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655B1 - 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 - Google Patents

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655B1
KR102579655B1 KR1020180123885A KR20180123885A KR102579655B1 KR 102579655 B1 KR102579655 B1 KR 102579655B1 KR 1020180123885 A KR1020180123885 A KR 1020180123885A KR 20180123885 A KR20180123885 A KR 20180123885A KR 102579655 B1 KR102579655 B1 KR 10257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inch rope
cable
rollback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3151A (en
Inventor
마한석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655B1/en
Publication of KR2020004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1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6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Landscapes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함 내 롤백(rollback) 된 케이블을 포설함에 있어서, 유선형으로 형성된 몸체부 내측에 윈치로프와 롤백 케이블을 구체 형태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키고, 윈치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구체 형태의 고정수단이 자연스럽게 90도 각도로 방향전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좁은 곡선 형태의 트레이 사이를 간섭없이 쉽게 이동하며 포설이 진행되도록 가이드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laying a rolled-back cable in an underwater ship, the winch rope and the rollback cable are fixed inside the streamlined body through a spherical fixing means, and when the winch rope is pulled, the spherical fixation is performed. This relates to 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that guides the installation to proceed by easily moving between narrow curved trays without interference by encouraging the means to naturally change direction at a 90-degree angle.

Description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

본 발명은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중함 내 롤백(rollback) 된 케이블을 포설함에 있어서, 유선형으로 형성된 몸체부 내측에 윈치로프와 롤백 케이블을 구체 형태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키고, 윈치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구체 형태의 고정수단이 자연스럽게 90도 각도로 방향전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좁은 곡선 형태의 트레이 사이를 간섭없이 쉽게 이동하며 포설이 진행되도록 가이드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More specifically, in laying a rollbacked cable in an underwater ship, a winch rope and a rollback cable are provided with a spherical fixing means inside the streamlined body part. It is fixed through a rollback cable installation jig that guides the installation by easily moving between narrow curved trays without interference by guiding the spherical fixing means to naturally change direction at a 90-degree angle when the winch rope is pulled. It's about.

일반적으로, 선박 및 해양 플랜트의 케이블 포설 작업 시 현장 여건에 따라 여러 차수로 나뉘어 포설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Generally, when laying cables for ships and offshore plants, the work i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depending on site conditions.

1차 초기 포설 이후에는 케이블 사이즈에 따라 원형이나 8자 형태로 말아두게 되는데(롤백(rollback)), 이 후 재포설 시 케이블의 헤드를 찾이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입하게 된다.After the first initial installation, the cable is rolled into a circular or figure 8 shape (rollback) depending on the size, and a lot of manpower and time are invested to find the head of the cable when relaying it.

한편, 현재 현장에서는 별도의 케이블 롤러 및 철판을 이용하여 롤백된 케이블 포설을 가이드하는 치구를 수제작하여 이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치구는 폭이 넓어 500mm 이상의 트레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길이가 300mm 간격인 트레이 가로대(tray rung) 사이를 이동 시 빠짐 현상으로 인해 포설이 불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Meanwhile, in the field, a jig is currently being made and used to guide the laying of rolled-back cables using separate cable rollers and steel plates. However, such jig is wide and can only be used on trays of 500 mm or more, and the length is 300 mm apar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placement was impossible due to the tray falling out when moving between tray rungs.

또한, 윈치 로프의 방향 전환 시 무게 중심변화로 인해 걸림 현상이 자주 발생되며, 특히 곡선 구간의 트레이 경우 해당 치구 사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nch rope, the jamming phenomenon often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jig could not be used, especially in the case of trays in curved sections.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594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5943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유선형으로 형성된 몸체부 내측에 윈치로프와 롤백 케이블을 구체 형태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키고, 윈치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구체 형태의 고정수단이 자연스럽게 90도 각도로 방향전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좁은 곡선 형태의 트레이 사이를 간섭없이 쉽게 이동하며 포설이 진행되도록 가이드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winch rope and rollback cable are fixed inside the streamlined body through a spherical fixing means, and when the winch rope is pulled, the spherical fixing means naturally We aim to provide a 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s that guides the installation to proceed by easily moving between narrow curved trays without interference by inducing a change in direction at a 90-degree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측 말단부가 개방된 유선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몸체부의 제1 말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고리형태의 윈치로프가 걸림 결합되며, 상기 윈치로프가 외측 방향으로 당겨질 경우 상기 제1 말단부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윈치로프용 회전볼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중심부에는 포설을 위해 롤백(rollback) 된 롤백 케이블이 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 90도 각도로 방향 전환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제2 말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걸려 고정되는 롤백 케이블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eamlined body part that is hollow on the inside and open at both end ends, and a ring-shaped body inserted into the body part and inward through the first end part of the body part. The winch rope is engaged, and when the winch rope is pulled outward, a rotating ball for the winch rope is caught and fix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a rotating ball for the winch rop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but is rolled back to the center for installation. The rollback cable is mounted, and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body portion, the rollback cable may change direction at a 90-degree angle and include a roller for the rollback cable that is not separated from 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an outward direction and is fixed there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납작한 타원형의 구체 형태를 가지되 내측에는 중공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말단부에 형성된 제1 홀의 크기는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윈치로프의 굵기보다는 크되 상기 윈치로프용 회전볼의 크기 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말단부에 형성된 제2 홀의 크기는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롤백 케이블용 롤러의 폭 방향의 단면보다는 크되 상기 롤백 케이블용 롤러의 길이 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has a flat oval spherical shape and has a hollow internal space on the inside, and the size of the first hole formed in the first distal port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inch rope inserted into the winch rope.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otating ball, and the size of the second hole formed in the second end portion is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back cable roller inserted inside, but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rollback cable roller.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치로프용 회전볼은 원형의 구체 형태를 가지되 중심부 원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음각 형태의 윈치로프 걸림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의 크기보다는 크고 상기 제2 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윈치로프 걸림용 홀에 고리 형태의 상기 윈치로프의 말단부가 걸려 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1 홀에 의해 걸려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ry ball for the winch rope has a circular spherical shape and is formed with a hole for catching the winch rope in the form of a concave depression in the inner direction along the central circumference, and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is larger than the first hole. As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hole, it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through the second hole, and when the distal end of the winch rope in the form of a ring is caught and pulled in the winch rope hanging hole, it is caught by the first hole and is pulled to the outside. It can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치로프용 회전볼은 상기 윈치로프 걸림용 홀이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윈치로프 걸림용 홀에 고리 형태의 상기 윈치로프의 말단부가 걸려 당겨지는 경우, 상기 윈치로프 걸림용 홀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90도 각도로 방향전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ball for the winch rop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through the second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winch rope engaging hole is positioned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When the distal end of the winch rope in the form of a ring is caught in the hole and pulled, the winch rope catching hole may be turn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백 케이블용 롤러는 상기 제2 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한 쌍의 원형 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원형 플랜지의 중심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롤백 케이블이 거치되는 연장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대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롤백 케이블의 포설이 진행되어 외측에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연장대가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90도 각도로 방향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2 홀에 의해 걸려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ller for the rollback cable connects a pair of circular flange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ole and the centers of the pair of circular flanges to each other, and includes an extension on which the rollback cable is mounted, , the extension is positioned to 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second hole. When the rollback cable is laid and pulled from the outside, the extens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As the direction is ch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face the width direction, it can be caught by the second hole and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2 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원형 플랜지 각각의 가장자리가 체결되는 원형 플랜지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ircular flange fastening groove into which edges of each of the pair of circular flanges are fastened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le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body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치로프용 회전볼 및 상기 롤백 케이블용 롤러는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 홀을 통해 외측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ball for the winch rope and the roller for the rollback cable may be formed to be separable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ho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선형으로 형성된 몸체부 내측에 윈치로프와 롤백 케이블을 구체 형태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키고, 윈치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구체 형태의 고정수단이 자연스럽게 90도 각도로 방향전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좁은 곡선 형태의 트레이 사이를 간섭없이 쉽게 이동하며 포설이 진행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ch rope and rollback cable are fixed inside the streamlined body portion through a spherical fixing means, and when the winch rope is pulled, the spherical fixing means naturally changes direction at a 90-degree angle. By guiding it as much as possib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move between narrow curved trays without interference and guide the laying process.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롤백된 케이블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롤백된 케이블의 헤드를 일일히 찾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angling of the rolled-back cable and minimizing unnecessary waste of manpower because there is no need to search for the head of the rolled-back cable one by on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레이 가로대(tray rung) 사이에서 탈선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포설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mooth laying work is performed because the tray does not derail between tray rungs.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윈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협소 공간에서의 포설 작업 감소를 통해 작업자의 근골격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nch is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musculoskeletal safety accidents of workers by reducing laying work in a narrow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몸체부와 윈치로프용 회전볼 및 롤백 케이블용 롤러는 모두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윈치로프나 롤백 케이블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dy portion, the rotating ball for the winch rope, and the roller for the rollback cable are all mechanically separated, twisting of the winch rope or rollback cabl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별도의 케이블 롤러 및 철판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수제작한 종래의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몸체부(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이 몸체부(110)에 삽입 및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몸체부(110)에 삽입 및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몸체부(110)에 형성된 원형 플랜지 체결홈(113)에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체결 및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ollback cable laying jig that is hand-made on site using separate cable rollers and steel plates.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ig 100 for laying a rollback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body portion 110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otating ball 120 for the winch rope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ball 120 for the winch rope shown in FIG. 4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10.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shown in FIG. 6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10.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ircular flange fastening groove 113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elow, preferred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도 1은 별도의 케이블 롤러 및 철판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수제작한 종래의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ollback cable laying jig that is hand-made on site using separate cable rollers and steel plates.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현장에서 주제작된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의 경우, 현장에서 케이블 롤러 및 삼각형 형태의 철판을 용접 혹은 볼트결합을 통해 제작함에 따라 폭이 넓기 때문에 500mm 이상의 트레이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단점을 가진다.Looking at Figure 1,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ollback cable laying jig manufactured on site, the width is wide as cable rollers and triangular steel plates are manufactured on site by welding or bolting, so it can only be used on trays of 500 mm or more. It has disadvantages.

특히, 길이가 300mm 간격인 트레이 가로대(tray rung)에서는 빠짐 현상과 함께 윈치 로프의 방향전환 시 무게 중심 변화로 인해 걸림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포설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도 가지게 된다.In particular, tray rungs with a length of 300 mm have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carry out the laying work smoothly due to the phenomenon of falling out and the phenomenon of jamming due to the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nch rop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ig 100 for laying a rollback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100)는 크게 몸체부(110), 윈치로프용 회전볼(120) 및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Looking at Figure 2, the jig 100 for laying a rollback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largely include a body portion 110, a rotating ball 120 for a winch rope, and a roller 130 for a rollback cable. You can.

몸체부(110)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측 말단부가 개방된 납작한 타원형의 구체형태를 가지는데, 후술되는 윈치로프용 회전볼(120)과의 걸림 결합을 통해 윈치 동작 시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에 거치된 롤백 케이블을 보호하고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body portion 110 has a flat oval sphe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open end portions on both sides.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is formed during the winch operation through engaging with the rotating ball 120 for the winch rop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serves to protect the rollback cable mounted on and prevent interference. Let's look at this in more detail through Figure 3.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몸체부(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body portion 110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도 3을 살펴보면, 몸체부(110)는 납작한 타원형의 구체 형태를 가지되 내측에는 중공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제1 말단부(111)에 형성된 제1 홀(111a)의 크기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윈치로프의 굵기보다는 크되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의 크기 보다는 작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body portion 110 has a flat oval spherical shape and has a hollow interior space on the inside, and the size of the first hole 111a formed in the first end portion 111 is the size of the winch entering the inside. It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ope but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otating ball 120 for the winch rope.

또한, 제2 말단부(112)에 형성된 제2 홀(112a)의 크기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의 폭 방향의 단면보다는 크되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의 길이 보다는 작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second hole 112a formed in the second end portion 112 is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entering the inside, but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

따라서, 후술되는 윈치로프용 회전볼(120)과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 모두 제2 홀(112a)을 통해 몸체부(110) 내측으로 인입(혹은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both the rotating ball 120 for the winch rope and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troduced (or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10 through the second hole 112a.

한편, 몸체부(110) 내부의 중공된 내부공간에는 윈치로프용 회전볼(120)과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수용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게 된다.Meanwhile, the hollow internal space inside the body portion 110 has a size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rotating ball 120 for the winch rope and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유선형의 몸체부(110) 형태로 인해, 추후 윈치를 통해 윈치로프를 당김으로써 몸체부(110)가 좁고 곡선형태의 트레이 사이에서 당겨지더라도 간섭없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Due to the streamlined shape of the body 110, it can be easily moved without interference even if the body 110 is later pulled between narrow, curved trays by pulling the winch rope through a winch.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은 상술한 제2 홀(112a)을 통해 몸체부(110) 내측으로 인입(혹은 삽입)되되 몸체부(110)의 제1 말단부(111)를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고리형태의 윈치로프의 말단부가 걸림 결합되며, 윈치로프가 외측 방향으로 당겨질 경우 제1 말단부(111)의 제1 홀(111a)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이에 관해서는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Returning to Figure 2, the winch rope rotary ball 120 is introduced (or inserted) into the body 110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cond hole 112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 111 of the body 110. The distal end of the ring-shaped winch rope introduced inward through is caught and coupled, and when the winch rope is pulled in the outward direction, it is caught and fix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le 111a of the first distal portion 111. We will look at this in more detail through Figure 4.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otating ball 120 for the winch rope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도 4를 살펴보면,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은 원형의 구체 형태를 가지되 중심부의 둘레(원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일부 함몰된 음각 형태의 윈치로프 걸림용 홀(121)이 형성된다.Looking at FIG. 4, the rotating ball 120 for the winch rope has a circular spherical shape, and a hole 121 for catching the winch rope in the form of a depression that is partially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er (circle) is formed.

이때,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은 제1 홀(111a)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홀(111a)을 통해서는 몸체부(110) 내측에서 외측으로 빠지지 않지만, 제2 홀(112a)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됨에 따라 윈치로프의 말단부가 윈치로프 걸림용 홀(121)에 걸려 당겨지는 경우 제1 홀(111a)에 의해 걸려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rotary ball 120 for the winch rope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111a, it does not fall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hole 111a, but the second hole 112a ), so that when the distal end of the winch rope is caught and pulled by the winch rope catching hole 121, it is caught by the first hole 111a and does not fall out.

따라서, 윈치에 의해 윈치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이 제1 홀(111a)에 의해 걸림에 따라 몸체부(110)가 윈치를 향해 당겨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inch rope is pulled by the winch, the rotary ball 120 for the winch rope is caught by the first hole 111a, and the body portion 110 is pulled toward the winch.

한편,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은 윈치로프 걸림용 홀(121)이 몸체부(110)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2 홀(112a)을 통해 몸체부(110) 내측으로 우선 인입된 후, 윈치로프 걸림용 홀(121)에 고리 형태의 윈치로프 말단부가 걸려 당겨지는 경우, 몸체부(110) 내측에서 90도 각도로 회전(방향전환)함으로써 윈치로프 걸림용 홀(121)이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Meanwhile, the rotary ball 120 for the winch rope moves inside the body 110 through the second hole 112a with the winch rope catching hole 121 fac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10. First, after being introduced, when the ring-shaped end portion of the winch rope is caught and pulled in the winch rope hanging hole 121, the winch rope hanging hole 121 is rotated (changed direction) at a 90 degree angle o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 is di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이에 관해서는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We will look at this in more detail through Figure 5.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이 몸체부(110)에 삽입 및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ball 120 for the winch rope shown in FIG. 4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10.

도 5(a)를 살펴보면, 도 5(a)는 몸체부(110)의 제2 말단부(112)의 제2 홀(112a)을 통해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윈치로프 걸림용 홀(121)은 몸체부(110)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삽입된다.Looking at Figure 5(a), Figure 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tary ball 120 for the winch rope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hole 112a of the second end portion 112 of the body portion 110. It is a drawing. At this time, the winch rope hanging hole 121 is inserted while being positioned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도 5(b)는 몸체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이 몸체부(110)의 제1 말단부(111)의 제1 홀(111a)과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재 상태에서도 윈치로프 걸림용 홀(121)은 몸체부(110)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gure 5(b)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tary ball 120 for the winch rope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10 is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hole 111a of the first end portion 111 of the body portion 110. This is a drawing showing. Even in the current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winch rope hanging hole 121 is located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도 5(c)는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의 윈치로프 걸림용 홀(121)에 고리 형태의 윈치로프 말단부가 걸린 후 당겨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 상태에서는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이 90도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윈치로프 걸림용 홀(121)이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향하게 된다.Figure 5(c)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ng-shaped end portion of the winch rope is caught in the winch rope catching hole 121 of the winch rope rotating ball 120 and then pulled. In the current state, the winch rope rotating ball 120 is rota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so that the winch rope hanging hole 121 is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특히,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의 크기가 제1 홀(111a)의 크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이 제1 홀(111a)을 통해 빠지지 않는다.In particular, since the size of the winch rope rotary ball 120 is much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111a, the winch rope rotary ball 120 does not fall out through the first hole 111a.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는 몸체부(110)의 내측으로 인입(혹은 삽입)되되 중심부에는 포설을 위해 롤백(rollback)된 롤백 케이블이 롤 형태로 거치되며, 제2 홀(112a)을 통해 몸체부(110)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 90도 각도로 방향전환됨으로써 제2 홀(112a)을 통해 외측 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걸려 고정된다. 이에 관해서는 도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Returning to Figure 2,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is introduced (o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10, and the rollback cable rolled back for installation is placed in the center in the form of a roll, and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is placed in the second hole.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hrough (112a), the direction is ch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so that it is caught and fixed without falling outward through the second hole (112a). We will look at this in more detail through Figure 6.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도 6을 살펴보면,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는 몸체부(110)의 제2 홀(112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한 쌍의 원형 플렌지(131) 및 한 쌍의 원형 플렌지(131)의 중심부를 서로 연결하며 롤백 케이블이 거치되는 연장대(1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includes a pair of circular flanges 131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ole 112a of the body 110 and the center of the pair of circular flanges 131. It connects to each other and includes an extension stand 132 on which the rollback cable is mounted.

이때, 연장대(132)가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2 홀(112a)을 통해 몸체부(11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데, 추후 롤백 케이블의 포설이 진행되어 롤백 케이블이 당겨지는 경우, 연장대(132)가 몸체부(110)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90도 각도로 회전(방향전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132 can be inserted into the body 110 through the second hole 112a with the extension 132 fac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and the rollback cable will be installed later. When the rollback cable is pulled,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rotates (changes direction) at an angle of 90 degrees so that the extension 132 face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10.

이때, 한 쌍의 원형 플렌지(131)의 외측은 평편한 형태가 아닌 유선형을 가지기 때문에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circular flanges 131 has a streamlined shape rather than a flat shape, rotation can proceed more easily.

또한, 연장대(132)의 자체 길이에 의해,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의 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의 길이가 제2 홀(112a)의 크기보다 더 크기 때문에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제2 홀(112a)을 통해 몸체부(11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에 관해서는 도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is rotated due to the length of the extension 132, the length of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ole 112a, so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is rotated due to the length of the extension 132 itself. The roller 130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body portion 110 through the second hole 112a. We will look at this in more detail through Figure 7.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몸체부(110)에 삽입 및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shown in FIG. 6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10.

도 7(a)을 살펴보면, 도 7(a)는 한 쌍의 원형 플랜지(131)가 제2 홀(112a)을 통해 우선 인입(혹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 상태에서는 연장대(132)가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원형 플랜지(131)의 크기가 제2 홀(112a)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몸체부(1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Looking at FIG. 7(a), FIG. 7(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circular flanges 131 are first introduced (or inserted) through the second hole 112a. In the current state, the extension 132 is positioned to 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and the size of the circular flange 13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ole 112a, so it cannot be inserted into the body 110. You can.

도 7(b)는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몸체부(110) 내측에서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 상태에서는 연장대(132)의 자체 길이에 의해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제2 홀(112a)을 통해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FIG. 7(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is rota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inside the body portion 110. In the current state,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ward through the second hole 112a due to the length of the extension 132.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2에서 살펴보았던 윈치로프용 회전볼(120)이 윈치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는 몸체부(110) 내에서 회전하면서 롤백된 케이블을 자연스럽게 권출하게 된다.Therefore, in this state, even if the rotating ball 120 for the winch rope seen in FIG. 2 is pulled by the winch,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rotates within the body portion 110 and naturally unwinds the rolled back cable. .

한편,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10) 내측에 삽입된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보다 견고히 고정되고 몸체부(110) 내측에서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부(110) 내측에는 한 쌍의 원형 플랜지(131) 각각의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원형 플랜지 체결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in order to ensure that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inserted inside the body 110 is more firmly fixed and does not move around inside the body 110, there is a limit inside the body 110. A circular flange fastening groove 113 may be formed that engages the edge of each of the pair of circular flanges 131. We will look at this in more detail through Figure 8.

도 8은 몸체부(110)에 형성된 원형 플랜지 체결홈(113)에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체결 및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back cable roller 13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ircular flange fastening groove 113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도 8을 살펴보면, 몸체부(110)의 내측에서 제2 홀(112a)과 인접한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일부 함몰된 음각 형태의 원형 플랜지 체결홈(113)이 다수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djacent to the second hole 112a, a plurality of circular flange fastening grooves 113 of a concave shape partially recessed inward are formed.

각각의 원형 플랜지 체결홈(113)의 간격은 원형 플랜지(131)의 가장자리 크기와 상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 내측으로 삽입된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가 90도 각도로 회전된 후, 원형 플랜지(131)가 제2 홀(112a) 방향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원형 플랜지(131)의 가장자리가 다수의 원형 플랜지 체결홈(113)에 걸림 결합된다.The spacing of each circular flange fastening groove 113 may be formed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edge of the circular flange 131, and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insert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has a 90-degree angle. After being rotated, the circular flange 131 is pulled toward the second hole 112a and at the same time, the edges of the circular flange 131 ar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circular flange fastening grooves 113.

따라서, 롤백 케이블용 롤러(130)는 몸체부(110) 내측에서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고 현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장대(13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롤백 케이블을 권출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oller 130 for the rollback cable is fixed in its current position without moving aroun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and rotates with the extension 132 as a rotation axis to unwind the rollback cab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100: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110: 몸체부
111, 112: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
111a, 112a: 제1 홀 및 제2 홀
113: 원형 플랜지 체결홈
120: 윈치로프용 회전볼
121: 윈치로프 걸림용 홀
130: 롤백 케이블용 롤러
131: 원형 플랜지
132: 연장대
100: Jig for laying rollback cable
110: body part
111, 112: first distal portion and second distal portion
111a, 112a: first hole and second hole
113: Circular flange fastening groove
120: Rotating ball for winch rope
121: Hole for hanging winch rope
130: Roller for rollback cable
131: circular flange
132: Extension pole

Claims (7)

내부가 중공되고 양측 말단부가 개방된 유선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몸체부의 제1 말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고리형태의 윈치로프가 걸림 결합되며, 상기 윈치로프가 외측 방향으로 당겨질 경우 상기 제1 말단부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윈치로프용 회전볼;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중심부에는 포설을 위해 롤백(rollback) 된 롤백 케이블이 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 90도 각도로 방향 전환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제2 말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걸려 고정되는 롤백 케이블용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A streamlined body that is hollow on the inside and open at both ends;
A winch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is engaged with a ring-shaped winch rope drawn inward through the first end of the body, a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d when the winch rope is pulled in an outward direction. Rotating ball for rope; and
A rollback cabl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rolled back for installation at the center, and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the cable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end of the body in an outward direction by changing direction at a 90-degree angle. 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oller for the rollback cable that is fixed without being hu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납작한 타원형의 구체 형태를 가지되 내측에는 중공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말단부에 형성된 제1 홀의 크기는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윈치로프의 굵기보다는 크되 상기 윈치로프용 회전볼의 크기 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말단부에 형성된 제2 홀의 크기는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롤백 케이블용 롤러의 폭 방향의 단면보다는 크되, 상기 롤백 케이블용 롤러의 길이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dy part,
It has a flat oval spherical shape but has a hollow internal space on the inside, and the size of the first hole formed at the first end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inch rope inserted into the inside but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otating ball for the winch rope. become,
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second hole formed in the second end portion is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r for the rollback cable inserted inside, but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roller for the rollback c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로프용 회전볼은,
원형의 구체 형태를 가지되 중심부 원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음각 형태의 윈치로프 걸림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의 크기보다는 크고 상기 제2 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윈치로프 걸림용 홀에 고리 형태의 상기 윈치로프의 말단부가 걸려 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1 홀에 의해 걸려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rotating ball for the winch rope is,
A hole for hanging the winch rope is formed, which has a circular spherical shape and is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along the central circumference,
As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an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ole, it is introduced into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second hole, and the distal end of the winch rope in the form of a ring is caught and pulled into the winch rope hanging hole. 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ung by the first hole and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로프용 회전볼은,
상기 윈치로프 걸림용 홀이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윈치로프 걸림용 홀에 고리 형태의 상기 윈치로프의 말단부가 걸려 당겨지는 경우, 상기 윈치로프 걸림용 홀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90도 각도로 방향전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rotating ball for the winch rope is,
With the winch rope hanging hole positioned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the winch rope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second hole, and the distal end of the winch rope in the form of a ring is caught in the winch rope hanging hole. 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pulled, the winch rope hanging hole is ch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백 케이블용 롤러는,
상기 제2 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한 쌍의 원형 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원형 플랜지의 중심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롤백 케이블이 거치되는 연장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대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롤백 케이블의 포설이 진행되어 외측에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연장대가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90도 각도로 방향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2 홀에 의해 걸려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roller for the rollback cable is,
a pair of circular flange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ole; and
It includes an extension that connects the centers of the pair of circular flanges to each other and on which the rollback cable is mounted,
The extension is positioned to 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second hole. When the rollback cable is installed and pulled from the outside, the extension extends to the width of the body. 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by being caught by the second hole as the direction is changed at a 90-degree angle to face the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2 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원형 플랜지 각각의 가장자리가 체결되는 원형 플랜지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According to clause 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le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body,
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characterized in that a circular flange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edges of each of the pair of circular flanges are fasten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로프용 회전볼 및 상기 롤백 케이블용 롤러는,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 홀을 통해 외측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rotating ball for the winch rope and the roller for the rollback cable,
A jig for laying a rollback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separable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hole.
KR1020180123885A 2018-10-17 2018-10-17 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 KR102579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85A KR102579655B1 (en) 2018-10-17 2018-10-17 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85A KR102579655B1 (en) 2018-10-17 2018-10-17 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151A KR20200043151A (en) 2020-04-27
KR102579655B1 true KR102579655B1 (en) 2023-09-15

Family

ID=7046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885A KR102579655B1 (en) 2018-10-17 2018-10-17 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6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74B1 (en) 2007-06-20 2007-12-14 최부일 Apparatus for laying cable in channel
KR100846135B1 (en) 2008-04-15 2008-07-14 (주)천도건축사사무소 Apparatus for laying cable in channel
KR200443376Y1 (en) 2008-11-18 2009-02-09 (주)엑서런트 Apparatus for laying cable in channel
KR101666386B1 (en) 2015-04-15 2016-10-17 (주)태진에스티아이 Band bracket of messenger wire for breaking away from electric pole under trouble tens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43Y1 (en) 2009-10-01 2011-10-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Installation device for c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74B1 (en) 2007-06-20 2007-12-14 최부일 Apparatus for laying cable in channel
KR100846135B1 (en) 2008-04-15 2008-07-14 (주)천도건축사사무소 Apparatus for laying cable in channel
KR200443376Y1 (en) 2008-11-18 2009-02-09 (주)엑서런트 Apparatus for laying cable in channel
KR101666386B1 (en) 2015-04-15 2016-10-17 (주)태진에스티아이 Band bracket of messenger wire for breaking away from electric pole under trouble 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151A (en)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478B1 (en) Net hauler
KR101076946B1 (en) Apparatus for feeding cable
JP6796694B2 (en) Wire tool and wire method
KR102579655B1 (en) Jig for installing rollback cable
RU195627U1 (en) Cable winder
FI59368C (en) FOERANKRINGSANORDNING FOER EN PAO VATTEN FLYTANDE KONSTRUKTION
JP5979528B1 (en) Y line winch
US20150284999A1 (en) Apparatus for Damping a Reel
EP3459901B1 (en) Shifting tool for mooring rope and mooring winch
JP6259901B1 (en) Wire feeder
CA2860001C (en) Sleeve for a cable spool
KR20130010741A (en) Hand rail of ship
US2788952A (en) Fish tape reel spreader
US4412672A (en) Feeder guide
JP5974571B2 (en) Stabilizing jig for slant pile
KR102449055B1 (en) Stinger used for laying pipe line, and pipe line lay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358135B1 (en) Mooring rope guide roller for a ship
CN206654676U (en) A kind of new rope guide
KR101599455B1 (en) Turret cylinder and apparatus for turret rotating test and method for turret rotating test
JP4596950B2 (en) Horizontal movement bracket
AU2020202758B2 (en) Conveyor belt flaking roller and system
KR100920588B1 (en)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inner side of a coil on a c-hook
JPH0588261U (en) Fishing line guide
CN210150525U (en) Automatic winding and unwinding devices of pipeline
KR200167345Y1 (en) Bell mouth found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