하기 위한 CSI 보고 구성(CSI report configuration)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빔 측정신호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trigger) 및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기준신호(AP CSI Reference Signal: AP CSI-RS)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빔 채널정보 보고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AP CSI repo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 기지국(base station)의 서빙 빔(serving beam) 선택을 위해 후보 빔(candidate beam)의 채널정보 보고(report)를 수행하는 단말(user equipment)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서빙 빔으로 선택되지 않은 후보 빔(candidate beam)의 하향링크(downlink) 채널 측정을 위한 후보 빔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후보 빔 측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빔의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여 상기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보 빔의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빔 채널정보 보고를 상기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후보 빔 측정부(candidate beam measurement unit)
    상기 서빙 빔 및 상기 후보 빔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는 기준신호 송신부; 및
    상기 서빙 빔의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서빙 빔 채널 정보 보고를 상기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서빙 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빔 측정신호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빙 빔 및 상기 후보 빔을 각각 이용하여 수신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빔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서빙 빔의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후보 빔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지시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서빙 빔의 채널정보는 상기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 보고되고,
    상기 후보 빔의 채널정보는 상기 기지국에게 비주기적으로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빔 측정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CSI 보고 구성(CSI report configuration)정보를 수신하고,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빔 측정신호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 트리거(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trigger) 및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기준신호(AP CSI Reference Signal: AP CSI-RS)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빔 채널정보 보고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정보 보고(AP CSI repo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200094594A 2020-07-29 2020-07-29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 KR10258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594A KR102580340B1 (ko) 2020-07-29 2020-07-29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594A KR102580340B1 (ko) 2020-07-29 2020-07-29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75A KR20220014675A (ko) 2022-02-07
KR102580340B1 true KR102580340B1 (ko) 2023-09-18

Family

ID=8025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594A KR102580340B1 (ko) 2020-07-29 2020-07-29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3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672A1 (en) * 2018-08-20 2020-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etwork node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3205A1 (zh) * 2014-01-28 2015-08-06 富士通株式会社 波束选择方法、装置和通信系统
KR102616419B1 (ko) * 2016-10-12 2023-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구성에 기반한 빔 탐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672A1 (en) * 2018-08-20 2020-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etwork node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11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75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2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beam recovery
US119623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18632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uplink transmission b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828146B2 (ja) Csi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6798006B2 (ja) 上りリンクの送信方法
CN110912665B (zh)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10474734B (zh) 通信方法及装置
US8983391B2 (en) Signaling power allocation parameters for uplink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N110034806B (zh) 上报信道状态信息的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111217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897316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20130021925A1 (en) Coordinated multipoint (comp) transmission method selection and feedback requirements
US201102694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ell for executing comp in multi-cell environment
WO2020155362A1 (en)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JP7391941B2 (ja) 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目標受信電力を求め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1225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US11510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multi-beam reporting
CN108111274B (zh) 信道状态信息的、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KR102580340B1 (ko)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방법 및 장치
US108049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status by a transceiver
US20230413186A1 (en) Side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WO20211436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nit specific beam measurement and repor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