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881B1 -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881B1
KR102579881B1 KR1020180035365A KR20180035365A KR102579881B1 KR 102579881 B1 KR102579881 B1 KR 102579881B1 KR 1020180035365 A KR1020180035365 A KR 1020180035365A KR 20180035365 A KR20180035365 A KR 20180035365A KR 102579881 B1 KR102579881 B1 KR 10257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path
integrated circuit
nfc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125A (ko
Inventor
김인혁
김석현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881B1/ko
Priority to US16/258,958 priority patent/US11043849B2/en
Priority to CN201910141691.XA priority patent/CN110309896A/zh
Priority to EP19165197.5A priority patent/EP3547557B1/en
Publication of KR2019011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125A/ko
Priority to US17/352,684 priority patent/US2021031383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4B5/7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5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means to regulate power transfer to the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7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배터리, PMIC, 상기 배터리 및 상기 PMIC와 연결된 NFC 집적 회로 및 상기 NFC 집적 회로와 연결되어 NFC 동작을 지원하는 내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NFC 집적 회로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상기 PMIC에서 상기 내부 장치로의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PMIC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원 전압의 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장치에 전력 공급을 위해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내부 장치로의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A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NFC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NFC 집적 회로와 통신하는 장치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라 칭함)을 수행하기 위하여 NFC 집적 회로 및 NFC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장치(예를 들면, 보안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장치는 NFC 집적 회로와 통신하여, 외부 장치와의 NFC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NFC 통신이 요구될 때에, 즉시 내부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어 NFC 집적 회로와 통신할 수 있도록 NFC 집적 회로를 통해 내부 장치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다만, NFC 집적 회로가 아닌 무선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내부 장치간의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내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때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내부 장치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NFC 집적 회로와 프로세서가 내부 장치와 통신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해야되는 경우에 내부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이 충돌하거나, 일정한 전력을 내부 장치에 공급할 수 없게 되어 내부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내부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도록 내부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배터리,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상기 배터리 및 상기 PMIC와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 집적 회로 및 상기 NFC 집적 회로와 연결되어 NFC 동작을 지원하는 내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NFC 집적 회로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상기 PMIC에서 상기 내부 장치로의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PMIC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원 전압의 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장치에 전력 공급을 위해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내부 장치로의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NFC 집적 회로는, 내부 장치와 연결되고, NFC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내부 장치에 인가되는 제1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제1 단자, 상기 NFC 동작에 이용되는 제2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제2 단자 및 상기 NFC 집적 회로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내부 장치 사이의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내부 장치 사이의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배터리, 제1 파형의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PMIC,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제2 파형의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PMIC와 연결되는 NFC 집적 회로 및 상기 NFC 집적 회로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내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상기 제2 파형에 부합하는 전원 전압을 상기 내부 장치에 제공하고, 오프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상기 제1 파형에 부합하는 전원 전압을 상기 내부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NFC 집적 회로의 상태에 따라 즉각적으로 내부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전력 공급 경로들로부터 수신되는 전력들 간의 충돌 또는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내부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집적 회로가 구비된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 6와 다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b는 마스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 1에서는 모바일 통신 단말이 예로써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무선 통신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외부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전자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는 NFC 집적 회로(110), 내부 장치(120), 서비스 지원 장치들(130), 배터리(140) 및 전력 관리 집적 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150); 이하, PMIC라 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외부 통신 장치(AWA)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110)는 배터리(140)와 연결되어 배터리(14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 장치(120)는 NFC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로서, NFC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부 장치(120)가 보안 엘리먼트(secure element)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장치(120)는 NFC 동작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서비스 지원 장치들(130)은 무선 통신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131_1), 이하, AP로 지칭됨), 오디오 코덱(132_2) 및 디스플레이 모듈(130_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들(130)은 각각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내부 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AP(131_1)를 중심으로 서술하겠으나,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서비스 지원 장치들(130)과 내부 장치(120) 사이의 동작에서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AP(131_1)는 내부 장치(120)와 사용자의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보안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31_1)는 내부 장치(120)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기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P(131_1)와 내부 장치(120) 간의 통신 예를 서술하면, AP(131_1)는 사용자에게 보안이 전제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지문 정보를 내부 장치(120)에 제공할 수 있다. 내부 장치(120)는 지문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AP(131_1)로부터의 지문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AP(131_1)에 저장된 지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부 장치(120)는 AP(131_1)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NFC 집적 회로(110)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AP(131_1)는 내부 장치(120)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PMIC(150)를 제어할 수 있다. PMIC(150)는 AP(131_1)의 요청에 응답하여 NFC 집적 회로(110)로 전원 전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NFC 집적 회로(110)는 PMIC(150)로부터 수신된 전원 전압을 바이패싱(bypassing)하여 내부 장치(12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이에 국한되지 않고, NFC 집적 회로(110)는 PMIC(150)로부터 수신된 전원 전압을 조절하여 내부 장치(1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PMIC(150)로부터 내부 장치(120)로 공급되는 전력의 경로는 제1 전력 공급 경로로 정의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110)는 내부 장치(120)와 NFC 동작에 필요한 보안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집적 회로(110)는 내부 장치(120)와 SWP(Single Wired Protocol) 기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110)는 내부 장치(120)에 새로운 보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내부 장치(120)는 수신된 새로운 보안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장치(120)는 NFC 집적 회로(110)로부터 보안 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한 때에는, 저장된 보안 데이터를 NFC 집적 회로(110)에 제공할 수 있다. 내부 장치(120)는 NFC 집적 회로(11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NFC 집적 회로(110)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NFC 집적 회로(110)는 배터리(140)로부터 수신된 전원 전압을 내부 장치(120)의 동작 전압에 부합하도록 조절(regulate)하여 조절된 전원 전압을 내부 장치(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터리(140)로부터 내부 장치(120)로 공급되는 전력의 경로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로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집적 회로(110)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112)는 내부 장치(12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112)는 PMIC(150)로부터 내부 장치(120)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과 배터리(140)로부터 내부 장치(120)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이 충돌되거나, 서로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112)는 NFC 집적 회로(110)의 상태를 기반으로 전력 공급 경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집적 회로(110)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112)는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할 수 있으며, PMIC(150)로부터의 NFC 집적 회로(110)로 인가되는 전원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NFC 집적 회로(110)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에서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112)는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NFC 집적 회로(110)가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인 때에, 제1 전력 공급 경로는 형성된 상태이고, 제2 전력 공급 경로는 차단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 때, PMIC(150)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전압은 바이패싱되어 내부 장치(120)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집적 회로(110)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NFC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 동안 NFC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때에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NFC 집적 회로(110)는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되어 NFC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 동안 NFC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때에는, 동작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110)의 대기 상태는 향후 NFC 요청을 수신하기 전 또는 NFC 요청을 외부 통신 장치로 송신하기 전까지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기 위해 절전하여 대기하는 상태일 수 있다. NFC 집적 회로(110)의 동작 상태는 NFC 요청에 응답하여 NFC 동작을 수행하거나, NFC 요청을 외부 통신 장치로 송신하고, 외부 통신 장치의 응답에 따른 NFC 동작을 수행을 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112)는 NFC 집적 회로(110)의 상태에 따라 즉각적으로 내부 장치(120)에 제공되는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전력 공급 경로들로부터 수신되는 전력들간의 충돌 또는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내부 장치(120)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집적 회로(210)가 구비된 무선 통신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 2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NFC 집적 회로(210), 보안 엘리먼트(220), 배터리(240) 및 PMIC(250)를 포함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210)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 레귤레이터(214) 및 제1 스위치 소자(SW1)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214)는 LDO(Low Drop Out)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레귤레이터(214)는 배터리(240)와 연결되어 배터리(240)로부터 제공된 제2 전원 전압을 보안 엘리먼트(220)의 동작 전압에 부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PMIC(250)로부터의 제1 전원 전압이 보안 엘리먼트(220)로 인가되는 경로인 제1 전력 공급 경로와 배터리(240)로부터의 제2 전원 전압이 보안 엘리먼트(220)로 인가되는 경로인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제2 전력 공급 경로는 레귤레이터(214)에 의해 조절된 제2 전원 전압이 레귤레이터(214)에서 보안 엘리먼트(220)로 인가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제1 전력 공급 경로의 형성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 소자(SW1)에 스위칭 제어신호(SW_C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칭 소자(SW1)에 턴-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칭 소자(SW1)에 턴-온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제2 전력 공급 경로의 형성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레귤레이터(214)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신호(RG_C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레귤레이터(214)에 디스에이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레귤레이터(214)에 인에이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와 비교하여, NFC 집적 회로(210)는 도 2a의 NFC 집적 회로(210)보다 제2 스위치 소자(SW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 소자(SW2) 이외의 NFC 집적 회로(210)의 구성은 도 2a에서 서술된 바,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배터리(240)와 보안 엘리먼트(222) 사이의 제2 전원 전압 제공 경로)의 형성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스위치 소자(SW2)에 제2 스위칭 제어신호(SW_CS2)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2 스위칭 소자(SW2)에 턴-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2 스위칭 소자(SW2)에 턴-온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2a 및 도 2b에서 서술된 전력 공급 경로의 제어 방식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전력 공급 경로가 제어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도 2a와 비교하여 NFC 집적 회로(210)는 NFC 컨트롤러(2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NFC 컨트롤러(216) 이외의 NFC 집적 회로(210)의 구성은 도 2a에서 서술된 바,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NFC 컨트롤러(216)는 NFC 집적 회로(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NFC 컨트롤러(21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미도시), 타이머(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PU는 NFC 집적 회로(210)의 NFC 동작에 필요한 연산, 입출력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NFC 컨트롤러(216)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의 동작과는 상관없이 제1 전력 공급 경로 및 제2 전력 공급 경로 각각의 형성 또는 차단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FC 컨트롤러(216)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에 다이렉트 제어신호(D_CS)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다이렉트 제어신호(D_CS)를 기반으로 스위칭 제어신호(SW_CS) 또는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신호(RG_CS)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컨트롤러(216)는 제1 전력 공급 경로와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보안 엘리먼트(220)로 전력이 잘 공급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테스트를 위하여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에 다이어트 제어신호(D_CS)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NFC 컨트롤러(216)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NFC 집적 회로(21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도 3a 내지 도 4d에서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의 동작에 대하여 서술하겠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 통신 장치(200)의 구성은 도 2a 내지 도 2c에서 서술한 바, 무선 통신 장치(200)의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AP(231)는 보안 엘리먼트(220)와 보안 데이터(Data_AP)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보안 엘리먼트(220)에 제공하기 위하여 PMIC(250)에 전력 제어신호(P_CS)를 제공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210)는 NFC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더 나아가, 보안 엘리먼트(220)와의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바, NFC 집적 회로(210)는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일 수 있으며, 레귤레이터(214)는 디스에이블 상태일 수 있다.
PMIC(250)는 전력 제어신호(P_CS)에 응답하여 NFC 집적 회로(210)에 보안 엘리먼트(220)의 동작 전압에 부합하는 제1 전원 전압(E_SEVDD)을 제공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210)는 제1 전원 전압(E_SEVDD)을 바이패싱하여 입력 전압(SEVDD)으로서 보안 엘리먼트(220)에 제공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210)는 제1 전원 전압(E_SEVDD)의 바이패싱을 위하여 스위치 소자(SW1)를 미리 턴-온시킬 수 있다. 스위치 소자(SW1)는 바이패스 스위치로 지칭될 수 있다. 보안 엘리먼트(220)는 PMIC(25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AP(231)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NFC 집적 회로(210)에 NFC 동작이 요구되거나, 보안 엘리먼트(220)와의 통신이 요구될 때에, NFC 집적 회로(210)는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에서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스위치 소자(SW1)에 턴-오프 제어신호(SW_CSa)를 제공하여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NFC 집적 회로(210)와 보안 엘리먼트(220)간의 통신을 수행할 때에, 보안 엘리먼트(2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경로로서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NFC 집적 회로(210)와 보안 엘리먼트(220)간의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때에는, PMIC(2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원 전압(E_SEVDD)의 유무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현재 NFC 집적 회로(210)는 보안 엘리먼트(220)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레귤레이터(214)에 인에이블 제어신호(RG_CSa)를 제공하여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NFC 집적 회로(210)와 보안 엘리먼트(220)간의 통신 동작이 완료된 때에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PMIC(2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원 전압(E_SEVDD)의 유무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형성된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214)는 배터리(240)와 연결되어 제2 전원 전압을 수신하고, 제2 전원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210)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조정된 제2 전원 전압(I_SEVDD)을 입력 전압(SEVDD)으로서 보안 엘리먼트(220)에 제공할 수 있다. 보안 엘리먼트(220)는 레귤레이터(214)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AP(231)와 보안 데이터(Data_AP)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NFC 집적 회로(210)와 보안 데이터(Data_NFC)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보안 엘리먼트(220)는 AP(231)와의 통신과 NFC 집적 회로(210)와의 통신을 소정의 우선 순위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c는 종래의 NFC 집적 회로가 보안 엘리먼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NFC 집적 회로는 본 개시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며, NFC 컨트롤러에 의하여 보안 엘리먼트에 대한 전력 공급 경로가 제어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또한, 보안 엘리먼트와 AP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도중에 보안 엘리먼트와 NFC 집적 회로간의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를 전제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NFC 컨트롤러는 제1 구간(INT1)동안 PMIC로부터의 제1 전원 전압(E_SEVDD)이 보안 엘리먼트에 인가되도록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NFC 컨트롤러는 제2 구간(INT2)동안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조정된 제2 전원 전압이 보안 엘리먼트에 인가되도록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NFC 컨트롤러는 보안 엘리먼트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1 구간(INT1), 제2 구간(INT2)이 겹치는 구간(INT_OL) 동안 보안 엘리먼트에 제1 전원 전압(E_SEVDD)과 조정된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겹치는 구간(INT_OL)은 보안 엘리먼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power source)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c의 변경 구간(INT_OL)에서는 전원은 PMIC에서 레귤레이터(또는, 배터리)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변경 구간(INT_OL)에서 'td' 에서 AP에 급작스런 문제가 발생하거나, AP와 보안 엘리먼트간의 통신이 'td'에서 완료된 경우에, AP는 PMIC에 보안 엘리먼트로의 전력 제공 중단을 명령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PMIC로부터의 제1 전원 전압(E_SEVDD)이 'td'에서 NFC 집적 회로에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변경 구간(INT_OL)의 'td'에서 제1 전원 전압(E_SEVDD)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NFC 집적 회로내 전력 공급 경로들이 서로 연결된 회로 구성을 갖고 있음에 기인하여 보안 엘리먼트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 강하(VD)가 발생할 수 있다. 보안 엘리먼트에는 예기치 않게 변경 구간(INT_OL)에서 불안정한 전원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불안정한 전원 전압으로 인해 보안 엘리먼트의 동작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집적 회로가 보안 엘리먼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d의 설명은 도 3a 또는 도 3b의 도면을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하며, 보안 엘리먼트(220)와 AP(231)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도중에 보안 엘리먼트(220)와 NFC 집적 회로(210)간의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를 전제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제1 구간(INT1')동안 PMIC(250)로부터의 제1 전원 전압(E_SEVDD)이 보안 엘리먼트에 인가되도록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t2''는 보안 엘리먼트(220)와 NFC 집적 회로(210)간의 통신이 요구되는 시간을 나타내거나, 보안 엘리먼트(220)와 NFC 집적 회로(210)간의 통신이 요구되는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만큼 지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t2''에서 스위치 소자(SW1)를 턴-오프시켜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할 수 있으며, 't2'' 이후에 제1 전원 전압(E_SEVDD)은 보안 엘리먼트(220)에 인가되지 않는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PMIC(250)와 연결된 NFC 집적 회로(210)의 단자를 통해 제1 전원 전압(E_SEVDD)이 NFC 집적 회로(210)에 인가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조정된 제2 전원 전압(I_SEVDD)이 제2 구간(INT2')동안 보안 엘리먼트(220)에 인가되도록 't2'' 에서 레귤레이터(214)를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의 동작을 통하여 종래와 같이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보안 엘리먼트(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변경하여 PMIC(25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과 레귤레이터(214)(또는, 배터리(2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간의 충돌 또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 통신 장치(200)의 구성은 도 2a 내지 도 2c에서 서술한 바, 무선 통신 장치(200)의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NFC 집적 회로(210)는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로서, 보안 엘리먼트(220)와 보안 데이터(Data_NFC)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보안 엘리먼트(220)에 제공하기 위하여,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레귤레이터(214)에 인에이블 제어신호(RG_CSa)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스위치 소자(SW1)에 턴-오프 제어신호(SW_CSa)를 제공하여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미리 차단할 수 있다. AP(231)는 보안 엘리먼트(220)와의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서, PMIC(250)는 NFC 집적 회로(210)에 제1 전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레귤레이터(214)는 인에이블 제어신호(RG_CSa)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으며, 배터리(240)로부터 수신한 제2 전원 전압을 보안 엘리먼트(220)의 동작 전압에 부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레귤레이터(214)를 인에이블시킴으로써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214)는 조정된 제2 전원 전압(I_SEVDD)을 보안 엘리먼트(220)에 입력 전압(SEVDD)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NFC 집적 회로(210)는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로서, 도 4a에서 서술된 NFC 집적 회로(210)와 보안 엘리먼트(220)간의 통신 동작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AP(231)는 보안 엘리먼트(220)와 보안 데이터(Data_AP)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보안 엘리먼트(220)에 제공하기 위하여 PMIC(250)에 전력 제어신호(P_CS)를 제공할 수 있다.
PMIC(250)는 전력 제어신호(P_CS)에 응답하여 NFC 집적 회로(210)에 보안 엘리먼트(220)의 동작 전압에 부합하는 제1 전원 전압(E_SEVDD)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PMIC(2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원 전압(E_SEVDD)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PMIC(250)와 연결된 NFC 집적 회로(210)의 단자의 전압을 이용하여, 현재 PMIC(250)는 NFC 집적 회로(210)에 제1 전원 전압(E_SEVDD)을 인가하고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214)에 인에이블 제어신호(RG_CSa)를 제공하여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 4a와 같이, 레귤레이터(214)가 이미 인에이블된 상태인 때에,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별도의 인에이블 제어신호(RG_CSa)를 레귤레이터(214)에 제공하지 않고, 형성된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NFC 집적 회로(210)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레귤레이터(214)에 의해 조정된 제2 전원 전압(I_SEVDD)을 입력 전압(SEVDD)으로서 보안 엘리먼트(220)에 제공할 수 있다. 보안 엘리먼트(220)는 레귤레이터(214)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AP(231)와 보안 데이터(Data_AP)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NFC 집적 회로(210)가 소정의 시간 동안 NFC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보안 엘리먼트(220)와의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때에, NFC 집적 회로(210)는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에서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NFC 집적 회로(210)가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스위치 소자(SW1)에 턴-온 제어신호(SW_CSb)를 제공하여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212)는 레귤레이터(214)에 디스에이블 제어신호(RG_CSb)를 제공하여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후에, NFC 집적 회로(210)는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에서 PMIC(250)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원 전압을 보안 엘리먼트(220)로 바이패싱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 5를 참조하면, NFC 집적 회로(300)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 NFC 컨트롤러(320), 레귤레이터(330) 및 바이패스 스위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는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 및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바이패스 스위치(340)는 트랜지스터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바이패스 스위치(340)가 P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것을 가정하여 서술한다.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레귤레이터(330)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어신호(RG_CS)를 생성하여 레귤레이터(330)에 제공할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4)는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바이패스 스위치(34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SW_CS)를 생성하여 바이패스 스위치(340)에 제공할 수 있다.
NFC 컨트롤러(320)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NFC 컨트롤러(320)는 NFC 집적 회로(300)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에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하이 레벨을 갖는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NFC 집적 회로(300)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에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거나, NFC 집적 회로(300)가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에서는 로우 레벨을 갖는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NFC 컨트롤러(320)가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를 인에이블시킨 때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NFC 컨트롤러(320)가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를 디스에이블시킨 때에는, NFC 컨트롤러(320)가 전력 공급 경로 제어 동작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310)의 구성은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 및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4)는 별도의 회로 구성이 아닌 통합되어 하나의 회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는 제1 내지 제3 단자(T1~T3), 전원 전압 검출기(312a) 및 제1 엔드(and) 게이트(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전압 검출기(312a)는 제1 단자(T1)와 연결되고, 제1 단자(T1)는 외부의 PMIC로부터 제1 전원 전압(E_SEVDD)를 수신할 수 있다. 전원 전압 검출기(312a)는 제1 단자(T1)의 전압을 통하여 제1 전원 전압(E_SEVDD)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1 엔드 게이트(312b)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전압 검출기(312a)는 제1 전원 전압(E_SEVDD)이 검출된 때에는, 하이 레벨을 갖는 검출 결과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전원 전압(E_SEVDD)이 검출되지 않는 때에는, 로우 레벨을 갖는 검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엔드 게이트(312b)는 전원 전압 검출기(312a)의 출력단, 제2 및 제3 단자(T2, T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엔드 게이트(312b)는 외부의 NFC 컨트롤러로부터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수신하고, 전원 전압 검출기(312a)로부터 검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엔드 게이트(312b)는 싱크 제어신호(SYNC_CS) 및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레귤레이터에 대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신호(RG_CS)를 생성하여 제3 단자(T3)를 통해 레귤레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엔드 게이트(312b)가 로우 레벨을 갖는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수신한 때에는, 항상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신호(RG_CS)를 출력하기 때문에 본 개시에 따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의 기능이 사용되지 않으며, 이 때,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는 디스에이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엔드 게이트(312b)가 하이 레벨을 갖는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수신한 때에는,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레벨을 갖는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신호(RG_CS)를 출력하기 때문에 본 개시에 따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의 기능이 사용되며, 이 때,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는 인에이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a는 도 6와 다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b는 마스크 회로(312c)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는 도 6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보다 마스크 회로(312c) 및 제2 엔드 게이트(31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회로(312c)는 제1 엔드 게이트(312b)의 출력단 및 제2 엔드 게이트(312d)의 입력단과 연결될 수 있다. 마스크 회로(312c)는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신호(RG_CS)의 특정 레벨 구간의 너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b를 더 참조하면, 마스크 회로(312c)는 제1 엔드 게이트(312b)로부터 마스크 입력신호(IN_MASK)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마스크 회로(312c)는 마스크 입력신호(IN_MASK)의 제1 로우 레벨 구간(INT3)의 너비를 제2 로우 레벨 구간(INT3')의 너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마스크 회로(312c)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는 엣지를 시작으로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제1 로우 레벨 구간(INT3)의 너비를 넓혀 종전보다 길게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제2 로우 레벨 구간(INT3')을 포함하는 마스크 출력신호(OUT_MASK)를 생성할 수 있다.
마스크 회로(312c)는 제2 로우 레벨 구간(INT3')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마스크 회로(312c)의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 때에는, 마스크 입력신호(IN_MASK)를 바이패스시켜 출력할 수 있다.
보안 엘리먼트는 전원이 리셋될 때에, 전원 리셋 조건으로써, 기준 시간동안 전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야 올바른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 마스크 회로(312c)는 마스크 입력신호(IN_MASK)를 마스크 출력신호(OUT_MASK)로 변형하여 출력함으로써, 보안 엘리먼트의 전원 리셋 조건에 부합하는 전력 제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크 회로(312c)는 보안 엘리먼트의 전원 리셋 조건, 즉, 상기 기준 시간에 부합하도록 제2 로우 레벨 구간(ITV3')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7a로 돌아오면, 제2 엔드 게이트(312d)는 제1 엔드 게이트(312b)의 출력단 및 마스크 회로(312c)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1 엔드 게이트(312b)의 출력신호 및 마스크 회로(312c)의 출력신호를 기반으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신호(RG_CS)를 제3 단자(T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4)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4)는 제5 및 제6 단자(T5, T6) 및 신호 버퍼(314a)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버퍼(314a)의 입력단은 제5 단자(T5)와 연결되고, 출력단은 제6 단자(T6)와 연결될 수 있다. 신호 버퍼(314a)는 외부의 NFC 컨트롤러로부터 제5 단자(T5)를 통해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 버퍼(314a)는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버퍼링하여 스위칭 제어신호(SW_CS)로서 제6 단자(T6)를 통해 바이패스 스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버퍼(314a)가 로우 레벨을 갖는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수신한 때에, 로우 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SW_CS)를 출력하여, P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바이패스 스위치는 턴 온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본 개시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4)의 기능이 사용되지 않으며, 이 때,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4)는 디스에이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신호 버퍼(314a)가 하이 레벨을 갖는 싱크 제어신호(SYNC_CS)를 수신한 때에, 하이 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SW_CS)를 출력하여, P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바이패스 스위치는 턴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본 개시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4)의 기능이 사용되며, 이 때,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4)는 인에이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4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 9의 NFC 집적 회로(400)의 각 구성은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서술된 바, 이하에서는 도 5의 구성과는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9를 참조하면, NFC 컨트롤러(420)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410)에 내부 제어신호들(CS_INTa, CS_INTb)을 제공하여,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412) 및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414)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컨트롤러(320)는 제1 전력 공급 경로와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보안 엘리먼트로 전력이 잘 공급되는지 여부 등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테스트를 위하여 NFC 컨트롤러(420)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410)에 내부 제어신호들(CS_INTa, CS_INTb)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41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412)의 각 구성은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서술된 바, 이하에서는 도 6의 구성과는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412)는 도 6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312)와 비교하여, 제4 단자 및 오어(or) 게이트(41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어 게이트(412c)는 제1 엔드 게이트(412b)의 출력단, 제3 및 제4 단자(T3, T4)와 연결될 수 있다. 오어 게이트(412c)는 제1 내부 제어신호(CS_INTa) 및 제1 엔드 게이트(412b)의 출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어 게이트(412c)는 제1 엔드 게이트(412b)의 출력신호와 상관없이 제1 내부 제어신호(CS_INTa)에 따른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신호(RG_CS)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414)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414)의 각 구성은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서술된 바, 이하에서는 도 8의 구성과는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414)는 도 9의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312)와 비교하여, 제7 단자(T7) 및 오어 게이트(41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이패스 스위치 제어 회로(414)는 신호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어 게이트(414a)는 제5 내지 제7 단자(T5~T7)와 연결될 수 있다. 오어 게이트(414a)는 제5 단자(T5)를 통해 싱크 제어신호(SYNC_CS) 및 제7 단자(T7)를 통해 제2 내부 제어신호(CS_INTb)를 수신할 수 있다. 오어 게이트(414a)는 싱크 제어신호(SYNC_CS)에 상관없이 제2 내부 제어신호(CS_INTb)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SW_CS)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 도 7a,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된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의 구성은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5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500)는 NFC 집적 회로(510), 보안 엘리먼트(520) 및 PMIC(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512)는 NFC 집적 회로(510)의 상태에 따라 PMIC(55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보안 엘리먼트(520)에 전달하거나, 레귤레이터(51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보안 엘리먼트(52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NFC 집적 회로(510)가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인 때에,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512)는 바이패스 스위치(516)를 턴 온시켜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PMIC(5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파형(WF1)을 갖는 제1 전원 전압(V-1)을 보안 엘리먼트(520)에 바이패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NFC 집적 회로(510)에서 보안 엘리먼트(520)로 제공되는 입력 전압(V3)의 파형(WF3)은 제1 전원 전압(V1)의 파형(WF1)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12b를 더 참조하면, NFC 집적 회로(510)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512)는 바이패스 스위치(516)를 턴 오프시키고, PMIC(550)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원 전압(V1)을 기반으로 레귤레이터(514)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512)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 전압(V1)이 검출된 때에, 레귤레이터(514)를 인에이블시킴으로써,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레귤레이터(514)로부터 제공되는 제2 파형(WF2)을 갖는 제2 전원 전압(V2)을 보안 엘리먼트(5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NFC 집적 회로(510)에서 보안 엘리먼트(520)로 제공되는 입력 전압(V3)의 파형(WF3)은 제2 전원 전압(V2)의 파형(WF2)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10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1100), NFC 장치(1200), 메모리 장치(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 및 전력 서플라이(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000)은,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 개인 정보 단말기(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기, 휴대용 게임 콘솔, 네비게이션 시스템, 랩탑 컴퓨터 등 임의의 모바일 시스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00)는 전자 시스템(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00)는 인터넷 브라우저, 게임, 동영상 등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0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multi-core)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300)는 전자 시스템(1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300)는, 예를 들어 전자 시스템(1000)을 부팅하기 위한 부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고, 외부 장치에 전송할 출력 데이터 및 수신받은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NFC 장치(1200)는 NFC 통신을 통해, 메모리 장치(1300)에 저장된 출력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 장치(1300)에 저장할 수 있다. NFC 장치(1200)에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NFC 장치(1200)의 내부 장치(예를 들면, 보안 엘리먼트)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1210)는 NFC 장치(1200)의 상태 또는 전력 서플라이(15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전압의 유무를 기반으로 내부 장치로의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배터리;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상기 배터리 및 상기 PMIC와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 집적 회로; 및
    상기 NFC 집적 회로와 연결되어 NFC 동작을 지원하는 내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NFC 집적 회로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상기 PMIC에서 상기 내부 장치로의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PMIC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원 전압의 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장치에 전력 공급을 위해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내부 장치로의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하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전원 전압이 검출된 때에, 형성된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NFC 집적 회로와 상기 내부 장치 간의 내부 데이터 통신 동작이 요구되는 때에,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NFC 집적 회로가 상기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에서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인 때에, 상기 PMIC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원 전압을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상기 내부 장치로 바이패스(bypass)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2 전원 전압을 인가받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는, 상기 레귤레이터로부터 상기 내부 장치까지의 전력 공급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PMIC와 연결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유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의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는, 상기 레귤레이터로부터 상기 내부 장치까지의 전력 공급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레귤레이터를 인에이블(enable)시킴으로써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 장치와의 내부 데이터 통신 동작이 요구되는 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NFC 집적 회로에 인가되도록 상기 PMIC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NFC 동작을 제어하는 NFC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NFC 컨트롤러에 의하여 인에이블/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내부 장치와 연결되고, NFC 동작을 수행하는 NFC 집적 회로에 있어서,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내부 장치에 인가되는 제1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제1 단자;
    상기 NFC 동작에 이용되는 제2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제2 단자; 및
    상기 NFC 집적 회로가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내부 장치 사이의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내부 장치 사이의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단자에서 검출된 때에, 형성된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집적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FC 집적 회로가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일 때,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는 형성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는 차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집적 회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의 형성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연결된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를 인에이블시킴으로써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집적 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회로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집적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의 기능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3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의 기능을 사용함을 나타낼 때에,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집적 회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외부로부터 상기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4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 상기 제4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치 소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오어(OR)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집적 회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제1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유무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전압 검출기;
    상기 전력 공급 경로 제어 회로의 기능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제5 단자; 및
    상기 전원 전압 검출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5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검출 결과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레귤레이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엔드(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집적 회로.
  20. 배터리;
    제1 파형의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PMIC;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제2 파형의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PMIC와 연결되는 NFC 집적 회로; 및
    상기 NFC 집적 회로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내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NFC 집적 회로는,
    온 상태(또는, 동작 상태)인 때에, 상기 제2 파형에 부합하는 전원 전압을 상기 내부 장치에 제공하고,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인 때에, 상기 제1 파형에 부합하는 전원 전압을 상기 내부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180035365A 2018-03-27 2018-03-27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57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365A KR102579881B1 (ko) 2018-03-27 2018-03-27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US16/258,958 US11043849B2 (en) 2018-03-27 2019-01-28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0141691.XA CN110309896A (zh) 2018-03-27 2019-02-26 近场通信集成电路和无线通信装置
EP19165197.5A EP3547557B1 (en) 2018-03-27 2019-03-26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7/352,684 US20210313839A1 (en) 2018-03-27 2021-06-21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365A KR102579881B1 (ko) 2018-03-27 2018-03-27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125A KR20190113125A (ko) 2019-10-08
KR102579881B1 true KR102579881B1 (ko) 2023-09-18

Family

ID=6599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365A KR102579881B1 (ko) 2018-03-27 2018-03-27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043849B2 (ko)
EP (1) EP3547557B1 (ko)
KR (1) KR102579881B1 (ko)
CN (1) CN1103098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0218B (zh) * 2020-07-27 2022-04-29 深圳市千分一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指纹功耗控制方法、蓝牙指纹设备及存储介质
FR3126251A1 (fr) * 2021-08-17 2023-02-24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Alimentation d'un dispositif électroniqu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1115D0 (en) * 2005-01-19 2005-02-23 Innovision Res & Tech Plc Combined power coupling and rf communication apparatus
US8238823B2 (en) * 2005-02-09 2012-08-07 Nxp B.V. Method for ensuring a secure NFC functionality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ecure NFC functionality
US7376847B2 (en) 2005-06-22 2008-05-20 Fortemedia, Inc. Power distribution control circuit for multi-power domain electronic circuits
JP4967592B2 (ja) 2006-10-20 2012-07-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GB0623653D0 (en) 2006-11-27 2007-01-03 Innovision Res & Tech Plc Near field RF communicators and near field RF communications enabled devices
US7912441B2 (en) 2007-12-11 2011-03-22 Motorola Mobilit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quipment in a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FR2964276B1 (fr) * 2010-08-31 2012-09-07 Proton World Int Nv Securisation d'un dispositif de telecommunication equipe d'un module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US20120083205A1 (en) 2010-10-04 2012-04-05 Qualcomm Incorporated Nfc device having a differential input envelope detector
US9402278B2 (en) 2010-11-26 2016-07-26 Wireless Dynamics, Inc.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for a mobile phone
EP2629499B1 (en) 2012-02-15 2014-08-27 ST-Ericsson SA Battery management scheme for NFC
JP2013191913A (ja) * 2012-03-12 2013-09-26 Renesas Electronics Corp ワイヤレス充電回路、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DE102012204958A1 (de) * 2012-03-28 2013-10-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ktivieren von mehreren Überwachungseinheiten einer Batterie, Batterie und Kraftfahrzeug mit derselben
KR101984970B1 (ko) * 2012-06-07 2019-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JP6053439B2 (ja) * 2012-10-05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414309B2 (en) * 2012-11-16 2016-08-09 Intel Deutschland Gmbh Mobile terminal
KR101318688B1 (ko) * 2013-03-26 2013-10-16 주식회사 맥스웨이브 무선 충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411762B2 (en) * 2014-09-22 2019-09-1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US10424977B2 (en) * 2015-06-03 2019-09-24 Rohm Co., Ltd. Charging system using NFC, mobile device chargeable by NFC, and charger
KR102461325B1 (ko) * 2015-10-29 2022-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휴대용 생체 인증 장치 및 단말 장치
JP2017112706A (ja) * 2015-12-16 2017-06-2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2557976B1 (ko) 2016-01-22 2023-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WO2017179874A1 (ko) 2016-04-12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
US10432009B2 (en) * 2016-12-07 2019-10-01 Shenzhen Yichong Wireless Power Technology Co. Ltd Open loop tuning method for efficiency optimization in electric toothbrush wireless char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3839A1 (en) 2021-10-07
KR20190113125A (ko) 2019-10-08
EP3547557B1 (en) 2021-05-19
US20190305599A1 (en) 2019-10-03
US11043849B2 (en) 2021-06-22
CN110309896A (zh) 2019-10-08
EP3547557A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4048B (zh) 使用一電子裝置之低功率模式之近場通信管理
US9625980B2 (en) Low power configuration for USB (Universal Serial Bus) devices
KR20210031774A (ko) 부속 디바이스 전력 관리
KR102579881B1 (ko) Nfc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387657B1 (ko)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40052811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전원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US10579564B2 (en) System on chip (SoC), mobi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oC
KR20190136690A (ko) 충전 회로와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20103929A (ko)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장치 및 방법
CN109661649B (zh) 用于支持优先系统事件的增强的功率管理
KR20140111896A (ko)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의 동작 방법
TW201921826A (zh) 具有邊充邊入的熱插拔雙電池
KR1016590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72989B1 (ko) 파워다운 모드에서 레귤레이터에 의한 전력 소모를방지하는 전자장치 및 전력 소모 방지 방법
US10282534B2 (en) System with physical data authorization
JP2018194913A (ja) 電子機器および方法
US10545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stic transactions on a serial bus
US10256671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near-field communication
KR102371668B1 (ko) 신호의 emi를 감소시키는 집적 회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1614896A (zh) 一种摄像头控制电路、终端及控制方法
US9271108B2 (en) Secure tap to transfer objects
JP202203475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307608B2 (en)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 modules in low-power state according to operation stat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NL2029396B1 (en) Disaggregation of computing devices using enhanced retimers with circuit switching
KR1016881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