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402B1 -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402B1
KR102578402B1 KR1020180086882A KR20180086882A KR102578402B1 KR 102578402 B1 KR102578402 B1 KR 102578402B1 KR 1020180086882 A KR1020180086882 A KR 1020180086882A KR 20180086882 A KR20180086882 A KR 20180086882A KR 102578402 B1 KR102578402 B1 KR 10257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gas
boil
fuel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074A (ko
Inventor
이성재
김재휘
김성수
추교식
배재류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4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6Non-hydrocarbon fuels, e.g. hydrogen, ammonia or carbon mon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1/00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 F17C11/005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for 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16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for a specific material, e.g. carbon, hydride, absorbent
    • B63B277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71Arrangement
    • F17C2227/0185Arrangement comprising several pumps or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1Treating the boil-off by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45Hydrogen technologies in production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수소를 운반하는 액화수소 운반선에서 생성되는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수소 흡장 금속이 충전되고,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증발가스를 저장하는 수소 흡장 탱크;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고온의 수소 증발가스를 상기 수소 흡장 탱크로 공급하는 냉열 회수 장치; 및 상기 냉열 회수 장치와 선내 냉열 수요처를 연결하며, 냉열 수요처로부터 고온의 열전달 매체가 냉열 회수 장치로 이송되고, 냉열 회수 장치로부터 저온의 열전달 매체가 냉열 수요처로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열전달 매체 라인(ML);을 포함하여, 상기 냉열 회수 장치에서 회수된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은 선내 냉열 수요처로 공급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Boil-Off Gas Proceeding System for Liquefied Hydrogen Carrier}
본 발명은 액화수소를 운반하는 액화수소 운반선에서 생성되는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고 수소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저탄소 사회를 지향하고 있고, 수소가 이에 부합하는 중요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수소는 부생 수소, 원유 수반 가스, 갈탄 등의 미사용 에너지나 재생 에너지를 비롯하여 다양한 1차 에너지원으로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수소는 연료전지 등의 연료로 사용할 때 탄소를 배출시키지 않는 청정 연료일 뿐 아니라, 생산 단계에서도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과 결합하거나, 금속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등 전체적으로 탄소의 제로 배출화(zero emission)가 가능하다.
수소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향후 수소 기술과 관련된 과제는, 장거리에 걸친 수소의 저장 및 운송 기술의 개발이다. 수소 저장 기술에 대해서는 육상용 소형 탱크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고, 선박용 수소 저장탱크나 수소를 운반할 수 있는 선박 기술은 미비한 실정이다.
수소는 기체나 액화 어떤 형태로든 저장이 가능하지만, 대규모 수소의 이용에 있어서는 액화수소가 저장 및 운송의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에너지 밀도와 수송 효율이 높아 유리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액화수소는 비점이 약 -253℃인 초저온의 유체이고, 비중은 LNG(Liquefied Natural Gas)의 약 1/6 수준으로 작아 체적당 BOR(Boil-Off Rate)이 LNG의 약 10배에 달할 정도로 높다.
이러한 이유로, 액화수소를 저장하고 운송하는데 있어서, 액화수소의 선적 및 하역 시에도 대량의 플래시 가스(flash gas)가 발생하게 되며, 운송 중에도 액화수소 저장탱크 내부에서 액화수소가 자연기화하여 BOG(Boil-Off Gas)로 손실되어, 액화수소의 수송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액화수소 저장탱크에서 생성되는 BOG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자체의 열 누출에 의한 에너지 전달과 선박의 흔들림에 영향을 받아 유체가 전체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 운동 에너지에 의해 상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원인들은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장거리에 걸친 대용량의 액화수소를 운반하는 운반선에 있어서, 지속적인 BOG의 생성은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내압 상승을 초래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BOG를 배출시켜야만 한다.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BOG는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거나 태워버리는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결과적으로 수송 화물의 손실이 되는 것이므로 선호되는 방법은 아니다.
이와 같이,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BOG(플래시 가스 포함)를 선박 내에서 처리하는 것은 액화수소 저장 및 운송 기술의 주요 과제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액화수소를 선박을 이용하여 해상 운송하는데 있어서 액화수소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화수소 운반선 및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수소 흡장 금속이 충전되고,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증발가스를 저장하는 수소 흡장 탱크;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고온의 수소 증발가스를 상기 수소 흡장 탱크로 공급하는 냉열 회수 장치; 및 상기 냉열 회수 장치와 선내 냉열 수요처를 연결하며, 냉열 수요처로부터 고온의 열전달 매체가 냉열 회수 장치로 이송되고, 냉열 회수 장치로부터 저온의 열전달 매체가 냉열 수요처로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열전달 매체 라인(ML);을 포함하여, 상기 냉열 회수 장치에서 회수된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은 선내 냉열 수요처로 공급되는,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소 흡장 탱크와 연료 수요처를 연결하고, 상기 수소 흡장 탱크로부터 수소 증발가스가 연료 수요처로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3 수소 BOG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수요처는, 수소 혼합 연료를 연료로 사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엔진; 수소 혼합 연료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엔진; 및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연료 전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은 이중 연료 엔진이고, 상기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으로 공급할 가스 연료를 저장하는 가스 연료 저장탱크; 상기 가스 연료를 압축하는 가스 연료 압축기; 상기 수소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수소 압축기; 및 상기 가스 연료와 수소 증발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으로 공급할 수소 혼합 연료를 생성하는 연료 혼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화수소 운반선이 배출 규제지역을 운항할 때에는, 상기 연료 혼합기로 수소 증발가스를 공급하여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을 가동시키고, 상기 액화수소 운반선이 배출 미규제지역을 운항할 때에는, 상기 수소 증발가스를 상기 수소 흡장 탱크에 저장하거나 연료 전지로 공급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는, 실린더 타입 또는 구형 타입의 탱크이고, 진공 단열층을 가지며, 상기 수소 흡장 탱크는,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에 의해 형성된 선내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낭비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액화수소 운반선의 수소 운송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선내 냉열 수요처에 공급해줌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함으로써 수소 증발가스의 저장(흡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액화수소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100); 수소 흡장 금속이 충전되어 있고,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수소 증발가스(BOG; Boil-Off Gas)를 저장하는 수소 흡장 탱크(200); 및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로부터 수소 흡장 탱크(200)로 이송되는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는 냉열 회수 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증발하기 쉬운 초저온의 액화수소의 수송에 적합하도록 단열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조, 보냉층 및 외조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의 극저온 탱크로서 보냉층은 진공처리될 수 있고, 단열성이 우수한 단열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복사열 등에 의한 입열을 최소화하여, BOG 생성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액화수소 저장탱크(100)가 이중 구조의 탱크인 경우, 보냉층에 기체가 충전되면, 액화수소의 저온으로 기체가 고화 또는 액화될 수 있어 위험하므로, 보냉층은 진공 배기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액화수소 저장탱크(100)의 지지에 있어서는, 열 전달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강도가 향상된 지지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수소의 비점은 약 -253℃으로, 헬륨 가스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체와 접하면 기체가 고화 또는 액화될 수 있으므로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물론 본 실시예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 및 각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 등은 단열처리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만을 도시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액화수소 운반선에는 하나 이상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액화수소 운반선의 선체 수미 방향 및 선체 안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실린더 타입 또는 구형 타입의 탱크일 수 있다. 실린더 타입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액화수소를 선적 및 하역할 때 유연하게 저온 수축될 수 있다. 구형 타입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증발가스 생성에 따른 압력 상승을 견디기에 유리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액화수소 운반선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모두가 동일한 타입의 탱크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타입의 탱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체의 수미 측에 설치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선체 안쪽에 설치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보다 외부열이 침입하기에 용이하므로 구형 타입의 탱크로 구비하고, 선체 안쪽에 설치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구형 타입의 탱크보다 적재가 용이하여 공간 활용성이 좋은 실린더 타입의 탱크로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증발가스 생성에 따른 압력 상승을 견딜 수 있는 압력탱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약 4 bar 내지 30 bar 정도의 설정압력까지의 압력 상승을 견딜 수 있는 구조이고, 내압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안전밸브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로부터 증발가스를 배출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와 냉열 회수 장치(300)는, 제1 수소 증발가스 라인(GL1);에 의해 연결된다.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증발가스는, 제1 수소 증발가스 라인(GL1)을 따라 냉열 회수 장치(300)로 이송되고, 냉열 회수 장치(300)에서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다.
액화수소 저장탱크(100)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수소는 약 -253℃의 극저온이므로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증발가스 역시 액화수소의 저장온도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극저온이다.
액화수소 운반선 등 선박에는 엔진의 냉각수, 발전기의 냉각 냉매, 선실 공조기 냉매, 연료전지 냉매 등 냉열이 필요한 냉열 수요처에 냉열을 공급하기 위한 냉각 수단이 필수적으로 탑재된다.
본 실시예의 냉열 회수 장치(300)는, 선내 각종 냉열 수요처로 냉열을 공급하는 냉각 수단으로서,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선내 각종 냉열 수요처로 공급해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열 회수 장치(300)와 선내 냉열 수요처(미도시)는, 열전달 매체 라인(ML)에 의해 연결된다. 선내 냉열 수요처를 순환하는 고온의 열전달 매체는 열전달 매체 라인(ML)을 따라 냉열 수요처로부터 냉열 회수 장치(300)로 이송되고, 냉열 회수 장치(300)에서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저온의 열전달 매체가 열전달 매체 라인(ML)을 따라 냉열 회수 장치(300)로부터 냉열 수요처로 이송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냉열 회수 장치(300)에서는, 제1 수소 증발가스 라인(GL1)을 통해 이송된 수소 증발가스와 열전달 매체 라인(ML)을 통해 선내 발전 장치로부터 이송된 고온의 열전달 매체가 열교환하여, 수소 증발가스는 가열되고, 열전달 매체는 냉각되며, 가열된 수소 증발가스는 제2 수소 증발가스 라인(GL2)을 따라 수소 흡장 탱크(200)로 이송되고, 냉각된 열전달 매체는 열전달 매체 라인(ML)을 따라 발전 장치로 이송되어 발전 장치를 냉각시킨다.
본 실시예의 냉열 회수 장치(300)와 수소 흡장 탱크(200)는 제2 수소 증발가스 라인(GL2);에 의해 연결된다. 냉열 회수 장치(300)에서 열교환에 의해 승온된 수소 증발가스는 제2 수소 증발가스 라인(GL2)을 따라 수소 흡장 탱크(200)로 이송되고, 수소 흡장 탱크(200)로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어 수소 흡장 탱크(200)에 충전된 수소 흡장 금속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의 수소 흡장 탱크(200)에는 수소 흡장 금속이 충전되어 있을 수 있다. 수소 흡장 금속은, 냉각에 의해 수소 기체(수소 증발가스)를 금속 수소화물로서 저장하고, 가열에 의해 금속 수소화물로부터 수소 기체(수소 증발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수소 흡장 탱크(200) 만을 도시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수소 흡장 탱크(20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수소 흡장 금속으로의 수소 저장 반응은 발열반응이고, 수소 흡장 금속으로부터의 수소 방출 반응은 흡열반응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소 흡장 탱크(200)는, 수소 저장 반응 및 수소 방출 반응의 속도 향상을 위해 수소 저장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고, 수소 방출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열교환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수소의 빠른 저장 및 방출 속도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열교환기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수소 흡장 금속이 충전된 수소 흡장 탱크(200)에 수소 증발가스를 저장하면, 단위체적당 수소밀도가 높고, 수소 흡장 탱크(200)가 파손되더라도 폭발성을 지닌 수소 증발가스가 급격하게 방출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예를 들어 수소 흡장 금속은, 희토류계, 티타늄계, 바나듐계, 마그네슘 등의 금속재료이거나, 아라네이트 등의 무기계 수소화물 재료일 수 있고, 또는 카본계 재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소 흡장 금속에는 수소 기체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촉매가 첨가될 수도 있다.
또한, 수소 흡장 탱크(200)는 수소 저장 반응에 의해 수소 흡장 금속의 체적이 증가함으로써 탱크(200)의 내벽에 응력을 가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셀로 구획되어 있을 수 있다.
수소 흡장 금속은, 약 0℃ 내지 실온 정도에서 높은 저장 효율을 나타내고, 액화수소의 증발점 부근의 저온에서는 저장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수소 증발가스를 수소 흡장 금속이 충전된 수소 흡장 탱크(200)에 저장하되, 극저온의 수소 증발가스를 수소 흡장 탱크(200)에 저장하기 전에, 냉열 회수 장치(300)에서 열교환시켜 선내 각종 냉각 수단으로 냉열을 회수함으로써, 열교환에 의해 수소 흡장에 최적인 온도로 승온시켜 저장하며, 수소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열 회수 장치(300)에서는 저온의 수소 증발가스를 필요로 하고, 수소 흡장 탱크(200)에서는 고온의 수소 증발가스를 필요로 하므로, 냉열 회수 장치(300)는, 수소 흡장 탱크(200)보다 액화수소 저장탱크(100)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선내 각종 냉각 수단으로 냉열을 공급해주므로, 냉매 사이클 등 별도의 냉열 공급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에너지 비용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방형이 아닌 실린더 또는 구형 타입이므로, 선체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소 흡장 탱크(200)는 액화수소 저장탱크(100) 등에 의해 형성된 데드 스페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소 흡장 탱크(200)에 저장된 수소 증발가스는, 액화수소 운반선이 수소 수요처로 액화수소를 하역하기 위하여 또는 수소 공급처로부터 액화수소를 선적하기 위하여 정박했을 때, 육상의 수소 수요처로 공급해줄 수 있다.
또는, 수소 흡장 탱크(200)에 저장된 수소 증발가스는, 선내 연료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소 흡장 탱크(200)와 선내 연료 수요처는 제3 수소 증발가스 라인(GL3);에 의해 연결되며, 수소 흡장 탱크(200)에 저장된 수소 증발가스는 제3 수소 증발가스 라인(GL3)을 따라 선내 연료 수요처로 이송될 수 있다.
제3 수소 증발가스 라인(GL3)의 개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수소 흡장 탱크(200)의 내압, 연료 수요처에서의 수소 수요 발생 여부 등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수소 흡장 탱크(200)의 내압에 따라 자동 제어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선내 연료 수요처는, 수소를 가스 또는 오일 연료와 혼소하여 액화수소 운반선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엔진(미도시); 수소를 가스 또는 오일 연료와 혼소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엔진(미도시); 및 수소와 산소를 연료로 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연료전지(미도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은, 천연가스와 같은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가스 엔진 또는 HFO(Heavy Fuel Oil), 디젤과 같은 오일 연료를 사용하는 디젤 엔진 또는 가스 연료와 오일 연료를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고, 수소 흡장 탱크(200)에 저장된 수소 증발가스나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수소 증발가스를 가스 연료 또는 오일 연료와 혼소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화수소 저장탱크(100)와 연료 수요처를 연결하여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로부터 수소 증발가스가 수소 흡장 탱크(200)를 거치지 않고 연료 수요처로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으로 가스 연료 또는 오일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연료 공급 장치는, 가스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탱크(미도시); 가스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하는 연료 압축기(미도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가스 연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미도시); 및 가스 연료와 압축 수소를 혼합하는 연료 혼합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연료가 액화 상태로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액화 상태의 가스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이 이중연료 엔진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가스 연료로서 천연가스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천연가스 연료는 액화상태, 즉 LNG(Liquefied Natural Gas)로 연료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오일 연료로서는 HFO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연료 혼합기에서는 LNG를 강제기화시킨 천연가스나 LNG가 자연기화하여 생성된 천연가스 증발가스와 수소 증발가스를 혼합하여 HCNG(Hydrogen-enriched Compressed Natural Gas) 연료가 생성되며, HCNG 연료를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의 연료로 공급할 수 있다.
HCNG 연료는 청정 대체 연료로서, 천연가스 연료와 수소 연료의 이점을 복합적으로 가진다. 수소를 첨가함으로써, 천연가스의 연료의 연소 속도(burning velocity)와 연소 불안정성(poor combustion stability)을 개선할 수 있다. 천연가스 연료는 미립자(particulate matters)와 탄화수소 등 오염물질의 배출이 적다는 장점 때문에 대체 연료로서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HCNG 연료는 엔진의 효율 및 출력을 증가시키고, 엔진 제어 개선을 통해 오염물질의 배출량은 저감시킨다는 점에서 천연가스의 이점을 넘어서는 청정연료로서의 가치가 있다.
또한, 수소는, 반응성이 크고 화염전파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연소 지속시간이 짧다. 따라서, 엔진으로 공급하는 천연가스 또는 천연가스의 BOG 연료에, 수소를 미량만 첨가하더라도 연료의 연소가 촉진되므로, 연소의 안정성이 증대되어 메탄 슬립 등 탄소 배출량은 물론, 질소산화물 등의 오염물질의 배출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 전지(미도시)는, 외부공기와 수소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며, 외부공기를 공급받는 공기극(cathode)과 수소 증발가스를 공급받는 연료극(anode)로 구성된다.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의 변환없이 전지 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직접 전기 에너지로 바꾸기 때문에 효율이 높고 공해가 거의 없는 이상적인 발전시스템이다.
연료 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작동 온도 범위가 달라지며, 연료 전지로 공급되는 공기와 수소의 온도를 연료 전지의 작동 온도 범위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전 엔진 및/또는 연료 전지에서 생성한 전력은, 선내 전력 수요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액화수소 운반선은, 액화수소 저장탱크(100)에서 생성된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연료 전지 등 냉열 수요처로 냉열을 공급해줄 수 있고, 냉열 수요처로 냉열을 공급해줌으로써 수소 흡장 탱크(200)의 저장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되며, 높은 저장 효율로 수소 흡장 탱크(2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소 증발가스를 혼합한 HCNG 연료를 추진 엔진, 발전 엔진, 연료 전지 등의 연료로 사용하여 추진력 및 전력을 생성하므로, 친환경 액화수소 운반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전 엔진 및/또는 연료 전지에서 생산한 전력 중에서 선내 전력 수요처에서 활용하고 남은 잉여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전지(미도시)에 저장된 전력은 액화수소 운반선이 북미 등 ECA(Emission Control Area)나 항내 등 배출 규제지역을 운항할 때나 항구에 정박하였을 때 선내 전력 수요처에서 사용할 수 있고, 항구에 정박하였을 때 육상으로 송전할 수도 있다.
전력의 공급, 저장 및 방출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이 배출 미규제지역을 운항할 때에는, 오일 연료나 가스 연료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추진력 및 전력을 생산하고, 선박이 배출 규제지역을 운항할 때에나 항구에 정박할 때에는, 수소 증발가스를 혼합한 HCNG 연료를 연료로 사용하여 추진력 및/또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 공급을 운용함으로써, 항구 내 제로 배출화를 실현할 수 있고 Tier Ⅲ 등 까다로운 배출 규제지역의 배출 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어 친환경 선박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비용 및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액화수소 운반선은, 수소의 비중이 작기 때문에(LNG의 약 1/6), 기존의 LNG 운반선 등 액화화물 운반선과는 다르게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축전지를 선체의 균형에 따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저비중을 보완하여 선박의 만재 시 흘수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버려지는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선내 각종 냉열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냉열 수요처로 냉열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선내 냉열 수요처로 냉열을 공급해줌으로써 수소 증발가스의 온도는 높아져 수소 흡장 금속에 저장하기에 적합한 온도가 되며, 따라서, 수소 증발가스를 저장 효율이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는 수단을 필요로하지 않고도 수소 증발가스의 온도를 저장에 적합한 온도까지 가열함은 물론 수소 흡장 금속으로의 저장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액화수소 저장탱크
200 : 수소 흡장 탱크
300 : 냉열 회수 장치
GL1 : 제1 수소 BOG 라인
GL2 : 제2 수소 BOG 라인
GL3 : 제3 수소 BOG 라인

Claims (5)

  1.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수소 흡장 금속이 충전되고,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증발가스를 저장하는 수소 흡장 탱크;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고온의 수소 증발가스를 상기 수소 흡장 탱크로 공급하는 냉열 회수 장치; 및
    상기 냉열 회수 장치와 선내 냉열 수요처를 연결하며, 냉열 수요처로부터 고온의 열전달 매체가 냉열 회수 장치로 이송되고, 냉열 회수 장치로부터 저온의 열전달 매체가 냉열 수요처로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열전달 매체 라인(ML);을 포함하고,
    상기 냉열 회수 장치와 상기 수소 흡장 탱크는 제2 수소 BOG 라인(제2 수소 증발가스 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냉열 회수 장치에서 회수된 수소 증발가스의 냉열은 선내 냉열 수요처로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냉열 회수 장치는 상기 수소 흡장탱크보다 액화수소 저장탱크에 근접하게 배치하는 것인,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소 흡장 탱크와 연료 수요처를 연결하고, 상기 수소 흡장 탱크로부터 수소 증발가스가 연료 수요처로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3 수소 BOG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수요처는,
    수소 혼합 연료를 연료로 사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엔진;
    수소 혼합 연료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엔진; 및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연료 전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은 이중 연료 엔진이고,
    상기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으로 공급할 가스 연료를 저장하는 가스 연료 저장탱크;
    상기 가스 연료를 압축하는 가스 연료 압축기;
    상기 수소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수소 압축기; 및
    상기 가스 연료와 수소 증발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으로 공급할 수소 혼합 연료를 생성하는 연료 혼합기;를 포함하는,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화수소 운반선이 배출 규제지역을 운항할 때에는, 상기 연료 혼합기로 수소 증발가스를 공급하여 추진 엔진 및 발전 엔진을 가동시키고, 상기 액화수소 운반선이 배출 미규제지역을 운항할 때에는, 상기 수소 증발가스를 상기 수소 흡장 탱크에 저장하거나 연료 전지로 공급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는,
    실린더 타입 또는 구형 타입의 탱크이고, 진공 단열층을 가지며,
    상기 수소 흡장 탱크는,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에 의해 형성된 선내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에 설치되는,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20180086882A 2018-07-26 2018-07-26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257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82A KR102578402B1 (ko) 2018-07-26 2018-07-26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82A KR102578402B1 (ko) 2018-07-26 2018-07-26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074A KR20200012074A (ko) 2020-02-05
KR102578402B1 true KR102578402B1 (ko) 2023-09-14

Family

ID=6951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882A KR102578402B1 (ko) 2018-07-26 2018-07-26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22B1 (ko) * 2021-09-29 2023-10-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액화수소 기화가스 저장용 수소저장시스템
KR102427731B1 (ko) * 2022-02-10 2022-08-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냉열 활용 장치가 결합된 액체 수소 연료 공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0397A (ja) * 1975-01-07 1976-07-13 Mitsubishi Electric Corp Shinkiimidokanganjuehokishijushino seizoho
KR101302010B1 (ko) * 2011-11-08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의 연료 공급장치 및 방법
KR20170129364A (ko) * 2016-05-17 2017-1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용 수소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074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2878B2 (en) Zero emission propulsion systems and generator sets using ammonia as fuel
US6918430B2 (en) Onboard hydrogen storage unit with heat transfer system for use in a hydrogen powered vehicle
KR102638281B1 (ko) 수소-액화가스 운반선
KR102269400B1 (ko) 선박
KR101572982B1 (ko) 연료전지를 탑재한 선박의 폐열 회수 시스템
KR102247074B1 (ko) 선박
KR102578402B1 (ko)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2578403B1 (ko)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1911119B1 (ko) 연료전지 복합 하이브리드 시스템
KR20200009221A (ko)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방법
KR20200007446A (ko)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2216751B1 (ko)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200371B1 (ko)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20220058799A (ko) 연료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58800A (ko) 연료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58801A (ko) 연료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404665B1 (ko) 수소 운반선의 가스 관리시스템
KR20240043479A (ko) 선박의 액화수소 발전시스템
KR102217612B1 (ko)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204838B1 (ko)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20220161589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58272A (ko) 연료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30000267A (ko) 액화수소 운반선
KR20220058271A (ko) 연료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105536A (ko) 전기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