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180B1 - 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180B1
KR102578180B1 KR1020210042876A KR20210042876A KR102578180B1 KR 102578180 B1 KR102578180 B1 KR 102578180B1 KR 1020210042876 A KR1020210042876 A KR 1020210042876A KR 20210042876 A KR20210042876 A KR 20210042876A KR 102578180 B1 KR102578180 B1 KR 10257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corner
window fram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6777A (en
Inventor
이상진
김승일
김치엽
홍동진
이정환
강정기
이제현
김현덕
정수호
Original Assignee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180B1/en
Publication of KR2022013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press fit or adhe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2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85Corner arrangements for borders; Devices for making rounded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할 때, 상기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단부를 연결하되,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갖도록 연결하는 라운드부; 및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 결합되는 직각모서리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and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using the same.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is a frame install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corner of the window frame opening when concrete is poured to form the window frame opening, and includes: a first frame portion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rame portion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ound portion connecting ends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to have a round curved surface; and a right-angled edge forming portion protruding and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ound portion to form a right-angled edge when concrete is poured.

Description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and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using the same. In the opening for a window frame formed by pouring concrete,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for preventing cracks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opening, and the same. It relates to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콘크리트 건물은 시공 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기둥, 슬라브, 각종 개구부 등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을 거친다. 그 중 창틀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거푸집을 이용하여 벽을 형성하고, 그 외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개구부를 제외한 부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고 양생에 의해 개구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체가 완성된다. Concrete buildings are constructed by pouring concrete during construction to form walls, columns, slabs, and various openings. After pouring the concrete, the concrete goes through a curing process. Among them, the opening to form the window frame is 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wall is formed using a mol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when concrete is poured outside the opening, the area excluding the opening is filled with concrete and the opening is formed by curing. is completed.

그런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창틀용 개구부(2)의 모서리는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모서리(4)로부터 크랙(3)이 발생되어 건물 벽체(1)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며, 유지 보수에 상당한 비용 발생을 초래한다. 이에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크랙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안 요구가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ure 1, the edge of the conventional window frame opening 2 develops cracks 3 from the edge 4 over time, which adversely affects the durability of the building wall 1. This results in significant maintenance costs.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lternative measures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at the corners of window frame opening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needs, in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formed by pouring concrete, a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for preventing cracks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opening, and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할 때, 상기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단부를 연결하되,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갖도록 연결하는 라운드부; 및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 결합되는 직각모서리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rame for preventing edge cra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install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window frame opening when concrete is poured to form the window frame opening, and the first fram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part; a second frame portion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ound portion connecting ends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to have a round curved surface; and a right-angled edge forming portion protruding and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ound portion to form a right-angled edge when concrete is poured.

또한,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는, 상기 라운드부의 곡면에 접촉하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외면과 평형하게 연장되는 제1 면; 및 상기 접촉면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외면과 평향하게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ight angle edge forming portion includes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curved surface of the round portion; a first surfac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in parallel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surface in parallel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 상기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라운드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는 상기 라운드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rame part, the second frame part, and the round part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right angle corner forming part is coupled to the round part by a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제2 프레임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빗물이 흐르는 제1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경사형성부와, 상기 제1 경사면으로 빗물이 흐르도록 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경사형성부를 갖는 경사면형성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frame part includes a first slope forming part for forming a first slope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outward at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and a second slope forming part for forming a second slope for allowing rainwater to flow toward the first slope. It is preferable that an inclined surface forming portion having a second inclined forming por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일측이,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줄눈을 형성하기 위한 줄눈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라운드부와 상기 줄눈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메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one side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is coupled to a joint frame for forming a joint formed at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by recessing from the outer surface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the round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lling member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joint frame and the joint frame.

또한, 상기 개구부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수직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1 절곡부; 상기 개구부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수평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ditionally, a first bent portion is provided by b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to engage a vertical member forming a vertical surface of the open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bent portion provided by b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frame so that the horizontal member forming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opening is coupled.

또한,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is preferably made of synthetic resi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창틀의 수직면을 지지하는 수직면부; 상기 창틀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수평면부; 상기 수직면부 및 상기 수평면부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수직면부와 상기 수평면부가 수직으로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할 때, 상기 모서리의 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모서리보다 돌출되고 라운드진 라운드면을 갖는 크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formed by pouring concrete, a vertical surface portion supporting the vertical surface of the window frame; a horizontal surface portion supporting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window frame; It includes a corner portion where the vertical surface portion and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meet, wherein the corner portion is a round surface that protrudes and is rounded beyond the edge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width of the edge when the vertical surface portion and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meet vertically to form a corn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rack prevention portion having.

여기서,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는 상기 콘크리트의 외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크랙방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1 경사면은 제2 경사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pening, and one end of the crack prevention portion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are connected by a second inclined surface.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 가장자리에 줄눈이 형성될 때, 상기 줄눈과 인접한 상기 크랙방지부의 외측면은 상기 줄눈의 평면과 일치하고,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크랙방지부의 내측면은 상기 창틀이 설치될 때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측면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concrete is depressed from the outer surface formed by pouring and a joint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rack prevention portion adjacent to the joint is coincident with the plane of the joint,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sur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crack prevention part is preferably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so as to form a locking protrusion when the window frame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크랙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frame for preventing edge cra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using the same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cracks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opening in the opening for the window frame formed by pouring concrete.

도1은 종래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크랙을 도시한 도면,
도2는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적용하여 시공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도5에 따른 프레임이 줄눈프레임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창틀용 개구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움부재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
도8은 창틀용 개구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움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도7에서 사용된 메움부재의 사시도,
도10은, 도8에서 사용된 메움부재의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view showing cracks occurring at the corners of a conventional window frame opening;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frame structure for form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constructed by applying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according to Figure 5 is seated on the joint frame;
Figure 7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ll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frame opening;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l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frame openin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ling member used in Figure 7;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ling member used in Figure 8.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provid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and/or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have been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s”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the existenc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that has been disclosed, and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components, etc.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new components may exis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not be idealized or excessively formal. It is not interpreted as mean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2는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적용하여 시공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도5에 따른 프레임이 줄눈프레임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창틀용 개구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움부재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8은 창틀용 개구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움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도7에서 사용된 메움부재의 사시도, 도10은 도8에서 사용된 메움부재의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frame structure for form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constructed by applying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frame for preventing edge cra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frame for preventing edge cra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according to Figure 5 is seated on the joint frame.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l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frame opening, and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ling member is arrang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frame openin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ling member used in Figure 7, an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ling member used in Figure 8.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는 거푸집을 설치할 때, 상기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edge crack preventio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formed by pouring concrete, and is used to prevent cracks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opening. It's about.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window frame opening when pouring concrete to install a form for forming the window frame opening.

(1) 제1 실시예(1) First embodiment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라운드부(30), 및 직각모서리형성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4개의 모서리가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상측의 좌우 모서리 부분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As shown in Figure 4,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part 10, a second frame part 20, a round part 30, and a right angle Includes a corner forming portion 40.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used to form the structure of the upper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in which four corners are formed.

상기 제1 프레임부(1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외면은 상기 개구부(201)의 수직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방향이라 함은, 상기 개구부(201)를 형성하기 위해서 좌우 수직한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수직부재(110)가 놓이는 방향을 의미한다. The first frame part 10 is a part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forms part of the vertical surface of the opening 201. As shown in Figure 2,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rtical member 110, which is arranged to form left and right vertical surfaces to form the opening 201, is plac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부(10)에는 제1 절곡부(11)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절곡부(11)는 상기 개구부(201)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수직부재(110)가 결합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된 부분으로, 상기 제1 절곡부(11)는 상기 제2 프레임부(20)와 평행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frame part 10 is provided with a first bent part 11. The first bent portion 11 is a portion bent from an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to engage the vertical member 110 forming the vertical surface of the opening 201, and the first bent portion ( 11) is parallel to the second frame portion 20.

상기 제2 프레임부(2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외면은 상기 개구부(201)의 수평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방향이라 함은, 상기 개구부(201)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하 수평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수평부재(120)가 놓이는 방향을 의미한다. The second frame portion 20 is a portion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forms part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opening 201. As shown in Figure 2, the horizontal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member 120, which is arranged to form an upper and lower horizontal surface to form the opening 201, is plac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프레임부(20)에는 제2 절곡부(21)가 마련된다. 상기 제2 절곡부(21)는 상기 개구부(201)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수평부재(120)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된 부분으로, 상기 제2 절곡부(21)는 상기 제1 프레임부(10)와 평행하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cond frame part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bent part 21. The second bent portion 21 is a portion bent from an end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so that the horizontal member 120 forming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opening 201 is coupled to the second bent portion. (21) is parallel to the first frame portion (10).

상기 라운드부(30)는 상기 제1 프레임부(10)와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단부의 단부를 연결하고,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갖는다. 상기 라운드부(30)는, 상기 수직면과 상기 수평면이 만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모서리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크랙방지부(231)를 형성한다. The round part 30 connects the ends of the first frame part 10 and the second frame part 20 and has a round curved surface. The round portion 30 forms a crack prevention portion 231 rounded and protru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where the vertic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rface meet.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부(30)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접촉면(41), 제1 면(42), 및 제2 면(43)을 포함한다. The right-angled corner forming portion 40 is protruding and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ound portion 30 to form a right-angled corner when concrete is pour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ight angle edge forming portion 40 includes a contact surface 41, a first surface 42, and a second surface 43.

상기 접촉면(41)은 상기 라운드부(30)의 곡면에 접촉하는 면이다. 상기 접촉면(41)은 상기 라운드부(30)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면(42)은 상기 접촉면(41)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외면과 평형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 면(42)은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외면과 함께 수직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면(43)은 상기 접촉면(41)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외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2 면(43)은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외면과 함께 수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2 면(42,43)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The contact surface 41 is a surface that contacts the curved surface of the round part 30. The contact surface 41 is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ed surface of the round portion 30. The first surface 42 extends from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41 in parallel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The first surface 42 forms a vertical surface together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The second surface 43 extends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surface 41. The second surface 43 forms a horizontal surface together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42 and 43 are arrang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및 상기 라운드부(30)는 일체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2 프레임부(10,20) 및 상기 라운드부(30)는 압출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 라운드부(30)에 결합된다.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예컨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라운드부(30)에 결합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0,20) 및 상기 라운드부(30)와는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frame part 10, the second frame part 20, and the round part 30 are formed integrally.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and the round part 30 may be manufactured as one member by extrusion. The right angle corner forming part 40 is coupled to the round part 30. For example, the right angle edge forming portion 40 may be coupled to the round portion 3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or may be coupled using an adhesive. In this way, the right angle corner forming portion 4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rst and second frame portions 10 and 20 and the round portion 30 and may be combined.

(2) 제2 실시예(2) Second embodiment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상기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라운드부(30), 직각모서리형성부(40), 및 경사면형성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4개의 모서리가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하측의 좌우 모서리 부분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라운드부(30), 및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ure 5,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frame part 10, the second frame part 20, the round part 30, and the right angle edge. It may include a forming part 40 and an inclined surface forming part 22.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used to form the structure of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in which four corners are formed. Since the first frame part 10, the second frame part 20, the round part 30, and the right angle corner forming part 4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i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

상기 경사면형성부(22)는 제2 프레임부(20)의 저면에 마련되며, 빗물 등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개구부(201)의 외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형성부(22)는, 제1 경사형성부(221)와 제2 경사형성부(222)를 포함한다.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portion 22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nd is provid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outside the opening 201 so that rainwater, etc. can flow dow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portion 22 includes a first inclined forming portion 221 and a second inclined forming portion 222.

상기 제1 경사형성부(221)는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빗물 등이 흐르는 제1 경사면(240)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상기 개구부(201)를 외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201)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first inclined forming portion 221 is provided to form a first inclined surface 240 through which rainwater, etc. flows in an outward direc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201 to slope downward in an outward direction when the opening 201 is viewed from the outside.

상기 제2 경사형성부(222)는, 상기 제1 경사형성부(22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경사면(240)으로 빗물 등이 흐르도록 하는 제2 경사면(250)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2 경사면(250)은 상기 라운드부(30)에 의해 형성되는 라운드면(2311)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운드부(30)는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의 외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라운드부(30)에 의해 형성된 라운드면(2311)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 등은 제2 경사면(250)을 타고, 상기 제1 경사면(240)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slope forming part 222 is provided to form a second slope 250 that allows rainwater, etc. to flow to the first slope 240 formed by the first slope forming part 221.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0 is connected to the round surface 2311 formed by the round part 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ound part 3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and rainwater flowing down along the round surface 2311 formed by the round part 30 is removed. 2 It is formed to flow down the slope 250 and down to the first slope 240.

이처럼, 상기 경사면형성부(22)는 상기 개구부(201) 하부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240) 및 제2 경사면(250)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상기 개구부(201)의 하부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 부분의 구조를 형성할 때 사용된다. 상기 개구부(201)의 상부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를 형성할 때는, 상기 경사면형성부(22)가 제거된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사용한다. In this way,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portion 22 is for form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0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201, so that the cor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ack prevention frame 100 is used to form the structure of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opening 201. When forming the uppe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opening 201, a crack prevention frame from which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portion 22 has been removed is used.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메움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는 줄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줄눈(131)은, 온도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반복적인 수축 및 팽창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시공시, 상기 콘크리트의 외벽면(141)을 형성하는 외벽용 판재(140)에 상기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는 줄눈(131)을 형성하기 위해서 줄눈프레임(130)이 결합된다.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filling member 50. A joint 131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by recessing from the outer wall surface 141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The joints 131 are provided to prevent cracks caused by repeated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concrete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As shown in Figure 6, during construction of the formwork, a joint frame is used to form joints 131 that are depressed from the outer wall surface 141 on the outer wall plate 140 forming the outer wall surface 141 of the concrete. (130) is combined.

상기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제1 프레임부(10) 및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일측은,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결합된다. 상기 제1 프레임부(10)와 상기 제2 프레임부(20)가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안착되면, 상기 라운드부(30)와 상기 줄눈프레임(13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발행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움부재(50)는, 상기 라운드부(30)와 상기 줄눈프레임(13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외벽면(141)과 상기 라운드부(30)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면(2312)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one side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joint frame 130. When the first frame part 10 and the second frame part 20 are seated on the joint frame 130, a predetermined space is created between the round part 30 and the joint frame 130. As shown in Figures 7 and 8, the filling member 5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round part 30 and the joint frame 130, so that when concrete is poured, the space between is filled with concrete. This is prevented so that the concrete outer wall surface 141 formed by the joint frame 130 and the outer surface 2312 formed by the round part 30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개구부(201)의 상부 좌우 모서리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은 도9과 같은 형태의 메움부재(50)가 사용되고, 상기 개구부(202)의 하부 좌우 모서리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에는 도10과 같은 형태의 메움부재(50)가 사용된다. 도10에 도시된 메움부재(50)는, 그 일단부는 타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경사면형성부(22)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절단된 모습을 취한다. The frame 100 installed at the upper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opening 201 uses a filling member 50 of the same type as shown in Figure 9, and the frame 100 install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opening 202 uses a filling member 50 of the same type as shown in Figure 10. A filling member 50 of the same type is used. The filling member 50 shown in FIG. 10 has one end cut off due to the space occupied by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portion 22 compared to the other end.

상기 메움부재(50)가 상기 라운드부(30)와 상기 줄눈프레임(13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메움부재(5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므로, 콘크리트의 양생 후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의해 형성되는 줄눈(131)과 그 외측면(2312)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그라인딩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The filling member 5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round part 30 and the joint frame 130, so that when concrete is poured without the filling member 50 installed, the space between is filled with concrete. Therefor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through a separate grinding process to match the joints 131 formed by the joint frame 130 and its outer surface 2312 after curing the concrete can be eliminated.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합성수재 재질로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합성수지로는 상기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프레임을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rame 100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Polypropylene (PP;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may be used as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f course, the synthetic resi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excellent durability. When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fram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ured concrete after the concrete is cured.

한편, 본 발명이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서리의 크랙이 방지되는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200)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상기한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을 통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체(200)일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rete structure 200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that prevents cracks at the corners is provided. The concrete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a concrete structure 200 manufactured through the frame 100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창틀의 수직면을 지지하는 수직면부(210)와, 상기 창틀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수평면부(220)와, 상기 수직면부(210) 및 상기 수평면부(220)가 만나는 모서리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230)는, 상기 수직면부(210)와 상기 수평면부(220)가 수직으로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할 때 상기 모서리의 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모서리보다 돌출되고 라운드진 라운드면(2311)을 갖는 크랙방지부(231)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3, the concrete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vertical surface portion 210 supporting the vertical surface of the window frame in the opening 201 for the window frame formed by pouring concrete; , a horizontal surface portion 220 supporting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window frame, and a corner portion 230 where the vertica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20 meet, and the corner portion 230 is a vertical surface portion. When (210) and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20 meet vertically to form a corner, at least a portion of the width of the corner includes a crack prevention portion 231 having a rounded surface 2311 that protrudes beyond the corner and is rounded.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랙방지부(231)는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바깥쪽에 마련되고,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안쪽은 창틀이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그 모서리는 상기 수직면부(210)와 수평면부(220)가 서로 수직으로 만나서 직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201)의 4개의 꼭지점 부근에는 상기 크랙방지부(231)가 형성되어 라운드진 형태를 갖게 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rack prevention part 231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and the inside of the crack prevention part 231 is a space where the window frame is installed, and the edge of the crack prevention part 231 is the vertical surface part. (210) and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20 meet each other perpendicularly and form a right ang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rack prevention portion 231 is formed near the four vertices of the opening 201 and has a rounded shap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빗물 등이 원할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면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201)의 하단에는 상기 콘크리트의 외벽면(14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240)이 마련된다.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상기 개구부(201)의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일단과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제2 경사면(250)에 의해 연결된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ncrete structure 200 ha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rainwater, etc. can smoothly flow down. Specifically, a first inclined surface 240 sloping downward toward the outer wall surface 141 of the concret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opening 201.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0 is formed to slope downwardly out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201. And, one end of the crack prevention portion 231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0 are connected by a second inclined surface 250.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는 줄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줄눈(131)의 작용은 상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 줄눈(131)이 형성될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줄눈(131)과 인접한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외측면(2312)은 상기 줄눈(131)의 평면과 일치하고, 상기 외측면(231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내측면(2313)은 상기 창틀이 설치될 때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측면(2312)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에 창틀이 끼워질 때, 상기 창틀은 상기 내측면(2313)을 향하여 직각모서리를 갖는 부위로 접근되어 끼워져 설치되며, 이때 상기 내측면(2313)은 상기 창틀이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 기능을 수행한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joints 131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by recessing from the outer wall surface 141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The operation of the joint 131 has been described above,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concrete is depressed from the outer wall surface 141 formed by pouring and a joint 131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as shown in FIG. 3, the crack prevention adjacent to the joint 131 is prevented. The outer surface 2312 of the part 231 coincides with the plane of the joint 131, and the inner surface 2313 of the crack prevention part 231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surface 2312 is the window frame. When installed, it is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2312 to form a locking protrusion. When a window frame is inserted into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the window frame is installed by approaching and fitting into a portion having a right-angled edge toward the inner surface 2313.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2313 prevents the window frame from moving. It performs a limiting function.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 및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작용 내지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ctions and effects of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nd the concrete structure 200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소정 두께의 벽을 형성하면서 창틀용 개구부(201)를 형성하기 위해서, 내벽용 판재(142)와 외벽용 판재(140)를 이격시켜서 배치하고, 상기 외벽용 판재(140)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줄눈프레임(130)을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개구부(201)의 가장자리에는 줄눈프레임(130)이 형성되며,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의 일측은 줄눈프레임(130)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안착된다.In order to form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while forming a wall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inner wall plate 142 and the outer wall plate 14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nd the outer wall plate 14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grid shape. Place the joint frame (130). A joint frame 13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as shown in Figures 6 to 8, one side of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joint frame ( 130) are seated at the area where they intersect each other.

상기 개구부(201)의 하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의 경사형성부에는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안착되는 안착부(223)가 마련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의 가장자리에 줄눈(131)이 형성되는 공법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상기 개구부(201)의 가장자리에는 줄눈(131)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로 시공될 수 있다. A seating portion 223 that is seated on the joint frame 130 is provided at an inclined portion of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201. Of course,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ethod in which joints 131 are formed at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That is,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in a state in which no joints 131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opening 201.

도2를 기준으로 전면 측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외벽이 형성되고, 후면 측으로 내벽을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부(30)는 외벽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내벽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201)의 상부 좌우 모서리부(230)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모서리형성부(40)와 라운드부(30)가 구비된 타입의 프레임이 사용되고, 상기 개구부(201)의 하부 좌우 모서리부(230)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모서리형성부(40), 라운드부(30), 및 경사면형성부(22)가 함께 구비된 타입의 프레임의 사용된다. Based on Figure 2, an outer wall is formed after concrete is poured on the front side, and an inner wall is formed on the back side. As shown in Figure 2, the round portion 30 is disposed close to the outer wall, and the right-angled corner forming portion 40 is installed close to the inner wall. Meanwhile, a type of frame provided with a right angle corner forming part 40 and a round part 30 is us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left and right corners 230 of the opening 201, as shown in Figure 4. A type in which a right-angled corner forming part 40, a round part 30, and an inclined surface forming part 22 are provid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s 230 of the opening 201, as shown in FIG. 5. The frame is used.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을 상기와 같은 상태로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도3과 같은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200)가 완성된다. When the edge crack prevention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above state and concrete is poured, the concrete structure 200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as shown in Figure 3 is completed.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개구부(201)를 갖는데, 좌우측에 수직면부(210)와, 상하측에 수평면부(220)를 구비하며, 4개의 모서리 부위에는 콘크리트가 라운드 형태로 채워진 크랙방지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크랙방지부(231)는 상기 직각모서리로부터 콘크리트가 더 채워져 보강되므로, 상기 모서리에 발생되는 크랙 발생을 예방하는 작용 내지 효과를 제공한다. The concrete structure 200 has an opening 201 of approximately square shape, with vertical surface parts 21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horizontal surface parts 220 on the top and bottom sides, and the concrete is rounded at the four corners. A filled crack prevention portion 231 is formed. Since the crack prevention portion 231 is reinforced by filling additional concrete from the right angle edge,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cracks from occurring at the edge.

또한, 상기 개구부(201)의 하측에는 콘크리트의 외벽면(14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240)이 형성되고,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라운드면(2311)은 제2 경사면(250)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경사면(250)은 상기 제1 경사면(240)으로 연결되어, 크랙방지부(231)의 라운드면(2311)에 떨어진 빗물 등은 상기 제2 경사면(250) 및 제1 경사면(240)을 따라서 하방으로 원활하게 흘러 내릴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inclined surface 240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wall surface 141 of the concret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201, and the round surface 2311 of the crack prevention part 231 is a second inclined surface ( 25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0, so that rainwater falling on the round surface 2311 of the crack prevention unit 231 is directe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0 and It can flow smoothly downward along the first slope 240.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 및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창틀용 개구부(201)의 모서리에 라운드면(2311)을 갖는 크랙방지부(2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모서리 부위에 크랙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is way,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and the concrete structure 200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crack prevention portion 231 having a round surface 2311 at the corner of the opening 201 for the window frame. This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cracks from occurring at the edges.

또한,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이 내외벽 판재(142,140) 뿐만 아니라 줄눈프레임(130)과 함께 사용될 때, 메움부재(50)를 이용하여 줄눈(131)의 외벽면(141)과 크랙방지부(231)의 외측면(2312)이 서로 평탄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외벽면(141)을 평탄하게 만들기 위한 별도의 그라인딩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is used with the joint frame 130 as well as the inner and outer wall plates 142 and 140, the outer wall surface 141 of the joint 131 and the crack prevention are prevented by using the filling member 50. By forming the outer surfaces 2312 of the portion 231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flatly, it provides the effect of omitting a separate grinding operation to make the outer wall surface 141 flat after curing the concrete.

또한,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프레임을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rner crack prevention frame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fram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ured concret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work.

또한, 상기 크랙방지부(231)는, 모서리의 크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내측면(2313)은 창틀이 결합될 때 창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창틀이 적정한 범위로 끼워졌는지 용이하게 판단하고, 그 창틀이 설치되는 깊이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창틀이 설치된 구조물의 품질 향상에 기여한다. In addition, the crack prevention unit 231 not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preventing cracks at the corners, but the inner surface 2313 of the crack prevention unit 231 limits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window frame when the window frame is coupled to the window frame.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window frame is installed 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 depth at which the window frame is installed is maintained uniforml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window frame is install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 프레임부 11... 제1 절곡부
20... 제2 프레임부 21... 제2 절곡부
22... 경사면형성부 221... 제1 경사형성부
222... 제2 경사형성부 223... 안착부
30... 라운드부 40... 직각모서리형성부
41... 접촉면 42... 제1 면
43... 제2 면 50... 메움부재
100...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110... 수직부재
120... 수평부재 130... 줄눈프레임
131... 줄눈 140... 외벽용 판재
141... 외벽면 142... 내벽용 판재
200...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201... 개구부 210... 수직면부
220... 수평면부 230... 모서리부
231... 크랙방지부 2311... 라운드면
2312... 외측면 2313... 내측면
240... 제1 경사면 250... 제2 경사면
10... first frame portion 11... first bent portion
20... second frame portion 21... second bent portion
22... slope forming part 221... first slope forming part
222... second inclined forming part 223... seating part
30... Round part 40... Right angle corner forming part
41... contact surface 42... first surface
43... Second side 50... Filling member
100... frame to prevent corner cracks 110... vertical member
120... horizontal member 130... joint frame
131... joint 140... board for exterior wall
141... exterior wall 142... board for interior wall
200...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201... opening 210... vertical surface portion
220... horizontal surface part 230... corner part
231... Crack prevention part 2311... Round surface
2312... outer side 2313... inner side
240... first slope 250... second slope

Claims (10)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용 개구부(201)를 형성할 때,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10);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20);
상기 제1 프레임부(10) 및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단부를 연결하되,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갖도록 연결하는 라운드부(30); 및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부(30)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 결합되는 직각모서리형성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When pouring concrete to form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in the frame installed a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A first frame portion 1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rame portion 20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ound portion 30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to have a round curved surface; and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comprising: a right-angled edge forming portion (40) protruding and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ound portion (30) to form a right-angled edge when concrete is po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 라운드부(30)의 곡면에 접촉하는 접촉면(41);
상기 접촉면(41)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외면과 평형하게 연장되는 제1 면(42); 및
상기 접촉면(41)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외면과 평향하게 연장되는 제2 면(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ight angle edge forming portion 40,
A contact surface 41 contacting the curved surface of the round part 30;
a first surface (42)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41) in parallel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A frame for preventing edge cracks, comprising a second surface (43)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surface (41) in parallel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0), 상기 제2 프레임부(20), 및 상기 라운드부(30)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 라운드부(30)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frame part 10, the second frame part 20, and the round part 30 are formed integrally, and the right angle corner forming part 40 is attached to the round part 30 as a fastening member. A frame for preventing edge crack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join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부(20)에는 상기 개구부(201)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빗물이 흐르는 제1 경사면(24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경사형성부(221)와, 상기 제1 경사면(240)으로 빗물이 흐르도록 하는 제2 경사면(250)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경사형성부(222)를 갖는 경사면형성부(2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frame portion 20 includes a first inclined forming portion 221 for forming a first inclined surface 240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outwar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201,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0. A frame for preventing edge cracks,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forming portion 22 having a second inclined forming portion 222 for form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250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0) 및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일측이,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줄눈(131)을 형성하기 위한 줄눈프레임(130)에 결합될 때,
상기 라운드부(30)와 상기 줄눈프레임(13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메움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According to paragraph 1,
One side of the first frame part 10 and the second frame part 20 is depressed from the outer wall surface 141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and a joint 131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 When combined with the joint frame 130 to form,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comprising a filling member (50)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round portion (30) and the joint frame (1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01)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수직부재(110)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1 절곡부(11);
상기 개구부(201)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수평부재(120)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절곡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bent portion 11 provided by b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to engage the vertical member 110 forming the vertical surface of the opening 201;
A second bent portion 21 provided by b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to engage the horizontal member 120 forming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opening 201. Frame to prevent crack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The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s a frame for preventing corner crack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창틀의 수직면을 지지하는 수직면부(210);
상기 창틀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수평면부(220);
상기 수직면부(210) 및 상기 수평면부(220)가 만나는 모서리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부(230)는, 상기 수직면부(210)와 상기 수평면부(220)가 수직으로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할 때, 상기 모서리의 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모서리보다 돌출되고 라운드진 라운드면(2311)을 갖는 크랙방지부(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In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formed by pouring concrete,
A vertical surface portion 210 supporting the vertical surface of the window frame;
A horizontal surface portion 220 supporting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window frame;
It includes a corner portion 230 where the vertica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20 meet,
The corner portion 230 is a round surface 2311 that protrudes and is rounded beyond the edge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width of the edge when the vertical surface portion 210 and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20 meet vertically to form a corner. )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rack prevention portion 231 hav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01)의 하단에는 상기 콘크리트의 외벽면(14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240)이 형성되고,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일단과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제2 경사면(25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According to clause 8,
At the bottom of the opening 201, a first inclined surface 240 is formed that slopes downward toward the outer wall surface 141 of the concrete,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wherein one end of the crack prevention portion (231)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0) are connected by a second inclined surface (25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 줄눈(131)이 형성될 때,
상기 줄눈(131)과 인접한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외측면(2312)은 상기 줄눈(131)의 평면과 일치하고, 상기 외측면(231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내측면(2313)은 상기 창틀이 설치될 때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측면(2312)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According to clause 8,
When the concrete is depressed from the outer wall surface 141 formed by pouring and a joint 131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opening 201,
The outer surface 2312 of the crack prevention part 231 adjacent to the joint 131 coincides with the plane of the joint 131, and the crack prevention part 231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surface 2312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 a window frame, wherein the inner surface 2313 is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2312 to form a locking protrusion when the window frame is installed.
KR1020210042876A 2021-04-01 2021-04-01 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2578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876A KR102578180B1 (en) 2021-04-01 2021-04-01 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876A KR102578180B1 (en) 2021-04-01 2021-04-01 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77A KR20220136777A (en) 2022-10-11
KR102578180B1 true KR102578180B1 (en) 2023-09-13

Family

ID=8359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876A KR102578180B1 (en) 2021-04-01 2021-04-01 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18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85Y1 (en) 2001-10-22 2002-01-12 (주)유창알텍스 Reinforcement Member of Frame for Mold
KR200408508Y1 (en) 2005-11-24 2006-02-13 주식회사한성스틸 measure incorner for mold
JP2010209626A (en) 2009-03-12 2010-09-24 Ingu:Kk Top end form of continuous footing of entrance section
KR101928536B1 (en) 2018-05-16 2018-12-12 이건철 Frame providing induced crack line to diagonal tension crack and construcit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099365B1 (en) 2019-09-16 2020-04-09 나성민 Line forming apparatus for exposed concrete wall and panel of formwork including the same
KR102151343B1 (en) 2019-04-01 2020-09-02 김명준 Frame member and formwork fram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216A (en) * 1995-03-30 1996-10-15 Ishida Komuten:Kk Wooden frame of joining face for opening form on wall face
KR100805192B1 (en) * 2006-06-22 2008-02-21 임정순 In-corner coupling implement for construction mold equipped with resisting member
KR101273640B1 (en) * 2006-10-20 2013-06-11 임정순 Reinforcement implement for in-corner members
KR101316018B1 (en) * 2006-10-23 2013-10-10 임정순 Joining system for in-corner members
KR20100006356A (en) * 2008-07-09 2010-01-19 임정순 Incorner material for improving strength and recycling
KR20190017509A (en) * 2017-08-11 2019-02-20 채남희 Concrete Crack Prevention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85Y1 (en) 2001-10-22 2002-01-12 (주)유창알텍스 Reinforcement Member of Frame for Mold
KR200408508Y1 (en) 2005-11-24 2006-02-13 주식회사한성스틸 measure incorner for mold
JP2010209626A (en) 2009-03-12 2010-09-24 Ingu:Kk Top end form of continuous footing of entrance section
KR101928536B1 (en) 2018-05-16 2018-12-12 이건철 Frame providing induced crack line to diagonal tension crack and construcit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151343B1 (en) 2019-04-01 2020-09-02 김명준 Frame member and formwork frame using the same
KR102099365B1 (en) 2019-09-16 2020-04-09 나성민 Line forming apparatus for exposed concrete wall and panel of formwork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77A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426B1 (en) The precast concrete wall structure for a building
AU2018200694A1 (en) Formwork
KR102578180B1 (en) 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2063260B1 (en) Waterproof panel for construction using composite material and steel angle
KR101142183B1 (en) The double tee from slab system beams-slab the structural body which strengthens a junction bringing up for discussion all characteristic and the spatial-temporal method
US20150033660A1 (en) Interlocking masonry unit
KR101039876B1 (en)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
KR101824021B1 (en) Structure of bottom of compost
KR20150088049A (en) A steel form assembly for atypical concrete structures
CN106320692A (en) Building splicing formwork
CN100357546C (en) Hollow building block for construction
KR200241690Y1 (en) inner corner frame for a flash board
KR20160116274A (en) Wing Wall With Integrated Structural
KR200459169Y1 (en) Connector of diffrent pannels
CN104763145B (en) A kind of three internal corner plastic formworks
KR102599781B1 (en) Assembly type beam mold with a upper plate
JP2001073552A (en) Cement paste stop member for concrete form
JP6770667B2 (en) Platform construction parts and platform construction method
KR100538832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Deck and Girder Using Railing System
KR102146013B1 (en) Concrete wall corners for corners
CN208310202U (en) A kind of beam bottom internal corner formwork
KR101879452B1 (en) Gap Filling Member for Support-used Form
DE20309107U1 (en) Sealing element for the production of waterproof external walls in concrete double wall elements
JP6514272B2 (en) Concrete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support
KR100554512B1 (en) Mold for constructing parapet of roof using combined euro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