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723B1 -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Google Patents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8723B1 KR102578723B1 KR1020200149147A KR20200149147A KR102578723B1 KR 102578723 B1 KR102578723 B1 KR 102578723B1 KR 1020200149147 A KR1020200149147 A KR 1020200149147A KR 20200149147 A KR20200149147 A KR 20200149147A KR 102578723 B1 KR102578723 B1 KR 1025787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ygen supply
- supply unit
- water
- oxygen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62 neural network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 상기 수조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에 탈착식 커버가 구비되는 산소공급유닛; 상기 산소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적층되어 구비되는 여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공급유닛은,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관이 연결된 산소공급기와,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이 연결되는 수중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부가 커버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에 적층하여 여과부를 손쉽게 탈착하기 위한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이나 조경시설에 주로 많이 쓰이는 수중펌프에는 펌핑시 수중내에 있는 이물질이 흡입되지 못하도록 이를 여과시키는 여과기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여과기를 설치하는 이유는 각종 부유물이나 이물질이 수중펌프내에 들어가게 되면 임펠라에 걸려서 수중펌프의 가동이 중지되거나, 또는 수중펌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혼탁해져서 결국 수중내를 전체적으로 혼탁시키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기존의 여과기는 통상 원통형의 여과통에 조그마한 소공이 무수히 뚫린 상태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수중펌프를 가동시키면 입수구로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주변의 물이나 각종 이물질이 입수구로 빨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물질은 여과기의 조그마한 소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통에 의해 걸림으로써 펌프내로 유입되는 물이 여과된다.
여기서, 간혹 수초와 같은 비교적 큰 이물질이 걸리게 되는 경우에는 조그마한 수공이 막혀 버림으로써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펌핑되는 토출량이 감소하게 되어 수중펌프의 토출 압력이 저하되며, 여과기의 주 기능인 수중내 물의 여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부가 커버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에 적층하여 여과부를 손쉽게 탈착하여 신속한 유지보수를 위한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담수된 물에 수중펌프가 담수되는 구조에 의해 산소공급기와 수중펌프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조;
상기 수조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에 탈착식 커버가 구비되는 산소공급유닛;
상기 산소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적층되어 구비되는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소공급유닛은,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관이 연결된 산소공급기와,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이 연결되는 수중펌프를 포함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외부에 구비된 흡입수단과,
상기 흡입수단과 연결된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의 일측은 상기 산소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밸브의 타측은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구비된 음압관과 연결되되,
상기 개폐밸브의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수단이 동작되면, 상기 음압관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를 음압으로 형성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수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유닛과 연동되되,
상기 수위센서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개폐밸브를 OFF하고 상기 산소공급기와, 상기 수중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개폐밸브를 ON하고 상기 산소공급기와, 상기 수중펌프를 작동을 중단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조의 내부에 물을 흡입하여 상기 산소공급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흡입관이 연결되되,
상기 수조의 위치는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위치보다 상부로 위치되고,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가 음압이 형성되면, 수두차에 의해 상기 수조의 내부에 담수된 물을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로 흡입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과,
타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에 따르면, 여과부가 커버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에 적층하여 여과부를 손쉽게 탈착하여 신속한 유지보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담수된 물에 수중펌프가 담수되는 구조에 의해 산소공급기와 수중펌프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감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커버 탈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커버 탈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사용상태(수위센서 OFF)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사용상태(수위센서 ON)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커버 탈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은 크게, 수조(100)와, 산소공급유닛(200)과, 제어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먼저, 상기 수조(100)는, 내부에 용기 형태로 제작되어 일정용량의 물을 수용하게 되고, 다양한 관상생물이 식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조(100)는 투명한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의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관상생물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00)의 외부에는 투명창이 설치되고, 상기 투명창에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계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조(100)에 담수된 물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100)는 이하 설명될 산소공급유닛(200)으로 부터 산소와 물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은, 상기 수조(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에 탈착식 커버(21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은 기존의 수조(100)에 구비된 산소공급기, 필터, 물공급기 등의 필수구성을 별도로 배치함으로서 상기 수조(100)의 공간활용과, 상기 수조(100)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는 이하 설명될 보충수탱크(미도시)로 부터 보충수를 유입시켜 일정수위를 항시 유지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관(241)이 연결되는 산소공급기(240)와,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251)이 연결되는 수중펌프(2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산소공급기(240)는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관(241)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산소공급기(240)는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관상생물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데, 상기 산소공급기(240)와 연결된 상기 산소공급관(241)을 통해 산소를 직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기(240)의 일측에는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미도시)가 별도로 설치되어 이하 설명될 제어유닛(300)과 연동되는데,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미도시)는 상기 수조(100)에 공급되는 산소포화도를 측정한 후, 산소포화도가 높을 경우 이러한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30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유닛(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산소공급기(240)의 전원을 OFF시켜 산소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고, 산소포화도가 낮을 경우 상기 제어유닛(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산소공급기(240)의 전원을 ON시켜 신속하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산소공급기(240)의 일측에는 공급되는 산소의 공급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산소공급 유량측정센서(미도시)가 별도로 설치되어 이하 설명될 제어유닛(300)과 연동되는데, 상기 산소공급 유량측정센서(미도시)는 상기 수조(100)에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수조(100)에 산소공급이 비정상적(공급신호보다 높은공급, 공급신호보다 낮은공급)으로 공급되면 상기 산소공급 유량측정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고 알람을 통해 고장여부를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유닛(300)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유닛(300)과 연동된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미도시)와 상기 산소공급 유량측정센서(미도시)에서 평균 산소포화도와 평균 산소공급 유량 등을 모니터링하여 측정된 평균 산소포화도와 평균 산소공급 유량을 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상기 버블측정센서(310)에서 버블의 평균생성량 및 버블의 평균크기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미도시)에서 상기 수조(100)에 공급되는 산소포화도를 측정한 후, 산소포화도가 높을 경우 이러한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30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유닛(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산소공급기(240)의 전원을 ON/OFF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산소공급 유량측정센서(미도시)에서 상기 수조(100)에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수조(100)에 산소공급이 비정상적(공급신호보다 높은공급, 공급신호보다 낮은공급)으로 공급되면 상기 산소공급 유량측정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고 알람을 통해 고장여부를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릴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미도시)와 상기 산소공급 유량측정센서(미도시)에서 산소포화도 및 산소공급 유량 등의 평균값을 측정한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 신경망은 시계열적으로 축적된 데이터의 처리에 적합한 RNN(Recurrent Neural Networks)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산소포화도 및 산소공급 유량 등의 평균값을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NN이 재귀적(recurrent)한 트레이닝이 필요하여 너무 많은 트레이닝 코스트(목표 추정도를 맞출 수 있도록 학습에 필요한 시간 등)가 너무 높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주의(attention) 메카니즘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의 메카니즘의 경우, 입력 시계열 데이터를 인코딩(encoder)하고, 인코딩(encoding)된 데이터를 벡터화한 뒤, 주의 메카니즘을 거치고 나서, 이러한 벡터를 디코딩(deco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주의 메카니즘의 경우, 인코딩된 벡터들에 적절한 가중치(weight)을 곱하고, 이후 softmax 등의 정규화 함수를 거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RNN과 주의 메카니즘을 퉁해 학습한 데이터의 경우, 우리가 포커스하는 학습 데이터에 좀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신경망 학습의 코스트와 성능을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순간적인 외부의 노이즈 등에 강건한 형태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유닛(300)을 통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 즉, 상기 산소공급기(24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미도시)와 상기 산소공급 유량측정센서(미도시) 등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펌프(250)는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251)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수중펌프(250)는 수중에 배치 즉,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과 접촉되어야 하므로 방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수중펌프(250)는 상기 물공급관(251)을 통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을 상기 수조(100)의 내부로 일정용량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물을 흡입하여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흡입관(252)이 연결되되, 상기 수조(100)의 위치는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위치보다 상부로 위치되고,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가 음압이 형성되면, 수두차에 의해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을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조(100)의 위치가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수두압력에 의해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을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흡입관(252)은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담수된 오염된 물을 흡입하여 이하 설명될 여과부(230)를 통해 정화과정을 위해 흡입하는 구성이고, 이렇게 정화된 물을 다시 상기 물공급관(251)을 통해 정화된 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통해, 상기 수조(100)에 담수된 물을 항시 청결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외부에 구비된 흡입수단(I)과, 상기 흡입수단(I)과 연결된 개폐밸브(V)와, 상기 개폐밸브(V)의 일측은 상기 산소공급기(240)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밸브(V)의 타측은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구비된 음압관(24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V)의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수단(I)이 동작되면, 상기 음압관(242)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를 음압(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상태)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수위센서(S)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센서(S)는 상기 제어유닛(300)과 연동되되, 상기 수위센서(S)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300)이 상기 개폐밸브(V)의 OFF와 동시에 상기 흡입수단(I)의 동작을 중지시켜 상기 음압관(242)으로 흡입을 중단하고 상기 산소공급기(240)와, 상기 수중펌프(250)를 작동시켜 상기 수조(100) 측으로 산소와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수위센서(S)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유닛(300)이 상기 개폐밸브(V)를 ON와 동시에 상기 흡입수단(I)의 동작시켜 상기 음압관(242)을 통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를 음압을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산소공급기(240)와, 상기 수중펌프(250)의 작동을 중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산소공급유닛(200)과, 이하 설명될 수위센서(S) 및 개폐밸브(V)를 제어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수위센서(S)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센서(S)는 이하 설명될 제어유닛(300)과 연동되되, 상기 수위센서(S)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300)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설치된 수위센서(S)가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300)이 이를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로 인식하게 되고, 상기 산소공급유닛(200) 즉, 상기 산소공급기(240) 및 상기 수중펌프(250)를 가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산소공급기(240) 및 상기 수중펌프(250)가 물에 담수된 상태이므로 상기 산소공급기(240) 및 상기 수중펌프(250)가 무중력 상태이므로 상기 산소공급기(240) 및 상기 수중펌프(25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저진동 저소음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V)는 상기 제어유닛(300)과 연동되되, 상기 수위센서(S)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300)이 상기 개폐밸브(V)를 제어하여 상기 보충수탱크(미도시)로 부터 상기 보충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충수탱크(미도시)에서 상기 보충관(미도시)으로 부터 유입되는 보충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210)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220)과,상기 수직프레임(220)에 적층되어 구비되는 여과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20)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221)과, 타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222)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221)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222)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부(23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220)은 상부 수직프레임(220-H)과 하부 수직프레임(220-L)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0-H)과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220-L)은 상호 중첩되어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0-H)과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220-L)이 중첩되는 위치에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0-H)과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220-L) 간의 길이조절 후, 상기 스토퍼(미도시)를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0-H)과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220-L)이 중첩되는 위치에 직교하여 삽입함으로서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230)는 여과지(231)와 여과재(232)로 구분되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을 항시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여과지(231)와 상기 여과재(232)는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210)를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으로 부터 탈착하게 되면, 상기 커버(210)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220)에 구비되는 상기 여과부(230)와 상기 산소공급기(240) 및 상기 수중펌프(250)가 동시에 탈착하게 되고, 상기 커버(210)를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으로 부터 결합하게 되면, 상기 커버(210)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220)에 구비되는 상기 여과부(230)와 상기 산소공급기(240) 및 상기 수중펌프(250)가 동시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커버(210)를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으로 부터 결합하게 되면, 상기 여과부(230)와 상기 산소공급기(240) 및 상기 수중펌프(250)가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로 구비되는데,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이 상기 수위센서(S)에 감지되면 상기 제어유닛(300)이 상기 산소공급기(240) 및 상기 수중펌프(250)를 제어하여 상기 수조(100)에 물과 산소를 공급하게 되고,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이 상기 수위센서(S)에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유닛(300)이 상기 산소공급기(240) 및 상기 수중펌프(250)를 제어하여 상기 수조(100)에 물과 산소를 공급을 중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단계(S10)가 수행된다.
상기 전원인가단계(S10) 이후, 상기 개폐밸브(V)의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수단(I)이 동작되면, 상기 음압관(242)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를 음압(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상태)을 형성시키는 음압형성단계(S20)가 수행된다.
상기 음압형성단계(S20) 이후,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가 음압이 형성되면, 상기 물흡입관(252)을 통해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단계(S30)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수조(100)의 위치가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수두압력에 의해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을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단계(S30) 이후, 상기 수위센서(S)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40)가 수행된다.
상기 측정단계(S40)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이 일정 수위 이상이면 상기 제어유닛(300)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 즉, 상기 산소공급기(240)와 상기 수중펌프(250)를 작동하는 작동단계(S50)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단계(S40)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이 일정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산소공급유닛(200) 즉, 상기 산소공급기(240)와 상기 수중펌프(250)가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에 따르면, 여과부가 커버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에 적층하여 여과부를 손쉽게 탈착하여 신속한 유지보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담수된 물에 수중펌프가 담수되는 구조에 의해 산소공급기와 수중펌프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감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수조 200 : 산소공급유닛
210 : 커버 220 : 수직프레임
220-H : 상부 수직프레임 220-L : 하부 수직프레임
221 : 제1수직프레임 222 : 제2수직프레임
223 : 지지프레임 230 : 여과부
231 : 여과지 232 : 여과재
240 : 산소공급기 241 : 산소공급관
250 : 수중펌프 251 : 물공급관
525 : 물흡입관 I : 흡입수단
T-1 : 보충관 V : 개폐밸브
S : 수위센서
210 : 커버 220 : 수직프레임
220-H : 상부 수직프레임 220-L : 하부 수직프레임
221 : 제1수직프레임 222 : 제2수직프레임
223 : 지지프레임 230 : 여과부
231 : 여과지 232 : 여과재
240 : 산소공급기 241 : 산소공급관
250 : 수중펌프 251 : 물공급관
525 : 물흡입관 I : 흡입수단
T-1 : 보충관 V : 개폐밸브
S : 수위센서
Claims (6)
- 수조;
상기 수조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에 탈착식 커버가 구비되는 산소공급유닛;
물이 담수된 상기 산소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과,
타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여과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적층되어 구비되는 여과부와 산소공급기 및 수중펌프가 수직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유닛은,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관이 연결된 산소공급기와,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이 연결되는 수중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외부에 구비된 흡입수단과,
상기 흡입수단과 연결된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의 일측은 상기 산소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밸브의 타측은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구비된 음압관과 연결되되,
상기 개폐밸브의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수단이 동작되면, 상기 음압관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를 음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수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유닛과 연동되되,
상기 수위센서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개폐밸브를 OFF하고 상기 산소공급기와, 상기 수중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일정 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개폐밸브를 ON하고 상기 산소공급기와, 상기 수중펌프를 작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에 물을 흡입하여 상기 산소공급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흡입관이 연결되되,
상기 수조의 위치는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위치보다 상부로 위치되고,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가 음압이 형성되면, 수두차에 의해 상기 수조의 내부에 담수된 물을 상기 산소공급유닛의 내부로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9147A KR102578723B1 (ko) | 2020-11-10 | 2020-11-10 |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9147A KR102578723B1 (ko) | 2020-11-10 | 2020-11-10 |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3378A KR20220063378A (ko) | 2022-05-17 |
KR102578723B1 true KR102578723B1 (ko) | 2023-09-13 |
Family
ID=8180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9147A KR102578723B1 (ko) | 2020-11-10 | 2020-11-10 |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872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3957A (ja) * | 2002-05-17 | 2003-11-25 | Toshiro Urabe | 酸素富化浄水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1078Y1 (ko) * | 1990-05-26 | 1992-02-10 | 안민준 | 어항의 기포발생기 |
KR20050022499A (ko) * | 2003-09-02 | 2005-03-08 | 안흥선 |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수족관 |
KR20060030345A (ko) | 2004-10-05 | 2006-04-10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수중펌프 여과기 |
KR102124616B1 (ko) * | 2017-07-07 | 2020-06-18 | 김문달 |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
KR102079443B1 (ko) * | 2018-05-23 | 2020-02-20 |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 기압차를 이용한 흡인량조절장치 |
-
2020
- 2020-11-10 KR KR1020200149147A patent/KR1025787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3957A (ja) * | 2002-05-17 | 2003-11-25 | Toshiro Urabe | 酸素富化浄水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3378A (ko) | 2022-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50203B2 (ja) |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 |
DK2788110T3 (en) | AQUACULTURE SYSTEM AND PROCEDURE TO OPERATE A PUMP IN SUCH A SYSTEM | |
CN103619761B (zh) | 用于带有膜生物反应器的污水处理厂的控制系统 | |
KR102329058B1 (ko) | 분리막 모듈의 막힘 개소 특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조수 시스템 및 조수 방법 | |
JP6106844B2 (ja) | 空気清浄装置 | |
KR20100028116A (ko) | 간단한 여과 시스템을 위한 세정 방법 | |
EP3930869A1 (en) | Regenerative media filter air scour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2578723B1 (ko) |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 |
KR101482156B1 (ko) | 육상 양어장용 해수 공급장치 | |
US10167651B2 (en) | Pool water filtration system | |
JP5536399B2 (ja) | 外部濾過装置 | |
JP5928995B2 (ja) | 膜分離処理装置および該装置の運転方法 | |
US20230266027A1 (en) | An air purifier detecting errors | |
US20160090617A1 (en) | Concentration device for microorganisms in large volumes of turbid water and method therefor | |
KR100999945B1 (ko) | 분리막용 여과배관의 공기제거장치 | |
KR20180128595A (ko) | 수조용 여과 장치 | |
KR100864299B1 (ko) | 수면거품 수거구를 구비한 배수장치 | |
CN211078761U (zh) | 一种野外应急饮用水净化处理装置 | |
KR101061439B1 (ko) | 수족관용 여과장치 | |
US20090139916A1 (en) | Filtration device for aquarium | |
KR20140044985A (ko) | 역세척수의 유량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1169392B1 (ko) | 펌프가 내장되는 수족관용 여과기 | |
KR20160142705A (ko) | 수족관 정화장치 | |
JP7052926B1 (ja) | 分離膜モジュールの運転方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造水システム | |
JP2014240050A (ja) | 生物接触濾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