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323B1 -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323B1
KR102579323B1 KR1020230048337A KR20230048337A KR102579323B1 KR 102579323 B1 KR102579323 B1 KR 102579323B1 KR 1020230048337 A KR1020230048337 A KR 1020230048337A KR 20230048337 A KR20230048337 A KR 20230048337A KR 102579323 B1 KR102579323 B1 KR 10257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s
regulations
bill
autonomo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지인사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지인사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지인사이드
Priority to KR1020230048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12Applications of a database
    • Y10S707/942Legal/academ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법령의 변동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트래킹하여 자치법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등으로부터 국회 법률안 정보 및 공공기관별 자치법규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법령 및 규제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 연관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에 연관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지방자치단체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해 상기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규제 사무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관리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legal affairs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service in Public Institutions}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치법규 및 각종 법령 및 규제의 변동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트래킹하여 각종 법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법령은 넓은 의미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행정규칙, 자치법규 등 공공기관, 중앙부처, 공공기관과 관련있는 모든 법규를 총칭한다. 규제는 넓은 의미로 중앙부처나 공공기관가 특정 활동, 산업, 혹은 조직과 개인에 대하여 권리를 제한하거나 의무를 부과하는 것으로서 법령에 규정된 것을 말한다. 공공기관은 법무부·기획재정부 등 중앙부처, 서울특별시·전라북도 등 공공기관, 수자원공사·한국전력등 공기업 및 비영리기관과 같이 기관 소관으로 법령을 갖고 있거나 집행하는 권한을 갖고 있는 공적 기관을 총칭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에는 2023년 4월 3일 기준 헌법 외에 중앙법령(법률, 대통령령, 총리령, 부령, 기타 행정규칙)이 5,253개, 자치법규(조례, 규칙, 훈령 등)가 136,266개 등 총 141,520개의 법령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규제는 2023년 2월 말 기준 중앙부처에 47,712개, 공공기관에 40,210개 등 총 87,922개가 존재하고 있다. 일 예로 서울시의 자치 법규수는 12,000개 이상이며 이중 규제 사무는 국내 전체 규제 사무의 8.7%에 달한다.
법령 가운데는 법률 제정, 개정 후에 상당기간 개정되지 못해 상위 법령과 불일치한 자치법규, 상위 법령 근거가 폐지되거나 적용 대상이 없어 필요성이 없어진 자치법규, 현실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자치법규, 상위 법령 변동에도 이를 반영하지못해 통일성이 결여된 자치법규, 지나친 규제로 인해 경제활성화에 역행하는 자치 법규가 존재할 수 있다.
규제 가운데는 내용적 오류가 있는 경우, 관리 부실로 인한 규제 데이터의 오류 등이 상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일 예로, 행정기관 대상 법령이 규제로 잘못 등록된 경우, 형사처벌이 규제로 잘못 등록된 경우, 규제임에도 등록이 누락된 경우 등의 문제가 상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중앙부처, 공공기관 등 공공기관은 소관의 법령 및 규제를 24시간 365일 모니터링하고 트래킹하여 법령 및 규제 데이터의 변동을 현행화하고 오류를 분석하는 등의 법무행정 업무를 상시적으로 수행하는 전담조직과 인원을 두고 있다.
한편, 다양한 분야에서 정부, 기업, 단체 등은 법률, 정책, 규제 등 정부 영역에서 발생하는 리스크 요인을 빠르게 추적, 분석,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니즈와 기대가 확산 되고 있다. 즉, 4차 산업 혁명 이후 변화되고 있는 환경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반영되어 신속하게 법, 제도의 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US 20170308976 A1 US 20170308797 A1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상위 법령과 불일치하거나, 상위법령 근거가 폐지되거나 적용대상이 없어 존속 필요성이 없어진 자치법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자치법규, 상위 법령과의 통일성이 결여된 자치법규 등에 대한 관리를 지능화, 자동화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규제 사무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관리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 국가법령정보시스템, 규제정보포털로부터 국회 법률안 정보, 중앙부처 법령정보 및 공공기관별 자치법규, 그리고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의 규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법령 및 자치법규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라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에 연관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에 연관된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등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해 상기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장치로서,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 국가법령정보시스템, 규제정보포털로부터 국회 법률안 정보, 중앙부처 법령정보 및 공공기관별 자치법규, 그리고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의 규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법령 및 규제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변화에 따라 중앙 및 공공기관에 연관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에 연관된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하는 파악부 및 상기 파악부에서 파악된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해 상기 모니터링 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위 법령과 불일치하거나, 상위법령 근거가 폐지되거나 적용대상이 없어 존속 필요성이 없어진 자치법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자치법규, 상위 법령과의 통일성이 결여된 자치법규 등에 대한 관리를 지능화, 자동화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규제 사무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관리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회에 제출되는 법률안의 통과 가능성을 AI로 정확히 예측하고 법령의 변동 과정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여 트래킹하며 법령 변동에 따른 자치법규의 영향을 분석하는 기술을 포함한 GRM(Government Risk Management) 플랫폼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자치 법규 및 규제사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예측함으로써 법무 행정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규제 업무 지원 서비스 및 법제 업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규제 업무 지원 서비스를 위해 일 예로 서울시와 같은 공공기관의 전체 규제를 본청/부서(실,국)/분야(부문)/산업/의회(상임위) 등을 구분하여 규제 총량의 변동을 관리할 수 있는 규제 총량 관리 기능, 등록 후 수년이 경과한 규제의 정비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규제의 등록 및 정비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규제 정비 시기 도래시 자동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등록 규제 정비 기능, 규제와 관련된 시민의 의견, 여론등을 규제 담당 부서에서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규제 관련 뉴스 데이터를 매일 수집하여 통합, 정제, 분석 후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규제 이슈 모니터링 기능, 서울시 소관 규제와 지자체 규제의 비교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지자체 규제 비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법제 업무 지원 서비스를 위해 서울시와 같은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법규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법령 약 1,200개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및 변동 정보를 법무담당관실에 자동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법령 모니터링 기능, 서울시와 같은 지방자치단체 관련 상위 법령의 입법 예고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예고 정보를 법무담당관실에 자동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입법 예고 모니터링 기능, 서울시와 같은 지방자치단체 정책 등에 영향을 미치는 국회 제출 법률안의 통과 가능성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법률안 통과 가능성 예측 기능, 법제 업무 과정에서 어려운 한자어나 전문용어, 일본식 용어, 부정확한 외래어 등에 해당하는지 검색, 확인, 수정을 자동 수행하는 법률 용어 정비 사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조는 크게 구분하여 법령 데이터의 자동 수집 및 모니터링 분석 기술을 수행하는 시스템(ACRO)과, 법률안 국회 본회 통과 가능성을 정적 및 동적으로 예측하여 통과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 시스템(APOLLP), 자치법규 및 규제 사무 큐레이션과 유사 자치법규 추천 기술을 수행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는 분석 시스템(ARGOS)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법령, 자치법규, 규제와 관련된 소셜 빅데이터 수집, 분석 기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법령(자치법규)와 규제사무의 변화를 자동 추적하고, 법률안의 통과가능성을 예측한 후 공공기관의 자치 법규 및 규제 사무에의 영향여부, 재개정 필요성 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공공기관 단말(30) 및 공공기관 구성원 단말(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공공기관 단말(30) 및 공공기관 구성원 단말(4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 단체 단말(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공공기관 단말(30) 및 공공기관 구성원 단말(4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공기관 단말(30)은 시·도청, 시·군·구청등의 지방정부와 시·도의회, 시·군·구 의회를 포함하는 공공기관에 구비되는 법령 및 규제 사무 업무처리를 위한 단말장치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일예로 서울시 법령 및 규제 사무 업무를 관장하는 업무담당자가 소지하는 단말장치 또는 서울시청에 구비된 시청 업무 관리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공공기관 구성원 단말(40)은 시민이나 도민과 같이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의 영향권 내에 있는 시민 또는 구민과 같은 공공기관의 구성원들이 소지하는 단말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네트워크(2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입출력 인터페이스(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프로세서(140)가 메모리(12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11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20)를 거쳐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수신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140)나 메모리(12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기록장치는 메모리(12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2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12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메모리(12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메모리(120)에 로딩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30)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3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는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2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프로세서(14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프로세서(140)는 모니터링부(1410), 파악부(1420), 분석부(1430), 예측부(1440) 및 정보 제공부(145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1410)는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으로부터 국회 법률안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법령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모니터링부(1410)는 지능형 DB인 ACRO 시스템에서 open API, Crawling 등의 기법으로 국내의 모든 법령, 자치법규, 규제 데이터를 24시간 365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그 변동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기술적 구성을 포함한다.
모니터링부(1410)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국회 의안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국회 법률안(의안) 정보를 검색하여 실시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모니터링부(1410)는 국회 의안 정보 시스템에 저장된 방대한 국회 법률안 정보를 특정 기준과 시간 등을 기준으로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기준은 국회상임위원회 또는 국회의원, 현재 계류 중인 법률안 심사 단계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수집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10)는 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예측 서비스 관련 웹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의 URL은 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이고 공공정보로 오픈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나, 해당 URL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URL을 탐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픈 API 법률안 정보수집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모니터링부(14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링부(1410)는 서울시 전체 규제 885개를 본청/부서(실,국)/분야(부문)/산업/의회(상임위)등으로 구분하여 규제 총량의 변동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서울시 자치법규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법령 약 1,200개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그 변동 정보를 알림 기능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등록 후 3년이 경과 된 규제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규제의 등록 및 정비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규제 정비 시기 도래시 자동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1일 평균 80건의 입법예고와 관련 법령의 진행(발의-심사-의결-공포-시행) 과정을 관계형 DB 및 Open API를 활용하여 24h/365d 자동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1410)는 실시간 수집되는 국회 법률안 정보 및 공공기관 자치법규등의 정보를 메모리(120)에 저장하고, 특정 기준에 따라 검색 가능하도록 국회 법률안 정보를 저장한다.
법률안 심사 단계는 소관 상임위 회부 단계, 상임위 전체회의 상정 단계, 상임위 처리 단계, 법사위 회부 단계, 법사위 전체회의 상정 단계, 법사위 처리 단계, 본회의 상정 단계, 본회의 의결 단계, 정부 이송 및 공포 단계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메모리(120)에 저장된 국회 법률안 정보를 이용하여 법률안 심사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1410)는 메모리(120)에서 추출된 국회 법률안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셋(data set)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셋은 회의록을 활용하기 쉽도록 안건, 발언 내용, 주요 키워드 등의 형태로 구조화한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데이터 셋은 기계적 처리(machine readable)가 가능한 구조화된 데이터 집합으로서, 패턴 처리는 물론 빅데이터(big data) 분석이나 인공지능 학습이 가능하도록 가공된 데이터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기계적 분석과 기계 학습 등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데이터 셋을 각각 파싱(parsing)하여 분석하고,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법률안 별로 각 법률안 심사 단계의 통과 여부, 각 법률안 심사 단계의 계류 기간, 각 국회상임위원회의 법률안 개수, 공포 법률의 개수, 각 국회의원의 법률안 개수, 공포 법률의 개수, 법률안의 카테고리와 종류, 키워드 등을 기간과 소속 정당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석하고 통계 처리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당 법률안과 연관된 공공기관 및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인식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파악부(1420)는 모니터링부(1410)에서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라 공공기관에 연관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에 연관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한다. 파악부(1420)는 모니터링부(1410)에서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법령 및 규제 데이터의 영향권 내에 있는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부(1420)는 지역자치단체의 공식 웹사이트나 법규 정보 공개 시스템에 개시된 내용에 기반하여 법령 및 규제 사무 관련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자치 법규가 규정하는 범위와 내용을 분석하고 해당 범위와 내용에 대해 규정된 상위 법령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울시의 자치법규가 행정처분에 대해 규정하는 경우 행정 절차법등의 법령과 매칭시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파악부(1420)는 법령 법안을 인용하는 하위 법령을 더 파악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석부(1430)는 파악부(1420)에서 파악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해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을 분석한다.
분석부(1430)는 건설, 노동, 사회 복지 등의 분야별 규제를 구분하고 분야별로 자치법규의 검색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기관의 건설 관련 규제를 검색 결과로 제공해주거나, 노동 관련 규제를 검색 결과로 제공해줄 수 있다.
예측부(1440)는 법률안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식별 및 추출하고, 고유정보 중 기 설정된 인자(Factor), 즉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추출하며, 추출된 인자를 통하여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예로 예측부(1440)Sms 서울시 자치법규 및 규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법률안이 국회에 제출된 경우 해당 법률안의 통과가능성을 AI 알고리즘으로 정확하게 예측하고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측부(1440)는 적어도 하나의 요인과 통과가능성 간의 관계를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기계학습으로 학습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을 예측하는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모델링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예측부(1440)는 고유정보 중 기 설정된 인자를 추출하도록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된 법률안 내에서 고유정보를 구분하도록 코딩하고, 각 고유정보 중 기 설정된 인자를 식별 및 추출할 수 있다.
예측부(1440)는 문서의 내용에 기반한 감정분석, 오피니언 마이닝, argument mining 등의 기술을 응용하여 법률안 입법 가능성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Opinion extraction이나 argument mining은 코멘터의 미묘한 찬성/반대의 입장을 인식하기 위해 관련 분야의 방대한 상식과 배경 지식, 전문 지식, 문맥 지식이 동원된다.
이때 Google의 BERT 알고리즘과 같은 문서(혹은 문장)의 의미를 더 정확하게 추출하여 내장 백터로 변환하기 위한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더 깊은 양방향 신경망을 사용하여 단어의 문맥에 숨겨진 의미까지 잡아내어 내장 벡터화함으로써 검색엔진에 적용 시 더 향상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측부(1440)는 사례기반추론을 적용하여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사례기반추론에 기반한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예측 모델의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 편의성이 높은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사례기반추론 모형의 가중치를 결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련성이 적은 입력변수에는 낮은 가중치를 적용하고 관련성이 높은 입력변수에는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예측성과를 향상시키고자 사례기반추론의 두 가지 모델을 이용하는데, 하나는 입력변수에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한 사례기반추론(Pure CBR) 모델이며, 다른 하나는, 입력변수의 중요도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한 사례기반추론(Weighted CBR) 모델이다. 또, Weighted CBR의 예측성과와 인공신경망 모형, SVM 모형과도 예측성과를 비교하여 가장 성능이 좋은 모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측모형의 입력변수선정을 위해 로짓(Logit)의 스텝와이즈(Stepwise)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입력변수(독립변수)를 선정하고, 선정된 입력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기 위해 로짓의 계수를 적용하여 각 변수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로짓의 계수는 각 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입력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할수 있으며 이들을 사례기반추론의 입력변수에 대한 가중치로 적용하여 Weighted CBR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로짓에서 선정된 독립변수는 종속변수에 음의 영향, 예를 들어, 예산을 수반한 법안일수록(독립변수), 법안의 가결가능성이 낮은(종속변수) 경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로짓 계수의 절대값을 사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가중치를 각 독립변수에 적용하여 독립 변수들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계산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유클리드 거리를 통해 유사한 사례를 추출하고, k-최근접 이웃법을 이용하여 사례기반추론을 적용할 수 있다. 중요 변수에 대한 가중치를 차별화하게 되면 불균형 데이터 환경에서도 유의한 유사 사례를 찾게됨으로써 예측 모델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대안 제시부는 예측부(1440)에서 예측되는 법률안의 통과 가능성을 반영하여 서울시 법령 및 규제 사무에 영향 여부 및 제·개정 필요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대안을 제시해줄 수 있다.
대안 제시부는 상위 법령의 통과 여부를 사전에 예측하여 서울시 자치법규의 제·개정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은 되거나 법령이 폐지되는 경우에 해당 법령에 연관된 자치법규에 개정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 통보해주거나, 삭제 예정임을 미리 통보해주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위 법령 통과 가능성이 소정의 기준보다 높은 경우에 해당 상위 법령에 관련된 자치법규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파악하여, 변경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슈 변화 모니터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링부(1410)는 News, SNS 등 소셜빅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서울시 자치법규 및 규제와 관련된 여론, 평판, 이슈의 변화(이상치)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410)는 법률안 통과 가능성에 대한 동적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서울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요 법률안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여론(환경)의 변화에 대한 이상치 감지(anomally detection)가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해당 법률안에 대한 적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대안을 제시해줄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0)는 파악부(1420)에서 파악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관장하는 공공기관 단말(20)로 분석부(1430)에서의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1450)는 수집 및 분석된 서울시등 공공기관의 자치법규, 법령, 규제와 관련된 제반 정보들을 웹기반 또는 앱 기반으로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해줄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모니터링부(1410)는 주요한 법률, 규제에 대해 관련 이슈, 여론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소셜 빅데이터 자동 수집·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주요 법률, 규제 관련 모니터링 등을 24시간, 365일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제공부(1450)는 공공기관의 자치 법규 및 규제의 모니터링 및 분석 결과를 공공기관 단말(20)로 자동 알림 메시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으로부터 국회 법률안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법령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S2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픈 API를 이용하여 국회 의안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국회 법률안(의안) 정보를 검색하여 실시간 수집할 수 있다. 오픈 API를 이용하여 실시간 수집되는 국회 의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터베이스에 저장된 국회법률안 정보를 이용하여 법률안 심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국회에 접수 및 계류중인 다수의 법률안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법률안을 필터링하여 법률안 제정, 개정 과정에 관한 정보를 상세히 알려주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지방 자치 단체별로 해당 지방 자치 단체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연관된 법률안을 필터링하여 법률안 제정, 개정 과정에 관한 정보를 상세히 알려주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라 공공기관에 연관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에 연관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한다(S210).
파악하는 단계는 모니터링 단계에서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법령 및 규제 데이터의 영향권 내에 있는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하는 단계는 지역자치단체의 공식 웹사이트나 법규 정보 공개 시스템에 개시된 내용에 기반하여 법령 및 규제 사무 관련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자치 법규가 규정하는 범위와 내용을 분석하고 해당 범위와 내용에 대해 규정된 상위 법령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울시의 자치법규가 행정처분에 대해 규정하는 경우 행정 절차법등의 법령과 매칭시켜서 파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메모리에서 특정 법령(법률안)을 검색했을 때, 해당 법률안의 발의자(찬성자) 정보를 화면에 표출하여 제공해줄 수도 있다.
이후에 파악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해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을 분석한다(S220).
즉, 먼저 법령 및 규제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법령 및 규제 데이터의 변화에 대해 추가되거나 수정되었는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추가되거나 수정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자치 법규를 선별하여 분석하고 법령 및 규제 데이터와의 연관성을 파악한다.
자치법규가 법령 및 규제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우, 해당 자치법규가 어떤 법적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치법규가 어떤 수정이나 개정이 필요한지, 또는 새로운 자치법규가 필요한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추가로 전문가의 견해를 수렴하여 수렴된 전문가 견해에 기반하여 자치법규가 필요한 수정이나 개정 등이 필요한지, 또는 자치법규가 법령 및 규제 데이터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않는 경우에도 법적으로 안전한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전문가로부터 미리 입력받은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자치 법규의 수정이나 개정의 필요성을 더 파악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소셜 빅 데이터들 중 법령 및 규제 사무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제공한다(S230).
즉, 법률안의 통과 가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론, 이슈, 사건 등을 실시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치를 감지하여 예측된 통과 가능성에 반영하는 통과 가능성 동적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론, 이슈, 사건에 언급되는 키워드에 따른 긍정/부정 정도를 반영하여 동적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국회에 제출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관련된 법률안의 통과 가능성을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으로 예측한다(S240).
일예로 문서 또는 문장의 의미를 더 정확하게 추출하여 내장 벡터로 변환하기 위한 Google의 BERT와 같은 딥러닝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Google의 BERT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더 깊은 양방향 신경망을 사용하여 단어의 문맥에 숨겨진 의미까지 잡아내어 내장 백터화함으로써 검색 엔진에 적용시 더 좋은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법률안 입법 가능성 예측은 문서의 기반한 감정분석, 오피니언 마이닝, argument mining기술을 응용하여 실현가능하다.
이때, 예측하는 단계는,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더 반영하여 통과 가능성을 예측한다.
또한 예측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종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기계학습을 통하여 각 국회 법률안의 국회 통과가능성을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되는 법률안 통과 가능성을 반영하여 해당 법률안과 연관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하고, 파악된 법령 및 규제 사무의 제·개정 대안을 제시해준다(S250).
법령 및 규제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자치법규가 영향을 받는 경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법적으로 유효한 대응 방안을 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 전문가의 견해를 수렴하거나 법령 분석 등을 통해 적절한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치 법규의 적용 범위 또는 기간을 보정하거나, 키워드의 변경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자치법규에 포함된 용어를 정비한다(S260).
즉, 법제 업무 과정에서 어려운 한자어나 전문용어, 일본식 용어, 부정확한 외래어 등에 해당하는지 검색, 확인, 수정을 자동 수행하는 법률 용어 정비 사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치 법규에 대해 대규모의 말뭉치를 이용하여 빈도수나 확률 분포를 계산하여 단어나 문장의 올바른 표현을 판단하여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가 미리 작성한 문법 규칙을 이용하여 문장을 분석하고 보정할 수 있는 규칙 기반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문장 내의 특정 단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장을 자동 보정하도록 딥러닝을 이용한 자동 보정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이한 지방 자치 단체 간 대응되는 자치 법규 및 규제를 비교할 수 있다(S270).
예를 들어 서울시의 자치 법규 및 규제와 경기도의 자치 법규 및 규제를 비교하여 유사점 및 차이점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주택 건축 관련 법규를 비교하여 서울특별시는 주택건축법과 서울특별시 주택건축지침 등의 법규를 통해 주택 건축에 대한 규제를 수행하는 반면, 경기도는 경기도 건축법 및 경기도 주택건축지침 등을 통해 건축 규제를 수행하는 점에서 규제 방식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는 서울특별시 교육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통해 교육에 대한 지원과 규제를 수행하는 반면, 경기도는 경기도교육청 설치 및 운영 조례를 통해 교육에 대한 지원과 규제를 수행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들 중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공공기관 단말로 분석결과를 제공준다(S280).
이때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한 이슈 및 여론에 대해 집단별 지지율, 반대율, 중립율, 만족도 중 적어도 하나을 파악하여, 파악한 데이터의 기설정된 시간당 변화율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이면 해당 공공기관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통보해준다.
즉 자치법규의 상위 법령에 포함되는 법률안 통과 가능성에 대한 동적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서울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요 법률안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여론(환경)의 변화에 대한 이상치 감지(anomally detection)가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해당 법률안에 대한 적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대안을 제시해줄 수 있다.
이때, 소셜 빅데이터 자동 수집·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주요한 법률, 규제에 대해 관련 이슈, 여론에 대한 규제 관련 모니터링 등을 24시간, 365일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의 자치 법규 및 규제의 모니터링 및 분석 결과를 공공기관 단말로 자동 알림 메시지형태로 더 제공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파악하는 단계에서 파악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관장하는 공공기관 단말로, 분석하는 단계에서의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더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용어 정비 내용 및 법령 및 규제 비교 분석 결과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정비 대상 법률 용어 검색 및 순화용어 제시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정비 대상 법률 용어 검색 및 순화 용어 제시 기능을 추가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공기관 단말은 공공기관 구성원 단말로 분석 결과를 더 전달한다(S290).
일 예로 서울특별시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서울 시민들이 소지하는 구성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구성원 단말로 유사 자치법규 검색 기능 및 타 지자체 자치 법규 검색 기능을 추가제공하여 공공기관 구성원들이 자신이 속한 자치구와 다른 자치구의 법규를 편리하게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컴퓨터 장치 20 : 공공기관 단말
30 : 네트워크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메모리 130 :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 프로세서

Claims (11)

  1. 하나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모니터링부에서,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 국가 법령정보센터, 규제정보포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국회 법률안 정보 및 공공기관별 법령 및 규제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법령 및 규제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파악부에서, 상기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라 공공기관에 연관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에 연관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하는 단계;
    분석부에서, 상기 파악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해 상기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을 분석하는 단계;
    예측부에서, 국회에 제출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관련된 법률안의 통과 가능성을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으로 예측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대안 제시부에서, 상기 예측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예측되는 법률안 통과 가능성을 반영하여 해당 법률안과 연관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하고, 파악된 법령 및 규제 사무의 제·개정 대안을 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지능형 DB인 ACRO 시스템에서 오픈(open) API 및 Crawling 기법으로 국내의 법령, 자치법규, 및 규제 데이터를 24시간 365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며 그 변동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서울시 전체 규제의 885개를 본청, 부서, 분야, 산업, 및 의회로 구분하여 규제 총량의 변동을 관리하고, 서울시 자치법규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법령 1,200개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변동 정보를 알림 기능으로 제공하고,
    등록 후 3년이 경과 된 규제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규제의 등록 및 정비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규제 정비 시기 도래시 자동 알림 기능을 제공하고, 입법예고와 발의, 심사, 의결, 공포 및 시행을 포함한 관련 법령의 진행 과정을 관계형 DB 및 Open API를 활용하여 자동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실시간 수집된 국회 법률안 정보를, 소관 상임위 회부 단계, 상임위 전체회의 상정 단계, 상임위 처리 단계, 법사위 회부 단계, 법사위 전체회의 상정 단계, 법사위 처리 단계, 본회의 상정 단계, 본회의 의결 단계, 정부 이송 및 공포 단계로 구성된 법률안 심사 단계를 기준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서 추출된 국회 법률안 정보를, 회의록을 활용하기 쉽도록 안건, 발언 내용, 및 주요 키워드의 형태로 구조화한 데이터의 집합인 데이터 셋으로 변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셋을 파싱(parsing)하여 분석하고,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법률안 별로 각 법률안 심사 단계의 통과 여부, 각 법률안 심사 단계의 계류 기간, 각 국회상임위원회의 법률안 개수, 공포 법률의 개수, 각 국회의원의 법률안 개수, 및 공포 법률의 개수를 기간과 소속 정당에 따라 분석하고 통계 처리를 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파악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악부는,
    지역자치단체의 공식 웹사이트나 법규 정보 공개 시스템에 개시된 내용에 기반하여 법령 및 규제 사무 관련 내용을 파악하고, 자치 법규가 규정하는 범위와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범위와 내용에 대해 규정된 상위 법령을 확인하고, 서울시의 자치법규가 행정처분에 대해 규정하는 경우 행정 절차법의 법령과 매칭시켜서 파악하고, 법령 법안을 인용하는 하위 법령을 더 파악하고,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부는,
    건설, 노동, 및 사회 복지를 포함한 분야별 규제를 구분하고 분야별로 자치법규의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기관의 건설 관련 규제를 검색 결과로 제공해주거나, 노동 관련 규제를 검색 결과로 제공해 주며,
    상기 예측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예측부는,
    법률안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식별 및 추출하고, 고유정보 중 기 설정된 인자(Factor)로서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추출하며, 추출된 인자를 통하여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을 예측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기계학습을 통하여 국회 법률안의 국회 통과가능성을 예측하되, 적어도 하나의 요인과 통과가능성 간의 관계를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기계학습으로 학습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을 예측하는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모델링을 실시하고,
    고유정보 중 기 설정된 인자를 추출하도록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된 법률안 내에서 고유정보를 구분하도록 코딩하고, 각 고유정보 중 기 설정된 인자를 식별 및 추출하고,
    문서의 내용에 기반한 감정분석, 오피니언 마이닝, argument mining을 응용하여 법률안 입법 가능성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대안을 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안 제시부는,
    상위 법령의 통과 여부를 사전에 예측하여 서울시 자치법규의 제·개정 업무의 수행에 필요한 대안을 제시하되, 상기 대안의 제시와 관련하여, 법령이 폐지되는 경우에 해당 법령에 연관된 자치법규에 개정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 통보해 주거나, 삭제 예정임을 미리 통보해 주고, 상위 법령 통과 가능성이 소정의 기준보다 높은 경우에 해당 상위 법령에 관련된 자치법규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파악하여 변경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하는 단계는,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더 반영하여 통과 가능성을 예측하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하는 단계에서 파악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관장하는 공공기관 단말로,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의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들 중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공공기관 단말로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한 이슈 및 여론에 대해 집단별 지지율, 반대율, 중립율, 만족도 중 적어도 하나을 파악하여, 파악한 데이터의 기설정된 시간당 변화율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이면 해당 공공기관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통보하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기관 단말이 공공기관 구성원 단말로 분석 결과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이한 공공기관 간 대응되는 자치 법규 및 규제 사무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국회 법률안 및 자치법규에 포함된 한자어, 전문용어 및 외래어 중 하나를 검출하여 용어 정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장치로서,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 국가법령정보센터, 규제정보포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국회 법률안 정보 및 공공기관별 법령 및 규제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법령 및 규제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라 공공기관에 연관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에 연관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하는 파악부;
    상기 파악부에서 파악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대해 상기 모니터링된 법령 및 규제 데이터 변화에 따른 영향 여부 및 제·개정의 필요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국회에 제출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에 관련된 법률안의 통과 가능성을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으로 예측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예측부; 및
    상기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법률안 통과 가능성을 반영하여 해당 법률안과 연관된 공공기관의 법령 및 규제 사무를 파악하고, 파악된 법령 및 규제 사무의 제·개정 대안을 제시하는 대안 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지능형 DB인 ACRO 시스템에서 오픈(open) API 및 Crawling 기법으로 국내의 법령, 자치법규, 및 규제 데이터를 24시간 365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며 그 변동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서울시 전체 규제의 885개를 본청, 부서, 분야, 산업, 및 의회로 구분하여 규제 총량의 변동을 관리하고, 서울시 자치법규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법령 1,200개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변동 정보를 알림 기능으로 제공하고,
    등록 후 3년이 경과 된 규제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규제의 등록 및 정비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규제 정비 시기 도래시 자동 알림 기능을 제공하고, 입법예고와 발의, 심사, 의결, 공포 및 시행을 포함한 관련 법령의 진행 과정을 관계형 DB 및 Open API를 활용하여 자동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실시간 수집된 국회 법률안 정보를, 소관 상임위 회부 단계, 상임위 전체회의 상정 단계, 상임위 처리 단계, 법사위 회부 단계, 법사위 전체회의 상정 단계, 법사위 처리 단계, 본회의 상정 단계, 본회의 의결 단계, 정부 이송 및 공포 단계로 구성된 법률안 심사 단계를 기준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서 추출된 국회 법률안 정보를, 회의록을 활용하기 쉽도록 안건, 발언 내용, 및 주요 키워드의 형태로 구조화한 데이터의 집합인 데이터 셋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셋을 파싱(parsing)하여 분석하고,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법률안 별로 각 법률안 심사 단계의 통과 여부, 각 법률안 심사 단계의 계류 기간, 각 국회상임위원회의 법률안 개수, 공포 법률의 개수, 각 국회의원의 법률안 개수, 및 공포 법률의 개수를 기간과 소속 정당에 따라 분석하고 통계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악부는,
    지역자치단체의 공식 웹사이트나 법규 정보 공개 시스템에 개시된 내용에 기반하여 법령 및 규제 사무 관련 내용을 파악하고, 자치 법규가 규정하는 범위와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범위와 내용에 대해 규정된 상위 법령을 확인하고, 서울시의 자치법규가 행정처분에 대해 규정하는 경우 행정 절차법의 법령과 매칭시켜서 파악하고, 법령 법안을 인용하는 하위 법령을 더 파악하고,
    상기 분석부는,
    건설, 노동, 및 사회 복지를 포함한 분야별 규제를 구분하고 분야별로 자치법규의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기관의 건설 관련 규제를 검색 결과로 제공해주거나, 노동 관련 규제를 검색 결과로 제공해 주며,
    상기 예측부는,
    법률안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식별 및 추출하고, 고유정보 중 기 설정된 인자(Factor)로서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추출하며, 추출된 인자를 통하여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을 예측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기계학습을 통하여 국회 법률안의 국회 통과가능성을 예측하되, 적어도 하나의 요인과 통과가능성 간의 관계를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기계학습으로 학습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을 예측하는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모델링을 실시하고,
    고유정보 중 기 설정된 인자를 추출하도록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된 법률안 내에서 고유정보를 구분하도록 코딩하고, 각 고유정보 중 기 설정된 인자를 식별 및 추출하고,
    문서의 내용에 기반한 감정분석, 오피니언 마이닝, argument mining을 응용하여 법률안 입법 가능성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대안 제시부는,
    상위 법령의 통과 여부를 사전에 예측하여 서울시 자치법규의 제·개정 업무의 수행에 필요한 대안을 제시하되, 상기 대안의 제시와 관련하여, 법령이 폐지되는 경우에 해당 법령에 연관된 자치법규에 개정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 통보해 주거나, 삭제 예정임을 미리 통보해 주고, 상위 법령 통과 가능성이 소정의 기준보다 높은 경우에 해당 상위 법령에 관련된 자치법규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파악하여 변경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인,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30048337A 2023-04-12 2023-04-12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7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337A KR102579323B1 (ko) 2023-04-12 2023-04-12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337A KR102579323B1 (ko) 2023-04-12 2023-04-12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323B1 true KR102579323B1 (ko) 2023-09-15

Family

ID=8801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337A KR102579323B1 (ko) 2023-04-12 2023-04-12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3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08976A1 (en) 2016-04-22 2017-10-26 FiscalNo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future event outcomes based on data analysis
KR102465711B1 (ko) * 2022-05-26 2022-11-11 주식회사 씨지인사이드 소셜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동적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55409A (ko) * 2021-05-15 2022-11-22 박동명 누구나 쉽게 입법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입법플랫폼
KR102491947B1 (ko) * 2022-03-30 2023-01-27 주식회사 코딧 인공지능 학습 기반의 규제 법령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507442B1 (ko) * 2021-12-16 2023-03-09 박영란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08976A1 (en) 2016-04-22 2017-10-26 FiscalNo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future event outcomes based on data analysis
US20170308797A1 (en) 2016-04-22 2017-10-26 FiscalNo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policymaker alignment with organizational posture
KR20220155409A (ko) * 2021-05-15 2022-11-22 박동명 누구나 쉽게 입법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입법플랫폼
KR102507442B1 (ko) * 2021-12-16 2023-03-09 박영란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491947B1 (ko) * 2022-03-30 2023-01-27 주식회사 코딧 인공지능 학습 기반의 규제 법령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465711B1 (ko) * 2022-05-26 2022-11-11 주식회사 씨지인사이드 소셜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동적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essa et al. A review of influenza detection and prediction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Jovanović et al. Assessing resilience of healthcare infrastructure exposed to COVID-19: emerging risks, resilience indicators, interdependencie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US110191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violation conditions from electronic communications
Jiang et al. Public-opinion sentiment analysis for large hydro projects
Zhai et al. Examine the effects of neighborhood equity on disaster situational awareness: Harness machine learning and geotagged Twitter data
Dong et al. Social media information sharing for natural disaster response
CN110674840A (zh) 一种基于贝叶斯网络的多方证据关联模型构建方法和证据链提取方法及装置
Cao et al. A risky large group emergency decision-making method based on topic sentiment analysis
Estévez-Ortiz et al. An application of people´ s sentiment from social media to smart cities
KR102465711B1 (ko) 소셜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동적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Lamsal et al. Socially enhanced situation awareness from microblog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 survey
Chi et al. A supernetwork-based online post informative quality evaluation model
Chiang et al. Using an ontology-based neural network and DEA to discover deficiencies of hotel services
Basu et al. Harnessing twitter data for analyzing public reactions to transportation policies: Evidences from the odd-even policy in Delhi, India
Jia et al. Pattern discovery and anomaly detection via knowledge graph
Wang et al. Public health emergency management and multi-source data technology in China
Yang et al. Towards fairness-aware disaster informatics: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Tobey et al. Interpretable models for the automated detection of human trafficking in illicit massage businesses
Chen et al. Analyzing social media for measuring public attitudes toward controversies and their driving factors: a case study of migration
Shan et al. Social media-based urban disaster recovery and resilience analysis of the Henan deluge
Duong et al. Neurosymbolic AI for mining public opinions about wildfires
KR102192136B1 (ko) 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Tawiah et al. Pakistan CO2 emission modelling and forecasting: a linear and nonlinear time series approach
KR102579323B1 (ko) 공공기관의 지능형 법무 행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oudi et al. Lexicon based sentiment comparison of iPhone and android tweets during the Iran-Iraq earthqu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