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936B1 - Food tray for infant - Google Patents

Food tray for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936B1
KR102577936B1 KR1020220099586A KR20220099586A KR102577936B1 KR 102577936 B1 KR102577936 B1 KR 102577936B1 KR 1020220099586 A KR1020220099586 A KR 1020220099586A KR 20220099586 A KR20220099586 A KR 20220099586A KR 102577936 B1 KR102577936 B1 KR 10257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eceiving portion
soup
main body
plat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화성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프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프베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프베베
Priority to KR102022009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9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9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밥 수용부 및 상기 밥 수용부와 제1 칸막이를 통해서 구분되는 국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판 본체 및 상기 밥 수용부에 담긴 밥을 보관시에 상기 밥 수용부의 공간을 커버하는 밥 수용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밥 수용부 덮개에는 평면 상에서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파여진 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밥 수용부 덮개가 상기 밥 수용부를 커버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는 상기 밥 수용부 덮개에 형성된 홈과 상기 식판 본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홀을 통해서 상기 밥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밥 수용부 내부의 공기는 상기 밥 수용부 덮개의 홀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된다.A food tray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main body having a rice receiving portion and a soup receiving portion separated from the rice receiving portion by a first partition, and the rice receiving portion when the rice contained in the rice receiving portion is stored. and a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that covers the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wardly at an edge in a plane view and a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nd the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covers the rice receiving portion. In this case,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rice container through the groove formed in the rice container cover and the hole formed by the food tray main body, and the air inside the rice container flows into the rice container cover through the hole in the rice container cover. leak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유아용 식판{FOOD TRAY FOR INFANT}Infant food tray {FOOD TRAY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밥 구역에 밥이 담긴 후 뚜껑을 닫았을 때, 밥이 담긴 내부 공간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도록 하여 뜨거운 밥에서 나오는 증기를 오랫동안 유지하게 하여 보온과 증기를 이용하여 밥알의 촉촉한 식감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식판 자체가 폴딩이 되게 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이동성과 휴대성을 높이고, 밥과 국,반찬을 나누어주는 칸막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즈로 변경 가능한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tray for children,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lid is closed after rice is placed in the rice area, convection occurs between the air in the inner space containing the rice and the outside air, thereby dissipating steam from the hot rice. By keeping it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ist texture of the rice grains for a long time by using heat insulation and steam. The plate itself is foldable to reduce the volume to increase mobility and portability, and the user can use the divider to divide rice, soup, and side dishes. This is about a baby food tray that can be changed to the desired size.

유아들은 주의가 산만할 뿐만 아니라 숟가락질과 젓가락질이 서툴기 때문에 식사를 할 때 음식을 엎지르거나 흘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아들에게 별도로 따로 밥, 국, 반찬을 먹게 하는 경우에는 유아용 식판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Toddlers are not only distracted, but they are also clumsy with spoons and chopsticks, so they frequently spill or spill food when eating. Therefore, when these infants are asked to eat rice, soup, and side dishes separately, infant trays are often used.

최근 다양한 종류의 유아용 식판이 제공되고 있으나, 위생과 편의성 등에서 한계가 있다. 특히 유아의 경우에는 돌아다니면서 먹는 경우, 일정 시간의 텀을 두고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유아용 식판에 담겨져 있는 밥알에 내포되어 있는 습기가 날라가게 되어 딱딱하게 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렇게 밥이 오랜 시간 보관되더라고 밥이 딱딱하지 않게 보관되어 시간이 많이 지난 후에도 유아가 따뜻하고 촉촉한 상태의 밥을 먹을 수 있도록 하고 폴딩이 되게 함으로써 식판의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높이고 반찬이 한 개이거나 두 개 또는 세 개일때, 그리고 국이 없을 때, 밥과 국 그리고 반찬을 나누는 칸막이을 해당 상황에 맞게 배치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Recently, various types of food trays for infants have been provided, but they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hygiene and convenien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fants, they often eat while moving around and eat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rice grains on the infant tray must be stored so that they do not evaporate and become hard. In this specification, even if the rice is stored for a long time, the rice is stored so that it does not become hard, so that the infant can eat rice in a warm and moist state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and by folding it, the volume of the plate is reduced to increase portability and the side dish is used. I would like to explain a children's tray that can be placed with one, two, or three trays, and when there is no soup, the partitions that divide rice, soup, and side dishes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선행문헌][Prior literature]

등록 특허 10-1908849Registered Patent 10-1908849

본 발명은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밥 구역에 밥이 담긴 후 뚜껑을 닫았을 때, 밥이 담긴 내부 공간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도록 하여 뜨거운 밥에서 나오는 증기를 오랫동안 유지하게 하여 보온과 증기를 이용하여 밥알의 촉촉한 식감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식판 자체가 폴딩이 되게 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이동성과 휴대성을 높이고, 밥과 국,반찬을 나누어주는 칸막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즈로 변경 가능한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tray for children,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lid is closed after rice is placed in the rice area, convection occurs between the air in the inner space containing the rice and the outside air, thereby dissipating steam from the hot rice. By keeping it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ist texture of the rice grains for a long time by using heat insulation and steam. The plate itself is foldable to reduce the volume to increase mobility and portability, and the user can use the divider to divide rice, soup, and side dishes. This is about a baby food tray that can be changed to the desired siz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밥 수용부 및 상기 밥 수용부와 제1 칸막이를 통해서 구분되는 국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판 본체 및 상기 밥 수용부에 담긴 밥을 보관시에 상기 밥 수용부의 공간을 커버하는 밥 수용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밥 수용부 덮개에는 평면 상에서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파여진 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밥 수용부 덮개가 상기 밥 수용부를 커버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는 상기 밥 수용부 덮개에 형성된 홈과 상기 식판 본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홀을 통해서 상기 밥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밥 수용부 내부의 공기는 상기 밥 수용부 덮개의 홀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된다.A food tray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main body having a rice receiving portion and a soup receiving portion separated from the rice receiving portion by a first partition, and the rice receiving portion when the rice contained in the rice receiving portion is stored. and a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that covers the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wardly at an edge in a plane view and a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nd the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covers the rice receiving portion. In this case,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rice container through the groove formed in the rice container cover and the hole formed by the food tray main body, and the air inside the rice container flows into the rice container cover through the hole in the rice container cover. leaked to the outside.

상기 식판 본체는 상기 국 수용부와 제2 칸막이를 통해서 구분되는 반찬 수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칸막이에는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파여진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에는 식기의 본체 부분이 거치되고, 상기 국 수용부의 외측 벽에 해당 식기의 손잡이 부분이 거치된다.The plate main body is further formed with a side dish accommodating part separated from the soup accommodating part by a second partition, and a holding groove dug down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tableware is formed in the holding groove. is mounted, and the handl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dish is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soup container.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상기 식판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식사 모드에서 상기 식판 본체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식판 본체의 밥 수용부, 국 수용부, 및 반찬 수용부 각각이 형성하는 공간을 하측으로 확장시키는 받침 부재 및 상기 식판 본체의 외면에 접이식으로 구비되어, 식사 모드에서 일측이 바닥에 거치되어 상기 식판 본체 및 상기 받침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infant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main body and extends downward to the plate main body in meal mode, and each of the rice accommodating portion, the soup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ide dish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plate main body 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that expands the forming space downward, and a support member that is provided in a foldable manner on an outer surface of the plate main body and is mounted on one side on the floor in a dining mode to support the plate main body and the support member.

보관 모드에서 상기 받침 부재는 상측으로 접혀져 밥 수용부, 국 수용부, 및 반찬 수용부 각각 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일측이 상기 식판 본체의 하부로 이동하여 접혀, 상기 유아용 식판의 부피는 식사 모드에 비해 보관 모드에서 줄어든다.In the storage mode, the support member is folded upward and arranged to overlap within the space formed by each of the rice accommodating portion, the soup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ide dish accommodating portion, and one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main body and is folded. The volume of the infant tray is reduced in storage mode compared to meal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상기 식판 본체의 중앙에는 기둥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1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밥 수용부 및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2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칸막이의 일측은 복수의 제1 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칸막이의 타측은 복수의 제2 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밥 수용부 및 상기 국 수용부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밥 수용부 및 상기 국 수용부의 공간을 일체화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칸막이는 탈착된다.The infant foo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lumn member in the center of the plate main body having a pillar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receiv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the rice receiving portion and the soup receiving portion. A plurality of second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on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is selectively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receiving grooves,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has a plurality of second receiving grooves. The size of the inner space of the ric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oup accommodating part is determined by selectively engaging one of the two receiving grooves, and when the spaces of the rice accommodating part and the noodle accommodating part are integrated, the first partition is detached. .

본 발명은 밥 수용부 덮개에 가장자리에 홈과 중앙부에 홀이 형성됨에 따라 뜨거운 밥이 밥 수용부에서 보관되는 경우 외부의 차가운 공기와 높은 온도가 형성되어 있는 밥 수용부 내부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서 공기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밥 수용부 덮개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밥의 증기를 통해서 내부에서 액화될 정도의 증기는 밥 수용부 덮개의 홀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되고, 액화되지 않는 수준의 증기는 내부에 머무르며 밥알에 다시 흡수되어 밥이 딱딱해 지는 것을 막고, 오랜기간 밥을 보온하고 촉촉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oove formed on the edge and a hole in the center of the rice container cover, so that when hot rice is stored in the rice contain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ld air outside and the air inside the rice container, which is at a high temperature, causes the air to cool. A convection phenomenon occurs, and cold air from the outside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the hole formed on the edge of the rice container cover. Accordingly, the steam that is liquefied inside through the rice steam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in the rice container cover. The steam that leaks out and is not liquefied stays inside and is reabsorbed into the rice grains, preventing the rice from becoming hard, keeping the rice warm for a long time and maintaining a moist texture.

본 발명의 보관 모드에서는 식사 모드에 비하여 유아용 식판의 부피는 줄어들게 되고, 높이 역시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는 유아용 식판을 사용하고 난 뒤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storage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meal mode, the volume of the infant tray is reduced and the height is also reduced, allowing the user to easily store the infant tray after using it and increase portability.

본 발명의 유아용 식기는 밥 수용부, 국 수용부, 반찬 수용부를 구분하는 칸막이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서 수용부 각각의 공간의 크기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궁극적으로 사용자는 반찬이 한 개이거나 두 개 또는 세 개일때, 그리고 국이 없을 때, 밥과 국 그리고 반찬을 나누는 칸막이을 해당 상황에 맞게 배치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식기를 이용할 수 있다.The infant tablewa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vary in size of the space of each container by selectively combining partitions that separate the rice container, soup container, and side dish container. Ultimately, the user can have only one side dish or When there are two or three, and when there is no soup, the children's tablewa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rranging the divider dividing the rice, soup, and side dish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의 밥 수용부 및 국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의 밥 수용부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의 거치홈에 의해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이 식사 모드에서 보관 모드로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칸막이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ice receiving portion and the soup receiving portion of the infant meal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of the infant meal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ishes are placed in the mounting grooves of a baby food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baby food tray is converted from a meal mode to a storage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baby food tray to which the first partition can be selectively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efer to the attached drawings 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0)의 밥 수용부(P1) 및 국 수용부(P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0)의 밥 수용부 덮개(2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0)의 거치홈(H3)에 의해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ice receiving portion (P1) and the soup receiving portion (P2) of the infant food plat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baby foo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201 of 1000,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ishes are placed by the mounting groove H3 of the infant food tray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0)은 식판 본체(101), 밥 수용부 덮개(201), 및 국 수용부 덮개(3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ant food tray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ood tray main body 101, a rice container cover 201, and a soup container cover 301.

식판 본체(101)에는 밥 수용부(P1), 국 수용부(P2), 및 반찬 수용부(P3)가 형성될 수 있다. 식판 본체(101)는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식판 본체(101)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A rice receiving portion (P1), a soup receiving portion (P2), and a side dish receiving portion (P3) may be formed in the plate main body 101. The food plate body 101 may be made of plastic or silicone. However, the food plate body 101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밥 수용부(P1)는 제1 칸막이(B1)를 통해서 국 수용부(P2)와 구분될 수 있고, 국 수용부(P2)는 제2 칸막이(B2)를 통해서 반찬 수용부(P3)와 구분될 수 있다. 제1 칸막이(B1)와 제2 칸막이(B2)는 평행하지 않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밥 수용부(P1)의 우측에 국 수용부(P2)가 배치되고, 국 수용부(P2)의 상측에 반찬 수용부(P3)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The rice receiving part (P1)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soup receiving part (P2) through the first partition (B1), and the soup receiving part (P2) can be separated from the side dish receiving part (P3) through the second partition (B2). It can be. The first partition (B1) and the second partition (B2) are not parallel, and as shown in Figure 1, the soup receiving part (P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rice receiving part (P1) in the plan view, and the soup receiving part ( Any one of the side dish receiving portions (P3)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P2).

제2 칸막이(B2)에는 도 1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파여진 거치홈(H3)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partition (B2), a mounting groove (H3) may b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FIG. 1 with a predetermined length.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홈(H3)에는 숟가락, 포크와 같은 식기(SP)의 본체 부분이 거치되고, 국 수용부(P2)의 외측 벽에는 해당 식기(SP)의 손잡이 부분이 거치됨에 따라 식기(SP)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main body of the dish (SP), such as a spoon or fork,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H3), and the handle portion of the dish (SP) is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soup receiving portion (P2). Accordingly, the tableware (SP) can be held stably.

이처럼 식기(SP)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킴에 따라 부모가 유아에게 밥을 먹인 후 아이가 밥을 삼키는 동안 다시 수저에 밥과 반찬을 올려서 음식이 식을 때까지 들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As the tableware (SP) is mounted stably in this way, there is no need for parents to put rice and side dishes on the spoon and hold it until the food cools while the child swallows the meal after feeding the child.

밥 수용부 덮개(201)는 밥 수용부(P1)에 담긴 밥을 보관시에 밥 수용부(P1)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고, 국 수용부 덮개(301)는 국 수용부(P2)에 담긴 국을 보관시에 국 수용부(P2)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The rice container cover 201 can cover the space of the rice container P1 when storing rice contained in the rice container P1, and the soup container cover 301 is attached to the soup container P2. When storing soup, the space in the soup receiving part (P2) can be covered.

밥 수용부 덮개(20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파여진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중앙부에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201 may have a groove cut inward at an edge in a plan view, and a hole H2 may be formed at the center.

밥 수용부 덮개(201)가 밥 수용부(P1)를 커버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는 밥 수용부 덮개(201)에 형성된 홈과 식판 본체(101)에 의해서 형성되는 홀(H1)을 통해서 밥 수용부(P1) 내부로 유입되고, 밥 수용부(P1) 내부의 공기는 밥 수용부 덮개(201)의 홀(H2)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When the rice container cover 201 covers the rice container P1,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hole H1 formed by the groove formed in the rice container cover 201 and the plate main body 101. The air flows into the rice container P1, and the air inside the rice container P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H2 of the rice container cover 201.

이처럼 밥 수용부 덮개(201)에 가장자리에 홈과 중앙부에 홀(H2)이 형성됨에 따라 뜨거운 밥이 밥 수용부(P1)에서 보관되는 경우 외부의 차가운 공기와 높은 온도가 형성되어 있는 밥 수용부(P1) 내부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서 공기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밥 수용부 덮개(201)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H1)을 통해서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밥의 증기를 통해서 내부에서 액화될 정도의 증기는 밥 수용부 덮개(201)의 홀(H2)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되고, 액화되지 않는 수준의 증기는 내부에 머무르며 밥알에 다시 흡수되어 밥이 딱딱해 지는 것을 막고, 오랜기간 밥을 보온하고 촉촉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a groove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rice container cover 201 and a hole H2 is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when hot rice is stored in the rice container P1, external cold air and a high temperature are formed in the rice container. (P1) A convection phenomenon of air occur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internal air, so that cold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the hole (H1) formed at the edge of the rice container cover 201, and thus through the steam of the rice. Steam that is sufficient to liquefy flows outward through the hole (H2) of the rice container cover (201), and vapor that is not liquefied remains inside and is reabsorbed into the rice grains, preventing the rice from hardening and maintaining it for a long time. This helps keep the rice warm and maintain a moist texture.

이에 반하여 국 수용부 덮개(301)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밥 수용부 덮개(201)의 홈과 홀(H2)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내부에서 액화되는 증기가 다시 국에 섞여 들어가게 되어 수분 증발로 인하여 국이 짜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oup container cover 301, the groove and hole (H2) of the rice container cover 201 described above are not formed, so the vapor liquefied inside is mixed back into the soup, causing the soup to evaporate due to moisture evaporation. This can prevent it from becoming salty.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0')이 식사 모드에서 보관 모드로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S. 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baby food tray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from a meal mode to a storage mod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0')은 받침 부재(401) 및 지지 부재(5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ant food tray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401 and a support member 501.

받침 부재(401)는 식판 본체(101)와 일체로 형성되고 유아용 식판(1000')의 식사 모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판 본체(101)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식판 본체(101)의 밥 수용부(P1, 도 1에 도시됨), 국 수용부(P2, 도 1에 도시됨), 및 반찬 수용부(P3) 각각이 형성하는 공간을 하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40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ood plate main body 101 and extends downward to the food plate main body 101 as shown in FIG. 4A in the eating mode of the infant food plate 1000', The space formed by each of the rice accommodating portion (P1, shown in FIG. 1), the soup accommodating portion (P2, shown in FIG. 1), and the side dish accommodating portion (P3) may be expanded downward.

지지 부재(501)는 식판 본체(101)의 외면에 접이식으로 구비되어, 유아용 식판(1000')의 식사 모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바닥에 거치되어 식판 본체(101) 및 받침 부재(401)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501 is provided in a foldable mann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od plate main body 101, and in the meal mode of the infant food plate 1000', one side is mount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4A to support the food plate main body 101 and the support member. (401) can be supported.

받침 부재(401)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 부재(401)가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아용 식판(1000')은 보관 모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부재(401)가 상측으로 접혀져 밥 수용부(P1), 국 수용부(P2), 및 반찬 수용부(P3) 각각 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지지 부재(501)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식판 본체(101)의 하부로 이동하여 접혀질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401 may be made of silicone material. As the support member 401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the infant food tray 1000' is folded upward as shown in FIG. 4B in storage mode to form a rice receiving portion (P1) and a soup receiving portion (P2). ), and the side dish receiving portion (P3)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space formed, and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501 can be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plate main body 101 and folded, as shown in FIG. 4C.

이렇게 보관 모드에서는 식사 모드에 비하여 유아용 식판(1000')의 부피는 줄어들게 되고, 높이 역시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는 유아용 식판(1000')을 사용하고 난 뒤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In this storage mode, compared to the meal mode, the volume of the baby food tray (1000') is reduced and the height is also reduced, allowing the user to easily store the baby food tray (1000') after using it and increase portability.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칸막이(B1')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유아용 식판(1000'')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baby food tray 1000'' to which the first partition B1' can be selectively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In FIG. 5 ,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that overlap with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판 본체(101')의 중앙에 기둥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1 수용홈(IH1)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부재(PP)가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infant food plat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il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food plate body 101' and has a plurality of first receiving grooves (IH1)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 may be provided with a pillar member (PP) formed thereon.

또한 밥 수용부(P1') 및 국 수용부(P2')의 내측 둘레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2 수용홈(IH2)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second receiving grooves IH2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ice receiving portion (P1') and the soup receiving portion (P2').

제1 칸막이(B1')는 제1 수용홈(IH1) 및 제2 수용홈(IH2) 각각과 결합하여 밥 수용부(P1') 및 국 수용부(P2')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칸막이(B1')의 일측은 복수의 제1 수용홈(IH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제1 칸막이(B1')의 타측은 복수의 제2 수용홈(IH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밥 수용부(P1') 및 국 수용부(P2')를 형성함과 동시에 밥 수용부(P1') 및 국 수용부(P2')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밥 수용부(P1')에 들어있는 밥과 국 수용부(P2')에 들어있는 국을 비벼서 먹고 싶은 경우 제1 칸막이(B1')를 탈착시켜 밥 수용부(P1') 및 국 수용부(P2')의 공간을 일체화시켜 밥과 국을 비벼서 먹을 수 있다.The first partition (B1') may be combin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grooves (IH1) and IH2 to form a rice receiving portion (P1') and a soup receiving portion (P2').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B1') is selectively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receiving grooves (IH1),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B1')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receiving grooves (IH2). By selectively combining with either one, it forms the rice receiving part (P1') and the soup receiving part (P2') and at the same time determines the siz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rice receiving part (P1') and the soup receiving part (P2'). You can. In some cases, if the user wants to mix the rice contained in the rice compartment (P1') with the soup contained in the soup compartment (P2'), the user may detach the first partition (B1') to separate the rice compartment (P1'). By integrating the space of the soup receiving portion (P2'), rice and soup can be mixed and eaten.

이러한 칸막이의 선택적 결합은 제1 칸막이(B1')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칸막이(B2') 및 제3 칸막이(B3') 또한 제1 수용홈(IH1) 및 제2 수용홈(IH2)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서 수용부(P1', P2', P3') 각각의 공간의 크기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궁극적으로 사용자는 반찬이 한 개이거나 두 개 또는 세 개일때, 그리고 국이 없을 때, 밥과 국 그리고 반찬을 나누는 칸막이을 해당 상황에 맞게 배치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식기를 이용할 수 있다.The selective combination of these partitions is not limited to the first partition (B1'), and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partition (B2') and the third partition (B3') also include the first receiving groove (IH1) and the third partition (B1'). 2 By selectively combin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IH2), the size of each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s (P1', P2', and P3')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ultimately allowing the user to prepare one, two, or three side dishes. When the child is full, and when there is no soup, the baby tablewa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rranging the divider dividing the rice, soup, and side dish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sought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1000: 유아용 식판 301: 국 수용부 덮개
101: 식판 본체 401: 받침 부재
201: 밥 수용부 덮개 501: 지지 부재
1000: Infant food tray 301: Soup compartment cover
101: Plate body 401: Support member
201: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501: Support member

Claims (5)

식사 모드와 보관 모드로 구분되는 유아용 식판에 있어서,
밥 수용부 및 상기 밥 수용부와 제1 칸막이를 통해서 구분되는 국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판 본체;
상기 밥 수용부에 담긴 밥을 보관시에 상기 밥 수용부의 공간을 커버하는 밥 수용부 덮개;
상기 식판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식사 모드에서 상기 식판 본체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식판 본체의 밥 수용부, 국 수용부, 및 반찬 수용부 각각이 형성하는 공간을 하측으로 확장시키는 받침 부재; 및
상기 식판 본체의 외면에 접이식으로 구비되어, 식사 모드에서 일측이 바닥에 거치되어 상기 식판 본체 및 상기 받침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밥 수용부 덮개에는 평면 상에서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파여진 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밥 수용부 덮개가 상기 밥 수용부를 커버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는 상기 밥 수용부 덮개에 형성된 홈과 상기 식판 본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홀을 통해서 상기 밥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밥 수용부 내부의 공기는 상기 밥 수용부 덮개의 홀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식판 본체는 상기 국 수용부와 제2 칸막이를 통해서 구분되는 반찬 수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칸막이에는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파여진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에는 식기의 본체 부분이 거치되고, 상기 국 수용부의 외측 벽에 해당 식기의 손잡이 부분이 거치되고,
보관 모드에서 상기 받침 부재는 상측으로 접혀져 밥 수용부, 국 수용부, 및 반찬 수용부 각각 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일측이 상기 식판 본체의 하부로 이동하여 접혀, 상기 유아용 식판의 부피는 식사 모드에 비해 보관 모드에서 줄어들고, 상기 받침 부재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판.
In the infant tray divided into meal mode and storage mode,
A plate main body having a rice receiving portion and a soup receiving portion separated from the rice receiving portion by a first partition;
a rice container cover that covers the space of the rice container when storing rice contained in the rice container;
a support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main body and extending downwardly to the plate main body in a dining mode, to expand downwardly the space formed by each of the rice accommodating portion, the soup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ide dish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plate main body; and
A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main body in a foldable manner, and one side of which is placed on the floor in a dining mode to support the plate main body and the support member,
In the rice receiving portion cover, a groove is formed inward at the edge in a plane view, and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When the rice container cover covers the rice container, external air flows into the rice container through the groove formed in the rice container cover and the hole formed by the plate body, and the rice container covers the rice container. The air inside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in the rice container cover,
The plate main body is further formed with a side dish accommodating portion separated from the soup accommodating portion by a second partition,
A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body portion of the dish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the handle portion of the dish is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soup receiving portion,
In the storage mode, the support member is folded upward and arranged to overlap within the space formed by each of the rice accommodating portion, the soup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ide dish accommodating portion, and one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main body and is folded. The volume of the infant plate is reduced in storage mode compared to the meal mode, and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 본체의 중앙에는 기둥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1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밥 수용부 및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2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칸막이의 일측은 복수의 제1 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칸막이의 타측은 복수의 제2 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밥 수용부 및 상기 국 수용부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밥 수용부 및 상기 국 수용부의 공간을 일체화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칸막이는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판.
According to claim 1,
A pillar member having a pillar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receiv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ood plate main body,
A plurality of second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ice receiving portion and the soup receiving portion,
On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is selectively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receiving grooves,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is selectively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receiving grooves, so that the rice receiving portion and the A food tray for children, wherein the first partition is detachable when the size of the inner space of the soup container is determined and the spaces of the rice container and the soup container are integrated.
KR1020220099586A 2022-08-09 2022-08-09 Food tray for infant KR102577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586A KR102577936B1 (en) 2022-08-09 2022-08-09 Food tray for inf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586A KR102577936B1 (en) 2022-08-09 2022-08-09 Food tray for inf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936B1 true KR102577936B1 (en) 2023-09-14

Family

ID=8801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586A KR102577936B1 (en) 2022-08-09 2022-08-09 Food tray for inf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93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832Y1 (en) * 1999-03-04 2000-04-15 전영갑 Plate for suppling of food
KR20080004240U (en) * 2007-03-27 2008-10-01 미 재 함 Dish for sliced raw fish with function to keep freshness
KR20140021375A (en) * 2012-08-10 2014-02-20 서영진 Food tray having legs
CN204764708U (en) * 2015-07-16 2015-11-18 吕银兰 Multi -functional dinner plate
KR101649585B1 (en) * 2015-06-15 2016-08-19 변재선 Folding blue plate
CN210581963U (en) * 2019-11-04 2020-05-22 裕利电子(深圳)有限公司 3D (three-dimensional) temperature-sensing separation dinner plate for babi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832Y1 (en) * 1999-03-04 2000-04-15 전영갑 Plate for suppling of food
KR20080004240U (en) * 2007-03-27 2008-10-01 미 재 함 Dish for sliced raw fish with function to keep freshness
KR20140021375A (en) * 2012-08-10 2014-02-20 서영진 Food tray having legs
KR101649585B1 (en) * 2015-06-15 2016-08-19 변재선 Folding blue plate
CN204764708U (en) * 2015-07-16 2015-11-18 吕银兰 Multi -functional dinner plate
CN210581963U (en) * 2019-11-04 2020-05-22 裕利电子(深圳)有限公司 3D (three-dimensional) temperature-sensing separation dinner plate for bab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374B1 (en) Multifunctional food holder
US2652702A (en) Combination picnic tray and platter
JP2010202262A (en) Tray for packaging food and food package body
JP2014104346A (en) Food and drink container
KR20180000809A (en) Multipurpose delivery bag
KR102577936B1 (en) Food tray for infant
JP2012020781A (en) Food container and the food container storing food
KR20150121282A (en) Disposable lunch package
US9877613B1 (en) Food storage device for children
KR20240042908A (en) A tableware storage tray
HRP990288A2 (en) Nesting insulated egg server
JP2006168797A (en) Pack and pack set
KR20180096550A (en) Multipurpose delivery bag
JP3244371U (en) one plate dish for cooking
US2627970A (en) Picnic box
KR102582213B1 (en) Packing box assembly that maintains warmth and cold storage, prevents bread from getting soggy, maintains texture of freshly baked bread, and enables delivery
JP5309314B2 (en) Beverage bag
WO2020085225A1 (en) Food container
JP2012125526A (en) Lunch plate
JPS5836691Y2 (en) school lunch tray
KR102128104B1 (en) A container with adsorption means
JP3119478U (en) Paper plate porridge
KR20230137582A (en) Food tray set
JP3079952U (en) Heat-resistant glass container with partition
JPS5855171Y2 (en) school lunch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