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052B1 -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 Google Patents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052B1
KR102579052B1 KR1020230019994A KR20230019994A KR102579052B1 KR 102579052 B1 KR102579052 B1 KR 102579052B1 KR 1020230019994 A KR1020230019994 A KR 1020230019994A KR 20230019994 A KR20230019994 A KR 20230019994A KR 102579052 B1 KR102579052 B1 KR 102579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nection
present
clip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8345A (ko
Inventor
김기훈
김세훈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1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0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튜브간 연결부위 특히, 인공호흡기의 튜브와 환자에 삽입된 삽관튜브의 연결부위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리되었다 하더라도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고, 분리된 상태를 시각적으로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Ventilator tube fixture}
본 발명은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튜브간 연결부위 특히, 인공호흡기의 튜브와 환자에 삽입된 삽관튜브의 연결부위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리되었다 하더라도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고, 분리된 상태를 시각적으로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호흡기는 환자가 너무 쇠약하여 스스로 호흡하지 못하거나 장기적으로 호흡하는데 도움이 필요할 경우 사용되며,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 튜브를 연결하여 사용된다.
중환자실이나 가정 간호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는 호흡기가 없으면 스스로 원활하게 호흡을 할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 이므로, 인공호흡기 이탈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산소부족으로 심혈관계에 이상이 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저산소성뇌손상으로 인한 사망 내지는 심각한 영구 장애를 안게 되며, 또한 진정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 움직임 등으로 인해 삽관된 튜브가 이탈하여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공호흡기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기관 내로 삽입된 삽관튜브(B)에 인공호흡기의 커넥터(A ; connector)를 연결하며, 기관 절개술이 시행된 환자의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호흡기의 커넥터(A)와 기관 절개 튜브(C)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때, 환자에게서 생기는 가래나 호흡기 치료중 발생한 습기로 인한 액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인공호흡기 커넥터와 삽관튜브가 연결되는 부위를 분리하고 결합하는 것을 빈번하게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위가 헐거워져 쉽게 탈리되거나, 환자가 무의식 중 또는 보호자의 부주의로 연결부위가 탈리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공호흡기와 삽관튜브가 탈리되었을 때, 의료진이 가까이 있어 확인이 된다면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으나,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상황등으로 인해 분리된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이 호흡기 치료를 받던 환자는 산소부족으로 심혈관계에 이상이 오거나 저산소성 뇌손상으로 인한 사망 내지는 심각한 영구 장애를 얻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인공호흡기와 삽관튜브를 포함한 튜브간 연결부위를 2차적으로 잡아 고정시킴에 있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158호(기관튜브 고정구 ; 이하 문헌 1)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614호(홀딩부재 및 패딩부재를 갖는 기관 삽관용 튜브 고정구 ; 이하 문헌 2)가 있다.
상기 문헌 1은 일 모서리가 벌어지고 벌어진 모서리에 대향된 면이 휘어진 삼각형의 단면으로 구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각 선단부에서 일체로 연결되고, 단면이 각각 반원형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구성되며, 튜브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기관튜브고정부(12)와; 상기 몸체(11)와 상기 기관튜브고정부(12)가 연결되는 상기 기관튜브고정부(12)의 외주면에 구성되고, 가압시 상기 몸체(11)를 벌릴 수 있는 누름부재(13)와; 상기 기관튜브고정부(12)의 중간부분에 서로 대향되도록 일단이 연결되어 환자의 머리에 감을 수 있는 밴드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구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은 삽관튜브를 신체에 고정시키는 것은 가능하나, 삽관튜브와 인공호흡기 튜브가 끼워져 연결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술한 바와 같은 튜브 연결부위의 탈리 및 그로인한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본체부(100)의 내측면 양단에는 수벨크로(15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일면이 상기 수벨크로(150)에 부착되는 패딩부재(2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결합부(130)에 결합되는 것으로, 환자의 뒷목을 감싸 밀착하여 상기 본체부(100)가 착용 부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홀딩부재(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부재 및 패딩부재를 갖는 기관 삽관용 튜브 고정구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2는 인공호흡기와 삽관튜브를 포함한 의료용 튜브간 연결부위를 조여서 고정하는 것은 가능하나, 이를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사용성이 떨어지고 구성 내지 구조 또한 복잡하여 제조성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인공호흡기와 삽관튜브를 포함한 튜브간 연결부위를 2차적으로 잡아 고정시키는 고정과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158호(명칭 : 기관튜브 고정구 ; 출원일 : 2004년 03월 16일자)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614호(명칭 : 홀딩부재 및 패딩부재를 갖는 기관 삽관용 튜브 고정구 ; 출원일 : 2008년 10월 15일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의료용 튜브간 연결부위 특히, 인공호흡기의 튜브와 환자에 삽입된 삽관튜브의 연결부위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리되었다 하더라도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고, 분리된 상태를 시각적으로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의료용 연결대상 튜브1(1)과 연결대상 튜브2(2)의 연결부위 외부에 끼워져 연결 및 연통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위를 감싸서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연통시키는 신축적 연결부(11); 상기 연결부(11)의 일측 단은 튜브1(1)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 단은 튜브2(2)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신축적이면서 수축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1,2(1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튜브1,2(1),(2)는 상호 연결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의료용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튜브1,2(1),(2)의 선단은 직경이 확장된 돌출부위가 형성되거나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튜브1(1)은 인체에 삽입되는 삽관튜브이고, 상기 튜브2(2)는 인공호흡기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튜브연결부위고정구(10)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우레탄을 포함한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튜브연결부위고정구(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1)는 전체가 신축성 튜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1)는 중앙부분은 비신축성이고 양단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신축성이 커지는 튜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신축성은 연결부(11)의 재질적 탄성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1)는 신축주름(1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신축주름(11a)은 연결부(11) 전체에 형성되어 주름관으로 이루어지거나, 연결부(11)의 일부 구간(중간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1)의 신축주름(11a)은 튜브1,2(1),(2)가 완전 결합되었을 때, 수축하여 주름 외부면들이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신축주름(11a)은 주름 사이 사이에 위험알림표시부(14)가 표시되어, 수축시 주름 사이에서 가려지고 신장시 주름이 펼쳐지는 것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고정부1,2(12),(13)는 튜브1,2(1),(2)의 선단에 형성되는 직경 확장형 돌출부위 또는 플랜지를 감싸면서 수축 고정력에 의해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인 튜브연결부위고정구(10)는 신축 가능한 재질 내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튜브1,2(1),(2)를 양측에서 꽂아 연결할때, 고정부1,2(12),(13)가 탄력적으로 확장되면서 벌어져 삽입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삽입 연결된 후에 고정부1,2(12),(13)가 원상태로 수축되면서 압착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튜브1,2(1),(2)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러한 작용을 간소한 구조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공호흡기 튜브와 환자에 삽입된 삽관튜브의 연결부위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더라도, 인공호흡기 튜브인 튜브2(2)의 단부와 삽관튜브인 튜브1(1)의 단부에 그대로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11)에 의해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인공호흡이 지속적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를 보호하는 한편 의료진 또는 보호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간으로 확보하도록 하는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11)에 길이의 신장과 단축이 가능한 신축주름(11a)이 형성됨으로써, 연결부(11)가 신장된 상태에서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튜브의 연결이 수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튜브가 연결된 후 의도치 않게 분리되더라도 상기 연결부(11)가 단축된 상태에서 신장되면서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 튜브의 연결 상태를 최대한 지속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축주름(11a)의 주름 사이사이에 위험알림표시부(14)가 마련되어, 수축시 주름 사이에서 가려지고 신장시 주름이 펼쳐지는 것에 의해 외부로 노출 즉, 상기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튜브가 분리되는 것에 의해 연결부(11)의 신축주름(11a)이 신장되면서 주름 사이에 가려져 있던 위험알림표시부(1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튜브가 분리된 것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튜브1,2(1),(2)가 연결된 상태에서 클립부1(22)을 튜브1(1)의 선단의 돌출된 부위 예컨대, 플랜지 부분에 걸리도록 탄발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클립부2(23)를 튜브2(2)의 선단의 돌출된 부위에 걸리도록 탄발적으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튜브1,2(1),(2)의 연결 고정 및 반대로 해체가 수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 및 해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21)의 중간 부분이 절결 분리되고, 절결 분리된 양측 선단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선단 외경의 나사산이 각각 양측에 대칭으로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21)의 절결 분리된 양단이 위치이동하면서 폭조절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25)가 마련되어, 상기 간격조절부(25)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 시 양측의 클립부1,2(22),(23)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폭이 좁혀지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 조작 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폭이 넓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튜브1(1)과 튜브2(2)의 끼움 깊이가 더욱 깊어져 견고한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용도 내지 모델에 따라 연결 폭을 포함한 사이즈가 다양한 상기 튜브1,2(1),(2)의 연결 후 고정 시, 상기 간격조절부(25)를 회전 조작하여 클립부1,2(22),(23)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튜브1,2(1),(2)가 정확히 연결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삽관튜브와 인공호흡기 튜브의 연결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관절개튜브와 인공호흡기 튜브의 연결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튜브간 연결부위가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상태에서, 튜브가 탈리되었을때에 튜브간 연통을 유지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에 의해 튜브간 연결부위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이 적용된 상태에서, 튜브가 탈리되었을때에 튜브간 연통을 유지시키는 가운데, 탈리 상태로 외부로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튜브들에 체결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튜브들에 체계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폭 조절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을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1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튜브연결부위고정구(10)는 일실시예적으로,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연결대상 튜브1(1)과 연결대상 튜브2(2)의 연결부위 외부에 끼워져 연결 및 연통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위를 감싸서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연통시키는 신축적 연결부(11); 상기 연결부(11)의 일측 단은 튜브1(1)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 단은 튜브2(2)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신축적이면서 수축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1,2(12),(1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1)는 전체가 신축성 튜브체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1)는 중앙부분은 비신축성이고 양단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신축성이 커지는 튜브체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축성은 연결부(11)의 재질적 탄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1)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주름(11a)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축주름(11a)은 연결부(11) 전체에 형성되어 주름관으로 이루어지거나, 연결부(11)의 일부 구간(중간 부분)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신축주름(11a)은 튜브1,2(1),(2)가 완전 결합되었을 때, 수축하여 주름 외부면들이 면접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신축주름(11a)은 주름 사이 사이에 위험알림표시부(14)가 마련되어, 수축시 주름 사이에서 가려지고 신장시 주름이 펼쳐지는 것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고정부1,2(12),(13)는 튜브1,2(1),(2)의 선단에 형성되는 직경 확장형 돌출부위 또는 플랜지를 감싸면서 수축 고정력에 의해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튜브연결부위고정구(20)는 다른 실시예적으로, 첨부 도면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연결대상 튜브1(1)과 연결대상 튜브2(2)의 연결부위 외부에 끼워져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튜브1(1)과 튜브2(2)의 선단에 각각 탄력적으로 체결되도록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일측 개방형 클립부1,2(22),(23); 상기 클립부1,2(22),(23)의 개방된 일측 양단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1);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클립부1,2(22),(23)는 C' 형태로 이루어진 경질의 와이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부1,2(22),(23)는 'C' 형태로 이루어진 양단부가 탄성적으로 확장/수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21)는 클립부1,2(22),(23)의 개방된 일측 양단을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경질의 와이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21)는 첨부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절결 분리되고, 절결 분리된 양측 선단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선단 외경의 나사산이 각각 양측에 대칭으로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21)의 절결 분리된 양단이 위치이동하면서 폭조절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25)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연결대상 튜브1(1)과 연결대상 튜브2(2)의 연결부위 외부에 끼워져 연결 및 연통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위를 감싸서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연통시키는 신축적 연결부(11); 상기 연결부(11)의 일측 단은 튜브1(1)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 단은 튜브2(2)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신축적이면서 수축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1,2(12),(13);를 포함하는 튜브연결부위고정구(10)이다.
참고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튜브1,2(1),(2)는 상호 연결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의료용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튜브나 관체가 모두 대상이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튜브1(1)은 인체에 삽입되는 삽관튜브이고, 상기 튜브2(2)는 인공호흡기 튜브인 것을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튜브1,2(1),(2)의 선단은 직경이 확장된 돌출부위가 형성되거나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에서, 튜브1,2(1),(2)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가 직경이 확장된 돌출부위이고 다른 하나의 선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경우,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고, 상기 튜브1,2(1),(2) 모두의 선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경우,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인 튜브연결부위고정구(10)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우레탄을 포함한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나열한 재질 이외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인체에 무해한 것이면 모두 적용 대상이 된다.
상기와 같이 신축 가능한 재질 내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야만, 튜브1,2(1),(2)를 양측에서 꽂아 연결할때, 고정부1,2(12),(13)가 탄력적으로 확장되면서 벌어져 삽입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삽입 연결된 후에 고정부1,2(12),(13)가 원상태로 수축 복구하여 압착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인 튜브연결부위고정구(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될 경우, 상기 튜브1,2(1),(2)가 연결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고, 유심히 살핀다면 탈리 상태의 확인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1)는 전체가 신축성 튜브체이거나, 중앙부분은 비신축성이고 양단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신축성이 커지는 튜브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신축성은 연결부(11)의 재질적 탄성에 의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고정부1,2(12),(13)는 튜브1,2(1),(2)의 선단에 형성되는 직경 확장형 돌출부위 또는 플랜지를 감싸면서 수축 고정력에 의해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상기 직경 확장형 돌출부위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좌측 부분에 해당되고, 상기 플랜지는 첨부 도면 도 4의 우측 부분과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2)인 인공호흡기 튜브의 선단부(직경 확장형 돌출부위)에 고정부2(13)를 탄력적으로 끼워서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튜브1(1)인 삽관튜브를 고정부1(12)에 탄력적으로 끼워서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튜브1,2가 연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인공호흡기 튜브를 통해 삽관튜브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여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호흡기 튜브와 환자에 삽입된 삽관튜브의 연결부위가 의도치 않게 분리될 경우, 본 발명인 튜브연결부위 고정구(10)가 인공호흡기 튜브인 튜브2(2)의 단부와 삽관튜브인 튜브1(1)의 단부에 그대로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11)에 의해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인공호흡이 지속적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를 보호하는 한편 의료진 또는 보호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간으로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에 신축주름(11a)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축주름(11a)은 연결부(11) 전체에 형성되어 연결부 자체가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나, 상기 연결부(11)의 일부 구간(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11)에 길이의 신장과 단축이 가능한 신축주름(11a)이 형성됨으로써, 연결부(11)가 신장된 상태에서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튜브의 연결이 수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튜브가 연결된 후 의도치 않게 분리되더라도 상기 연결부(11)가 단축된 상태에서 신장되면서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 튜브의 연결 상태를 최대한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인 상기 신축주름(11a)은 튜브1,2(1),(2)가 완전 결합되었을 때, 수축하여 주름 외부면들이 면접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신축주름(11a)의 주름 사이사이에 위험알림표시부(14)가 표시되어, 수축시 주름 사이에서 가려지고 신장시 주름이 펼쳐지는 것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신축주름(11a)의 주름 사이사이에 위험알림표시부(14)가 마련되어, 수축시 주름 사이에서 가려지고 신장시 주름이 펼쳐지는 것에 의해 외부로 노출 즉, 상기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튜브가 분리되는 것에 의해 연결부(11)의 신축주름(11a)이 신장되면서 주름 사이에 가려져 있던 위험알림표시부(1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튜브가 분리된 것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인 튜브연결부위고정구(20)는 다른 실시예적으로, 첨부 도면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연결대상 튜브1(1)과 연결대상 튜브2(2)의 연결부위 외부에 끼워져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튜브1(1)과 튜브2(2)의 선단에 각각 탄력적으로 체결되도록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일측 개방형 클립부1,2(22),(23); 상기 클립부1,2(22),(23)의 개방된 일측 양단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1); 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클립부1,2(22),(23)는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형태로 이루어진 경질의 와이어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며, 이때, 상기 클립부1,2(22),(23)는 'C' 형태로 이루어진 양단부가 탄성적으로 확장/수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재질적으로 그러한 것이 마땅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21)는 클립부1,2(22),(23)의 개방된 일측 양단을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경질의 와이어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기 튜브1,2(1),(2)가 연결된 상태에서 클립부1(22)을 튜브1(1)의 선단의 돌출된 부위 예컨대, 플랜지 부분에 걸리도록 탄발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클립부2(23)를 튜브2(2)의 선단의 돌출된 부위에 걸리도록 탄발적으로 체결하게 되면, 첨부 도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1) 양측에 일체로 이루어진 고정부1,2(22)(23)가 튜브1,2(1),(2)의 연결 상태를 견고히 고정 유지시키면서 탈리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클립부1,2(22),(23)와 연결부(21)가 와이어 형태의 클립으로 이루어져, 인공호흡기 튜브와 삽관튜브가 연결된 상태에서 탄력적 끼움을 통해, 튜브1,2(1),(2)에 대한 고정이 수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21)는 첨부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절결 분리된 상태에서 절결 분리된 양측 선단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선단 외경의 나사산이 각각 결합되도록 양측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조절부(25)가 마련되어, 상기 간격조절부(25)의 회전 조작에 의해 연결부(21)의 절결 분리된 양단이 위치이동하면서 폭조절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중간 부분이 절결 분리된 상기 연결부(21)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조절부(25) 양측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선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 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폭이 좁혀지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 조작 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폭이 넓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기 튜브1,2(1),(2)가 연결된 상태에서 클립부1(22)을 튜브1(1)의 선단의 돌출된 부위 예컨대, 플랜지 부분에 걸리도록 탄발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클립부2(23)를 튜브2(2)의 선단의 돌출된 부위에 걸리도록 탄발적으로 체결하되, 상기 간격조절부(25)를 회전시켜 폭을 좁힘으로써, 상기 튜브1(1)과 튜브2(2)의 끼움 깊이가 더욱 깊어지면서 견고히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은 용도 내지 모델에 따라 연결 폭을 포함한 사이즈가 다양한 상기 튜브1,2(1),(2)의 연결 후 고정 시, 상기 간격조절부(25)를 회전 조작하여 클립부1,2(22),(23)의 간격을 조절하여 정확히 연결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20 : 튜브연결부위고정구 11 : 연결부
11a : 신축주름 12 : 고정부1
13 : 고정부2 14 : 위험알림표시부
21 : 연결부 22 : 클립부1
23 : 클립부2 25 : 간격조절부
1,2 : 튜브1,2

Claims (4)

  1. 의료용 연결대상 튜브1(1)과 연결대상 튜브2(2)의 연결부위 외부에 끼워져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튜브1(1)과 튜브2(2)의 선단에 각각 탄력적으로 체결되도록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일측 개방형 클립부1(22)과 클립부2(23); 및
    상기 클립부1(22)과 상기 클립부2(23)의 개방된 일측 양단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1);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1)는,
    중간 부분이 절결 분리된 상태에서 절결 분리된 양측 선단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선단 외경의 나사산이 각각 결합되도록 양측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조절부(25)가 마련되어, 상기 간격조절부(25)의 회전 조작에 의해 연결부(21)의 절결 분리된 양단이 위치이동하면서 폭조절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연결부위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1(22)과 상기 클립부2(23)는,
    'C' 형태로 이루어진 경질의 와이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연결부위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1)는,
    클립부1(22)과 클립부2(23)의 개방된 일측 양단 각각을 평행하게 동일체로 연결하는 경질의 와이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연결부위고정구.
  4. 삭제
KR1020230019994A 2021-04-15 2023-02-15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KR102579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994A KR102579052B1 (ko) 2021-04-15 2023-02-15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214A KR102524661B1 (ko) 2021-04-15 2021-04-15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KR1020230019994A KR102579052B1 (ko) 2021-04-15 2023-02-15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214A Division KR102524661B1 (ko) 2021-04-15 2021-04-15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345A KR20230028345A (ko) 2023-02-28
KR102579052B1 true KR102579052B1 (ko) 2023-09-14

Family

ID=838056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214A KR102524661B1 (ko) 2021-04-15 2021-04-15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KR1020230019994A KR102579052B1 (ko) 2021-04-15 2023-02-15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214A KR102524661B1 (ko) 2021-04-15 2021-04-15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46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971B1 (ko) 1996-12-10 1999-06-15 전주범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US9468730B2 (en) 2006-02-06 2016-10-18 Lazarus Medical, LLC Ventilator to tracheotomy tube coupling
JP2017158704A (ja) 2016-03-08 2017-09-14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コネクタ
JP2020507369A (ja) * 2017-02-06 2020-03-12 インテュイティブ サージカル オペレ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システムの構成要素を結合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394U (ko) * 1999-05-04 2000-12-05 김학건 수지관 일체형 융착용 연결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971B1 (ko) 1996-12-10 1999-06-15 전주범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US9468730B2 (en) 2006-02-06 2016-10-18 Lazarus Medical, LLC Ventilator to tracheotomy tube coupling
JP2017158704A (ja) 2016-03-08 2017-09-14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コネクタ
JP2020507369A (ja) * 2017-02-06 2020-03-12 インテュイティブ サージカル オペレ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システムの構成要素を結合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345A (ko) 2023-02-28
KR20220142765A (ko) 2022-10-24
KR102524661B1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7735A (en) Nasal cannula
US5782236A (en) Ventilator tube retain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or tracheostomy
GB2465455A (en) Connector for respiratory gas tubing
AU2006228122B2 (en) Arrangement comprising a catheter and connector piece, and valve for passage of a catheter
JPH10179740A (ja) 軽重量呼吸装置
US6612309B1 (en) Ventilator tube retention strap for use with endotracheal or tracheostomy tube
US10688267B2 (en) Apparatus for fluid tube
US20190143063A1 (en) Tracheostomy tube with filleted flange
US20170028155A1 (en) Couplings, tracheostomy tubes and airway systems
KR101495307B1 (ko)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102579052B1 (ko)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WO2015140576A1 (en) Fixation apparatus
JP2018507741A (ja) 気管切開チューブアセンブリ
US20160058965A1 (en) Cannula device
US6668825B2 (en) Ventilation tube connection system
US3953060A (en) Slip-proof coupling device
CN211535890U (zh) 一种颈内静脉透析管固定装置
CN206404140U (zh) 一种耳挂及耳挂式鼻氧管
TWI326604B (ko)
CN216091761U (zh) 一种具有双管线槽型牙垫的喉罩
CN211512994U (zh) 一种用于呼吸机的封堵装置及呼吸机
CN219847775U (zh) 一种洗胃管固定面罩
KR102195280B1 (ko) 삽관 고정장치
CN211068579U (zh) 一种管路支撑装置
CN212466775U (zh) 一种麻醉科用吸氧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